KR970002756Y1 - 냉장고의 물저장장치 - Google Patents

냉장고의 물저장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70002756Y1
KR970002756Y1 KR2019930015844U KR930015844U KR970002756Y1 KR 970002756 Y1 KR970002756 Y1 KR 970002756Y1 KR 2019930015844 U KR2019930015844 U KR 2019930015844U KR 930015844 U KR930015844 U KR 930015844U KR 970002756 Y1 KR970002756 Y1 KR 97000275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storage
refrigerator
water
storage tank
pedest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3001584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50006945U (ko
Inventor
이병수
Original Assignee
이병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병수 filed Critical 이병수
Priority to KR2019930015844U priority Critical patent/KR970002756Y1/ko
Publication of KR950006945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50006945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7000275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02756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3/00Apparatus or devices for controlling flow of liquids under gravity from storage containers for dispensing purposes
    • B67D3/04Liquid-dispensing taps or cocks adapted to seal and open tapping holes of casks, e.g. for beer
    • B67D3/043Liquid-dispensing taps or cocks adapted to seal and open tapping holes of casks, e.g. for beer with a closing element having a linear movement,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sea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3/00Apparatus or devices for controlling flow of liquids under gravity from storage containers for dispensing purposes
    • B67D3/0009Apparatus or devices for controlling flow of liquids under gravity from storage containers for dispensing purposes provided with cooling arrang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Devices That Are Associated With Refrigeration Equipment (AREA)

Abstract

내용없음.

Description

냉장고의 물저장장치
제1도는 종래 냉장고용 물저장 용기의 사용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
제2도는 본 고안에 따른 냉장고의 물저장장치에서 물저장 탱크와 받침대의 결합상태를 나타내는 전체 사시도.
제3도는 제2도의 종단면도.
제4도는 본 고안에 따른 냉장고의 물저장장치에서 물저장 탱크가 내부에 결합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물저장 탱크 11 : 물저장부
12 : 콕수단 13 : 개폐부재
20 : 받침대 21 : 용기수용부
22 : 도어 C : 취수용기
W : 물
본 고안은 냉장고의 물저장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냉장보관된 냉수를 마시는 것이 매우 편리하도록 된 냉장고의 물저장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냉장고 내에 물을 저장할 경우에는 제1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냉장고(1)의 도어(2) 내측에 형성된 병꽂이 선반(3)이나 냉장실(4)내에 수평으로 설치된 선반(5)위에 소정량의 물을 저장시킨 병 등의 물저장용기(6)를 위치시켜 사용하고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의 냉장고용 물저장 용기는 단지 내부에 물을 저장시키는 기능만을 하므로, 사용시에는 냉장고(1)내에서 물저장용기(6)를 꺼낸 후 물저장 용기(6)에 결합된 뚜껑을 분리시켜 내부에 저장된 소정량의 물을 별도의 컵용기 등에 쏟은 다음, 다시 상기 뚜껑을 결합한 후 냉장고(1)내에 저장시키게 되어 사용이 매우 불편할 뿐만 아니라, 식사 등의 경우에는 물저장 용기를 위치시킬 수 있는 별도의 공간이 필요하게 되어 사용이 매우 번거롭다고 하는 등의 여러가지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고안의 목적은 냉장고내에 물저장 탱크를 결합하여, 컵에 물을 받을 수 있음과 동시에 냉장고에서 꺼낸 물저장 탱크를 별도의 받침대상에 위치시킴으로써 사용이 매우 편리한 냉장고의 물저장 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이와 같은 목적을 실현하기 위하여 이루어진 본 고안에 따른 냉장고의 물저장 장치는 내부에 물을 저장하는 물저장부 및 그 일측에 결합되어 개폐부재의 작동에 따라 개폐되는 콕수단을 갖는 물저장탱크를 구비한 냉장고의 물저장장치에 있어서, 냉장고의 내부에 배설된 선반의 앞가장자리에는 걸림턱이 형성되고, 상기 물저장탱크의 저면에는 상기 걸림턱이 걸리도록 안착돌기가 형성되며, 상기 물저장탱크가 착탈가능케 결합되도록 상기 안착돌기를 수용하는 요홈이 그 상면에 형성된 받침대가 상기 물저장탱크의 저면에 결합되고, 상기 받침대의 내부에는 다수의 취수용기를 수용하도록 용기수용부가 형성된 구조로 이루어져, 상기 받침대를 냉장고의 외부에 비치하여, 상기 물저장탱크를 냉장고의 내부에 배설된 선반에 견고히 안착하거나 냉장고의 외부에 비치된 받침대에 견고히 안착할 수 있게 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 제2도 내지 제4도에 따라서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면에서 부호10은 냉장고내에 저장되며 내부에 생수 등의 물(W)을 저장할 수 있는 물저장 탱크를 나타내고 있다.
냉장고(1)의 내부에 구비된 선반(5)의 앞가장자리에는 상기 물저장 탱크(10)가 견고히 결합되도록 걸림턱(5a)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물저장 탱크(10)는 내부에 소정량의 물(W)을 저장할 수 있는 물저장부(11)가 형성되어 있고, 그 일측에는 상기 물저장부(11)내에 저장된 물(W)을 토출하는 콕수단(12)이 결합되어 있으며, 상기 콕수단(12)에는 작동에 따라 소정각도로 회동되어 물(W)의 토출을 가능케하는 개폐부재(13)가 힌지결합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물저장 탱크(10)의 상측에는 상기 물저장부(11)내로 물(W)을 보충시킬 수 있는 덮개판(14)이 개폐가능케 결합되어 있으며, 물저장 탱크(10)의 저면에는 양측단에 안착돌기(15)가 돌출형성되어 있다.
한편, 상기 물저장 탱크(10)가 안착되는 받침대(20)는 내측에 컵 등의 취수용기(C)를 보관할 수 있도록 용기수용부(21)가 형성되어 있고, 그 양측에는 취수용기(C)의 취출이 가능하도록 도어(22)가 힌지 결합되어 있으며, 상기 도어(22)의 상측에는 개폐가 용이하도록 손잡이 (22a)가 돌출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받침대(20)의 양측단에는 물저장 탱크(10)에 형성된 안착돌기(15)가 삽입되도록 요홈(23)을 형성하고 있으며, 상기 도어(22)는 용기수용부(21)내를 투시할 수 있도록 투명이나 반투명재로 형성됨이 더욱 바람직하다.
다음에 이와같이 구성된 본 고안에 따른 냉장고의 물저장 장치에 대한 작용 및 효과를 설명한다.
먼저, 물저장 탱크(10)의 상측에 결합된 덮개판(14)를 개방한 후 물저장부(11)내에 소정량의 물(W)을 충전하고, 상기 덮개판(14)을 결합하여 제4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물저장 탱크(10)를 냉장고(1)의 선반(5)위에 위치시킨다.
이때, 상기 물저장 탱크(10)는 그 저면에 돌출형성된 안착돌기(15)가 상기 선반(5)의 선단에 형성된 걸림턱(5a)에 걸려지게 되어 냉장고(1)의 외측으로 이탈되지 않고 안정된 상태로 위치되어 진다.
그리고, 사용시에는 냉장고(1)를 개방시킨 상태에서 컵 등의 취수용기(C)를 콕수단(12)에 결합된 개폐부재(13)의 일측에 밀착시킨 상태에서 힘을 가하여 개폐부재(13)를 회동시키면 상기 콕수단(12)을 통하여 소정량의 물(W)이 취수용기(C)내로 토출되어져 마실 수 있게 된다.
한편, 식사 등의 경우에는 냉장고(1)내에 저장된 물저장 탱크(10)를 꺼내어 도시하지 않은 식탁 등의 위에 미리 놓여진 받침대(20)상에 상기 물저장 탱크(10)를 위치시킨 후, 상술한 바와 같이 개폐부재(13)를 작동시키면 콕수단(12)으로부터 소정량의 물(W)이 토출되어져 마실수 있게 된다.
이때, 상기 물저장 탱크(10)의 저면에 돌출형성된 안착돌기(15)가 받침대(20)의 상측에 형성된 요홈(23)내에 안측됨으로써 상기 물저장 탱크(10)는 유동없이 안정된 상태로 안착되어 진다.
그리고, 상기 받침대(20)의 내측에는 다수의 취수용기(C)를 수용할 수 있는 용기수용부(21)가 형성됨과 동시에 그 양측에는 상기 용기수용부(21)내에 수용된 취수용기(C)의 취출이 가능하도록 도어(22)가 힌지결합됨에 따라 외부로부터 먼지나 이물질 등의 침입을 방지하여 더욱 위생적으로 사용할 수 있게 된다.
또, 상기 도어(22)는 투명 또는 반투명재로 형성됨에 따라 용기수용부(21)내에 수용된 취수용기(C)를 투시할 수 있어 항상 적정수의 취수용기(C)를 수용하는 것이 가능하여 사용이 편리하게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냉장고의 물저장장치에 의하면 냉장고내에 물저장 탱크를 결합하여 냉수를 직접 토출시켜 마실 수 있음은 물론, 냉장고밖에 받침대를 비치하여 냉장고에서 꺼낸 물저장 탱크를 상기 받침대에 결합하여 물의 토출이 가능하도록 하므로써, 사용이 매우 편리할 뿐만 아니라 상기 물저장 탱크가 안착되는 받침대내에 다수의 취수용기를 수용할 수 있게 되어 더욱 위생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등의 여러 가지 이점을 갖는다.

Claims (1)

  1. 내부에 물(W)을 저장하는 물저장부(11) 및 그 일측에 결합되어 개폐부재(13)의 작동에 따라 개폐되는 콕수단(12)을 갖춘 물저장 탱크(10)를 구비한 냉장고의 물저장장치에 있어서, 냉장고의 내부에 배설된 선반(5)의 앞가장자리에는 걸림턱(5a)이 형성되고, 상기 물저장 탱크(10)의 저면에는 상기 걸림턱(5a)에 걸리도록 안착돌기(15)가 형성되며, 상기 물저장 탱크(10)가 착탈가능케 결합되도록 상기 안착돌기(15)를 수용하는 요홈(23)이 그 상면에 형성된 받침대(20)가 상기 물저장 탱크(10)의 저면에 결합되고, 상기 받침대(20)의 내부에는 다수의 취수용기(C)를 수용하도록 용기수용부(21)가 형성된 구조로 이루어져, 상기 받침대(20)를 냉장고의 외부에 비치하여, 상기 물저장 탱크(10)를 냉장고의 내부에 배설된 선반(5)에 견고히 안착하거나 냉장고의 외부에 비치된 받침대(20)에 견고히 안착할 수 있게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의 물저장장치.
KR2019930015844U 1993-08-17 1993-08-17 냉장고의 물저장장치 KR970002756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30015844U KR970002756Y1 (ko) 1993-08-17 1993-08-17 냉장고의 물저장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30015844U KR970002756Y1 (ko) 1993-08-17 1993-08-17 냉장고의 물저장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50006945U KR950006945U (ko) 1995-03-21
KR970002756Y1 true KR970002756Y1 (ko) 1997-04-02

Family

ID=1936134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30015844U KR970002756Y1 (ko) 1993-08-17 1993-08-17 냉장고의 물저장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70002756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50006945U (ko) 1995-03-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364329B1 (en) Cooler with beverage dispenser
US6862896B1 (en) Cooler chest and can dispensing structure
US5409126A (en) Storage container with reversible lid
US5524761A (en) Picnic cooler
US6065303A (en) Cold can or bottle cooler dispenser
US3069869A (en) Portable beverage cooler and dispenser
US7549299B2 (en) Water reservoir for a refrigerator
US20070290001A1 (en) Portable beverage dispensing apparatus
US20030029867A1 (en) Partitioned cooler
US2236368A (en) Portable bar
KR970002756Y1 (ko) 냉장고의 물저장장치
WO1999000320A1 (en) Beverage dispenser
JP2655593B2 (ja) 冷蔵庫用水分配器
KR200497485Y1 (ko) 대구경 인입구를 가지는 텀블러 용기
KR102212090B1 (ko) 스트로가 구비된 텀블러
KR200171453Y1 (ko) 냉장고의 병 가드
GB2234808A (en) Vacuum flask
KR100237696B1 (ko) 냉장고의 계란꽂이 선반
KR19980084694A (ko) 냉장고용 홈바의 점등장치
KR200367256Y1 (ko) 경구섭취용 내용물의 포장용기
JPH03110375A (ja) 冷蔵庫
FR2727753A3 (fr) Refrigerateur comprenant un circuit de refrigeration autonome, dont les compartiments de conservation sont formes dans la structure qui contient le circuit et sont pourvus d'un couvercle de fermeture
KR200245645Y1 (ko) 음식물 배달용기
JPH0722095Y2 (ja) ランチジャー
KR0123862Y1 (ko) 휴대용 밀폐반찬탑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ORF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