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70001168B1 - 자기 진단 조정 장치 - Google Patents

자기 진단 조정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70001168B1
KR970001168B1 KR1019930000320A KR930000320A KR970001168B1 KR 970001168 B1 KR970001168 B1 KR 970001168B1 KR 1019930000320 A KR1019930000320 A KR 1019930000320A KR 930000320 A KR930000320 A KR 930000320A KR 970001168 B1 KR970001168 B1 KR 97000116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djustment
value
signal
microcomputer
digit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3000032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40019169A (ko
Inventor
임병진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구자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구자홍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19930000320A priority Critical patent/KR970001168B1/ko
Publication of KR94001916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4001916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7000116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01168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7/00Diagnosis, testing or measuring for television systems or their details
    • H04N17/04Diagnosis, testing or measuring for television systems or their details for receivers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자기 진단 조정 장치
제1도는 본 발명의 자기 진단 조정 장치의 회로도.
제2도는 (a)∼(c)는 본 발명의 자기 진단 조정 방법의 플로우차트.
제3도는 본 발명에 의한 자기 진단 화면의 표시 상태를 보인 설명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마이콤 2 : 원격 송신기
3 : 원격 수신기 4 : 키맥트릭스부
5 : 디지탈/아날로그 변환기 6,6A,6B : 전압체어 기능부
7,7A,7B,7C :전압제어 발진기 8,8A,8B,8C : 주파수제어 기능부
9,11 : 멀티플렉서 10 : 동기신호 검출부
12 : EEPROM 13 : CPT
본 발명은 마이콤에 의해 동작이 제어되는 각종 전기 및 전자 기기에서 조정의 대상이 되는 기기가 동시에 조정의 주체가 되어 기기의 각 부위의 동작 상태를 자기 진단하여 조정하는 자기 진단 조정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TV 수상기의 각각의 조정 부위의 동작 상태를 자동으로 자기 진단하고 조정하는데 적당하도록 한 자기 진단 조정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생산라인에서 생산된 TV 수상기의 조정 부위를 살펴보면, 튜너 내부의 반도체 증폭 특성의 원하는 선형 영역에 동작점을 형성하고 일정한 레벨의 수신 신호를 얻기 위하여 이득에 따라 정궤환 또는 부궤환을 하여 자동으로 일정한 이득 조정을 수행하도록 이득의 기준점을 조정하는 AGC(Automatic Gain Control)조정과, 중간 주파수에 실린 영상신호를 복조하기 위하여 동기 검파를 할 경우에 필요한 44MHz의 기준 주파수를 정확히 얻을 수 있도록 조정하는 중간 주하수(1F)조정과, 4.5MHz에 주파수 변조된 음성신호를 쿼드래춰(Quardrature)검파로 복조하기 위하여 4.5MHz에서 최대 이득을 얻음 수 있도록 조정하는 음성 중간 주파수(SIF)조정을 비롯하여 자동 미세 동조(AFT)조정, 수직 화면 크기 조정 및 색온도 조정 등과 같은 각종 동작 기능을 조정 및 보정하고 있다.
이러한 TV 수상기의 각각의 조정부위를 조정함에 있어서 종래에는 작업자가 일일이 가변코일의 인덕턴스, 가변 콘덴서의 용량 및 가변 저항의 저항값을 조정하였다.
즉, 종래에는 AGC 조정 및 AFT 조정 등과 같이 동작 전압을 조정하는 것은 8단계 또는 16단계의 분해능을 가진 아날로그/디지탈 변환기를 사용하여 0~ 5V사이에서 가변되는 전압을 디지탈 신호로 변환하고, 이 변환한 디지탈 신호의 값으로 동작 상태를 인식하면서 가변 저항 등의 가변소자를 가변하여 조정하였고, 수평 동기 펄스 주파수 등과 같이 주파수를 조정하는 것은 주파수 카운터로 주파수를 카운트하면서 가변코일 및 가변 콘덴서 등을 가변하여 조정하였다.
그러나 상기와 같이 동작 상태를 조정하는 종래의 기술은 작업자가 일일이 수동으로 조정하므로 많은 시간과 인력을 필요로 함은 물론, 생산성이 저하되었으며, 서비스를 수행할 경우에는 제조시와 같은 조정설비 및 조정을 기준신호가 없어 많은 어려움이 있는 등의 여러가지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제반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안한 것으로서, 조정 대상이 되는 기기가 동시에 조정의 주체가 되어 기기 자체내에 각각의 조정 부위에 대한 기준값을 미리 설정하여 두고, 이 설정한 기준값과 각각의 조정부위의 동작값을 비교하면서 자동으로 조정함로써, 기기의 동작 상태를 조정하는데 소요되는 시간 및 인력을 절감하고, 서비스시 제품을 분해하지 않고서도 간단히 조정할 수 있는 자기 진단 조정 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는 것으로 이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1도는 본 발명의 자기 진단 조정 장치가 구비된 기기를 보인 회로도로서,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동작 명령에 따라 기기의 동작을 제어하고 미리 설정된 기준값과 조정할 부위의 동작값을 비교하면서 그 동작값을 조정하는 마이콤(1)과, 원격으로 상기 마이콤(1)에 동작 명령을 입력하는 원격 송신기(2) 및 원격 수신기(3)와, 상기 마이콤(1)에 접속되어 동작 명령을 입력하는 키매트릭스부(4)와, 상기 마이콤(1)이 디지탈 신호로 출력하는 조정값을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하는 디지탈/아날로그 변환기(5)와, 상기 디지탈/아날로그 변환기(5)의 출력신호에 따라 동작 전압을 가변시키는 전압제어 기능부(6,6A,6B)와, 상기 디지탈/아날로그 변환기(5)의 출력신호에 따라 설정된 주파수로 발진하는 전압제어 발진기(7,7A,7B,7C)와, 상기 전압제어 발진기(7,7A,7B,7C)의 발진신호에 따라 주파수를 제어하는 주파수제어 기능부(8,8A,8B,8C)와, 상기 전압제어 기능부(6,6A,6B) 및 주파수제어 기능부(8,8A,8B,8C)에 의한 조정값을 상기 마이콤(1)에 선택적으로 입력시키는 멀티플렉서(9)와, 동기신호를 검출하는 동기신호 검출기(10)와, 상기 전압제어 발진기(7,7A,7B,7C) 및 동기신호 검출부(10)의 출력신호를 상기 마이콤(1)에 선택적으로 입력시키는 멀티플렉서(11)와, 자기 진단 조정을 위하여 미리 설정된 기준값을 저장하고 상기 마이콤(1)으로 출력하는 EEPROM(12)과, 마이콤(1)의 제어의 의해 조정 및 진단한 결과를 표시하는 CPT(13)로 구성하였다.
상기에서 마이콤(1)은 기기 제어 및 진단 조정의 제어를 담당하는 CPU(101)와, 제어 데이타들이 저장되는 RAM(103)과, 동작 프로그램을 저장하여 두는 ROM(1 03)과, 키매트릭스부(4)로 신호를 출력 및 입력하는 출력포트(104) 및 입력포트(105)와, 원격 수신기(3)의 수신신호를 입력하는 인터럽트 처리부(106)와, 멀티플렉서(9)의 아날로그 출력신호를 디지탈 신호로 변환하는 아날로그/디지탈 변환기(107)와, 멀티플렉서(9)(11)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출력포츠(108)와, 디지탈/아날로그 변환기(5), EEPROM(12)과 데이타를 인터페이스하여 전압 제어용 기준값을 출력하는 입출력포트(109)와, 멀티플렉서(11)로부터의 출력을 단위시간 동안 입력받아 카운트하는 카운터(110)와, 동작 클럭을 생성하는 발진부(111)와, CPT(13)에 영상을 표현하기 위한 화면 표시부(112)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마이콤(1)은 외부에 연결단자와 연결되어 외부 기기의 조정이 가능함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멀티플렉서(9)(11)로부터 입력되는 동작값을 단위 시간 동안 입력받아 제어하므로 다수개의 전압이나 주파수 제어 기능부를 조정 가능하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자기 진단 조정 장치에서 마이콤(1)의 아날로그/디지탈 변환기(107)는 종래와 같이 45.75MHz를 기준으로 한 영상신호 수신상태의 AFT 전압을 디지탈 신호로 변환하여 마이콤(1)이 인식 및 튜닝값을 보상하기 위한 수단으로 사용되고, 카운터(110)는 종래와 같이 수평 동기신호를 단위 시간 동안 카운트한 값으로 현재 수신하는 채널의 신호가 존재하는지의 여부를 판단하는데 사용되는 것으로서, 본 발명에서는 아날로그/디지탈 변환기(107) 및 카운터(110)를 상기와 같이 사용함과 아울러, 생산 및 서비스시 조정을 필요로 하는 기능부 즉, 멀티플렉서(9)(11)를 통해 전압제어 기능부(6,6A,6B) 및 주파수제어 기능부(8,8A,8B,8C)에 연결되어 조정된 결과를 마이콤(1)에서 직접 인식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즉, 일반 동작시에는 상기 AFT 전압감지 및 수평 동기신호를 카운트하는데 사용되고, 생산 및 서비스를 할때 각 기능부(6,6A,6B)(8,8A,8B,8C)의 조정된 상태를 인식하는 수단으로 함께 사용된 것이다.
디지탈/아날로그 변환기(5)는 기존의 TV 수상기에서 영상 요소인 명암, 밝기, 색농도, 색상, 선명도를 제어하며, 음성 요소인 고음, 저음, 좌우 음균형 등을 조정하는데 사용되는 것으로, 본 발명에서는 기존의 기능으로서 영상 및 음성을 제어할 뿐만 아니라, 전압제어 기능부(6,6A,6B) 및 전압제어 발진기(7,7A,7B,7C)에 마이콤(1)이 입출력포트(109)를 통하여 출력하는 진단과 조정의 디지탈값에 따른 아날로그 전압을 출력하는 동작을 한다.
고정 주파수를 필요로 하는 주파수제어 기능부(8,8A,8B,8C)는 항상 일정한 주파수를 가진 주파수 신호가 필요하므로 전압제어 발진기(7,7A,7B,7C)의 출력신호를 멀티플렉서(11)의 절환으로 카운터(110)에 순차적으로 연결하여 마이콤(1)이 각 전압제어 발진기(7,7A,7B,7C)의 주파수값을 인식하고 EEPROM(12)에서 읽은 기준 주파수와 비교하여 편차가 발생할 경우 입출력 포트(109)를 통하여 보상된 값을 디지탈/아날로그 변환기(50에 출력하고, 보상된 출력 전압이 전압제어 발진기(7,7A,7B,7C)에 가해져서 보정된 주파수가 출력되는 일련의 과정을 반복하여 PLL(Phase Locked Loop)기능을 수행한다.
그리고 마이콤(1)의 롬(ROM ; 103)은 2가지 영역으로 할당된다.
즉, 일반 사용자가 원격 송신기(2) 또는 키매트릭스부(4)를 조작하여 입력하는 동작 명령에 따라 일반적인 TV 수상기의 동작을 수행하도록 하는 일반 TV 수상기 동작 프로그램 영역과, 생산공정 및 서비스센타에서 원격 송신기(2) 또는 키매트릭스부(4)의 각각의 키에 할당된 특수명령으로 조작 가능한 진단 및 조정 프로그램 영역으로 할당된다.
일반 TV 수상기의 동작에서 아날로그/디지탈 변환기(107)는 AFT 전압이 입력되도록 멀티플렉서(9)가 선택되고, 카운터(110)는 동기신호 검출부(10)가 검출하는 수평 동기신호의 주파수를 카운트하도록 멀티플렉(11)가 선택되며, 디지탈/아날로그 변환기(5)는 마이콤(1)에서 정의된 전압을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 및 출력하여 전압제어 기능부(6,6A,6B) 및 전압제어 발진기(7,7A,7B,7C)의 동작이 유효하도록 한다.
그리고 전압제어 기능부(6,6A,6B) 및 전압제어 발진기(7,7A,7B,7C)를 구성하는 소자들의 열적 특성에 의해 성능의 저하가 발생될 경우에 대비하여 전압제어 기능부(6,6A,6B)의 상태를 읽어 전압 보상을 하거나 전압제어 발진기(7,7A,7B,7C)의 주파수를 인식하여 보상하는 PLL 동작을 주기적으로 실시하되 사용자의 선택과 무관하게 동작한다.
여기서, 고정전압 조정인 AGC 조정을 예로 들어 설명한다.
AGC는 이득 조정의 기준이 되는 고정 전압 레벨이 필요하며, 이 전압을 기준 조정 값이라고 할 경우에 이 전압값과 비교된 궤환전압이 튜너에 인가된다.
조정공정이나 서비스에서 미리 약속된 특수명령에 의해 진단 및 조정 동작이 시작되고 AGC 조정이 시작되며 마이콤(1)은 입출력포트(109)를 통해 디지탈/아날로그 변환기(5)가 발생할 수 있는 최대, 최소 전압의 중간값과 해당하는 디지탈 데이타를 출력한 후 안정시간까지 지연하고, 멀티플렉서(9)의 선택 입력이 AGC 기능부가 되도록 출력포트(108)로 제어신호를 출력하여 아날로그/디지탈 변환기(107)가 AGC의 기준 조정 값을 읽도록 한다.
AGC 기준 조정값과 입출력포트(109)를 통하여 EEFROM(12)에서 읽은 기준값을 비교하여 차이가 발생하면 초기 출력한 중간값에 차이를 보상한 디지탈값을 입출력포트(109)를 통해 디지탈/아날로그 변환기(5)로 출력한다.
안정시간 지연후 다시 기준 조정값을 비교하여 차이를 보상하는 방법으로 동작시키고, AGC 기준 조정값과 기준값이 일치할 경우에 해당 디지탈 데이타를 AGC 기준 조정값 데이타로 인식하여 EEPROM(12)의 정해진 영역에 기억하고 조정 동작을 끝내며, 전원이 꺼질 경우에도 EEPROM(12)에 기억된 데이타가 보유되며, 전원이 켜질 경우에 입출력포트(109)를 통하여 이 값을 다시 읽고, 디지탈/아날로그 변환기(5)에 출력하여 AGC 동작을 기준값으로 사용한다.
만약 EEPROM(12)의 데이타값이 손상되거나 성능 저하로 재조정이 필요한 서비스에도 위와 같은 방식으로 TV 수상기를 분해함이 없이 조정할 수 있으며, 서비스시 TV 수상기를 분해함이 없이 조정 상태를 인식하는 방법으로 자기 진단을 먼저 실시한다.
즉, 송신기(2)나 키매트릭스부(4)의 특수명령으로 자기 진단 동작이 AGC 조정을 할 경우에 아날로그/디지탈 변환기(107)에 입력되는 값고 디지탈/아날로그 변환기(5)에 출력하는 값을 화면 표시부(112)와 CPT(13)를 통하여 화면 표시함으로써 직접 확인할 수 있으며, 같은 방법으로 현재의 동작상태, 조정상태, 고장 유무를 직접 화면을 통해 표시한다.
그리고, 고정 주파수를 조정하는 경우 TV 수상기에는 기존의 가변코일이나 가변 콘덴서를 사용하여 제조시 직접 주파수를 설정하는 대신에 본 발명에서는 전압제어 발진기(7,7A,7B,7C)를 사용하여 원하는 주파수를 발생시키는 것으로 이 주파수는 디지탈/아날로그 변환기(5)에서 출력되는 전압에 의해 가변된다.
여기서, 고정 주파수인 영상 중간주파수 조정을 예로들어 설명한다.
영상 중간 주파수 조정의 경우를 예로들면, 44MHz 주파수에 변조된 영상신호를 복조하기 위한 동기 검파는 같은 44MHz의 주파수 신호가 필요하므로 일정한 44MHz의 주파수를 발생시키는 것이 영상 중간 주파수 조정의 목적이다.
영상 중간 주파수 조정의 동작은 디지탈/아날로그 변환기(5)에서 발생하는 중간값에 해당하는 디지탈값을 마이콤(1)이 먼저 출력하고, 디지탈/아날로그 변환기(5)에서 아날로그 전압으로 바뀌면 전압제어 발진기(7,7A,7B,7C)에서 전압값에 해당하는 주파수를 발생시켜 영상신호 복조부에 출력된다.
이와 동시에, 마이콤(1)의 선택 출력에 의해 멀티플렉서(11)가 전압제어 발진기(7,7A,7B,7C)에서 출력하는 발진신호를 카운터(110)에 연결하고, 마이콤(1)은 단위 시간 동안 주파수를 카운트하는 주파수 분주방법에 의해 44MHz인가를 판단한다.
상기 판단 결과 만약 편차가 발생하면 초기값에 편차를 보상한 디지탈 데이타를 디지탈/아날로그 변환기(5)에 출력하는 과정을 정확한 44MHz가 되었을때의 디지탈/아날로그 변환기(5)에 출력한 디지탈 데이타를 EEPROM(12)의 정의된 영역에 저장하여, 이후에 기준값으로 사용한다.
한편, 열에 의한 주파수 가변이 심한 반도체 소자를 사용한 경우에는 일정한 주기로, 발생한 주파수를 읽어 편차가 발생하면 보상하는 PLL 제어 동작을 실시하여 항상 44MHz의 일정한 주파수 신호를 출력한다.
고정 주파수 조정의 경우에도 제조자나 서비스 요원에 의한 자기 진단이 이루어질 수 있으며, 원격 송신기(2)나 키매트릭스부(4)의 조작에 의한 특수명령으로 자기 진단 동작을 할 경우 해당 디지탈/아날로그 변환기(5)에 출력한 값과 입력된 주파수값이 읽혀져 화면 표시되며, 이를 통하여 TV 수상기를 분해함이 없이 특정 주파수 조정부의 동작 상태와 조정의 양호를 판단할 수 있다.
기존의 TV 수상기에서 수행하던 AFT 동작과 동기 판단은 일반 동작상태에서 AFT 전아이 아날로그/디지탈 변환기(107)에 입력되고, 수평 동기신호의 주파수가 카운터(110)에서 카운트되도록 멀티플렉서(9)(11)를 제어한다.
즉, AFT 전압을 읽을 경우에 AFT 전압 발생부인 주파수제어 기능부(8)에서 발생한 전압이 항상 아날로그/디지탈 변환기(107)를 통해 마이콤(1)에 입력되도록 멀티플렉서(9)를 제어한다.
여기서, 디지탈/아날로그 변환기(5)의 출력신호에 따른 조정값을 입력하는 멀티플렉서(9)는 주파수 신호를 카운터(110)에 입력시키는 멀티플렉서(11)와는 전기적으로 다른 특성을 가져야 한다.
즉, 아날로그 신호의 스위칭 동작을 수행하기 위하여 조정된 전압이 감쇄됨이 없이 아날로그/디지탈 변환기(107)에 입력되어야 하는 것으로, 스위칭 동작에 의한 신호의 감쇄가 없어야 한다.
그리고, 제2도의 (a)는 본 발명의 자기 진단 조정 방법을 보인 플로우차트이다.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명령을 입력하여 해석하고, 해석한 명령에 따라 조정할 부위의 조정 변수를 생성한 후 조정 루틴에서 조정한다.
조정 루틴에서는 제2도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EEPROM(12)에 미리 저장되어 있는 조정할 부위의 기준값을 읽고, 입출력포트(109)를 통해 출력함과 아울러, 멀티플렉서(9)(11)를 제어하여 출력할 신호에 따른 조정값이 입력되게 한다.
그리고, 출력한 신호에 따른 조정이 완료될 때 까지 일정 시간을 지연 및 조정값을 읽은 후, 조정값과 기준값을 비교한다.
비교 결과, 조정값과 기준값이 동일하지 않을 경우에는 차이를 보상 및 입출력포트(109)를 통해 출력하는 동작을 반복하고, 기준값과 조정값이 동일할 경우에는 조정이 완료된 것으로 판단한다.
이와 같이 하여, 하나의 조정 부위에 대한 조정이 완료되면, 다음 조정할 부위가 있는지를 판단하고, 조정할 부위가 있을 경우에는 다음 조정 작업을 선택 및 표시한 후, 조정 변수를 생성하고, 조정 동작을 수행하는 동작을 반복한다.
이와 같이하여 조정 동작이 완료되면, 진단 루틴을 수행하여 조정된 상태를 진단 및 표시하는 것으로 제2도의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진단 변수를 생성하고, 기준값 및 조정값을 읽은후, CPT(13)의 화면에 예를 들면 제3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표시하고, 표시 시간이 경과되면 표시 동작을 정지한다.
한편, 상기에서는 TV 수상기의 각각의 부위를 조정 및 진단하는 동작을 예로 들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을 실시함에 있어서는 TV 수상기 이외에 비디오 카세트 레코더 및 비디오 디스크 플레이어 등과 같이 마이콤이 내장된 각종 전기 및 전자 기긱에 적용 및 실시할 수 있다.
이상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부가적인 별도의 조정장비에 의한 조정 작업을 수행함이 없이, 조정의 대상이 되는 기기가 동시에 진단과 조정의 주체가 되어 기기 스스로, 자동으로 조정 작업을 수행하고 또 조정상태를 진단하여 표시하므로 기기의 동작 상태를 조정하는데 소요되는 시간 및 인력을 절감하고, 서비스시 제품을 분해하지 않고서도 간단히 조정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4)

  1. 조정 대상이 되는 기기의 영상 또는 음성 처리와 관련된 제 조정대상의 신호들에 대하여 조정을 위한 제 1의 신호값을 조정 대상 기기에 출력하고, 이 제 1의 신호에 응하여 조정된 대상 기기로부터의 조정된 응답을 제 2의 신호로 입력받아 상기 제 1의 신호와의 차이값을 보상하는 제 3의 신호를 조정 대상에 출력하는 동작을 반복하고 그 결과를 표시하는 기기의 영상 또는 음성 처리와 관련된 자동 조정을 수행하는 조정기기에 있어서, 조정의 대상이 되는 기기가 동시에 조정의 주체가 되어 자기 자신의 영상이나 음성신호 처리에 관련된 전압 또는 주파수 등을 진단하고 또 조정하는 장치로서 : (a). 키입력수단을 통해서 입력되는 기기의 제어 명령에 응하여 해당 명령의 동작을 제어함과 함께, 진단 조정시에는 미리 설정된 기준값과 조정할 부위의 동작값을 비교하면서 비교 결과에 따른 조정값으로 조정 부위의 해당 동작값을 조정하고 또 그 결과를 출력하는 마이콤과, (b). 상기 미리 설정된 기준값을 저장하고 이 값을 상기 마이콤에 제공하며, 또 상기 마이콤에 의해서 최종 조정된 값을 기억하였다가 마이콤에 제공하는 EEPROM과, (c). 상기 마이콤이 출력하는 조정값을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하는 디지탈/아날로그 그 변환기와, (d). 상기 디지탈/아날로그 변환기의 출력신호에 따라, 전압을 조정 대상으로 하는 부위의 동작 전압이 가변되는 전압제어 기능부와, (e). 상기 디지탈/아날로그 변환기의 출력신호에 따라 설정된 주파수로 발진하는 전압제어 발진기와, (f). 상기 전압제어 발진기의 발진신호에 따라, 주파수를 조정 대상으로 하는 부위의 동작 주파수가 가변되는 주파수 제어 기능부와, (g). 상기 전압제어 기능부 및 주파수제어 기능부에 의한 동작값을 상기 마이콤에 선택적으로 입력시키는 멀티플렉서와, (h). 동기신호를 검출하는 동기신호 검출부와, (i). 상기 전압제어 발진기 및 동기신호 검출부의 출력신호를 상기 마이콤에 선택적으로 입력시키는 멀티플렉서와, (j). 기기 자체의 처리된 영상이 표시되기도 하고 또 진단 조정시에는 상기 마이콤의 제어에 의해 진단 및 조정된 결과도 표시하는 CPT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자기 진단 조정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마이콤은 외부에 연결단자와 연결되어 조정의 주체가 되고, 조정의 또다른 대상으로서, 상기 연결단자에 연결된 외부기기를 조정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기 진단 조정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마이콤은 상기 멀티플렉서로부터 입력되는 제어 기능부의 동작값을 주기적으로 검색하여 상기 진단 조정을 수행함으로써, 기기의 사용 환경의 변화에 적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기 진단 조정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마이콤은 상기 디지탈/아날로그 변환기로 제어용 디지탈값을 출력하는 입출력포트와, 상기 전압제어 발진기 및 동기신호 검출부 출력을 선택하는 멀티플렉서의 선택된 출력값을 단위 시간동안 입력받아 그 주파수를 카운트하는 주파수 카운터가 구비되어, 다수 조정 대상 주파수에 대한 조정이 순차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게 하는 시분할 스위칭에 의한 다중 PLL 동작을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기 진단 조정 장치.
KR1019930000320A 1993-01-12 1993-01-12 자기 진단 조정 장치 KR97000116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30000320A KR970001168B1 (ko) 1993-01-12 1993-01-12 자기 진단 조정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30000320A KR970001168B1 (ko) 1993-01-12 1993-01-12 자기 진단 조정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40019169A KR940019169A (ko) 1994-08-19
KR970001168B1 true KR970001168B1 (ko) 1997-01-29

Family

ID=1934956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30000320A KR970001168B1 (ko) 1993-01-12 1993-01-12 자기 진단 조정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70001168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40019169A (ko) 1994-08-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122488A (en) Sync signal generator with memorization of phase detection output
US4805230A (en) Tuning method
US5203032A (en) Station selecting apparatus
JPH03224322A (ja) 選局回路
KR970001168B1 (ko) 자기 진단 조정 장치
KR100422226B1 (ko) 비디오디스플레이에서의자주주파수정렬방법수평편향신호발생기
JP2715347B2 (ja) 同調システム
GB2302771A (en) Television signal receiver
US6011818A (en) Automatic frequency control method
JP3085959U (ja) テレビジョンおよび発振周波数制御装置
JPH0631779Y2 (ja) 電子選局装置
EP0629084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extending pulling range of automatic fine tuning of television receiver
US7076221B2 (en) Digital automatic fine tuning method and apparatus
KR100315345B1 (ko) 자동미세동조 제어전압 발생회로
JPH08186778A (ja) 表示制御回路及び液晶テレビジョン
KR0136739Y1 (ko) 자동 미세 동조조정(aft) 미세 보정회로
KR900002147Y1 (ko) Tv 수상기용 자동 미동조 장치
JP2936563B2 (ja) 映像表示装置
JPH03117222A (ja) 電圧シンセサイザ方式の受信装置
JP3498758B2 (ja) 受信制御方法
KR0164967B1 (ko) 외부 알.지.비모드에서 수평동기위치 자동제어장치와 방법
JP3068683U (ja) 放送局信号受信装置
KR19990058958A (ko) 티브이의 중간주파 브이씨오 자동 조정 장치 및 그 방법
KR20000003539A (ko) 텔레비전의 vco 발진주파수의 보정을 통한 튜닝 보정방법
KR19980023510A (ko) 채널 미세 조정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X1 Appeal (before the patent court)

Free format text: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B701 Decision to gr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70619

Year of fee payment: 11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