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70000553B1 - 다수의 단자를 갖춘 전기 컨넥터 장치 - Google Patents

다수의 단자를 갖춘 전기 컨넥터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70000553B1
KR970000553B1 KR1019880000934A KR880000934A KR970000553B1 KR 970000553 B1 KR970000553 B1 KR 970000553B1 KR 1019880000934 A KR1019880000934 A KR 1019880000934A KR 880000934 A KR880000934 A KR 880000934A KR 970000553 B1 KR970000553 B1 KR 97000055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rminal
male
housing
female
sea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8000093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80010518A (ko
Inventor
켄 오바다
켄지로오 고니시
Original Assignee
후르가와 덴끼 고오교오 가부시기가이샤
구사가베 에쯔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62024274A external-priority patent/JP2825222B2/ja
Priority claimed from JP1987033150U external-priority patent/JPS63141579U/ja
Application filed by 후르가와 덴끼 고오교오 가부시기가이샤, 구사가베 에쯔지 filed Critical 후르가와 덴끼 고오교오 가부시기가이샤
Publication of KR88001051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8001051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7000055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0055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9/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e.g. terminal strips or terminal blocks; Terminals or binding posts mounted upon a base or in a case; Bases therefor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40Securing contact members in or to a base or case; Insulating of contact members
    • H01R13/42Securing in a demountable manner
    • H01R13/436Securing a plurality of contact members by one locking piece or operation
    • H01R13/4364Insertion of locking piece from the fron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56Means for preventing chafing or fracture of flexible leads at outlet from coupling par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27Snap or like fastening
    • H01R13/6271Latching means integral with the housing
    • H01R13/6272Latching means integral with the housing comprising a single latching arm

Landscapes

  • Connector Housings Or Holding Contact Members (AREA)
  • Details Of Connecting Devices For Male And Female Coupling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다수의 단자를 갖춘 전기 컨넥터 장치
제1도는 본 발명의 제1의 실시예를 표시하고, 숫하우징과 암하우징의 결합전 상태의 16극용 전기 컨넥터 장치의 종단면도.
제2도는 제1도에 표시한 전기 컨넥터 장치의 분해사시도.
제3도는 제2도의 시선Ⅲ에 따라서 숫하우징의 접속측단면을 본 정면도.
제4도는 제2도의 시선Ⅳ에 따라서 암하우징의 접속측단면을 본 정면도.
제5도는 제2도에 표시한 숫랜스 서포오트(lance support)(15)를 다른 각도에서 본 사시도.
제6도는 제1도에 표시한 고무마개(20)의 확대단면도.
제7도는 제6도에 표시한 고무마개(20)의 다른 모양의 확대단면도.
제8도는 제6도 또는 제7도에 표시한 고무마개의 사용상태를 표시한 측면도.
제9도는 제6도 또는 제7도에 표시한 고무마개의 사용상태를 표시한 요부 단면도.
제10도는 제1도에 표시한 암하우징(2)의 암단자 수용실(4)에 암단자(18)가 올바르게 끼워넣게 된 조립상태를 표시한 요부확대 단면도.
제11도는 제1도에 표시된 암하우징(2)의 암단자 수용실(4)에 암단자(18)가 정규위치에 끼워넣게 되지 않는 조립상태를 표시한 요부확대 단면도.
제12도는 본 발명의 제2의 실시예를 표시하고 9극용 전기 컨넥터 장치의 분해 사시도.
제13도는 1극용 전기 컨넥터 장치의 암하우징(54)이 숫하우징(52)에 대하여 바르게 끼워넣게 되지 않는 경우에 있어서의 암하우징(54)의 스커어트부(55)와 숫단자(51)와의 위치관계를 표시한 부분단면 측면도.
제14도는 제13도에 표시된 암하우징(54)의 스커어트부의 바깥벽에 형성된 숫단자의 장식방지용 돌기(56), (60)의 변형예를 표시한 측면도.
제15도는 제13도에 표시된 암하우징(54)의 정면도.
제16도는 전기 컨넥터 장치에 사용되는 종래의 고무마개의 확대단면도.
제17도는 제 16도에 표시된 종래의 고무마개의 사용상태를 표시한 측면도.
제18도는 종래의 1극용 전기 컨넥터 장치의 암하우징이 숫하우징에 대해서 바르게 끼워넣게 되지 않는 경우에 있어서의 암하우징의 스커어트부와 숫단자의 위치관계를 표시한 부분단면의 측면도이다.
본 발명은 숫하우징에 수용되는 다수의 숫단자의 저마다와, 이것에 대응하는 암하우징에 수용되는 같은수의 암단자를 접속하는 전기컨넥터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 이종류의 전기컨넥터장치로서 저마다 하우징에 수용된 각단자를 랜스(lance)에 걸림시켜, 또한 랜스가 휘는 측 공간에 록(rock)용의 쐐기를 밀어넣어서 단자를 걸림시킨 뒤의 랜스의 변형을 방지하고 단자가 빠져서 떨어지지 않도록 되어 있는 것이 예컨대 특허공고공보 54-11515호(US Serial No. 65058), 공개실용공보 61-7875호(US Serial No. 618984)에 의해 알려져 있다.
상술의 록용 쐐기는 단자와 랜스가 올바르게 걸림되지 않으면 랜스가 휘는측의 공간에 밀어넣을 수 없도록 되어 있기 때문에 단자의 걸림상태의 좋고 나쁨을 검출하는 단자의 착석 검출편의 역할도 갖고, 록용의 쐐기에 의해 단자를 각하우징에 올바르게 장착해서 접속할 때의 단자의 구부림이나 손상을 방지하고 있다.
그러나 록용의 쐐기에 의해 각단자가 정상상태에서 걸림되어도, 숫하우징을 암하우징으로 끼워맞춰서 숫단자와 암단자를 접속시킬 때에 하우징의 위치의 맞춤이 정확하게 처리될 수 없는 경우가 생기며, 이와 같은 경우 하우징의 끝의 가장자리 등이 숫단자에 충돌해서 숫단자를 구부릴 우려가 있다.
또 구부러진 숫단자를 무리하게 암단자로 밀어넣으면 단자가 서로 비틀려서 손상되는 문제가 있었다.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숫단자에 따른 판상체를 숫하우징측에 장치하면, 당연한 채로 암하우징측에는 이것과 끼워넣게 되는 홈을 설치할 필요가 있다.
그러나 예컨대 9극이나 16극이라고 한 다수의 단자를 갖는 전기컨넥터장치에서는 각단자의 변형 등을 충분하게 보호하는데는 많은 판상체를 장치할 필요가 있고 이들의 판상체 때문에 다수의 끼워넣는 홈을 암하우징측으로 설치될 필요에 더하여 암하우징측에 장치되는 록용의 쐐기는 다수로 분할되지 않을 수 없으며, 이들의 록용의 쐐기를 암하우징에 장치하는 작업은 많은 시간과 노력을 필요로 한다.
본 발명의 주목적은 숫하우징에 수용되는 다수의 숫단자와 이것에 대응하여 암하우징에 수용되는 같은 수의 암단자를 접속할때에 단자에 장식이 발생되지 않고, 접속의 용이한 다수의 단자를 갖춘 전기컨넥터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별도의 목적은 각단자가 하우징내의 랜스에 정상상태에서 걸림되어 있는 여부를 쉽게 검출하도록 예측하였다.
다수의 단자를 갖춘 전기컨넥터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다른 목적은 숫하우징을 암하우징으로 끼워맞춰서 숫단자와 암단자를 접속시킬 때에 가령 하우징의 위치맞춤을 정확하게 처리할 수 없는 경우라 할지라도 하우징의 끝 가장자리 등이 숫단자에 충돌하여 숫단자를 구부리는 등의 불편한 사태를 방지할 수 있고, 다수의 단자를 갖춘 전기컨넥터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더한층 별도의 목적은 부재점수가 적고 조립이 간단한 다수의 단자를 갖춘 전기컨넥터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하면 숫단자가 저마다 수용되는 숫단자수용실이 복수개 형성된 숫하우징과 각숫단자에 접속되는 암단자가 각수용되어, 숫단자수용실에 대응하는 암단자수용실이 동수개 형성된 암하우징과를 갖추고, 숫하우징의 각 숫단자수용실을 구분하는 칸막이벽에 한쪽만 갖는 지지상태에서 또한 제1의 휘어지는 공간에 탄성적으로 휘어지게 될 수 있는 제1의 걸림수단이 각각 돌출설치되는 모양으로 되고 각각 돌출설치되는 모양으로 되고 각 숫단자수용실에 수용된 숫단자가 이 제1의 걸림수단과 걸림되므로서 숫단자의 탈락이 각각 방지되는 한편 암하우징의 각 암단자수용실을 구분하는 각 칸막이벽에 한쪽만 갖는 지지상태에서 또한 제2의 휘어지는 공간에 탄성적으로 휘어질 수 있는 제2의 걸림수단이 각각 돌출설치형성되어 각 암단자수용실에 수용된 암단자가 이 제2의 걸림수단과 걸림되므로서 암단자의 탈락이 각각 방지되며, 더한층 각 숫단자가 숫단자수용실에 제1의 걸림수단과 정상상태에서 걸림되어서 수용될 때 제1의 휘어지는 공간에 끼워넣을 수 있는 숫단자착석검출수단 및 각암단자가 암단자수용실에 제2의 걸림수단과 정상상태에서 걸림되어서 수용될 때 제2의 휘어지는 공간에 끼워넣을 수 있는 암단자착석검출수단과를 포함해서 된 전기컨넥터장치가 제공된다.
이 컨넥터장치의 암단자착석검출수단은 이것과 일체로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의 판상부를 갖고 이 판상부는 이 숫단자착석검출수단이 제1의 휘어지는 공간에 정상상태에서 끼워넣었을 때 숫하우징의 접속측단면에서 숫단자와 병행하여 암하우징측으로 향해서 늘어나 판상부의 연출끝이 숫단자의 선단보다 암하우징측으로 위치해서 숫단자로의 충돌물체에서 이 숫단자를 방어하고, 암하우징은 그 적속측의 단면에 열리도록 뚫어 설치되어서 적어도 하나의 판상부가 끼워넣게되는 끼워넣는 홈을 갖는다.
바람직하기로는 숫단자수용실 및 암단자수용실은 어느 것도 복수단의 복수열에 격자모양으로 배설되어 각단의 숫단자수용실에 대응하는 제1의 휘어지는 공간 및 각단의 암단자수용실에 대응하는 제2의 휘어지는 공간은 각각 이단의 숫단자수용실 또는 암단자수용실의 늘어선 모양으로 병행해서 연이어 통하게 되어 있다.
또 바람직하기로는 숫단자착석검출수단은 연이어 통하게 되는 각단의 제1의 휘어지는 공간에 각각 끼워넣게 되는 숫단자착석검출편을 갖고 이들의 숫단자착석검출편은 이것에 직교되는 적어도 하나의 리브(rib)부재에 의해 일체로 연결되어 전기한 적어도 하나의 판상부는 리트부재에 따라서 형성되는 한편 암단자착석검출수단은 연이어 통하게 되는 각단의 제2의 휘어지는 공간에 각각 끼워넣게 되는 암단자착석검출편과 복수개의 암단자수용실의 바깥둘레에 끼워만들게 되며 암단자착석검출편과 일체로 형성되어서 각 암단자착석검출편을 지지하는 틀체를 갖는다.
더한층 바람직하기로는 적어도 하나의 판상부 및 암단자착석검출편은 서로 간섭위치에서 절결홈(切欠溝) 내지는 절단되어서 빈틈이 형성되어, 절단된 암단자착석검출편은 이것과 직교하고, 한끝이 전기한 틀체로 연결되는 리브부재에 의해 지지된다.
본 발명의 상술한 것 및 그외의 목적, 특징 및 잇점은 첨부도면에 의거하는 하기의 상세한 설명에서 보다 더 한층 명확하게 될 것이다.
제1도 내지 제4도는 16극의 단자를 갖는 전기컨넥터장치를 표시하고 이 전기컨넥터장치는 서로 접속할 수 있는 숫하우징(1)과 암하우징(2)을 갖고 이들은 비전도성의 합성수지로부터 이루어진다.
숫하우징(1)은 대략 직육면체 형상을 한 하우징본체(1a)와 이 하우징본체(1a)의 접속측단면(1c)근처의 바깥 둘레벽에서 접속되는 암하우징(2)측으로 늘어나는 각통모양의 스커어트부(1b)로서 구성된다.
한편 암하우징(2)도 대략 직육면체 형상을 한 하우징본체(2a)와 숫하우징(1)의 스커어트부(1b)를 내감(內嵌)시키는 각통모양의 스커어트부(2b)로 구성되어 스커어트부(2b)는 하우징본체(2a)의 대략 중앙위치의 바깥 둘레벽에 이것과 수직으로 바깥쪽에 세워 설치되는 입상부(2b')를 거쳐서 접속되는 숫하우징(1)측으로 향해서 연출형성된다.
숫하우징(1)의 하우징 본체(1a) 및 암하우징(2)의 하우징본체(2a)에는 각각 같은 수의 단자수용실(3), (4)이 형성되어 있다.
숫하우징(1)의 하우징본체(1a)에는 4단 4열의 격자모양의 배열에서 합계 16개의 단자수용실(3)이 배설되어 각단자수용실(3)은 하우징본체(1a)의 리이드(lead)선(10)측단면(접속측단면(1c)과 반대측의 단면)(1d)에 열린 원통모양의 실(3a)과 이것에 매끈한 모양으로 연이어 통하게 되고, 접속측단면(1c)에 열린 대략 종단면구형(矩形)의 각통모양의 실(3b)로서 구성된다.
각단의 단자수용실(3)의 늘어선 모양으로 병행되도록 또한 제1도 및 제3도에 있어서 각통모양의 실(3b)의 도시된 윗쪽으로 후술되는 랜스(5)의 휘어지는 공간이며, 또한 단자착석검출편(12a)~(12d)의 삽입공간이기도 한 검출편 삽입구(7)가 횡방향으로 각각 형성되어, 이 각홈(7)은 접속측단면(1c)에서 암하우징(2)측으로 열려져 있다.
그리고, 각통모양의 실(3b)을 구분하는 각윗벽(1e)이 각통모양의 실(3b)의 중심선에 따라서 잘라지고, 실(3b)은 대응하는 검출편 삽입구(7)에 각각 연이어 통하게 되어 있다.
각 검출편 삽입실(7)을 구획하고, 원통모양의 실(3a)과 각통모양의 실(3b)과의 접속부근처의 윗벽에 그 각기단부가 이 윗벽에서 매달리도록 또한, 각 선단부가 전기한 각 각통모양의 실(3b)의 절결부에 따라서 전기한 접속측단면(1c)측으로 향해서 늘어나는 랜스(2)가 한쪽만을 갖는 지지에서 각각 돌출설치형성되어 각 랜스(5)의 선단근처에서 돌기부(5a)가 각통모양의 실(3b)에 튀어나오게 하여서 형성되어 있다.
암하우징(2)의 하우징본체(2a)에도 숫하우징(1)의 각 단자수용실(3)에 대응하는 위치에 16개의 단자수용실(4)이 격자모양의 배열로 배설되어, 각 단자수용실(4)은 하우징본체(2a)의 리이드선(19)측단면(접속측단면(2c)과 반대측의 단면)(2d)에 열리고 있는 원통모양의 실(4a)과 이것에 매끈한 모양으로 연이어 통하게 되고 접속측단면(2c)에 열리고 있는 대략 종단면구형의 각통모양의 실(4b)로서 구성된다.
각단의 단자수용실(4)의 늘어선 모양으로 병행하도록 또한 제1도 및 제4도에 있어서 각통모양의 실(4b)의 도시된 윗쪽에 후술되는 랜스(6)의 휘어지는 공간이며, 또한 단자착석검출편(21)의 삽입공간이기도 한 검출편삽입구(8)가 횡방향으로 각각 형성되어 이 각실(8)은 접속측단면(2c)에서 숫하우징(1)측으로 열리고 있다.
그리고 각통모양의 실(4b)을 구분하는 각윗벽(2e)이 각통모양의 실(4b)의 중심선에 따라서 잘라내어 실(4b)은 검출편삽입구(8)에 각각 연이어 통하게 되어 있다.
각 검출편 삽입실(8)을 구획하고, 원통모양의 실(4a)과 각통모양의 실(4b)과의 접속부근처의 윗벽에 그 각기단부가 이 윗벽에서 매달리도록 또한 각 선단부가 전기한 각 각통모양의 실(4b)의 절결부에 따라서 전기한 접속측단면(2c)측으로 향해서 늘어나는 랜스(6)가 한쪽만을 갖는 지지에서 각각 돌출설치 형성되어, 각랜스(6)의 선단근처에는 돌기부(6a)가 각통모양의 실(4b)에 튀어나오게 해서 형성되어 있다.
암하우징(2)의 각 단자수용실(4)내에는 각각 암단자(18)가 삽입되어 랜스(6)의 돌기부(6a)가 암단자(18)의 걸림구멍(18c)(제10, 11도 참조)으로 끼워맞춤으로서 암단자(18)가 단자수용실(4)에서 탈락되는 것을 방지하고 있다.
각 암단자(18)에는 각각 리이드선(19)의 도체단부(19b)가 눌러붙임 접속되어 있다.
각 리이드선(19)의 피복단부(19a)에는 상세한 것은 후술하도록 각각 고무마개(20)가 끼워맞추게 되어 고무마개(20)는 리이드선(19)과 함께 암단자(18)에 눌러붙임 고정된다.
이 고무마개(20)는 원통모양의 실(4a)에 끼워맞추게 되어 단자수용실(4)을 액밀로 봉해서 막고 있다.
이런 까닭으로 제6도 내지 제9도 및 제17, 18도를 참조해서 암단자(18)와 리이드선(19)의 접속방법을 설명한다.
제6도는 리이드선(19)의 피복단부(19a)에 끼워넣게 되어 암단자(18)에 의해 눌러붙임 계속되는 고무마개(20)의 단면구조를 표시하고, 고무마개(20)는 그 중심축에 따라서 리이드선(19)을 끼워서 통하게 되는 관통구멍(20a)을 갖고 암단자(18)측의 한끝부분으로 형성되는 슬리이브(sleeve)부(20b)와 다른 끝부분에 형성되어 슬리이브부(20b)의 외경보다 큰지름의 플랜지(flange)부(20c)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본 발명의 전기컨넥터장치에 사용되는 고무마개(20)는 슬리이브부(20b)의 안끝의 가장자리에 따라서 관통구멍(20a)의 내경보다 적은 지름 또한 고리모양의 뱅크(bank)부(20d)가 형성되어 있는 점에서, 제16도에 표시된 종래의 고무마개(20c)와 다르다.
또 플랜지부(20c)의 안끝의 가장자리는 리이드선(19)을 끼워서 통하기 쉽도록 열린측으로 확경(擴徑)하고 있다.
뱅크부(20d)의 단면형상은 제6도에 표시한 반원형에서도 제7도에 표시한 고무마개(20A)의 뱅크부(20d')와 같이 구형형상이라도 좋고, 특히 반원형으로 한정되지 않는다.
역시 제7도에 표시된 고무마개(20A) 및 제16도에 표시된 종래의 고무마개(20c)의 그다른 구성은 제6도에 표시된 고무마개(20)와 마찬가지이며, 그 다른 구성요소에는 동일한 부호가 붙어 있다.
이 고무마개(20), (20A)의 관통구멍(20a)에 플랜지부(20c)측에서 리이드선(19)을 끼워서 통하여 그 피복단부(19a)위에 고무마개(20)가 장착되어 암단자(18)의 와이어 배럴(wire barrel)(18a)에서 리이드선(19)의 노출된 도체단부(19b)가 인슈레이션 배럴(insulation barrel)(18b)에서 고무마개(20)의 슬리이브부(20b)를 끼고 피복단부(19a)가 각각 눌러붙임된다.
이때 슬리이브부(20b)측의 외단가장자리는 적어도 뱅크부(20d)의 높이분만 눌러붙임부의 인슈레이션 배럴(18b)의 외경치수보다 부풀어서 커지게 된다.
종래의 고무마개(20c)에는 제6도에 표시한 고무마개(20)와 같이 뱅크부(20d)를 비치하지 않으므로 제17도에 표시한 것 같이 암단자(18)의 단자수용실(4)로 삽입할 때 등에 있어서, 고무마개(20c)에 이것이 리이드선(19)보다 탈락하는 방향으로 힘이 가해지면 고무마개(20c)가 인슈레이션 배럴(18b)에서 빠져나가는 문제가 있었다.
한편 본 발명의 전기컨넥터장치에 사용되는 고무마개(20), (20A)는 제8도 및 제9도에 표시한 것 같이 암단자(18)의 단자수용실(4)로 삽입할 때 등에 있어서 고무마개(20), (20A)에 이것이 리이드선(19)보다 탈락하는 방향으로 힘이 가해져도 뱅크부(20d), (20d')가 걸리게 되므로 고무마개(20), (20A)가 인슈레이션 배럴(18b)에서 빠져나가는 일이 없다.
또 리이드선(19)의 피복단부(19a)가 뱅크부(20d), (20d')에 의해 되게 조르기 위해서 인슈레이션 배럴(18b)의 눌러붙임전에는 고무마개(20), (20A)의 이동방지에 눌러붙임후는 리이드선(19)의 방수성의 향상에 효과적이다.
제1도에 되돌아가서 숫하우징(1)의 각단자수용실(3) 내에는 각각 숫단자(9)가 삽입되어 랜스(5)의 돌기부(5a)가 숫단자(9)의 도시하지 않는 걸림구멍에 끼워맞춰서 걸림되므로서 숫단자(9)가 단자수용실(3)에서 탈락하는 것을 방지하고 있다.
숫단자(9)가 단자수용실(3)에 올바르게 걸림될 때 숫단자(9)의 선단부(9a)는 하우징본체(1a)의 접속측단면(1c)에서 스커어트부(1b)에 의해 둘러쌓게 된 공간(16)에 튀어나오게 된다.
각 숫단자(9)는 각각 리이드선(10)의 도체단부가 눌러붙임 접속되어 있다.
각 리이드선(10)의 피복단부에는 암단자(18)에 장치된 것과 같은 모양의 고무마개(11)가 각각 끼워맞춤하여 이 고무마개(11)는 리이드선(10)과 함께 숫단자(9)에 눌러붙임 고정된다.
이 고무마개(11)는 원통모양의 실(3a)에 끼워맞춤하여서 단자수용실(3)을 액밀로 봉해서 막고 있다.
숫하우징(1)의 단자수용실(3)에서 서로 인접하는 열 사이에는 후술되는 숫측랜스서포오트(15)의 종리브(13a)~(13c)가 끼워넣게 된다.
3개의 종홈(縱溝)(7a)이 뚫어 설치되어 그 윗끝은 최상단의 단자수용실(3)의 늘어선 모양에 대응해서 형성된 검출편 삽입구(7)에 연이어 통하고 아랫끝은 최하단의 단자수용실(3)의 아랫끝까지 늘어나고 있다.
상술한 각검출편의 삽입구(7) 및 종홈(7a)에는 단자착석검출편(12a)~(12d) 및 종리브(13a)~(13c)가 각각 삽입된다.
전기한 검출편 삽입구(7)와 같은수의 단자착석검출편(12a)~ (12d)은 이것들에 직교하는 3개의 종리브(13a)~(13c)에서 우물정자 모양으로 짜져서 일체화되어 있다.
좌우의 종리브(13a) 및 (13c)에 따라서 숫단자(9)의 변형을 방지하기 위한 판상체(14a) 및 (14c)가 이들의 종리브(13a) 및 (13c)와 동일한 길이 또한 동일한 두께에서 일체로 암하우징(2)측으로 향해서 돌출설치하여 형성되어 있다.
판상체(14a) 및 (14c)는 위에서 3번째의 단자착석검출편(12c)의 위치로 후술되는 암하우징(2)측의 단자착석검출편(21c)과의 간섭을 피하기 위한 절결구(14a') 및 (14c')가 각각 형성되어 있다.
또 중앙의 종리브(13b)에 따라서 판상체(14b)가 위에서 2번째의 단자착석검출편(12b)의 대략 상단의 가장자리에서 최하단의 단자착석검출편(12d)의 대략 상단 가장자리에 이르는 길이로 또한 종리브(13c)와 동일한 두께에서 이것과 일체로 암하우징(2)측으로 향해서 돌출설치하여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이들의 판상체(14a)~(14c)는 단자착석검출편(12a)~(12d)이 검출편삽입구(7)에 올바르게 삽입될 때 숫하우징(1)의 접속측단면(1c)에서 튀어나오는 숫단자(9)의 선단부(9a)의 높이보다 후술되는 소정의 높이만 높게 또한 스커어트부(1b)의 높이보다 약간 낮게 형성되어 있다.
이들의 단자착석검출편(12a)~(12d) 종리브(13a)~(13d) 및 판상체(14a)~(14c)로 숫측랜스서포오트(15)가 구성된다.
암하우징(2)의 단자수용실(4)이 서로 인접되는 열 사이에는 전술된 숫측랜스서포오트(15)의 판상체(14a)~(14c) 또는 후술되는 암측랜스서포오트(24)의 종리브(22a), (22b)가 끼워넣게 되는 3개의 종홈(8a)(제4도)이 뚫어 설치되어 그 윗끝은 최상단의 단자수용실(4)의 늘어선 모양에 대응해서 형성된 검출편 삽입구(8)에 연이어 통하여 아랫끝은 최하단의 단자수용실(4)의 아랫끝까지 늘어나고 있다.
상술한 암측의 랜스서포오트(24)는 전기한 각 검출편삽입구(8)에 삽입된 단자착석검출편(21a)~(21d) 및 이들의 단자착석검출편(21a)~(21d)을 지지하는 틀체(23) 등으로 구성된다.
틀체(23)는 암하우징(2)의 각통모양의 실(4b)부분의 아우징본체(2a)의 외주벽에 바깥으로 끼워지도록 4주변을 둘러싸는 모양으로 형성되어 단자착석검출편(21a)~(21d)이 틀체(23)의 양측의 틀에 걸치도록 지지되며, 틀체(23)와 일체로 형성된다.
그리고 단자착석검출편(21a)~(21d)은 후술하도록 숫하우징(1)과 암하우징(2)과의 접속시에 숫측랜스서포오트(15)의 판상체(14a)~(14c)와의 간섭을 피하기 위해서 간섭위치에서 각각 절단된다.
즉 단자착석검출편(21a), (21b) 및 (21d)는 판상체(14a) 및 (14c)와의 간섭을 피하기 위해서 좌우 2개소의 대칭되는 위치에서 절단되어 각 절단위치에 빈틈부분(27a) 및 (27b)가 각각 형성된다.
잘라낸 단자착석검출편(21a) 및 (21b)의 각 중앙부분은 전술한 종리브(22a)에 의해 틀체(23)의 윗틀에 단자착석검출편(21d)의 중앙부분은 종리브(22b)에 의해 틀체의 아랫틀에 각각 접속지지되어 종리브(22a), (22b)는 암하우징(2)의 중앙의 종홈(8a)에 각각 끼워넣게 된다.
또 단자착석검출편(21c)은 판체(14b)와의 간섭을 피하기 위해서 중앙위치에서 절단되며, 이 절단위치에 빈틈부분(27c)이 형성되어 있다.
암하우징(2)의 스커어트부(2b)와 하우징본체(2a) 사이에는 단자수용실(4)을 둘러싸서 빈틈(28)이 형성되어, 이 빈틈(28)에 숫하우징(1)의 스커어트부(1b)가 끼워넣게 된다.
암하우징(2)의 스커어트부(2b)의 윗벽의 중앙부가 크랭크모양으로 바깥쪽으로 부풀어 나가서 가이드홈(2f)이 형성되는 한편 숫하우징(1)의 스커어트부(1b)의 위 바깥벽에는 전술한 가이드홈(2f)의 내측벽으로 따라서 이것이 끼워맞춰지는 2개의 가이드레일(rail)(1f), (1f)가 형성되어 있다.
암하우징(2)의 스커어트부(2b)의 전기한 가이드홈(2f) 형성부분은 그 뒷부분이 잘라내게 되어 빈틈(28)이 리이드선(19)측으로 열리고 있다.
이 열린 곳은 중앙부에 걸림구멍(31a)을 갖는 걸림편(31)이 전기한 입상부(2b')와 일체로 형성되며, 이 입상부(2b')를 흔들림의 중심으로서 요동할 수 있다.
그리고 걸림편(31)의 걸림구멍(31a)에는 숫하우징(1)을 암하우징(2)에 끼워맞추었을 때 숫하우징(1)의 스커어트부(1b)의 윗바깥벽의 중앙위치에 윗쪽으로 향해서 돌출설치하여 형성되게 한 돌기(17)에 걸림시킨다.
이와 같은 전기컨넥터장치의 숫하우징(1)에 수용되는 숫단자(9)와 암하우징(2)에 수용되는 암단자(18)를 결합시키는 데는 우선 암하우징(2)의 빈틈부분(28)에 고무제의 시일링(Sealling)(30)을 하우징본체(2a)의 바깥 둘레벽에 밀착시켜 또한 입상부(2b')에 단면을 맞닿게 하여 끼어만들어 둔다.
다음에 리이드선(19)에 장치되어 고무마개(20)를 부착한 암단자(18)를 암하우징(2)의 각단자수용실(4)에 그 원통모양의 실(4a)측에서 정규위치에 삽입해서 랜스(6)에 걸림시켜 검출편 삽입구(8)에 암측랜스서포오트(24)의 단자착석검출편(21a)~(21d)을 삽입한다.
이때 제10도에 표시한 것 같이 각 암단자(18)가 어느 것도 단자수용실(4)에 올바르게 삽입된 경우에는 각 암단자(18)의 걸림구멍(18c)에 랜스(6)의 돌기부(6a)가 걸림해서 각 검출편 삽입구(8)에 단자착석검출편(21a)~(21d)이 끼워넣게 될 수 있는 만큼의공간이 확보되어서 단자착석검출편(21a)~(21d)의 삽입가능하지만 제11도에 표시한 것 같이 1개라도 암단자(18)가 단자수용실(4)의 정규위치에 삽입되지 않는 경우에는 랜스(6)가 검출편삽입구(8)측에 휘어진대로이고, 검출편삽입구(8)에 단자착석검출편(21a)~(21d)을 끼워넣게 될 수 있는 만큼의 빈틈이 확보되지 않고 단자착석검출편(21a)~(21d)은 랜스(6)에 저지되어서 검출편삽입구(8)에 끼워넣게 되지 않는다.
이렇게 하여 단자착석검출편(21a)~(21d)을 검출편삽입구(8)에 일체로 삽입할 뿐이고 각 암단자(18)가 단자수용실(4)의 정규위치에 각각 올바르게 끼워넣어서 걸림의 여부가 검출할 수 있게 된다.
역시 일단 단자착석검출편(21a)~(21d)이 검출편삽입구(8)에 삽입시키면 외부에서 랜스(6)를 강제적으로 검출편삽입구(8)측으로 휘어지게 하여 돌기부(6a)와 암단자(18)의 걸림구멍(18c)과의 걸어맞춤을 해제하지 않는 한 암단자(18)는 단자수용실(4)에서 빠지는 일이 없다.
덧붙여서 말하면 암단자(18)가 단자수용실(4)의 정규위치에 삽입된 후 이것을 뽑아내는 방향으로 힘이 작용될 경우 암단자(18)의 걸림구멍(18c)과 돌기부(6a)의 맞닿는 점을 작용되는 힘은 랜스(6)를 단자수용실(4)의 각통모양의 실(4b)측으로 휘어지게 하는 방향에 모우먼트(moment)를 발생시키므로 돌기부(6a)가 걸림구멍(18c)에 침입하여 돌기부(6a)가 전단력에 의해 파단되지 않는 한 암단자(18)는 단자수용실(4)에서 인발되는 일이 없다.
같은 모양으로 숫하우징(1)의 단자수용실(3)에도 숫단자(9)를 삽입해서 랜스(5)와 걸림시켜 숫측랜스서포오트(15)의 각단자착석검출편(21a)~(21d)을 검출편삽입구(7)에 각각 끼워넣는다.
숫측랜스서포오트(15)를 숫하우징(1)에 정상상태에서 장치하면, 판상체(14a)~(14c)는 이들 사이에 혹은 판체와 스커어트부(1b) 사이에 배설되는 각각의 숫단자(9)의 선단부(9a)를 보호하고, 예컨대 접속시에 암하우징(2)의 스커어트부(2b)의 끝가장자리가 실수해서 스커어트부(1b)의 둘러싼 공간(16)에 들어가고, 그 공간(16)에 존재하는 숫단자(9)의 선단부(9a)와 충돌해서 이것을 변형시키는 등의 불편이 생기지 않는다.
이렇게 하여 단자착석검출편(21a)~(21d)이 종리브(13a)~(13c)에 의해 일체로 형성되어 단자착석검출편(21a)~(21d)이 틀체(23)에 일체로 지지되기 때문에 단자착석검출편을 개별로 검출편의 삽입구(7), (8)에 삽입되는 번거러움이 없고, 삽입작업을 일괄해서 처리한다. 따라서, 단자(9), (18)의 걸림상태의 좋고 나쁨도 일괄해서 검출할 수 있다.
역시 숫하우징(1) 및 암하우징(2)의 각단자수용실(3), (4)은 각각의 원통모양의 실(3a), (4a)에 고무마개(11), (20)가 끼워맞추어지므로 리이드선(10) 및 (19)측의 개구(開口)는 고무마개(11), (20)에 의해 각각 액밀로 유지된다.
다음에 암하우징(2)측의 가이드홈(2f)에 숫하우징(1)측의 가이드레일(1f)을 끼워맞추면서 암하우징(1)의 빈틈(28)에 숫하우징(1)의 스커어트부(1b)를 끼워넣어서, 걸림편(31)의 걸림구멍(31a)을 돌기(17)에 걸림시킨다.
이때 스커어트부(1b)는 빈틈(28)에 끼워만들어진 시일링(30)에 압접되어 접속측단면(1c), (2c)측의 개구는 이 시일링(30)에 의해 액밀로 유지된다.
이렇게 하여 시일링(30) 및 고무마개(11), (20)에 의해 숫단자(9) 및 암단자(18)의 접속부가 방수된다.
또 숫측의 랜스서포오트(15)의 판상체(14a)~(14c)는 각각 암측랜스서포오트(24)의 대응하는 빈틈부(27a)~(27c)를 끼고 암하우징(2)의 종홈(8a)에 끼워넣게 되어 이들의 판상체(14a)~(14c)에 가이드되어서 숫단자(9)의 선단부(9a)와 암단자(18)가 덧나는 등이 생기지 않고 원활하게 접속하게 된다.
역시 숫측랜스서포오트(15)는 단자착석검출편(12a)~(12d)과 판체(14a) ~(14c)를 일체로 형성된 상태에서 복수로 분할해도 좋고, 또 암측랜스서포오트(24)도 각단자착석검출편(21a)~(21d)과 틀체(23)를 일체로 형성된 상태에서 복수로 분할해도 좋다.
제12도는 본 발명을 9극용 전기컨넥터장치에 적용된 경우의 제2의 실시예를 표시하고 이 제2의 실시예의 숫하우징(41)에는 3단 3열에 격자모양으로 배열된 9개의 단자수용실(43)이 형성되어 있고, 이것에 대응하여 암하우징(42)에도 9개의 단자수용실(44)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숫측랜스서포오트(45)에는 횡방향으로 3단의 단자착석검출편(46)이 이것과 직교되는 종리브에 의해 일체로 형성되어, 그 종리브에 따라서 숫단자의 선단부를 보호하는 판상체(47)가 암하우징(42)측으로 돌출설치하여 형성되어 있다.
한편 암측의 랜스서포오트(48)는 틀체(49)에 지지되는 3단의 단자착석검출편(50)이 이것과 일체로 형성되어 각 단자착석검출편(50)은 숫측랜스서포오트(45)의 판상체(47)와의 간섭을 피하기 위해서 간섭위치에서 절단되어 빈틈부가 형성되어 있다.
이들의 숫측랜스서포오트(45) 및 암측랜스서포오트(8)의 각 숫하우징(41) 및 암하우징(42)에 장치하여 숫하우징(41) 및 암하우징(42)의 접속 등은 전솔된 제1의 실시예와 유사하게 되어 있고, 그 설명에서 쉽게 추측하여 생각할 수 있기 때문에 그들의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그러나 제12도에 표시한 제2의 실시예는 암하우징(42)측의 스커어트부(42a)의 측벽의 상하방향으로 대략 중앙위치에 숫단자 장식방지용의 돌기(42b), (42c)를 형성시킨 점에서 전술된 제1의 실시예와 다르다.
이들의 돌기(42b), (42c)는 상세한 것은 후술하도록 스커어트부(42a)의 단면에서 소정의 거리만큼 후퇴된 위치로 형성되어 있다.
도시된 좌측의 돌기(42c)에는 스커어트부(42a)를 잘라내어서 가이드홈이 형성되어 있고, 이 가이그홈에는 숫하우징(41)의 스커어트부(41a)의 대응하는 위치로 형성된 가이드용 돌기(41b)와 끼워맞추도록 되어 있고, 이들에 의해 숫하우징(41)과 암하우징(42)은 그 접속할 때에 이들이 올바르게 위치를 유지해서 접속되도록 가이드되어 있다.
제12도에 표시된 제2의 실시예의 돌기(42b), (42c)의 작용을 보다 더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그 작용의 설명을 바꾸어서 제13도 내지 제15도 및 제18도를 참조해서 보다 더 구성의 간단한 1극용 전기컨넥터장치의 암하우징(54)으로 형성된 숫단자 장식방지용 돌기(56), (60)의 작용을 설명하게 되는 것이다.
우선 이 숫단자의 장식방지용 돌기(56), (60)를 형성하지 않는 경우에 생기는 불편을 제18도를 참조해서 설명하면, 숫하우징(52)에 수용되는 숫단자(51)는 스커어트부(52a)에 의해 둘러싸여져 있고, 종래의 연결접속시에 이 스커어트부(52a)에 의해 둘러싸여지는 공간(53)의 입구 즉 스커어트부(52a)의 개구의 암단자(도시 않음)를 수용하는 암하우징(54)이 경사되어서 스커어트부(55)의 앞끝의 가장자리가 들어가서 이 앞끝가장자리가 숫단자(51)와 충돌해서 수단자(51)를 변형시킨다고 하는 문제가 있었다.
역시 제18도중에서 부호(57), (58)는 각각 암하우징(54)의 스커어트부(55)의 윗벽면을 부풀어나오게 형성된 가이드홈 및 숫하우징(52)의 스커어트부(52a)의 윗벽면에 튀어나오게 설치되어, 가이드홈(57)에 끼워맞춰서 암하우징(54)과 숫하우징(52)을 올바르게 향해서 결합시키는 가이드용 돌기이다.
이 충돌에 의한 숫단자(51)의 변형을 일으키지 않게 하기 위해서는 숫단자(51)의 선단은 스커어트부(52a)의 단면에서 소정의 거리만 끌어들일 필요가 있다.
지금 스커어트부(52a)의 개구폭을 Wh로 하면 암하우징(54)의 경사가 45°일 때 암하우징(54)의 끝가장자리가 공간(53)에 가장 깊게 침입하고 이때의 침입깊이는 Wh/2로 된다.
공간(53)의 스커어트부(52a)의 끝면에서의 깊이를 Lh, 숫단자(51)의 높이를 Lt로 하면 충돌에 의한 숫단자(51)의 변형을 일으키지 않게 하기 위해서는 다음식이 성립할 필요가 있다.
Lh-Lt Wh/2
짧게 하는 것은 암숫단자간의 전기접속을 확실하게 다루는데 더하여 저절로 제한이 있으므로(Lh-Lt)을 크게 설정하는데는 스커어트부(52a)의 끝면에서의 깊이(Lh)를 크게 할 필요가 있다.
그러나 스커어트부(52a)의 끝면에서의 깊이(Lh)를 크게 하면 숫하우징(52)의 길이만이 아니라 암하우징(54)의 길이도 크게 할 필요가 있고 전기컨넥터장치의 대형화를 초래할 우려가 있었다.
한편 암하우징(54)에 숫단자 장식방지용 돌기(56), (60)를 형성시킨 경우의 돌기(56), (60)의 작용을 제13도 내지 제15도를 참조해서 설명한다.
역시 제13 내지 제15도에 있어서, 제18도에 표시된 전기컨넥터장치에 대응하는 동일한 구성요소에는 동일한 부호가 붙여져 있다.
이 1극용 전기컨넥터장치의 암하우징(54)의 스커어트부(55)에는 그 양측벽 및 아랫벽에 직사각형 방향으로 따라서 리브모양의 숫단자의 장식방지용 돌기(56) 및 (60)이 높이(A)로 되는 치수에 각각 돌출설치되어 있다.
이 돌기(56), (60)는 어느 것도 스커어트부(55)의 단면에서 거리(B)만큼 후퇴해서 형성되어 있다.
이 후퇴거리(B)는 돌기(66)의 높이(A)와 동등한 것이 바람직하다.
역시 제15도에 있어서, 도시된 좌측벽으로 형성된 돌기(60)는 스커어트부(55)측에서 잘라내어서 가이드홈이 형성되어 이 가이드홈에 숫하우징(52)의 스커어트부(52a)의 대응하는 위치에 형성된 가이드용 돌기(도시않음)을 끼워넣어서 삽입가이드의 역할도 겸비시켜서 있다.
숫단자의 장식방지용 돌기(56), (60)를 암하우징(54)의 스커어트부(55)에 형성시키면 제13도에 표시한 것 같이 가장 깊게 침입해서 숫단자(51)와 충돌하고 있던 암하우징(54)의 스커어트부(55)의 끝가장자리의 모퉁이부분은 종래의 것과 비해 횡방향으로 거리(A)의 윗쪽으로(스커어트부(55)의 끝면측으로) 거리 A/2만 각각 상대 이동하기 때문에 그 부분의 스커어트부(55)의 높이(Lh)를 낮게 혹은 개구폭(Wh)을 크게 설정할 수 있다.
역시 장식방지용 돌기(56), (60)의 후퇴거리(B)는 제14도에 표시한 것 같이 돌기(56')의 선단각부(56')가 이 거리만큼 후퇴되어 있으면 좋고, 이 선단각부(56'a)와 스커어트부(55)의 끝가장자리를 경사면에서 접속해도 좋다.
즉 이 경사면을 스커어트부(55)의 끝가장자리에 서서히 상승해서 거리(B)만 후퇴된 위치에서 전기한 높이(A)에 이르게 되도록 형성해도 좋다.
또 돌기(56), (60)의 높이(A)는 크면 클수록 돌기(56), (60)의 장식방지효과가 크지만 제15도에 표시한 것 같이 이 돌기(56), (60)를 제거하는 암하우징(54)의 외접원(59)내에 돌기(56), (60)가 잘 들어가도록 높이(A)를 제한하면 이 전기컨넥터장치의 자동차의 차체등에서 맞붙을 때에 이 돌기(56), (60)가 동그라미 관통구멍으로 삽입의 장해가 되지 않아서 매우 적당하다.
상술한 설명에서 분명한 것 같이 제12도에 표시한 제2실시예의 전기컨넥터장치의 암하우징(42)에 숫단자의 장식방지용의 돌기(42b), (42c)를 형성시키므로서 숫측랜스서포오트(45)의 판체(47)의 높이를 낮게하거나 간격을 넓힐 수 있다.
또 이 숫단자의 장식방지용 돌기는 비교적 극수의 작은 전기커넥터장치에 유효하다.

Claims (13)

  1. 숫단자가 각각 수용되는 숫단자 수용실이 복수개 형성된 숙하우징과 전기한 각 숫단자에 접속되는 암단자가 각각 수용되어, 전기한 숫단자수용실에 대응하는 암단자수용실이 동수개 형성된 암하우징을 갖추고 전기한 숫하우징의 각 숫단자수용실을 구분하는 칸막이벽에 한쪽만 갖는 지지상태에서 또한 제1의 휘어지는 공간에 탄성적으로 휘어질 수 있는 제1의 걸림수단이 각각 돌출설치하여 형성되며, 전기한 각 숫단자수용실에 수용된 숫단자가 이 제1의 걸림수단과 걸림됨으로서 숫단자의 탈락이 각각 방지되는 한편 전기한 암하우징의 각 암단자수용실을 구분하는 칸막이벽으로 한쪽만 갖는 지지상태에서 또한 제2의 휘어지는 공간에 탄성적으로 휘어질 수 있는 제2의 걸림수단이 각각 돌출설치형성되어 전기한 각 암단자수용실에 수용된 암단자가 이 제2의 전기한 제1의 걸림수단과 정상상태에서 걸림하여 수용되었을 때 전기한 제1의 휘어지는 공간에 끼워넣을 수 있는 숫단자착석검출수단과 및 전기한 각 암단자가 전기한 암단자수용실에 전기한 제2의 걸림수단과 정상상태에서 걸림하여 수용되었을 때 전기한 제2의 휘어지는 공간에 끼워넣을 수 있는 암단자착석검출수단을 포함해어 이루어지는 전기컨넥터장치에 있어서, 이 컨넥터장치는 하기한 것으로부터 이루어진다 : 전기한 숫단자착석검출수단은 이것과 일체로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의 판상부를 갖고 이 판상부는 이 숫단자착석검출수단이 전기한 제1의 휘어지는 공간에 정상상태에서 끼워넣게 될 때 숫하우징의 접속측단면에서 전기한 숫단자와 병행해서 암하우징측으로 향해서 늘어나고 판상부의 연출단이 숫단자의 선단보다 암하우징측으로 위치해서 숫단자에서의 충돌물체로부터 이 숫단자를 방어하고, 전기한 하우징은 그 접속측단면에 개구되도록 뚫어 설치되어서 전기한 적어도 하나의 판상부가 끼워넣게 되는 끼워넣는 홈을 갖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컨넥터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전기한 숫단자수용실 및 암단자수용실은 어느 것도 복수단의 복수열에 격자모양으로 배설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컨넥터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전기한 각단의 숫단자수용실에 대응하는 제1의 휘어지는 공간은 이단의 숫단자수용실의 늘어선 모양으로 병행해서 연이어 통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컨넥터장치.
  4. 제2항에 있어서, 전기한 각단의 암단자수용실에 대응하는 제2의 휘어지는 공간은 이단의 암단자수용실의 늘어선 모양으로 병행해서 연이어 통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컨넥터장치.
  5. 제3항에 있어서, 전기한 숫단자착석검출수단은 연이어 통하는 각단의 제1의 휘어지는 공간에 각각 끼워넣게 되는 숫단자착석검출편을 갖고 이들의 숫단자착석검출편은 이것에 직교하는 적어도 하나의 리브부재에 의해 일체로 연결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컨넥터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전기한 적어도 하나의 판상부는 전기한 리브부재에 따라서 전기한 숫단자착석검출편에 직교하도록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컨넥터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전기한 적어도 하나의 판상부는 전기한 암단자의 착석검출수단과의 간섭위치에서 절결구를 갖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컨넥터장치.
  8. 제4항에 있어서, 전기한 암단자착석검출수단은 연이어 통하는 각단의 제2의 휘어지는 공간에 각각 끼워넣게 되는 암단자착석검출편과 전기한 복수개의 암단자수용실의 바깥둘레에 끼워만들어져서 전기한 암단자착석검출편과 일체로 형성되어서 각암단자착석검출편을 지지하는 틀체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컨넥터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전기한 암단자착석검출편은 전기한 숫단자착석검출수단과의 간섭위치에서 절단되어서 빈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컨넥터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전기한 절단된 암단자착석검출편은 이것과 직교하고, 한끝이 전기한 틀체에 연결되는 리브부재에 의해 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컨넥터장치.
  11. 제1항에 있어서, 전기한 숫하우징은 그 접속측단면에서 전기한 하우징측으로 향해서 늘어나고, 전기한 숫하우징의 접속측단면에서 튀어나오는 숫단자의 튀어나오는 끝 및 전기한 적어도 하나의 판상부를 둘러싸고 암단자의 수용실의 바깥둘레에 끼워서 만들게 되는 제1의 스커어트부를 갖고 전기한 암하우징은 그 접속측단면에서 전기한 숫하우징측으로 향해서 늘어나고 전기한 제1의 스커어트부를 내감하는 제2의 스커어트부를 갖고 이 제2의 스커어트부의 바깥둘레벽에 소정의 높이의 돌기가 이 제2의 스커어트부의 단면에서 소정의 거리만큼 후퇴시켜서 전기한 숫하우징과 반대측으로 연달아 설치하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컨넥터장치.
  12. 제11항에 있어서, 전기한 돌기의 앞끝면은 경사면이고, 이 경사면은 전기한 제2의 스커으트부의 앞끝의 가장자리에서 서서히 상승하고 전기한 소정거리만큼 후퇴된 위치에서 전기한 소정의 높이에 이르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컨넥터장치.
  13. 제1항에있어서, 전기한 숫 및 암단자의 각 수용실에 수용되는 각단자는 인슈레이션 배럴을 갖고 이 인슈레이션 배럴에 의한 전도선의 피복끝에 마개체를 끼고 접속되어 이 마개체는 전기한 단자측으로 위치하고, 전기한 인슈레이션 배럴에 의해 되게 조르게 되는 슬리이브부와 전기한 단자수용실의 안둘레벽으로 미끄럼집합해서 단자수용실을 액밀로 봉하여 막는 슬리이브부와 중심축에 따라서 뚫어 설치되어, 전기한 도전선의 피복끝을 끼워서 넣게 되는 관통구멍을 갖고 이 관통구멍의 슬리이브부측의 안쪽끝의 가장자리에 따라서 관통구멍의 내경보다 적은 지름 또한 고리모양의 뱅크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컨넥터장치.
KR1019880000934A 1987-02-03 1988-02-02 다수의 단자를 갖춘 전기 컨넥터 장치 KR97000055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9)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1382787 1987-02-03
JP??13827? 1987-02-03
JP24274 1987-02-04
JP62024274A JP2825222B2 (ja) 1987-02-04 1987-02-04 コネクタ装置
JP??24274? 1987-02-04
JP??33150? 1987-03-09
JP1987033150U JPS63141579U (ko) 1987-03-09 1987-03-09
JP33150 1987-03-09
JP13827 1998-01-27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80010518A KR880010518A (ko) 1988-10-10
KR970000553B1 true KR970000553B1 (ko) 1997-01-13

Family

ID=2728041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80000934A KR970000553B1 (ko) 1987-02-03 1988-02-02 다수의 단자를 갖춘 전기 컨넥터 장치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EP (1) EP0277822B1 (ko)
KR (1) KR970000553B1 (ko)
DE (1) DE3889738T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900271A (en) * 1989-02-24 1990-02-13 Molex Incorporated Electrical connector for fuel injector and terminals therefor
JP2519179Y2 (ja) * 1989-03-29 1996-12-04 矢崎総業株式会社 電気コネクタにおける端子金具の二重係止構造
US4984998A (en) * 1989-12-15 1991-01-15 Amp Incorporated High density electrical connector
DE4106714C5 (de) * 1990-03-12 2004-07-01 Ghw Grote & Hartmann Gmbh Elektrischer Steckverbinder mit zwei in Richtung seiner Längsmittelachse lösbar zusammensteckbar und miteinander verrastbaren Steckerteilen
DE4223712C2 (de) * 1992-07-18 1997-09-11 Itt Cannon Gmbh Steckverbindung
GB9325421D0 (en) * 1993-12-13 1994-02-16 Amp Holland Electrical pin field
IT1266917B1 (it) * 1994-08-09 1997-01-21 Framatome Connectors Italia Unita' di connessione elettrica.
FR2731559B1 (fr) * 1995-03-06 1997-05-09 Framatome Connectors Int Connecteur enfichable a grilles de verrouillage des contacts
ES2112148B1 (es) * 1995-03-07 1998-11-16 Mecanismos Aux Ind Disposicion de seguridad mejorada aplicable a conectores.
JP3244254B2 (ja) 1996-02-23 2002-01-07 矢崎総業株式会社 二重係止コネクタ
KR100896202B1 (ko) * 2007-08-30 2009-05-11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커넥터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854787A (en) * 1972-12-07 1974-12-17 Amp Inc Integral housing and strain relief
GB8308074D0 (en) * 1983-03-24 1983-05-05 Amp Great Britain Electrical connector assembly
US4708662A (en) * 1986-06-20 1987-11-24 Amp Incorporated Connector assembly with pre-staged terminal retaine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80010518A (ko) 1988-10-10
DE3889738D1 (de) 1994-07-07
EP0277822A2 (en) 1988-08-10
DE3889738T2 (de) 1995-04-27
EP0277822A3 (en) 1991-01-02
EP0277822B1 (en) 1994-06-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806123A (en) Electrical connector device with a number of terminals
KR970000553B1 (ko) 다수의 단자를 갖춘 전기 컨넥터 장치
US6768057B2 (en) Connector for flexible electrical conduit
US9142904B2 (en) Electrical connector with terminal position assurance
EP3054533B1 (en) Base terminal block and auxiliary terminal block for switchboards and two-tier terminal block assembly comprising base terminal block and auxiliary terminal block
CN106256049B (zh) 电缆连接器及其连接器组件
US9362665B2 (en) Joint connector with pairs of locking lances and communication space extending between the pairs of locking lances
CN101981756A (zh) 具有小型截面的端子定位确保构件
US5573432A (en) Press-connecting connector
JP6667107B2 (ja) コネクタ
US20090017696A1 (en) Electrical connector with anti-mismating mechanism for preventing incorrect insertion of a smaller sized mating connector
EP2381539B1 (en) Electrical connector
EP0963009B1 (en) A construction for preventing an error assembling of a connector housing and a cover and a connector comprising the same
WO2011050006A2 (en) Cartridge lock registered jack and method of use thereof
US6805590B2 (en) Multipolar connector
US20040002252A1 (en) Modular plug
WO2013021624A1 (en) Connector
JPS6264077A (ja) 電気コネクタ
US4734054A (en) Plug connector
KR102499818B1 (ko) 고전압 커넥터
US5775954A (en) Electrical plug-in connector
EP3037304B1 (en) Electrical junction box for vehicle
CN112952421B (zh) 一种线端连接器及连接器组件
US5252095A (en) Electrical connector
US5248267A (en) Telephone jack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1223

Year of fee payment: 15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