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70000427B1 - 트렁크식 무선 중계기 시스템 - Google Patents

트렁크식 무선 중계기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70000427B1
KR970000427B1 KR1019880016200A KR880016200A KR970000427B1 KR 970000427 B1 KR970000427 B1 KR 970000427B1 KR 1019880016200 A KR1019880016200 A KR 1019880016200A KR 880016200 A KR880016200 A KR 880016200A KR 970000427 B1 KR970000427 B1 KR 97000042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hannel
digital
operating
signal
operating channe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8001620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90016789A (ko
Inventor
스코트 차알스리스 제퍼리
앤드류 디소스웨이 마크
미이드 쿠퍼 제랄드
하워드 휴즈 3세 호스톤
Original Assignee
에릭슨지이모빌컴뮤니케이션즈 인코포레이티드
레너트 그래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릭슨지이모빌컴뮤니케이션즈 인코포레이티드, 레너트 그래브 filed Critical 에릭슨지이모빌컴뮤니케이션즈 인코포레이티드
Publication of KR89001678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9001678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7000042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0042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4/00Network topologies
    • H04W84/02Hierarchically pre-organised networks, e.g. paging networks, cellular networks, WLAN [Wireless Local Area Network] or WLL [Wireless Local Loop]
    • H04W84/04Large scale networks; Deep hierarchical networks
    • H04W84/08Trunked mobile radio system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00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 H04L1/0078Avoidance of errors by organising the transmitted data in a format specifically designed to deal with errors, e.g. location
    • H04L1/0083Formatting with frames or packets; Protocol or part of protocol for error contro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00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 H04L1/12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by using return channel
    • H04L1/16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by using return channel in which the return channel carries supervisory signals, e.g. repetition request signals
    • H04L1/1607Details of the supervisory signal
    • H04L1/1614Details of the supervisory signal using bitmap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 Noise Elimination (AREA)
  • Radio Relay System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트렁크식 무선 중계기 시스템
제1도는 본 발명에 따른 트렁크식 무선 중계기 시스템의 개요도.
제2도는 제1도의 트렁크식 중계기 시스템중 중앙 제어측(위성 수신기측도 포함)의 블럭선도.
제3도는 중앙 제어측에 대한 주제어기측의 아키텍쳐를 도시한 블럭선도.
제4도는 제3도의 중앙측 아키텍쳐의 각 채널내에서 사용되는 채널 아키텍쳐를 도시한 블럭선도.
제5도는 제1도의 트렁크식 중계기 시스템내에서의 통신을 위해 활용되는 이동/휴대용 무선 유니트의 블럭선도.
제6도는 호출 유니트내에서의 호출 처리 수순을 도시한 흐름선도.
제7도는 피호출 유니트내에서의 호출 처리 수순을 도시한 흐름선도.
제8도는 트렁크된 채널 드롭 절차 및 요구된 드롭 시간을 설명하는 도면.
제9도는 전형적인 시스템에 있어서의 호출 개시 신호 빌생 및 전형적인 타이밍 요건들을 설명하는 도면.
제10도는 전형적인 시스템에 있어서의 개별 및 그룹에 따른 트렁크식 무선 통신의 개시 및 종료에 활용되는 제어 신호 발생 프로토콜의 그래프.
제11도는 제10도의 신호 발생 프로토콜을 달성하기 위하여 중앙측의 제어기, 호출 유니트 및 피호출 유니트에 활용는 적절한 컴퓨터 프로그램의 흐름선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트렁크식 중계기(중앙) 제어측 100-1 : 위성 수신기측
102 : 디스패치 콘솔 104 : 중계기국측
200 : 송신 안테나 202 : 수신 안테나
300,302,304,306 : RF 중계기국 400,402,404,406 : 트렁킹 카드(TC)
410 : 중앙측 제어기 412 : 제어 데이타 버스
502,504,506,508 : 보우터 회로 550 : 마이크로 프로세서
552 : 메모리 554 : 입/출력 회로
558 : 모뎀
본 발명은 일반적으로 트렁크식 무선 중계기 시스템(trunked radio repeater systems) 분야에 관한 것으로, 특히 전용 제어 채널을 통해 전달된 디지털 제어 신호들을 이용하면서 한편으로는 개개의 무선 유니트에 의해 사용되도록 일시적으로 할당된 복수의 동작 채널을 이용하는 트렁크식 무선 중계기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무선 중계기들을 트렁크화 하는 것은 잘 알려져 있다. 초기의 트렁크 시스템들은 아날로그 제어 신호들을 이용하였으나, 보다 최근의 시스템들은 디지탈 제어 신호들을 이용하고 있다.
제어 신호들은 여러 가지 이유와 효과 때문에 전용 제어 채널 및/또는 동작 채널들상에서 활용되고 있다. 대표적인 종래 기술의 트렁크식 무선 중계기 시스템들을 설명하고 있는 종래의 특허 공보들중에서 일부를 소개하면 다음과 같다.
미합중국 특허 제3,292,178호-Magnuski(1966)
미합중국 특허 제3,458,664호-Adlhoch 등(1969)
미합중국 특허 제3,571,519호-Tsimbidis(1971)
미합중국 특허 제3,696,210호-Peterson 등(1972)
미합중국 특허 제3,906,166호-Cooper 등(1975)
미합중국 특허 제3,936,616호-Digianfilippo (1976)
미합중국 특허 제3970,801호-Ross 등(1976)
미합중국 특허 제4,001,693호-Stackhouse 등(1977)
미합중국 특허 제4,010,327호-Kobrinetz 등(1977)
미합중국 특허 제4,012,597호-Lynk, Jr. 등(1977)
미합중국 특허 제4,022,973호-Stackhouse 등(1977)
미합중국 특허 제4,027,243호-Stackhouse 등(1977)
미합중국 특허 제4,029,901호-Campbell (1977)
미합중국 특허 제4,128,740호-Graziano (1978)
미합중국 특허 제4,131,849호-Freeburg 등(1978)
미합중국 특허 제4,184,118호-Cannalte 등(1980)
미합중국 특허 제4,231,114호-Dolikian (1980)
미합중국 특허 제4,309,772호-Kloker 등(1982)
미합중국 특허 제4,312,070호-Coombes 등(1982)
미합중국 특허 제4,312,074호-Pautler 등(1982)
미합중국 특허 제4,326,264호-Cohen 등(1982)
미합중국 특허 제4,339,823호-Predina 등(1982)
미합중국 특허 제4,347,625호-Williams (1982)
미합중국 특허 제4,360,927호-Bowen 등(1982)
미합중국 특허 제4,400,585호-Kamen 등(1982)
미합중국 특허 제4,409,687호-Berti 등(1983)
미합중국 특허 제4,430,742호-Milleker 등(1984)
미합중국 특허 제4,430,755호-Nadir 등(1984)
미합중국 특허 제4,433,256호-Dolikian (1984)
미합중국 특허 제4,450,573호-Noble (1984)
미합중국 특허 제4,485,486호-Webb 등(1984)
미합중국 특허 제4,578,815호-Persinotti (1985)
피호출 유니트(들)와의 통신되기 전에 점유된 유휴(idle) 동작 채널상에서 중계기측 제어기와 핸드셰이크(handshake)하므로써 부분적으로 전용 제어 채널의 사용을 회피하는 종래의 교환식 채널 중계기 시스템의 일예가 Bowen 등의 특허에 서술되어 있다.
트렁크식 무선 중계기 시스템들의 응용 분야는 광범위하다. 한가지 응용분야로서 공중 서비스 트렁크(public service trunked : PST) 시스템을 들 수 있다. 예를 들면, 한 대도시 지역에서 단일 트렁크식 무선 중계기 시스템을 활용하여 수많은 서로 다른 기관내의 각 무선 유니트들간을 효과적으로 무선 통신시키는 장점이 있다. 각 기관에서는, 또한 여러 플리트(fleet)의 개개의 유니트, 즉 서브 유니트들간의 효과적인 통신을 달성할 수가 있다(일예로, 경찰국에서는 순찰 차량대의 개개의 유니트나, 보행 순찰 경관들에게 할당된 개개의 휴대용 유니트, 또는 탐정 기관이나 마약 단속 기관의 개개의 유니트간을 효과적으로 통신시킬 필요성이 있을 것이다). 때로는 소정 그룹들의 유니트들(예를 들면, 모든 유니트, 모둔 순찰차량, 모든 보행 순찰 경관등)과 동시에 통신하는 것이 중요할 수 도 있다. 이때, 다른 기관들(예컨대, 소방국, 교통국, 수도국, 비구조 봉사대 등)도 마찬가지의 통신 서비스를 필요로 할 수가 있다. 트렁킹 원리에 친숙한 자들에게는 자명한 사실로서, 무선 중계기들이 트렁크되면(즉, 모든 가능한 유니트 사이에서 필요로 되는 바에 따라 공유화 되면), 비교적 소수의 무선 중계기만으로도 소정 지역내에서 어떠한 모든 요구에 대해 효과적으로 서비스 하는 것이 가능하다.
본 발명은 또한 특수 이동 무선(special mobile radio : SMR)트렁크 시스템 사용자들에게 특히 적합하다. 여기서, 사업자는 소정 지역내의 한군데 이상의 장소에 트렁크식 무선 중계기 시스템을 설치하여 특정 조직의 개개의 유니트 사이에 효과적인 무선 통신을 제공할 필요성을 갖고 있는 각종의 독립사업체 또는 기타의 엔티티(entities)들에게 무선 이용 시간(air time)을 판매할 수 있을 것이다. 여러면에 있어서, SMR 사용자의 요건은 PST 사용자의 요건과 유사하다.
실제로, 공중 서비스하기 위한 트렁크식 무선 중계기 시스템들의 장점들은 널리 인식되어 있으며, Association of public-Safety Communications Officers, Inc.(구명칭 : Association of Police Communications Officers)(약칭 : APCO)라는 단체에서는 이와 같은 시스템을 위하여 APCO-16 요건이라고 하는 일련의 매우 적절한 특징을 지닌 장치를 개발한 바 있다. 이러한 요건에 관한 완전한 명세 및 설명은 해당분야에 공지된 각종 간행물을 통해서 찾아볼 수 있을 것이다.
APCO-16 요건중의 하나는 어떠한 사용자든지 푸시-투-토크(push-to-talk : PTT) 스위치를 사용한 후에는 0.5초(500msec)이내에 음성 채널을 엑세스시켜야만 한다는 것이다. 이 요건은 특히 비상 상황에서 부합되어야만 하는데, 즉 시스템이 매우 짧은 시간 프레임내에 보다 낮은 우선 순위 사용자들을 능동적으로 드롭(drop)시킨다는 것을 의미한다. 물론, 비상 상황이 아닌 경우에서도 트렁크 설비를 효과적으로 이용하기 위해서는, 채널 이용이 종료되자마자 할당되어 있던 채널들을 신속하고 효과적으로 드롭시켜야만 한다.
종래의 트렁크식 무선 시스템들은 APCO-16의 적시성(time Ilness) 요건에 어느 정도 부합시키고자 하였다. 예를 들어, 종래의 한 시스템은 450msec내에서 채널 갱신(19채널 시스템의 경우) 및 500msec이내의 채널 드롭시킬 수 있었다. 이를 달성하기 위해서, 상기 종래 시스템은 전용 디지탈 제어 채널을 통해 초당 3600비트(3600bps)의 디지탈 신호 발생을 활용하고 있다. 그런데, 종래의 이와 같은 시스템이 이론적으로는, APCO-16 적시성 요건에 부합될 수 있을지라도, 실제로는, APCO-16 적시성 요건에 종종 부합 되지 않고, 또 부합된다고 하더라도 디지탈 제어 신호 발생의 신뢰도를 저하시킨다(이것은, 비상 상황이 아닌 경우에서 조차도 나쁜 영향을 미친다). 따라서, 이와 같은 점을 개선해야 할 여지가 충분히 있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일반적인 유형의 디지탈적으로 트렁크 무선 시스템에 있어서, 정밀한 제어 신호 발생의 적시성 및 신뢰도를 개선시키는 것이다. 이를 위해서, 무엇보다도 먼저, 매우 높은 디지탈 신호 발생율 (9600bps)이 활용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높은 신호 발생 속도를 이용하여 9600/3600=2.67만큼 적시성을 개선하는 것보다 차라리, 이와 같은 높은 신호 발생 속도의 대부분을 이용하여 신호 발생 신뢰도를 개선시키는 것이 좋다. 따라서 19채널 갱신시의 적시성은 예를 들어, 약 1.58의 인수만큼(예를 들면, 285msec 대 450msec) 개선되고, 그외 나머지 증가된 신호 발생 용량은 제어 신호 발생의 신뢰도를 개선시키는데 활용된다. 이때, 증가된 신호 발생 용량 모두는 채널 드롭 능력의 적시성을 개선(예를 들면, 190msec 대 500msec)하는데 활용된다.
AMPS 시스템에 관한 Bell Technical Jonrnal지에서 이미 설정된 바와 같이 (예를 들면, Bell System Technical Jonrnal 제58권 제1호, 1979년 1월간, 97면 내지 122면에 수록된 Arredondo 등의 논문 Voice and Data Transmission 참조), 무선 채널에 대한 디지탈 데이타 속도는 매우 낮거나(예를 들면, 200Hz) 또는 높더라도 채널 대역폭 허용 한계 이내어야만 한다. 본 발명은 사용자 통신 기간 직전 및 직후에 동작 채널들상으로의 정밀한 제어 채널 신호 발생 및 제어 신호 발생시키기 위하여 최대 고속 데이타 속도(예를 들면, 통상의 25KHz 대역폭 무선 채널에 대해 9600bps)를 활용한다. 한편, 부가청(sub-audible) 저속 디지탈 데이타는 사용자 통신 동안 동작 채널에서 활용되어 신호 발생 신뢰도를 더욱 증대시키고 그외 여러 가지 특징들을 구현한다.
전형적인 실시예에 있어서, 모든 채널(제어 채널은 물론 동작 채널들도 포함)은 모든 채널상에서 동시에 인 바운드(in-bound) 및 아웃 바운드(out-bound) 신호를 발생시키도록 완전히 이중화된다. 일반적으로, 본 발명은 디지탈 제어 채널 및 복수의 동작 채널을 갖는 트렁크식 무선 중계기 시스템내에서 신뢰할 수 있고 신속한 통신을 이루게 하는데, 상기 동작 채널은 제어 채널상의 디지탈 제어 신호에 의해 규정되는 바와 같은 각 무선 유니트에 의해 일시적으로 사용되기 위하여 할당된다.
초기에 능동 제어 채널을 통해서 디지탈 요구 신호를 제어측으로 통과시키는 호출 무선 유니트에 의해 채널 할당이 요구된다. 채널 활용도에 따라서,중앙측의 제어기는 요구된 통신에 대해 활용 가능한 특정 동작 채널을 할당하고, 제어 채널을 통해서 아웃 바운드된 디지탈 할당 신호들을 통과 시킨다. 호출 무선 유니트 및 피호출 유니트(들)는 동작 채널 할당을 검출하고, 적절한 동작 채널로 자신들의 송신기 및 수신기 동작을 스위칭 시킨다. 그후에, 할당된 동작 채널을 통해 제어측과 적어도 하나의 무선 유니트(예를 들면, 무선 유니트) 사이에서 다시 디지탈 핸드셰이크 신호들이 교환된다. 할당된 동작 채널상에서의 성공적인 핸드셰이크에 응답한 후에, 중앙측은 할당된 동작 채널을 통해서 디지탈 해제(release) 신호를 전송하여 상기 동작 채널을 통해서 통신하는 적절한 유니트들을 해제시킨다.
신뢰도를 증가시키는 한가지 기술로서, 초기 요구 신호들은 3중 데이타 용장도(three-fold data redundancy)(최소한 정밀한 데이타용임)을 포함하고, 제어 채널을 통해 전송되는 채널 할당 신호들은 6중데이타 용장도(예를 들면, 피호출 파티 및 할당된 채널을 나타내는 것들과 같은 최소한 정밀한 데이타)를 포함할 수 있다. 할당된 동작 채널상에서 연속적으로 교환되는 핸드셰이크 신호들도 최소한 정밀한 데이타의 3중 데이타 용장도를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하여, 고속 데이타 속도(예를 들면 9600bps)에 의해 활용가능하게 되는 증가된 신호 발생 용량의 일부는 모든 APCO-16 요건을 충분히 초과하면서 보다 신뢰할 수 있는 채널 할당 및 통신 기능을 위해 활용된다.
보다 고우선 순위 호출들에 대한 응답성을 확실히 하기 위하여, 할당된 동작 채널을 통해 부가청 디지탈 채널 할당 갱신 메시지들이 또한 전송된다. 이들은 각 유니트에서 모니터되고 나서 동작 채널들상에 존재한다. 따라서, 보다 높은 우선 순위 호출이 통신중인 일부 유니트로 향하는 경우, 상기 유니트는 새로 할당된 동작 채널로 즉시 동작을 스위칭하여 보다 고우선 순위 호출을 즉시 수신하게 된다.
한편, 피호출 파티를 통신중인 유니트로 사후 엔트리(late entry)하기 위하여, 디지털 채널 할당 사후 엔트리 메시지들은 성공적인 채널 할당 공정이 실행된 후에도 제어 채널상에 계속 전송되어 사후 엔트런트(late entrants)들(예를 들면, 무선을 막 턴 온한 경우나, 터널을 막 통과한 경우, 건물 뒤에서 막 나온 경우, 일시적인 인터럽션후에 다시 무선 통신이 이루어진 경우, 보다 고우선 순위 또는 동등한 우선 순위 호출을 완료한 경우 등)을 아무 하자 없이 가능한한 신속하게 적절히 할당된 동작 채널로 스위칭시킨다(사후 엔트리 특징에 관한 보다 상세한 설명은 1985년 4월 22일자로 출원된 미합중국 특허원 제725,682호를 참조하기 바람).
채널 할당의 신속하고 신뢰할 수 있도록 종료시키기 위하여, 호출 유니트의 PTT 스위치가 해제될 때, 이 스위치는 할당된 동작 채널상으로 디지탈 언키이드(unkeyed) 메시지를 전달한다. 제어측에서 상기 언키이드 메시지를 수신함에 따라서, 할당된 동작 채널로부터 즉시 모든 유니트를 드롭시켜서 그 동작 채널이 제 할당을 위해 자유롭게 되도록 할당된 동작 채널을 통해 디지탈 드롭 신호가 전송된다(소정 무선 유니트는 할당된 동작 채널로부터 드롭함에 따라 자동적으로 제어 채널을 모니터하기 위하여 원 상태로 되돌아갈 것이다).
본 발명의 시스템은, 트렁킹 제어가 지속적으로 전용화된 제어 데이타 채널을 통해 전달된 디지탈 신호들에 의해서 실행되기 때문에, 디지탈적으로 트렁크된 시스템이라고 불리어지기도 한다. 모든 유니트는 턴온시나 리세트시에 자동적으로 미리 결정된 주 제어 채널로 복귀하도록 프로그램 된다. 예측된 제어 채널 데이타 포맷이 발견되지 않으면, 능동 제어 채널이 발견될 때까지 다른 가능한 제어 채널들이 미리 결정된 수순으로 연속적으로 모니터된다. 이 방식으로, 중앙 제어측에서의 통상의 제어 채널 장치가 일시적으로 서비스로부터 제거될 수 있다(예를 들면, 유지 보수 목적을 위하여). 이 특징은 또한 정규 제어 채널이 예기치 않게 오동작 하는 경우에도 지속적인 트렁크 시스템 동작을 허용한다.
본 발명의 양호한 실시예는 기존의 모든 APCO-16 요건에 부합하고, 또 많은 분야에 있어서 기존의 APCO-16 요건을 초월하도록 설계된다. 본 발명의 양호한 실시예는 또한 데이타 인크립션(encryption)기술, 이동 디지털 데이타 터미널(디지탈 데이터 트렁크식 무선 통신 기간중에 아날로그 음성 데이타 대신 전달될 수 있다) 및/ 또는 활용가능한 자동 차량 로케이션 시스템들을 지원할 수 있다. 제어측에서 중앙 프로세서가 고장을 일으키는 경우에도 트렁크식 시스템 동작을 유지시킬 수 있도록, 고장 방지 구성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무선 유니트들 및 /또는 중앙측간에서 디지탈 데이타가 통신되어야 할 경우, 디지탈 데이터는 아날로그 음성 신호들과 유사한 방식으로 상기 시스템을 통해서 처리된다. 특히, 이와 같은 디지탈 데이타 통신은 기존의 오디오 통과 대역내에 수용된 속도로 수행될 것이고, 바람직한 음성 통신인 것처럼 트렁크 될 것이다(즉, 전용 디지탈 데이타 통신 채널들이 필요로 되지 않는다). 디지탈 데이타 통신의 신뢰도를 증진시키기 위하여, 데이타 전송들(아날그 음성 전송들도 포함)은 중앙 제어측에 접속된 위성 수신기들을 채용하는 보우팅(voting) 시스템들내에서 보우트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양호한 실시예에 있어서, 다음과 같은 유형의 디지탈 제어 신호 발생 메시지들이 활용 된다.
채널 유형 지시 속도
제어채널 인바운드 9600bps
- 그룹호출
- 특수호출
- 스테이터스
- 스테이터스 요구/페이지
- 비상 경고/그룹 호출
- 개별 호출
- 동적 재분류 최소
- 동적 재분류-강제 선택
- 동적 재분류-임의 비선택
- 동적 재분류-임의 선택
- 로그 인/동적 재분류 허가
- 논리 ID 요구
- 프로그래밍 요구
아웃바운드 9600bps
- 채널 할당
- 채널 갱신
- 앤에이블/디스에이블 유니트
- 동적 재분류
- 사전 배열
- 가 ID
- 유니트 키이드/언키이드
- 비상 채널 할당
- 동적 재분류 취소
- 동적 재분류-강제선택
- 동적 재분류-임의 비선택
- 동적 재분류-임의 선택
- 가 ID에 대해 그룹 ID할당
- 가 ID에 대해 논리 ID 할당
- 스테이터스 허가/페이지
- 타임 마아크
- 비상 채널 갱신
- 사이트 ID
- 시스템 동작 수행
- 측 스테이터스
- 논리 ID 할당
- 채널 할당 프로그래밍
동작채널 인바운드 9600bps
- 초기 핸드셰이크
- 특수 호출 신호 발생
- 유니트 ID-PTT 및 리버스 PTT
- 기타
아웃바운드 9600bps
- 초기 핸드셰이크
- 채널 드롭
- 스테이터스 메시지들
인 바운드 저속
- 유니트 PTT 확인
아웃 바운드 저속
- 우선 수위 스캔
- 고장 방지
양호한 실시예의 일반적인 특징들중의 일부와 기대되는 점(효과)들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Figure kpo00001
Figure kpo00002
Figure kpo00003
Figure kpo00004
양호한 실시예에 있어서, 어떤 기관이나, 플리트 또는 서브 플리트내의 유니트의 어드레스를 결정하는데 11비트가 이용될 수 있다. 특정 유니트의 개별적인 아이덴티티(즉, 논리 ID)를 결정하는데에는 12비트가 이용될 수 있다. 어떤 기관이나, 플리트 또는 서브 플리트내의 그룹 어드레스들을 결정하기 위한 11비트의 사용은 각 기관이 각종 플리트 및 서브 플리트 구조를 가질 수 있도록 상당한 유연성을 제공한다. 더욱이, 유니트 식별은 특정 플리트 및 서브 플리트 구조에 의해서 제한된다. 4096 유니트 식별 코드들은 서브 플리트들 중에서 분할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시스템의 일부 특징을 아래에 요약한다(그 순서가 중요성을 나타내는 것은 아니며, 이에만 제한되는 것도 아니다).
a) 재시도 윈도우 확대
요구된 동작 채널 할당이 달성되지 않으면, 그 요구는 자동적으로 재시도 된다. 이와 같은 재시도가 이루어지는 시간 윈도우는 앞서 성공치 못했던 재시도 수의 함수로서 증가된다. 이것은 평균 채널 액세스 시간을 현저히 저하시키는데, 여기서 요구 경합보다는 잡음이 실제적인 문제이다. 요구 경합 문제들을 위한 회복 기구도 물론 제공하고 있다.
b) 부가청 신호 발생의 보다 양호한 이용
채널 할당들을 확인하기 위해서만 부가청 신호 발생을 이용하기 보다는, 이와 같은 타당성 검사 기능을 현저히 간단화하고, 그래서 부가청 신호 발생 용량의 대부분이 다른 용도(예를 들면, 우선 순위 스캔)에 자유로이 이용될수 있도록 간단한 카운트 필드가 채용된다. 양호한 실시예에 있어서, 소정 채널에 대한 2비트 부가청 카운트 필드는 그 채널의 새로운 동작 할당시마다 증분된다. 그래서, 무선 유니트가 이 필드내의 변경을 관측하면, 그것은 제어 채널로 즉시 드롭 백하도록 프로그램 된다.
c) 스캔 기능을 동적으로 변경시킴에 따른 우선 순위 코뮤니케 분열의 최소화
우선 순위 호출 개시후, 무선 유니트는 복귀된 보다 고 우선 순위 호출을 탐색하기 위하여 일시적으로(예를 들면, 약2초 동안) 제어 채널상의 통상적인 다중 그룹 스캔을 디스에이블 한다. 이것은 진행중인 보다 저 우선 순위 코뮤니케내로 일시적으로 전환될 가능성을 저하시키고, 또한 다음의 보다 고 우선 순위 코뮤니케의 단편을 잃어버리게 될 가능성을 저하시킨다.
바로 직전에 포함된 호출 그룹에 대한 마찬가지의 일시적인(예를 들면, 2초) 스캔 실행(우선 순위 호출들을 제외)은 비우선 순위 코뮤니케들의 분열을 방지하는데 도움이 된다.
d) 채널 할당에 있어서 전송-트렁크된 비트의 사용
트렁킹 시스템은 2가지 트렁킹 모드를 갖는다.
a) 호출 유니트가 언키잉 하자마자 동작 채널이 할당 해제되는 전송 트렁크식 모드.
b) 유니트의 언키잉 다음의 n초에 동작 채널이 할당 해제되거나, n초 이내에 다른 유니트가 그 채널 상으로 키잉하는 메시지 트렁크식 모드.
시간 n은 행 타임(hang time)이라고 불리운다.
피호출 및 호출 유니트들이 전송-트렁킹 모드가 유효함을 인지하고 있음을 동적으로 확실히 함으로써, 호출 유니트는 PTT 해제시 제어 채널로 즉시 복귀하고, 그래서 그 동작 채널은 제어측으로부터의 드롭 채널 신호 발생을 위해 즉시 자유롭게 된다. 피호출 유니트들도 동작 채널상에 전송하는 것이 적극적으로 방지될 수 있고, 그래서 동작 채널에 대한 무선 유니트들의 다중 키잉을 회피할 수 있다.
e) 즉각적으로 복귀된 호출들의 자동 어드레스 지정
피호출 및 호출 유니트들/그룹들은 초기 채널 할당 신호 발생시에 식별된다. 피호출 유니트는 호출 유니트 ID를 포착하고, 시스템이 전송 트렁크식 모드인 경우에는 방금 완료된 코뮤니케후의 미리 결정된 기간(예를 들면, 5초)이내에 PTT 스위치가 해제되면 복귀 호출을 자동적으로 방금 호출한 무선 유니트로 어드레스하도록 인에이블 된다. 이것은 필수적인 콜백 처리 과정을 간단화 할 뿐만 아니라 액세스 시간을 최소화 한다. 전송 트렁크식 모드의 보다 폭넓은 응용을 허용함으로써, 특히 좋지 않은 신호 발생 영역에서 성공적인 메시지 교환의 가능성을 증진시키기도 한다.
f) 9600bps 허용 루스(Loose) 동기화
보다 높은 9600bps 신호 발생율의 사용은 간단한 도팅(dotting) 시퀀스에 의해 신속히 달성될 간략화된 비트 동기화를 허용한다(즉, '0'과 '1'의 교대 101010…). 그래서, 모든 채널에 걸쳐서 정밀하게 동기화된 정보 전달을 유지할 필요가 전혀 없다. 따라서, 하드웨어 요건 시스템 폭을 감축시킬 뿐만 아니라, 제어측에 고장 방지 구성을 보다 용이하게 한다.
g) 개선된 채널 드롭 신호 발생
드롭 채널 신호 발생은 간단한 신장된 도팅 시퀀스이다.
그러므로, 각 무선 유니트는 간단히 드롭 채널 신호 발생 및 채널 할당 확인을 동시에 탐색할 수 있다. 이것은, 제어측이 보다 즉각적으로 재할당을 위한 소정 동작 채널 이용 가능성을 고려할 수 있고, 만일 로드업되어 있다면, 드롭 채널 신호 발생을 즉각적으로 인터럽트 하여 동작 채널상에 새로운 채널 할당 확인 신호들을 발생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개개의 무선 유니트는 그것에 적절히 어드레스 되지 않으면 무시할 것이다). 그 결과, 로드된 시스템(즉, 기존의 채널 요구들이 이미 대기중인 시스템)은 단지 약 100msec이내에 동작 채널을 드롭시킬 수 있고, 그것을 즉시 대기된 요구로 재할당 할 수 있다. 드롭되는 호출에 대한 사후 엔트리를 발생하는 무선 유니트들은 드롭 채널 신호 발생 및 채널 할당 확인 신호 발생을 동시에 탐색할 수 있는 능력때문에 이를 검출하여 상기 채널로부터 적절히 드롭할 수 있다.
h) 특징 프로그래밍
공장이나 공급자에 의한 성가신 특징 프로그래밍(특징들을 부가하기 위한 재 프로그래밍도 포함)을 회피하기 위하여, 최종 사용자가 모든 이와 같은 프로그래밍을 안전하게 수행할 수 있게 하는 신규의 처리 과정이 채용된다. 모든 유니트는 공장에서 모든 가능한 기능을 수행하도록 프로그램된다. 기능 인에이블 비트맵과 특정 ID는 공장에서 함께 인크립트 되어 프로그램 코드로서 사용자에게 제공된다. 사용자가 각 디바이스를 프로그램 할 때, 그것의 인크립된 프로그램 코드들은 무선 프로그래머로 입력되고, 이것은 계속해서 접속된 무선 유니트 내에 특징 인에이블 비트 맵과, 디코드된 실제 ID 및 방금 프로그램된 비트를 적절히 설정한다. 방금 프로그램된무선 디바이스는 명백한 실제 ID를 근거로 하여 중앙 제어기내에 논리 ID에 대한 요구를 로그한다. 기능 인에이블 프로그램 코드의 불법 복사가 발생하면, 동일한 논리 ID가 할당될 것이고, 트렁크식 중계기 시스템의 무선의 이용이 소멸될 것이다.
i) 이중 채널 할당 핸드셰이크-하나는 할당된 동작 채널상에서 이루어짐
최초의 9600bps 채널 할당 신호 발생 교환은 제어 채널상에 이루어진다. 그러나, 확인(즉, 제2핸드셰이크)은 할당된 동작 채널상에 이루어진다. 그래서, 중앙 제어가 할당된 동작 채널상에서 피호출 유니트들을 언뮤트(unmute)하기 전에 적합한 채널이 성공적으로 할당 및 고정되었음이 확실시 된다. 신호 발생은 채널 조건이 음성에 대해 부적합한 경우, 핸드셰이크가 떨어지고, 그래서 호출이 자동적으로 종료하도록 이루어진다.
본 발명은 첨부 도면을 참조로 한 이하의 양호한 실시예에 대한 설명으로부터 보다 명백히 이해될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트렁크식 무선 중계기 시스템의 일반적인 구성이 제1도에 도시되어 있다. 여기서, 각종 그룹의 개개의 유니트는 트렁크식 중계기 제어측(100)에 설치된 공유 무선 중계기 채널들을 통해 서로(각자의 그룹 내부는 물론 외부와도) 통신한다. 디스패치 콘솔(102)은 중계기국측(104)에 직접 내장될 수도 있고, 통상적인 다른 무선 설비(106)들을 통해 이격되어 설치될 수도 있다. 복수의 디스패치 콘솔(102)(예를 들면, 별개의 각 플리트에 대해 하나씩)이 있을 수 있고, 전체 시스템을 위한 마스터 또는 감독 디스패치 콘솔이 있을 수 있다.
제2도는 중앙측(100)이 하나 이상의 위성 수신기측(100-1)과 함께 보다 상세히 도시되어 있다. 위성 수신기측들은 선택된 안테나측의 어느 한쪽에서 무선 수신이 일시적으로 양호해질 수 있도록, 중앙측(100)으로부터 공간적으로 배치된다. 그래서, 위성측 뿐만 아니라 중앙측들로부터 수신된 신호들은 제어 또는 통신 처리를 위해 가장 이용가능한 신호를 선택하도록 보우터 회로망내에서 조합된다.
중앙측에서는, 송신 안테나(200)와 수신 안테나(202)(이들은 때로는 공통 안테나 구조일 수도 있다)가 통상의 신호 조합/분리 회로(204),(206)와 함께 활용될 수 있다. 따라서, 송신 및 수신 RF 한테나 회로망(200-206)은 복수의 RF 중계기 스테이션(station)(300),(302),(304),(306)등 내에 포함된 복수의 이중 RF 채널 송신/수신 회로들을 개별적으로 서비스할 수 있다. 통상, 20개의 이와 같은 스테이션이 있을 수 있다. 각 국의 송신기 및 수신기 회로망은 통상 전용 제어반 CS(예를 들면, 마이크로 프로세서 의존식 제어 회로)에 의해 제어된다. 각 스테이션과 관련된 이와 같은 제어반 로직 회로들은, 계속해서, 트렁킹 카드 TC(예를 들면, 마이크로 프로세서 의존형 로직 제어회로)(400),(402),(404) 및 (406)에 의해 제어된다. 모든 트렁킹 카드(400-406)는 제어 데이타 버스(412)를 통해 서로 및/또는 주측제어기(410)와 통신한다. 주 중앙측 제어기(바람직한 경우에는 선택적인 백업 제어기들도 포함)는 상용 가능한 범용 프로세서(예를 들면, 18 MHz-J11 칩 세트를 갖는 PDP 11/73프로세서)이다.
비록 전체 시스템을 위한 주 정보 인식 및 제어 능력이 제어기(410)내에 존재하지만, 다른 백업 또는 고장 방지 제어 기능들도 트렁킹 카드(400-406)내에 조합될 수 있다. 이들은 제어기(410)의 오동작시에도 지속적인 트렁크식 중계기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보다 상세한 고장 반전 특징들은 본 출원인에 의해 출원된 미합중국 특허 출원 제057,046호, Fail Safe Architecture for Public Trunking System참조).
선택적인 전화 인터커넥트(414)가 또한 공중 교환식 전화 회로망 즉, 공동 전화망에 제공될 수 있다. 통상, 시스템 관리기 터미널, 프린터 등(416)이 또한 전체 시스템 관리 및 제어를 위해(하나 이상의 디스패치콘솔(102)과 함께) 제공된다. 특수 시험 및 경보 설비(418)가 바람직한 경우 제공될 수도 있다.
신호 보우터 회로(502),(504),(506) 및 (508)들은 복수의 입력 디지탈 또는 아날로그 신호를 수신하여 그들로부터 가장 강도 있는 또는 가장 신뢰적인 한 입력 신호를 선택적으로 출력하도록 접속된다. 그래서, 중앙측(100)으로부터 수신된 신호들은 각 채널 보우터 회로(502-508)에 입력되고, 추가의 유사한 입력 신호들이 위성 수신기측(100-1)내의 수신기들로부터 발생되어 마찬가지로 각 보우터 회로에 입력된다. 보우팅 처리의 결과들은 트렁킹 카드 회로(400-406)들로 다시 전달되어, 거기서 유효하게 수신된 신호로서 더욱 처리된다.
제어 데이타 통신을 위한 중앙측 구성이 제3도에 보다 상세히 도시되어 있다. 여기서, PDP 11/73 제어기(410)는 19.2KB 링크(412)를 통해 개개의 채널내의 각 이중 중계기 회로를 제어하는 최대 25트렁킹 제어 카드 TC와 통신한다. 디스패치 콘솔(102)로부터의 다운 링크를 지원하는 하드 웨어와 통신하기 위하여 또다른 고속 19.2KB 링크(420)가 사용된다. 중앙 처리기(410)와의 다른 데이타 통신은 제3도에 도시된 9600 보오드 링크들을 통해 이루어진다. 중앙 처리기(410)는, 예를 들면, 128K 바이트 코드 PROM, 1M 바이트의 RAM 및 32DHV-11/J호환 RS-232C 포트들을 포함할 수 있다. 그것은 허용 가능한 실시간 기준으로 모든 각종 데이타 통신들을 관리하기 위한 멀티-태스킹, 사상 구동식 오퍼레이팅 시스템을 제공하도록 마이크로 파워 파스칼을 이용해서 프로그램 된다.
제어된 각 중계기 채널에서, 19.2KB 데이타 버스(412)(바람직한 경우, 선택적인 백업 제어기로부터의 것도 포함)는 TC 모듈내의 8031 프로세서에 의해 모니터된다. TC 트렁킹 제어 모듈은 제4도에 도시된 오디오, 신호 발생 및 제어 버스들과 함께 그것과 관련된 중계기의 제어반 CS를 통해 제어를 시험하고, 클럭 동기화 및 고장 완화 지시를 제공하는 하드 결합된 입력들을 수신한다(예를 들면, 고장 완화 지시는 중앙 제어기(410)에 의한 정상적인 제어가 이용 불가능하고, 각 트렁킹 제어 모듈 TC내에서 다른 분산식 제어 알고리즘이 실행되어야 함을 지시한다).
실시예적 시스템내에 사용하기에 적합한 이동/포터블 무선 유니트의 일반적인 구성도 또한 제5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마이크로 프로세서 의존형이다. 여기서, 마이크로 프로세서(550)에는 무선 유니트 디스플레이, 키이 패드, 푸시-투-토크 스위치, 그리고 스피커에 기본 아날로그 오디오 출력을 제공하고 마이크로폰으로부터 아날로그 오디오 입력들을 수신하는 오디오 회로(556)들과의 인터페이스를 위한 적당한 메모리(552) 및 입/출력 회로(554)들이 제공된다. 디지탈 인터페이스로서의 모뎀(558)을 통한 보조제어(예를 들면, 음성 인크립션, 차량 로케이션 또는 기타 유형의 디지탈 통신 서브 시스템 등)도 제공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물론, I/O 회로(554)들은 RF 수신기(560) 및 송신기(562)를 통한 적당한 프로그램식 제어를 허용하는데, 이것은 통상의 신호 결합기(564)를 거쳐 공통 안테나(566)를 통한 양방향의 완전히 이중화된 통신을 허용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복잡한 시스템의 모든 유니트 및 서브 유니트에 관한 보다 상세한 설명은 필연적으로 상당히 방대하고 복잡할 것이다. 그러나, 이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들이라면 일반적으로 RF 송신기 및 수신기 회로, 프로그램식 범용 컴퓨터 제어기 등을 갖는 디지탈 제어 트렁크식 중계기 시스템들과는 이미 친숙하기 때문에,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될 것이다. 대신에, 본 발명의 요지를 명백히 해야 할 것이다. 따라서, 이 설명의 나머지는 시스템내에서의 호출 개시 및 종료를 위해 활용되는 신호 발생 프로토콜에 집중될 것이다. 왜냐하면, 이것이 현저한 개선(신뢰도 및 속도면에 있어서)을 구성하는 것이라고 여겨지기 때문이다.
호출 배정은 호출 유니트가 전용 제어 채널을 통해 중앙 측으로 특정 디지탈 채널 요구 신호를 전송함에 따라서 시작된다. 이에 응답하여, 중앙측은 특정 디지탈 채널 할당 신호를 제어 채널을 통해 아웃바운드로 전송한다. 그러면, 호출 유니트는 이에 응답하여 할당된 동작 채널로 즉시 전환되고, 이에 중앙측은 활당 확인 메시지(고속 디지탈 형태)를 보낸다. 호출 유니트가 동작 채널상의 확인 신호들을 수신하면, 중앙측이 동작 채널 상에서 요구된 통신 세션을 시작하기 위해 피호출 유니트들을 해제하기 전에, 제2핸드셰이크를 완수하기 위한 동작 채널을 통해(즉, 제1의 것은 제어 채널상에서 이루어지고, 이번의 것은 동작 채널상에서 이루어진다) 중앙측으로 허가 응답을 보낸다. 그 대신, 이 처리중에 호출 유니트가 그것에 어드레스된 제어 채널상에서 채널 갱신 메시지를 수신하면, 채널 요구 호출은 일시적으로 보류되고(그러나, 비상 또는 보다 고우선 순위 요구는 채널 요구를 진행한다), 호출 유니트는 유입 호출을 수신하도록 피호출 상태로 복귀한다. 만일 호출 유니트가 어떠한 응답도 수신하지 못하면 (또는 부적절하게 완수된 응답 핸드셰이크 시퀀스의 경우), 호출 요구를 성공시키기 위한 재시도(최대 8회전까지)전에 랜덤 기간동안 자동적으로 대기한다.
피호출 유니트는 초기에 스탠바이 형태로 존재하고, 중앙 제어측으로부터의 아웃바운드 제어 채널상에 나타나는 디지탈 메시지들을 지속적으로 모니터한다. 피호출측(피호출 그룹 중의 하나일 것임)으로서 어드레스된 채널 할당 메시지를 검출하면, 피호출 유니트는 즉시 동작을 할당된 동작 채널상으로 스위칭한다. 거기서, 또한 중앙측으로부터 동작 채널상의 아웃바운드 확인 신호들을 검출하고, 성공적으로 확인되면, 동작 채널상에서 해제 또는 비스
Figure kpo00005
치 신호를 대기한다.(예를 들면, 동작 채널상에서 호출 유니트와 성공적으로 핸드셰이크를 완료함으로서 응답하여 중앙측으로부터 전송됨). 피호출 유니트는 또한 채널 갱신 메시지를 수신할 수도 있다. 이것은 단지 피호출 유니트가 정확한 채널상에서 이미 동작하고 있음을 확인하는 것이다.
호출 유니트에 대한 프로그래밍이 일반적으로 제6도의 흐름선도에 도시되어 있다. 여기서, 호출 모드로의 엔트리시, 스텝(600)에서 호출 요구가 제어 채널 CC상에 전달된다. 스텝(602)에서 호출 대기를 위한 검사가 이루어진다. 대기되면, 전달은 루프(603)를 대기하도록 이루어진다. 스텝(604)에서 검출된 할당에 대한 시험후에 스텝(606)에서 30초 타이머의 경과에 대한 시험이 이루어진다. 제어는 수동 요건으로 효과적으로 다시 전달되어 출구(607)를 통해 호출 처리를 재개한다.
호출 요구가 대기되지 않으면, 스텝(608)에서 특정 유니트가 피호출측으로서 이미 요구된 적이 있었는지의 여부를 시험한다. 만일 그렇다면, 스텝(610)에서 동작의 피호출 모드로 진행한다. 기대된 시간에 수신되지 않으면, 랜덤 대기가 스텝(614)에 삽입되고, 그 후 스텝(616)에서 이 특정 호출을 완수하기 위해 8번의 시트가 이루어졌는지의 여부가 시험된다. 만일 그렇다면, 서브 루틴은 스텝(618)에서 배출된다. 그렇지 않다면, 서브 루틴은 스텝(600)에 재입력된다.
스텝(612 또는 604)에서 채널 할당이 성공적으로 검출되면, 스텝(620)에서 유니트 동작은 즉시 할당된 동작 채널로 전환되고, 스템(622)에서 제2의 성공적인 핸드셰이크(확인된 신호 발생)에 대한 시험이 이루어진다. 동작 채널상에서 비성공적으로 확인되면, 배출이 이루어지고 호출이 종료된다. 그런데, 제2핸드셰이크(예를 들면, 동작 채널상의 핸드셰이크)가 성공적으로 확인되고 완수되면, 스텝(624)에서 호출 유니트는 신장된 시퀀스의 도팅(dotting)(예를 들면, 성공적인 제2핸드셰이크를 나타냄)을 전송하고, 다음에 스텝(626)에서 할당된 동작 채널을 통해 음성의 전송(또는 디지탈 통신 세션이 요구된 경우에는 데이타의 전송)이 이루어지며, 스텝(628)에서 서브 루틴이 (예를 들면, 스텝(627)에서 PTT 스위치의 해제를 탐색하고 언키잉 신호를 전송하는 표준 모니터 루틴으로) 배출된다.
피호출 유니트 다음의 프로토콜이 일반적으로 제7도에 도시되어 있다(예를 들면, 이 동작 모드로 유니트를 제어하는데 적당한 컴퓨터 프로그램을 나타냄).
엔트리시, 스텝(700)에서 양호한 메시지(예를 들면, 특정 유니트에 어드레스된 것)에 대하여 제어 채널이 간단히 모니터된다. 이와 같은 메시지가 검출되면, 스텝(702)에서 메시지의 갱신 유형에 대한 검사가 이루어진다. 메시지가 이 유형이면, 스텝(704)에서 그것이 약 1.0초 이내에 반복 되었는지의 여부가 검사된다. 그렇지 않으면, 피호출 모드로의 재 엔트리가 이루어진다. 그런데, 보다 고 우선 순위 유입 호출의 갱신이 이와 같은 기간내에 반복되면, 스텝(106)에서 할당된 동작 채널로의 즉각적인 스위칭이 이루어진다. 스텝(707)에서 신호 발생이 확인되지 않으면, 비스
Figure kpo00006
칭(스텝 716)으로의 즉각적인 전환이 이루어지고, 그후 그 채널이 모니터된다. 반면에, 스텝(707)에서 신호 발생 확인이 이루어지면, 그것은 정상 채널 할당이 실제로 이루어지고 있고, 제어가 언뮤트(unmute) 메시지를 탐색하기 위해 블럭(714)으로 전달된다는 것을 나타낸다.
스텝(702)에서 어떠한 채널 갱신 메시지도 검출되지 않으면, 스텝(708)에서 그 메시지는 그것이 채널 할당이었는지의 여부에 대해 검사된다. 그렇지 않으면, 서브 루틴의 시초로 복귀된다. 그러나, 만일 적절한 채널 할당이 수신되었다면, 스텝(710)에서 할당된 동작 채널로의 전환이 이루어지고, 스텝(712)에서 동작 채널상의 적절한 확인 신호 발생에 대한 검사가 이루어진다. 그리고나서, 스텝(714)에서 할당된 동작 채널상에 적절한 언뮤팅 메시지가 또한 수신되면, 스텝(716)에서 피호출 유니트는 비스
Figure kpo00007
칭한다. 스텝(714)에서 언뮤팅 메시지가 전혀 수신되지 않으면, 스텝(718)에서 드롭 메시지에 대한 검사가 이루어진다. 동작 채널상에 드롭 메시지는 전혀 없고 고속 신호 발생만이 여전히 존재하고 있는 경우(스텝(720)에서 검출된 바와 같이), 스텝(714)에서 언뮤트 메시지에 대한 추가적인 검사가 이루어진다. 그러나, 스텝(720)에서 드롭 메시지도 전혀 없고, 고속 신호 발생도 중지되었다면, 스텝(716)에서 피호출 유니트는 비스
Figure kpo00008
치 된다.
소정 오디오 호출의 말미에서, 호출 무선 송신기는 제8도에 그래프적으로 도시된 바와 같은 특수 해제 PTT 신호를 전송한다. 적당한 전송 및 검출 지연 기간후에, 할당된 동작 채널은 그 동작 채널상으로 드롭 채널 신호를 전송함으로써 응답한다. 제8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 결과로서, 해제 PTT 신호가 개시된 후 단지 167msec 내에 동작 채널이 이용 가능하게 된다.
호출 프로토콜 신호들에 대한 대표적이 타이밍이 제9도에 그래프적으로 도시되어 있는 바, 여기서 약 290msec 이내에 통상적인 호출 프로토콜이 달성 될 수 있고 소정 동작 채널을 통해 통신이 개시됨을 알 수 있다.
일부 상관 메시지 포맷(기타 상관 신호 발생 포맷 및 프로토콜을 포함)의 비트-레벨 맵이 제10도에 그래프적으로 도시되어 있다. 제어 채널은 제10도에 도시된 포맷(100)을 반복하는 아웃바운드 연속 전송을 전달한다. 공지된 바와 같이, 각 40비트 메시지가 3번(모든 '0'가 '1'들로 변경되고, 또 그 역으로 변경되는 반전 전달 1회를 포함) 전달되고, 순환 메시지 시간 슬로트당 이와 같은 메시지들이 2번 전달된다. 선택적인 도팅 서문(사용되는 경우)은 수신 유니트들에 의한 지속적인 비트 동기화를 확실히 하고, 특유의 바커(Barker) 코드는 뒤따르는 40비트 레벨 메시지 사이의 비트 경계들을 규정하도록, 프레임 동기화를 허용한다. 제어 채널은 이러한 메시지 슬로트들을 연속적으로 전달하기 때문에, 도팅 서문은 전혀 필요없지만, 워드 프레임 바커 코드의 전달은 각 순환 전송 사이클에 대해 한번이면 충분할 것이다. 물론, 바람직하다면, 지속적인 비트 동기화를 더욱 보장하기 위하여 비교적 짧은 도팅 서문이 사용될 수도 있다.
제어 채널 CC상의 인바운드 메시지들은 제10도에 도시된 포맷(802)이고, 예를 들면, 호출 유니트로부터 전달된 그룹/개별 할당 요구들을 구비할 수 있다. 여기서, 도팅 서문은 상당히 길고, 워드 프레임 바커 코드는, 40비트 메시지(3중 용장도와 함께)가 전달되기 전에 중앙측에서의 수신 회로들이 적절히 동기화 되도록 3번 반복된다. 바람직하게는, 동기적으로 시간 슬로트된 유입 제어 채널 메시지들-제어 채널의 인바운드 부분상의 메시지들이 중앙측으로부터 제어 채널상으로 출력하는 메시지들(제10도에서 점선으로 표시됨)과 동일한 시간 슬로트 동안에 발생함을 의미함-을 형성하도록 적당한 전달 타이밍 회로들이 활용된다.
그룹 호출 요구 메시지 포맷은 제10도에서 확장된 스케일로 도시되어 있다. 그것은 2비트 메시지 유형(MT)코드를 포함한다(메시지 유형 필드는 추가의 비트들을 포함하도록 트리-로직(tree-logic) 형식으로 확장될 수 있다). 그래서, 이 MT-A 필드는, 예를 들면, 개별 호출로부터 그룹 호출을 구별한다. 2비트를 포함하는 통신 필드 유형은 요구되는 통신 세션의 유형을 나타낸다.(바람직하게는, 최고 우선 순위 비상 호출이 요구되고 있음을 나타내기 위해 1비트의 우선 순위 필드가 사용될 수도 있다). 11비트의 피호출 식별 코드(그룹이나 개별 유니트를 나타냄) 다음에는 호출 유니트의 아이덴티티를 나타내는 12비트 필드(논리 ID)가 뒤따른다. 40비트 메시지의 마지막에는 에러 검출 및 정정을 위한 12비트의 표준 BCH 코드가 존재한다.
복귀 채널 할당 메시지는 실제로 제10도에 확장된 스케일로 도시된 바와 같은 포맷을 갖고 있는 2 메시지쌍을 구비한다. 처음의 2비트는 메시지 유형(MT)을 식별하고, 다음의 2비트는 발생될 통신 세션의 유형을 식별한다. 다음에, 호출 유니트의 아이덴티티가 6디지트 필드에 의해 표현된다(예를 들면, 최상위 6비트는 2메시지 쌍중 한 메시지로 전달되고, 최하위 6비트는 그러한 메시지들의 다른 메시지로 전달된다). 다음의 1비트 필드는 그룹 호출이나 개별 호출이 포함되어 있는지의 여부를 식별하고, 할당된 동작 채널은 그 다음의 5비트에 의해 식별된다. 피호출 유니트(들)의 그룹 또는 개별 아이덴티티는 그 다음의 12비트내에 포함되고, 그 다음에는 12비트의 BCH에러 검출/정정 코드가 뒤따른다.
일단 동작이 할당된 동작 채널로 복귀하면, 중앙측은 포맷(804)의 확인 메시지를 동작 채널을 통해 아웃바운드로 전달한다. 그것은, 메시지 길이가 동작 채널상에서 32비트로 감축된 것을 제외하고는, 제어 채널 CC상의 연속적인 전달들과 같은 일반적인 형태의 것이다. 다시 한번, 그 메시지가 3중 용장도(하나는 반전됨)과 함께 전달된다. 바람직하게는, 제어 채널상에 전달되는 메시지들과 동일한 시간 슬로트 이내가 되도록 동작 채널내에서 확인 메시지가 타임된다. 32비트 확인 메시지의 포맷도 또한 제10도의 (806)에 확장된 형태로 도시되어 있다. 여기서, 4비트는 메시지 유형 코드로 전용되고, 추가의 2비트는 저속 부가칭 디지탈 데이타(이것은 동작 채널상에 연속적으로 나타나고, 그 동작 채널에 존재하는 유니트들에 의해 모니터될 것이다)를 프레임하거나 디코드하는데 유용한 부가청 프레임 카운트를 제공한다. 1비트는 또한 전송 트렁크 되거나 메시지 트렁크 되어 통신 섹션을 식별하는데 전용된다. 확인 메시지(806)의 다른 1비트는 그룹 또는 개별 유니트의 호출을 식별하고, 피호출 그룹 또는 개별 유니트의 식별은 그 다음의 12비트내에 포함된다. 확인 메시지(806)의 마지막 12비트는 BCH 에러 검출/정정 코드이다.
제2핸드셰이크(즉, 동작 채널상에서의)가 일단 성공적으로 완수되면, 호출 유니트는 제10도에 마찬가지로 도시된 바와 같이 오디오가 뒤따르게 되는 384비트의 도팅을 전달한다(요구된 오디오 통신 세션의 경우).
동작 채널상에서 호출 유니트에 의해 전달되는 신장된 도트 시퀀스는 성공적인 핸드셰이크 시퀀스의 허가로 이루어지고, 그에 대한 응답으로서, 중앙측은 동작 채널상에 피호출 유니트(들)를 긍정적으로 언뮤트하기 위한 아웃바운드 디지탈 메시지를 전달한다. 이와 같은 언뮤트 메시지의 포맷(808)이 제10도에 도시되어 있다. 다시 한번, 메시지 유형 코드는 최초 4비트를 이용하고, 부가청 프레임 카운트는 다음의 2비트로 구성된다. 다음 비트는 트렁크된 스테이터스 또 비트렁크된 스테이터스(예를 들면, 정규적인 행 타임)를 지시하는데, 이것은 다른 선택적 목적을 위해 사용될 수도 있다. 언뮤트되는 유니트(들)의 아이덴티티는 다음의 12비트로 설정되고, 그 다음의 12비트는 표준 BCH 에러 검출/정정 코드를 나타낸다.
동작 채널상에서의 통신 세션의 말미에, 호출 유니트는 다시 384비트의 도팅과, 그 다음의 각기 128비트로 이루어진 4데이타 블럭을 전달한다. 이와 같은 각 데이타 블럭은 8비트 바이트가 뒤따르는 서문으로서 16도팅 비트와 16비트 바커 코드(그중 일부의 비트는 필러(filler)일 수 있다)를 포함하고, 그 각각은 3중 용장도(하나는 반전된 것임)과 함께 전달되며, 동작 채널상에서 전달되는 디지탈 메시지들의 32비트 메시지 특성을 구성한다. 32비트 언키잉(unkey) 메시지 포맷(810)이 또한 제10도에 도시되어 있다. 여기서, 4비트 메시지 유형 코드 다음에는 사용되지 않는 2비트와 블럭 카운트를 위한 2비트가 뒤따른다. 호출 유니트의 아이덴티티는 그 다음의 12비트내에 설정되고, 그 다음의 12비트는 표준 BCH 에러 검출/정정코드이다.
마지막으로, 중앙측에서 동작 채널상의 언키잉 메시지를 수시함에 응답하여, 초신장된 도팅 시퀀스(예를 들면, 896 내지 2816비트)의 동작 채널상의 아웃바운드 메시지가 제10도에서 (8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앙 측으로부터 전달되고, 이에 응답하여, 그 채널상의 모든 유니트는 특정 동작 채널로부터 드롭하고, 유효제어 채널로 복귀한다.
대표적인 호출 발생/종료 시퀀스 동안에 중앙측 제어기, 호출 유니트 및 피호출유니트(들)에서 발생하는 프로그램된 이벤트(event)들의 시퀀스가 제11도의 흐름선도에 도시되어 있다.
프로그램된 각 유니트는 정지 제어 채널(CC) 모니터 루틴을 갖는데, 여기서 모든 유니트와 중앙측 제어기는 정지 상태로 존재한다. 스텝(1100)에서 호출 유니트가 CC 모니터로부터 호출 서브 루틴을 입력하면, 스텝(1102)에서 이 호출 시도가 재시도인지의 여부에 대한 시험이 이루어진다. 그렇지 않으면, 스텝(1106)에서 재시도 카운터가 최대 내용인 8로 설정되고, 스텝(1108)(이 스텝은 재시도가 처리중인지에 대한 시험이 이루어지는 스텝(1102)에서 직접 추출된다)에서 1씩 감소된다. 스텝(1110)에서 시험되듯이 재시도 카운터가 0까지 감소되었다면, 스텝(1112)에서 고장 획득 가청 비프(beep)가 발생되고 CC 모니터로 되돌아간다. 반면에, 재시도의 최대 수치가 아직 이루어지지 않았다면, 스텝(1114)에서 채널 할당 요구가 제어 채널상에 슬로트 동기화(예를 들면, 시간 t1에서)를 위해 전달된다. 인바운드 메시지의 검출시, 중앙측 제어기는 채널 할당 요구를 수신 및 기억하고 스템(1200)에서 자유로운 동작 채널을 할당한다. 실시예적 시스템에 있어서, 인바운드 요구에 대한 응답은 미리 결정된 지연대에 공급될 수 있다. 스텝(1204)(시간 t2)에서는 아웃바운드 채널 할당 메시지들(즉, 메시지쌍)이 가능한한 빨리 제어 채널상에 전달된다. 스텝(118)에서는 제어 채널로부터 2메시지 채널 할당쌍이 수신되어 호출 유니트내에 기억된다(이 유니트는 최대 수치의 슬로트에 달할 때까지 메시지를 탐색할 것이다). 2메시지쌍중의 어느 하나의 메시지가 성공적으로 수신되면, 이것은 충분할 것이다. 전술한 바와 같이, 그 동안에 채널 갱신이 수신되면, 피호출 상태로 되돌아가게 된다(그 호출은 비상이 아닌 것으로 가정한다). 스텝(1120)에서의 시험 결과 유효 채널 메시지가 수신되지 않았고 최대 수치의 슬로트가 관측되었다면, 스텝(1122)에서 적당한 지연이 로드되고, 진행은 CC 모니터로 되돌아간다(여기서부터 호출 서브 루틴에 대한 복귀 엔트리가 곧 수행될 것이다).
재시도 이전에 적당한 지연을 로드하는 처리는 의식적으로 제어되는 방식으로 재시도 윈도우의 진보적인 확대라고 생각될 수 있다. 무선으로부터의 인바운드 데이타 메시지가 응답을 얻지 못하게 되는 이유는 3가지가 있다. 즉 (1) 인바운드 메시지가 충분히 검출되지 않았거나, (2) 인바운드 메시지가 충분히 검출되지 않았거나, (3) 경합(동일한 인바운드 제어 채널 슬로트상에서 하나의 요구내에 2 이상의 이동 무선이 전달된 경우)이 발생했기 때문이다.
경합이 발생했거나, 그렇지 않으면 이동 무선 유니트들이 그들의 요구들을 랜덤하게 재전송하는 경우, 경합들이 계속해서 발생할 것이다. 이에 따라, 무선 유니트가 인바운드 메시지에 대한 응답수신을 실패하면, 그것은 자신의 요구를 다시 전달하기 위해 랜덤한 기간의 시간을 대기한다. 그런데, (1)이나 (2)의 경우가 발생되면, 실제로 재시도를 랜덤화할 이유가 전혀 없다. 불행히도, 그 무선 유니트는 응답 실패의 원인을 결정할 수 없다.
그러나, 이동 무선 유니트가 재전송을 위해 대기하는 시간이 길면 길수록, 조악한 신호 발생들 영역에서는 평군 액세스 시간이 길어지게 된다. 왜냐하면, 여기서 대부분의 재시도가 발생하기 때문이다. 손실된 응답의 원인으로 되는 것은 종종 경합이 아니라 잡음이기 때문에, 랜덤화하는 재시도들은 종종 낭비적이다.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어떤 정정 동작을 취한다. 첫째, 비채널 획득 메시지가 채널 요구 메시지들보다 훨씬 느린 재시도율을 갖게 된다. 전자에 대한 액세스 시간은 정밀하지 않다(반면에, 후자는 정밀하다). 그래서, 비채널 요구 메시지로 전달하는 무선과 채널 요구 메시지로 전달하는 무선 사이에서 경합이 발생하면, 전자의 재시도율은 다음의 재시도에서 후자와의 경합이 전혀 발생하지 않도록 보장하기에 충분할 만큼 늦어질 것이다.
둘째, 랜덤한 재시도율은 재시도수에 따라 변화한다. 재시도 알고리즘(채널 획득 메시지만에 대하여)은 연속하는 각 재시도로 재시도 윈도우를 확대한다. 이것은 잡음 존재시에 있어서의 평균 액세스 시간을 감소시키기는 하지만, 응답 손실의 원인 경합인 경우에 여전히 회복 기구를 제공한다.
양호한 실시예는 다음의 간단한 규칙을 이용한다.
1차 재시도 2슬로트 랜덤 가변성
2차 재시도 4슬로트 랜덤 가변성
그 이후의 재시도들 8슬로트 랜덤 가변성
보다 효율성을 높히기 위하여 수신된 비트 에러율의 함수로서 재시도 윈도우 폭을 변경시키는 것도 가능하다.
스텝(1220)에서의 시험결과로서 유효 동작 채널 할당이 수신되었다면, 스텝(1124)에서 호출 유니트는 할당된 동작 채널로 즉시 스위칭하고, 스텝(1126)에서 동작 채널을 통해 적절한 확인 메시지를 수신하도록 대기한다. 이 확인 메시지는 스텝(1126)에서, 즉 시간 t3에서 중앙측 제어기에 의해 전달된다. 확인 메시지가 스텝(1128)에서의 시험 결과인 드롭 메시지에 의해 중첩되거나, 또는 스텝(1130)에서의 프리세트 타이머의 타임 아웃에 의해 중첩되면, 스텝(1132)에서 호출 유니트는 동작 채널상에 384비트의 도팅을 전달하기 시작하고, 그 다음에 스텝(1134)에서 음성 전송(또는, 다른 적당한 통신 세션)을 시작한다.
다시 중앙측 제어기로 되돌아가서, 스텝(1208)에서 동작 채널상의 신장된 기간의 허가 도팅에 대한 검사가 이루어진다. 그것이 수시되지 않으면, 배출이 이루어진다. 그러나, 적절히 수신되면, 스텝(1210)에서 동작 채널상에 2유니트 키잉/언뮤트 메시지가 아웃바운드로 전달된다.
상기 모든 것이 발생한 동안, 피호출 유니트는 스텝(1300)에 설명된 바와 같이 시간 t2(호출 유니트와 거의 동시)에서 제어 채널로부터 2 메시지 채널 할당쌍을 수신하여 기억한다(2 메시지쌍 중에서 어느 한 메시지만 보이면 충분하다). 이에 대한 응답으로, 피호출 유니트는 스텝(1302)에서 할당된 동작 채널로 스위칭되고, 스텝(1304)(시간 t3)에서 그 동작 채널상의 적절한 확인에 대하여 할당된 동작 채널을 모니터한다. 적절한 확인 메시지가 수신된 경우에만, 피호출 유니트는 시간 t5에서 중앙측 제어기로부터 동작 채널상에 전달된 언뮤트 메시지를 수신하고, 이에 응답하여, 스텝(1306)에서는 동작 채널에 대해 피호출 유니트의 수신기를 언뮤트한다.
할당된 동작 채널상에서 호출 및 피호출 유니트(들)간의 통신 세션이 계속되는 동안, 중앙측 제어기는 (TC들을 거쳐) 스텝(1212)에서 모든 유니트에 대하여 모든 동작 채널상으로 부가청 신호 채널 할당(및 드롭) 데이타를 계속해서 전달한다. 중앙측 제어기는 또한 스텝(1214)에서 (적절한 TC를 거쳐) 제어 채널상에 주기적으로 채널 갱신 메시지들을 계속 전달한다(예를 들면, 사후 엔트리들이 적절한 동작 채널로 즉시 들어갈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중앙측 제어기는 모든 TC에 대한 채널 할당 드롭들을 통지하고, 이에 대한 응답으로서, 각 TC는 그것의 채널에 대해 적당한 부가청 신호를 발생시킨다.
전형적인 실시예에서, 도팅이 송출중인 경우에 발생하는 75Hz톤과 등가인 초당 150비트인 보오 속도에서 모든 부가청 신호가 발생한다. 유니트가 동작 채널상에 분명한 음성을 전송할 때마다 그 유니트는 부가청 신호에 대한 도팅을 전송한다. 또, 중앙측 제어기는 채널상에 무선 신호를 전송하는 경우를 결정하도록 알리는 키이 및 언키이 고속 인바운드 동작 채널과 관련하여 이러한 도팅의 부재를 이용한다.
동작 채널이 작동되는 전체 시간동안, 부가청 데이타 프레임의 연속 스트림은 시스템상에 발생한 채널 할당에 대한 모든 유니트를 통지하도록 하기 위하여 중앙측 제어기(적당한 TC를 거쳐)에 의해 전송된다. 이러한 매카니즘은 이하 간략히 설명될 우선 순위 스캔을 수행하는데 사용된다. 상기 중앙측 제어기에 의해 실행된 백그라운드 프로세스는 채널 갱신 메시지(적절한 TC를 거쳐)를 채널 순서(불통 채널은 제외됨)에 따라 연속적으로 송출된다. 이러한 프로세스가 신채널 할당이 행해져 고 우선순위로 전송되는 경우에는 인터럽트된다(채널할당이 제어 채널에 대한 채널 갱신 메시지 시퀀스를 인터럽트하는 방식과 유사함).
전형적인 실시예에서는 부가청 채널 갱신이 디스카드되며, 이러한 채널 갱신은 두번(한번은 우선순위에서, 또 한번은 백그라운드에서) 전송된 후에는 더 이상 전송되지 않는다. 이것은 부가청 신호가 더 이상은 정확하지 않은 스테일 정보(예를 들면, 이미 종료된 트렁크식 메시지에 대한 채널 할당)를 보고하는 것을 방지되게 하고, 또한 유니트가 더이상 사용치 않는 동작 채널로 스위칭하는 것을 방지되게 한다. 아울러, 단지 제한된 시간 주기(예를 들면, 전형적인 실시예에서는 2초)에 대해서만 부가청 신호에 의해 채널 할당을 전송하므로써, 스테일 정보가 동작 채널을 통해 전파되는 것을 방지되게 한다.
시스템내에 이벤트가 발생하는 고속도에 기인하여 부가청 신호 데이타 속도는 소망의 응답에 의해 제때에 이벤트를 보고하는 것을 늦어지게 할 수도 있다.(비상 전송을 가청하기 위해 피호출 유니트가 제때에 하나의 동작 채널에서 다른 동작 채널로 이동함.) 전형적인 실시예에서, 실제로 사용되지 않는 대신 고속(9600보오) 데이터의 버스팅시 중단되는 부가청 신호 스트림의 비트쌍을 제공함으로써 이러한 문제점을 극복한다. 이러한 버스팅은 고속 데이타가 저속 데이타를 인크럽트시키는 것을 방지하게끔 수행된다.
부가청 신호 프레임은 0.693초의 지속 시간을 가지며, 중첩된 96비트 데이타(제12도 참조)에 의해 수반되는 8비트 동기 스트림(전형적인 실시예에서는, 10111011)을 포함한다. 상기 96비트 데이타는 본 전형적인 실시예에서는 사실상 48비트 메시지로 구성되는데, 여기서 매 2비트씩 반전 및 반복된다.(이것은 양호한 검출을 위해 신호를 효과적으로 고역 필터링하는 동안 스테디 DC 포인트를 유지함과 아울러 비트 에러가 발생하더라도 성공적인 디코딩 가능성을 증대시킨다.)
이하, 48비트의 사용에 대해 도시하면 다음과 같다.
hhssi gggggggggg hhssi gggggggggg hhuu bbbbbbbbbbbb
여기서,
h : 고속 신호를 위해 예약된 비트 스페이스
s : 예비 비트(0으로 정의됨)
i : 유휴 프레임 비트
g : 그룹 Id비트
u : 고속 확인을 위해 예약된 비트 스페이스
b : BCH 코드 비트
주 : h 및 u비트는 BCH 계산의 경우 0으로 정의됨.
각각의 프레임은 온 채널(on channel)인 2개의 그룹을 포함한다. 만일 이 그룹이 전혀 온 채널이 아니며, 상기 프레임은 유휴 상태인데, 이는 1로 설정된 i를 가지며, 상기 그룹은 7FF hex로 설정된다. 만일 단일 그룹이 온 채널이면, 그것의 id는 프레임의 양 슬롯내에 놓이게 된다.
개별 호출이나 또는 동적인 재 그룹이 개시되는 경우에는 고속 데이타가 부가청 프레임의 모두 3개의 고속 슬롯내로 들어가게 된다.
부가청 갱신에서의 오버플로우는 고속 신호에 의해 전송된다. 이를 위해서는 3개의 윈도우중 어느 것이 사용될 수가 있다. 또, 그 메시지는 중계되지 않는다(모두 3개인 윈도우는 부가청 신호가 연속적으로 오버 플로우하는 경우에 사용될 수 있음.)
그룹이 채널상에 속하도록 상기 그룹을 갱신하기 위해서는, 특수한 갱신 고속 슬롯이 제1프레임 내지 제8프레임에 사용된다.
비트가 전체 부가청 전송 스키마의 일부로서 중첩될 때, 4비트 간격(26msec)이 고속 데이타를 위해 사실상 제거되도록 하기 위해서는 고속 슬롯이 짝수 비트 경계들상에 위치되어야 함을 인지하여야 한다.
이동식 무선 중계기 유니트는 고속 신호로 하여금 사용자가 청취하는 가청 잡음에 대한 발생을 방지되게 하는 4비트 시간 고속 슬롯동안 그것에 대한 가청 신호를 뮤트하도록 미리 프로그램되어 있다. 아울러, 상기 유니트는 에러 검사의 목적을 위해 이들 2비트값을 프리세트값(예시적 실시예에서는 0임)으로 인가함은 물론, 그것이 입력될 때 고속 신호를 고속도로 디코딩하도록 프로그램된다. 부가청 신호 프레임내의 짧은 고속 신호 슬롯은 백그라운드 부가청 신호와 서로 간섭하지 않으며, 또한 상기 제어측이 동작 채널상에서 작동하는 유니트로 메시지들을 매우 신속하게(예를 들면, 9600보오) 전송할 수 있는 매카니즘을 제공한다.
기존의 시스템들에서는 이동 무선 유니트들에 의한 타당성 검사로부터 부가청 신호발생이 통상 이용된다. 어떤 이동 무선 유니트가 동작 채널상에 있을 때, 무선 유니트는 부가청 신호 발생을 모니터하여 자신이 상기 채널을 소유하도록 한다. 어떤 무선 유니트가 소유하고 있지 않은 채널상으로 할당되는 최소한 2가지의 이유가 있다.
1) 동작 채널상의 코뮤니케내에 정확히 존재하는 경우, 채널 드롭을 나타내고 재할당되는 것을 실패한다.
2) 제어 채널을 모니터하면서, 메시지를 부정확하게 디코드하고 부정확한 채널로 된다.
문제 (1)은 채널상의 모든 유니트에 2비트 부가청 카운트를 제공함으로써 해결된다. 한 채널상에 하나의 호출이 배치될 때마다, 채널 TC는 그것의 카운트를 증분한다. 이에 따라, 어떤 무선 유니트가 카운트 변경을 나타내면, 그것은 채널 드롭 시퀀스를 손실하였음을 인지하게 된다.
문제 (2)에 대해서는, 기존의 시스템들상에 부정확하게 디코드한 아웃바운드 제어 메시지들이 존재할 가능성이 있다. 여기서, 그들이 소유하고 있지 않는 채널들로부터의 무선들을 재지시하기 위한 신속한 방도가 통상 제공된다. 이를 위해서, 부가청 신호 발생이 통상 이 목적을 위해 배타적으로 이용된다. 그러나, 본 발명에서, 장점은 제어 채널상의 고 정보율이 취해진다는 것이고, 이동 무선 유니트는 동작 채널로 들어가기 전에 갱신 메시지를 2번 나타내도록 요구된다. 사후 엔트리 시간내에는 무시할 수 있는 증가가 있지만, 부정확한 채널로 들어갈 가능성은 가상적으로 제거된다. 그 결과, 부가청 데이터가 다른 목적-예를 들면, 우선 순위 스캔-을 위해 사용될 수도 있다.
소정 통신 세션의 말미에, 호출 유니트내의 PTT 스위치를 언키이하는 처리가 스텝(1136)에 설명되어 있는 바, 그 결과로서, 스텝(1138)(시간 t6)에서 동작 채널 상에 언키이드 메시지의 전달이 이루어진다. 전송 트렁크식 모드인 경우, 호출 유니트는 즉시 제어 채널로 복귀할 것이고, 그래서 그 동작 채널을 즉시 자유롭게 한다. 이에 응답하여, 스텝(1216)에서, 중앙측 제어기는 동작 채널상에서 언키이드 메시지를 수신하고, 스텝(1218)에서, 과도하게 신장된 도팅 스트링(시간 t7에서 동작 채널로 896 내지 2816비트)을 전달한다. 피호출 유니트도 물론 시간 t6에서 동작 채널상의 언키이드 메시지를 수신하였고, 이에 대한 응답으로, 스텝(1308)에서 수신기를 이미 뮤트한 바 있었다. 피호출 유니트는 시간 t7에서 동작 채널상의 중앙측 제어기로부터의 아웃바운드 과도하게 신장된 도팅 스트링을 수신하고, 이에 대한 응답으로 스텝(1310)에서 제어 채널로 복귀한다.
코뮤니케 분열을 최소화 하기 위하여 특수 우선 순위 스캔 시퀀스가 이용된다.
무선 유니트가 다중 그룹에 대해 스캔하고 호출이 그 우선 순위 그룹에 대해 이루어질 때, 그 무선 유니트는 제어 채널로의 복귀 즉시 2초 기간동안 다중 그룹 스캔을 자동적으로 디스에이블 한다(우선 순위 그룹만의 스캔하기 위하여). 그 우선 순위 그룹은 방금 통신하고 있었기 때문에, 이 기간중에 다른 코뮤니케가 발생할 가능성이 높다. 그 무선 유니트가 다른(비 우선 순위) 그룹(보다 저 우선 순위인 것으로 정의함) 호출 내로 스캔되어, 그 우선 순위 그룹상에서 다른 코뮤니케가 발생하는 경우, 그 무선 유니트는 비 우선 순위 그룹으로부터 코뮤니케 단편을 청취할 것이고, 다음 우선 순위 그룹 코뮤니케내로의 그것의 엔트리는 지연될 것이다(우선 순위 스캔은 그 무선을 우선 순위 그룹내에 넣기 위하여 1.0 내지 1.5초 사이에 발생할 수 있다).
코뮤니케 분열을 최소화 하는데 이용되는 다른 독특한 특징은 무선 유니트를 방금전에 모니터된 비우선 순위 그룹으로 자동적으로 할당하는 편의 우선 순위이다. 기본적으로, 비 우선 순위 코뮤니케가 모니터되면, 그 코뮤니케 다음의 2초 동안 그 무선 유니트는 다른 모든 스캔된 호출들을 무시할 것이고(물론 우선 순위 그룹에 대해서는 제외), 우선 순위 그룹 코뮤니케들에 대해서도 마찬가지이다. 더욱이, 그 무선 유니트는 항상 최종적으로 모니터된 비우선 순위 그룹을 기억한다. 우선 순위 그룹 코뮤니케로부터의 복귀시, 그 무선 유니트는 모니터된 최종 비우선 순위그룹을 스캔되는 다른 그룹들상으로 제공할 것이다.
이하의 실시예에서, '--'는 그 그룹이 코뮤니케 채널내에 포함됨을 의미하고, 그룹 A가 우선 순위 그룹이며 그것의 코뮤니케들이 2초 이하만큼 분리된다고 가정된다.
그룹 A ---- ---- -- ----
그룹 B --------------------------
그룹 C --------------------------
무선 모니터 : BBBAAA AAAA AA AAAAA BBBB CCCC
동작 채널 확인 신호 발생에는 코뮤니케가 전송 트렁크식 인지 메시지 트렁크식인지의 여부에 따라 무선들을 통지하는 비트(즉, 메시지/전송 트렁크식 비트)가 있다. 이 독특한 특징은 보다 높은 주파수 효율성을 제공한다.
호출 무선은 동작 채널상에 있으며, 메시지/전송 트렁크식 비트를 나타내도록 보장된다. 그 비트가 전송 모드로 설정되면, 호출 이동 무선 유니트는 그 채널이 전송을 중단하자마자 곧 제거될 것임을 인지한다. 결과적으로, PTT가 해제될 때, 호출 무선 유니트는 자동적으로 또한 즉시 제어 채널로 되돌아간다. 이에 따라, 동작 채널 TC가 호출 이동 무선 유니트의 언키잉 메시지를 검출하자마자 곧 채널 드롭 신호 발생을 시작하기 때문에 채널 이용의 효율성을 증가 시킨다. 즉, 전송중인 이동 무선 유니트가 전송을 중단하고, 채널상에서 그것의 수신기를 얻은 후, 호출중인 이동 무선 유니트내에서 채널 드롭 신호 발생이 검출되는 것을 보장하게 될 충분한 시간을 가질 수 있도록 그 신호 발생을 신장시켜서는 안 된다.
호출된 무선 유니트들은 또한 이 메시지/전송 트렁크식 비트를 관찰하지만, 전혀다른 이유때문이다. 코뮤니케가 메시지 트렁크되면, 호출되었던 무선 유니트들은, 그들이 채널 드롭전에 응답을 제공하여야 할 경우에, 할당된 동작 채널상으로 키이할 수 있어야 한다. 그러나, 그 코뮤니케가 전송 트렁크되면, 어떤 피호출 무선 유니트도 할당된 동작 채널상에 전달하여서는 안 된다. 그 때문에, 2비트가 전송 모드로 설정되면, 피호출 무선 유니트들은 동작 채널상에 키이하도록 허용되지 않을 것이다. 이것은 무선 유니트들이 서로의 정상에서 키잉하는 것을 방지하기 때문에, 매우 유용한 특징이다.
메시지/전송 트렁크식 비트는 따라서 3가지의 시스템 장점을 제공한다. 즉, 그것은 채널 드롭 시간을 감소 시킴으로써(종래의 시스템들부터 3의 인수만큼) 주파수(즉, 채널) 효율이 보다 높은 전송 트렁킹을 이루고, 사용자들이 키이할 수 없는(예를 들면, 기존의 시스템들에 대해서, 0.5초 드롭 시퀀스중에 무선 유니트가 키이되면, 시퀀스가 완수할 때까지 대기하여야 한다) 전송간의 데드 타임을 감축시키며, 동작 채널상에서 무선유니트들이 서로의 정상에서 키잉하는 것으로부터 절대적인 보호를 제공한다.
실시예적 시스템상에서의 개별 호출을 위하여, 호출 무선 유니트는 그 자신을 식별하고, 호출되는 무선 유니트를 특정하도록 제어 채널의 단일 인바운드 채널을 이용한다. 양 무선 유니트는 아웃바운드 제어 채널 메시지를 통해 확인 신호가 발생하는 이용가능한 동작 채널로 된다. 피호출 무선 유니트에 대한 언뮤트 메시지는(고속 확인 신호 발생의 완수시) 또한 호출 무선 유니트의 ID를 특정한다. 피호출 무선 유니트는 자동적으로 호출 무선 유니트의 ID를 기억하고, 피호출 무선 유니트의 PTT 스위치가 호출국의 최종 PTT 스위치 해제후 5초 이내에 눌려지면, 개별 호출를 자동적으로 시초 호출로 다시 배치한다. 이 능력은 사용자의 용이하고 편리한 전송 트렁킹을 허용하고, 개별 호출동안 주파수(즉, 채널) 효율성을 보다 향상시킨다. 그것은 또한 호출 무선 유니트가 피호출 무선 유니트와 접촉하는 것을 허용하고, 피호출 무선 유니트가 호출 무선 유니트로 호출을 개시하도록 앞서 프로그램되지 않은 경우에도 채널 행 타임 없이 대화할 수 있도록 한다.
실시예적 시스템에서의 신호 발생은 매우 효과적이고, 채널 드롭 시간을 최소화하며, 시스템 효율성을 증진시킨다. 그것은 예를 들면, 기존의 다른 모든 시스템들 상에서 통상 저속 신호 발생이 이용되었던 것에 비해 고속 신호 발생이라는 점에서 독특하다. 더우기, 분산 구성 측에서의 메시지 트래픽을 특히 최소화하도록 설계된다.
이와 같이 신규한 채널 드롭 신호 발생이 없으면, 채널이 드롭을 개시하면, 메시지는 아웃바운드 제어 채널상의 모든 갱신(즉, 방금 드롭되는 동작 채널에 대한 무선 유니트들을 지칭하는 것임)을 중지시키면서 동작 채널 TC로부터 제어 채널 TC로(중앙측 제어기를 거쳐) 전달되지 않으면 안 될 것이다. 무선 방송이 일단 오프되면, 채널 TC는 중앙측 제어기로 추가의 메시지를 전달하여 드롭된 동작 채널을 재할당 할 수 있음을 통지하여야 한다. 채널 드롭 처리를 늦추는 중앙측내의 부가적인 메시지들 이외에, 중앙측 제어기상에 부가적으로 로드하는 종래의 기술이 이용된다. 또 다른 문제는 동작 채널상에 전달되는 드롭 채널 신호 발생이 충분한 기간이어야 한다는 것이다. 이것은, 채널이 일단 다운된 후 그 채널상으로 사후에 무선이 입력되거나 또는 그 채널상에서 다음 호출이 이미 발생되기 시작한 후에 그 채널상으로 사후 입력을 방지할 수 있는 타이밍 양면성을 보장하기 위해서이다.
양호한 실시예는 독특한 드롭 채널 신호 발생, 독특한 무선 신호 발생 검출 알고리즘 및 채널 TC가 드롭 채널 메시지를 중앙측 제어기로 전달할 때의 타이밍을 이용한다.
드롭 채널 신호발생을 9600bps 도팅함으로써, 드롭 채널 신호 발생이 그 신호 발생을 청취하고 있는 무선 조작자들에 앞서 검출 및 뮤트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검출 알고리즘은 도팅과 확인 신호 발생을 동시에 탐색할 수 있는 무선들상에 프로세서를 로딩하기에 충분한 광을 배치한다.
다음의 규칙은 동작 채널 TC의 드롭 기능으로서 수행된다.
1) 100msec의 로딩 전달.
2) 도팅을 인터럽트 하지 않고, 중앙측 제어기로 채널 드롭 메시지 전달.
3) 부가적인 200msec의 도팅 전달-단, 그것을 중지시키고 확인 메시지를 전달하기 시작하는 것은 중앙측 제어기로부터 전달되는 채널 할당 메시지이어야 함.
중앙측 제어기가 소정 채널 TC로부터 드롭 채널 메시지를 수신할 때, 그 중앙측 제어기에 의해 수행되는 루울은 다음과 같다.
1) 제어 채널 TC에 즉시 통지하여 그것이 동작 채널 TC 갱신들을 전달하는 것을 중지시킬 수 있도록 함.
2) 재할당을 위해 그 채널이 즉시 이용 가능하게 함.
무선이 동작 채널에 의해 무선 통신이 이루어짐에 따라서 그 무선에 의해 수행되는 규칙은 다음과 같다.
1) 1/2초 동안 그 그룹에 대한 모든 채널 갱신 및 코뮤니케의 채널을 무시함.
무선이 동작 채널에 도달함에 따라 그 무선에 의해 수행되는 루울은 다음과 같다.
1) 도팅(즉, 드롭 채널 신호를 구성하기에 충분히 긴 기간의) 및 확인 신호 발생을 동시에 탐색함.
2) 드롭 채널 도팅이 나타나면, 그 채널을 떠남.
3) 확인이 나타나면 그 채널을 떠나고, ID가 정당한 것이 아니면, 그렇게 말할 수 있을 때까지 신호 발생을 고정하고 언뮤트하지 않음.
4) 확인 신호 발생이 중지 하거나, 그 채널상에 어떠한 신호 발생도 나타나지 않으면, 부가청 및 언뮤트를 탐색함.
이러한 처리들의 순수한 효과의 중요성을 이해하기 위하여 다음의 2가지 경우를 고려한다. 즉, (1) 채널이 즉시 재할당 되지 않을 때, (2) 채널이 즉시 재할당 될 때 드롭 채널 메시지가 중앙측 제어기로 전달된 시점으로부터 100msec 이후에만 무선이 드롭 채널 신호 발생상으로 사후 입력되는 것이 가능하다. 그래서, 그 채널이 재할당되고 있지 않으면, 사후 입력 하는 무선은 전달되는 추가의 도팅을 나타낼 것이고 그 채널을 드롭 오프할 것을 인지 할 것이다. 한편, 시스템이 로드되어 있으면(예를 들어, 호출 요구들이 중앙측 제어기내에 대기중인 경우), 그 채널은 즉시 대기중인 제1그룹으로 할당되게 된다. 방금 드롭된 호출내로의 사후 입력을 시도하는 무선을 다음 호출 개시가 발생하게 될 그룹과 함께 확인 메시지를 나타낼 것이고, 그 채널을 드롭한 것을 인지하게 될 것이다.
로드된 시스템내의 채널을 드롭하는 것은 단지 100msec의 신호 발생과 중앙측으로의 단지 하나의 메시지만을 요구한다. 드롭되는 호출로의 사후 입력을 일으키는 무선들은, 드롭 채널 신호 발생과 확인 신호 발생을 동시에 탐색할 수 있는 능력때문에, 그 사실을 검출한다.
무선 가격의 상승에 대비하여, PST 무선 제조업자는 무선 유니트들내에 이러한 특징들을 추가로 프로그램할 수 있다. 이에 앞서, 공장에서는 독자적인 PROM 또는 EPROM을 제조한다. 이러한 방식의 한가지 단점은 각 무선 유니트를 독자적으로 프로그램하는 비용이다. 그리고, 그것은 고객이 추가의 특징들을 요구하는 경우에 무선을 제공하는데 효과적이지 못하다.
그런데, 양호한 실시예는 공장 프로그램밍 코스트를 제거할 수 있도록 한다. 각 무선 유니트를 고객에 의해 사이트(예를 들면, 그룹들, 시스템들등)에서 프로그램 되기 때문에, 이때 무선 유니트내에 특징들이 프로그램되면 된다. 문제는 고객이 단지 판매된 특징들만을 프로그램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는 프로그래밍 테스크를 어떻게 조절하느냐에 있다.
고객으로의 무선 유니트들의 수송은 프로그래밍 코드와 실제 ID(각 무선 유니트에 대해 한쌍)의 세트를 명세하는 종이 한장이면 족하다. 각 프로그래밍 코드는 특징 인에이블 비트 맵의 인크립션과 무선 유니트의 실제 ID이다.
고객이 무선 유니트를 프로그램할 때, 그는 2가지 일을 해야 한다. 먼저, 무선 유니트를 프로그램한다. 이를 위해서, 그 고객은 그 무선 유니트를 위해 계약한 특징들을 나타내는 프로그램밍 코드를 선택하고, 그것을 무선 프로그래머내에 입력시킨다. 프로그래밍 코드에 의해 디스에이블된 특징들을 프로그램하는 것을 방지하면서 그 고객은 무선 프로그래머를 이용하여 무선 유니트를 프로그램한다. 둘째로, 사용자는 시스템 관리기를 개재하여 그 무선 유니트를 시스템 데이타 베이스에 등록시킨다. 그 무선 유니트의 실제 ID는 그 무선 유니트가 데이타 베이스내에 있도록 규정되어야 한다.
무선 프로그래머가 무선 유니트내에 데이타를 기입할 때, 그것은 무선 유니트 자체내에 방금 프로그램된 비트를 설정한다. 무선 유니트가 턴 온 될 때마다, 그것은 그 비트를 검사한다. 설정되었으면, 그 무선 유니트는 그것의 사용자가 트렁크식 시스템상에서 통신할 수 있게 되기 전에 중앙측 제어기로부터 논리 ID를 요구하는데 그 자체의 실제 ID를 사용한다. 중앙측 제어기는 그 논리 ID가 무선 유니트에 할당될 것인지를 결정하기 위한 시스템 관리기 데이타 베이스로 들어간다. 고객이 상이한 무선 유니트들을 프로그램 하는데 동일한 프로그램밍 ID를 사용하고자 하는 경우, 그는 각 무선 유니트내에 동일한 논리 ID를 설정하면 충분하고, 이것은 독자적인 식별 능력이 상실되었음을 의미한다. 이것은 고객이 기존의 시스템들내에 사용된 PROM을 복제한 경우와 마찬가지의 결과이다.
그 결과는 동일한 보호 레벨을 갖는다는 것이고, 한편으로는 공장에서 무선 유니트들을 프로그램할 필요성을 회피한다. 무선 유니트에 특징들을 추가하는 것은 갱신된 프로그래밍 ID를 발행하는 것을 포함하고, 무선 유니트들을 프로그램하는데 있어서의 모호함이 제거된다(예를 들면, 기존의 시스템들에 있어서의 무선 유니트는 어떤 특징을 수행하도록 인에이블 되지 않았어도 그 특징을 수행하도록 프로그램된다. 그래서, 고객이 그것을 프로그램하고 그것이 동작하지 않을 때, 그 고객은 그 무선 유니트가 잘못 프로그램 되었는지 또는 그 특징이 디스에이블 되었는지 말할 수 없다). 그리고, 이동 무선 유니트들 내에는 어떠한 특수 소프트웨어도 기입되지 않는다. 다만, 무선 프로그래머이다. 특징 인에이블/소프트웨어에 관련하는 소프트웨어 버그를 고정하는 것은 측에서 모든 유니트에 대한 것보다는 일부의 컴퓨터내의 코드를 변경하는 것을 포함하기 때문에 이 마지막 장점은 매우 훌륭하다.
각종 유형의 호출 발생 시퀀스내에 포함되는 신호 발생 프로토콜 및 포맷들의 상세한 설명을 이하에 요약한다.
Ⅰ. 무선 발생, 논리 ID 획득 시퀀스
A. CC는 모든 비작동 이동 무선 유니트가 수신하게 될 연속적인 스트림의 제어 메시지들을 전송한다. 메시지들은 2메시지씩 다음과 같은 프레임 포맷으로 30msec 프레임으로 전달된다.
도팅=32비트
바커=16비트(예를 들면, 11비트 바커 코드+5비트 도팅 서문)
메시지 #1=40비트
메시지 #1(반전됨)=40비트
메시지 #1=40비트
메시지 #2=40비트
메시지 #2(반전됨)=40비트
메시지 #2=40비트
B. 이동 무선 유니트의 전원이 턴 온 될때, 그것은 제어 채널(CC)로부터 다음과 같은 포맷의 측 ID 메시지를 수신한다.
MT-A=2비트(예, 11)
MT-B=3비트(예, 111)
MT-C=4비트(예, 1110)
지연=2비트
채널=5비트
우선 순위=3비트
홈 사이트=1비트
고장 완화=2비트
사이트 ID=6비트
BCH코드=12비트
지연은 제어 채널이 인바운드 전송에 응답하기 전에 제어 채널 슬로트의 최대 수치를 규정한다. 채널은 유효 제어 채널을 위한 채널수를 규정한다. 우선 순위는 보다 저 우선 순위를 갖는 이동 무선들이 인바운드 제어 채널상에서 전송하는 것을 금지한다. 홈 측 비트는 사이트 ID가 홈(=0) ID인지 또는 인근(=1) ID인지를 규정한다.
C. 바람직하게는, 그리고 우선 순위가 허용하는 한, 이동 무선 유니트는 선택적으로 수신된 제어 채널 메시지와 동기하여 제어 채널상에 로그인 요구를 전달한다. 프레임 형태는 다음과 같다.
도팅=152비트
바커 코드(3회 반복됨)=48비트(필터 포함) 메시지=40비트
메시지(반복됨)=40비트
메시지=40비트
로그인 메시지는 다음과 같이 코드된다.
MT-A=2비트
MT-B=3비트
그룹 ID=11비트
논리 ID=12비트
BCH코드=12비트
이동 무선 유니트가 어떠한 논리 ID도 갖고 하지 않으면, 그것은 논리 ID 요구 메시지를 전송할 것이다. 논리 ID 요구 메시지는 다음과 같이 코드된다.
MT-A=2비트
MT-B=3비트
MT-C=3비트
실제 ID=20비트
BCH코드=12비트
D. 제어 채널은 논리 ID 할당 메시지로 응답한다.
Ⅱ. 무선 호출 시퀀스-무선 발생, 그룹 호출
A. 제어 채널은 모든 비동작 이동 무선 유니트가 수신하게 될 연속적인 스트림의 제어 메시지들을 전송한다. 메시지들은 다음과 같은 프레임 포맷으로 2메시지씩 30msec 프레임으로 전달된다.
도팅=32비트
바커=16비트
메시지 #1=40비트
메시지 #1(반전됨)=40비트
메시지 #1=40비트
메시지 #2=40비트
메시지 #2(반전됨)=40비트
메시지 #2=40비트
B. 그룹 호출을 발생하고자 하는 이동 무선 유니트들은 수신된 제어 채널 메시지들과 동기하여 제어 채널상에 그룹 채널 할당 요구를 전송한다. 그 프레임 포맷은 다음과 같다.
도팅=152비트
바커(3회 반복됨)=48비트
메시지=40비트
메시지(반전됨)=40비트
메시지=40비트
그룹 호출 메시지는 다음과 같이 코드된다.
MT-A=2비트
통신 유형(예, 음성, 데이타, 상호 접속 또는 음성 비밀)=2비트
비사용=1비트
그룹 ID=11비트
논리 ID=12비트
BCH코드=12비트
C. 제어채널은 채널 할당 2메시지쌍으로 응답한다. 코딩은 다음과 같다.
MT-A=2비트
통신유형(예, 음성)=2비트
1/2논리 ID=6MSB 또는 LSB
그룹/논리=1비트
채널=5비트
그룹 ID=12비트
BCH코드=12비트
D. 피호출 그룹의 모든 이동 무선 유니트는 할당된 동작 채널로 전환하고, 확인 메시지를 수신한다. 슬로트된 동작 채널 메시지들은 다음과 같은 프레임을 이용하여 전달된다.
도팅=32비트
바커=16비트
메시지=32비트
메시지(반전됨)=32비트
메시지=32비트
그룹 호출 확인 메시지는 다음과 같이 코드된다.
MT코드=4비트
부가청 카운트=2비트
메시지/전송 트렁킹=1비트
그룹/논리 ID=1비트
그룹 ID=12비트
BCH코드=12비트
E. 발생 이동 무선 유니트들은 확인 메시지를 수신하고, 384비트의 도팅, 그리고 오디오를 전송한다.
F. 동작 채널은 도팅을 수신하고, 2개의 유니트-키이드/언뮤트 메시지를 전송한다.
MT코드=4비트
부가청 카운트=2비트
메시지/전송 트렁킹=1비트
필러=1비트
논리 ID=12비트
BCH코드=12비트
피호출 이동 무선 유니트는 언뮤트 메시지를 수신하고 오디오를 언뮤트한다.
G. 다른 동작 채널들상의 유효 이동 무선 유니트들은 부가청 채널 할당 메시지를 수신한다.
H. 제어 채널은 사후 엔트리 이동 무선 유니트들을 위한 채널 갱신 메시지를 전송한다.
I. 전송중인 이동 무선 유니트는 언키이하고, 슬로트되지 않은 언키이 메시지를 전달한다. 슬로트되지 않은 메시지 포맷은 다음과 같다.
도팅=384비트
데이타 블럭 #3=128비트
데이타 블럭 #2=128비트
데이타 블럭 #1=128비트
데이타 블럭 #0=128비트
데이타 블럭 #3, #2, #1 및 #0들은 2비트 블럭 카운트를 제외하고는 동일하며(각 블럭은 4회 반복됨), 각각 다음과 같은 포맷을 갖는다.
도팅=16비트
바커 코드=16비트
바이트 1=8비트
바이트 1(반전됨)=8비트
바이트 1=8비트
바이트 2=8비트
바이트 2(반전됨)=8비트
Figure kpo00009
바이트 3=8비트
바이트 4=8비트
바이트 4(반전됨)=8비트
바이트 4=8비트
언키이 메시지는 다음과 같이 코드된다.
MT코드=4비트
비사용=2비트
블럭 카운트=2비트
논리 ID=12비트
BCH코드=12비트
J. 동작 채널은 896 내지 2816비트의 도팅을 전송하여 그 채널로부터 모든 이동 무선 유니트를 드롭시킨다.
Ⅲ. 무선 호출 시퀀스-무선 발생, 개별 호출
A. 제어 채널은 모든 비동작 이동 무선 유니트가 수신하게될 연속적인 스트림의 제어 메시지들을 전송한다. 이 메시지들은 다음과 같은 포맷을 갖는 30msec 프레임으로 2메시지씩 전달된다.
도팅=32비트
바커=16비트
메시지 #1=40비트
메시지 #1(반전됨)=40비트
메시지 #1=40비트
메시지 #2=40비트
메시지 #2(반전됨)=40비트
메시지 #2=40비트
B. 개별 호출을 발생하고자 하는 이동 무선 유니트는 수신된 제어 채널 메시지들과 동기하여 제어 채널상에 할당 요구를 전송한다. 그 프레임 포맷은 다음과 같다.
도팅=152비트
바커(3회 반복됨)=48비트
메시지=40비트
메시지(반전됨)=40비트
메시지=40비트
개별 호출 요구 메시지는 다음과 같이 코드된다.
MT-A코드=2비트
통신 유형(예, 음성=2비트
논리 ID(피호출측)=12비트
논리 ID(호출측)=12비트
BCH코드=12비트
C. 제어 채널은 채널 할당 2메시지쌍으로 응답한다.
MT-A코드=2비트
통신유형(예, 음성)=2비트
1/2 논리 ID=6MSB 또는 LSB
그룹/논리 ID=1비트
논리 ID=12비트
BCH코드=12비트
D. 호출측(최종 논리 ID)과 피호출측 이동 무선 유니트는 모두 할당된 동작 채널로 전환하고, 확인 메시지를 수신하다.
도팅=32비트
바커=16비트
메시지=32비트
메시지(반전됨)=32비트
메시지=32비트
그룹 호출 확인 메시지는 다음과 같이 코드된다.
MT코드=4비트
부가청 카운트=2비트
메시지/전송 트렁킹=1비트
그룹/논리 ID=1비트
논리 ID=12비트
BCH코드=12비트
E. 발생 이동 무선 유니트는 확인 메시지를 수신하고, 384비트의 도팅, 그리고 오디오를 전송한다.
F. 동작 채널은 도팅을 수신하고, 2개의 유니트-키이드/언뮤트 메시지를 전송한다.
MT코드=4비트
부가청 카운트=2비트
메시지/전송 트렁킹=1비트
비사용 비트=1비트
논리 ID=12비트
BCH코드=12비트
피호출측 이동 무선 유니트는 언뮤트 메시지를 수신하고, 오디오를 언뮤트한다.
G. 다른 동작 채널들상의 유효 이동 무선 유니트들은 부가청 채널 할당 메시지를 수신하지 않는다.
H. 제어 채널은 사후 엔트리 이동 무선 유니트들을 위한 채널 갱신 메시지를 전송한다.
I. 전송중인 이동 무선 유니트는 연키이하고, 슬로트 되지 않은 언키이 메시지를 전달한다. 슬로트되지 않은 모든 메시지 포맷은 다음과 같다.
도팅=384비트
데이타 블럭 #3=128비트
데이타 블럭 #2=128비트
데이타 블럭 #1=128비트
데이타 블럭 #0=128비트
데이타 블럭 #3, #2, #1 및 #0은 동일하고(4회 반복됨), 각각 다음과 같은 포맷을 갖는다.
도팅=16비트
바커=16비트
바이트 1=8비트
바이트 1(반전됨)=8비트
바이트 1=8비트
바이트 2=8비트
바이트 2(반전됨)=8비트
Figure kpo00010
바이트 3=8비트
바이트 4=8비트
바이트 4(반전됨)=8비트
바이트 4=8비트
언키이 메시지는 다음과 같이 코드된다.
MT코드=4비트
비사용=2비트
부카운트=2비트
논리 ID=12비트
BCH코드=12비트
Ⅳ. 무선 호출 스퀀스-무선 발생, 비상 그룹 호출
A. 제어 채널은 모든 비동작 이동 무선 유니트가 수신하게 될 연속적인 스트림의 제어 메시지들을 전송한다. 이 메시지들은 다음과 같은 포맷을 갖는 30msec 프레임으로 2메시지씩 전달된다.
도팅=32비트
바커=11비트
메시지 #1=40비트
메시지 #1(반전됨)=40비트
메시지 #1=40비트
메시지 #2=40비트
메시지 #2(반전됨)=40비트
메시지 #2=40비트
B. 비상 그룹 호출을 발생하고자 하는 이동 무선 유니트는 수신된 제어 채널 메시지들과 동기하여 제어 채널상에 할당 요구를 전송한다. 그 프레임 포맷은 다음과 같다.
도팅=152비트
바커(3회 반복됨)=48비트
메시지=40비트
메시지(반전됨)=40비트
메시지=40비트
비상 그룹 호출 요구 메시지는 다음과 같이 코드된다.
MT-A코드=2비트
통신 유형=2비트
스테이터스/C=1비트
그룹 ID=11비트
논리 ID=12비트
BCH코드=12비트
C. 제어 채널은 다음과 같이 코드되는 2채널 할당 메시지로 응답한다.
MT-A코드=2비트
통신 유형=2비트
1/2 논리 ID=6MSB 또는 LSB
그룹/논리 ID=1비트
채널=5비트
그룹 ID=12비트
BCH코드=12비트
D. 피호출 그룹의 모든 이동 무선 유니트는 할당된 동작 채널로 전환하고, 확인 메시지를 수신하다. 슬로트된 동작 채널 메시지들은 다음과 같은 프레임을 이용하여 전송된다.
도팅=32비트
바커=16비트
메시지=32비트
메시지(반전됨)=32비트
메시지=32비트
비상 그룹 호출 확인 메시지는 다음과 같이 코드된다.
MT코드=4비트
부가청 카운트=2비트
메시지/전송 트렁킹=1비트
그룹/논리 ID=1비트
그룹 ID=12비트
BCH코드=12비트
E. 발생 이동 무선 유니트는 확인 메시지를 수신하고, 384비트의 도팅, 그리고 오디오를 전송한다.
F. 동작 채널은 도팅을 수신하고, 2유니트-키이드/언뮤트 메시지를 전송한다.
MT코드=4비트
부가청 카운트=2비트
메시지/전송 트렁킹=1비트
1비트(비사용)=0
논리 ID=12비트
BCH코드=12비트
피호출 이동 무선 유니트는 언뮤트 메시지를 수신하고, 오디오를 언뮤트한다.
G. 다른 동작 채널들상의 유효 이동 무선 유니트들은 부가청 채널 할당 메시지를 수신한다.
H. 제어 채널은 사후 엔트리 이동 무선 유니트들을 위한 채널 갱신 메시지를 전송한다.
I. 전송중인 이동 무선 유니트는 언키이하고, 슬로트 되지 않은 2 언키이 메시지를 전달한다. 슬로트 되지 않은 모든 메시지 포맷은 다음과 같다.
도팅=384비트
데이타 #3=128비트
데이타 #2=128비트
데이타 #1=128비트
데이타 #0=128비트
데이타 #3, #2, #1 및 #0은 동일하고(4회 반복됨), 각각 다음과 같은 포맷을 갖는다.
도팅=16비트
바커=16비트
바이트 1=8비트
바이트 1(반전됨)=8비트
바이트 1=8비트
바이트 2=8비트
바이트 2(반전됨)=8비트
Figure kpo00011
바이트 3=8비트
바이트 4=8비트
바이트 4(반전됨)=8비트
바이트 4=8비트
언키이 메시지는 다음과 같이 코드된다.
MT코드=4비트
부가청 카운트=2비트
논리 ID=12비트
BCH코드=12비트
Ⅴ. 무선 호출 시퀀스-무선발생, 스테이터스 호출
A. 제어 채널은 모든 비동작 이동 무선 유니트가 수신할 연속 스트림의 제어 메시지들을 전송한다. 이 메시지들은 다음과 같은 포맷을 갖는 30msec 프레임으로 2메시지씩 전달된다.
도팅=32비트
바커=16비트
메시지 #1=40비트
메시지 #1(반전됨)=40비트
메시지 #1=40비트
메시지 #2=40비트
메시지 #2(반전됨)=40비트
메시지 #2=40비트
B. 스테이터스 호출을 발생하고자 하는 이동 무선 유니트는 수신된 제어 채널 메시지들과 동기하여 제어 채널상에 스테이터스 요구를 전송한다. 그 프레임 포맷은 다음과 같다.
도팅=152비트
바커(3회 반복됨)=48비트
메시지=40비트
메시지(반전됨)=40비트
메시지=40비트
스테이터스 요구 메시지는 다음과 같이 코드된다.
MT-A코드=2비트
MT-B코드=3비트
MT-C코드=3비트
3비트(비사용)=00
자동 응답=1비트(예, yes)
4비트(비사용)=0000
논리 ID=12비트
BCH코드=12비트
C. 제어 채널은 다음과 같이 코드된 스테이터스 페이지 메시지로 응답한다.
MT-A코드=2비트
MT-B코드=3비트
MT-C코드=4비트
2비트(비사용)=00
자동 응답=1비트(예, yes)
스테이터스=4비트
논리 ID=12비트
BCH코드=12비트
D. 피호출 이동 무선 유니트는 다음과 같이 코드된 제어 채널 스테이터스 메시지를 전송한다.
MT-A코드=2비트
MT-B코드=3비트
MT-C코드=3비트
3비트(비사용)=000
자동 응답=1비트(예, yes)
스테이터스=4비트
논리 ID=12비트
BCH코드=12비트
E. 제어 채널은 다음과 같이 코드된 스테이터스 허가 메시지로 응답한다.
MT-A코드=2비트
MT-B코드=3비트
MT-C코드=4비트
2비트(비사용)=00
자동 응답=1비트(예, yes)
스테이터스=4비트
논리 ID=12비트
BCH코드=12비트
Ⅵ. 무선 호출 시퀀스-무선 발생, 특수 호출
A. 제어 채널은 모든 비동작 이동 무선 유니트가 수신할 연속 스트림의 제어 메시지들을 전송한다. 이 메시지들은 다음과 같은 포맷을 갖는 30msec 프레임으로 2메시지씩 전달된다.
도팅=32비트
바커=16비트
메시지 #1=40비트
메시지 #1(반전됨)=40비트
메시지 #1=40비트
메시지 #2=40비트
메시지 #2(반전됨)=40비트
메시지 #2=40비트
B. 특수 호출을 발생하고자 하는 이동 무선 유니트는 수신된 제어 채널 메시지들과 동기하여 제어 채널상에 특수 호출 요구를 전송한다. 그 프레임 포맷은 다음과 같다.
도팅=152비트
바커(3회 반복됨)=48비트
메시지=40비트
메시지(반전됨)=40비트
메시지=40비트
특수 호출 요구 메시지는 다음과 같이 코드된다.
MT-A코드=2비트
MT-B코드=3비트
MT-C코드=3비트
2비트(비사용)=00
통신 유형 코드=2비트(예, 상호 접속) 1비트(비사용)=0
우선 순위 코드=3비트
논리 ID=12비트
BCH코드=12비트
C. 제어 채널은 채널 할당 2메시지쌍으로 응답한다.
MT-A코드=2비트
통신 유형 코드=2비트(예, 상호 접속 intcnt) 1/2 논리 ID=6 MSB 또는 LSB
그룹/논리=1비트
채널=5비트
논리 ID=12비트
BCH코드=12비트
D. 이동 무선 유니트는 할당된 동작 채널로 전환하고, 확인 메시지를 수신하다. 슬로트된 동작 채널 메시지들은 다음과 같은 프레임을 이용하여 전달된다.
도팅=32비트
바커=16비트
메시지=32비트
메시지(반전됨)=32비트
메시지=32비트
BCH코드=12비트
특수 호출 확인 메시지는 다음과 같이 코드된다.
MT코드=4비트
부카운트=2비트
행타임/트렁크=1비트
그룹/논리 ID=1비트
논리 ID=12비트
BCH코드=12비트
E. 발생 이동 무선 유니트는 확인 메시지를 수신하고, 다중 블럭 특수 호출 메시지를 전송한다. 메시지 프레임(이하에 나타냄)은 1 내지 16블럭을 가질 수 있다.
도팅=384비트
데이타 #3 블럭 #1=128비트
데이타 #2 블럭 #1=128비트
데이타 #1 블럭 #1=128비트
데이타 #0 블럭 #1=128비트
데이타 #3 블럭 #2= 96비트
데이타 #2 블럭 #2=96비트
Figure kpo00012
데이타 #3, #2, #1 및 #0는 각 블럭내에서 동일하다(4회 반복됨). 블럭 #1 데이타에 대한 코딩은 다음과 같다.
도팅=16비트
바커=16비트
바이트 1=8비트
바이트 1(반전됨)=8비트
바이트 1=8비트
바이트 2=8비트
바이트 2(반전됨)=8비트
Figure kpo00013
바이트 3=8비트
바이트 4=8비트
바이트 4(반전됨)=8비트
바이트 4=8비트
블럭 #1 이후의 블럭들내의 데이타는 도팅이나 바커 코드를 갖지 않는다. 전화 상호 접속이 요구되면, 블럭 #1 데이타는 다음과 같이 코드된다.
그룹 카운트=4비트
개별 카운트=4비트
전화 디지트 카운트=4비트
전화 디지트 #1=4비트
전화 디지트 #2=4비트
BCH코드=12비트
상호 접속이 전혀 요구되지 않으면, 블럭 #1은 다음과 같이 코드된다.
그룹 카운트=4비트
개별 카운트=4비트
그룹/논리 ID=12비트
BCH코드=12비트
잇따른 블럭들은 블럭 #1 카운트들을 만족하도록 요구되는 바에 따라 하나의 그룹 ID, 하나의 논리 ID, 또는 5전하 디지트로 코드된다. 전화 디지트들이 우선이고, 그 다음에는 논리 ID를, 또 그 다음에는 그룹 ID들이다. 디지트 코딩은 니블(nibble)당 1디지트이다(널=1010).
ID 코딩은 다음과 같다.
8바이트=10101010(8비트)
그룹/논리 ID=12비트
BCH코드=12비트
F. 동작 채널은 슬로트된 동작 채널 특수 호출 수신 비트 맵 메시지를 전송한다. 슬로트된 동작 채널 메시지들은 다음과 같은 프레임을 이용하여 전송된다.
도팅=32비트
바커=16비트
메시지=32비트
메시지(반전됨)=32비트
메시지=32비트
BCH코드=12비트
특수 호출 수신 비트 맵을 다음과 같이 코드된다.
MT코드=4비트
블럭 #1비트=1비트(예, ok)
블럭 #2비트=1비트(예, ok)
블럭 #3비트=1비트(예, 0=반복)
블럭 #4비트=1비트
Figure kpo00014
블럭 #16비트=1
BCH코드=12비트
G. 발생 이동 무선 유니트는 비트 맵 메시지를 수신하고, 다중 블럭 특수 호출 메시지를 전송한다. 그 메시지 프레임(이하에 나타냄)은 1 내지, 16블럭을 가질 수 있다.
도팅=384비트
데이타 #3 블럭 #1=128비트
데이타 #2 블럭 #1=128비트
데이타 #1 블럭 #1=128비트
데이타 #0 블럭 #1=128비트
데이타 #3 블럭 #2=96비트
데이타 #2 블럭 #2=96비트
Figure kpo00015
데이타 #3, #2, #1 및 #0는 각 블럭내에서 동일하다(4회 반복됨). 블럭 #1 데이타에 대한 코딩은 다음과 같다.
도팅=16비트
바커=16비트
바이트 1=8비트
바이트 1(반전됨)=8비트
바이트 1=8비트
바이트 2=8비트
바이트 2(반전됨)=8비트
Figure kpo00016
바이트 3=8비트
바이트 4=8비트
바이트 4(반전됨)=8비트
바이트 4=8비트
블럭 #1 이후의 블럭들내의 데이타는 도팅이나 바커 코드를 갖지 않는다.
자신들의 비트 맵 비트내에 0을 갖고 있는 블럭들만이 전송된다. 예를 들면, 스텝 F에서, 스텝 E의 블럭 #3이 최초 블럭으로 재전송될 것이다. 100msec 이내에 어떠한 비트 맵도 수신되지 않으면, 스탭 E나 G이후에, 모든 블럭이 재전송된다.
스텝 F 및 G는 모든 블럭이 정확히 수신될 때까지(비트 맵=1들)이 반복된다.
H. 제어 채널은 모든 비동작 무선 이동 유니트들이 수신할 연속 스트림의 제어 메시지들을 전송한다. 이 메시지들은 다음과 같은 포맷을 갖는 30msec 프레임으로 2메시지씩 전달된다.
도팅=32비트
바커=16비트
메시지 #1=40비트
메시지 #1(반전됨)=40비트
메시지 #1=40비트
메시지 #2=40비트
메시지 #2(반전됨)=40비트
메시지 #2=40비트
I. 제어 채널은 특수 호출에 대해 요구되는 바에 따라 0에서 16까지의 채널 할당 2메시지쌍을 전달한다. 각 메시지에 대한 코딩은 다음과 같다.
MT-A코드=2비트
통신 유형 코드=2비트
1/2 논리 ID=6MSB 또는 6LSB
그룹/논리 ID=1비트
채널=5비트
논리=12비트
BCH코드=12비트
J. 모든 비호출 이동 무선 유니트는 할당된 동작 채널로 되고, 언뮤트 한다(사후 엔트리와 동일하게). 이 점에서부터 동작 채널 메시지들은 그룹 또는 개별 호출과 동일하게 된다.
Ⅶ. 무선 호출 시퀀스-무선 발생, 동적 재분류 호출
A. 제어 채널은 모든 비동작 이동 무선 유니트가 수신할 연속 스트림의 제어 메시지들을 전송한다. 이 메시지들은 다음과 같은 포맷을 갖는 30msec 프레임으로 2메시지씩 전달된다.
도팅=32비트
바커=16비트
메시지 #1=40비트
메시지 #1(반전됨)=40비트
메시지 #1=40비트
메시지 #2=40비트
메시지 #2(반전됨)=40비트
메시지 #2=40비트
B. 동적 재분류 호출을 발생하고자 하는 이동 무선 유니트는 수신된 제어 채널 메시지들과 동기하여 제어 채널상에 요구를 전송한다. 그 프레임 포맷은 다음과 같다.
도팅=152비트
바커(3회 반복됨)=48비트
메시지=40비트
메시지(반전됨)=40비트
메시지=40비트
동적 재분류 요구 메시지는 다음과 같이 코드된다.
MT-A코드=2비트
MT-B코드=3비트
그룹 ID=11비트
논리 ID=12비트
BCH코드=12비트
C. 제어 채널은 다음과 같이 코드된 동적 재분류 메시지로 응답한다.
MT-A코드=2비트
MT-B코드=3비트
그룹 ID=11비트
논리 ID=12비트
BCH코드=12비트
D. 이동 무선 유니트는 다음과 같이 코드된 로그인 메시지로 동적 재분류를 확인한다.
MT-A코드=2비트
MT-B코드=3비트
그룹 ID=11비트
논리 ID=12비트
BCH코드=12비트
E. 이동 무선 유니트는 다음과 같이 코드된 메시지로 동적 재분류의 취소를 요구할 수 있다.
MT-A코드=2비트
MT-B코드=3비트
그룹 ID=11비트
BCH코드=12비트
F. 제어 채널은 다음과 같이 코드된 취소 동적 재분류 메시지로 응답한다.
MT-A코드=2비트
MT-B코드=3비트
그룹 ID=11비트
논리 ID=12비트
BCH코드=12비트
G. 이동 무선 유니트는 다음과 같이 코드된 로그인 메시지로 동적 재분류 취소를 확인한다.
MT-A코드=2비트
MT-B코드=3비트
그룹 ID=11비트
논리 ID=12비트
BCH코드=12비트
Ⅷ. 무선 호출 시퀀스-콘솔 발생, 그룹 호출
A. 제어 채널은 모든 비동작 이동 무선 유니트가 수신할 연속 스트림의 제어 메시지들을 전송한다. 이 메시지들은 다음과 같은 포맷을 갖는 30msec 프레임으로 2메시지씩 전달된다.
도팅=32비트
바커=16비트
메시지 #1=40비트
메시지 #1(반전됨)=40비트
메시지 #1=40비트
메시지 #2=40비트
메시지 #2(반전됨)=40비트
메시지 #2=40비트
B. 그룹 호출을 발생하고자 하는 콘솔은 다운 링크로 그룹 호출 메시지를 전송한다. 그 그룹 호출 메시지는 다음과 같이 코드된다.
MID=1바이트(#0)=8비트
#바이트=1바이트(#1)=8비트
소오스 지정=바이트 #2 및 #3=16비트 비사용=4비트
MT-A코드=2비트
통신 유형=2비트
그룹 ID=12비트
논리 ID=12비트
패리티=1바이트(#8)=8비트
C. 제어 채널은 채널 할당 2메시지쌍으로 응답한다. 그 코딩은 다음과 같다.
MT-A=2비트
통신 유형=2비트
1/2 논리 ID=6MSB 또는 LSB
그룹/논리 ID=1비트
채널=5비트
그룹 ID=12비트
BCH코드=12비트
D. 피호출 그룹의 모든 이동 무선 유니트는 할당된 동작 채널로 전환하고, 확인 메시지를 수신한다. 슬로트된 동작 채널 메시지들은 다음과 같은 프레임을 이용하여 전송된다.
도팅=32비트
바커=16비트
메시지=32비트
메시지(반전됨)=32비트
메시지=32비트
그룹 호출 확인 메시지는 다음과 같이 코드된다.
MT코드=4비트
부가청 카운트=2비트
행 타임/트렁크식=1비트
그룹/논리 ID=1비트
그룹 ID=12비트
BCH코드=12비트
E. 발생 콘솔은 다운 링크로부터 채널 할당을 수신하고 오디오를 규정된 채널로 전환한다. 콘솔 메시지는 다음과 같이 코드된다.
MID=1바이트(#0)=8비트
#바이트=1바이트(#1)=8비트
S/D=바이트 #2, #3=16비트
비사용=4비트
MT코드=2비트
통신 유형=2비트
논리 ID=12비트
비사용=2비트
그룹/논리=1비트
채널=5비트
그룹 ID=12비트
패리티=1바이트(#9)=8비트
F. 동작 채널은 2유니트-키이드/언뮤트 메시지를 전송한다.
MT코드=4비트
부가청 카운트=2비트
행 타임/트렁크식=1비트
1비트(비사용)=0
논리 ID=12비트
BCH코드=12비트
피호출 이동 무선 유니트들은 언뮤트 메시지를 수신하고, 오디오를 언뮤트 한다.
G. 다른 동작 채널들상의 유효 이동 무선 유니트들은 부가청 채널 할당 메시지를 수신한다.
H. 제어 채널은 사후 엔트리 이동 무선 유니트들을 위한 채널 갱신 메시지를 전송한다.
I. 콘솔은 다음과 같이 코드된 언키이 메시지를 전달한다.
MID=1바이트(#0)=8비트
#바이트=1바이트=8비트
소오스 지정=바이트 #2 및 #3=16비트 비사용=4비트
MT코드=4비트
비사용=4비트
논리 ID=12비트
패리티=바이트#7=8비트
J. 동작 채널은 그 채널로부터 모든 이동 무선 유니트들을 드롭하도록 896 내지 2816비트의 도팅을 전송한다.
K. 콘솔은 언키이 메시지를 수신한다.
MID=바이트 #0=8비트
#바이트=바이트 #1=8비트
소오스 지정=바이트 #2 및 #3=16비트 MT-A/B/C=9비트
드롭 Cr=1비트
비사용=1비트
채널=5비트
논리 ID=12비트
패리티=바이트 #8=8비트
Ⅸ. 무선 호출 시퀀스-콘솔 발생, 개별 호출
A. 제어 채널은 모든 비동작 이동 무선 유니트가 수신할 연속 스트림의 제어 메시지들을 전송한다. 이 메시지들은 다음과 같은 포맷을 갖는 30msec 프레임으로 2메시지씩 전달된다.
도팅=32비트
바커=16비트
메시지 #1=40비트
메시지 #1(반전됨)=40비트
메시지 #1=40비트
메시지 #2=40비트
메시지 #2(반전됨)=40비트
메시지 #2=40비트
B. 개별 호출을 발생하고자 하는 콘솔은 다운 링크로 개별 호출 메시지를 전송한다. 개별 호출 메시지는 다음과 같이 코드된다.
MID=바이트 #0=8비트
#바이트=바이트 #1=8비트
소오스 지정=바이트 #2 및 #3=16비트 비사용=4비트
MT-A코드=2비트
통신 유형=2비트
논리 ID=12비트
논리 ID=12비트
패리티=바이트 #8=8비트
C. 제어 채널은 채널 할당 2메시지쌍으로 응답한다. 그 코딩은 다음과 같다.
MT-A코드=2비트
통신 유형=2비트
1/2논리 ID=6MSB 또는 LSB
그룹/논리 ID=1비트
채널=5비트
논리 ID=12비트
BCH코드=12비트
D. 피호출 이동 무선 유니트는 할당된 동작 채널로 전환하고, 확인 메시지를 수신한다. 슬로트된 동작 채널 메시지들은 다음과 같은 프레임을 이용하여 전송된다.
도팅=32비트
바커=16비트
메시지=32비트
메시지(반전됨)=32비트
메시지=32비트
개별 호출 확인 메시지는 다음과 같이 코드된다.
MT코드=4비트
부가청 카운트=2비트
행 타임/트렁크식=1비트
그룹/논리 ID=1비트
논리 ID=12비트
BCH코드=12비트
E. 발생 콘솔은 다운 링크로부터 채널 할당 메시지를 수신하고, 오디오를 규정된 채널로 전환한다. 콘솔 메시지는 다음과 같이 코드된다.
MID=바이트 #0(8비트)
#바이트=바이트 #1=8비트
소오스 지정=바이트 #2 및 #3=16비트 비사용=4비트
MT코드=2비트
통신 유형 코드=2비트
논리 ID=12비트
비사용=2비트
그룹/논리 ID=1비트
채널=5비트
논리 ID=12비트
패리티=바이트 #9=8비트
F. 동작 채널은 2유니트-키이드/언뮤트 메시지를 전송한다.
MT코드=4비트
부가청 카운트=2비트
행 타임/트렁크식=1비트
1비트(비사용)=0
논리 ID=12비트
BCH코드=12비트
피호출 이동 무선 유니트는 언뮤트 메시지를 수신하고, 오디오를 언뮤트 한다.
G. 다른 동작 채널들상의 유효 이동 무선 유니트들은 부가청 채널 할당 메시지를 수신하지 않는다.
H. 제어 채널은 사후 엔트리 이동 무선 유니트들을 위한 채널 갱신 메시지를 전송한다.
I. 콘솔은 다음과 같이 코드된 언키이 메시지를 전달한다.
MID=바이트 #0=8비트
#바이트=바이트 #1=8비트
소오스 지정=바이트 #2 및 #3=16비트 비사용=4비트
MT코드=4비트
비사용=4비트
논리 ID=12비트
패리티=바이트 #7=8비트
J. 동작 채널은 그 채널로부터 모든 이동 무선 유니트들을 드롭하도록 896 내지 2816비트를 전송한다.
K. 콘솔은 언키이 메시지를 수신한다.
MID=바이트 #0=8비트
#바이트=바이트 #1=8비트
소오스 지정=바이트 #2 및 #3=16비트 MT-A/B/C=9비트
드롭 채널=1비트
비사용=1비트
채널=5비트
논리 ID=12비트
패리티=바이트 #8=8비트
Ⅹ. 무선 호출 시퀀스 콘솔 발생, 패치 구동
A. 제어 채널은 모든 비동작 이동 무선 유니트들의 수신할 연속 스트림의 제어 메시지들을 전송한다. 그 메시지들은 다음과 같은 포맷을 갖는 30msec 프레임으로 2메시지씩 전달된다.
도팅=32비트
바커=16비트
메시지 #1=40비트
메시지 #1(반전됨)=40비트
메시지 #1=40비트
메시지 #2=40비트
메시지 #2(반전됨)=40비트
메시지 #2=40비트
B. 패치를 수립하고자 하는 콘솔은 다운 링크로 패치 ID할당 메시지를 전송한다. 패치 ID할당 메시지는 그룹 및 논리 ID카운트들에 의존하는 가변 길이다.
MID=29 : 바이트 #0=8비트
#바이트=바이트 #1=8비트
소오스/지정=바이트 #2, #3=16비트 비사용=4비트
그룹 카운트=4비트
개별 카운트=4비트
논리 ID=12비트
비사용=12비트
논리 ID=12비트
비사용=12비트
논리 ID=12비트
비사용=13비트
그룹 ID=11비트
비사용=13비트
그룹 ID=11비트
비사용=13비트
패치 ID=11비트
패리티=8비트
C. 콘솔은 특수 그룹 ID코드(1000 0000 0000)를 이용하여 중앙 사이트 제어기로부터 패치 요구의 허가를 수신한다.
MID=12=바이트 #0=8비트
#바이트=바이트 #1=8비트
소오스/지정=바이트 #2, #3=16비트 비사용=4비트
MT-A코드=11=2비트
MT-B코드=100=3비트
패티 ID=11비트
그룹 ID=12비트
패리티=바이트 #8=8비트
D. 콘솔이 패치를 구동하고자 할 때, 그것은 다운 링크로 패치 구동 메시지를 전송한다.
MID=27=바이트 #0=8비트
#바이트=바이트 #1=05=8비트
소오스/지정=바이트 #2 및 #3=16비트 비사용=4비트
MT코드=4비트(1110)
비사용=5비트
패치 ID=11비트
패리티=바이트 #7=8비트
E. 제어 채널은 가 ID할당 메시지들로 응답한다. 그룹 할당 메시지들은 다음과 같이 코드된다.
MT-A코드=2비트(11)
MT-B코드=3비트(110)
가 그룹 ID=11비트
비사용=1비트
그룹 ID=11비트
BCH코드=12비트
그룹 가 ID메시지들은 제어 채널 배경 모드내에서 반복되고, 이동 무선 유니트들에 의해서 허가되지는 않는다. 개별 가 ID할당 메시지들은 다음과 같이 코드된다.
MT-A코드=2비트(11)
MT-B코드=3비트(101)
가 그룹 ID=11비트
논리 ID=12비트
BCH코드=12비트
F. 모든 이동 무선 유니트는 할당 메시지들을 수신하지만, 개별 호출 이동 무선 유니트들만이 메시지를 허가한다.
MT-A코드=2비트(11)
MT-B코드=3비트(110)
가 그룹 ID=11비트
논리 ID=12비트
BCH코드=12비트
G. 콘솔은 패치를 확인하기 위하여 패치 할당/구동 메시지들을 수신한다. 각 할당에 대하여 하나의 메시지가 있다.
MID=12=바이트 #0=8비트
#바이트=바이트 #1=8비트
소오스/지정=바이트 #2 및 #3=16비트 비사용=4비트
MT-A코드=2비트(11)
MT-B코드=3비트(100)
패치 ID=11비트
그룹 ID=12비트
패리티=바이트 #8=8비트
MID=13=바이트 #0=8비트
#바이트=바이트 #1=8비트
소오스/지정=바이트 #2 및 #3=16비트 비사용=4비트
MT-A코드=2비트(11)
MT-B코드=3비트(101)
패치 ID=11비트
논리 ID=12비트
패리티=바이트 #8=8비트
H. 콘솔은 패치 ID를 이용하여 그룹 호출 메시지를 전송함으로써 패치 호출을 발생한다.
MID=24=바이트 #0=8비트
#바이트=바이트 #1=8비트
소오스/지정=바이트 #2 및 #3=16비트 비사용=4비트
MT코드=2비트(00)
통신 유형=2비트(00)
패치 ID=12비트
논리 ID=12비트
패리티=바이트 #8
I. 제어 채널은 그룹 호출 메시지를 전송한다. 그 다음의 스텝들은 콘솔 발생 그룹 호출과 동일하다.
이제까지 본 발명의 양호한 실시예에 대해 설명하였으나, 당분야에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라면 본 발명의 신규한 특징 및 장점들을 그대로 유지시키면서 이 실시예에 대하여 각종의 변형을 행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이러한 모든 변형 및 변경들도 첨부된 특허청구의 범위의 범주내에 포함시키고자 한다.

Claims (84)

  1. 디지탈 제어 채널(cc)과 복수의 동작 채널(wc)을 갖는 트렁크식 무선 중계기 시스템(제9도)과의 신뢰적이고 신속한 통신을 달성하기 위한 방법에서, 상기 동작 채널은 제어 채널상의 디지탈 제어 채널에 의해 규정된 개개의 무선 유니트의 일시적 사용을 위해 할당되며(제11도 : 1204), 상기 방법은, (1) 상기 제어 채널을 거쳐 통과한 디지탈 할당 신호에 응답해서 제1동작 채널상에서 제1무선 유니트를 동작시키는 단계(1124); (2) 상기 제어 채널을 거쳐 통과한 다른 디지탈 할당 신호에 응답해서 제2동작 채널상에서 제2 무선 유니트(1124에서 다른 유니트)를 동작시키는 단계; (3) 상기 제1동작 채널상의 디지탈 신호 스트림을 상기 제2동작 채널 할당을 나타내도록 상기 제1무선 유니트로 통과시키는 단계(1212); (4) 상기 통과 시키는 단계(3)에 의해 송신된 상기 신호 스트림에 응답해서 상기 제2동작 채널상에서 상기 제 2무선 유니트를 동작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로 하는 통신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통과시키는 단계(3)는, (a) 부가청 디지탈 신호를 상기 제1동작 채널을 거쳐 계속적으로 통과시키는 단계; 및 (b) 상기 부가청 신호내에 있으며, 상기 제2동작 채널 할당을 나타내는, 고속 디지탈 신호중 적어도 하나의 버스트로 상기 부가청 디지탈 신호를 인터럽트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통과시키는 단계(3)는, (c) 상기 단계(b)에 연속해서, 상기 제2동작 채널 할당을 상기 부가청 디지탈 신호와 함께 나타내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방법.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나타내는 단계(c)는 단 한 번만 실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통과시키는 단계(3)는 미리 세트된 시간 주기동안 반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의 채널과는 다른 동작 채널이 할당될 때마다 한번은 고속의 속도로 두번째는 저속의 데이타 속도로, 상기 제1 및 제2동작 채널중 하나에 동작 채널을 나타내는 디지탈 신호를 정확하게 두 번 송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방법.
  7. 신뢰적이고 신속한 통신을 트렁크식 무선 중계기 시스템(제9도)에서, 상기 시스템은 디지탈 제어 채널(cc)과 복수의 동작 채널(wc)을 가지며 상기 동작 채널은 제어 채널상의 디지탈 제어 신호에 의해 규정된 제제의 무선 유니트의 일시적 사용을 위해 할당되며(제11도 : 1204), 상기 시스템은, 상기 제어 채널을 거쳐 통과한 디지탈 할당 신호에 응답해서 제1동작 채널상에서 제1무선 유니트를 동작시키는 수단(1124); 상기 제어 채널을 거쳐 통과한 다른 디지탈 할당 신호에 응답해서 제2동작 채널상에서 제2무선 유니트를 동작시키는 수단(다른 유니트 : 1124); 및 상기 제1동작 채널상의 디지탈 신호 스트림을 상기 제2동작 채널 할당을 나타내도록 상기 제1무선 유니트로 통과시키는 수단(1212)을 포함하며, 상기 처음 언급한 동작 수단은 상기 통과 수단에 의해 상기 제1동작 채널을 거쳐 통과한 상기 디지탈 신호 스트림에 응답해서 상기 제2동작 채널상에서 상기 제1무선 유니트를 동작 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렁크식 무선 중계기 시스템.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통과 수단은, 상기 제1동작 채널을 거쳐 부가청 디지탈 신호를 계속적으로 통과시키는 수단; 및 상기 부가청 신호내에 있으며, 상기 제2동작 채널 할당을 나타내는, 고속 디지탈 신호중 적어도 하나의 버스트로 상기 부가청 디지탈 신호를 인터럽트하는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렁크식 무선 중계기 시스템.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부가청 신호 통과 수단은 부가청 디지탈 신호를 상기 제2동작 채널 할당의 표시로 인코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렁크식 무선 중계기 시스템.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부가청 신호 통과 수단은 부가청 디지탈 신호를 상기 제2동작 채널 할당 표시로 단한번 인코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렁크식 무선 중계기 시스템.
  11.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통과 수단은 상기 제2동작 채널이 할당채로 남아있는 시간 주기보다 더 짧은 미리 세트된 시간 주기동안 상기 제2동작 채널 할당을 나타내는 디지탈 신호를 통과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렁크식 무선 중계기 시스템.
  12. 디지탈 제어 채널과 복수의 동작 채널을 갖는 트렁트식 무선 중계기 시스템에서의 우선 주사 방법에서, 상기 동작 채널은 제어 채널상의 디지탈 제어신호에 의해 규정된 개개의 무선 유니트의 사용을 위해 일시적으로 할당되어 있으며, 상기 우선 주사 방법은, (1) 상기 제어 채널을 거쳐 디지탈 할당 신호를 통과시킴으로써 제1동작 채널을 제1무선 유니트에 할당하는 단계(1204); (2) 상기 제1동작 채널의 할당을 나타내도록 상기 복수의 동작 채널중 모든 것을 거쳐 초당 9600비트로 디지탈 신호의 버스트를 통과시키는 단계(1212); (3) 상기 통과시키는 단계(2)에 연속해서, 상기 제1동작 채널의 할당을 나타내도록 상기 복수의 동작 채널중 할당된 모든 것을 초당 150비트로 디지탈 신호를 통과시키는 단계(1212 및 제2도); 및 (4) 상기 통과시키는 단계(3) 및 /또는 상기 통과시키는 단계(4)에 의해 통과된 상기 신호에 응답해서 다른 무선 유니트를 할당된 동작 채널로부터 상기 제1동작 채널로 복귀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우선 주사 방법.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통과시키는 단계(3)는 모든 2비트가 반전되어 재송신되는 부가청 디지탈 신호 프레임을 통과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우선 주사 방법.
  14.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통과시키는 단계(3)고속 데이타 버스트의 디지탈 신호를 초당 150비트내의 시간 슬롯으로 예약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통과시키는 단계(2)는 고속 디지탈 신호로 상기 예약된 시간 슬롯중 적어도 하나를 채우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우선 주사 방법.
  15. 디지탈 제어 채널과 복수의 동작 채널을 갖는 트렁크식 무선 중계기 시스템에서, 상기 동작 채널은, 제어 채널상의 디지탈 제어 신호에 규정된 개개의 무선 유니트의 사용을 위해 일시적으로 할당되며, 상기 시스템은, 상기 제어 채널을 디지탈 할당 신호를 통과시킴으로서 제1동작 채널을 제1무선 유니트에 할당하는 수단(1204); 상기 제1동작 채널의 할당을 나타내도록 상기 복수의 동작 채널중 할당된 모든 것을 거쳐 초당 9600비트로 디지탈 신호의 버스트로 통과시키는 수단(1212); 상기 제1동작 채널의 할당을 나타내도록 상기 복수의 동작 채널중 할당된 모든 것을 초당 150비트로 부가청 디지탈 신호를 통과시키기 위해 상기 최초 언급한 통과 수단과 병합하는 수단; 및 (4) 상기 할당된 동작 채널을 거쳐 통과된 디지탈 신호 버스트 및/또는 부가청 디지탈 신호에 응답해서 다른 무선 유니트를 할당된 동작 채널로부터 상기 제1동작 채널로 복귀시키는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렁크식 무선 중계기 시스템.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부가청 신호 통과 수단은 모든 2비트가 반전된 부가청 디지탈 신호 프레임을 송신하는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렁크식 무선 중계기 시스템.
  17.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부가청 신호 통과 수단은 고속 데이타 버스트의 부가청 디지탈 신호를 상기 초당 150비트내의 적어도 하나의 시간 슬롯으로 예약하는 수단을 포함하며; 상기 디지탈 신호 버스트 통과 수단은 고속 디지탈 신호로 상기 예약된 시간 슬롯중 적어도 하나를 채우는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렁크식 무선 중계기 시스템.
  18. 디지탈 제어 채널(cc)과 복수의 채널(wc)을 가지며, 상기 동작 채널은 제어 채널상의 디지탈 제어 신호에 의해 규정된 개개의 무선 유니트의 사용을 위해 일시적으로 할당되는(1124), 트렁크식 무선 중계기 시스템의 액티브 동작 채널을 통해 제어 신호를 통신하는 방법에 있어서, (1) 부가청 신호는 프레임 구조를 한정하며(제12도), 동작 채널을 통해 부가청 디지탈 신호를 수신하며 또한 상기 부가청 신호의 속도보다 더 높은 속도로 상기 동작 채널을 통해 다른 신호를 동시에 수신하는 단계; (2) 상기 신호 프레임 구조내의 미리 결정된 위치에서 상기 부가청 디지탈 신호내에 있는 고속 데이타 버스트를 수신하는 단계; 및 (3) 상기 고속 데이타 버스트가 수신된 시간동안 오디오 수신기 회로를 뮤팅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방법.
  1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부가청 신호는 모든 2비트가 반전되어 반복되는 프레임 구조를 한정하며, 상기 고속 데이타 버스트는 상기 프레임 구조내에서 4-비트 시간 슬롯을 점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방법.
  20.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부가청 신호 프레임 구조는 다음과 같은 포맷, 즉 (a)상기 고속 데이타 버스트를 위해 예약된 2비트 시간; (b) 2개의 부가 비트; (c)무선 유니트가 동작 채널상에 있지 않을 때 마다 세트되는 유휴 프레임 비트; (d) 11비트 그룹 식별 필드; (e) 고속 데이타 버스트를 위해 예약된 2비트 시간; (f) 2개의 부가 비트; (g) 무선 유니트가 동작 채널상에 있지 않을 때마다 세트되는 부가의 유휴 프레임 비트; (h) 부가의 11비트 그룹 식별 필드; (i) 상기 고속 데이타 버스트를 위해 예약된 2비트 시간: (j) 동작 채널상의 무선 유니트로부터의 고속 데이타 확인 신호를 위해 예약된 2비트 프레임; 및 (k) 12비트 에러 검사 필드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방법.
  21. 디지털 제어 채널과 복수의 동작 채널을 가지며, 상기 동작 채널은 제어 채널상의 디지탈 제어신호에 의해 규정된 개개의 무선 유니트의 사용을 위해 일시적으로 할당되는(1124), 트렁크식 무선 중계기 시스템에 있어서, 동작 채널을 통해 부가청 디지탈 신호를 수신하며 상기 부가청 신호의 속도보다 더 빠른 속도로 상기 액티브 동작 채널을 통해 보내진 다른 신호를 수신하는 수단(제12도); 상기 신호내의 미리 결정된 위치에서 상기 부가청 디지탈 신호내에 있는 고속 데이타 버스트를 수신하는 수단; 및 상기 고속 데이타 버스트가 수신되는 시간 동안 오디오 수신기 회로를 뮤팅하기 위해 상기 고속 데이타 수신 수단과 병합하는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렁크식 무선 중계기 시스템.
  22.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부가청 신호는 모든 2비트가 반전되어 반복되는 프레임구조를 한정하며, 상기 고속 데이타 버스트는 상기 프레임 구조내에서 4-비트 시간 슬롯을 점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렁크식 무선 중계기 시스템.
  23.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부가청 신호 프레임 구조는 다음과 같은 포맷, 즉 (a) 상기 고속 데이타 버스트를 위해 예약된 2비트 시간; (b) 2개의 부가 비트; (c) 무선 유니트가 동작 채널상에 있지 않을 때마다 세트되는 유휴 프레임 비트; (d) 11비트 그룹 식별 필드; (e) 고속 데이타 버스트를 위해 예약된 2비트 시간; (f) 2개의 부가 비트; (g) 무선 유니트가 동작 채널상에 하지 않을 때마다 세트되는 부가의 유휴 프레임 비트; (h) 부가의 11비트 그룹 식별 필드; (i) 상기 고속 데이타 버스트를 위해 예약된 2비트 시간; (j) 동작 채널상의 무선 유니트로부터의 고속 데이타 확인 신호를 위해 예약된 2비트 프레임; 및 (k) 12비트 에러 검사 필드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렁크식 무선 중계기 시스템.
  24. 디지탈 제어 채널과 복수의 동작 채널을 갖는 트렁크식 무선 중계기 시스템내에서 신뢰적이고 신속한 통신을 달성하기 위한 방법에서, 상기 동작 채널은 제어 채널상의 디지탈 제어 채널에 의해 규정된 개개의 무선 유니트의 일시적 사용을 위해 할당되며, 상기 방법은, 할당된 동작 채널을 거쳐 통과한 디지탈 신호를 무선 유니트의 동작이 완료한 후 감시하는 단계로서, 상기 디지탈 신호는 먼저 상기 동작 채널을 거쳐 초당 9600비트로 통과하고 계속해서 부가청 데이타 속도로 통과하는, 상기 감시 단계(제12도); 및 상기 디지털 신호에서 검출된 변화에 응답해서 상기 동작 채널로부터의 무선 유니트의 동작을 드롭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방법.
  25. 디지탈 제어 채널과 복수의 동작 채널을 갖는 트렁크식 무선 중계기 시스템내에서 신뢰적이고 신속한 통신을 달성하기 위한 방법에서, 상기 동작 채널은 제어 채널상의 디지탈 제어 채널에 의해 규정된 개개의 무선 유니트의 일시적 사용을 위해 할당되며, 상기 장치는, 할당된 동작 채널을 거쳐 통과한 디지탈 신호를 무선 유니트의 동작이 완료한 후 감시하는 단계로서, 상기 디지탈 신호는 먼저 상기 동작 채널을 거쳐 초당 9600비트로 통과하고 계속해서 부가청 데이타 속도로 통과하는, 상기 감시 장치(제12도); 및 상기 디지털 신호에서 검출된 변화에 응답해서 상기 동작 채널로부터의 무선 유니트의 동작을 드롭하는 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장치.
  26. 디지탈 제어 채널과 복수의 동작 채널을 갖는 트렁크식 무선 중계기 시스템내에서 신뢰적이고 신속한 통신을 달성하기 위한 방법에서, 상기 동작 채널은 제어 채널상의 디지탈 제어 채널에 의해 규정된 개개의 무선 유니트의 일시적 사용을 위해 할당되며, 상기 방법은, 상기 제어 채널을 거쳐 제1무선 유니트로부터 제어 위치로 디지탈 요구 신호를 통과시킴으로서 동작 채널의 할당을 요구하는 단계(1114); 상기 제어 채널을 거쳐 디지탈 할당 신호를 통과시킴으로서 상기 제1무선 유니트 적어도 제2무선 유니트에 특정의 동작 채널을 할당하는 단계(1204); 상기 할당된 동작 채널을 거쳐 상기 제1무선 유니트로부터 제2제어 위치로 디지탈 핸드셰이크 신호를 통과시키는 단계(1132); 실질적으로 상기 통과 단계와 동시로, 상기 제어 위치로부터 상기 제2무선 유니트로 확인 메시지(1206)를 통과시키는 단계; 상기 핸드셰이크 신호의 성공적인 교환에 응답해서 상기 할당된 동작 채널상에 디지탈 해제 신호(1210)를 보냄으로서 상기 할당된 동작 채널을 통한 통신을 위해 상기 제1 및 제2무선 유니트를 해제하는 단계; 할당된 동작 채널(1212)을 거쳐 먼저 빠른 데이타 속도 및 연속해서 느린 부가청 데이타 속도로 새로운 디지탈 채널 할당 신규 메시지를 통과시키는 단계; 및 상기 신규 채널 할당 메시지를 감시하고 더 높은 우선 인입 메시지가 보내지게 되면 할당된 동작 채널을 드롭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방법.
  27. 디지탈 제어 채널과 복수의 동작 채널을 갖는 트렁트식 무선 중계기 시스템내에서 신뢰적이고 신속한 통신을 달성하기 위한 방법에서, 상기 동작 채널은 제어 채널상의 디지탈 제어 채널에 의해 규정된 개개의 무선 유니트의 일시적 사용을 위해 할당되며, 상기 방법은, 상기 제어 채널을 거쳐 제1무선 유니트로부터 제어 위치로 디지탈 요구 신호를 통과시킴으로서 동작 채널의 할당을 요구하는 단계(1114); 상기 제어 채널을 거쳐 상기 제어 위치로부터 상기 무선 유니트로 디지탈 할당 신호를 통과시킴으로서 상기 제1무선 유니트 및 적어도 제2무선 유니트에 특정의 동작 채널을 할당하는 단계(1204); 상기 제어 위치로부터 상기 할당된 동작 채널(1206)상의 디지탈 확인 신호를 보냄으로서 상기 할당을 확인하는 단계; 실질적으로 상기 확인 단계와 동시에, 상기 제1무선 유니트와 제2제어 위치사이의 상기 활당된 동작 채널을 거쳐 디지탈 핸드셰이크 신호를 통과시키는 단계(1132); 상기 핸드셰이크 신호에 응답해서 상기 할당된 동작 채널을 거쳐 디지탈 해제 신호를 보냄으로써 통신을 위해 상기 유니트들중 적어도 하는 해제하는 단계(1210); 할당된 동작 채널상의 디지탈 새로운 채널 할당 신규 메시지를 먼저 초당 9600비트로 송신하고 계속해서 훨씬 더 낮은 부가청 데이타 속도로 송신하는 단계(1212); 각각의 유니트에 있는 상기 신규 메시지를 감시하더 높은 우선 인입 메시지가 들어오면 할당된 동작 채널을 드롭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방법.
  28. 디지탈 제어 채널과 복수의 동작 채널을 갖는 트렁크식 무선 중계기 시스템내에서 신뢰적이고 신속한 통신을 달성하기 위한 시스템에서, 상기 동작 채널은 제어 채널상의 디지탈 제어 채널에 의해 규정된 개개의 무선 유니트의 일시적 사용을 위해 할당되며, 상기 시스템은, 상기 제어 채널을 거쳐 제1무선 유니트로부터 제어 위치로 디지탈 요구 신호를 통과시킴으로서 동작 채널의 할당을 요구하는(1114)단계; 상기 제어 채널을 통해 디지탈 할당 신호를 통과시킴으로서 상기 제1무선 유니트에 할당하고(1204) 또한 적어도 다른 유니트에 할당하는(1300) 단계; 상기 동작 채널을 통해 상기 제1무선 유니트로부터 상기 제어 위치로 동기 신호 스트림을 통과시킴으로써(1206) 상기 할당된 동작 채널상의 상기 제1무선 유니트의 동작을 확인하는 단계; 상기 동기 신호의 스트림이 상기 무선 유니트로부터 상기 제어 위치로 통과되는 것과 거의 동시에 디지탈 확인 메시지를 상기 할당된 동작 채널을 통해 상기 제어 위치로부터 상기 다른 무선 유니트로 통과시킴으로서 상기 다른 무선 유니트에 대한 상기 동작 채널 할당을 확인하는(1304) 단계; 상기 동기 신호의 성공적인 수신에 응답해서 상기 할당된 동작 채널상의 디지탈 해제 신호를 보냄으로서 상기 할당된 동작 채널을 통한 통신을 위해 상기 제1 및 다른 무선 유니트중 적어도 하나를 해제하는(1210) 단계; 및 다른 동작 채널의 할당을 나타내는 상기 할당된 동작 채널을 거쳐 부가청 디지탈 신호에 부가하여 적어도 하나의 고속 데이타 버스트를 통과시키는(1212)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스템.
  29. 디지탈 제어 채널과 복수의 동작 채널을 갖는 트렁크식 무선 중계기 시스템내에서 신뢰적이고 신속한 통신을 달성하기 위한 방법에서, 상기 동작 채널은 제어 채널상의 디지탈 제어 채널에 의해 규정된 개개의 무선 유니트의 일시적 사용을 위해 할당되며, 상기 방법은, 동작 채널의 할당을 요구하는 단계(1114); 상기 요구된 할당에 응답해서 발행된 상기 제어 채널을 거쳐 통과한 디지탈 동작 채널 할당 신호를 감시하는 단계(1118); 상기 제어 위치와 제1무선 유니트간의 상기 할당된 동작 채널을 거쳐 확인 디지탈 신호를 통과시킴으로서(1132) 또한 상기 제어 위치와 제2무선 유니트간의 다른 확인 신호를 통과시킴으로서(1304) 상기 채널 할당을 학인하는 단계; 상기 확인 신호의 성공적인 교환에 응답해서 디지탈 해제 신호를 상기 할당된 동작 채널을 거쳐 보냄으로서 통신을 위한 상기 할당된 동작 채널을 해제하는 단계(1210); 할당된 동작 채널상에 새로운 채널 할당 메시지를 통과시키는 단계(1212); 각각의 무선 유니트에 있는 상기 할당 메시지를 감시하고 더 높은 인입 메시지가 들어오면 할당된 동작 채널을 드롭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방법.
  30. 제29항에 있어서, 각각의 새로운 채널 할당 메시지를 상기 동작 채널을 거쳐 거의 초당 9600비트로 송신하는 단계; 및 계속해서 부가청 속도로 각각의 새로운 채널 할당 메시지를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방법.
  31. 디지탈 제어 채널과 복수의 동작 채널을 갖는 트렁크식 무선 중계기 시스템내에서 신뢰적이고 신속한 통신을 달성하기 위한 시스템에서, 상기 동작 채널은 제어 채널상의 디지탈 제어 채널에 의해 규정된 개개의 동작 유니트의 일시적 사용을 위해 할당되며, 상기 시스템은, 동작 채널의 할당을 요구하는 단계(1114); 상기 제어 채널을 거쳐 디지탈 할당 신호를 통과시킴으로서(1204) 특정의 동작 채널을 할당하는 단계; 상기 제어 위치와 상기 제1무선 유니트(1206,1132)간의 상기 할당된 동작 채널을 거쳐 확인 디지탈 신호를 통과시킴으로서 또한 상기 제어 위치와 제2무선 유니트간의 다른 확인 신호를 통과시킴으로서(1304) 상기 채널 할당을 확인하는 단계; 상기 확인 신호의 성공적인 교환에 응답해서 디지탈 해제 신호를 상기 할당된 동작 채널을 거쳐 보냄으로서(1210) 통신을 위한 상기 할당된 동작 채널을 해제는 단계; 할당된 동작 채널상에 새로운 부가청 채널 할당 메시지를 송신하는(1212)단계; 각각의 무선 유니트에 있는 상기 할당 메시지를 감시하고 더 높은 우선 인입 메시지가 들어오면 할당된 동작 채널을 드롭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스템.
  32. 제31항에 있어서, 상기 확인하는 단계는, 각각의 새로운 채널 할당 메시지를 상기 동작 채널을 거쳐 거의 초당 9600비트로 통과시키는 단계; 및 계속해서 각각의 새로운 채널 할당 메시지를 부가청 속도로 단 한번 통과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스템.
  33. 디지탈 제어 채널과 복수의 동작 채널을 갖는 트렁크식 무선 중계기 시스템내에서 신뢰적이고 신속한 통신을 달성하기 위한 무선 유니트에서, 상기 동작 채널은 제어 채널상의 디지탈 제어 채널에 의해 규정된 개개의 무선 유니트의 일시적 사용을 위해 할당되며, 상기 무선 유니트는, 상기 제어 채널을 통해 디지탈 요구 신호를 제어 위치로 통과시킴으로서 동작 채널 동작 채널의 할당을 요구하는(1114) 수단; 상기 제어 채널을 통해 디지탈 동작 채널 할당 신호를 검출하는(1204) 수단; 상기 할당된 동작 채널을 통해 디지탈 동기 신호를 통과시키는(1132) 수단; 상기 동기 신호를 성공적으로 통과시킨 후에 상기 할당된 동작 채널상의 디지탈 해제 신호를 검출하고(1208) 상기 검출된 해제 신호에 응답해서 할당된 동작 채널을 거쳐 통신을 뮤팅하는 (1210) 수단; 할당된 동작 채널상의 새로운 할당 디지탈 신호를 검출하며(1212), 상기 할당 신호는 (1) 상기 동작 채널상의 부가청 디지탈 신호 프레임에 있는 고속 버스트중 하나와, (2) 상기 고속 버스트에 연속하며 상기 부가청 신호 프레임의 일부인 상기 동작 채널상의 부가청 신호를 포함하는, 상기 검출 수단; 및 더 높은 메시지가 검출되면 할당된 동작 채널을 드롭하는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유니트.
  34. 제33항에 있어서, PTT에 응답해서 디지탈 언키 메시지를 할당된 동작 채널상의 호출 유니트로부터 보내는 수단; 및 할당된 동작 채널상의 수신된 디지탈 드롭 신호에 응답해서 할당이 된 다음 그것을 즉시 다른 할당에 자유로이 하는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유니트.
  35. 디지탈 제어 채널과 복수의 동작 채널을 갖는 트렁크식 무선 중계기 시스템내에서 신뢰적이고 신속한 통신을 달성하기 위한 시스템에서, 상기 동작 채널은 제어 채널상의 디지탈 제어 채널에 의해 규정된 개개의 무선 유니트의 일시적 사용을 위해 할당되며, 상기 장치는, 상기 제어 채널과 상기 동작 채널을 통해 무선 주파 신호를 송수신하는 중앙 위치(100)에 있는 송수신 수단(300); 및 상기 송수신 수단(tc)과 중앙 위치에서 결합하며 상기 동작 채널이 할당채로 남아 있는 동안 할당된 동작 채널을 거쳐 부가청 신호를 연속적으로 송신하며, 상기 부가청 신호는 선정된 디지탈 데이타 필드를 포함하며 이 데이타 필드는 그 동작 채널이 새로이 만들어질 때마다 새로운 값으로 변경되며, 상기 새로운 값은 그 동작 채널이 재할당되었다는 것을 나타내는, 상기 송수신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장치.
  36. 디지탈 제어 채널과 복수의 동작 채널을 갖는 트렁크식 무선 중계기 시스템과의 신뢰적이고 신속한 통신을 달성하기 위한 방법에서, 상기 동작 채널은 제어 채널상의 디지탈 제어 채널에 의해 규정된 개개의 무선 유니트의 일시적 사용을 위해 할당되며, 상기 방법은, 상기 제어 채널을 거쳐 특정의 동작 채널을 할당을 초당 9600비트의 디지탈 신호로 요구하고(1114) 수신하는(1118) 단계; 할당된 동작 채널을 자동으로 스위칭하는(1124) 단계; 상기 동작 채널을 거쳐 디지탈 통신 세션을 인게이징 하는(1138) 단계; 및 상기 제어 채널에 의한 재할당을 위해 통신 세션 끝에서 상기 동작 채널(1138)을 해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방법.
  37. 제36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 세션은 디지탈 음성 통신 세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방법.
  38. 제37항에 있어서, 상기 디지탈 음성을 인크립팅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방법.
  39. 제37항에 있어서, 상기 디지탈 음성을 인크립팅하고 이 잉크립트된 디지탈 음성을 9600바우드로 송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방법.
  40. 제36항에 있어서, 무선 유니트가 송신중일 때 각각의 유니트의 아이덴티티를 송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방법.
  41. 제36항에 있어서, 호출 유니트에 의해 초기화된 코뮤니케를 위해 상기 제어 채널을 감시하는 단계, 피호출 유니트에서 호출 유니트의 아이덴티티를 기록하는 단계, 상기 기록된 아이덴티티를 사용해서 상기 호출 유니트에 반대로 호출을 시작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방법.
  42. 제36항에 있어서, 수신된 신호에 따라 프로세싱하는 유니트로부터 수신된 복수의 입력 신호중 가장 신뢰할 만한 것을 보우팅 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방법.
  43. 제36항에 있어서, 상기 동작 채널을 거쳐 통신 세션에서의 상기 인게이징 단계는 모뎀을 거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방법.
  44. 제36항에 있어서, 상기 동작 채널을 거쳐 통신 세션에서의 상기 인게이징 단계는 공중 교환 전화망을 거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방법.
  45. 제36항에 있어서, 제어 채널 데이타 포맷을 위해 제1 및 다른 대안적으로 가능한 제어 데이타를 감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방법.
  46. 제36항에 있어서, 중앙 제어기에 의한 중앙 제어의 부재시에 시스템의 제어를 분배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방법.
  47. 할당된 동작 채널의 제어기를 거쳐 호출 유니트와 피호출 유니트간에 신뢰적이고 신속하며 일시적인 통신을 달성하기 위한 트렁크식 무선 중계기 시스템에 있어서, 완전한 듀플렉스 디지탈 제어 채널; 복수의 동작 채널; 상기 제어 채널은 디지탈적으로 인코드된 요구(1114), 동작 채널 할당(1204) 및 인식 신호(1132)를 9600bps로 실행하며, 상기 동작 채널은 완전히 듀플렉스되어 디지탈 통신 신호를 9600bps로 실행하며, 상기 호출 유니트(1124)와 상기 피호출 유니트(1302)에서 상기 제어 채널을 감시하고 상기 제어 채널을 통해 할당된 동작 채널을 교환하는 수단; 상기 제어 채널상의 디지탈 채널 할당 나중 엔트리 메시지를 연속으로 송신하여 상기 디지탈 채널 할당에 의해 규정된 피호출 유니트의 나중 엔트리를 허용하는 수단; 및 각각의 송신에서 호출 유니트의 아이덴티티와 피호출 유니트의 아이덴티티를 규정하는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렁크식 무선 중계기 시스템.
  48. 제47항에 있어서, 상기 동작 채널은 아날로그 음성 통신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렁크식 무선 중계기 시스템.
  49. 제47항에 있어서, 대안적 제어 채널과, 액티브 제어 채널이 발견될 때까지 미리 결정된 시퀀스로 상기 채널을 연속으로 감시하는 수단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렁크식 무선 중계기 시스템.
  50. 제47항에 있어서, 상기 동작 채널은 인크립트된 음성 통신, 디지탈 신호, 디지탈 데이타 및 아날로그 음성 송신을 지원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렁크식 무선 중계기 시스템.
  51. 제47항에 있어서, 호출 위치 제어기를 더 포함하며, 이 제어기는, 채널 요구를 수신하는 수단; 폴링수단; 및 보우팅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렁크식 무선 중계기 시스템.
  52. 제47항에 있어서, 공중 전화망과의 상호 접속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렁크식 무선 중계기 시스템.
  53. 디지탈 RF 제어 신호와 적어도 하나의 RF 동작 채널을 갖는 트렁크식 무선 유니트 통신 시스템내의 무선 통신 방법에서, 상기 동작 채널은 디지탈 RF 제어 채널을 거쳐 보내진 디지탈 트렁킹 제어 신호에 기초하여 개개의 무선 유니트에 의한 일시적 사용을 위해 할당되며, 상기 통신 방법은, 상기 디지탈 RF 제어 채널을 거쳐 디지탈 채널 요구 신호를 거의 9600비트로 보내는 단계(1114); 상기 디지탈 RF 제어 채널을 거쳐 디지탈 채널 할당을 거의 9600비트로 수신하는 단계(1118); 상기 수신된 디지탈 채널 할당 신호에 기초하여 할당된 동작 채널을 자동으로 교환하는 단계(1124); 상기 할당된 동작 채널을 거쳐 디지탈 RF 통신을 인게이징하는 단계(1134); 및 상기 재할당을 위한 인게이징 단계에 연속해서 할당된 동작 채널을 해제하는 단계(1138)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통신 방법.
  54. 제53항에 있어서, 상기 할당된 동작 채널을 통한 상기 디지탈 RF 통신은 디지탈 음성 통신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통신 방법.
  55. 제54항에 있어서, 상기 디지탈 음성을 인크립팅 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통신 방법.
  56. 제55항에 있어서, 상기 인크립트된 디지탈 음성을 9600바우드로 송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통신 방법.
  57. 제53항에 있어서, 상기 유니트가 송신중일 때 각각의 유니트의 아이덴티티를 송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통신 방법.
  58. 제53항에 있어서, 호출 유니트가 시작한 코뮤니케용 유니트에서 상기 제어 채널을 감시하는 단계, 피호출 유니트에서 호출 유니트의 아이덴티티를 기록하는 단계 및 상기 기록된 아이덴티티를 사용해서 상기 호출 유니트에 반대로 호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통신 방법.
  59. 제53항에 있어서, 수신된 신호에 따라 프로세싱하는 유니트로부터 수신된 복수의 입력 신호중 가장 신뢰할 수 있는 것을 보우팅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통신 방법.
  60. 제53항에 있어서, 상기 동작 채널을 통한 통신을 인게이징하는 단계는 모뎀을 거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통신 방법.
  61. 제53항에 있어서, 상기 동작 채널을 통산 통신을 인게이징하는 단계는 적어도 부분적으로 공중 교환 전화망을 거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통신 방법.
  62. 제53항에 있어서, 제어 채널 데이타 포맷을 위해 제1 및 대안적으로 가능한 제어 채널을 감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통신 방법.
  63. 제53항에 있어서, 중앙 제어기에 의한 중앙 제어의 부재에서 시스템의 제어를 분배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통신 방법.
  64. 할당된 동작 채널의 제어기를 거쳐 호출 유니트와 피호출 유니트간에 RF 통신을 달성하기 위한 트렁크식 무선 중계기 시스템에서의 방법에 있어서, 완전한 듀플렉스 디지탈 RF 제어 채널을 거쳐 거의 9600bps로 디지탈적으로 인코드된 동작 채널 요구(1114)와 동작 채널 신호(1118)를 실행하는 단계; 적어도 하나의 동작 채널을 거쳐 거의 9600bps로 디지탈 음성 통신 신호를 실행하는 단계(1134); 상기 호출 유니트와 상기 피호출 유니트에서 상기 제어 채널을 감시하고 상기 제어 채널을 거쳐 상기 동작 채널 할당 신호에 기초하여 할당된 동작 채널을 교환하는 단계(1124); 상기 제어 채널상의 디지탈 채널 할당 나중 엔트리 메시지를 연속으로 송신하여 상기 디지탈 채널 할당에 의해 규정된 피호출 유니트의 나중 엔트리를 허용하는 단계; 적어도 몇몇의 송신에서 호출 유니트의 아이덴티티와 피호출 유니트의 아이덴티티를 규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방법.
  65. 제64항에 있어서, 상기 동작 채널을 통해 아날로그 음성 통신을 지원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방법.
  66. 제64항에 있어서, 액티브 제어 채널이 발견될 때까지 미리 결정된 시퀀스로 상기 채널을 연속으로 감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방법.
  67. 제64항에 있어서, 인크립트된 음성 통신, 디지탈 신호, 디지탈 데이타 및 상기 동작 채널을 통해 아날로그 음성 통신을 지원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방법.
  68. 제64항에 있어서, 채널을 요구하는 단계; 채널 할당을 만드는 단계; 폴링하는 단계; 및 중앙 호출 제어기를 보우팅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방법.
  69. 제64항에 있어서, 공중 전화망과의 상호 접속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방법.
  70. 제36항에 있어서, 동작 채널의 사용이 트렁크식 송신인지 또는 트렁크식 메시지인지에 따라 상기 제어 채널 또는 할당된 동작 채널중 적어도 하나에 신호를 보내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방법.
  71. 제47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채널 또는 할당된 동작 채널중 적어도 하나가 동작 채널의 사용이 트렁크식 송신인지 또는 트렁크식 메시지인지를 확인하는 신호를 실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렁크식 무선 중계기 시스템.
  72. 제53항에 있어서, 동작 채널의 사용이 트렁크식 송신인지 또는 트렁크식 메시지인지를 확인하는 신호를 송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방법.
  73. 제64항에 있어서, 동작 채널의 사용이 트렁크식 송신인지 또는 트렁크식 메시지인지에 따라 상기 제어 채널 또는 할당된 동작 채널중 적어도 하나를 규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방법.
  74. 디지탈 제어 채널과 복수의 동작 채널을 갖는 트렁크식 무선 중계기 시스템과의 신뢰적이고 신속한 통신을 달성하기 위한 방법에서, 상기 동작 채널은 제어 채널상의 디지탈 제어 채널에 의해 규정된 개개의 무선 유니트의 일시적 사용을 위해 할당되며, 상기 방법은, 상기 제어 채널 또는 할당된 동작 채널중 적어도 하나에 동작 채널의 사용이 트렁크식 송신인지 또는 트렁크식 메시지인지를 확인하는 신호를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방법.
  75. 디지탈 제어 채널과 복수의 동작 채널을 갖는 트렁크식 무선 중계기 시스템내에서 신뢰적이고 신속한 통신을 달성하기 위한 장치에서, 상기 동작 채널은 제어 채널상의 디지탈 제어 채널에 의해 규정된 개개의 무선 유니트의 일시적 사용을 위해 할당되며, 상기 장치는, 상기 제어 채널 및 상기 동작 채널을 거쳐 무선 주파 신호를 송수신하는 송수신기(300)를 포함하며, 상기 송수신기는 상기 제어 채널 또는 할당된 동작 채널중 적어도 하나에 동작 채널의 사용이 트렁크식 송신인지 또는 트렁크식 메시지인지를 확인하는 신호를 송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장치.
  76. 디지탈 제어 채널과 복수의 동작 채널을 갖는 트렁크식 무선 중계기 시스템과의 신뢰적이고 신속한 통신을 달성하기 위한 방법에서, 상기 동작 채널은 제어 채널상의 디지탈 제어 채널에 의해 규정된 개개의 동작 유니트의 일시적 사용을 위해 할당되며, 상기 방법은, 상기 제어 채널 또는 할당된 동작 채널중 적어도 하나상에 신호를 송신하고, 송신 트렁킹이 유효하다는 것을 할당된 동작 채널상의 무선 유니트에 알려주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방법.
  77. 디지탈 제어 채널과 복수의 동작 채널을 갖는 트렁크식 무선 중계기 시스템내에서 신뢰적이고 신속한 통신을 달성하기 위한 장치에서, 상기 동작 채널은 제어 채널상의 디지탈 제어 채널에 의해 규정된 개개의 무선 유니트의 일시적 사용을 위해 할당되며, 상기 장치는, 상기 제어 채널 및 상기 동작 채널을 거쳐 무선 주파 신호를 송수신하는 송수신기(300)를 포함하며, 상기 송수신기는 상기 제어 채널 또는 할당된 동작 채널중 적어도 하나상에 신호를 송신하고, 송신 트렁킹이 유효하다는 것을 할당된 동작 채널상의 무선 유니트에 알려주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장치.
  78. 디지탈 제어 신호와 적어도 하나의 동작 채널을 지원하는 트렁크식 무선 중계기 시스템을 동작하는 방법에서, 상기 동작 채널은 디지탈 제어 채널에 의해 규정된 무선 유니트에 의한 일시적 사용을 위해 할당되며 상기 시스템은 제어 채널을 거쳐 송신하며, 상기 방법은, 확인 제어 신호에 부가하여 적어도 하나의 신호를 공중으로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부가의 신호는 동작 채널의 사용이 트렁크식 송신 또는 트렁크식 메시지인지를 규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방법.
  79. 트렁크식 송신 모드 또는 트렁크식 메시지 모드중 어느 하나로 동작 가능한 적어도 하나의 무선 유니트를 포함하는 디지탈 트렁크식 무선 통신 시스템을 동작시키는 방법에 있어서, (a) 공중으로, (1) 상기 무선 유니트를 확인하는(802) 제1디지탈 코드, (2) 동작 채널을 확인하는(802) 제2디지탈 코드 및 (3) 트렁킹 송신을 확인하는 제3디지탈 코드를 보내는 단계; (b) 상기 제1, 제2 및 제3디지탈 코드를 상기 무선 유니트와 함께 수신하는 단계; 및 (c) 상기 수신 단계(b)에 응답해서, 상기 트렁크식 송신 모드에서 상기 확인된 동작 채널상의 상기 무선 유니트를 적어도 일시적으로 동작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방법.
  80. 트렁크식 송신 모드 또는 트렁크식 메시지 모드중 어느 하나로 동작 가능한 적어도 하나의 무선 유니트를 포함하는 디지탈 트렁크식 무선 통신 시스템을 동작시키는 방법에 있어서, (a) 공중으로, (1) 상기 무선 유니트를 규정하는(802) 제1디지탈 코드, (2) 동작 채널을 규정하는(802) 제2디지탈 코드 및 (3) 트렁킹 메시지를 규정하는 제3디지탈 코드를 보내는 단계(804); (b) 상기 제1, 제2 및 제3디지탈 코드를 상기 무선 유니트와 함께 수신하는 단계; 및 (c) 상기 수신 단계(b)에 응답해서, 상기 트렁크식 메시지 모드에서 상기 확인된 동작 채널상의 상기 무선 유니트를 적어도 일시적으로 동작시키는(808)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방법.
  81. 트렁크식 송신 모드 또는 트렁크식 메시지 모드중 어느 하나로 동작 가능한 적어도 하나의 무선 유니트를 포함하는 디지탈 트렁크식 무선 통신 시스템을 동작시키는 방법에 있어서, (a) 공중으로, (1) 상기 무선 유니트를 규정하는(802) 제1디지탈 코드, (2) 동작 채널을 규정하는(802) 제2디지탈 코드 및 (3) 코뮤니케가 트렁크식 메시지인지 또는 트렁크식 송신인지를 규정하는(802) 제3디지탈 코드를 보내는 단계; (b) 상기 제1, 제2 및 제3디지탈 코드를 상기 무선 유니트와 함께 수신하는 단계; 및 (c) 상기 수신 단계(b)에 응답해서, 상기 제3디지탈 코드에 의해 규정된 상기 트렁크식 메시지 모드 또는 상기 트렁크식 송신 모드중 하나에서 상기 확인된 동작 채널상의 상기 무선 유니트를 일시적으로 동작시키는(808) 단계를 포함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방법.
  82. 디지탈 트렁크식 무선 유니트를 동작시키는 방법에 있어서, (a) 상기 무선 유니트를 확인하는 제1디지탈 코드와 동작 채널을 확인하는 제2디지탈 코드를 공중으로 수신하여 디코딩하는 단계; (b) 상기 제1 및 제2디지탈 코드에 응답해서 상기 확인된 동작 채널상의 상기 무선 유니트를 적어도 일시적으로 동작시키는 단계; (c) 제3디지탈 코드를 공중으로 수신하여 디코딩하는 단계; 및 (d) 상기 제3디지탈 코드에 응답해서 트렁킹 송신 및 트렁킹 메시지간을 선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방법.
  83. 디지탈 트렁크식 무선 유니트를 동작시키는 방법에 있어서, (a) 상기 무선 유니트를 확인하는 제1디지탈 코드와 동작 채널을 확인하는 제2디지탈 코드를, 디지탈 제어 채널상의 공중으로 수신하는 단계; (b) 상기 제1 및 제2디지탈 신호에 응답해서 적어도 부분적으로 상기 확인된 동작 채널을 송신하는(804) 단계; (c) 제3디지탈 신호를 공중으로 수신하는 단계; (d) 상기 제3디지탈 신호가 제1미리 결정된 값이면, 상기 동작 채널을 떠난 다음 상기 송신이 완료한 후 상기 동작 채널로 복귀하는 단계; (e) 상기 제3디지탈 신호가 상기 제1미리 결정된 값을 갖지 않는다면, 상기 송신에 대한 응답을 수신하기 위해 미리 결정된 지연 시간동안 상기 동작 채널상에서 대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방법.
  84. 제어 채널을 거쳐 디지탈 채널 할당 메시지를 송신하는 형태의 디지탈 트렁크식 무선 유니트 시스템에서, 상기 제어 할당 메시지는 상기 메시지에 의해 확인된 동작 채널상에서 일시적으로 동작시키기 위해 상기 채널 할당 메시지에 의해 확인된 무선 유니트에 향하며, 상기 시스템은, 트렁크식 메시지 동작 채널 작동과 트렁크식 송신 동작 채널 작동 사이의 선택을 공중으로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중계기 시스템.
KR1019880016200A 1988-04-14 1988-12-02 트렁크식 무선 중계기 시스템 KR97000042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07/181,441 US4939746A (en) 1987-06-03 1988-04-14 Trunked radio repeater system
US181,441 1988-04-14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90016789A KR890016789A (ko) 1989-11-30
KR970000427B1 true KR970000427B1 (ko) 1997-01-09

Family

ID=2266429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80016200A KR970000427B1 (ko) 1988-04-14 1988-12-02 트렁크식 무선 중계기 시스템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4939746A (ko)
JP (1) JP2939260B2 (ko)
KR (1) KR970000427B1 (ko)
CA (1) CA1290021C (ko)
DK (1) DK673488A (ko)
GB (1) GB2217553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274837A (en) * 1987-06-03 1993-12-28 Ericsson Ge Mobile Communications Inc. Trunked radio repeater system with multigroup calling feature
US5159701A (en) * 1989-03-31 1992-10-27 E. F. Johnson Company Method and apparatus for a distributive wide area network for a land mobile transmission trunked communication system
US5086507A (en) * 1989-05-25 1992-02-04 Ericsson Ge Mobile Communications Inc. Drop channel pre-alert for trunked radio communication system
US5125101A (en) * 1990-02-16 1992-06-23 Etrunk Systems, Inc. Trunking method and apparatus for establishing communication in a two-way mobile radio system
US5125103A (en) * 1990-04-30 1992-06-23 Motorola, Inc. Automatic control channel acquisition method and apparatus in a trunked communication system
US5203011A (en) * 1990-09-04 1993-04-13 Motorola,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establishing voice and tone signalling communication in a trunked system
US5212832A (en) * 1990-11-26 1993-05-18 Motorola,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operator messaging using voice channel signalling
JP3173846B2 (ja) * 1991-03-22 2001-06-04 ディー2ビー システムズ カンパニー リミテッド 局所的通信バス・システム
BE1004959A3 (nl) * 1991-06-28 1993-03-02 Bell Telephone Mfg Werkwijze en inrichtingen voor het testen van atm-verbindingen.
DE69230367T2 (de) * 1991-11-21 2000-08-24 Motorola Inc Verfahren zur zerteilung eines sprach/daten-kanals oder eines vorübergehenden steuerkanals
US5517680A (en) * 1992-01-22 1996-05-14 Ericsson Inc. Self correction of PST simulcast system timing
US5513378A (en) * 1992-06-29 1996-04-30 Ranz; Stephen J. Maintaining communications after control breaks in a trunked communication system
US5392449A (en) * 1992-06-29 1995-02-21 Motorola, Inc. Resource management by an intelligent repeater
US5459761A (en) * 1992-06-29 1995-10-17 Motorola, Inc. Intelligent repeater for trunked communications
GB2268366B (en) * 1992-06-30 1996-08-07 Ericsson Ge Mobile Communicat Control channel timing detection and self correction for digitally trunked simulcast radio communication system
US5805645A (en) * 1992-06-30 1998-09-08 Ericsson Inc. Control channel synchronization between DBC and Cellular networks
FI96158C (fi) * 1992-11-27 1996-05-10 Nokia Telecommunications Oy Puhelunmuodostusmenetelmä sekä transmission trunking-tyyppinen radiojärjestelmä
US5517677A (en) * 1993-05-13 1996-05-14 Uniden America Corporation Adaptive weighting of a scanning sequence
US5477539A (en) * 1993-07-23 1995-12-19 Ericsson Inc. Narrow band simulcast system having low speed data distribution
ES2138031T3 (es) * 1994-03-22 2000-01-01 Cit Alcatel Metodo para formar grupos de terminales de comunicacion en un sistema de radio compartido.
US6044265A (en) * 1995-06-05 2000-03-28 Bellsouth Corporation Methods and apparatus for cellular set programming
US5742907A (en) * 1995-07-19 1998-04-21 Ericsson Inc. Automatic clear voice and land-line backup alignment for simulcast system
US5842134A (en) * 1995-09-28 1998-11-24 Ericsson Inc. Auto-alignment of clear voice and low speed digital data signals in a simulcast system
US6081720A (en) * 1996-06-28 2000-06-27 Hughes Electronics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allocating shared communication channels
US5857144A (en) * 1996-08-09 1999-01-05 Ericsson, Inc. In-band vehicular repeater for trunked radio system
US6047160A (en) * 1996-08-29 2000-04-04 Ericsson Inc. Transportable base station for a trunked radio communication system
US6169880B1 (en) 1996-10-16 2001-01-02 Ericsson Inc. Method and system of load sharing and prioritization of radio repeaters
US6529486B1 (en) 1997-04-11 2003-03-04 Transcrypt International/E.F. Johnson Company Trunked radio repeater communication system
US6684080B1 (en) 1997-05-28 2004-01-27 Transcrypt International/E. F. Johnson Company Trunked radio repeater communication system including home channel aliasing and call grouping
US6374115B1 (en) 1997-05-28 2002-04-16 Transcrypt International/E.F. Johnson Method and apparatus for trunked radio repeater communications with backwards compatibility
DE69818353D1 (de) 1997-06-16 2003-10-30 Racal Comm Systems Ltd Funkkommunikationssystem
US6370234B1 (en) * 1998-06-16 2002-04-09 Kroll Family Trust Public service answering point with automatic triage capability
US20020142767A1 (en) * 2001-03-30 2002-10-03 Mears David F. Parasitic radio transmission system
US6950653B2 (en) * 2002-01-11 2005-09-27 Hubbell Incorporated Scanning tone remote adapter for land-mobile radio dispatch for use with dispersed dispatch stations
US7546135B2 (en) * 2002-04-08 2009-06-09 M/A-Com Private Radio Systems, Inc. Extended addressing for a digital trunked radio system
JP2005167667A (ja) * 2003-12-03 2005-06-23 Yaskawa Electric Corp 無線通信装置およびその通信制御方法
US7508840B2 (en) 2004-05-28 2009-03-24 Bae Systems Information And Electronic Systems Integration Inc. Mobile temporary incident area network for local communications interoperability
US20080084853A1 (en) 2006-10-04 2008-04-10 Motorola, Inc. Radio resource assignment in control channel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s
KR101138175B1 (ko) * 2006-11-03 2012-04-25 모토로라 모빌리티, 인크.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의 원격 유닛의 스케줄링
CN101051850B (zh) * 2007-03-23 2010-07-14 中国电子科技集团公司第二十八研究所 空中不同频率半双工电台的频率耦合方法及系统
CN101022485B (zh) * 2007-03-23 2012-07-11 中国电子科技集团公司第二十八研究所 实现地空通话的地空语音耦合方法及系统
US9578578B2 (en) 2013-12-13 2017-02-21 Motorola Solutions, Inc. Apparatus and method for enabling efficient handover of a receiving radio between radio frequency sites

Family Cites Families (5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BE629287A (ko) * 1962-03-22
US3458664A (en) * 1965-10-14 1969-07-29 Motorola Inc Control unit for mobile radio telephone system
US3571519A (en) * 1968-10-31 1971-03-16 Motorola Inc Synchronous supervisory unit for mobile telephone system
US3696210A (en) * 1970-08-06 1972-10-03 Motorola Inc Data transferring system utilizing a monitor channel and logic circuitry to assure secure data communication
US3801956A (en) * 1971-04-19 1974-04-02 Motorola Inc Digital sequence detector using multiple samples during each digit time period
US3898390A (en) * 1973-05-15 1975-08-05 Martin Marietta Corp Multiple zone communications system and method
US3906166A (en) * 1973-10-17 1975-09-16 Motorola Inc Radio telephone system
US3936616A (en) * 1974-09-23 1976-02-03 Motorola, Inc. "Wild" mobile disable circuit
US3970801A (en) * 1974-12-03 1976-07-20 Motorola, Inc. Dialing apparatus for a portable radio telephone
US4027243A (en) * 1975-05-12 1977-05-31 General Electric Company Message generator for a controlled radio transmitter and receiver
US4022973A (en) * 1975-05-12 1977-05-10 General Electric Company Apparatus for indicating synchronization and out-of-synchronization conditions
US4001693A (en) * 1975-05-12 1977-01-04 General Electric Company Apparatus for establishing communication between a first radio transmitter and receiver and a second radio transmitter and receiver
US4029901A (en) * 1975-11-13 1977-06-14 Motorola, Inc. Control center for a communications system with interchannel patching capabilities
US4012597A (en) * 1975-11-24 1977-03-15 Motorola, Inc. Transmission trunk multichannel dispatch system with priority queuing
US4010327A (en) * 1976-05-11 1977-03-01 Motorola, Inc. Communication system interface circuit
US4131849A (en) * 1976-10-21 1978-12-26 Motorola, Inc. Two-way mobile radio voice/data shared communications system
US4128740A (en) * 1977-02-14 1978-12-05 Motorola, Inc. Antenna array for a cellular RF communications system
US4161718A (en) * 1977-06-20 1979-07-17 Motorola Israel Ltd. Supervisory control system
US4184118A (en) * 1977-10-03 1980-01-15 Motorola, Inc. Base station feedback reporting system
US4231114A (en) * 1978-02-27 1980-10-28 Motorola, Inc. Synchronizing means for a two-way communication system
US4409687A (en) * 1978-10-30 1983-10-11 General Electric Company Arrangement and method for establishing radio communication in a system
US4360927A (en) * 1979-03-12 1982-11-23 General Electric Company Repeater trunking system
US4267593A (en) * 1979-06-15 1981-05-12 Wescom Switching, Inc. Method and means for digital conferencing
US4400585A (en) * 1979-11-30 1983-08-23 Motorola,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automatically attempting to seize a radio channel in a multichannel communication system
US4312070A (en) * 1979-12-07 1982-01-19 Motorola, Inc. Digital encoder-decoder
US4369443A (en) * 1979-12-26 1983-01-18 Meta Systems, Inc. Message communication system with message storage
US4322576A (en) * 1979-12-28 1982-03-30 Racal-Milgo, Inc. Message format for secure communication over data links
US4309772A (en) * 1980-01-24 1982-01-05 Motorola, Inc. Soft quantizer for FM radio binary digital signaling
US4312074A (en) * 1980-02-07 1982-01-19 Motorola,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detecting a data signal including repeated data words
JPS56126339A (en) * 1980-03-10 1981-10-03 Nec Corp Mobile communication system
US4347625A (en) * 1980-06-16 1982-08-31 General Electric Company Arrangement for cellular operation of a repeater trunking system
US4339823A (en) * 1980-08-15 1982-07-13 Motorola, Inc. Phase corrected clock signal recovery circuit
US4382298A (en) * 1981-03-27 1983-05-03 General Electric Company Binary digit or bit restoration circuit
US4430755A (en) * 1981-05-14 1984-02-07 Motorola, Inc. Portable radio telephone
US4434323A (en) * 1981-06-29 1984-02-28 Motorola, Inc. Scrambler key code synchronizer
US4418425A (en) * 1981-08-31 1983-11-29 Ibm Corporation Encryption using destination addresses in a TDMA satellite communications network
US4430742A (en) * 1981-11-20 1984-02-07 Motorola, Inc. Data muting method and apparatus for radio communications systems
US4450573A (en) * 1981-12-07 1984-05-22 Motorola Inc. Bit data operated squelch
US4433256A (en) * 1982-07-06 1984-02-21 Motorola, Inc. Limiter with dynamic hysteresis
US4485486A (en) * 1982-08-03 1984-11-27 Motorola,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assigning duplex radio channels and scanning duplex radio channels assigned to mobile and portable radio telephones in a cellular radiotelephone communications system
US4534061A (en) * 1983-09-06 1985-08-06 General Electric Company Deterministic multi-access method for a decentralized mobile radio system
US4578815A (en) * 1983-12-07 1986-03-25 Motorola, Inc. Wide area coverage radio communication system and method
US4658435A (en) * 1984-09-17 1987-04-14 General Electric Company Radio trunking system with transceivers and repeaters using special channel acquisition protocol
JPS61102836A (ja) * 1984-10-24 1986-05-21 Toshiba Corp メツセ−ジ通信方式
JPS61205039A (ja) * 1985-03-08 1986-09-11 Oki Electric Ind Co Ltd ブロツク同期通信方式
JPS61240727A (ja) * 1985-04-18 1986-10-27 Fujitsu Ten Ltd 受信機
US4649567A (en) * 1985-04-22 1987-03-10 General Electric Company Dispatch overdialing for inter-group and other added calling/called access to communications channels in a trunked radio communications system
US4698805A (en) * 1985-09-13 1987-10-06 Motorola, Inc. Console interface for a trunked radio system
US4716407A (en) * 1985-10-07 1987-12-29 Motorola, Inc. Trunked communication system true priority channel scan
JP2525359B2 (ja) * 1986-02-05 1996-08-21 キヤノン株式会社 デ−タ通信装置
CA1250900A (en) * 1986-11-18 1989-03-07 Northern Telecom Limited Private cellular system
US4723264A (en) * 1987-06-19 1988-02-02 Motorola, Inc. Signalling method for establishing trunked communication
US4811420A (en) * 1987-07-08 1989-03-07 International Mobile Machines Corporation Initialization of communication channel between a subsciber station and a base station in a subscriber communication system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DK673488A (da) 1989-10-15
DK673488D0 (da) 1988-12-02
CA1290021C (en) 1991-10-01
GB8828194D0 (en) 1989-01-05
US4939746A (en) 1990-07-03
JP2939260B2 (ja) 1999-08-25
GB2217553B (en) 1992-09-02
KR890016789A (ko) 1989-11-30
JPH01270420A (ja) 1989-10-27
GB2217553A (en) 1989-10-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70000427B1 (ko) 트렁크식 무선 중계기 시스템
KR960004810B1 (ko) 트렁크식 무선 중계기 시스템
US5483670A (en) Trunked radio repeater system with control channel monitoring feature
US5125102A (en) Trunked radio repeater system including synchronization of a control channel and working channels
US6374115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trunked radio repeater communications with backwards compatibility
US6529486B1 (en) Trunked radio repeater communication system
EP0411677B1 (en) Dispatch trunked radio system
US5365512A (en) Multisite trunked RF communication system with reliable control messaging network
EP0521610B1 (en) Digital cellular overlay network
USRE37301E1 (en) Multiple access protocol
JP2583448B2 (ja) トランク式音声/データ通信システムのための加入者ユニット
US4646345A (en) Automatic unit ID for quasi-transmission trunked systems
US4573207A (en) Queued community repeater communications system
JPS6094550A (ja) デ−タ・チヤンネルを呼出す方法
JPH0777366B2 (ja) 通信システムの加入者を動的に編成しなおす方法
JP2008500785A (ja) 音声伝送用チャネルへのアクセスを提供するための方法およびシステム
RU2153229C2 (ru) Способ и устройство для улучшения приема сообщений стационарным системным приемником
US5875211A (en) Multisite radio system with false mobile radio signalling detection
JP2822721B2 (ja) チャネル割当方法
CA1326510C (en) Trunked radio repeater system
GB2244890A (en) Trunked radio repeater system
EP1773077A1 (en) A method of indicating a channel available for sending uplink access request
JP3633080B2 (ja) デジタルコードレス電話を用いたデータ伝送システム
JP2527660B2 (ja) 通信方法
JPH04354227A (ja) デ−タ通信システム動作異常時の対処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1228

Year of fee payment: 15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