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70001295Y1 - 전전자교환기의 주변기기 인터페이스장치 - Google Patents

전전자교환기의 주변기기 인터페이스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70001295Y1
KR970001295Y1 KR92013484U KR920013484U KR970001295Y1 KR 970001295 Y1 KR970001295 Y1 KR 970001295Y1 KR 92013484 U KR92013484 U KR 92013484U KR 920013484 U KR920013484 U KR 920013484U KR 970001295 Y1 KR970001295 Y1 KR 970001295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gnal
port
serial
external device
transmiss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9201348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40004552U (ko
Inventor
김영석
Original Assignee
정장호
금성정보통신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장호, 금성정보통신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정장호
Priority to KR92013484U priority Critical patent/KR970001295Y1/ko
Publication of KR940004552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40004552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7000129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01295Y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3/00Automatic or semi-automatic exchanges
    • H04M3/22Arrangements for supervision, monitoring or testing
    • H04M3/26Arrangements for supervision, monitoring or testing with means for applying test signals or for measuring
    • H04M3/28Automatic routine testing ; Fault testing; Installation testing; Test methods, test equipment or test arrangements therefo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QSELECTING
    • H04Q1/00Details of selecting apparatus or arrangements
    • H04Q1/18Electrical details
    • H04Q1/20Testing circuits or apparatus; Circuits or apparatus for detecting, indicating, or signalling faults or troubl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03/00Aspects of automatic or semi-automatic exchanges
    • H04M2203/05Aspects of automatic or semi-automatic exchanges related to OAM&P
    • H04M2203/055Aspects of automatic or semi-automatic exchanges related to OAM&P loopback testing

Abstract

내용없음.

Description

전전자교환기의 주변기기 인터페이스장치
제1도는 본 고안에 의한 전전자교환기의 주변기기 인터페이스 장치의 구성도.
제2도는 제1도에 따른 루프 백 시험부의 개략적인 구성도.
제3도는 제1도에 따른 포트블럭의 직렬인터페이스 표준규격에 따른 송·수신 변환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제4도는 제1도에 따른 TX신호 다중회로의 개략적인 구성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 : 포트스위칭 제어부 4 : TX신호 다중회로
6 : 포트블럭 11 : 루프 백 시험부
본 고안은 전전자교환기의 주변기기 액세스에 관한 것으로, 특히 전전자교환기의 운용과 유지보수에 적당하도록 하는 전전자교환기의 주변기기 인터페이스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의 목적은 전전자교환시스템에서 복수개로 구비된 입·출력 장치와 각종 주변기기로의 데이타 송·수신시 각종 주변기기와 인터페이스 하는 포트를 통한 각 채널의 이상유무를 파악하여 신뢰성 있는 전송시스템을 구현하기 우한 전전자교환기의 주변기기 인터페이스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외부장치로 부터의 채널선택신호를 제공받아 송신채널을 선택하고 TX신호의 운용모드를 제어하는 포트스위칭제어부와, 외부장치로 부터의 직렬데이타 송신신호를 입력으로 하고 포트 스위칭 제어부의 제어신호에 의해 복수의 직렬포트를 입의로 선택하는 TX신호 다중회로와, 외부장치로 부터의 직렬데이타 수신신호를 해당포트의 직렬 인터페이스 표준규격으로 변환시키는 포트블럭과, TX신호 다중회로를 감시하여 복수 포트의 이상유무를 감시하기 위한 루프 백시험부와, 인가되는 외부전원을 소정의 전원값으로 변환하여 각 회로부에 공급하기 위한 DC/DC 전원변환기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제1도는 본 고안에 의한 전전자교환기의 주변기기 인터페이스 장치의 구성을 보이는 블럭도이다. 제1도에서 포트 스위칭 제어로직(2)은 I/O 보드 등과 같은 외부장치로 부터 채널 선택번호(1)를 제공받아 송신채널(TXA, TXB)을 선택하고, TX 신호 다중회로(4)를 액티브/스탠바이(Active/Standby)모드로 제어하여 TX신호 다중회로(4)가 액티브로 운영될때 자동으로 단말기 등의 주변기기로 서비스를 가능하게 한다. TX신호 다중회로(4)는 외부장치로 부터 직렬데이타를 제공받아 10채널 직렬포트를 임의로 선택 가능토록 하는 송신신호를 제공한다. 루프백 시험부(11)는 TX 신호 다중회로(4)를 제어하여 10채널 직렬포트의 이상유무와 외부장치로 부터의 정보전송의 결함을 파악하기 위한 테스트 기능을 갖추고 있다.
루프백 시험 신호가 선택되면 TX선로(8)를 통하여 출력되는 포트블럭(6)의 각 해당포트로의 시험신호가 루프백 시험부(11)로 루프백되어 루프백시험부(11)에서 선로의 이상유무와 신호전송의 이상유무를 확인한다.
포트블럭(6)은 RS232C와 RS422B 표준규격에 준하는 최고 10채널 포트를 구비하고, 입·출력보드 등으로 부터의 TTL레벨 전기적 신호를 해당포트의 표준규격에 준하는 송·수신 레벨로 변환시킨다. 포트블럭(6)은 DTE(데이타 단말장치), DCE(데이타 통신장비) 모드의 선택이 가능하며 모뎀, 터미널, 프린터 등의 주변기기와 다양하게 접속할 수 있는 포트를 제공하여 준다.
DC/DC전원변환기(12)는 외부전원 DC-48V를 단일전원 +5V로 변환공급하는 장치를 갖추고 있어 전원전압의 안정화와 전원의 이상유무를 파악하기 위해 전원경보 표시신호(13)를 구비하고 있다.
제1도에서 외부장치로부터 입력된 채널선택신호(1)에 따라 포트 스위칭 제어부(1)에서는 송신채널을 선택하고, TX신호 다중회로(4)는 포트스위칭 제어부(2)의 제어에 따라 액티브 또는 스탠바이 모드로 운용되며 액티브 모드일시 포트스위칭 제어부(2)에서 선택된 소정채널을 통하여 외부장치로 부터의 직렬데이타 송신출력을 신호를 인식하여 복수개의 포트를 구비한 포트블럭(6)으로 직렬데이타를 송신하다. 외부장치로부터 송신출력된 복수의 직렬 데이타 송신 출력신호는 TX신호다중회로(4)에서 다중화 출력되며 이 직렬데이타는 TTL레벨신호이므로 포트블럭(6)에서 외부장치로 부터의 제어신호(10)를 입력으로 하여 다양한 정보의 TTL레벨신호를 포트블럭(6)에서 RS-232C 또는 RS422B의 표준규격에 준하는 송수신 신호레벨로 변환시켜 외부장치로 부터의 직렬데이타 입력을 원거리까지 전송케 한다.
제2도는 제1도에 의한 루프 백 시험부(11)의 기능을 설명하기 위한 블럭도로서 디코더/디멀티플렉서(31) 의 LTEST 신호에 의하여 루프백 신호(LBø∼LB2)를 선택하여 디멀티플렉싱하고 8개의 포트를 통하여 LBNø∼LBN7까지의 루프 백 신호를 출력한다. 8개의 포트 각각에는 버퍼(32) 연결되어 있으며 해당포트의 송신데이타가 수신데이타로 루프백 된다.
제3도(a) ∼ (b)는 제1도에 따른 포트블럭(6)으로 전송되는 TTL 레벨 신호를 RS-232C 또는 RS-422B의 표준규격 데이타로 변환하기 위한 포트블럭(6)의 직렬데이타 송·수신 변환관계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제3도(a)의 포트블럭의 RS-232C기능은 TXD(송신데이타) 전송드라이버와 RXD(수신데이타) 전송리시버로 구성되어 있으며 외부장치에서 입력되는 다수정보의 직렬 데이타 즉 TTL 레벨의 신호를 RS-232C 표준규격의 데이타로 변환해 준다. 제3도 (b)의 포트블럭(포트4~포트7)은 RS-232C와 RS-422B 2가지 기능을 복합하여 구성되어 있으며 외부장치에서 입력되는 다수정보의 직렬데이타 즉 TTL 레벨의 신호를 RS-232C와 RS-422B 표준규격의 데이타로 변환해 준다.
제4도는 TX 다중회로의 간략한 세부구성을 보이고 있다. 외부장치로 부터의 채널선택신호(S1, S2)를 셀렉터 입력으로 하여 송신채널(TXA, TXB)을 선택하고 A,B채널의 기능 즉 액티브 또는 스탠바이로의 기능을 조절하는 스위칭 역할을 한다. 즉, 제4도에서 A채널에 대한 송신 데이타 신호 TXAψ, TXA1와, B채널에 대한 송신데이타 신호 TXBø,TXB1를 셀렉터/멀티플랙서의 입력으로 하여 TX 다중회로를 동작시키고, TXø.TX1 신호를 출력하고 데이타 단말준비신호(DTR) 및 송신요구신호(RTS)등의 제어신호를 출력한다.
제4도의 TX신호 다중회로를 동작시키는 신호는 제1도의 '3' 신호선이며 설명한 바와 같이 TXA,TXB둘 중의 한 채널을 선택하여 주는 기능을 부가하고 있다. 포트블럭(6)은 TX다중회로(4)로 부터의 직렬데이타 송신출력신호(TX신호 : 5)를 수신하고 직렬데이타 수신입력신호(RX신호)및 각종 제어신호를 입력으로 하여 해당포트의 TTL 레벨신호를 RS-232C 또는 RS-422B의 직렬인터페이스 표준규격으로 변환시켜 입·출력 인터페이스부를 통하여 단말기, 프린터, 모뎀, PC 등의 주변기기로 데이타 송출한다.

Claims (3)

  1. 외부창치로 부터의 채널 선택신호(1)를 입력으로 하여 송신 채널(TXA,TXB)을 선택하고 송신신호의 운용모드를 제어하기 위한 포트 스의칭 제어부(2)와, 외부장치로 부터의 직렬데이타 송신신호를 제공받고 포트 스위칭 제어부(2)의 제어에 따라 복수의 직렬포트를 입의로 선택하는 TX신호 다중회로(4)와, 외부장치로 부터의 직렬데이타 수신신호를 해당포트의 직렬 인터페이스 표준 규격으로 변환시키는 포트블럭(6)과, TX신호 다중회로(4)를 감시하여 복수포트의 이상유무를 감지하기 위한 루프백 시험부(11)와, 인가되는 외부전원을 소정의 DC전원값으로 변환하여 각 회로부에 공급하기 위한 DC/DC 전원 변환기(12)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전자교환기의 주변기기 인터페이스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포트블럭(6)은 복수개의 직렬포트를 구비하여 외부장치로 부터의 TTL 레벨신호를 RS-232C와 RS-422B의 직렬 인터페이스 표준규격에 준하는 송·수신 신호레벨로 변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전자교환기의 주변기기 인터페이스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DC/DC 전원변환기(12)는 공급전원에 이상이 발생했을 경우 알람표시 기능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전자교환기의 주변기기 인터페이스 장치.
KR92013484U 1992-07-21 1992-07-21 전전자교환기의 주변기기 인터페이스장치 KR970001295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92013484U KR970001295Y1 (ko) 1992-07-21 1992-07-21 전전자교환기의 주변기기 인터페이스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92013484U KR970001295Y1 (ko) 1992-07-21 1992-07-21 전전자교환기의 주변기기 인터페이스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40004552U KR940004552U (ko) 1994-02-24
KR970001295Y1 true KR970001295Y1 (ko) 1997-02-22

Family

ID=1933709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92013484U KR970001295Y1 (ko) 1992-07-21 1992-07-21 전전자교환기의 주변기기 인터페이스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70001295Y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77117B1 (ko) * 2022-03-30 2023-09-08 김태훈 회전식 채칼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40004552U (ko) 1994-02-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2528392C (en) Multi-functional port
KR100463783B1 (ko) 통합 로컬 정보 전송 기능을 갖는 미디어 변환기 및 장애경보 신호 전송 시스템
KR930009857B1 (ko) 송신 및 수신 경로를 상호 접속하는 채널 장치
KR970001295Y1 (ko) 전전자교환기의 주변기기 인터페이스장치
CA2012529C (en) Fiber optic data link system
US4835766A (en) Monitoring system capable of monitoring a sequence of digital signals flowing through a subscriber line
JPS61228799A (ja) 信号チヤネル通信方式
KR100202977B1 (ko) 이중화 보드와 백보드상의 코넥터간 정합장치
CN112449148A (zh) 摄像机、摄像机系统及数据传输系统
KR100202993B1 (ko) 통신포트와 백보드상의 코넥터간 정합장치
KR100216070B1 (ko) 종합정보통신망 기능을 수행하는 가입자 전송장치
KR910006678B1 (ko) 데이타 통신용 인터페이스회로
KR0183924B1 (ko) 데이터 채널 루프백 시험장치
KR100342490B1 (ko) 통신시스템의 링크 다중화 장치 및 방법
KR100299137B1 (ko) 통신시스템의 서킷 에뮬레이션 장치
KR100267119B1 (ko) 키폰 시스템을 이용한 프린터 공유 접속장치
KR950000970B1 (ko) 공통선 신호방식 메세지전달부의 레벨 3기능 구현을 위한 b-버스 입출력보드
JP2841436B2 (ja) 通信機能自己診断装置
KR200283044Y1 (ko) 교환기 가입자 보드의 직렬 데이터 통신 장치
KR0147506B1 (ko) 개선된 멀티플랙서/디멀티플랙서
KR930009628B1 (ko) 제어메모리 및 유지보수회로
JP2956391B2 (ja) 光加入者伝送装置の加入者線インタフェース部
KR920005136B1 (ko) Cept 중계선 정합 보드 어셈블리
KR920007077B1 (ko) T1 중계선 정합 보드 어셈블리
KR100277476B1 (ko) 사설 교환기의 국선 보드 자기 진단장치 및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