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70001113B1 - 저장 및 운송장치 - Google Patents

저장 및 운송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70001113B1
KR970001113B1 KR1019880011531A KR880011531A KR970001113B1 KR 970001113 B1 KR970001113 B1 KR 970001113B1 KR 1019880011531 A KR1019880011531 A KR 1019880011531A KR 880011531 A KR880011531 A KR 880011531A KR 970001113 B1 KR970001113 B1 KR 97000111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pport
storage
transport
plate
shap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8001153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00004603A (ko
Inventor
프라이 하인츠
Original Assignee
엘베엘 라게트-운트 베트팁스테크닉 게엠베하
프리츠 마르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베엘 라게트-운트 베트팁스테크닉 게엠베하, 프리츠 마르트 filed Critical 엘베엘 라게트-운트 베트팁스테크닉 게엠베하
Priority to KR1019880011531A priority Critical patent/KR970001113B1/ko
Publication of KR90000460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0000460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7000111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0111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1/00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attached to lifting or lowering gear of cranes or adapted for connection therewith for transmitting lifting forces to articles or groups of articles
    • B66C1/10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attached to lifting or lowering gear of cranes or adapted for connection therewith for transmitting lifting forces to articles or groups of articles by mechanical means
    • B66C1/42Gripping members engaging only the external or internal surfaces of the artic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oad-Engaging Elements For Cranes (AREA)
  • Warehouses Or Storage Device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저장 및 운송장치
제1도는 본 발명에 따른 지지장치의 사시도.
제2도는 제1도의 지지장치의 부분단면 전면도.
제3도는 지지장치의 측면도.
제4도는 긴 재료들을 실은 2개의 지지장치의 개략 측면도.
제5도는 본 발명에 따른 운송지지체(transportation support)의 평면도.
제6도는 제5도의 운송지지체의 측면도.
제7도는 변형된 운송지지체의 개략 평면도.
제8도는 파이프들을 실은 1 그룹의 본 발명에 따른 장치들의 개략 전면도.
제9도는 제6도의 Ⅰ-Ⅰ 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지지장치 또는 제치랙 2 : 가공물
3 : 가로대 4 : 지지아암
5 : 베이스부재 6, 7 : 측부부재
9 : 현수판 11 : 요부
12 : 훅형상 신장부
본 발명은 강관, 강봉, 형강재 같은 무겁고 가늘고 긴 가공물(workpiece)들을 저장 및 운송하기 위한 장치에 관한 것이다.
각기 개구된 장방형 베이스로 형성되며 그 베이스로부터 돌출하는 2개 이상의 지지장치, 그 모서리들, 함께 연결된 2개의 대략 U자 형상의 지지부재로 구성된 이런 장치는 공지되어 있다. 크레인과 함께 사용될 횡지지체(traverse support)도 이 장치의 일부로서 마련되며, 그것은 2개조 이상의 지지아암을 갖는다. 이 공지된 장치는 2가지 문제점을 갖고 있다. 첫째, 유용한 저장공간을 잘 활용하기 위해서는 밀접하게 나란히 그리고 중첩해서 쌓은 가능한한 많은 조립체들(각 조립체는 2개 이상의 지지장치 및 연관된 저장된 가공물을 포함한다)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둘째, 최소한의 작업인원과 시간으로 너무 많은 재분류를 필요로 하지 않으면서 어떤 선택된 조립체의 저장물로부터 빼낼 수 있어야 한다.
유사하게, 가공물들이 예를 들어 화차 또는 로리상에서 운송될 때 그 장치의 조립체 및 연관된 가공물들을 위해 유용한 적재공간을 최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것이 요구된다.
공지된 장치는 이들 요구사항을 원하는 만큼 충족시키지 못하는데, 그 ,이유는 독립적인 조립체 재치랙(stock rack 및 가공물)가 밀접하게 나란히 또는 인접하게 놓이는 저장은 그들이 횡지지체로 크레인에 의해 독립적으로 이동될 수 없기 때문에 사전에 배제되기 때문이다. 한편, 집게(tongs like)장치가 크레인으로부터 현수된 운반장치로서 사용된다. 이들은 재치랙에 연결하기 위해 조절자의 도움을 필요로 한다. 그러나, 도움없이 작업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또한 그런 집게는 비싸고 고장이 잘 난다. 최소의 작업인원과 빠르고 신뢰성있는 저장 터언오우버(turnover)가 중요하다면 로우프를 운반하는 사람을 사용하는 것은 비록 그것이 파지집게 보다 상당히 싸고 신리성이 높다 하더라도 배제된다. 최종적으로, 그런 집게운반기구가 상당히 무거우며 불필요하게 크레인의 유효 하중을 제한한다는 것도 언급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상술한 결점들을 극복하며, 간단하고, 값싸며, 견고하고, 최소의 공간을 필요로 하며, 저장 터언오우버시 크레인 운전자로부터 떨어져서 다른 도움을 필요로 하지 않는 장치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라서, 각기 함께 연결된 2개의 대략 U자 형상의 거어더들로 형성되는 2개 이상의 지지장치 또는 재치랙과, 2개조 이상의 지지아암들을 가지며 크레인과 함께 사용될 운송지지체로 구성되는, 강관, 강봉, 형강과 같은 무거우며 가늘고 긴 가공물들을 저장 및 운송하기 위한 장치에 있어서, 각 지지장치 또는 재치랙이 각기 거어더들의 2개의 자유단부들 사이에 장착되며 훅을 구비하고 내향하여 구부러질 거어더 넘어로 상향하여 돌출하는 부분을 갖는 2개의 현수판들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가 제공된다. 운송지지체의 각 지지아암은 상기 운송지지체의 가로대에 보강판에 의해 고정되며 그 판은 아암의 자유단부의 구역에 놓인 베벨가공된 안내연부를 갖는다.
운송지지체의 지지아암을 현수판의 요부속으로 간단히 삽입할 수 있도록 요부가 대략 구부러진 뿔부분의 축방향 단면의 형상을 가짐으로써 요부내의 지지아암의 지지위치에서는 지지아암을 안내한다. 부품들이 지지블록 넘어로 들출하지 않고 저장능력을 낭비하지 않도록 구부러진 현수판이 U자 형상 거어더의 측부 부재의 외부 및 내부 경계면 사이에 놓이는 것이 유리하다.
고유한 안정성을 거의 갖지 않는 가늘고 긴 유연성 저장자재, 그리고 특히 같은 범주의 짧고 긴 저장자재를 수용하기 위해, 종방향 거어더들에 의해 2개의 지지장치들을 함께 연결하는 것이 유리하며, 그점에서 이식으로 형성된 카세트는 와이어격자로 제조된 2개의 측벽과 베이스를 구비한다.
이하, 본 발명이 첨부도면을 참고로 하여 예로서 서술된다.
무거우며 가늘고 긴 가공물들을 저장 및 운송하기 위한 장치는 2개 이상의 지지장치 또는 재치랙(1)을 포함하며, 그것은 제4도와 같이 저장 또는 운송될 가공물(2)들을 수용하기 위해 다른 것으로부터 간격(a)를 두고 배치된다. 이 장치는 또한 2개조 이상의 지지아암(4)를 갖는 가로대(3) 헝태의 운송지지체를 포함한다.
(제5 및 6도).
제1 내지 3도에서, 각 지지장치 또는 재치랙은 각기 베이스부재(5a 또는 5b) 및 2개의 측부부재(6a 또는 6b, 7a 또는 7b)로 구성되는 2개의 U자 형상의 거어더를 갖는다. 측부부재(6a,6b,7a,7b)는 베이스부재(5a,5b)의 2개 단부에 직립하며 거기에 고정연결된다. 베이스 및 측부 부재들은 예를 들어 4각형 단면, Ⅰ단면 및 U 단면을 갖는 형강들로 구성되며 함께 용접되는 것이 유리하다.
2개의 이런 U자헝 거어더들을 연결하기 위해 한편에는 각기 베이스부재(5a 또는 5b)의 단부면에 유리하게 용접된 하부 연결판이, 다른 한편에는 각기 측부부재(7a, 7b 또는 6a, 6b)의 상부 자유단부의 구역에 현수판(9)가 마련된다. 제2 및 3도와 같이 현수판은 2개의 부분, 즉 하부(9a) 및 상부(9b)로 구분된다. 2개의 부분(9s,9b)는 같은 면내에 놓이지 않고 선(10)을 따라서 구부러져 약 165°의 각도를 형성한다. 하부(9a)는 지지장치(1)의 횡방향 경계면과 평행하게 측부부재(6a, 6b 또는 7a, 7b)에 용접된다. 하부(9a)의 폭은 측부부재(7a,7b) 사이의 안목치수(clear width)에 상응하며(제3도), 판(9)가 지지장치 넘어로 횡방향으로 돌출하지 않도록 부착점이 선택된다. 제2도와 같이, 판(9)는 측부부재(6a 또는 7a)의 외측 연부에서 약간 안쪽에 세트된다.
현수판(9)의 상부(9b)는 훅형상 신장부(12)의 헝성을 위한 요부(11)을 갖는다. 여기서 이 요부(11)의 형상은 퍼넬(funnel)형상이며 대략 구부러진 뿔의 축방향 단면같이 구부러져 있다. 이것은 훅형상 신장부(12)를 향한 큰 입구와 강제적인 안내를 유발한다. 상부(9h)의 치수와 부분(9a,9b)사이의 각도는 상부(9b)가 측부부재(6a, 6b 또는 7a, 7b)의 내면에 대해 놓이면 제2도의 선(13)을 넘어 돌출하지 않도록 선택된다. 이 배치의 결과로서, 가공물(14)를 수용하기 위해 랙의 내측 단면을 단축시키지 않고 여러개의 지지장치(1)을 적치할 수 있다. 이것은 제8도에 명백히 도시되어 있는데, 거기서 배관(14)를 실은 5개의 지지체(1)의 상부 그룹은 마찬가지로 배관(14)를 실은 5개의 지지체의 하부 그룹 위에 적치된다. 또한, 제7도로부터 독립적인 지지장치들이 나란히 배치될 수 있음을 알 수 있고, 그것은 물론 유용한 저장공간의 최적 활용의 관점에서 대단히 바람직하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5개의 상부 지지장치의 원하는 임의의 것을 후술되는 바와 같이 곤란없이 독립적으로 빼내어 을릴 수 있다. 최종적으로, 제8도로부터 파단선으로 도시된 하부 지지장치의 상부(9b)가 상부 지지장치의 측부부재들 사이의 자유공간내로 어떻게 계합함으로써 저장자재(14)의 수용을 위해 필요한 공간을 차지하지 않았나 하는 것을 알 수 있다.
제4도와 같이 2개의 지지장치(1)과 긴 자재(2)로 형성된 조립체를 운송하기 위한 것은 가로대(3)을 갖는 운송지지체다(제5 및 6도) 이것은 그 2개 단부의 구역에서 각기 2개의 지지아암(4)를 가지며 1조의 2개의 아암은 직경방향으로 대향하며 가로대(3)으로부터 대략 직각되게 고정되어 있다.
아암(4)의 단부에 첨가된 판(15)는 미끄러져 벗어나는 것을 방지한다. 가로대(3)의 정부에는 그것에 의해 가로대(3)이 크레인(도시하지 않음)이 현수될 수 있는 구멍(17)을 갖는 현수부재(16)이 설치된다.
제9도로부터 지지아암(4)가 판(24)에 의해 가로대(3)에 추가적으로 고정되는 것이 명백하다. 이 판(24)들은 보강하여 지지장치의 현수판의 상부 구부러진 부분(9b)를 안내한다. 제9도의 파단선이 지지장치의 연결중의 판(15)와 좌측 안내연부(24)사이의 부분(9b)의 위치다. 이것은 또한 판(15)의 신장부(15a)에 의해서도 도움을 받는다. 따라서, 지지장치들은 그들이 정확히 중심에 맞추어 연결되지 않을때라도 가로대(3)의 지지아암(4)로부터 정확히 대칭되게 현수될 수 있게 한다.
긴 자재(2)를 실은 지지장치(1)의 적재에 앞서, 지지장치(1)들이 다른 것에 대해 정확한 간격으로 세트되었는가를 화인하는 것이 필요하다. 명백히, 지지장치(1) 사이의 거리(a)는 가로대의 지지아암(4) 사이의 거리와 같아야 한다. 이것은 빈 지지장치들이 가로대(3)에 의해서 놓여짐에 따라 간단히 달성된다. 이 조건이 충족되면, 조립체는 간단히 연결되고, 올려지면 운송된다. 현수판(9)의 상부(9b)내 요부(11)의 넓은 입구는 지지아암(4)들이 힘들지 않고 도입되게 하며, 그것은 가로대(3)의 상승시 쉽게 훅형상 신장부(12) 밑의 정확한 위치가 되게 한다. 이점에서, 횡방향의 안내와 중심잡기는 판(24,15)에 의해 확보된다.
현수판(9)의 상부(9b)의 경사에 의해서 예를들어 제8도에서와 같이 여러개의 지지장치가 나란히 인접되게 또는 근접되게 직립될때, 좌측 또는 우측에 인접한 지지장치도 계합되지 않는다. 가로대(3)의 지지아암(4)는 그들이 한번 요부(11)의 입구 구역내의 어느곳에 있으면 정확한 위치로 필연적으로 안내된다. 그리고, 현수판(9)의 경사진 배치가 안정효과를 발휘하므로 어떤 크레인에서도 발생될 수 있는 로우프 진동이 감쇄된다.
저장자재를 수용하기 위해 측부부재(6a, 7a 또는 6b, 7b) 사이의 유용한 안목 치수를 최대한 활용하며 돌출된 부분이 없는 지지장치(1)의 공간절약구조는 경험상 적재 공간이 제한되고 가능한 최대로 활용해야 하는 화차나 로리에 의한 운송시 효과적이다. 이런 조립체들이 로리, 화차 또는 선박상으로 재적재되면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크레인 가로대의 훅 또는 크레인 훅에 고정된 훅 그룹이 현수판(9)상에 장착될 수 있다. 이경우, 물론 보조작업자의 수동 현수가 요구된다.
지지장치의 제 2 실시예가 제7도에 도시된다. 지지장치(27)의 형태는 2개의 평행한 지지체(25)와 2개의 반원형 연결부(26)으로 구성된 고무보우트 형태에 상응한다. 이들 부분은 모두 단면이 O형상이다. 지지장치(27)은 그 2개의 연결부(26)의 구역에 지지체(25)로부터 직각으로 신장하는 2개의 지지아암(28)을 갖는다. 지지장치는 지지아암상에 고정되며 크레인에 의해 유지되는 체인 현수체(도시하지 않음)에 의해 현수될 수 있다. 이식으로, 지지장치는 전술한 지지장치의 아암(28)로부터 정확히 대칭되게 현수될 수 있다. 재치랙(1)들 사이의 거리는 지지장치(27)의 지지아암(28)들 사이의 거리와 같다. 현수판(9)의 횡방향 안내와 중심잡기는 지지체(25)의 O형 단면에 의해 보장된다.
물론, 아주 긴 자재의 저장 또는 운송을 위해서는 2개 이상의 지지장치가 사용되기도 한다. 자재 그룹 당 3개의 지지장치를 사용할때는 물론 거의 같은 식으로 제조되지만 3개조의 지지아암들을 구비하는 다른 운송 가로대가 구비되어야 한다.
다수조의 지지아암을 갖는 만능가로대를 사용하는 것이 용이하게 생각될 수 있으므로 지 수 및 간격에 관한 모든 조합이 사용될 수 있다.
결론적으로, 본 발명에 따른 장치는 염가이며 견고한 저장 또는 운송장치를 제공한다. 고장나기 쉽거나 마모에 노출되는 가동부품들이 없으며, 다수의 독립적인 지지장치와 반송가로대의 도움으로 다양한 긴 자재들이 저장 또는 운송될 수 있다. 실제로, 이 장치는 3 내지 18미터의 길이와 9MP까지의 무게를 갖는 긴 자재에도 유리하게 사용될 수 있다.

Claims (10)

  1. 함께 연결된 2개의 U자 형상의 거어더들로 각기 형성되는 2개 이상의 지지장치 또는 재치랙과, 2개조 이상의 지지아암들을 가지며 크레인과 함께 사용되는 운송지지체를 포함하는, 강관, 강봉, 형강과 같은 무거우며 가늘고 긴 가공물들을 저장 및 운송하기 위한 장치에 있어서, 각 지지장치 또는 재치랙이 각각 거어더들의 2개의 자유단부들 사이에 장착되며, 훅을 포함하고 내향하여 구부러진 거어더 넘어로 상향하여 돌출하는 부분을 갖는 2개의 현수판들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장 및 운송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운송지지체의 각 지지아암이 상기 운송지지체의 가로대에 보강판에 의해 고정되며, 그 판은 아암의 자유단부의 구역에 놓인 베벨가공된 안내연부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장 및 운송장치.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각 현수판의 훅에 구부러진 뿔의 축방향 단면의 형상인 요부가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장 및 운송장치.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구부러진 현수판이 U자 형상 거어더들의 측부부재들의 외부 및 내부 경계면 사이에 놓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장 및 운송장치.
  5.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현수판의, 요부를 구비한 상부와, U자 형상 거어더의 측부부재들 사이에놓인 하부 사이의 각도가 165°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장 및 운송장치.
  6.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현수판의 폭이 2개의 U자 형상 거어더들의 2개의 인접한 측부부재들 사이의 안목치수에 상웅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장 및 운송장치.
  7.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지지장치의 형태가 2개의 평행한 .지지체와 2개의 반원연결부를 갖는 고무 보우트 형태에 상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장 및 운송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지지장치가 O자 형상의 횡단면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장 및 운송장치.
  9. 제7항에 있어서, 지지장치가 지지체로부터 직각으로 신장하는 지지아암들을 포함하는 저장 및 운송장치.
  10.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안내연부와 평행하게 신장하는 경사진 안내신장부를 갖는 고정판이 지지아암들의 단부들에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장 및 운송장치.
KR1019880011531A 1988-09-07 1988-09-07 저장 및 운송장치 KR97000111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880011531A KR970001113B1 (ko) 1988-09-07 1988-09-07 저장 및 운송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880011531A KR970001113B1 (ko) 1988-09-07 1988-09-07 저장 및 운송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00004603A KR900004603A (ko) 1990-04-12
KR970001113B1 true KR970001113B1 (ko) 1997-01-28

Family

ID=192775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80011531A KR970001113B1 (ko) 1988-09-07 1988-09-07 저장 및 운송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70001113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00004603A (ko) 1990-04-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191415A (en) Storage and transportation apparatus
US6202863B1 (en) Sucker rod cradle apparatus
US4952114A (en) Device for transporting adjusting frames for scaffolding
US6485251B1 (en) Pipe lifter
US3503519A (en) Material container with sling clearance
EP0268300B1 (en) Metal form pallet
KR970001113B1 (ko) 저장 및 운송장치
US5183369A (en) Access and support apparatus for loading and unloading gondola cars
US3065987A (en) Pallet lifting attachment
FI62995B (fi) Anordning foer transport foervaring och sortering av foeremaol
US1802220A (en) Car loading and unloading method
US4671418A (en) Apparatus for lashing goods
US3180479A (en) Carpenter's elevator and conveyor
EP0133719A1 (en) Handling apparatus for suspended transfer of cargoes, i.e. in particular a crane for loading and unloading containers
US3647254A (en) Beam-lifting apparatus
JP3749457B2 (ja) 長尺物の結束装置
US6681920B2 (en) Device for the automated handling and interim buffering of manufacturing components
JPH07196281A (ja) クレードル
JP7172908B2 (ja) 搬送用載置体
NL2017175B1 (en) Installation pallet
JPH07206365A (ja) クレードル装置
SU1493551A1 (ru) Контейнер
KR920005695Y1 (ko) 강관 적재대
SU1082650A1 (ru) Транспортное средство дл перевозки длинномерных грузов
KR100253598B1 (ko) 긴 부재의 반송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0121

Year of fee payment: 15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