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70000961Y1 - 유압식 암반 절개기 - Google Patents

유압식 암반 절개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70000961Y1
KR970000961Y1 KR2019940023035U KR19940023035U KR970000961Y1 KR 970000961 Y1 KR970000961 Y1 KR 970000961Y1 KR 2019940023035 U KR2019940023035 U KR 2019940023035U KR 19940023035 U KR19940023035 U KR 19940023035U KR 970000961 Y1 KR970000961 Y1 KR 97000096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using
bushing
rubber tube
wing
hydraulic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4002303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60011416U (ko
Inventor
하정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호상테크노베이션
신복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호상테크노베이션, 신복균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호상테크노베이션
Priority to KR2019940023035U priority Critical patent/KR970000961Y1/ko
Priority to US08/525,438 priority patent/US5676427A/en
Publication of KR960011416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011416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7000096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00961Y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21EARTH OR ROCK DRILLING; MINING
    • E21CMINING OR QUARRYING
    • E21C37/00Other methods or devices for dislodging with or without loading
    • E21C37/04Other methods or devices for dislodging with or without loading by devices with parts pressed mechanically against the wall of a borehole or a slit
    • EFIXED CONSTRUCTIONS
    • E21EARTH OR ROCK DRILLING; MINING
    • E21CMINING OR QUARRYING
    • E21C37/00Other methods or devices for dislodging with or without loading
    • E21C37/02Other methods or devices for dislodging with or without loading by wedges
    • EFIXED CONSTRUCTIONS
    • E21EARTH OR ROCK DRILLING; MINING
    • E21CMINING OR QUARRYING
    • E21C37/00Other methods or devices for dislodging with or without loading
    • E21C37/06Other methods or devices for dislodging with or without loading by making use of hydraulic or pneumatic pressure in a borehole
    • E21C37/10Devices with expanding elastic casing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ochemistry & Mineralogy (AREA)
  • Geology (AREA)
  • Drilling And Exploitation, And Mining Machines And Methods (AREA)
  • Percussive Tools And Related Accessorie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유압식 암반 절개기
제1도는 (a)는 종래의 유압식 암반 절개기를 일부절개한 종단면도.
(b)는 제1도 (a)의 Ⅰ - Ⅰ선을 따라 취한 단면도.
(c)는 제1도 (a)의 Ⅱ - Ⅱ선을 따라 취한 단면도.
제2도 (a)는 본고안에 따른 유압식 암반 절개기를 일부 절개한 종단면도.
(b)는 제2도 (a)도의 Ⅰ- Ⅰ선을 따라 취한 확대 단면도.
(c)는 제2도 (a)도의 Ⅱ - Ⅱ선을 따라 취한 확대 단면도.
제3도는 본 고안 장치에 따른 하우징의 사시도.
제4도는 본 고안 장치에 고무튜브의 종단면도.
제5도는 본 고안 장치에 따른 고무패킹의 사시도.
제6도는 본 고안에 따른 유량제어장치에 개략적인 흐름도.
제7도는 유량과 스트로크 사이의 함수관계를 나타내는 그래프.
제8도는 압력과 부하간의 차와 가압시간 사이의 함수관계를 나타내는 그래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콤프레서 200 : 유량제어장치
300 : 암반절개기 400 : 암반
1 : 케이싱 2 : 가요성 관상챔버
3 : 인서트 4 : 니플
5 : 부싱블록 6 : 니플헤드
7,8 : 부싱 9,10 : 벽
11,12 : 경사면 13 : 패스너
14 : 함입부 15 : 환상함입부
16 : 가요성 링 17 : 가이드 핀
21 : 하우징 21a : 하우징 내측홈
21b : 절단면 22 : 고무튜브
22a : 고무트브 요철부 22b : 고무튜브 경사부
23 : 웨지 24 : 부싱
24a : 부싱내면 요철부 24b : 부싱내면 경사부
24c : 부싱내면 절단부 25 : 부싱캡
26 : 고무패킹 27 : 하우징 복원용 스프링
28 : 링 28' : 링 내면
28a : 링 선단부 29 : 하우징 운동 유도간
29a : 하우징 운동 유도면 30 : 유압 호스
31 : 캡 32 : 손잡이 캡
33 : 손잡이 34 : 호스연결 커플링
35 : 작동유 통과공 36 : 유압봉쇄용 마개
37 : 유압봉쇄용 볼 38 : 너트
41 : 피스톤 42 : 실린더
43 : 측정용 봉
본 고안은 암반 절개기의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광산, 토목공사장, 콘크리트 옹벽철거등에서 쓰여지는 천연암반과 같은 단단한 물질의 보링홀에 장착하여 비폭파 방법으로 일정한 절개선을 따라 대상물질을 절개하는 데 사용되는 유압식 암반 절개기에 관한 것이다.
이미 알려진 유압식 암반 절개기로는 미국특허 제4,690,460호, 미국특허 제5,000,517호 및 대한민국 특허출원 제90-700037호에 제시된 것이 있다.
상기 미국특허들은 종축으로 장착된 관상의 가요성 챔버에 맞는 축방향으로 분할되는 케이싱을 포함한다.
이 케이싱은 케이싱축에 관해 수직인 평면내의 케이싱 분할선 측부에 각기 위치되고, 사이에는 사다리꼴 단면을 갖는 격리 인서트가 위치하되 이 사라리꼴의 긴변은 가요성 챔버르르 지지하고 빗변은 케이싱은 내벽을 지지하도록 되어 있다. 또 가요성 챔버의 내부공간에 유체를 공급하기 위해 또 그로부터 공기의 도피에 대비해 한 쌍의 니플이 구비된다. 이들은 그이 종축을 따라 움직이도록 케이싱의 끝면의 측부에 위치된다. 또 가요성 챔버의 각 끝부분을 원추형 니플헤드에 부착하는 수단은 니플헤드의 원추표면의 경사각에 해당하는 각에서 부싱의 종축에 관해 경사진 배력부분을 가지는 원추부분과 그리고 이 원추부분과 짝이 되는 원통형 부분을 가지는 니플을 수용하도록 중앙통로를 구비한 링에 단단히 고착된 부싱을 포함한다. 링의 원추표면의 배력부분은 니플의 또 다른 원추표면의 경사각에 해당하는 각에서 링의 종축에 대해 경사지도록 이루어진다.
그러나, 동력식 분할부재의 이런 구조는 케이싱의 분할의 한정된 스트로크(Stroke 케이싱의 팽창정도) 때문에 동력식 분할부재의 길이를 증가시키고 결과적으로 그의 무게를 증가시키게 되는 단점이 있었는 바, 이를 개선할 것으로서 대한민국 특허출원 제90-700037호(미국특허 제5,000,517호와 동일)와 같은 것이 있다.
이는 제1도(a)(b)(c)에서 보는 바와 같이, 종축으로 장착된 가요성의 관상챔버(2)와 격리 인서트(3)들이 들어 있는 축방향으로 분할된 케이싱(1)을 포함하고, 단면이 사다리꼴인 상기 인서트(3)들의 각각이 케이싱(1)의 축에 관해 수직인 평면내와 케이싱 분할면의 측부에 위치하되 사다리꼴의 긴변은 가요성 챔버(2)를 지지하고 빗변은 케이싱벽의 내표면을 지지하며, 가요성 챔버의 내부로 유체를 공급하고 그에 따라 공기가 도피할 수 있도록 하는 한쌍의 니플(4)이 케이싱의 단부면의 측부에 케이싱의 종축을 따라 움직이도록 구비되며, 또한 가요성 관상챔버의 각 단부를 니플헤드(6)에 부착하기 위한 수단, 즉 부싱블록(5)을 포함하며, 상기 부싱블록(5)은 장부와 장부구멍 연결방식(tenon and nortise joint)에 의하여 상호 연결되는 부싱(7,8) 및 패스너(13)를 포함하면서, 케이싱(1)에 수용되며, 아울러 상기 부싱블록은 케이싱의 축과 중심점이 일치되는 축을 갖는 중앙통로, 보다 긴변이 서로 마주 보도록 되어 있는 두 개의 절두 원추형 케이싱의 종축에 대한 평행면내에 존재하는 통로의 벽(9,10), 니플헤드의 일측 원추표면의 경사면(11)과 평행하도록 연장되는 통로의 원추표면의 일측 모선 및 니플헤드의 원추표면의 타측 경사면(12)과 실질적으로 평행하도록 연장되는 통로의 타측 모선을 결정한다.
제1도중, 미설명부호 14는 함입부, 15는 환상 함입부, 16은 가요성 링, 17은 가이드 핀이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기술은 첫째, 니플헤드(6)를 가요성 관상챔버(2)에 끼우기가 곤란하여 특수한 조립장비가 필요하며, 둘째, 2개의 부품으로 구성되는 부싱(7,8)을 패스너(13)로 고정시키기 때문에 장치가 고압을 받을 경우 패스너가 지탱하지 못하여 부러지는 경향이 있고, 셋째, 가요성 관상챔버(2)에 작동유가 들어가면, 챔버가 팽창하면서 격리인서트(3)와 케이싱(1)을 밀어내는 과정에서 케이싱의 함입부(14)와 부싱블록(5) 사이에 존재하는 미세한 틈으로 가요성 관상챔버의 일부분이 이상팽창하여 함입되기 때문에, 작동유가 빠지면서 압력이 떨어질 때는 그 미세한 틈으로 함입된 가요성 관상챔버의 극히 일부가 미처 빠져 나오지 못하고 부싱과 케이싱 사이에 끼이게 되어, 양 방향으로 이동했던 케이싱이 제자리로 수축 할 수 없게 되고, 이 결과 천공된 홀 속에서 벌어진 후 수축되지 않은 기기글 다시 회수하기가 곤란함은 물론 속에 있는 가요성 관상챔버는 손상으로 인해 다음 가압시에는 즉시 파열될 수 있으며, 넷째, 종래방식은 정적상태에서는 관상챔버의 내부홀(작동유 통과부분) 속으로 니플의 헤드를 강제적으로 삽입하고 부싱의 내벽에 기어이를 만들어 쌍방에서 가요성 관상챔버를 눌러줌으로써 완전한 밀봉이 가능하나, 동적상태에서는 신축성을 갖는 가요성 관상챔버(2)가 작동유의 압력으로 축외측 방향으로 수축하지만 금속재의 니플헤드(6) 가여성이 없기 때문에 니플헤드와 가요성 관성챔버 사이에 경사면(11)(12)에는 틈이 생기게 되고 이 틈새를 통해 니플 외면을 타고 작동유가 누출되며, 다섯째, 가요성 관상챔버의 작용 압력이 케이싱의 가장 취약한 부위를 종축방향으로 밀게 되어 고가이며 특수금속으로 만들어진 케이싱이 수회만에 파괴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이것의 파괴시 엄청난 힘과 속도로 튀어나오기 때문에 안전에도 큰 문제가 있으며, 여섯째, 유압을 보내 주는 가압장치에서 유량이나 압력 및 가압속도를 규제하지 못하면, 절개대상물질인 암반이 절개되는 순간 내장된 가요성 관상챔버가 한계 이상으로 팽창되고 케이싱 또한 한계 이상으로 벌어져 인접한 두 개의 케이싱의 측면으로 격리 인서트가 뛰어나오면서 장치 전체를 손상시키는 경우가 있었다.
본 고안은 이상의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해 이론적으로는 종래 절개기와 달리 유체동학(Hydro-dynamics) 과 구조역학을 기초하여 고안된 유압식 암반 절개기와 이에 대한 제어장치를 제공함을 목적으로 한다.
본 고안에 따르면, 축방향으로 쪼개어져 있으나, 포개어지면 전체로서 중공릉 갖는 원통형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중공에 내접하되 중앙에는 유체통로를 그리고 양단부 표면에는 표면 형성부가 형성된 원통형의 가요성 고무튜브, 상기 하우징과 고무튜브 사이에 길이방향으로 길게 끼워지는 사다리꼴 형상의 1쌍의 웨지, 및 유압호스에 연결된 유량제어장치로 이루어지는 유압식 암반 절개기에 있어서, 양단부 내측에 형성된 하우징 내측흠, 및 양단부 외측에 측면단면이 직선으로 되어 있는 절단면을 갖는 하우징 날개부를 포함하는 상기 하우징; 상기 고무튜브의 표면 형상부와 보합하는 형상부가 내면에 형성된 2단 원통형의 부싱 및 이 부싱과 단순결합에 의해 형성되는 접속공간이 형성되는 부싱캡을 포함하는 부싱블록; 상기 부싱블록 내부의 접속공간에 맞는 외형을 가지고서 상기 고무튜브를 관통시킨 상태로 상기 하우징의 내측홈안에 내장되는 주판알 형상의 고무패킹; 일측 단부가 상기 하우징의 날개부보다 큰 내경을 갖는 실린더형상으로서 상기 하우징의 운동폭을 결정하는 링; 상기 링에 내접함과 동시에, 상기 하우징날개부의 절단면과 접하는 유도면을 갖는 그 단면이 활꼴인 1쌍의 하우징 운동 유도간;을 포함하고, 상기 하우징의 하우징 내측홈은 상기 부싱블록의 외경과 같은 크기로서 상기 부싱블록을 수용하고, 상기 하우징의 양측 날개부의 절단면은 상기 하우징 운동 유도간의 유도면에 대해 슬라이딩 이 이루어지도록 접하여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본 고안에 따른 유압식 암반 절개기의 유량 제어장치는 작동유의 유량 및 유입속도를 제어함으로서 장치의 스트로크를 제어하고 압력(Pressure)과 저항(Registance)간의 차이(P-R)가 일정한계 이상을 넘지 않도록 제어하도록 이루어져 있다.
이하, 본 고안의 유압식 암반 절개기의 실시예를 제2도 이하의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더욱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제2도(a)(b)(c)는 본 고안에 따른 유압식 암반 절개기(300)의 종단면 및 특정부분의 단면을 보여 준다. 이드 도면에서 보는 바와 같이, 암반 절개기(300)는 축방향으로 쪼개어져 있으나 포개어지면 내부에 중공을 갖는 원통형 하우징(21,21)을 포함한다. 이 하우징의 단부측에는 내측홈(21a)이 마련되고 하우징(21)의 중공에는 중앙에 유체통로를 갖는 원통형 고무튜브(22)가 내접된다. 제3도는 상기 하우징(21)의 사시도를 보여준다.
상기 하우징(21)과 고무튜브(22) 사이에는 1쌍의 웨지(23)와 상기 고무튜브(22)를 잡아주는 부싱블록(24,25)이 위치한다. 상기 부싱블록은 부싱(24)과 부싱캡(25)으로 이루어지는 것으로, 부싱(24)의 내면에는 상기 고무튜브(22)의 단부 외향과 상응하는 형상이 마련되고, 외형은 2단 원통형이다. 이 부싱(24)안에는 후술하는 고무패킹(26)이 들어가고 이를 덮어서 결합하는 부싱캡(25)이 설치된다. 부싱(24)과 부싱캡(25)의 접속공간은 고무패킹(26)의 외형을 한정한다.
고무패킹(26)은 상기 고무튜브(22)의 단부를 삽통하여 감싸서 하우징(21)의 내측홈(21a)안에 놓인다. 이때 고무패킹(26)의 외부는 부싱블록(24,25)에 의해 감싸여진다.
한편, 절개기(300)는 상기 하우징(21)의 운동폭을 결정하는 원통형 링(28) 및 상기 링(28)에 내접하는 활꼴단면의 하우징 운동 유도간(29)을 포함한다.
상기 하우징(21)의 중앙부위는 제2도 (b)에서 보는 바와 같이 그 내부가 마름모꼴의 내공을 갖되 (바람직하기로는 빗변의 기울기가 60° ∼70° ), 내공의 중앙모서리부는 원통형의 고무튜브(22)가 내접하도록 라운딩되어 있고, 내측단부에는 원통형 부싱블록(24,25)이 들어갈 수 있는 큰 직경의 홈(21a)이 파여져 있으며, 하우징의 날개부(21b)는 제2도 (c)에서 보는 바와 같이 하우징의 상하운동의 폭을 제한하는 링(28)의 내측에 위치하며, 다시 좌우운동를 유도하는 하우징 운동 유도간(29)의 하우징 운동 유도면(29a)에 대해 슬라이딩이 이루어지도록 직선의 단면을 갖는 절단면(21'b)을 갖게 되며, 2개의 하우징(21,21)이 한쌍을 이룬다.
한편, 서로 마주보는 2개의 한쌍을 이루는 상기 웨지(23)의 단면을 제2도 (b)에서와 같이 대체로 사다리꼴을 하게 되나, 내면은 원통형 고무튜브(22)를 감싸도록 단면이 역시 라운딩처리되어 있고, 측면은 하우징의 내측면과 접하도록 평면으로 이루어짐으로써 전체적으로는 사각기둥과 흡사한 형상이다.
상기 부싱블록(24,25)은 단면이 삼각형인 링형상 즉, 제5도에서 보는 바와 같은 주판알과 같은 형상의 고무패킹(26)주위에 상기 고무패킹(26)의 양빗면과 각각 접하도록 부싱 캡(25)으로 결합되어 있으며, 중앙에는 축길이 방향으로 고무튜브(22)가 삽입가능하도록 중공을 이루고 있고, 상기 부싱은 하우징 캡(31)과 연결될 수 있도록 축길이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다. 물론 이상의 부싱의 내측으로는 고무튜브(22)와 작동유 통과공(35)이 삽통되어 있다. 상기 부싱(24)의 내측은 요철부(24a), 중앙쪽으로 경사진 경사부(24b), 및 절단부(24c)를 갖는다.
상기 고무튜브(22)는 제4도에서는 보는 바와 같이, 상기 부싱내면 요철부(24a) 및 경사부(24a,24b)와 각각 상응하는 요철부(22a) 및 경사부(22b)를 양끝부분에 갖는다.
상기의 부싱블록(24,25)의 특징을 종래의 부싱과 비교하여 좀더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본 고안에는 종래 발명(제1도 참조)에는 없던 고무패킹(26)이 들어 있어, 작동유가 고무튜브(22)에 들어가면 튜브가 팽창하면서 하우징(21)과 부싱 캡(25)사이에 있는 미세한 틈으로 함입되어 들어가지 못하도록 고무패킹(26)이 부싱 캡(25)을 중앙통로 방향으로 밀어주는 보상작용에 의해 고무튜브(22)는 반복사용 할 수 있으며 하우징(21)의 확장과 복원이 원활하게 된다.
또한 니플을 사용하지 않는 본 고안의 부싱(24)에는, 작동시 고무튜브(22)를 특별히 파지하여 중앙통로쪽으로 고무튜브(22)가 빨려나가는 것을 방지하는, 요철부(24a) 및 종축을 기준으로 수직되지 않고 특정한 경사각을 갖는 경사부(24b)가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종래기술에서 발생하는 고무튜브(22) 및 하우징(21)의 파손은 일어나지 않게 된다.
제2도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하우징(21)의 단부에는 상기 하우징 상하운동폭 제한 링(28)이 받치고 있으며, 말단에는 유압봉쇄용 마개(36)와 유압봉쇄용 볼(37)이 작동유 통과공(35)을 막고 있다. 한편, 상기 하우징의 운동폭 제한링(28)의 내경은 하우징 날개부(21b)의 외경보다 약간 크게 되어, 하우징의 운동시 하우징의 날개부(21b)가 상기 링의 내면(28')에 걸리게 됨으로써 상기 하우징의 운동폭은 일정하게 유지된다.
또한 상기 링(28)의 내측으로는 단면이 활꼴인 하우징 운동 유도간(29)이 내접하는 바, 상기 하우징 운동 유도간(29)의 곡면부위는 상기 링(28)에 내접하고, 평면부분은 상기 하우징 날개의 절단면(21'b)과 슬라이딩이 이루어지면서 하우징의 운동를 유도하는 단면이 직선인 하우징 운동유도면(29a)을 갖는다. 상기 링(28)과 일체로 구성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하우징(21)에는 유압이 제거되었을 때 이동했었던 하우징이 원위치로 포개질 수 있도록 하우징 복원용 스프링(27)이 설치되어 있다.
한편, 이상의 유압식 암반 절개기의 확장속도 및 스트로크를 제어하기 위한 제2의 장치로는, 제6도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절개기에 일정량의 유량만을 내보낼 수 있는 유량제어장치(200)가 통상의 콤프레서(100)와 연결되고, 이는 다시 유압호스(30)에 의해 암반 절개기(300) 및 암반(400)에 연결된다. 유량제어장치(200)는 피스톤(41)과 실린더(42)의 구조를 가지며 피스톤(41)의 후면에는 측정봉(43)을 연결하여서 측정봉의 이동거리로서 추가유량(△V)을 측정할 수 있도록 했다. 사이 제2장치는 제7도 및 제8도의 원리를 구현하는 적절한 프로그램에 의해 작동하도록 되어 있다. 미설명 부호 32는 손잡이 캡, 33은 손잡이, 34는 호스연결 커플링, 38은 너트이다.
다음은 본 고안에 따른 유압식 암반 절개기의 작동원리를 설명하기로 한다.
제2도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유압식 암반 절개기는 상부에 위치하고 있는 유압호스(30) 및 호스연결 커플링(34)을 통해 작동유가 작동유 통과공(35)으로 들어와 초기의 유량(V0)이 충전된 후, 추가되는 유량(△V)만큼의 작동유가 모든 부위에 동일한 압력을 가하게 된다. 고무튜브(22)가 팽창함으로써 웨지(23)는 각각 제2도 (b)에서 보는 바와 같이 종축과 수직된 방향으로 밀어내어지고 다시 하우징(21)을 축방향으로 밀어 내어, 그 스트로크가 암반(400)을 분할하게 되는 통상의 방식에서, 상기 고무튜브(22)의 팽창력은 먼저 금속보다 유연한 고무패킹(26)에 압박을 가하고 상기 고무패킹은 부싱(24) 및 부싱캡(25)에 압력을 가함으로써, 부싱블록(24,25)과 하우징 내측홈(21a)간의 유격을 막아 준다. 고무패킹(26)의 이러한 보상작용에 의해 고무튜브의 일부분이 상기 금속사이의 유격으로 유입됨을써 절개기의 손상 및 파손없이 연속작업을 가능토록 할뿐만 아니라 절개기를 천공홀에서 쉽게 수거할 수 있게 한다.
또한, 본 고안에서는 제2도 (c)와 같은 별도의 제한 링(28)을 하우징(21)과 부싱(24)의 외주에 끼울 수 있도록 되어 있기 때문에, 하우징 날개부(21b)의 절단면(21'b)이 하우징 운동유도면(29a)을 따라 움직이게 되어 하우징(21)이 부상축을 중심으로 균형적으로 움직이게 될 뿐만 아니라 하우징이 상기링의 내면(28')까지만 움직일 수 있게 되어 무제한적인 이동은 제어된다.
즉, 하우징 외면에 가해지는 불균등한 저항에도 절개기는 편개되지 않고 종축방향으로 균등하게 이동함은 물론 부싱축을 중심으로 좌우로 치우치지 않고 직선 방향으로 운동를 하여 고무튜브가 이상팽창으로 터지는 경우가 없다.
한편, 본 고안에 따른 암반 절개기의 스트로크의 제어방식으로는, 제6도에서 보는 바와 같이, 콤프레서(100)로부터 작동유가 실리너(42)안에 있는 피스톤(41)을 밀어 암반 절개기(300)에 주입시키는 과정에서 피스톤(41)의 후면에 붙어 있는 측정봉(43)의 이동거리로서 추가유량(△V)을 측정할 수 있고, 압력과 부하간의 차이가 나타나는 시점을 알게 하여 고무튜브와 절개기전체를 안전하게 보호하여 줌으로써 효과적인 암반(400)의 분할 및 이후의 연속동작이 원활히 이루어지게 되는데, 이는 제7도에서와 같이 스트로크(S)와 추가되는 유량(△V)사이에 암반의 성질에 무관하게 일정한 함수관계 S = f(V)가 성립한다는 사실과, 제8도에서와 같이 압력(P), 저항(R:암반이 분할되지 않으려는 반작용의 힘), 가압시간(T) 간에는 T 2시점까지 P곡선과 R곡선이 동일하게 움직이다가, T2시점에서, 즉, 암반이 완전히 절개되는 시점에서, 저항곡선 R은 암반의 실무게에 해당하는 Rc점으로 곡선의 이동(Shift)이 일어나고, 압력곡선 P는 일정한 시차를 두고 서서히 하강하는 하강곡선을 그리다가 T3에 와서 P=R이 되어 겹치게 된다는 사실 때문에 P곡선이 R곡선보다 상위에 있는 T2-T3까지의 순간에 대한 적절한 제어가 필요하게 된다.
만약 수동 펌프를 사용할 경우에는 고도의 숙련된 조작자가 이 수간을 포착하여 더 이상의 가압을 중단하고 순간적으로 벨브를 열어 일정한 추거유량(△V)을 회수한다면, 절개기는 안전할 수 있으나, 전동펌프를 사용할 경우이러한 조작이 자동으로 이루어져야 한다.
즉 상기 T2- T3에 적절히 대응하지 못할 경우에는 고무튜브(22)는 이상팽창하게 되고 웨지(23)는 하우징(21)의 밖으로 튀어나와 암반절개와 동시에 절개기전체가 파손될 수 밖에 없다. 이상과 같은 현상에 대응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제6도의 유압제어장치(200)이다.
상기 언급한 바와 같이 구성된 유압식 암반 절개기는 다음과 같은 효과를 갖는다.
본 고안에 따른 절개기는 제1도와 같이 관상챔버(2)의 속으로 삽입되는 끝부분이 뭉퉁하며 특별한 경사면(11,12)을 갖는 헤드(6)가 있는 종축으로 운동하는 종래 기술의 니플(4)을 사용하지 않기 때문에, 고무튜브를 부상에 조립하는데 특별한 조립기구를 이용할 필요없이 작업현장에서 맨손으로 1∼2분만에 조립할 수 있게 할 뿐만 아니라 니플외면을 타고 작동유가 유출되어 압력이 상승되지 않아 절개기가 본래의 기능을 원활하게 수행할 수 있으며, 니플헤드의 경사면(11,12)과 상응하는 경사각과 내부경사면(9,10)을 갖고 패스너(13)에 의해 결합되는 종래의 부싱블록 대신에, 부싱(24)과 부싱캡(25)을 이용하여 슬라이딩하면서 열렸다 닫혔다 할 수 있도록 하여 종래기술에서 발생된 패스너의 절단 등의 고장을 막으며, 정적상태에서 부싱블록(24,25)과 하우징의 내측홈(21a)사이에 있는 유격을 동적상태에서 고무패킹(26)의 보상작용으로 채워 주게 되어 고무튜브의 사용수명이 연장되며, 부싱내면 요철부(24a)가 고무튜브를 중앙으로 빨려나가지 못하도록 파지하고 부싱내측 경사부(24b)가 작동유를 종축방향으로 부싱을 밀고 하우징의 취약부분인 내측홈(21a) 으로 밀어내는 힘을 크게 감축시킴으로써 하우징의 사용수명이 연장되며, 암반절개 순간에 고무튜브(22)가 터지고 웨지(23)가 하우징(21)밖으로 튀어나와 절개기전체가 파손되는 현상을 원천 봉쇄할 수 있다.

Claims (3)

  1. 축방향으로 쪼개어져 있으나, 포개어지면 전체로서 중공을 갖는 원통형 하우징(21,21), 상기 하우징의 중공에 내접하되 중앙에는 유체통로를 그리고 양단부 표면에는 표면형상부가 형성된 원통형의 가요성 고무튜브(22), 상기 하우징(21)과 고무튜브(22) 사이에 길이 방향으로 길게 끼워지는 사다리꼴 형상의 1쌍의 웨지(23), 및 유압호스에 연결된 유량제어장치(200)로 이루어지는 유압식 암반 절개기에 있어서, 양단부 내측에 형성된 하우징 내측홈(21a), 및 양단부 외측에 측면 단면이 직선으로 되어 있는 절단면(21'b)을 갖는 하우징 날개부(21b)를 포함하는 상기 하우징(21); 상기 고무튜브의 표면 형상부와 보합하는 형상부가 내면에 형성된 2단 원통형의 부싱(24), 및 이 부싱과 단순결합에 의해 접속공간이 형성되는 부싱캡(25)을 포함하는 부싱블록(24,25); 상기 부싱블록 내부의 접속공간에 맞는 외형을 가지고서 상기 고무튜브를 관통시킨 상태로 상기 하우징의 내측홈안에 내장되는 주판알 형상의 고무패킹(26); 일측 단부가 상기 하우징의 날개부보다 큰 내경을 갖는 실린더형으로서 상기 하우징의 운동폭을 결정하는 링(28); 일측 단부가 상기 하우징의 날개부보다 큰 내경을 갖는 실린더형상으로서 상기 하우징의 운동폭을 결정하는 링(28); 상기 링에 내접함과 동시에, 상기 하우징날개부의 절단면과 접하는 유도면(29a)을 갖는 그 단면이 활꼴인 1쌍의 하우징 운동 유도간(29);을 포함하고, 상기 하우징의 하우징 내측홈(21a)은 상기 부싱블록의 외경과 거의 같은 크기로서 상기 부싱블록을 수용하고, 상기 하우징의 양측 날개부의 절단면 (21'b)은 상기 하우징 운동 유도간의 유도면(29a)에 대해 슬라이딩이 이루어지도록 접하여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압식 암반 절개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유량제어장치(200)가 피스톤(41)-실린더(42) 형식이고, 피스톤(41)의 후면에는 피스톤 이동거리 측정봉(43)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압식 암반 절개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부싱(24)의 내면 형상부가 요철부(24a) 및 경사부(24b)를 포함하고, 고무튜브(22)의 외면 형상부가 상기 부싱내면의 형상에 각각 상응하는 요철부(22a) 및 경사부(22b) 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압식 암반 절개기.
KR2019940023035U 1994-09-07 1994-09-07 유압식 암반 절개기 KR970000961Y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40023035U KR970000961Y1 (ko) 1994-09-07 1994-09-07 유압식 암반 절개기
US08/525,438 US5676427A (en) 1994-09-07 1995-09-07 Apparatus for hydraulically splitting up rock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40023035U KR970000961Y1 (ko) 1994-09-07 1994-09-07 유압식 암반 절개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11416U KR960011416U (ko) 1996-04-15
KR970000961Y1 true KR970000961Y1 (ko) 1997-02-14

Family

ID=1939260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40023035U KR970000961Y1 (ko) 1994-09-07 1994-09-07 유압식 암반 절개기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5676427A (ko)
KR (1) KR970000961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51944B1 (ko) * 2007-10-18 2008-08-12 이상휴 무진동 암반절개장치용 외부튜브 어셈블리
KR101258866B1 (ko) * 2011-01-31 2013-04-29 주식회사 기술나라 유체압력을 이용한 암반절개 공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305753B1 (en) 1999-03-04 2001-10-23 Casiano Glenie Rodrigues Hydraulic expansion tube
SE531266C2 (sv) * 2006-02-15 2009-02-03 Emstone Ab Expansionsanordning för riktad kilformig spräckning av sten, berg, betong eller liknande material
CN104191529B (zh) * 2014-09-04 2015-12-23 天峨县宏昌农机专业合作社 液压式石材劈裂孔刨槽机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S150665B2 (ko) * 1968-03-07 1973-09-04
US3690460A (en) * 1971-03-11 1972-09-12 Ross W Lyon Relief valve for oil filters or the like
DE2336063C2 (de) * 1973-07-16 1975-06-26 Helmut 7712 Blumberg Darda Hydraulisch betätigtes Gerät zum mechanischen Zerlegen von Gestein
ZA752609B (en) * 1975-04-23 1976-08-25 Atlas Copco Ab Improvements in or relating to methods of and apparatus for winning reef
US4072353A (en) * 1976-08-27 1978-02-07 The Curators Of The University Of Missouri Thrust-impact rock-splitter
US4168862A (en) * 1978-01-05 1979-09-25 Langfield Edward R Wear or thrust plates for hydraulic rock splitting apparatus
US4215901A (en) * 1978-04-04 1980-08-05 Edward R. Langfield Hydraulically actuated tool for mechanically splitting rock-like material
US4474410A (en) * 1981-03-31 1984-10-02 Kabushiki Kaisha Komatsu Seisakusho Power-driven, wedge-operated rock splitter
US4571002A (en) * 1984-05-10 1986-02-18 Kabushiki Kaisha Komatsu Seisakusho Hydraulic rock splitter
JPH01502126A (ja) * 1987-01-23 1989-07-27 ゴルノ―アルタイスキイ ゴスダルストヴェンニイ ペダゴギチェスキイ インスチチュート 方位力発生装置
SU1767174A1 (ru) * 1988-05-06 1992-10-07 Горно-Алтайский государственный педагогический институт Силовой элемент
US5015039A (en) * 1990-01-08 1991-05-14 The United States Of America As Represented By The Department Of The Interior Hydraulically actuated mechanical rock excavator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51944B1 (ko) * 2007-10-18 2008-08-12 이상휴 무진동 암반절개장치용 외부튜브 어셈블리
KR101258866B1 (ko) * 2011-01-31 2013-04-29 주식회사 기술나라 유체압력을 이용한 암반절개 공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11416U (ko) 1996-04-15
US5676427A (en) 1997-10-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892144A (en) Inflatable tools
US5435394A (en) Anchor system for pipe cutting apparatus
CA2449919C (en) Expansion set liner hanger and method of setting same
KR100888585B1 (ko) 다단 가압식 그라우팅장치 및 이를 이용한 다단 가압식그라우팅공법
EP3592940B1 (en) Downhole anchor mechanism
EP3510240B1 (en) Improved blowout preventer
JPS5833359B2 (ja) イノパツカ
US4790384A (en) Hydraulic well penetration apparatus and method
US5398998A (en) Pressure actuated fracture device
KR970000961Y1 (ko) 유압식 암반 절개기
ES2195423T3 (es) Una maquina roscadora submarina equilibrada en presion.
EP2771537B1 (en) A downhole tool
CN109667565B (zh) 一种裸孔锚固装置及工艺方法
FI64438B (fi) Foerfarande foer spjaelkning av sten
SU1767174A1 (ru) Силовой элемент
CN113982592B (zh) 一种推进式拼接工作井支护结构
WO1994018429A1 (en) Sealing device for sealing of holes in the wall of a pipe in a curved oil well, an anchoring device for the sealing device and a tool for mounting of the sealing device and the anchoring device
RU2164587C2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перекрытия колонны насосно-компрессорных труб
SU1213175A1 (ru) Пакер гидравлический
SU1521857A1 (ru) Способ разрушени участка трубы в скважине и устройство дл его осуществлени
RU2177532C2 (ru) Пакер для насосно-компрессорных труб
SU1239253A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 образовани разрывов в горном массиве
CA1135683A (en) Pump in core breaker carrier
SU939717A1 (ru) Центратор дл обсадных колонн
SU1118773A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 герметизации скважин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