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70001814B1 - 체액중의 성분 농도 측정방법 - Google Patents

체액중의 성분 농도 측정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70001814B1
KR970001814B1 KR1019880006022A KR880006022A KR970001814B1 KR 970001814 B1 KR970001814 B1 KR 970001814B1 KR 1019880006022 A KR1019880006022 A KR 1019880006022A KR 880006022 A KR880006022 A KR 880006022A KR 970001814 B1 KR970001814 B1 KR 97000181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xidase
hydrogen peroxide
component
concentration
glucos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8000602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80014371A (ko
Inventor
신이찌 후지에
노부오 오시마
아끼라 마쓰유끼
Original Assignee
가부시끼가이샤 메이덴샤
이노구마 도끼히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끼가이샤 메이덴샤, 이노구마 도끼히사 filed Critical 가부시끼가이샤 메이덴샤
Publication of KR88001437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8001437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7000181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0181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QMEASURING OR TESTING PROCESSES INVOLVING ENZYMES, NUCLEIC ACIDS OR MICROORGANISMS; COMPOSITIONS OR TEST PAPERS THEREFOR; PROCESSES OF PREPARING SUCH COMPOSITIONS; CONDITION-RESPONSIVE CONTROL IN MICROBIOLOGICAL OR ENZYMOLOGICAL PROCESSES
    • C12Q1/00Measuring or testing processes involving enzymes, nucleic acids or microorganisms; Compositions therefor; Processes of preparing such compositions
    • C12Q1/62Measuring or testing processes involving enzymes, nucleic acids or microorganisms; Compositions therefor; Processes of preparing such compositions involving uric acid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QMEASURING OR TESTING PROCESSES INVOLVING ENZYMES, NUCLEIC ACIDS OR MICROORGANISMS; COMPOSITIONS OR TEST PAPERS THEREFOR; PROCESSES OF PREPARING SUCH COMPOSITIONS; CONDITION-RESPONSIVE CONTROL IN MICROBIOLOGICAL OR ENZYMOLOGICAL PROCESSES
    • C12Q1/00Measuring or testing processes involving enzymes, nucleic acids or microorganisms; Compositions therefor; Processes of preparing such compositions
    • C12Q1/26Measuring or testing processes involving enzymes, nucleic acids or microorganisms; Compositions therefor; Processes of preparing such compositions involving oxidoreductase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QMEASURING OR TESTING PROCESSES INVOLVING ENZYMES, NUCLEIC ACIDS OR MICROORGANISMS; COMPOSITIONS OR TEST PAPERS THEREFOR; PROCESSES OF PREPARING SUCH COMPOSITIONS; CONDITION-RESPONSIVE CONTROL IN MICROBIOLOGICAL OR ENZYMOLOGICAL PROCESSES
    • C12Q1/00Measuring or testing processes involving enzymes, nucleic acids or microorganisms; Compositions therefor; Processes of preparing such compositions
    • C12Q1/26Measuring or testing processes involving enzymes, nucleic acids or microorganisms; Compositions therefor; Processes of preparing such compositions involving oxidoreductase
    • C12Q1/30Measuring or testing processes involving enzymes, nucleic acids or microorganisms; Compositions therefor; Processes of preparing such compositions involving oxidoreductase involving catalase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QMEASURING OR TESTING PROCESSES INVOLVING ENZYMES, NUCLEIC ACIDS OR MICROORGANISMS; COMPOSITIONS OR TEST PAPERS THEREFOR; PROCESSES OF PREPARING SUCH COMPOSITIONS; CONDITION-RESPONSIVE CONTROL IN MICROBIOLOGICAL OR ENZYMOLOGICAL PROCESSES
    • C12Q1/00Measuring or testing processes involving enzymes, nucleic acids or microorganisms; Compositions therefor; Processes of preparing such compositions
    • C12Q1/54Measuring or testing processes involving enzymes, nucleic acids or microorganisms; Compositions therefor; Processes of preparing such compositions involving glucose or galactos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36/00Chemistry: analytical and immunological testing
    • Y10T436/25Chemistry: analytical and immunological testing including sample preparation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36/00Chemistry: analytical and immunological testing
    • Y10T436/25Chemistry: analytical and immunological testing including sample preparation
    • Y10T436/25125Digestion or removing interfering material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36/00Chemistry: analytical and immunological testing
    • Y10T436/25Chemistry: analytical and immunological testing including sample preparation
    • Y10T436/25375Liberation or purification of sample or separation of material from a sample [e.g., filtering, centrifuging, etc.]
    • Y10T436/255Liberation or purification of sample or separation of material from a sample [e.g., filtering, centrifuging, etc.] including use of a solid sorbent, semipermeable membrane, or liquid extraction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Zoology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roteomics, Peptides & Aminoacid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Immun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Biophys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tics & Genomics (AREA)
  • Biochemistry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Biotechn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mergency Medicine (AREA)
  • Measuring Or Testing Involving Enzymes Or Micro-Organisms (AREA)
  • Investigating Or Analysing Biological Material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체액중의 성분 농도 측정방법
제1도는 본 발명에 의한 실시예 I의 오퍼레이션 공정도.
제2도는 실시예 I에 있어서 글루코오스의 농도에 대한 발광량을 예시하는 그래프
제3도는 본 발명에 의한 실시예 Ⅱ의 오퍼레이션 공정도.
제4도는 실시예 Ⅱ에 있어서 글루코오스의 농도에 대한 발광량을 예시하는 그래프
제5도는 본 발명에 의한 실시예 Ⅲ의 오퍼레이션 공정도.
제6도는 실시예 Ⅲ에 있어서 글루코오스의 농도에 대한 발광량을 예시하는 그래프
제7도는 본 발명에 의한 실시예 Ⅳ의 오퍼레이션 공정도.
제8도는 실시예 Ⅳ에 있어서 글루코오스의 농도에 대한 발광량을 예시하는 그래프
제9도는 본 발명에 의한 실시예 Ⅴ의 오퍼레이션 공정도.
제10도는 요산을 함유하는 수용액 중에서 요산의 농도에 대한 발광량를 예시하는 그래프.
제11도는 실시예 V에서 요산 농도에 대한 발광량을 예시하는 그래프
제12도는 본 발명에 의한 실시예 Ⅵ의 오퍼레이션 공정도.
제13도는 요산을 함유하는 수용액 중에서 요산 농도에 대한 발광량을 예시하는 그래프.
제14도는 실시예 Ⅵ에 있어서 요산 농도에 대한 발광량을 예시하는 그래프
제15도는 본 발명에 의한 실시예 Ⅶ의 오퍼레이션 공정도.
제16도는 실시예 Ⅶ에 있어서 폴리아민 농도에 대한 발광량을 예시하는 그래프.
제17도는 본 발명에 의한 실시예 Ⅷ의 오퍼레이션 공정도.
제18도는 실시예 Ⅷ에 있어서 폴리아민 농도에 대한 발광량을 예시하는 그래프.
본 발명은 일반적으로 혈액, 요 등과 같은 체액중의 성분 농도를 측정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더욱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체액중의 글루코오스, 요산 또는 폴리아민 농도를 측정할 수 잇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공지된 바와 같이, 혈액, 요 등과 같은 체액 중에는 매우소량의 글루코오스가 존재한다. 건강하거나 정상적인 유기체의 경우 체액중에는 극히 소량의 글루코오스가 존재한다. 반면에, 비정상적인 유기체, 예를들면 당뇨병 환자의 경우 글루코오스의 농도는 현저히 증가한다. 따라서, 의학적인 진단 목적상 체액중의 글루코오스 농도를 측정할 수 있다는 것은 매우 유익하다.
글루코오스의 환원력을 사용함으로써 글루코오스의 농도를 측정하는 방법은 알려져 있다. 이방법은 복잡한 오퍼레이션을 행해야 하고, 그 특이성이 낮기 때문에 고도로 정확한 측정값을 얻을 수 없다.
최근 개발된 방법에서는 글루코오스와 글루코오스 옥시다제 사이의 반응에 의해 생성된 과산화수소의 양을 사용하여 글루코오스 농도를 측정하였다. 이 방법에서는 글루코오스 옥시다제를 체액 샘플에 첨가한 후, 글루코오스와 글루코오스 옥시다제 사이의 반응에 의해 생성된 과산화수소의 양을 화학발광법에 의해 측정하고, 이어서 미리 작성된 클루코오스와 과산화수소 사이의 관계를 나타내는 검정선으로부터 글루코오스의 농도를 얻을 수 있다.
그러나, 요와 같은 체액중에는 통상적으로 소량의 과산화수소가 이미 존재하고 있기 때문에, 요중의 글루코오스의 농도가 매우 작을 때, 즉 10-4몰/ℓ미만인 경우, 과산화수소의 농도를 측정함으로써 글루코오스의 농도를 정확하게 결정하기는 어렵다.
더욱이, 혈액, 요 등과 같은 체액중에는 소량의 요산이 또한 존재하며, 레노프리벌(renoprival)히페레르기, 통풍, 당뇨, 암종성 신생물, 급간, 초기 폐흉막염, 장질병, 금속 중독, 고혈압 등의 경우에는 혈액중의 요산농도가 감소하고, 백혈증, 중증성 간질환, 통풍 등의 경우에는 요중의 요산 농도가 증가하는 것으로 알려져있다. 따라서, 상기 질환 등을 진단할 때 체액중의 요산 농도을 측정하는 것은 매우 유리하다. 임상 의학에서는 혈액 및 요중의 요산 농도를 측정하기 위해서 여러 가지 방법을 사용해 왔다. 그러나, 종래의 방법으로는 요산 농도를 정확히, 간단하고 신속하게 측정하기 어려웠다.
또한, 요중에는 매우 소량의 폴리아민이 존재한다. 건강한 유기체에 있어서, 요중의 폴리아민 농도는 극히작다. 반면에, 함환자의 경우에는 폴리아민의 양이 현저하게 증가한다. 따라서, 암환자 등을 진단하는데 요중의 폴리아민 농도를 측정하는 것이 매우 유리하다.
요중의 폴리아민 농도를 측정하기 위해서 전기 영동법, 박층 크로마코그래피, 아미노산 분법, 가스 크로마토그래피, 고압액체 크로마토그래피 등을 사용해 왔다. 이들 방법에는 복잡한 오퍼레이션 및 장시간 동안의 측정 및 전처리가 요구되고, 1회에 많은 샘플을 측정할 수 없다는 데 문제가 있다.
최근 개발된 방법에서는 요중의 아세틸폴리아민을 폴리아민으로 전환시킬 수 있는 데이세틸라제(deacetylase)를 첨가한 후, 요중의 폴리아민 농도를 간단한 흡광광도법을 사용함으로써 측정한다. 그러나, 이방법은 원심분리 및 기타 복잡한 오퍼레이션, 즉 폴리아민을 양이온 교환 수지 중에 흡수시킨 후, 수지를 물로 세척하고, 중화시키기 위한 탈착 용액이 필요하고, 또한 착색에 장시간이 소요되기 때문에 간단하지 않다.
따라서, 본 발명의 주목적은 혈액, 요등과 같은 체액중의 성분 농도를 간단하고, 신속하게 측정하는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구체적인 목적은 혈액 및 요중의 글루코오스, 요산 및 폴리아민과 같은 성분의 농도를 정확하게 측정하기 위한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혈액 및 요중의 미량 농도의 글루코오스, 요산 또는 폴리아민을 정확하게 측정 할 수 있는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이하, 추가 목적 및 잇점이 분명해질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하면 상기 목적 및 잇점들이 용이하게 성취된다.
본 발명의 일면에 의하면에 의한 체액중의 성분 농도의 측정 방법은, 체액을 준비하는 단계, 체액을 체액중의 과산화수소를 분해시키기 위해 카탈라제와 혼합하는 단계, 카탈라제와 과산화수소 사이의 반응을 억제하는 억제제를 카탈라제와 체액의 혼합물중에 첨가하는 단계, 혼합물을 과산화수소를 생성시키기 위해 성분과 선택적으로 반응하는 옥시다제로 처리하는 단계, 옥시다제와 성분 사이의 반응에 의해 생성된 과산화수소의 농도를 측정하는 단계 및 측정된 과산화수소의 농도로부터 성분 농도를 결정하는 단계로 된다.
상기 방법은 추가로 체액을 음이온 교환 수지로 처리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음이온 교환 수지는 강한 염기성 음이온 교환 수지가 적합하다. 억제제는 아지드화나트륨, 시안화수소, 황화수소, 수산화암늄 및 3-아미노-1,2,4-트리아졸로 되는 군중에서 선택할 수 있다. 체액은 요, 혈액, 혈청, 혈장, 타액 및 위약으로 되는 군 중에서 선택할 수 있다. 성분은 글루코오스, 요산 및 폴리아민으로 되는 군중에서 선택할 수 있다. 성분이 글루코오스인 경우 옥시다제는 글루코오스 옥시다제이다. 성분이 요산인 경우, 옥시다제는 요산분해효소(Uricase)이다. 성분이 폴리아민인 경우, 옥시다제는 푸트레신 옥시다제이다. 폴리아민의 농도를 측정할 경우, 이 방법에는 추가로 체액을 체액중에 함유되어 있는 아세틸폴리아민을 폴리아민으로 전환시키는 데아세틸라제로 처리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데아세틸라제는 아실폴리아민아미도하이드롤라제가 적합하다.
본 발명의 또다른 면에 의한 체액중의 성분 농도 측정 방법은, 체액을 준비하는 단계, 체액을 고정 카탈라제와 접촉시켜 체액중의 과산화수소를 분해시키는 단계, 체액을 과산화수소를 생성시키기 위해 성분과 선택적으로 반응하는 옥시다제로 처리하는 단계, 옥시다제와 성분사이의 반응에 의해 생성된 과산화수소의 농도를 측정하는 단계 및 측정된 과산화수소 농도로부터 성분 농도를 결정하는 단계로 된다.
이 방법은 추가로 체액을 음이온 교환 수지로 처리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음이온 교환 수지는 강한 염기성 음이온 교환 수지가 적합하다. 체액은 요, 혈액, 혈청, 혈장, 타액 및 위액으로 되는 군중에서 선택할수 있다. 성분은 글루코오스, 요산 및 폴리아민으로 되는 군중에서 선택할 수 있다. 성분이 글루코오스인 경우 옥시다제는 글루코오스 옥시다제이다. 성분이 요산인 경우, 옥시다제는 요산분해효소이다. 성분이 폴리아민으로 되는 군중에서 선택할 수 있다. 성분이 글루코오스인 경우 옥시다제는 글루코오스 옥시다제이다. 성분이 요산인 경우, 옥시다제는 요산분해효소이다. 성분이 폴리아민인 경우, 옥시다제는 푸트레신 옥시다제이다. 이 경우 측정 방법에는 추가로 체액을 체액중에 함유되어 있는 아세틸폴리아민을 폴리아민으로 전환시키 위해 데아셀틸라제로 처리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데아세틸라제는 아실폴리아민아미도하이드롤라제가 적합하다.
본 발명의 또다른 면에 의한 체액중의 성분 농도를 측정하기 위한 방법은, 체액을 준비하는 단계, 체액을 체액중의 과산화수소를 분해시키기 위해 과산화수소를 분해하는 효소로 처리하는 단계, 체액을 과산화수소를 생성시키기 위해 성분과 선택적으로 반응하는 옥시다제로 처리하는 단계, 옥시다제와 성분 사이의 반응에 의해 생성된 과산화수소의 농도를 측정하는 단계 및 측정된 과산화수소 농도로부터 성분 농도를 결정하는 단계로 된다.
본 발명은 본 발명의 적합한 실시예의 첨부 도면으로부터 보다 완전하게 이해될 것이다. 도면은 본 발명을 이들 특정 실시예에 한정하는 것이 아니라, 단지 설명 및 이해를 돕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한 체액중의 성분 농도 측정 방법은, 체액 샘플을 준비하는 단계, 체액 샘플을 체액중의 과산화수소를 분해시키기 위해 카탈라제와 혼합하는 단계, 카탈라제와 과산화수소 사이의 반응을 억제하는 억제제를 카탈라제와 체액의 혼합물에 첨가하는 단계, 혼합물을 과산화수소를 생성시키기 위해 성분과 선택적으로 반응하는 옥시다제로 처리하는 단계, 옥시다제 성분 사이의 반응에 의해 생성된 과산화수소의농도를 측정하는 단계 및 측정된 과산화수소 농도로부터 성분 농도를 결정하는 단계로 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체액중에 함유되어 있는 과산화수소는 체액을 카달라제로 처리함으로써 옥시다제와 체액중의 성분사이의 반응에 의해 생선된 과산화수소의 농도를 정확하게 측정할수 있도록 제거할수 있다. 체액중의 성분 농도는 과산화수소 농도와 성분 농도사이의 관계를 나타내는 검정선으로부터 용이하게 얻을수 있다. 이 방법에 의하면 10-4몰/ℓ와 같은 비교적 낮은 농도로 체액중에 존재하는 성분을 정확하게 측정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체액은 강한 염기성 음이온 교환 수지와 같은 음이온 교환 수지로 처리할 수 있다. 이 방법에 의하면, 성분 농도가 비교적 높을때, 즉 10-4몰/ℓ 이상일 경우, 성분 농도를 정확하게 측정할 수 있도록 체액중의 대사 산물을 제거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억제제는 아지드화나트륨, 시안화수소, 황화수소, 수산화암모늄 및 1-아미노-1,2,4-트리아졸로 되는 군중에서 선택할 수 있다. 실험에 의해 상기 물질중의 어느 하나를 억제제로서 사용했을 때, 유사한 결과를 얻을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본 발명의 방법에 의하면, 요, 혈액, 혈청, 혈장, 타액 또는 위액과 같은 체액중의 글루코오스, 요산, 폴리아민 등과 같은 성분의 농도를 측정할 수 있다. 글루코오스 농도를 측정하고자 할 경우, 옥시다제로서 글르코오스 옥시아제를 사용한다. 요산 농도를 측정하고자 할 경우에는 옥시다제로서 요산 분해 요소를 사용한다. 폴리아민 농도를 측정하고자 할 경우에는 옥시다제로서 푸트레신 옥시다제를 사용한다. 폴리아민 농도를 측정하고자 할 경우, 체액은 체액중에 함유되어 있는 아세틸폴리아민을 폴리아민으로 전환시키기 위해 아실폴리아민아미도하이드롤라제와 같은 데아세틸라제로 처리하는 것이 적합하다.
옥시아제와 성분 사이의 반응에 의해 생성된 과산화수소의 농도를 화학발광법에 의해 즉정하는 경우, 루미놀과 같은 발광 시약 및 페리시안화칼륨과 같은 촉매를 상기 오퍼레이션에 의해 처리된 체액 샘플에 첨가한다. 촉매 존재하에 발광물질과 체액중의 성분 사이의 반응에 의해 방출되는 광은 광도계(lumiometer)로 측정할 수 있다. 발광물질 및 촉매를 미리 카칼라제 또는 고정카탈라제로 처리할 경우, 성분 농도를 보다 정확하게 측정할 수 있다. 과산화수소 농도를 측정하기 위해서는 레이저 탁도분석법, 폴라로그래피, 과망간산염법, 요오드산 환원적정법과 같은 여러 가지 방법을 사용할 수 있다. 실험의 의해 상기 방법들 중의 어느 하나를 사용했을 때, 유사한 결과를 얻을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본 발명에 의한 체액중의 성분 농도 측정 방법은, 체액 샘플을 준비하는 단계, 체액 샘플을 고정 카탈라제와 접촉시켜 체액중의 과산화수소를 분해시키는 단계, 체액을 과산화수소를 생성시키기 위해 성분과 선택적으로 반응하는 옥시다제로 처리하는 단계, 옥시다제와 성분 사이의 반응에 의해 생성되는 과산화수소의 농도를 측정하는 단계 및 측정된 과산화수소의 농도로부터 성분 농도를 결정하는 단계로 된다.
이 방법에 의하면, 억제제를 사용하지 않아도 된다. 따라서, 고정 타탈라제를 제조함으로써 체액중의 성분농도의 측정을 보다 단순화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효과를 하기 실시예에 의해 예시한다.
실시예 Ⅰ
건강한 사람의 요중의 글루코오스양은 본질적으로 0인 것으로 가정하고, 요에 글로코오스를 첨가함으로써 0, 10-5, 10-4, 10-3, 10-2, 10-1, 1 및 10몰/l의 글루코오스를 함유하는 요 용액을 제조하였다. 각각의 요 용액을 사용하여 다음 실험을 행하였다.
요 용액의 pH를 측정한 후, 0.1몰/l의 인산을 함유하는 완충용액(pH5.0 내지 8.0) 1ml를 요 용액 1ml에 첨가하여 요 용액의 pH를 7.0으로 조절하였다. 이어서, 10,000U/ml의 카탈라제를 함유하는 용액[42,500U/ml 카탈라제 용액(소간으로부터 제조한 시그마 케미칼코. 엘티디, 제품)을 0.01몰/l의 인산을 함유하는 완충용액(pH 7.0)으로 희석시킴으로써 제조함] 0.01ml를 조절된 요 1ml에 첨가하고, 30℃, 수욕조 중에서 10분동안 가온하였다. 이어서, 요 용액을 수욕조 중에서 꺼내고, 카탈라제와 요중의 과산화수소 사이의 반응을 억제시키기 위해 억제제로서 작용하는 1몰/l의 아지드화나트륨(NaN3)[고꾸산 케미칼 윅스 엘티디(Kokusan Chemical Works Ltd)제품]을 함유하는 수용액 0.01ml를 요 용액에 첨가하였다. 이어서, 이 용액 0.2ml를 물 9.8ml로 희석시켰다.
상기 오퍼레이션에 의해 본질적으로 0, 10-7, 10-6, 10-5, 10-4, 10-3, 10-2, 및 , 10-1몰/l의 글루코오스를 함유하는 처리된 요 용액을 제조하였다. 이어서, 글루코오스 옥시다제[흑색국균(Aspergillus niger)으로부터 제조, 도요보 코, 엘티디(TOYOBO C.,Ltd)제품]를 0.01몰/l의 아세트산을 함유하는 완충액(pH5.1)으로 희석시킴으로써 형성된 100U/ml의 글루코오스 옥시다제를 함유하는 용액 0.01ml를 각각의 효소반응에 의해 과산화수소가 생성되도록 각각의 처리된 요 용액에 첨가하였다.
이어서, 루미놀[도꾜 가세이 고교 코. 엘티디.(TOKYO KASEI KOGYO Co., Ltd)제품]을 0.2몰/l의 탄산나트륨 및 탄산수소나트륨을 함유하는 완충액으로 희석시킴으로써 형성되는, 발광시약으로서 작용하는 2×10-7몰/l의 루미놀을 함유하는 수용액 0.5ml 및 6×10-3몰/l의 페리시안화 칼륨[분석용, 메르크 코. 엘티디.(Maeck Co. Ltd)제품]을 함유하는 수용액 0.5ml를 각각의 용액에 첨가하였다. 페리시안화칼륨 존재하에 루미놀과 과산화수소 사이의 반응에 의한 발광량을 광도계(UPD-8000, 메이덴샤 코포레이션 제품)로 측정하였다.
대조용으로서, 카탈리제로 처리하지 않은 0 및 10-7내지 10-1몰/l의 글루코오스를 함유하는 수용액 8가지와 0, 10-7내지 10-1몰/l의 글루코오스를 함유하는 요 용액 8가지를 제조하였다. 이들 용액에 대해서 각각의 반응에 의한 발광량을 실시예 1과 유사한 방법으로 측정하였다.
제 1도는 상기 오퍼레이션의 공정도이고, 제2도는 글루코오스 농도와 각각의 반응에 의한 발광량 사이의 관계를 나타낸 것이다.
제2도에 나타난 바와 같이, 카탈라제로 처리하지 않은 요 용액의 경우에, 초기 요중에 함유되어 있는 과산화수소 대 글루코오스와 글루코오스 옥시다제 사이의 반응에 의해 생성된 과산화수소의 비는 글루코오스의 농도가 비교적 낮을 때, 즉 10-4몰/l 미만일 경우 비교적 높다. 그 결과, 측정된 방출광량은 효소 반응에 의해 생선된 과산화수소와의 반응에 의한 발광량보다 훨씬 더 크다. 즉, 글루코오스의 농도가 10-4몰/l 미만일 경우에는 백그라운드 광이 측정값에 큰 영향의 미치기 때문에, 글루코오스의 농도가 상기한 바와 같이 낮을 경우 글루코오스 농도를 정확하게 측정하기 어렵다. 한편, 실시예 I의 경우에 백그라운드 광은 글루코오스의 농도가 약 10-7몰/l 인 경우에도 측정값에 거의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따라서, 최대 약 10-7몰/l 이하의 낮은 글루코오스 농도로 본 발명의 방법에 의하여 정확히 측정할 수 있음을 발견하였다.
제2도에 나타난 바와 같이, 글루코오스의 농도가 10-4몰/l 이상일 경우, 실시예I의 광량은 수용액의 광량보다 적다. 이 차이는 이하 기재되는 Ⅱ에 의해 보정될 수 있다.
실시예 II
0, 2×0-6, 2×0-5, 2×0-4, 2×0-3, 2×0-2, 2×0-1및 2몰/l의 글루코오스를 함유하는 요 용액을 건강한 사람의 요에 글루코오스를 첨가함으로써 제조하였다. 각각의 요 용액을 사용하여 다음 실험을 행하였다.
Cl-형 음이온 교환 수지[AGI-X4, 바이오-라드 라보라토리즈(BIO-RAD Laboratories) 제품, 입도 100 내지 200메쉬]를 1N 수산화나트륨을 사용하여 OH-형으로 전환시킴으로써 형성된 강한 염기성 음이온 교환수지(OH-형) 2ml를 요 용액 2ml에 첨가하고, 교반시켰다. 이어서, 상징액을 모으고, 0.1몰/l의 인산을 함유하는 완충용액(pH6.0) 1ml를 상징액에 첨가하여 상징액의 pH를 7.0으로 조절하였다. 이어서, 실시예I에서 제조한 10,000U/ml의 카탈라제 용액 0.01ml를 상징액에 첨가하고, 30℃, 수욕조중에서 10분동안 가온하였다. 반응 용액을 수욕조 중에서 꺼낸 후, 억제제로서 작용하는 1몰/l의 아지드화나트륨을 함유하는 수용액 0.01ml를 첨가하였다. 이어서, 이 용액 0.2ml를 물 0.8ml로 희석시켰다.
상기 오퍼레이션에 의해 본질적으로 0, 10-7, 10-6, 10-5, 10-4, 10-3, 10-2, 및 10-1몰/l의 글루코오스를 함유하는 처리된 요 용액을 제조하였다. 이어서, 실시예 I에서 제조한 100U/ml의 글루코오스 옥시다제 0.01ml를 각각의 처리된 용액에 첨가함으로써 효소 반응에 의해 글루코오스를 생성시켰다.
이어서, 실시예 I에서 제조한 2×0-7몰/ℓ의 루미놀 용액 0.5ml 및 6×3-3몰/l의 페리시안화칼륨 용액 0.5ml를 각각의 용액에 첨가하였다. 페리시안화칼륨 존재하에 루미놀과 과산화수소 사이의 각각의 반응에 의한 발광량을 광도계로 측정하였다.
대조용으로서 카탈라제 및 음이온 교환 수지로 처리하지 않은, 0 및 10-7내지 10-1몰/l의 글루코오스를 함유하는 수용액 8가지와 0 및 10-7내지 10-1몰/ℓ의 글루코오스를 함유하는 요 용액 8가지를 제조하고, 각각의 반응에 의한 발광량을 실시예 Ⅱ와 유사한 방법으로 측정하였다.
제3도는 상기 오퍼레이션 공정도를 나타내고, 제 4도는 글루코오스의 농도와 각각의 반응에 의한 발광량사이의 관계를 나타낸다.
제 4도에 나타난 바와 같이, 실시예 Ⅱ의 광량과 수용액의 광량사이의 차이는 글루코오스의 농도가 10-4몰/l 이상인 경우 매우 적다. 이것은 글루코오스의 농도를 본 발명에 의해 정확히 측정할 수 있음을 나타낸다.
실시예 Ⅲ
다기능성 시약을 수불용성 담체와 반응시키고, 이어서 카탈라제를 담체에 부착시켜서 고정하였다. 아미노프로필-CPG(조절된 공극 유리)[일렉트로-뉴클레오닉스 인크.(ELECTRO-NUCLEONICS INC.) 제조, 공경 120 내지 200메쉬] 및 글루타르알데히드를 각각 수불용성 담체 및 다기능성 시약으로서 사용하였다. 구체적으로 아미노프로필- CPG 1g을 실온에서 2.5% 글루타르알데히드 및 0.01% 인산을 함유하는 완충용액 25ml 중에 2시간 동안 침지시켜 알데히드 CPG를 형성하였다. 이어서, 알데히드 CPG를 100,000U/ml의 카탈라제 및 0.01% 인산을 함유하는 왼충용액 2ml와 실온에서 3시간 동안 반응시켜서 고정 카탈라제를 제조하였다.
이반응은 하기 식으로 나타낼 수 있다.
Figure kpo00001
이어서, 0, 2×10-6, 2×10-5, 2×10-4, 2×10-3, 2×10-2, 2×10-1및 2몰/l 의 글루코오스를 함유하는 요 용액을 요에 글루코오스를 첨가함으로써 제조하였다. 각각의 요 용액을 사용하여 다음 실험을 행하였다.
요 용액의 pH를 측정한 후, 0.1몰/l의 인산을 함유하는 완충용액(pH 5.0 내지 8.0) 1ml를 요 용액 1ml에 첨가하여 요 용액의 pH를 7.0으로 조절하였다. 이어서, 조절된 요 용액 2ml를 상기 고정 카탈라제가 충진될 컬럼을 통과시켰다. 여액의 처음 0.5ml는 버리고, 그 다음의 여액을 모았다. 이어서, 이 여액 0.2ml를 물 9.8ml로 희석시켰다.
상기 오퍼레이션에 의해 본질적으로 0, 10-7, 10-6, 10-5, 10-4, 10-3, 10-2, 및 10-1몰/l의 글루코오스를 함유하는 처리된 요 용액을 제조하였다. 이어서 실시예 Ⅰ에서 제조한 100U/ml의 글루코오스 옥시다제 용액 0.01ml를 각각의 처리된 요 용액에 첨가함으로써 과산화수소를 생성시켰다.
이어서, 실시예 Ⅰ에서 제조한 2×10-7몰/l의 루미놀 용액 0.5ml 및 6×10-3몰/l 페리시안화칼륨 용액 0.5ml를 각각의 반응 용액에 첨가하였다. 페리시안화칼륨 존재하에 루미놀과 과산화수소 사이의 각각의 반응에 의한 발광량을 광도계로 측정하였다.
실시예 Ⅲ과 비교하기 위해서 고정 카탈라제로 처리하지 않은 , 0 및 10-7내지 10-1몰/l의 글루코오스를 함유하는 수용액과 0 및 10-7내지 10-1몰/l의 글루코오스를 함유하는 요 용액을 제조하였다. 이들 용액에 대해서 각각의 반응에 의한 발광량을 실시예 Ⅲ과 유사한 방법으로 측정하였다.
이러한 오퍼레이션 및 그 결과를 제 5도 및 제6도에 나타났다.
제 6도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실시예 Ⅲ의 경우 실시예 1과 유사한 결과를 얻었다. 이 방법을 사용하면, 카탈라제와 과산화수소 사이의 반응을 억제하는 억제제를 사용할 필요가 없기 때문에 , 고정 카탈라제가 충진된 컬럼이 미리 준비된 경우 실시예 Ⅰ보다 더 간단하게 오퍼레이션 할 수 있다.
실시예 Ⅰ과마찬가지로 실시예 Ⅲ에서도 글루코오스의 농도가 10-4몰/l 이상인 경우에 발광량은 수용액의 발광량 보다 적었다.
이 차이는 이하 기재되는 실시예 Ⅳ에서 보정될 수 있다.
실시예 Ⅳ
0, 2×10-6, 2×10-5, 2×10-4, 2×10-3, 2×10-2, 2×10-1및 2몰/l의 글루코오스를 함유하는 요 용액을 정상적인 요에 글루코오스를 첨가함으로써 제조하였다. 각각의 요 용액을 사용하여 다음 실험을 행하였다.
실시예 Ⅱ의 것과 유사한 강한 염기성 음이온 교환 수지 2ml를 요 용액 ml에 첨가하고, 교반시켰다. 이어서, 상징액을 모으고, 이 상징액에 0.1몰/l의 인산을 함유하는 완충용액 (pH 6.0) 1ml를 첨가하여 pH를 7.0으로 조절하였다. 이어서, 조절된 요 용액 2ml를 실시예 Ⅲ에서 제조한 고정 카탈라제가 충진된 컬럼을 통과시켰다. 여액의 처음 0.5ml는 버리고, 그 다음의 여액을 모았다. 이어서, 이 여액 0.2ml를 물 9.8ml로 희석시켰다.
상기 오퍼레이션에 의해 본질적으로 0, 10-7, 10-6, 10-5, 10-4, 10-3, 10-2, 및 10-1몰/l의 글루코오스를 함유하는 처리된 요 용액를 제조하였다. 이어서, 실시예 Ⅰ에서 제조한 100U/ml의 글루코오스 옥시다제 용액 0.01ml를 각각의 처리된 요 용액에 첨가함으로써 과산화수소를 생성시켰다.
이어서, 실시예 Ⅰ에서 제조한 2×10-7몰/l의 루미놀 용액 0.5ml 및 6×10-3몰/l의 페리시안화칼륨 용액 0.5ml를 각각의 반응용액에 첨가하였다. 페리시안화칼륨 존재하에 루미놀과 과산화수소 사이의 반응에 의한 발광량을 광도계로 측정하였다.
실시예 Ⅳ와 비교하기 위해서 고정 카탈라제 및 음이온 교환수지로 처리하지 않은, 0 및 10-7내지 10-1몰/l의 글루코오스를 함유하는 수용액과 0 및 10-7내지 10-1몰/l의 글루코오스를 함유하는 요 용액을 제조하였다. 이들 용액에 대해서 각각의 반응에 의한 발광량을 실시예 Ⅵ과 유사한 방법으로 측정하였다.
이러한 오퍼레이션 및 그 결과를 제 7도 및 제 8도에 나타냈다.
제 8도로부터 알수 있는 바와 같이, 실시예 Ⅳ의 경우 실시예 Ⅱ와 유사한 결과를 얻었다. 이 방법에 의하면, 실시예 Ⅱ에서 사용한 억제제의 사용없이도 글루코오스의 농도를 정확하게 측정할 수 있다.
실시예 Ⅴ
건강한 사람의 요중의 요산의 양은 본질적으로 0이라고 가정하고 5.9mg/dl의 요산을 함유하는 1차 요 용액을 요에 요산을 첨가함으로써 제조하였다. 이 1차 용액을 사용하여 4가지 요 용액, 즉 1차 용액을 요로 희석하지 않은 것, 1/4로 희석시킨 것, 1/2로 희석시킨 것 및 3/4로 희석시킨 요 용액을 제조하였다.
이어서, 0.1몰/l의 인산을 함유하는 동일 용적의 완충용액을 각각의 요 용액에 첨가하여 각 용액의 pH를 7.0으로 조절하였다. 이어서, 피펫을 사용하여 실시예 I에서 제조한 것과 같은 10,000U/ml의 카탈라제 용액 0.01ml를 각각의 상기 요 용액 1ml에 첨가하여 용액중의 과산화수소가 분해되도록 30℃에서 10분 동안 반응시켰다. 이어서 카탈라제와 과산화수소 사이의 반응을 억제하기 위해 억제제로서 작용하는 1몰/l의 아지드화나트륨을 함유하는 수용액 0.01ml를 피펫을 사용하여 상기 각각의 용액에 첨가하였다. 이어서, 각각의 용액 1용적부에 증류수 99용적부를 첨가하고, 이어서 요산 분해 효소[뵈링거 만하임 코, 엘티디(Boeringer Mangeim Co., Ltd)제품, 50% 글리세린으로써, 비방사능 4.5U/mg(25℃)]를 0.13몰/l의 탄산나트륨(pH 10.2)으로 용해시킴으로써 제조한 요산분해 효소용액 0.01ml를 피펫으로 각각의 희석 용액 1ml에 첨가하고, 30℃에서 10분동안 반응시킴으로써 과산화수소를 생성시켰다.
이 반응은 다음과 같이 나타낼 수 있다.
Figure kpo00002
반응 종료후, 실시예 I에서 제조한 2×10-7몰/l의 루미놀 용액 0.5ml 및 6×10-3몰/l의 페리시안화칼륨 용액 0.5ml를 각각의 용액에 첨가하였다. 각각의 용액에서 페리시안화칼륨 존재하에 루미놀과 과산화수소 사이의 반응에 의한 발광량을 광도계로 측정하였다.
대조용으로서, 5,10 및 14mg/dl의 요산을 함유하는 수용액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Ⅴ와 유사한 방법으로 각각의 반응에 의한 발광량을 측정하였다.
제9도는 상기 오퍼레이션 공정도를 나타내고, 제 10도는 수용액중의 요산 농도와 효소 반응에 의한 발광량 사이의 관계를 나타내는 검정선이고, 제11도는 요 용액중의 요산 농도와 효소 반응에 의한 발광량 사이의 관계를 나타낸다.
제11도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실시예 Ⅴ의 경우에 광량은 요산 농도에비례한다. 이 결과는 제10도에 나타낸 수용액의 결과와 일치한다. 따라서 낮은 농도의 요산도 본 발명의 방법을 사용하여 정확하게 측정할 수 있음을 나타낸다.
실시예 6
5.9mg/dl의 요산을 함유하는 1차 요 용액을 요에 요산을 첨가함으로써 제조하였다. 이 1차 용액을 사용하여 4가지 요 용액, 즉 1차 요 용액을 요로 희석하지 않은 것, 1/4로 희석시킨 것, 1/2로 희석시킨 것 및 3/4 로 희석시킨 요 용액을 제조하였다.
이어서, 0.1몰/l의 인산을 함유하는 동일 용적의 완충용액을 각각의 요 용액에 첨가하고, 각각의 용액의 pH를 7.0으로 조절하였다. 이어서, 각각의 이들 용액 2ml를 실시예 Ⅲ에서 제조한 고정 카탈라제가 충진된 컬럼을 통과시켰다. 각각의 여액 1용적부에 증류수 99용적부를 첨가하였다. 이어서, 피펫을 사용하여 실시예 Ⅴ에서 제조한 요산 분해 용액 0.01ml를 각각의 여액 1ml에 첨가하고, 이들을 30℃에서 10분 동안 반응시킴으로서 과산화수소를 생성시켰다.
반응종료후, 실시예 I에서 제조한 2×10-7몰/l의 루미놀 용액 0.5ml 및 6×10-3몰/l의 페리시안화칼륨용액 0.5ml를 각각의 용액에 첨가하였다. 각각의 용액에서 페리사안화칼륨 존재하에 루미놀과 과산화수소 사이의 반응에 의한 발광량을 광도계로 측정하였다.
대조용으로서, 5,10 및 14mg/dl의 요산을 함유하는 수용액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Ⅵ과 유사한 방법으로 이들 용액에 있어서의 각각의 반응에 의한 발광량을 측정하였다.
제 12도는 상기 오퍼레이션 공정도를 나타내고, 제 13도는 수용액중의 요산 농도와 효소 반응에 의한 발광량 사이의 관계를 나타내는 검정선이고, 제 13도는 요 용액중의 요산 농도와 효소 반응에 의한 발광량의 사이의 관계를 나타낸다.
제12도 및 제 13도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실시예 Ⅵ의 경우 실시예 Ⅴ와 유사한 결과를 얻었다. 이방법에 의하면, 카탈라제와 과산화수소 사이의 반응을 억제하는 억제제를 사용할 필요가 없기 때문에, 고정카탈라제가 충진된 컬럼이 미리 준비되는 경우 오퍼레이션을 실시예 Ⅴ보다 더 단순화 할 수 있다.
실시예 Ⅶ
0, 2×10-7,2×10-6, 2×10-5, 2×10-4, 2×10-3및 2×10-2몰/l의 폴리아민을 함유하는 요 용액을 건강한 사람의 요에 폴리아민을 첨가함으로써 제조하였다. 각각의 요 용액을 사용하여 다음 실험을 행하였다.
실시예 Ⅱ의 것과 유사한 강한 염기성 음이온 교환 수지 2ml를 요 용액 2ml에 첨가하고, 교반시켰다. 이어서, 상징액을 모으고, 0.4몰/l의 트리스(히드록시메틸)아미노메탄 및 염산을 함유하는 완충용액(pH8.0)(이하트리스-염산용액이라 약칭함) 1ml 및 0.1몰/l의 인산을 함유하는 완충용액(pH 7.2)중에 용해시킨 데아세틸라제[아실폴리아민아미도하이드롤라제, 도꾸야마 소다 코, 엘티디.(Tokuyama Soda Co., Ltd) 제품]로 되는 데아세틸라제 용액 1ml를 상징액에 첨가하였다. 용액을 교반시키고, 37℃, 수욕조 중에서 1시간 동안 정치시켰다.
용액을 수욕조로부터 꺼낸 후, 0.5몰/l의 인산을 함유하는 완충용액(pH 5.9) 1ml를 용액 3ml에 첨가하고, 용액의 pH를 7.0으로 조절하였다. 이어서, 실시예 I에서 제조한 10,000U/ml의 카탈라제 0.01ml를 조절된 용액에 첨가하고, 수욕조에서 30℃로 10분 동안 가온하였다.
상기 용액을 수용조중에서 꺼낸 후, 실시예 I과 유사한 1몰/l의 아지드화나트륨을 함유하는 수용액 0.01ml를 첨가하여 카탈라제와 과산화수소 사이의 반응을 억제시켰다. 이어서, 이 용액 0.4ml를 물 0.6ml로 희석시켰다.
상기 오퍼레이션에 의해 , 본질적으로 0, 10-8, 10-7, 10-6, 10-5, 10-4및 10-3몰/l의의 폴리아민을 함유하는 처리된 요 용액을 제조하였다. 이어서 푸트레신 옥시다제(두꾸야마 소다 코. 엘티디. 제품)를 0.1몰/l의 트리스(히드록시메틸) 아미노메탄 및 염산을 함유하는 완충용액에 용해시켜서 제조한 10U/ml의 푸트레신 옥시다제 용액 0.02ml를 처리된 각각의 요 용액에 첨가함으로써 과산화수소를 생성시켰다.
이어서, 실시예 Ⅰ에서 제조한 2×10-7몰/l의 루미놀 용액 0.5ml 및 6×10-3몰/l의 페리시안화칼륨 용액 0.5ml를 각각의 용액에 첨가하였다. 각각의 페리사안화칼륨 존재하에서의 루미놀과 과산화수소 사이의 반응에 의한 발광량을 광도계로 측정하였다.
대조용으로서, 카탈라제, 데아세틸라제 및 강한 염기성 음이온 교환수지로 처리하지 않은, 0 및 10-8내지 10-3몰/l의 폴리아민을 함유하는 수용액과 0 및 10-8내지 10-3몰/l의 폴리아민을 함유하는 요 용액을 제조하였다. 각각의 반응물 중에서 반응에 의한 발광량을 실시예 Ⅶ과 유사한 방법으로 측정하였다.
이러한 오퍼레이션 및 그 결과를 제 15도 및 제16도에 나타났다.
제 16도에 나타난 바와 같이,카탈라제, 데아세틸라제 및 강한 염기성 음이온 교환 수지로 처리하지 않은 요 용액의 경우 1차 요 용액에 함유된 과산화수소 대 폴리아민과 푸트레신 옥시다제 사이의 반응에 의해 생성된 과산화수소의 비는 폴리아민의 농도가 비교적 낮을 때, 즉 10-5몰/l일 때 비교적 높다. 그 결과 총 발광량은 효소 반응에 의해 생성된 과산화수소에 의한 발광량보다 훨씬 더 크다. 즉 폴리아민의 농도가 10-5몰/l미만일 경우 백그라운드광이 측정값에 큰 영향을 미친다. 한편, 실시예 Ⅶ의 경우 백그라운드 광은 폴리아민 농도가 낮은 경우, 예를 들면 약 10-8몰/l일 경우에도 폴리아민 농도를 정확히 측정할 수 있음을 발견하였다.
실시예 Ⅷ
0, 2.5×10-7, 2.5×10-6, 2.5×10-5, 2.5×10-4, 2.5×10-3및 2.5×10-2몰/l의 폴리아민을 함유하는 요 용액을 건강한 사람의 요에 폴리아민을 첨가함으로써 제조하였다. 각각의 요 용액을 사용하여 다음 실험을 행하였다.
실시예 Ⅶ에서 제조한 0.4몰/l의 트리스-염산 용액 1ml 및 데아세틸라제 용액 1ml에 첨가하고 , 교반시켰다. 이어서, 혼합물을 37℃, 수욕조 중에서 1시간 동안 정치시켰다.
혼합물을 수욕조에서 꺼낸 후, 실시예 Ⅱ와 유사한 강한 염기성 음이온 교환수지 2ml를 탈아세틸화된 요 3ml에 첨가하고, 교반시켰다. 이어서, 상징액을 모으고 0.5몰/l의 인산을 함유하는 완충용액(pH 5.9) 1ml를 상징액 1ml에 첨가하여 상징액의 pH를 7.0으로 조절하였다.
이 용액을 실시예 Ⅲ에서 제조한 고정 카탈라제가 충진된 컬럼을 통과시켜 여액의 처음 0.5ml는 버리고, 그 다음의 여액을 모았다. 이어서, 이 여액 0.4ml를 물 0.6ml로 희석시켰다.
상기 오퍼레이션에 의해 본질적으로 0, 10-8, 10-7, 10-6, 10-5, 10-4및 10-3의 폴리아민을 함유하는 처리된 요 용액을 제조하였다. 이어서 실시예 Ⅷ에서 제조한 10U/ml의 푸트레신 옥시다제 용액 0.02ml를 처리된 각각의 용액에 첨가함으로써 과산화수소를 생성시켰다.
이어서, 실시예 I에서 제조한 2×10-7몰/l의 루미놀 용액 0.5ml 및 6×10-3몰/l의 페리시안화칼륨 용액 0.5ml를 상기 용액에 첨가하였다. 페리시안화칼륨 존재하에 루미놀과 과산화수소 사이의 반응에 의한 발광량을 광도계로 측정하였다.
대조용으로서, 카탈라제, 데아세틸라제 및 강한 염기성 음이온 교환수지로 처리하지 않은, 0 및 10-8내지 10-3몰/l의 폴리아민을 함유하는 수용액과 0 및 10-8내지 10-3몰/l의 폴리아민을 함유하는 요 용액을 제조하였다. 각각의 용액에 있어서의 반응에 의한 발광량을 실시예 Ⅷ과 유사한 방법으로 측정하였다.
이러한 오펴레이션 및 그 결과를 제17도 및 제 18도에 나타냈다.
제 18도에 나타난 바와 같이, 실시예 Ⅷ의 경우 실시예 Ⅶ의 결과와 유사한 결과를 얻었다. 이 방법에 의하면, 카탈라제와 과산화수소 사이의 반응을 억제하기 위한 억제제를 사용할 필요가 없기 때문에, 고정 카탈라제가 충진된 컬럼이 미리 준비되는 경우 오퍼레이션을 보다 단순화할 수 있다.

Claims (22)

  1. 체액을 준비하는 단계, 체액을 체액중에 원래 존재하는 과산화수소를 분해시키기 위해 카탈라제와 혼합하는 단계, 상기 카탈라제와 상기 원래 존재하는 과산화수소 사이의 반응을 억제하는 억제제를 카탈라제와 체액의 혼합물에 첨가하는 단계, 과산화수소를 생성시키기 위해 체액중의 성분과 선택적으로 반응하는 옥시다제로 상기 혼합물을 처리하는 단계, 상기 옥시다제와 상기 성분 사이의 반응에 의해 생성된 과산화수소의 농도를 측정하는 단계, 및 상기 측정된 과산화수소의 농도로부터 상기 성분의 농도를 결정하는 단계로 이루어지는 , 체액중에 함유되어 있고 과산화수소를 생성하기 위해 옥시다제와 선택적으로 반응하는 성분의 농도 측정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추가로 상기 체액을 음이논 교환수지로 처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음이온 교환 수지가 강한 염기성 음이온 교환 수지인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억제제가 아지드화 나트륨, 시안화수소, 황화수소, 수산화암모늄 및 3-아미노-1,2,4-트리아졸로 되는 군 중에서 선택되는 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체액이 요, 혈액, 혈청, 혈장, 타액 및 위액으로 되는 군 중에서 선택되는 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성분이 글루코오스, 요산 및 폴리아민으로 되는 군 중에서 선택되는 방법.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성분이 글루코오스이고, 상기 옥시다제가 글루코오스 옥시다제인 방법.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성분이 요산이고, 상기 옥시다제가 요산분해 효소(uricase)인 방법.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성분이 폴리아민이고, 상기 옥시다제가 푸트레신 옥시다제인 방법.
  10. 제9항에 있어서, 추가로 상기 체액을 체액중에 함유되어 있는 아세틸폴리아민을 폴리아민으로 전환시키기 위해 데아세틸라제로 처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데아세틸라제가 아실폴리아민아미도하이드롤라제인 벙법.
  12. 체액을 준비하는 단계, 상기 체액을 조정 카탈라제와 접촉시켜 체액중에 원래 존재하는 과산화수소를 분해시키는 단계, 과산화수소를 생성시키기 위해 체액중의 성분과 선택적으로 반응하는 옥시다제로 상기 체액을 처리하는 단계, 상기 옥시다제와 상기 성분 사이의 반응에 의해 생성된 과산화수소의 농도를 측정하는 단계, 및 상기 측정된 과산화수소의 농도로부터 상기 성분의 농도를 결정하는 단계로 이루어지는, 체액중에 함유되어 있고 과산화수소를 생성하기 위해 옥시다제와 선택적으로 반응하는 성분의 농도 측정 방법.
  13. 제12항에 있어서, 추가로 상기 체액을 음이온 교환수지로 처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음이온 교환 수지가 강한 염기성 음이온 교환 수지인 방법.
  15.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체액이 요, 혈액, 혈청, 혈장, 타액 및 위액으로 되는 군 중에서 선택되는 방법.
  16.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성분이 글루코오스, 요산 및 폴리아민으로 되는 군 중에서 선택되는 방법.
  17.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성분이 글루코오스이고, 상기 옥시다제가 글루코오스 옥시다제인 방법.
  18.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성분이 요산이고, 상기 옥시다제가 요산분해 효소인 방법.
  19.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성분이 폴리아민이고, 상기 옥시다제가 푸트레신 옥시다제인 방법.
  20. 제19항에 항에 있어서, 추가로 상기 체액을 체액중에 함유되어 있는 아세틸폴리아민을 폴리아민으로 전환시키기 위해 데아세틸라제로 처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21.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데아세틸라제가 아실폴리아민아미도하이드롤라제인 방법.
  22. 체액을 준비하는 단계, 상기 체액을 체액중에 원래 존재하는 과산화수소를 분해시키기 위해 과산화수소를 분해하는 효소로 처리하는 단계, 과산화수소를 생성시키기 위해 체액중의 성분과 선택적으로 반응하는 옥시다제로 상기 체액을 처리하는 단계, 상기 옥시다제와 상기 성분 사이의 반응에 의해 생성된 과산화수소의 농도를 측정하는 단계, 및 상기 측정된 과산화수소의 농도로부터 상기 성분의 농도를 결정하는 단계로 이루어지는, 체액중에 함유되어 있고 과산화수소를 생성하기 위해 옥시다제와 선택적으로 반응하는 성분의 농도 측정 방법.
KR1019880006022A 1987-05-22 1988-05-21 체액중의 성분 농도 측정방법 KR97000181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62-123957 1987-05-22
JP12395287 1987-05-22
JP62-123952 1987-05-22
JP12395787 1987-05-22
JP12395487 1987-05-22
JP62-123954 1987-05-22
JP62-125024 1987-05-23
JP62-125025 1987-05-23
JP12502587 1987-05-23
JP12502487 1987-05-23
JP62-125689 1987-05-25
JP12568987 1987-05-25
JP62-220399 1987-09-04
JP22040087 1987-09-04
JP22039987 1987-09-04
JP62-220400 1987-09-04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80014371A KR880014371A (ko) 1988-12-23
KR970001814B1 true KR970001814B1 (ko) 1997-02-15

Family

ID=2757309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80006022A KR970001814B1 (ko) 1987-05-22 1988-05-21 체액중의 성분 농도 측정방법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5055398A (ko)
EP (1) EP0292019B1 (ko)
JP (1) JP2646656B2 (ko)
KR (1) KR970001814B1 (ko)
DE (1) DE3851363T2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385220B2 (en) 2017-06-14 2022-07-12 Chungdo Pharm. Co., Ltd Methods for measuring oxidative stress in human body fluids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0626015B1 (en) * 1992-01-31 1997-04-09 Actimed Laboratories, Inc. Inhibition of catalase activity in biological fluids
JP3279362B2 (ja) * 1992-10-05 2002-04-30 井上 聰一 糖尿病判定方法及び糖尿病判定装置
JP5448317B2 (ja) * 2007-09-12 2014-03-19 デンカ生研株式会社 アジ化物によるカタラーゼの阻害に起因する測定誤差の低減方法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NL134608C (ko) * 1963-06-17
DE2526558C2 (de) * 1975-06-13 1984-11-29 Boehringer Mannheim Gmbh, 6800 Mannheim Verfahren zur enzymatischen Analyse
US4172765A (en) * 1977-09-14 1979-10-30 Technicon Instruments Corporation Method for the quantitative determination of alpha-amylase
JPS5460996A (en) * 1977-10-22 1979-05-16 Mitsubishi Chem Ind Method of measuring amount of sugar
US4242446A (en) * 1978-07-26 1980-12-30 Coulter Electronics, Inc. Method for determining a substance in a biological fluid and reagent combination for use in the method
DE2907628C2 (de) * 1979-02-27 1981-02-05 C.A. Greiner Und Soehne Gmbh & Co Kg, 7440 Nuertingen Proberöhrchen für die Untersuchung von Proben im klinischen Bereich, insbesondere von Urinproben
DE2914487A1 (de) * 1979-04-10 1980-10-30 Boehringer Mannheim Gmbh Verfahren und mittel zur entfernung von ascorbinsaeure aus waessrigen fluessigkeiten
JPS5783287A (en) * 1980-11-14 1982-05-25 Kyowa Hakko Kogyo Co Ltd Elimination of hydrogen peroxide
JPS5948097A (ja) * 1982-09-14 1984-03-19 Amano Pharmaceut Co Ltd ポリアミン及びアセチルポリアミンの分別定量方法
JPS60251899A (ja) * 1984-05-29 1985-12-12 Kyoto Daiichi Kagaku:Kk 総ポリアミンの定量方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385220B2 (en) 2017-06-14 2022-07-12 Chungdo Pharm. Co., Ltd Methods for measuring oxidative stress in human body fluid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H01157399A (ja) 1989-06-20
KR880014371A (ko) 1988-12-23
EP0292019A2 (en) 1988-11-23
JP2646656B2 (ja) 1997-08-27
EP0292019B1 (en) 1994-09-07
DE3851363D1 (de) 1994-10-13
US5055398A (en) 1991-10-08
EP0292019A3 (en) 1989-10-11
DE3851363T2 (de) 1995-01-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Fossati et al. Enzymic creatinine assay: a new colorimetric method based on hydrogen peroxide measurement.
Matsubara et al. Spectrophotometric determination of hydrogen peroxide with titanium 2-((5-bromopyridyl) azo)-5-(N-propyl-N-sulfopropylamino) phenol reagent and its application to the determination of serum glucose using glucose oxidase
Fukumura et al. Fully enzymatic method for determining 1, 5-anhydro-D-glucitol in serum
EP0496730B1 (en) Method and reagent for determination of an analyte via enzymatic means using a ferricyanide/ferric compound system
EP0575515B1 (en) Stabilization of enzyme containing reagent composition for determination of an analyte
EP0681611B1 (en) Compositions useful in anaerobic determination of analytes
KR970001814B1 (ko) 체액중의 성분 농도 측정방법
EP0586397B1 (en) Improved method and reagent for determination of an analyte
Romano Automated Glucose Methods: Evaluation of a Glucose Oxidase—Peroxidase Procedure
Kamoun et al. Ultramicromethod for determination of plasma uric acid.
Tabata et al. A chemiluminescence-flow injection analysis of serum 3-hydroxybutyrate using a bioreactor consisting of 3-hydroxybutyrate dehydrogenase and NADH oxidase
JP2761768B2 (ja) Nadhの定量法及びそれを用いた胆汁酸の定量法
JP3428073B2 (ja) 1,5−アンヒドログルシトールの定量法
JPS59159798A (ja) 生体体液成分の測定法
JP3415873B2 (ja) 1,5−アンヒドログルシトールの定量法
JP3402487B2 (ja) 1,5−アンヒドログルシトールの定量法
EP0138530A2 (en) Method for the estimation of salicylates or reduced Pyridine nucleotides
JP3287879B2 (ja) 1,5−アンヒドログルシトールの定量法
JPH06237795A (ja) 1,5−アンヒドログルシトールの定量法
JPH06237794A (ja) 1,5−アンヒドログルシトールの定量法
JPH07108239B2 (ja) ピルビン酸の定量方法及び該方法を利用する生体成分の定量方法
JPH03202770A (ja) フルクトサミンの測定法
Kiang et al. An immobilized hexokinase enzyme stirrer for a simple and economical assay of plasma glucose
JPS61237060A (ja) 化学発光法による生体成分の定量法
JPH01296999A (ja) 生体試料の測定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0111

Year of fee payment: 12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