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70001579Y1 - 액정표시소자의 배향막 인쇄기판 구조 - Google Patents

액정표시소자의 배향막 인쇄기판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70001579Y1
KR970001579Y1 KR2019930030997U KR930030997U KR970001579Y1 KR 970001579 Y1 KR970001579 Y1 KR 970001579Y1 KR 2019930030997 U KR2019930030997 U KR 2019930030997U KR 930030997 U KR930030997 U KR 930030997U KR 970001579 Y1 KR970001579 Y1 KR 97000157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lignment film
printed
liquid crystal
crystal display
substr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3003099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50020441U (ko
Inventor
박용욱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구자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구자홍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19930030997U priority Critical patent/KR970001579Y1/ko
Publication of KR950020441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50020441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7000157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01579Y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7Surface-induced orientation of the liquid crystal molecules, e.g. by alignment layers
    • G02F1/13378Surface-induced orientation of the liquid crystal molecules, e.g. by alignment layers by treatment of the surface, e.g. embossing, rubbing or light irradiation
    • G02F1/133784Surface-induced orientation of the liquid crystal molecules, e.g. by alignment layers by treatment of the surface, e.g. embossing, rubbing or light irradiation by rubbing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03Apparatus specially adapted to the manufacture of LCD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Nonlinea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Spectroscopy & Molecular Physics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Liquid Crystal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액정표시소자의 배향막 인쇄기판 구조
제1도는 일반적인 액정표시 소자 구조단면도.
제2도는 종래의 배향막 러빙장치 구조단면도.
제3도는 본 고안의 배향막 인쇄기판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설명도.
제4도는 본 고안의 배향막 인쇄기판에 의해 인쇄된 액정표시소자 구조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유리기판 4 : 배향막
7 : 고무기판 8 : 미세가공홈
9 : 미세홈
본 고안은 액정표소자(Liquid Crystal Display)를 제조하기 위한 장비에 관한 것으로, 특히 배향막을 인쇄하는 배향막 인쇄기판의 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인 액정표시소자는 제1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상하유리기판(1a, 1b)으로 분리되어 상유리기판(1a)에는 공통전극(투명전극, ITO)(3a) 및 칼라필터(도면에는 도시되지 않음)층이 형성되고, 하유리기판(1b)에는 액정구동용 소자인 박막트랜지스터(도면에는 도시되지 않음)와 화소전극(투명전극)(3b)이 형성된다.
이와같이 형성된 상하유리기판(1a, 1b)에 액정을 일방향으로 배향하기 위한 배향막(4)이 형성되고, 상하유리기판(1a, 1b)이 일정공간을 갖도록 합착체(2)에 의해 합착되어 상하유리기판(1a, 1b)사이에 액정이 주입되어 주어진 구조이다.
따라서, 화소전극 및 박막트랜지스터 현상영역에는 필연적으로 단차가 발생하게 된다.
이와같이 단차가 발생하는 구조에는 배향막을 도포하고 러빙(Rubbing)하는 종래의 배향막 인쇄기판구조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2도는 종래의 배향막 러빙장치 구조단면도로써, 상유리기판(1a)에 공통전극(3a) 및 칼라필터층을 형성하고 마찬가지로 하유리기판에 화소전극 및 박막트랜지스터를 형성한다.
이와같이 형성된 유리기판에 스핀코터(spin coater)나 옵셋프린트 방식을 이용하여 배향막(4)을 도포한 후 배향막(4)을 180°- 250℃에서 열처리한다.
그리고 앵정분자들을 일방향으로 정렬시키기 위하여 소정의 각도로 배향막(4)을 러빙하여 배향막을 획득하였다.
이때 공통전극 및 칼라필터나, 화소전극 및 박막트랜지스터를 형성한 기판자체가 평탄화되지 않고 단차가 발생되기 때문에 스핀코터나 옵셋프린트 방식으로 배향막(4)을 인쇄하면, 마찬가지로 공통전극 및 화소전극이 형성된 부분과 형성되지 않는 부분에 단차가 발생하여 평탄화를 얻을 수 있다.
그리고, 인쇄된 배향막(4)에 제2도와 같이 러빙포(6)를 이용하여 러빙포(6)와 배향막(4)의 마찰에 의해 일방향의 V홈(groove)을 형성하는 방법으로 배향막(4)을 러빙하였다.
따라서, 배향막이 평탄하되지 않고 단차가 발생하기 때문에 액정을 주입할때 기포가 발생할 가능성이 있고, 액정분자의 리버스 트위스트(Reverse twist)를 발생시켜 정확한 화상을 표시할 수 없으며, 마찰에 의해 러빙하므로 러빙폭의 이물질이 존재하거나 정전기가 발생하고 V홈의 깊이가 일정하지 않으므로 균일한 색상표시를 얻을 수 없는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이와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평탄한 배향막을 형성함과 동시에 배향막(러빙이 된 상태)을 갖도록 하여 균일한 색상을 표시할 수 있도록 한 배향막 인쇄기판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와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배향막 인쇄기판을 전극 및 구동소자들이 형성되어 단차가 발생된 유리기판에서 오목한 부분에 대응하는 영역은 볼록하도록 하고 볼록한 부분에 대응하는 영역은 오목하도록 인쇄고무기판을 형성하고 상기 인쇄고무기판의 표면은 미세가공한 홈을 일방향으로 일정하게 구성됨을 그 특징으로 한다.
이와같은 본 고안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3도는 본 고안의 배향막 인쇄기판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설명도로써, 제3도(a)와 같이 투명유리기판(1)에 투명전극(3)등을 형성하여 단차가 발생된 기판에 배향막을 인쇄하고자 하는 인쇄기판은 제3도(b)와 같이 형성한다.
즉, 단차가 발생된 기판에서 오목한 부분에 대응하는 인쇄기판은 볼록하게 하고 기판에서 볼록한 부분에 대응하는 인쇄기판은 오목하도록 고무판(7)에 요철을 주어 인쇄기판을 형성하고 인쇄고무기판의 표면부위에는 미세가공된 홈(groove)(8)을 형성한다.
이와같이 형성한 인쇄고무기판을 사용하여 단차가 발생된 유리기판에 배향막을 인쇄하면 제3도(c)와 같이 투명전극 및 구동소자들에 의하여 발생된 단차를 보상하여 평탄한 배향막을 얻을 수 있고, 동시에 요철이 존재하는 고무판의 전표면에 미세가공된 홈(8)이 배향막을 인쇄할 때 배향막(4) 표면에 일방향으로 미세홈(9)을 형성시키므로써, 액정분자를 일방향으로 정렬할 수 있다.
제4도는 본 고안의 배향막 인쇄기판에 대해 배향막을 인쇄한 액정표시소자 구조단면도를 나타낸 것이다.
여기서, 요철부를 갖는 인쇄고무기판 표면에 미세가공한 홈(groove)은 레이저를 이용하여 형성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같은 본 고안의 배향막 인쇄기판에 있어서는 인쇄고무기판을 인쇄하고자 하는 유리가판의 단차를 보상하기 위하여 홈 및 요철을 주었기 때문에 본 고안의 배향막 인쇄기판을 사용하여 배향막을 인쇄하면 평활한 배향막을 인쇄할 수 있어 균일한 표시색상을 구현하고 더불어 해상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인쇄고무기판 표면에 미세가공한 홈을 형성하였기 때문에 배향막이 평할하게 인쇄됨과 동시에 인쇄된 배향막 미세홈(9)이 일방향으로 형성되므로써 러빙 공정이 필요없이 공정이 단순화되고 러빙포와 배향막의 마찰로 인한 정전기 발생을 방지하므로 색상 수율이 향상되고 단가가 감소하는 등의 효과가 있다.

Claims (1)

  1. 전극 및 구동소자들이 형성되어 단차가 발생된 유리기판에서 오목한 부분에 대응하는 영역은 불록하도록 하고 볼록한 부분에 대응하는 영역은 오목하도록 인쇄고무기판을 형성하고 상기 인쇄고무기판의 표면은 미세가공한 홈을 일방향으로 일정하게 형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표시 소자의 배향막 인쇄기판 구조.
KR2019930030997U 1993-12-30 1993-12-30 액정표시소자의 배향막 인쇄기판 구조 KR970001579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30030997U KR970001579Y1 (ko) 1993-12-30 1993-12-30 액정표시소자의 배향막 인쇄기판 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30030997U KR970001579Y1 (ko) 1993-12-30 1993-12-30 액정표시소자의 배향막 인쇄기판 구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50020441U KR950020441U (ko) 1995-07-26
KR970001579Y1 true KR970001579Y1 (ko) 1997-03-14

Family

ID=1937398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30030997U KR970001579Y1 (ko) 1993-12-30 1993-12-30 액정표시소자의 배향막 인쇄기판 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70001579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50020441U (ko) 1995-07-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251878B1 (ko) 액정 표시장치
KR100360355B1 (ko) 액티브매트릭스형액정표시장치
US20010010575A1 (en) Liquid crystal display apparatus
MY114271A (en) Reflection type color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JPH0968721A (ja) 液晶表示素子
US6097463A (en)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KR970001579Y1 (ko) 액정표시소자의 배향막 인쇄기판 구조
KR100813349B1 (ko) 수직 배향 모드 액정표시장치
US20040263738A1 (en) Multi-domain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and method for fabricating the same
KR20050049393A (ko) 액정 장치의 제조 방법, 액정 장치 및 전자 기기
JP3831470B2 (ja) 液晶表示パネル
US6011603A (en) Double super twisted nematic liquid crystal display with improved pre-tilt angles
JPH05323302A (ja) 液晶表示素子用基板
KR100740928B1 (ko) 액정 표시 장치
JPH0291616A (ja) 液晶表示装置
KR940009143B1 (ko) 액정표시소자 및 그 제조방법
KR100471766B1 (ko) 반도체장치의제조장치
KR930002410Y1 (ko) 액정 표시 소자
KR940003343Y1 (ko) 액정표시장치
KR100218415B1 (ko) 액정표시소자 및 그 제조방법
KR100462380B1 (ko) 수직배향모드액정표시장치의러빙방법
JPH0682769A (ja) アクティブマトリックス液晶表示素子
KR19980023048A (ko) 액정표시장치
KR101027866B1 (ko) 액정표시장치
JPH02266327A (ja) 液晶表示パネル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0131

Year of fee payment: 12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