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70002177Y1 - 자동차 클러스터 - Google Patents

자동차 클러스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70002177Y1
KR970002177Y1 KR2019950013331U KR19950013331U KR970002177Y1 KR 970002177 Y1 KR970002177 Y1 KR 970002177Y1 KR 2019950013331 U KR2019950013331 U KR 2019950013331U KR 19950013331 U KR19950013331 U KR 19950013331U KR 970002177 Y1 KR970002177 Y1 KR 97000217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luster
dashboard
vehicle
driver
steering whee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5001333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70000996U (ko
Inventor
이재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캄코
지경택, 안드레스 · 위거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캄코, 지경택, 안드레스 · 위거트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캄코
Priority to KR2019950013331U priority Critical patent/KR970002177Y1/ko
Publication of KR970000996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00996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7000217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02177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35/00Instrumen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f instruments in or on vehicles
    • B60K35/60Instruments characterised by their location or relative disposition in or on vehic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Instrument Panels (AREA)

Abstract

내용없음

Description

자동차 클러스터
제1도는 자동차 데시보드에 클러스터가 장착된 상태를 나타낸 정면도.
제2도 (a)(b)는 스티어링 휠을 조정함에 따라 계기의 일부가 가려지는 것을 설명하는 참고도.
제3도는 본 고안이 적용된 데시보드에 클러스터를 장착한 예시도.
제4도는 본 고안에 따른 구동수단을 묘사한 참고도.
제5도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자동차 데시보드 2 : 클러스터(cluster)
3 : 스티러일 휠(steering wheel) 4 : 구동수단
본 고안은 자동차 클러스터(cluster)에 관한 것으로, 특히 자동차의 모든 계기류가 내장되는 클러스터를 소정의 각도만큼 회동되는 가동부재로 형성하여 데시보드에 장착되는 클러스터를 사용자 임의로 가변 조정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와 같은 차량의 운전석에는 제1도와 같이 전면 데시보드(1)에 속도메타, rpm메타, 경보등, 오일압력계, 수온계 등과 같은 각종계기 등이 내장되는 클러스터(2)가 장착된다.
그리고 운행중인 차량의 진행방향을 변경하기 위한 스티어링휠(3; steering wheel; 조향핸들)은 스티어링 콜럼에 전·후(상·하) 조정이 가능하도록 상향경사지게 고정 설치하고 있다.
또한 스티어링휠(3)은 운전자의 신체조건이나 도로상황에 적합하도록 스티어링 휠(3)을 조향측 방향(전·후 또는 상·하방향)으로 이동시키면서 자동차에 탑승하여 장시간동안 운전하더라도 운전자가 피로를 느끼지 않는 최상의 운전조건에 적합하도록 조정할 수 있도록 구성하고 있다.
그러나, 종래에는 운전자의 취향이나 신체조건에 적합하도록 스티어링 휠(3) 및 시트의 조정은 가능한 반면에 운행중인 차량의 상황을 표시하는 클러스터(2)는 전면 데시보드(1)에 일체로 고정되어 가변시킬 수 없은 고정된 구조를 이루고 있다.
따라서 제2도(a)(b)와 같이 운전자의 신체조건에 따라 스티어링 휠(3) 또는 운전석 시트를 전·후로 조정하였을 경우 조정되는 량에 비례하는 만큼 운전자가 바라보는 시선이 서로 다르게 되어 스티어링 휠(3)이 데시보드(1)에 장착되는 클러스터(2)의 계기류 일부를 가리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더욱이 스티어링 휠(3)을 조정하지 않는다 하더라도 데시보드(1)에 장착되는 클러스터(2)는 모두가 획일적인 기준에 의거하여 장착 조경되는 구조를 가지므로 보통 운전자의 신체조건을 기준으로 한 기준치를 초과하거나 상대적으로 작은 경우에는 모든 계기류를 정확하게 볼 수 있는 시야를 확보하기 위해서는 운전자는 불편한 자세로 앉게 되어 운전자의 피로를 가중시키게 되는 주요인이 되기도 하였다.
이에 본 고안은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의 제반 문제점을 감안 해소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본 고안은 운전자의 신체조건에 따라 스티어링 휠이나 시트를 조정한다 하더라도 운전석에 앉아있는 상태에서 클러스터내의 모든 계기류를 일목요연하게 들여다 볼 수 있게 함을 그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이루기 위한 본 고안의 특징은 자동차의 운전석 전면 데시보드에 설치되는 클러스터를 소정의 각도만큼 가변시킬 수 있는 가동형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따라서 연료의 잔량이나 비상등, 방향등 및 차량의 주행속도에 해당하는 정보의 데이타 등을 표시하는 계기 등에 내장되는 클러스터는 클러스터를 구동하는 구동수단에 의해 소정의 각도만큼 회동 가능하게 되어 운전자의 신체조건에 따라 사용자 임의로 소정의 각도만큼 회전시키면서 클러스터에 내장되는 모든 계기류를 일목요연하게 바라볼 수 있게 된다.
클러스터를 회동시키는 구동수단은 클러스터의 내측으로 관통되게 끼워져 데시보드에 지지되는 중심축의 일측단에 치차를 결합하여 상기 치차에 치합되는 치차를 가지는 조정부재에 의해 데시보드에 지지되는 클러스터를 소정의 각도만큼 회동시키도록 구성하고 있다.
이와 같이 본 고안은 자동차의 전면 데시보드에 회동 가능하도록 장착되는 클러스터의 조정부재를 회동시키는 것만으로 클러스터의 계기류를 정확하게 볼 수 있는 시야를 확보함으로써 스티어링 휠은 조정함에 따라 스티어링 휠이 클러스터의 계기류를 가리게 되는 문제점 등을 해소되는 이점이 있는 것이다.
이하, 본 고안의 구체적인 실시예를 첨부된 예시도면을 참고하여 그 구성 및 작용효과를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첨부도면 제3도는 자동차의 전면 데시보드에 각종 계기류가 내장되는 클러스터가 회동 가능하도록 장착되는 것을 나타낸 예시도이고, 제4도는 데시보드에 장착되는 클러스터를 회동시키기 위한 구동수단을 설명하기 위해 재략적으로 도시하고 있는 참고도이다.
본 고안은 운전석의 전면 데시보드(1)에 설치되어 연료의 잔량이나 바상등, 방향등 및 차량의 주행속도에 해당하는 정보의 데이타 등을 표시하기 위한 계기가 내장되는 클러스터(2)를 회동하는 가동형으로 구성하여 상기 클러스터(2)를 구동하는 구동수단(4)에 의해 사용자 임의로 클러스터를 소정의 각도만큼 회동할 수 있도록 구성함을 그 특징으로 한다.
클러스터(2)를 회전시키는 구동수단(4)은 데시보드(1)에 클러스터(2)의 양측단을 지지 고정하기 위해 클러스터(2)의 내측으로 관통되는 중심축(41)에 치차(42)를 축설하여 상기 중심축(41)에 축설되는 치차(42)에 치합되는 치차를 가지는 조정부재(45)로 구성하고 있다.
그리하면 상기 구동수단(4)의 조정부재(45)를 정·역회전시킴에 따라 치차결합되는 중심축(41)을 기점으로 클러스터(2)가 전면 데시보드(1)상에서 소정의 각도만큼 회동시킬 수 있게 된다.
상기 중심축(41)에 축착되는 치차(42)와 조정부재(45) 사이에 별도의 감속치차(5)를 설치하여 조정부재(45)에 치차결합되는 중심축(41)이 상기 감속치차(5)에 의해 소정의 기어 감속비를 가지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고안에서는 클러스터의 회전이 중심축에 치합되는 치차를 구비한 조정부재(45)를 정·역회전 하도록 운전자가 수작업을 통해 임의로 조정하는 것을 일예시로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제5도와 같이 클러스터(2)를 회전 구동하기 위한 구동수단(4)의 조정부재(45)를 구동모터(6)로 대신 형성할 수 있는 것이다.
그리하면 사용자가 조정부재를 조작하게되는 번거러움이 없이 구동모터(6)를 ON/OFF 시키는 스위치의 조작만으로 중심축(41)의 치차(42)에 치합되는 구동모터(6)에 의해 클러스터(2)를 소정의 각도만큼 회전시킬 수 있는 이점이 있게 된다.
한편, 스티어링 휠(3)에 구동모터(6)를 제어하는 ON/OFF 스위치를 고정 설치하여 상기 ON/OFF 스위치의 조작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게 한다.
이와 같이 본 고안은 자동차의 전면 데시보드(1)에 장착되는 클러스터(2)를 소정의 각도만큼 회전하는 가동형으로 구성하여 조정부재(45) 또는 구동모터(6)를 정·역회전시킴에 따라 데시보드(1)상에 장착되는 클러스터(2)가 소정의 각도만큼 동일하게 회전하게 되어 운전석에 앉아 있는 상태에서도 용이하게 클러스터(2)에 내장되는 계기의 정보를 정확하게 들여다 볼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차량의 운행을 위해 운전자의 신체조건에 적합하도록 스티어링 휠 또는 시트를 조정에 따라 데시보드상에 장착되는 클러스터를 가동형으로 구성하여 소정의 각도만큼 회전시킴에 따라 운전석에 앉아 있는 상태에서도 클러스터내의 모든 계기류를 일목요연하게 들여다 볼 수 있게 되는 등의 작용효과가 있는 매우 유용하고 실용적인 고안이다.

Claims (3)

  1. 운전석의 전면 데시보드(1)에 설치되어 차량의 주행에 해당하는 정보의 데이타 등을 표시하기 위한 계기가 내장되는 클러스터(2)가 구동수단(4)에 의해 소정의 각도만큼 회전하는 가동형으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클러스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수단(4)은 데시보드(1)에 클러스터(2)의 양측단을 지지 고정하기 위해 클러스터(2)의 내측으로 관통되는 중심축(41)에 치차(42)를 축설하여 상기 중심축(41)에 축설되는 치차(42)와 치합되는 조정부재(45)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클러스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조정부재(45)가 구동모터(6)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클러스터.
KR2019950013331U 1995-06-13 1995-06-13 자동차 클러스터 KR970002177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50013331U KR970002177Y1 (ko) 1995-06-13 1995-06-13 자동차 클러스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50013331U KR970002177Y1 (ko) 1995-06-13 1995-06-13 자동차 클러스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00996U KR970000996U (ko) 1997-01-21
KR970002177Y1 true KR970002177Y1 (ko) 1997-03-20

Family

ID=1941546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50013331U KR970002177Y1 (ko) 1995-06-13 1995-06-13 자동차 클러스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70002177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00996U (ko) 1997-01-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7089141B (zh) 车用显示系统
US6616229B2 (en) Car seat
KR970002177Y1 (ko) 자동차 클러스터
US7518498B2 (en) Meter for automotive vehicle
CA1318833C (en) Multi function steering mechanism for a motor vehicle
FR2729345A1 (fr) Tableau de bord perfectionne pour vehicule automobile
JP4237432B2 (ja) 指針計器
JPH01103544A (ja) 車両の表示計器
JP2006315444A (ja) 車両用表示装置
EP4364997A1 (en) Content display device for road vehicle equipped with time measurement system
JP3628424B2 (ja) 車載用ディスプレイ装置
JP3538276B2 (ja) ハンドルユニット
KR970036722A (ko) 자동차의 팔걸이 각도 조절장치(A device for adjusting an angle of an arm rest of an automobile)
WO2008007177A2 (en) Steering wheel for a road vehicle
JP2526959Y2 (ja) 車両用表示装置
KR100870928B1 (ko) 차량의 인스트러먼트 패널
KR200146801Y1 (ko) 자동 백 밀러 구조
JP2004243898A (ja) 車両用画像情報表示装置
JP3000008U (ja) 車両用表示装置
KR0135192B1 (ko) 차량용 바퀴의 중심축 변경장치
KR100534246B1 (ko) 자동차용 폐달
FR2895327A1 (fr) Sous-ensemble de poste de pilotage pour vehicule automobile avec colonne de direction et dispositif de visualisation d'informations associe
KR19980064612U (ko) 차량용 미터셋의 취부구조
KR0167950B1 (ko) 자동차의 아웃사이드미러 각도 조절장치
GB2316921A (en) A steering angle indicator for a motor vehicl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50224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