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70001734Y1 - 난방용 배관 패널 - Google Patents

난방용 배관 패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70001734Y1
KR970001734Y1 KR2019930021383U KR930021383U KR970001734Y1 KR 970001734 Y1 KR970001734 Y1 KR 970001734Y1 KR 2019930021383 U KR2019930021383 U KR 2019930021383U KR 930021383 U KR930021383 U KR 930021383U KR 970001734 Y1 KR970001734 Y1 KR 970001734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nel
assembling
assembly
heating
floor hea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3002138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50012160U (ko
Inventor
진금수
Original Assignee
진금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진금수 filed Critical 진금수
Priority to KR2019930021383U priority Critical patent/KR970001734Y1/ko
Publication of KR950012160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50012160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7000173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01734Y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DDOMESTIC- OR SPACE-HEATING SYSTEMS, e.g. CENTRAL HEATING SYSTEMS; DOMESTIC HOT-WATER SUPPLY SYSTEMS; ELEMENTS OR COMPONENTS THEREFOR
    • F24D3/00Hot-water central heating systems
    • F24D3/12Tube and panel arrangements for ceiling, wall, or underfloor heating
    • F24D3/122Details
    • F24D3/127Mechanical connections between panel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5/00Flooring
    • E04F15/02Flooring or floor layers composed of a number of similar elements
    • E04F15/02038Flooring or floor layers composed of a number of similar elements characterised by tongue and groove connections between neighbouring flooring eleme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DDOMESTIC- OR SPACE-HEATING SYSTEMS, e.g. CENTRAL HEATING SYSTEMS; DOMESTIC HOT-WATER SUPPLY SYSTEMS; ELEMENTS OR COMPONENTS THEREFOR
    • F24D19/00Details
    • F24D19/02Arrangement of mountings or supports for radiators
    • F24D19/0203Types of supporting means
    • F24D19/0213Floor mounted supporting mea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DDOMESTIC- OR SPACE-HEATING SYSTEMS, e.g. CENTRAL HEATING SYSTEMS; DOMESTIC HOT-WATER SUPPLY SYSTEMS; ELEMENTS OR COMPONENTS THEREFOR
    • F24D19/00Details
    • F24D19/02Arrangement of mountings or supports for radiators
    • F24D19/024Functioning details of supporting means for radiators
    • F24D19/0246Means for moving the radiator vertically to adjust the radiator position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2290/00Specially adapted covering, lining or flooring ele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E04F2290/02Specially adapted covering, lining or flooring ele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accommodating service installations or utility lines, e.g. heating conduits, electrical lines, lighting devices or service outlets
    • E04F2290/023Specially adapted covering, lining or flooring ele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accommodating service installations or utility lines, e.g. heating conduits, electrical lines, lighting devices or service outlets for heat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DDOMESTIC- OR SPACE-HEATING SYSTEMS, e.g. CENTRAL HEATING SYSTEMS; DOMESTIC HOT-WATER SUPPLY SYSTEMS; ELEMENTS OR COMPONENTS THEREFOR
    • F24D3/00Hot-water central heating systems
    • F24D3/12Tube and panel arrangements for ceiling, wall, or underfloor heating
    • F24D3/14Tube and panel arrangements for ceiling, wall, or underfloor heating incorporated in a ceiling, wall or floor
    • F24D3/146Tubes specially adapted for underfloor heat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Floor Finish (AREA)

Abstract

내용없음.

Description

난방용 배관 패널
제1도는 종래의 패널을 조립한 상태도.
제2도는 종래 패널의 체결부 확대도.
제3도는 종래 패널을 시공시 지반의 요철 굴곡부에서 밑으로 내려앉는 상태를 보인 단면도.
제4도는 본 고안의 패널의 조립도.
제5도는 본 고안의 패널의 사시도.
제6도는 수평조절을 보인 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패널 2 : 조립돌기
3 : 조립요구 5,6 : 단턱
7,8 : 요입구 9 : 수직구멍
10 : 걸림턱 11 : 높이조절턱
12 : 수평조절구 13 : V형홈
본 고안은 난방용 배관패널에 관한 것으로 굴곡이 심한 바닥면에서도 다수의 패널을 수평상으로 연결 조립할 수 있는 조립구성과 수평조절구성을 특징으로 한 것이다.
본 고안과 유사한 조립구성으로는 본원출원인의 선고안(실용원92-8091)이 알려져 있다.
선 고안은 제1도 에서와 같이 패널(1)의 사방외주면에 역삼각형상의 조립돌기(2)와 조립요구(3)을 대칭형으로 형성하여 끼워맞춤식으로 다수의 패널(1)을 연결조립하도록 구성한 것이다.
이러한 선고안은 다수의 패널을 전후좌우로 연결조립하는 목적에서는 편리하지만, 제3도와 같이 바닥면이 굴곡지거나 깊이 파여져서 수평이 맞지 않는 경우에는 조립돌기(2)가 밑으로 내려가 패녈전체가 내려앉는 문제점이 있다.
대개의 조립식 패널은 기존의 바닥면위에 깔아주는 것이므로 바닥면이 고르지 못한 경우에는 애로가 많은 것이며, 패넉을 시공하기 위해 기존의 바닥면을 철거하고 다시 미장공사를 한다는 것은 많은 시간, 노력, 경비의 소요가 뒤따르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패널을 조립하면서 굴곡부위에만 시멘트몰탈이나 기타충진물을 사용하여 수평화 되게 한후 패널을 조립할 수도 있지만 , 이또한 많은 시간과 노력을 필요로 하는 것이다.
본 고안은 이러한 종래의 문제점은 시정, 보안 하기 위해서 안출한 것이며, 패널의 체결부에 돌출단턱과 요입구를 형성하여 이들의 결합으로 개별적인 유동이 방지되게 하고 각각의 단턱에는 수평유지 장치를 설치하여 바닥면의 조건에 따라 이에 알맞는 수평위치조절이 가능하게 하므로서 조립작업시 빠른 시간내에 수평조절을 행하면서 다수의 패널을 연결조립할 수 있게한 것 바. 이와 같은 본 고안의 구성 및 작용효과를 첨부도면에 의해서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고안에서 패널(1)의 외단에 역삼각형의 조립돌기(2)와 조립요구(3)를 대향되게 설치하고 상면에 배관홈(4)을 형성하는 구성은 공지한 바와같다.
본 고안은 패널(1) 우측단과 후단부의조립요구(3) 설치부하단에 각각 한쌍씩의 단턱(5)(6)을 형성하고 그 반대쪽인 좌측단과 전단부의 조립돌기(2) 설치부하단에는 상기 의 단턱(5)(6)이 삽입될수 있는 한쌍씩의 요입구(7)(8)를 각각 설치하여, 각각 ㄱ자형과 ㄴ자형의 조립구조를 갖게 구성한 것이다.
또한, 단턱(5)(6)에는 한 개 또는 복수개의 수직구명(9)을 형성하여 그 내면에 걸림턱(10)을 갖게하고 수직구멍(9)에는 다수의 높이조절턱(11)을 가진 수평조절구(12)를 끼워서 패널위치를 고정시킬수 있도록 한 것이다.
수평조절구(12)는 그 상단에 V형홈(13)을 형성하여 공구로 회전시킬수 있게 함과 동시에 몸체을 오므려서 삽입할 수 있는 신축성을 갖게 한 것이다.
이와 같은 구성된 본 고안은 제4도의상태처럼 바닥면에 열반사지를 깔아주고 그위에 본 고안의 패널(1)을 배열조립하는바, 먼저 패널(1)을 바닥면에 고정시키면서 수평 상태를 체크하는 것은 필수적이다.
만일 바닥면이 균일한 수평면일 경우에는 패널(1)의 조립돌기(2)와 조립요구(3)를 이용하여 제4도와 같이 연결조립한다.
그러나 제6도와 같이 바닥면이 굴곡이 심하여 패널(1)이 기울어지거나 꿀렁거릴 경우에는 해당부위의 수직구멍(9)에 수평조절구(12)를 끼워서 바닥에 착지되는 위치에서 약간 틀어주면 걸림턱(10)과 높이조절턱(11)의 맞물림 결합으로 패널(1)은 유동없이 수평상으로 고정 될 수 있는 것이다.
이렇게 수평을 맞춰준후 다시 상대쪽 패널을 고정된 패널에 연결조립하는 바, 이때는 고정된 패널의 조립요구(3)에 상대쪽 패널의 조립돌기(2)가 일치하도록 위에서 아래를 향하여 내려맞추는 식으로 조립하며, 이러한 방법으로 다수의 패널을 연결조림하는 것이다.
또한 패널(1)이 전체바닥면에 연결조립된후에 꿀렁거리는 부위가 있을때는 해당부위의 결합공(H)에도 체결털(T)이 형성되어 있으므로 역시 수평조절구(12)를 끼위서 마무리 수평조절작업을 행한다.
따라서 본 고안은 조립돌기(2)와 조립요구(3)을 이용하는 간편한 연결조립구조에 의해서 편리한 조립작업과 견고한 체결력의 효과를 얻을수 있고, 이에 더하어 단턱(5)(6)과 요입구(7)(8)를 이용하는 상하 유동방지 구조는 연결된 조립돌기(2)가 제3도와 같이 굴곡면에서 하향 이탈되는 현상을 방지하고 양쪽패널이 수직상으로만 연결되게 하는 효과를 갖게 하며, 단턱(5)에 형성된 수평조절장치는 패널의 부분적인 수평조절은 물론 전체적인 수평조절이 가능하므로 바닥면이 불규칙한 굴곡면에 패널을 수평상으로 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3)

  1. 패널(1)의 외단에 조립돌기(2)와 조립요구(3)를 형성한 것에 있어서 패널(1)의 조립요구(3) 설치후에 단턱(5)(6)을 형성하고 그 반대쪽인 조립돌기(2) 설치부에는 상기의 단턱이 삽입될수 있는 요입구(7)(8)를 설치하며 단턱(5)(6)에는 걸림턱(10)을 가진 한 개 또는 복수개의 수직구멍(9)을 형성하여 수평조절구(12)에 의해 높낮이를 조절할 수 있게한 난방용 배관 패널.
  2. 제1항에 있어서 단턱(5)(6)의 상면은 조립요구(3) 하단과 일치되는 위치에 형성하여 L형상의 받침부를 이루게한 난방용 배관 패널.
  3. 제 1항에 있어서 수평조절구(12)는 그 상단에 V형홈(13)을 형성하여 몸체를 오므릴 수 있는 신축성을 갖게 하고 외면에 다수의 높이조절턱(11)을 갖게한 난방용 배관패널.
KR2019930021383U 1993-10-18 1993-10-18 난방용 배관 패널 KR970001734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30021383U KR970001734Y1 (ko) 1993-10-18 1993-10-18 난방용 배관 패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30021383U KR970001734Y1 (ko) 1993-10-18 1993-10-18 난방용 배관 패널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50012160U KR950012160U (ko) 1995-05-17
KR970001734Y1 true KR970001734Y1 (ko) 1997-03-15

Family

ID=1936586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30021383U KR970001734Y1 (ko) 1993-10-18 1993-10-18 난방용 배관 패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70001734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210180884A1 (en) * 2019-12-16 2021-06-17 Samsung Electronics Co., Ltd. Heat exchanger module, assembly-type heat exchanger including heat exchanger module, and heat exchanger assembly system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210180884A1 (en) * 2019-12-16 2021-06-17 Samsung Electronics Co., Ltd. Heat exchanger module, assembly-type heat exchanger including heat exchanger module, and heat exchanger assembly system
US11754350B2 (en) * 2019-12-16 2023-09-12 Samsung Electronics Co., Ltd. Heat exchanger module, assembly-type heat exchanger including heat exchanger module, and heat exchanger assembly system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50012160U (ko) 1995-05-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423499A (en) Electrical junction box mounting bracket device and method
US5098046A (en) Electrical junction box mounting bracket device and method
JP5420188B2 (ja) 床及び/又は壁面タイルの組立システム
US6205732B1 (en) Surface mounted grid system
US4982539A (en) Grid girder for raised floors
KR970001734Y1 (ko) 난방용 배관 패널
KR0151867B1 (ko) 판넬의 조립식 설치방법
WO2004005641A1 (en) Surface mounted grid system
KR200279194Y1 (ko) 인방앵글 설치구
KR100750345B1 (ko) 상수도 제수변 맨홀
JP2533504Y2 (ja) 壁面パネルの取り付け構造
KR200349935Y1 (ko) 스틸-폼
JPH0350165Y2 (ko)
KR200366472Y1 (ko) 조립식 벽면용 패널 조립체
KR930001194Y1 (ko) 건축물의 수직대리석 지지구 고정관
JP3280329B2 (ja) 手摺支柱の取付具
KR20050030175A (ko) 천장 마감재 부착용 프레임 설치구조
KR20000074520A (ko) 건물외장용 석판 연결 고정구
JPS6012043Y2 (ja) 根太支持金具
KR101783798B1 (ko) 건축물 천장판넬 설치부재
JPS6346582Y2 (ko)
KR200143184Y1 (ko) 거푸집용 지지장치
KR200260928Y1 (ko) 조립식 천정판의 지지장치
JPS6160947A (ja) タイル打込pc板
JPS6317938Y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30905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