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70002316B1 - 세제투입장치가 도어에 장착된 세탁기 - Google Patents

세제투입장치가 도어에 장착된 세탁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70002316B1
KR970002316B1 KR1019940004790A KR19940004790A KR970002316B1 KR 970002316 B1 KR970002316 B1 KR 970002316B1 KR 1019940004790 A KR1019940004790 A KR 1019940004790A KR 19940004790 A KR19940004790 A KR 19940004790A KR 970002316 B1 KR970002316 B1 KR 97000231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etergent
washing machine
door
water supply
wa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4000479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50027066A (ko
Inventor
임승호
Original Assignee
대우전자 주식회사
배순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우전자 주식회사, 배순훈 filed Critical 대우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19940004790A priority Critical patent/KR970002316B1/ko
Publication of KR95002706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5002706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7000231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02316B1/ko

Link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9/00Details of washing machines not specific to a single type of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9/00 - D06F27/00 
    • D06F39/12Casings; Tubs
    • D06F39/14Doors or covers; Securing means therefor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3/00Control of operations performed in washing machines or washer-dryers 
    • D06F33/30Control of washing machines characterised by the purpose or target of the control 
    • D06F33/32Control of operational steps, e.g. optimisation or improvement of operational steps depending on the condition of the laundry
    • D06F33/34Control of operational steps, e.g. optimisation or improvement of operational steps depending on the condition of the laundry of water filling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9/00Details of washing machines not specific to a single type of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9/00 - D06F27/00 
    • D06F39/02Devices for adding soap or other washing agents
    • D06F39/028Arrangements for selectively supplying water to detergent compartment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9/00Details of washing machines not specific to a single type of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9/00 - D06F27/00 
    • D06F39/08Liquid supply or discharge arrangements
    • D06F39/088Liquid supply arrangement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2103/00Parameters monitored or detected for the control of domestic laundry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2103/40Opening or locking status of door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2105/00Systems or parameters controlled or affected by the control systems of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2105/02Water supply

Abstract

내용없음.

Description

세제투입장치가 도어에 장착된 세탁기
제1도는 종래 세탁기의 세제투입장치와 급수공급장치를 도시한 세탁기 측단면도.
제2a도는 본 발명이 적용된 세탁기의 평면도, b도는 본 발명이 적용된 세탁기의 측단면도.
제3도는 본 발명의 요부인 세제투입장치를 도시한 단면도.
제4도는 세제 용해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세테투입장치의 평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 : 도어 20 : 전방도어
21 : 후방도어 210 : 상판
211 : 하판 4 : 세제투입장치
40 : 덮개 41 : 상틀
42 : 하틀 43 : 뚜껑
44 : 급수노즐 5 : 급수공급장치
50 : 급수밸브 51 : 호스
52 : 센서
본 발명은 세제투입장치가 도어에 장착된 세탁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세탁기의 도어에 세제투입장치를 장착하고 이에 급수공급장치를 연결하여, 세제와 함께 급수를 세탁조의 중앙 상부로부터 고루고루 투입하므로써 센싱세탁시 회전익에 정확한 부하가 걸리도록하여 그에 적합한 세탁조건을 설정할 수 있도록 한 세제투입장치가 도어에 장착된 세탁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세탁기는 급수 및 세탁, 헹굼, 탈수행정을 설정된 프로그램에 의해 순차적으로 수행하여 세탁물을 세탁하도록 된 것으로서, 세탁기는 사각 형상을 갖는 외체의 상부에 탑커버가 있고, 탑커버 상면에는 투입구를 개폐시켜 세탁물을 투입·인출할 수 있도록 하는 도어가 위치한다. 세탁기의 도어는 그 중앙과 후단이 힌지로 결합하고 있어 접철이 가능하다. 또한, 세탁기의 후방에는 세제 공급을 위한 세제투입장치와 급수를 위한 급수공급장치가 위치한다.
그러한 세탁기는 세탁시 도어를 개방하여 세탁물을 투입·인출하게 되며, 마이컴의 콘트롤에 의해 급수공급장치에 있는 급수밸브를 개폐하여 설정된 수위에 맞게 급수를 세탁조에 공급한다. 이때 세제투입장치에 있는 세제 급수구로 보내져 공급되는 급수에 씻겨 세탁조로 투입된다. 이렇게 급수가 공급되는 과정에서 세탁기는 센싱세탁을 실싱하여 세탁물의 양에 따라서 수위 및 세탁시간, 헹굼횟수, 탈수시간을 설정한다.
상기의 과정을 제1도를 통해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세탁기의 구성을 설명하면, 세탁기(1a)의 외체 상부에 결합되는 탑커버(3a) 상에는 접철식 도어(2a)가 위치한다. 접철식 도어(2a)는 그 중앙과 후단이 힌지(23a)로 연결되어 있어 전방도어(2a)와 후방도어(21a)가 접철식으로 개폐된다. 세탁기(1a)의 후방 내부에는 급수공급장치의 급수밸브(50a)가 장착되어 있고 이에는 급수로(50b)가 연결되어 있어 급수구(50c)로 이어진다. 세탁기(1a) 후방의 상부에는 세제투입장치(4a)가 위치한다. 한편, 세탁기(1a)의 내부에는 저수조(6a)가 위치한다. 저수조(6a)의 내측으로는 세탁조(7a)가 위치하며 세탁조(7a)의 하부에는 구동부(8a)에 의해 회전하는 회전익(9a)이 위치한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갖는 종래 세탁기의 급수 및 센싱세탁 과정을 설명한다.
세탁기(1a)의 도어(2a)를 개방하여 세탁조(7a)에 세탁물을 투입한 다음 동작버튼(도시 않음)을 누르며 마이컴(도시 않음)의 작용으로 세제투입장치(4a)에 있던 세제가 급수구(50c)로 공급된다. 다음 급수밸브(50a)가 개방되고 급수가 유입되어 급수로(50b)를 따라 흐르게 된다. 급수로(50b)를 따라 흐르던 급수는 이미 급수구(50c)에 공급되어 있는 세제를 용해시키면서 씻어 내려 급수구(50c)를 나온다. 급수구(50c)를 나온 급수는 세탁조(7a) 내로 투입되어 세탁조(7a)와 저수조(6a)를 채우게 된다. 급수가 공급되면 마이컴은 회전익(9a)의 수차례에 걸친 회전으로 세탁물의 양을 인식하여 세탁에 필요한 수위와 세탁, 헹굼, 배수, 탈수시간을 정하게 된다. 이렇게 정해진 세탁조건에 의해서 세탁기에는 본격적으로 급수가 실시된 다음 세탁행정으로 들어간다.
상기와 같은 종래 세탁기의 급수 및 센싱세탁 과정에는 몇 가지 문제점이 있다.
첫째, 세탁조 내로 투입되는 세제와 급수는 세탁조의 한쪽으로만 떨어지므로 세탁물 전체가 충분히 수분을 함유하지 않은 상태에서 센싱이 이루어져 오류의 세탁 조건이 설정되는 문제점이 있다.
둘째, 세탁기와 대형화 되는 추세임에도 세제투입장치가 세탁기의 상부 후방에 위치하기 때문에 세제 투입이 용이하지 않은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세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첫째 목적은, 세탁기 도어에 세제투입장치를 장착하고 이에 급수공급장치를 연결한 세탁기를 제공하는데 있다.
둘째 목적은, 급수가 세탁조의 중앙 상부에서 공급되어 세탁물을 골고루 적셔 주므로써 센싱세탁을 할 때 세탁물의 양을 정확하게 감지하여 세탁물의 양에 알맞는 세탁조건을 설정할 수 있도록 한 세탁기를 제공하는데 있다.
셋째 목적은, 세제 투입이 용이한 세탁기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세제투입장치를 도어에 장착하되 세탁조의 중앙 상부에 위치하도록 하고, 이에 급수공급장치를 연결하여 세탁조의 중앙 상부에서 세제와 급수가 투입되도록 하여 세탁물을 골고루 적셔주므로써 센싱세탁시 정확한 세탁물의 양을 감지하여 적합한 세탁조건을 설정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제투입장치가 도어에 장착된 세탁기를 제공한다.
이하 첨부된 제2도 내지 제4도에 의거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설명한다.
제2도는 본 발명에 따른 세탁기를 도시한 것으로, (a)는 평면도이고, (b)는 측단면도이다.
세탁기(1)는 도어(2)와 탑커버(3), 세제투입장치(4), 급수공급장치(5), 저수조(6), 세탁조(7), 구동부(8), 회전익(9)으로 구성된다.
상기 도어(2)는 전방도어(20)와 후방도어(21)가 힌지(23)으로 결합되어 있고 전방도어(20)에는 손잡이(22)가 있다.
상기 탑커버(3)는 세탁기(1)의 외체 상부에 결합되고 이에는 접철식 도어(2)가 얹혀져 후방에서 탑커버(3)와 힌지로 결합된다.
상기 세제투입장치(4)는 상기 후방도어(21)에 장착한다.
상기 급수공급장치(5)는 상기 세탁기(1)의 후방 내부에 위치시키고 세제투입장치(4)와 연결한다.
상기 저수조(6)와 세탁조(7)는 상기 탑커버(3) 하부의 세탁기(1) 내부 공간에 설치한다.
상기 구동부(8)는 상기 저수조(6)의 하부 공간에 위치하여 상기 세탁조(7) 내에 위치는 상기 회전익(9)에 동력을 제공한다.
제3도는 본 발명의 요부인 세제투입장치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후방도어(21)는 상판(210)과 하판(211)으로 구성되어 그 중간이 공간을 형성한다. 상판(210)은 나사부(210-1)를 갖는다. 하판(211)은 걸침턱(211-1)을 갖는다.
세제투입장치(4)는 덮개(40)와 상틀(41), 하틀(42), 뚜껑(43), 노즐(44)로 구성하여 후방도어(21)에 장착한다.
급수공급장치(5)는 급수밸브(50)와 호스(51), 센서(52)로 구성하여 세탁기(1) 후방의 공간에 장착한다. 세제투입장치(4)의 구성을 세부적으로 설명하면, 세제투입장치(4)의 상단에 해당하는 덮개(40)는 결합을 위한 힌지(401)를 갖는다. 상틀(41)은 나사부(410)와 넘침방지턱(411)을 갖는다. 넘침방지턱(411)은 중앙에는 세제투입구(411-1)가 있다. 하틀(42)은 미세망(420)과 몰딩체(421), 너른망(422), 단턱(423), 걸침편(424), 인출돌기(425)로 이루어진다. 몰딩체(421)에는 미세망(420)과 너른망(422)을 몰딩한다. 또한 몰딩체(421)는 원형의 벽을 갖으며 그 일측에는 인출돌기(450)가 형성되어 있다.
노즐(44)은 상틀(41)의 일측에 일체로 성형한다.
상기 구성에 따른 본 발명의 결합 관계를 설명한다.
후방도어(21)의 상판(210)에는 세제투입장치(4)의 덮개(40)를 힌지(401)로 결합한다. 세제투입장치(4)의 상틀(41)은 상부에 형성된 나사(410)를 이용하여 후방도어(21)의 상판(210)에 형성된 나사부(210-1)에 결합한다. 후방도어(21)의 하판(211)에 형성되어 있는 걸침턱(211-1)에는 하틀(42)의 걸침편(424)을 삽입하여 후방도어(21)의 하판(211)에 세제투입장치(4)의 하틀(42)을 결합시킨다. 상틀(41)의 넘침방지턱(411)의 중앙에 있는 세제투입구(411-1)에는 뚜껑(43)을 끼운다. 다음, 상틀(41)의 노즐(44)에는 급수공급장치(5)의 호스(51)를 연결한다.
상기의 구성으로 된 본 발명의 작용을 설명한다.
우선, 세탁기(1)의 도어(2)를 열면 전방도어(20)와 후방도어(21)가 그 중간에 위치하는 힌지(23)를 정점으로하여 접철되면서 개방된다. 이때 급수공급장치(5)의 센서(52)는 도어(2)의 개.폐 여부를 확인하여 마이컴(도시 않음)으로 하여금 급수 차단 상태를 유지하도록 한다. 세탁조(7)에 세탁물을 투입하고 도어(2)를 닫으면 급수공급장치(5)의 센서(52)는 도어(2)의 닫힘을 마이컴에 알린다. 다음 세제투입장치(4)의 세제투입구(411-1)로 세제를 투입한다. 투입된 세제는 하틀(42)의 미세망(420)에 쌓인다. 세제 투입이 끝나면 뚜껑(43)과 덮개(40)를 닫고 탑커버(3)에 있는 조작판(30)의 동작버튼을 누른다. 그러면 급수공급장치(5)의 급수밸브(50)가 마이컴에 의해 열려 급수 공급을 실시한다. 유입되는 급수는 급수밸브(50)와 호스(51)를 거쳐 노즐(44)을 통해 세제투입장치(4)로 공급된다. 노즐(44)을 나온 급수의 일부는-제4도에 도시한 바와같이-몰딩체(421)의 일축을 돌출시켜 형성된 인출돌기(425)를 따라 흘러 세제를 용해시키면서 미세망(420)을 통과해 세탁조(7)로 투입된다. 노즐(44)을 나온 나머지 대부분의 급수는 너른망(422)을 지나 세탁조(7)로 투입된다. 상틀(41)의 넘침방지턱(411)은 세제기 용해되면서 발생하는 거품이 외부로 넘치는 것을 방지한다. 세제와 급수는 세탁조의 중앙 상부로부터 투하되므로 세탁조 내에 있는 세탁물을 골고루 적셔준다. 골고루 적셔진 세탁물은 그무게에 의해 세탁조(7)의 하부에 위치하는 회전익(9)에 하중을 준다. 그 결과 센싱세탁을 할 때, 구동부(8)에 의해 회전하는 회전익(9)에는 정확하게 세탁물에 대한 부하가 걸려 마이컴이 정확한 세탁 조건을 설정할 수 있도록 한다. 이후 세탁행정이 실시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세제투입장치의 덮개가 도어의 중앙에 위치하여 세제 투입이 용이하고, 급수공급장치로부터 공급되는 급수를 이용하여 세제를 용해시키면서 세탁조의 중앙 상부로부터의 급수를 투입하여 세탁물을 고루 적셔주므로써 센싱세탁시 정확한 세탁물의 양을 감지할 있도록하여 세탁물에 적합한 세탁조건을 설정할 수 있도록 한다.

Claims (8)

  1. 전방도어(20)와 후방도어(21)가 힌지결합하여 접철되는 도어(2); 상기 도어(2)가 얹혀지는 탑커버(3); 세제 투입을 위한 세제투입장치(4); 급수 공급을 위한 급수공급장치(5); 저수조(6); 세탁조(7); 구동부(8) 및 회전익(9)으로 구성되는 세탁기에 있어서, 상기 도어(2)에 상기 세제투입장치(4)를 장착하고 이에 상기 급수공급장치(5)를 연결함을 특징으로 하는 세제투입장치가 도어에 장착된 세탁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급수공급장치(5)가 연결된 상기 세제투입장치(4)는 상기 후방도어(21)에 장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제투입장치가 도어에 장착된 세탁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세제투입장치(4)는 덮개(40), 상틀(41), 하틀(42), 뚜껑(43) 및 노즐(44)로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세제투입장치가 도어에 장착된 세탁기.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상틀(41)은 나사(410)와 세제투입구(411-1)가 있는 넘침방지턱(411)으로 구성하여, 상기 나사(410)를 상기 후방도어(21)의 상판(210)에 있는 나사(210-1)에 결합시킴을 특징으로 하는 세제투입장치가 도어에 장착된 세탁기.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하틀(42)은 미세망(420), 몰딩체(421), 너른망(422), 단턱(423), 걸침편(424) 및 인출돌기(425)로 구성하여, 상기 단턱(423)은 상기 상틀(41)을 받치고 상기 걸침편(424)이 상기 후방도어(21)의 하판(211)에 있는 걸침턱(211-1)에 걸쳐서 결합함을 특징으로 하는 세제투입장치가 도어에 장착된 세탁기.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급수공급장치(5)를 통해 공급되는 급수의 일부가 상기 하틀(42)의 인출돌기(425)에 의해 인출되어 상기 미세망(420)에 쌓여 있는 세제를 용해시켜서 상기 세탁조(7)로 투입되도록 함을 특징으로 하는 세제투입장치가 도어에 장착된 세탁기.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급수공급장치(5)는 급수밸브(50), 호스(51) 및 센서(52)로 구성하여, 세탁기 후방의 상부 공간에 장착하고, 상기 호스(51)를 상기 세제투입장치(4)의 노즐(44)에 결합시킴을 특징으로 하는 세제투입장치가 도어에 장착된 세탁기.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52)는 상기 후방도어(21)의 개·폐를 감지하여 마이컴으로 하여금 상기 급수벨브(50)를 차·폐하여 급수의 공급 여부를 결정하도록 함을 특징으로 하는 세제투입장치가 도어에 장착된 세탁기.
KR1019940004790A 1994-03-11 1994-03-11 세제투입장치가 도어에 장착된 세탁기 KR97000231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40004790A KR970002316B1 (ko) 1994-03-11 1994-03-11 세제투입장치가 도어에 장착된 세탁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40004790A KR970002316B1 (ko) 1994-03-11 1994-03-11 세제투입장치가 도어에 장착된 세탁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50027066A KR950027066A (ko) 1995-10-16
KR970002316B1 true KR970002316B1 (ko) 1997-02-27

Family

ID=1937870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40004790A KR970002316B1 (ko) 1994-03-11 1994-03-11 세제투입장치가 도어에 장착된 세탁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70002316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50027066A (ko) 1995-10-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ITMI950244A1 (it) Procedimento di lavaggio per macchina lavabiancheria
KR20080089087A (ko) 세탁기
KR20080089086A (ko) 세탁기
KR20100066172A (ko) 세탁기 및 세탁 방법
WO2020011119A1 (zh) 一种衣物处理设备门体及衣物处理设备
KR20100066909A (ko) 세탁기
KR970002316B1 (ko) 세제투입장치가 도어에 장착된 세탁기
KR970002315B1 (ko) 세제투입장치가 도어에 내설된 세탁기
JPH0546839B2 (ko)
KR970006638B1 (ko) 세탁기의 세제용해장치
KR101256143B1 (ko) 전자동 세탁기의 듀얼세제 투입장치
KR20100020633A (ko) 세탁기
JPH10156087A (ja) 洗濯機の給水装置
JPH0546836B2 (ko)
KR0135479Y1 (ko) 세탁기의 세제 투입장치
KR970006354Y1 (ko) 세탁기의 세제용해장치
KR20000009651U (ko) 세탁기의 세액투입장치
KR100277586B1 (ko) 세탁기
KR20110004747A (ko) 전자동 세탁기의 세제 투입장치
KR101054395B1 (ko) 세탁기의 세제투입장치
KR101256144B1 (ko) 세탁기
KR200154558Y1 (ko) 헹굼제통과세제통으로구획된세제함을장착시킨세제투입장치
KR0127651Y1 (ko) 세탁기의 세제투입장치
KR200155836Y1 (ko) 다단식세제함
KR19990036084U (ko) 정전기방지세제자동투여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