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70000868B1 - 자동조정 드럼 브레이크 - Google Patents

자동조정 드럼 브레이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70000868B1
KR970000868B1 KR1019880015507A KR880015507A KR970000868B1 KR 970000868 B1 KR970000868 B1 KR 970000868B1 KR 1019880015507 A KR1019880015507 A KR 1019880015507A KR 880015507 A KR880015507 A KR 880015507A KR 970000868 B1 KR970000868 B1 KR 97000086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rake
lever
shoe
shoes
brake mo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8001550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90010450A (ko
Inventor
미슈 에릭
Original Assignee
벤딕스 프랑스 소시에떼 아노님
크리스띠앙 레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벤딕스 프랑스 소시에떼 아노님, 크리스띠앙 레제 filed Critical 벤딕스 프랑스 소시에떼 아노님
Publication of KR89001045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9001045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7000086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0086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DCOUPLINGS FOR TRANSMITTING ROTATION; CLUTCHES; BRAKES
    • F16D65/00Parts or details
    • F16D65/02Braking members; Mounting thereof
    • F16D65/10Drums for externally- or internally-engaging brak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DCOUPLINGS FOR TRANSMITTING ROTATION; CLUTCHES; BRAKES
    • F16D65/00Parts or details
    • F16D65/38Slack adjusters
    • F16D65/40Slack adjusters mechanical
    • F16D65/52Slack adjusters mechanical self-acting in one direction for adjusting excessive play
    • F16D65/56Slack adjusters mechanical self-acting in one direction for adjusting excessive play with screw-thread and nut
    • F16D65/561Slack adjusters mechanical self-acting in one direction for adjusting excessive play with screw-thread and nut for mounting within the confines of a drum brake
    • F16D65/563Slack adjusters mechanical self-acting in one direction for adjusting excessive play with screw-thread and nut for mounting within the confines of a drum brake arranged adjacent to service brake actuator, e.g. on parking brake lever, and not subjected to service brake forc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Braking Arrangement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자동조정 드럼 브레이크
제1도는 왼편 반쪽 및 오른편 반쪽이 본 발명에 따른 드럼 브레이크의 구조에 대한 2개의 다른 형상을 도시하고 있는 평면도.
제2a도 및 제2b도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라서 제1도의 왼편에 도시된 브레이크 슈우(brake shoe)의 상부끝을 배척으로 도시한 평면도들로서, 제2a도에서는 정상의 브레이크 작용동안에 차지하는 위치에서, 제2b도에서는 과대한 브레이크 작용동안에 차지하는 위치에서 브레이크 다른 구성부분들을 각각 도사하고 있으며,
제3도는 제2a도 및 제2b도에 도시된 실시예의 경우에 제1도의 선 III-III에 따른 단면도.
제4a도 및 제4b도는 제2a도 및 제2b도와 비교되는 배척으로 각각 정상 브레이크 작용인 경우와 과대한 브레이크 작용인 경우에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브레이크의 다른 구성부분들을 도시하고 있는 평면도들 ; 및
제5도는 제4a도 및 제4b도에 도시된 실시예의 경우에 제3도와 비교되는 단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유지 플레이트 12,14 : 브레이크 슈우
16,18 : 마찰부재 20 : 회전드럼
22 : 브레이크 모우터 30 : 제1 탄성부제
34,46 : 레버 34,46 : 피버트핀
40 : 스페이서 40c,40d : 자동조정부재
42,50 : 제2 탄성부재
본 발명은 브레이크 마찰부재들의 어떤 마모를 고려하여 브레이크 모우터의 행정이 그러한 마모에도 불구하고 실제로 변화되지 않은채로 있도록 한 자동조정장치를 설비한 드럼 브레이크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종류의 브레이크는 개인 전용차량 또는 무거운 차량에 모두 이용될 수 있다.
보다 더 정확히는 본 발명은 미국 특허 제4,222,467호에 개시되어 있는 종류의 드럼 브레이크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브레이크는 2개의 브레이크 슈우에 지지되는 마찰 라이닝들이 미끄럼 운동 가능하게 장착되는지지 플레이트를 포함하고 있다.
이러한 라이닝들은 슈우들의 2개의 인접끝들 사이에 끼워지는 브레이크 모우터에 의하여 회전 드럼에 접촉되기에 적합하다. 가변성 길이의 스페이서는 슈우들의 끝들 사이의 최소 일정 간격거리를 형성하도록 브레이크 모우터의 부근에서 슈우들 사이에 끼워진다.
스프링은 브레이크 모우터가 작동되지 않을 때 스페이서에 대항하여 슈우들을 가압한다.
이러한 드럼 브레이크에서, 자동조정장치는 스페이서의 신장을 제어한다.
이러한 목적을 위하여, 스페이서는 나사가 기어에 고착되는 나사 및 너트 배열을 포함하고 있다.
브레이크 모우터의 작동이 슈우들의 끝들을 설정된 작동간극을 초과하는 범위로 떨어지도록 운동시킬 때, 기어와 맞물리는 발톱모양부는 스페이서의 신장에 상응하는 방향으로 기어의 회전을 일으킨다.
자동조정장치가 설비되어 있으나 어떤 특별한 배열이 구비되지 않은 드럼 브레이크들에서, 브레이크의 작동상태가 어떠할지라도 모우터에 인접한 슈우들의 끝들이 설정 작동간극을 초과하는 범위로 떨어져서 일정간경을 이루자마자 조정은 성취된다.
그렇지만, 자동조정장치가 부적당하게 작동되는 결과로서, 강력한 브레이크 작용은 슈우들 및 드럼의 기계적 변형을 일으킨다.
이것은 결국 브레이크의 가열 및 마찰 라이닝들의 때이른 마모를 일으키는 잔여 토오크가 되는 과도한 조정이 된다.
유럽 특허 제0061961호에서 이러한 문제점에 대한 해결점은, 자동조정장치가 슈우들중의 하나에 선회운동을 위하여 장착된 조정레버를 포함하고 있으며 그 끝이 동일한 슈우상에 장착된 발톱모양부와 결합된 이빨이 난 부분에 대항하여 지탱하는 드럼 브레이크의 경우에, 제안되어졌다.
챌정은 스페이서상에 형성된 손가락 모양부의 작용을 통한 조정레버의 선회운동을 통하여 일어난다.
이러한 문서에서 압력하의 조정의 중립화는 브레이크 작용 압력이 과도하게 될 때 더 이상의 선회를 할 수 없는 그러한 방법으로, 이러한 조정레버상의 브레이크 모우터의 작용을 통하여 성취된다.
비록 가혹한 브레이크 작용의 경우에 드럼 브레이크들의 부적당한 조정의 문제에 대해 유럽 특허 제0061961호에서 설명된 해결점이 만족스러울지라도, 그것은 자동조정장치가 슈우들중의 하나에 선회 가능하게 장착된 조정레버 및 발톱 모양부를 포함하고 있는 브레이크들에서만 적용될 수 있다.
특히, 이러한 해결점은 특히 미국 특허 제4222467호에 의하여 개시된 바와같이, 자동조정장치가 스페이서의 신장을 직접 제어하는 드럼 브레이크들에 적용될 수는 없다.
본 발명은 스페이서의 신장을 직접 제어하는 자동조정장치가 설비된 드럼 브레이크에 관한 것이며, 이러한 브레이크는 가혹한 브레이크 작용의 경우에, 바꾸어 말하면 브레이크 모우터에 의하여 슈우들에 적용되는 압력이 설정한계치를 초과하는 경우에 자동조정장치를 중립화시키는 것을 가능하게 하는 부재를 구비하고 있다.
본 발명에 따라서, 이러한 결과는, 슈우들의 2개의 인접끝들 사이에 끼워진 브레이크 모우터에 의하여 회전드럼과 접촉되기에 적합한 마찰 부재들을 지지하는 2개의 브레이크 슈우들상에 미끄럼 운동 가능하게 장착된 유지플레이트, 브레이크 모우터의 부근에서의 슈우들 사이에 끼워진 가변성 길이의 스페이서, 브레이크모우터의 작동이 슈우들의 상기 끝들을 설정된 작동 간극을 초과하는 범위로 떨어지도록 운동시킬 때 스페이서의 신장을 일으키는 자동조정부재, 자동조정부재를 중립화시키는 부재, 스페이서에 대항하여 슈우들을 가압하는 제1 탄성부재 및 브레이크 모우터(22)가 정상으로 지탱하고 있는 레버(46,34)를 피버트핀(48,36)에 의하여 지지하는 제1 슈우로 구성되어 있으며, 스페이서는 상기 제1 탄성부재의 작용을 통하여 레버(46,34)상에 정상으로 지탱하고 있으며, 제2 탄성부재는 제1 슈우에 대항하여 맞닿음 상태로 레버를 유지하려고 하는 힘을 레버레 작용시키기 위하여 제1 슈우에 대항하여 지탱하고 있고, 레버의 피이트핀에 관하여 이러한 힘의 모멘트는 브레이크 모우터에 의하여 레버에 발휘되는 힘의 모멘트와 반대로 있으며 그러한 모멘트의 한계치를 결장하고, 그 한계치를 넘으면 브레이크 모우터의 작동은 다른 슈우쪽으로 레버의 선회작용을 일으키며 그로 인하여 자동조정부재를 중립화시키는, 자동조정 드럼 브레이크의 도움으로 얻어진다.
그리하여 형성된 개량된 드럼 브레이크에서, 브레이크 모두터 및 스페이서는 상기 슈상에 선회작용을 위하여 장착 된 레버의 도움으로 슈우들중의 하나에 대항하여 지탱한다. 레버는 스프링에 의하여 레버를 지지하는 슈우상에 정상적으로 잠겨진다.
피버트핀 축선에 관하여 브레이크 모우터에 의하여 레버상에 발휘되는 힘의 모멘트는 스프링에 의하여 반대편 방향으로 발휘되는 모멘트를 초과하며, 레버는 슈우상에서 선회한다. 그러면 레버는 스페이서의 길이의 증가가 일어나지 않는 그러한 방법으로 스페이서에 대항하여 지탱하며 유지된다.
제1슈우상에서의 레버의 피버트핀 축선은 브레이크 모우터의 축선을 포함하는 평면에 위치되며, 브레이크 모우터는 레버상에 형성되어 있으며 스페이서에 관하여 상기 평면의 다른쪽상에 위치된 둘출부에 대항하여 지탱하고 있다.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서 브레이크 모우터 및 제2탄성부재는 레버의 반대편 끝들어 대항하여 지탱하고 있으며, 레버는 브레이크 모우터에 인접한 지점에서의 제1슈우상에서 선회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 선회하는 레버는 브레이크 모우터에 인접한 지점에서의 제1슈우상에서 선회되는 핸드 브레치크 레버이며, 제2탄성부재는 핸드 브레이크 레버에 대항하여 맞닿음 상태로 스페이서를 영구적으로 유지하기 위하여 스페이서와 제1슈우 사이에 끼워진다.
본 발명의 2개의 실시예들은 예로서 한정하지 않고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될 것이다.
제1도에 도시된 드럼 브레이크는 원형 칼라(10b)에 의하여 바깥둘레상에 뻗어져 있는 대략의 평면디스크(10a)로 구성되어 있는지지 플레이트(10)를 포함하고 있다.
이러한 플레이트(10)는 차축 플랜지와 같은 차량의 고착된 부품에 고정될 예정이다.
2개의 브레이트 슈우(12 및 14)들은 종래 기구(도시되어 있지 않음)의 도움으로지지 플레이트의 디스크(10a)에 의하여 미끄러지게 지지되어 있다.
종래 방법에서, 슈우(12 및 14)들 각각은 림(12b,14b)에 고착되는 대략의 평면 웨브(12a,14a)를 포함하고 있는데, 이 림은 원호 형상을 가지고 있으며 그것의 회부면 마찰 라이닝(16 및 18)들상에 각각 지지된다.
슈우(12 및 14)들은 라이닝(16 및 18)들의 외부덮개들이지지 플레이트(10)의 축과 일치하는 축의 원위에 놓여지는 그러한 방법으로지지 플레이트(10)상에 배치되어 있다.
그리하여 라이닝(16 및 18)들은 제1도에서 일점쇄선으로 도시되어 2개의 슈우들을 덮고 있는 브레이크 드럼(20)의 내측 표면과 접촉할 수 있다.
드럼(20)은 칼라(10b) 내측에 도심으로 장착되며 차량바퀴와 같은 회전부품에 고착되어 있다.
수압으로 작동되는 브레이크 모우터(22)는 슈우(12 및 14)들의 2개의 제1인접끝들 사이에서 지지 플레이트의 디스크(10a)상에 고착되어 있다.
이러한 브레이크 모우터(22)는 브레이크 모우터가 작동될 때 슈우들 각각의 웨브(12a,14a)의 상응하는 끝들상에 축력을 발휘할 정도의 그러한 방법으로 반대로 움직이는 2개의 피스톤(24 및 26)들을 구비하고 있다.
마찬가지로지지 플레이트의 디스크(10a)상에 고착된 고정블럭(28)은 이러한 슈우들의 웨브(12a 및 14a)들의 상응하는 끝들이 상기 블록에 대항하여 지탱하는 그러한 방법으로 슈우(12 및 14)들의 다른 2개의 인접끝들 사이에 배치되어 있다.
인장스프링(30)은 브레이크 모우터의 중간부근에서, 사이에 브레이크 모우터(22)가 배치된 브레이크 슈우웨브들의 끝들 사이에 끼워지기 때문에, 모우터가 작동되지 않을때에는 상기 끝들을 서로를 향하여 접근시키게 된다.
비교되는 방법으로, 슈우(12 및 14)들의 다른 2개의 인접끝들은 상기 블록의 중간 부근에서, 브레이크 슈우 웨브드르이 상응하는 끝들 사이에 끼워지는 안장스프링(32)에 의하여 고정블럭(28)에 대항하여 지탱하도록 유지되어 있다.
차량이 전방으로 운동하고 있을때에 브레이크 드럼(20)은 제1도에서의 화살표(F) 방향으로 회전하는 것으로 가정하면, 마찰접촉상태로 있을때의 슈우(12)는 고정블럭(28)에 대항하여 지탱하고 있으며 한편 동일 상태하에서의 슈우(14)는 브레이크 모우터(22)의 피스톤(26)에 대항하여 지탱하고 있다는 사실에 의하여 슈우(12 및 14)들은 구별될 수 있다.
이러한 차이를 고려하기 위하여 슈우(12 및 14)들은 각각 압축상태의 슈우 및 인장상태의 슈우라 불린다.
핸드 브레이크 레버(34)는 그 끝들중의 하나, 예를 들면 핀(36)의 도움을 받고 있으며 브레이크 모우터(22)에 인접하여 있는 인장상태의 슈우(14)의 웨브의 그 끝에 의하여, 선회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다.
상기 핀(36)의 기하학적인 축선은 브레이크 모우터(22)의 축선과 같은 평면에 위치하고 있으며 상기 브레이크 모우터의 축선과 수직하게 향하고 있다.
수동 제어 케이블(38)의 끝은 핸드 브레이크 레버(34)의 다른 끝에 고정되어 있다.
제1도에 도시된 브레이크 드럼은 또한 브레이크 모우터(22)의 부근에서 상기 브레이크 모우터의 축선과 대략 평행하는, 슈우(12 및 14)들 사이에 배치된 스페이서(40)를 구비하고 있다.
스페이서(40)는 길이에 있어서 변화시킬 수 있으며 그 길이를 마찰 라이닝(16 및 18)들의 마모에 비례하여 증가되게 할 수 있는 자동조정부재가 설비되어 있다.
이것을 위하여 스페이서(40)는 슈우(12)의 웨브를 수용하는 컷아웃(cutout) 그리고 슈우(14)의 웨브를 수용하는 컷아웃 및 핸드 브레이크 레버(34)가 각각 형성되어 있는 2개의 끝부분(40a 및 40b)들을 가지고 있다.
스페이서(40)의 위치에서 슈우(12 및 14)들 각각의 웨브의 내부 가장자리상에 형성된 스텝(step)들은 스페이서(40)를 알맞는 장소에 유지되게 한다.
인장스프링(42)의 끝들은 핸드 브레이크 레버(34)와 부분(40b)에 형성된 상응하는 컷아웃의 바닥과의 사이에 영구적 접촉을 얻는 그러한 방법으로, 인장상태의 슈우(14)의 웨브에 그리고 끝부분(40b)에 각각 부착되어 있다.
그리하여 이러한 스프링(42)은 핸드 브레이크 레버를 지지하는 슈우(14)의 웨브으 내부 가장자리에 대항하여 상기 레버의 가압부(34b)에 간접적으로 작용한다.
비교되는 방법으로, 부분(40a)는 끝들이 슈우(12)의 웨브에 대항하여 그리고 부분(40a)에 대항하여 각각 지탱하고 있는 인장스프링(44)에 의하여 슈우(12)의 웨브쪽으로 가압된다.
스페이서(40)는 부분(40a)에서 나사로 조절되는 제3부분(40c)을 가지고 있다.
부분(40b)에 면하여 있는 그 끝에서 부분(40a)은 부분(40b)의 인접 끝에 형성된 호올내에서 미끄럼 운동하는 로드에 의하여 뻗어져 있다.
연장가능한 스페이서(40)와 결합된 자동조절부재는 중간 부분(40c)의 바깥둘레상에 그리고 탄성 블레이드(blade)의 끝에 형성되어 그 반대편 끝이 부분(40b)상에 고정된 발톱모양부(40d)와 맞물림상태로 형성되어 있는 치차를 포함하고 있다.
스페이서의 부분(40a)상에 고착된 부재(도시되어 있지 않음)는 설정 작동 간극보다 초과하여 서로로부터 멀어지는 스페이서의 부분(40a 및 40b)들의 어떤 운동이 발톱모양부(40d)에게 스페이서(40)의 신장에 상응하는 방향으로 상기 치차를 회전시킬 수 있게 하는 그러한 방법으로, 발톱모양부(40d)를 지지하는 스프링 블레이드와 협동하고 있다.
브레이크 모우터(22)에서의 압력이 풀어질 때, 인장스프링(30)은 슈우들의 끝들을 상기 모우터에 인접하는 위치로 뒤로 당기며, 이러한 끝들 사이의 최소 거리는 완전 나사 삽입된 위치에서의 스페이서(40)의 길이에 의하여 형성된다.
본 발명에 따라서, 장치는 또한 브레이크 모우터(22)에 의하여 슈우들에 작용되는 브레이크 작용력이 최초 설정치를 초과할 때 방금 설명된 자동조정부재를 중립화시키기 위하여 제공된다.
제1도의 왼편에 도시된 상기 중립화 부재의 구조에 대한 제1형상은 이제 제2a도, 제2b도 및 제3도를 참고로 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될 것이다.
본 발명의 이러한 제1실시예에서, 레버(46)는 브레이크 모우터(22)에 인접한 선도 슈우의 웨브(12a)의 끝상에 핀(48)에 의하여 선회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다.
상기 핀(48)의 기하학적 축선은 브레이크 모우터(22)의 축선과 동일한 평면상에 위치되어 있으며 상기 브레이크 모우터의 축선과 수직하게 향하고 있다.
제2a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브레이크 모우터(22)에 인접한 레버(46)의 끝은 스페이서(40)에 관련하여, 브레이크 모우터(22) 및 피버트핀(48)의 기하학적 축선들을 지나가는 평면의 맞은편 쪽에 완전히 위치된 돌출부(46a)에서 끝난다.
제2a도에 대하여 설명하면, 슈우(12)의 웨브(12a)와 레버(46)의 반대편 끝과의 사이에 끼워지는 인장스프링(50)은 상기 레버의 반대편 끝을 시계방향으로 회전하도록 가압하며, 그리하여 슈우(12)에 대한 레버(46)의 맞닿음에 의하여 결정된 정지 위치에 레버를 정상적으로 유지하게 된다.
이것을 위하여 레버(46)는 선도 슈우의 웨브(12a)의 내측 가장자리에 대항하여 지탱되기에 적합한 압축부(도시되어 있지 않음)를 가질 수도 있다.
이러한 정지위치에서 돌출부(46a)는 브레이크 모우터(22)에 인접한 슈우의 웨브의 끝 가장자리를 넘어서 돌출하여 있다. 그러므로 피스톤(24)은 돌출부(46a)에 대항하여 지탱하고 있으며 슈우(12)의 웨브의 끝 가장자리로부터 떨어져일정 간격을 두고 있다.
더욱이, 본래 형성된 레버(46)의 정지위치에서 이것은 스페이서(40)의 부분(40a)에 형성된 컷아웃의 바닥과 접촉하고 있으며, 반면에 슈우(12)의 웨브(12a)는 상기 컷아웃으로부터 떨어져 일장간격을 두고 있다.
제2a도 및 제3도를 참조하여 방금 상기에서 설명된 배열에서, 그리고 이러한 타입의 드럼 브레치크와 대비하여, 브레이크 모우터의 피스톤(24)과 슈우(12)의 웨브와의 사이, 또는 스페이서(40)와 슈우(12)의 웨브와의 사이에는 직접적인 접촉이 없다.
제2a도에 대하여 설명하면, 브레이크 모우터(22)의 작동에서, 레버(46)는 2개의 반대되는 힘, 즉 레버를 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키도록 가압하는 스프링(50)에 의하여 작용되는 힘, 그리고 레버(46)를 반대편 방향으로 회전시키도록 가압하는 피스톤(24)에 의하여 작용되는 힘을 받는다.
정상적인 브레이크 작용에 상응하는 제2a도에 도시된 경우에서, 핀(48) 축선에 관하여 피스톤(24)에 의하여 레버의 돌출부(46a)상에 발휘되는 힘의 모멘트는 핀(48) 축선에 관하여 스프링(50)에 의하여 레버의 반대편 끝상에 발휘되는 힘의 모멘트보다 더 작다.
결과적으로, 레버는 그 정지위치에서 머무르며, 바꾸어 말하면 그것은 슈우(12)의 웨브상에서 선회하지 않는다.
이러한 상황에서 상기 설명된 자동조정장치의 작동은 중립화되지 않으며, 바꾸어 말하면 스페이서(40)의 신장은 브레이크 모우터(22)의 작동으로부터 발생된 슈우의 끝들 사이의 거리가 이러한 장치에 의하여 허용되는 작동 간극을 초과하자마자 성취된다.
이와 반대로, 제2b도는 브레이크 모우터에 이접하는 슈우들의 끝들에 과도한 힘을 작용시키며 그리하여 본 발명에 따르는 장치가 설비되지 않은 브레이크에서 결국 과도한 조정이 되는 과도한 브레이크 작용의 경우를 도시하고 있다.
이러한 상황이 발생할 때, 피스톤(24)에 의하여 레버의 돌출부(46a) 상에 발휘되는 힘의 모멘트는 레버(46)의 피버트핀(48)에 관하여 스프링(50)에 의하여 반대방향으로 레버(46)의 반대편 끝상에 발휘되는 힘의 모멘트를 초과한다.
그러면 결과적으로 제2도에 대하여 설명하면, 브레이크 모우터(22)의 작동은 레버(46)의 핀에 관하여 반시계방향으로 레버(46)의 선회적용을 수반한다.
레버(46)가 스프링(44)의 작용을 통하여 스페이서(40)의 부분(40a)에 형성된 컷아웃의 바닥과 접촉한다는 사실에서, 스페이서의 2개의 끝들이 실제로 일정간격을 이루어 멀어지는 것은 일어나지 않기 때문에, 자동조정장치는 중립화된다.
그리하여 이러한 장치의 과도한 조정은 피할 수 있게 된다.
제1도의 오른편 반쪽상에 도시되어 있으며, 제4a,4b도 및 제5도에 더욱 상세하게 도시된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서, 압축상태의 슈우(12)의 웨브상에 장착된 추가의 레버(46)를 사용하는 대신에, 인장상태의 슈우(14)상에 장착된 핸드 브레이크 레버(34)가 사용된다.
더욱 정확히, 그리고 제4a도 및 제5도에 더욱 잘 도시된 바와같이, 그러면 핸드 브레이크 레버(34)는 스페이서(40)에 관련하여 모우터(22) 및 피버트핀(36)의 기하학적인 축선들을 지나가는 평면의 맞은쪽에 완전히 위치된 돌출부(34a)를 가지고서 브레이크 모우터(22)에 인접한 끝에 제공되어 있다.
핸드 브레이크 레버(34)가 그것의 정지위치에 있을 때, 스프링(42)은 핸드 브레이크 레버의 내측 가장자리에 대항하여 스페이서의 부분(40b)의 끝에 형성된 컷아웃의 바닥에 작용한다.
핸드 브레이크 레버의 압축부(34b : 제1도)는 그때 슈우(14)의 웨브의 내측 가장자리에 대항하여 작용된다.
이러한 환경들에서, 돌출부(34a)는 슈우(14)의 웨브의 끝 가장자리를 넘어서, 모우터(22)의 피스톤(26)쪽으로 돌출한다.
결과적으로, 피스톤(26)은 브레이크 모우터가 풀어질 때 스프링(30)의 작용을 통하여 핸드 브레이크 레버의 돌출부(34a)에 대항하여 지탱하고 있으며, 반면에 슈우(14)의 웨브의 끝 가장자리는 피스톤(26)으로부터 떨어져 유지되어 있다.
그리하여 제1실시예에서의 레버(46)처럼, 핸드 브레이크 레버(34)는 브레이크 모우터(22)의 작동동안 핀(36) 축선에 관하여 핸드 브레이크 레버를 반대편 방향으로 회전시키도록 가압하는 2개의 반대되는 힘을 받는다.
보다 더 정확히는, 스페이서(40)를 거쳐 스프링(42)에 의하여 레버(34)상에 간접적으로 발휘되는 힘은 핸드 브레이크 레버를 핀(36) 축선에 관하여 반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키도록 가압하는 반면에, 브레이크 모우터(22)의 피스톤(26)에 의하여 핸드 브레이크 레버의 돌출부(34a)상에 발휘되는 힘은 이러한 레버를 반대편 방향으로 가압한다.
제4a도는 브레이크의 정상작동인 경우에 핀(36) 축선에 관하여 브레이크 모우터의 피스톤(26)에 의하여 핸드 브레이크 레버의 돌출부(34a)상에 발휘되는 힘의 모멘트가 동일한 핀(36) 축선에 관하여 스프링(42)에 의하여 이러한 레버상에 발휘되는 힘의 모멘트보다 다 작다는 것을 도시하고 있다.
이러한 환경들에서, 핸드 브레이크 레버(34)는 이전에 형성된 정지위치에 머무르며, 바꾸어 말하면 그것은 핀(36) 축선에 관하여 선회하지 않는다.
결과적으로 브레이크 작동이 결국 브레이크 모우터(22)에 인접한 슈우들의 끝들의 서로로부터 멀어져서 스페이서(40)와 결합된 조정장치에 의하여 결정된 작동 간극보다 더 큰 범위로의 운동이 될 때, 상기 스페이서의 길이를 증가시키게 되는 브레이크의 조정이 일어나게 된다.
이와 반대로, 제4b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본 발명에 따르는 장치가 설비되지 않은 브레이크에서 결국 과도한 조정이 되는 브레이크 작용의 경우에, 핀(36) 축선에 관하여 브레이크 모우터의 피스톤(26)에 의하여 핸드 브레이크 레버의 돌출부(34a)상에 발휘되는 힘의 모멘트는 스프링(42)에 의하여 반대편 방향으로 작용되는 모멘트를 초과한다.
그러면 결과적으로 제4b도에 대하여 설명하면, 브레이크 모우터(22)의 작동은 시계방향으로 핸드 브레이크 레버(34)의 선회 작용을 수반한다.
그러면 스페이서(40)의 부분(40b)에 형성된 컷아웃의 바닥에 대항하여 지탱하고 있는 핸드 브레이크 레버(34)의 내측 가장자리와, 스페이서의 부분(40a)에 형성된 컷아웃의 바닥에 대항하여 지탱하고 있는 슈우웨브의 가장자리와의 사이의 거리는 실제 변화되지 않은 채로 머무른다. 결과적으로 스페이서(40)의 길이의 증가는 초래되지 않으며 조정장치는 중립화된다.
본 발명은 상기 예로써 설명된 실시예에 엄밀하게 한정되지 않지만, 그러나 그로부터의 모든 변형을 포함한다.
특히, 설명된 제1 실시예는 핸드 브레이크 레버가 설비되거나 또는 설비되지 않는 드럼 브레이크에 적용가능하다.
제2의 경우에서 레버(46)는 슈우들의 어느것에도 장착될 수 있다.
더욱이, 설명된 2개의 실시예들은 스페이서의 길이를 조정할 수 있게 한 어떤 종류의 자동조정장치에도 사용될 수 있다.

Claims (4)

  1. 슈우들의 2개의 인접끝들 사이에 끼워진 브레이크 모우터(22)에 의하여 회전드럼(20)과 접촉되기에 적합한 마찰부재(16,18)들을 지지하는 2개의 브레이크 슈우(12,14)들상에 미끄럼운동 가능하게 장착된 유지 플레이트(10), 브레이크 모우터의 부근에서의 슈우들 사이에 끼워진 가변성 길이의 스페이서(40), 브레이크 모우터의 작동이 슈우들의 상기 끝들을 설정된 작동 간극을 초과하는 범위로 떨어지도록 운동시킬 때 스페이서의 신장을 일으키는 자동조정부재(40c,40d), 자동조정부재를 중립화시키는 부재, 스페이서에 대항하여 슈우들을 가압하는 제1탄성부재(30) 및 브레이크 모우너(22)가 정상으로 지탱하고 있는 레버(46,34)를 피버트핀(48,36)에 의하여 지지하는 제1슈우(12,14)로 구성된 자동조정 드럼 브레이크에 있어서, 스페이서(40)는 상기 제1탄성부재(30)의 작용을 통하여 레버(46,34)상에 정상으로 지탱하고 있으며, 제2탄성부재(50,42)는 제1슈우에 대항하여 맞닿음 상태로 레버(46,34)를 유지하려고 하는 힘을 레버에 작용시키기 위하여 제1슈우에 대항하여 지탱하고 있으며, 레버의 피버트핀(48,36)에 관하여 이러한 힘의 모멘트는 브레이크 모우터(22)에 의하여 레버상에 발휘되는 힘의 모멘트와 반대로 있으며 그러한 모멘트의 한계치를 결정하고, 그 한계치를 넘으면 브레이크 모우터의 작동은 다른 슈우(14,12)쪽으로 레버(46,34)의 선회적용을 일으키며 그로인하여 자동조정부재(40c,40d)를 중립화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조정 드럼 브레이크.
  2. 제1항에 있어서, 제1슈우상에서의 레버(46,34)의 피버트핀(48,36) 축선은 브레이크 모우터(22)의 축선을 포함하는 평면에 위치되며, 브레이크 모우터는 레버상에 형성되어 있으며 스페이서(40)에 관하여 상기 평면의 다른쪽상에 위치돈 돌출부(48a,36a)에 대항하여 지탱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조정 드럼 브레이크.
  3. 제1항 및 제2항중 어느 한항에 있어서, 브레이크 모우터(22) 및 제2탄성부재(50)는 레버(46)의 반대편 끝들에 대항하여 지탱하고 있으며, 레버(46)는 브레이크 모우터(22)의 부근에서의 제1슈우(12)상에서 선회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조정 드럼 브레이크.
  4. 제1항 및 제2항중 어느 한항에 있어서, 선회하는 레버는 브레이크 모우터(22)의 부근에서의 제1슈우(14)상에서 선회되는 핸드 브레이크 레버(34)이며, 제2탄성부재(42)는 핸드 브레이크 레버에 대항하여 맞닿음 상태로 스페이서(40)를 영구적으로 유지하기 위하여 스페이서와 제1슈우(14) 사이에 끼워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조정 드럼 브레이크.
KR1019880015507A 1987-12-01 1988-11-24 자동조정 드럼 브레이크 KR97000086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FR8716617A FR2623864B1 (fr) 1987-12-01 1987-12-01 Frein a tambour a reglage automatique
FR87/16617 1987-12-01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90010450A KR890010450A (ko) 1989-08-08
KR970000868B1 true KR970000868B1 (ko) 1997-01-20

Family

ID=935732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80015507A KR970000868B1 (ko) 1987-12-01 1988-11-24 자동조정 드럼 브레이크

Country Status (11)

Country Link
US (1) US4903800A (ko)
EP (1) EP0319358B1 (ko)
JP (1) JPH01188731A (ko)
KR (1) KR970000868B1 (ko)
AR (1) AR240194A1 (ko)
DE (1) DE3863349D1 (ko)
ES (1) ES2022678B3 (ko)
FR (1) FR2623864B1 (ko)
PT (1) PT89128B (ko)
TR (1) TR23806A (ko)
YU (1) YU46888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553687A (en) * 1994-06-02 1996-09-10 Alliedsignal Aftermarket Europe Method for assemblying and adjusting a drum brake
US5538112A (en) * 1994-10-11 1996-07-23 Kelsey-Hayes Company Parking and emergancy brake actuating lever for drum brake assembly
FR2929363B1 (fr) * 2008-03-25 2010-03-19 Bosch Gmbh Robert Frein a tambour a dispositif de rattrapage automatique d'usure ameliore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222467A (en) * 1979-02-02 1980-09-16 The Bendix Corporation Drum brake adjuster
FR2503302B1 (fr) * 1981-03-31 1986-02-28 Dba Frein a tambour a reglage automatique
DE3218788A1 (de) * 1981-06-03 1982-12-30 Lucas Ind Plc Selbsttaetige nachstellvorrichtung fuer eine bremse
DE3244872A1 (de) * 1982-12-03 1984-06-07 Lucas Industries P.L.C., Birmingham, West Midlands Selbsttaetige nachstellvorrichtung fuer eine bremse
DE8427187U1 (de) * 1984-09-14 1985-10-10 Lucas Industries P.L.C., Birmingham, West Midlands Selbsttätige Nachstellvorrichtung für eine Brems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AR240194A1 (es) 1990-02-28
US4903800A (en) 1990-02-27
YU46888B (sh) 1994-06-24
FR2623864A1 (fr) 1989-06-02
DE3863349D1 (de) 1991-07-25
EP0319358A1 (fr) 1989-06-07
JPH01188731A (ja) 1989-07-28
PT89128B (pt) 1993-11-30
YU216688A (en) 1990-08-31
EP0319358B1 (fr) 1991-06-19
FR2623864B1 (fr) 1990-03-16
ES2022678B3 (es) 1991-12-01
PT89128A (pt) 1989-09-14
TR23806A (tr) 1990-09-13
KR890010450A (ko) 1989-08-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322634B1 (ko) 기계적으로작동되는드럼브레이크
US5921354A (en) Self-energizing anti-creep parking and emergency brake mechanism for disc brake assembly
JPH08502579A (ja) 機械的駆動ドラムブレーキ
KR100396244B1 (ko) 드럼브레이크를위한기계식작동장치
JPS6118263Y2 (ko)
EP0309079B1 (en) Actuator for a drum brake
KR970000868B1 (ko) 자동조정 드럼 브레이크
US3575266A (en) Self-adjusting parking brake
US4588052A (en) Drum brake
US5758750A (en) Automatic adjustment strut for a drum brake
US20050166703A1 (en) Variable rate control pedal
US3941218A (en) Brake apparatus and plural and independent actuators therefor
US4502573A (en) Automatic-adjustment drum brake
US4595082A (en) Drum brake
US3294200A (en) Adjustment device for disc brakes
JPH0239646B2 (ja) Jidochoseisochitsukidoramubureeki
US4344510A (en) Disc brake and improved adjuster therefor
JPH0146737B2 (ko)
JPS6114373B2 (ko)
JP2003269498A (ja) デュアルモードドラムブレーキ装置
US4270633A (en) Automatic brake adjuster with automatically adjusted steady point
JP3774036B2 (ja) デュオサーボ式ドラムブレーキ
US4424888A (en) Shoe and drum brake
JPS5833422B2 (ja) ドラムブレ−キ装置の自動間隙調整装置
JPS6110009Y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0113

Year of fee payment: 15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