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60004810B1 - 트렁크식 무선 중계기 시스템 - Google Patents

트렁크식 무선 중계기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60004810B1
KR960004810B1 KR1019880000830A KR880000830A KR960004810B1 KR 960004810 B1 KR960004810 B1 KR 960004810B1 KR 1019880000830 A KR1019880000830 A KR 1019880000830A KR 880000830 A KR880000830 A KR 880000830A KR 960004810 B1 KR960004810 B1 KR 96000481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hannel
signals
digital
assigned
contro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8000083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90001308A (ko
Inventor
스코트 차일드리스 제퍼리
앤드류 디소스웨이 마크
미이드 쿠퍼 제랄드
하워드 휴즈 3세 호스톤
Original Assignee
에릭슨 지이 모빌 컴뮤니케이션즈 인코포레이티드
레너트 그래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릭슨 지이 모빌 컴뮤니케이션즈 인코포레이티드, 레너트 그래브 filed Critical 에릭슨 지이 모빌 컴뮤니케이션즈 인코포레이티드
Publication of KR89000130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9000130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6000481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00481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24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for communication between two or more pos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4/00Network topologies
    • H04W84/02Hierarchically pre-organised networks, e.g. paging networks, cellular networks, WLAN [Wireless Local Area Network] or WLL [Wireless Local Loop]
    • H04W84/04Large scale networks; Deep hierarchical networks
    • H04W84/08Trunked mobile radio system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00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 H04L1/12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by using return channel
    • H04L1/16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by using return channel in which the return channel carries supervisory signals, e.g. repetition request signals
    • H04L1/1607Details of the supervisory signal
    • H04L1/1614Details of the supervisory signal using bitmaps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트렁크식 무선 중계기 시스템
제1도는 본 발명에 따른 트렁크식 무선 중계기 시스템의 개요도.
제2도는 제1도의 트렁크식 중계기 시스템중 중앙 제어 사이트(위성 수신기측도 포함)의 블럭선도.
제3도는 중앙 제어 사이트에 대한 주제어기의 현장 구성을 도시한 블럭선도.
제4도는 제3도의 중앙 사이트 구성의 각 채널에 대한 채널 구성을 도시한 블럭선도.
제5도는 제1도의 트렁크식 중계기 시스템내에서의 통신을 위해 활용되는 이동/휴대용 무선 유니트의 블럭선도.
제6도는 호출 유니트내에서의 호출 처리 수순을 도시한 흐름선도.
제7도는 피호출 유니트내에서의 호출 처리 수순을 도시한 흐름선도.
제8도는 트렁크된 채널 드롭 처리 및 요구된 드롭 시간을 설명하는 도면.
제9도는 실시예적 시스템에 있어서의 호출 개시 신호 발생 및 전형적인 타이밍 요건들을 설명하는 도면.
제10도는 실시예적 시스템에 있어서의 개별 및 그룹에 따른 트렁크식 무선 통신의 개시 및 종료에 활용되는 제어 신호 발생 프로토콜의 그래프적 설명도.
제11도는 제10도의 신호 발생 프로토콜을 달성하기 위하여 중앙 사이트 제어기, 호출 유니트 및 피호출 유니트에 활용되는 적절한 컴퓨터 프로그램의 흐름선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트렁크식 중계기(중앙) 제어 사이트 100-1 : 위성 수신기측
102 : 디스패치 콘솔 104 : 중계기국측
200 : 송신 안테나 202 : 수신 안테나
300,302,304,306 : RF 중계기국
400,402,404,406 : 트렁크 카드(TC) 410 : 중앙 사이트 제어기
412 : 제어 데이타 버스 502,504,506,508 : 보우터 회로
550 : 마이크로프로세서 552 : 메모리
554 : 입/출력 회로 558 : 모뎀
본 발명은 일반적으로 트렁크식 무선 중계기 시시템 분야에 관한 것으로, 특히 전용 제어 채널을 통해 전달된 디지탈 제어 신호들을 이용하면서 한편으로는 개개의 무선 유니트가 사용하도록 일시적으로 할당된 복수의 동작 채널을 이용하는 트렁크식 무선 중계기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무선 중계기들을 트렁크화 하는 것은 잘 알려져 있다. 초기의 트렁크 시스템들은 아날로그 제어 신호들을 이용하였으나, 보다 최근의 시스템들은 디지탈 제어 신호들을 이용하고 있다. 제어 신호들은 여러가지 이유와 효과 때문에 전용 제어 채널 및/또는 동작 채널들 상에서 활용되고 있다. 대표적인 종래 기술의 트렁크식 무선 중계기 시스템들을 설명하고 있는 종래의 특허 공보들중에서 일부를 소개하면 다음과 같다.
미합중국 특허 제3,292,178호-Magnuski(1966)
미합중국 특허 제3,458,664호-Adlhoch 등(1969)
미합중국 특허 제3,571,519호-Tsimbidis(1971)
미합중국 특허 제3,696,210호-Peterson 등(1972)
미합중국 특허 제3,906,166호-Cooper 등(1975)
미합중국 특허 제3,936,616호-Digianfilippo(1976)
미합중국 특허 제3,970,801호-Ross 등(1976)
미합중국 특허 제4,001,693호-Stackhouse 등(1977)
미합중국 특허 제4,010,327호-Kobrinetz 등(1977)
미합중국 특허 제4,012,597호-Lynk, Jr. 등(1977)
미합중국 특허 제4,022,973호-Stackhouse 등(1977)
미합중국 특허 제4,027,243호-Stackhouse 등(1977)
미합중국 특허 제4,029,901호-Campbell(1977)
미합중국 특허 제4,128,740호-Graziano(1978)
미합중국 특허 제4,131,849호-Freeburg 등(1978)
미합중국 특허 제4,184,118호-Cannalte 등(1980)
미합중국 특허 제4,231,114호-Dolikian(1980)
미합중국 특허 제4,309,772호-Kloker 등(1982)
미합중국 특허 제4,312,070호-Coombes 등(1982)
미합중국 특허 제4,312,074호-Pautler 등(1982)
미합중국 특허 제4,326,264호-Cohen 등(1982)
미합중국 특허 제4,339,823호-Predina 등(1982)
미합중국 특허 제4,347,625호-Williams(1982)
미합중국 특허 제4,360,927호-Bowen 등(1982)
미합중국 특허 제4,400,585호-Kamen 등(1982)
미합중국 특허 제4,409,687호-Berti 등(1983)
미합중국 특허 제4,430,742호-Milleker 등(1984)
미합중국 특허 제4,430,755호-Nadir 등(1984)
미합중국 특허 제4,433,256호-Dolikian(1984)
미합중국 특허 제4,450,573호-Noble(1984)
미합중국 특허 제4,485,486호-Webb 등(1984)
미합중국 특허 제4,578,815호-Persinotti(1985)
Bowen 등의 특허는 피호출 유니트(들)와의 통신 처리가 허용되기 전에 점유된 "유휴(idle)" 동작 채널에 중계기측 제어기와의 핸드 세이크(handshake)를 허용함으로써 부분적으로 전용 제어 채널의 사용을 회피하는 종래의 교환식 채널 중계기 시스템의 일예이다.
트렁크식 무선 중계기 시스템들의 응용 분야는 실제로 또한 잠재적으로도 많이 있는데, 그중에서도 중요한 한가지 응용 분야로서 공중 서비스 트렁크(public service trunked : PST) 시스템이 있다. 예를들면, 한대도시 지역에서 각종 기관내의 개개의 무선 유니트 사이에 효과적인 무선 통신을 제공하기 위하여 단일 시스템의 트렁크식 무선 중계기들을 효율적으로 활용할 수가 있다. 각 기관에서는, 또한, 여러 플러트(fleet)의 개개의 유니트, 즉 서브 유니트들간의 효과적인 통신을 달성할 수가 있다(일예로, 경찰국에서는 순찰 차량대의 개개의 유니트나, 보행 순찰 경관들에게 할당된 개개의 휴대용 유니트, 또는 탐정 기관이나 마약 단속 기관의 개개의 유니트 사이에 효과적인 통신을 제공할 필요성이 있을 것이다). 때로는 소정 그룹들의 유니트들(예를들면, 모든 유니트, 모든 순찰 차량, 모든 보행 순찰 경관등)과 동시에 통신하는 것이 중요할수도 잇다. 이때, 다른 기관들(예컨대, 소방국, 교통국, 수도국, 비상/구조 봉사대 등)도 마찬가지의 통신 서비스를 필요로 할 수가 있다. 트렁킹 원리에 친숙한 자들에게는 자명한 사실로써, 무선 중계기들이 트렁크되면(즉, 모든 가능한 유니트 사이에서 "필요로 되는 바"에 따라 공유화되면), 비교적 소수의 무선 중계기만으로도 소정 지형적 영역내의 어떠한 모든 요구에 대해 효과적으로 서비스하는 것이 가능하다.
본 발명은 또한 특수 이동 무선(special mobile radio : SMR) 트렁크 시스템 사용자들을 위해 특별히 적합하도록 한 것이다. 여기서, 사업자는 소정 지형적 영역내의 한군데 이상의 사이트에 트렁크식 무선 중계기 시스템을 설치하여 특정 조직의 개개의 유니트 사이에 효과적인 무선 통신을 제공할 필요성을 갖고 있는 각종의 독립사업체 또는 기타의 엔더티들에게 무선 이용 시간(air time)을 판매할 수 있을 것이다. 여러면에 있어서, SMR 사용자의 요건은 PST 사용자의 요건과 유사하다.
실제로, 공중 서비스를 위한 트렁크식 무선 중계기 시스템들의 장점들은 널리 인식되어 있으며, Association of public-Safety Communication Officers, Inc.(구명칭 : Association of Police Communications Officers)(약칭 : APCO)라는 단체에서는 이와 같은 시스템을 위한 "APCO-16 요건"이라고 하는 일련의 매우 적절한 특징들을 개발한 바 있다. 이러한 요건에 관한 완전한 명세 및 설명은 해당 분야에 공지된 각종 간행물을 통해서 찾아볼 수 있을 것이다.
APCO-16 요건중의 하나로서, 어떠한 사용자든지 푸시-투-토크(push-to-talk : PTT) 스위치를 예약한 후에는 0.5초(500msec) 이내에 음성 채널 엑세스를 가져야 한다는 것이 있다. 이 요건은 비상 상황에서 특히 일치되어야 하며, 시스템이 매우 짧은 시간 프레임내에 보다 낮은 우선 순위 사용자들을 능동적으로 드롭(drop)시킬 수 있어야 한다는 것을 의미하는 것이기도 하다. 물론, 비 비상 상황에서도 트렁크 설비의 효과적인 이용을 위해서는, 채널 이용이 종료되자마자 할당되어 있던 채널들을 신속하고 효과적으로 드롭시킬 수 있는 능력 또한 중요하다.
종래의 트렁크식 무선 시스템들은 적시성(timeIiness)에 관한 이와 같은 APCO-16 요건을 어느정도 "정확히 일치"시키고자 하였다. 예를들어, 종래의 한 시스템은 450msec 이내의 채널 갱신(19채널 시스템의 경우) 및 500msec 이내의 채널 드롭을 달성할 수 있는 능력을 나타내고 있다. 이를 달성하기 위해서, 그 시스템은 전용 디지탈 제어 채널을 통해 초당 3600비트(3600bps)의 디지탈 신호 발생을 활용하고 있다. 그런데, 종래의 이와 같은 시스템에 의해 비록 이론상으로는, 적시성에 관한 APCO-16 요건이 일치될 수 있기는 하지만, 실제상으로는, APCO-16 적시성 요건이 종종 일치되지 않게 되고, 또 일치된다고 하더라도 디지탈 제어 신호 발생에 다소 비신뢰적인 명백한 악양향을 겪게 된다(이것은, 비 비상 상황에서조차도 악영향을 미치게 된다). 따라서, 개선해야할 여지가 충분히 있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일반적인 유형의 디지탈적으로 트렁크된 무선 시스템에 있어서, 정밀한 제어 신호 발생의 적시성 및 신뢰성에 현저한 개선점들을 제공한다. 이를 위해서, 무엇보다도 먼저, 매우 높은 디지탈신호 발생율(9600bps)이 활용된다. 그러나 이렇게 증가된 신호 발생을 모두가 적시성에 있어서 9600/3600=2.67의 개선율을 제공하는데 이용되기보다는, 증가된 신호 발생 용량의 상당한 부분이 신호 발생 신뢰성을 개선하는데 활용된다. 따라서, 19채널 개시 능력에 관한 증가된 적시성은, 예를들어, 약 1.58의 인수만큼(예를들면, 285msec 대 450msec) 개선되고, 그 나머지의 증가된 신호 발생 용량은 제어 신호 발생의 신뢰성을 증진시키는데 활용된다. 이때, 가상적으로는 증가된 신호 발생 용량 모두 채널 드롭 능력의 적시성을 개선(예를들면, 190msec 대 500msec)하는데 활용된다.
AMPS 시스템에 관한 Bell System Technical Jonrnal지에서 이미 설명된 바와 같이(예를들면, Bell System Technical Jonrnal 제58권 제 1 호, 1979년 1월간, 97면 내지 122면에 수록된 Arredondo 등의 논문 "Voice and Data Transmission" 참조), 무선 채널에 대한 디지탈 데이타율은 매우 낮거나(예를들면, 200Hz) 또는 높더라도 채널 대역폭 허용 한계 이내이어야 한다. 본 발명은 사용자 통신 기간 직전 및 직후에 동작 채널들상으로의 정밀한 제어 채널 신호 발생 및 제어 신호 발생을 위해 최대 교속 데이타율(예를들면, 통상의 25KHz 대역폭 무선 채널에 대해 9600bps)을 활용하고 있다. 한편, 신호 발생 신뢰성을 더욱 증진시키고 부가적인 특징들의 구현을 허용하기 위하여 사용자 통신중에 동작 채널상에서 부가청(sub-audible) 저속 디지탈 데이타도 활용되고 있다.
양호한 실시예에 있어서, 모든 채널(제어 채널은 물론 동작 채널들도 포함)은 완전히 이중화 되어, 모든 채널상에서 동시에 인 바운드(in-bound) 및 아웃 바운드(out-bound) 신호가 발생되도록 한다. 일반적으로, 본 발명은 디지탈 제어 채널 및 이 제어 채널상의 디지탈 제어 신호들에 의해 지정된 개개의 무선 유니트가 일시적으로 사용하도록 할당되는 복수의 동작 채널을 갖고 있는 트렁크식 무선 중계기 시스템내에서 신뢰적이고 즉각적인 통신을 달성한다.
채널 할당은 시초에 한 호출 무선 유니트가 유효 제어 채널을 통해 제어 사이트으로 디지탈 요구 신호들을 전달함에 의해서 요구된다. 채널 이용 가능성에 따라서, 중앙 사이트의 제어기는 요구된 통신에 대해 이용 가능한 특정 동작 채널을 할당하고, 디지탈 할당 신호들을 제어 채널을 통해 아웃 바운드로 전달한다. 호출 무선 유니트 및 피호출 유니트(들)는 동작 채널 할당을 검출하고, 적절한 동작 채널로 그들의 송신기 및 수신기 동작을 절환한다. 그 후에, 할당된 동작 채널을 통해 제어 사이트과 적어도 하나의 무선 유니트(예를들면, 무선 유니트) 사이에서 다시 디지탈 핸드 세이크 신호들이 교환된다. 할당된 동작 채널상에서의 성공적인 핸드 세이크에 응답하여, 중앙 사이트는 그 후 할당된 동작 채널을 통해 그들과의 통신을 위하여 적절한 유니트들을 해제하도록, 디지탈 해제 신호들을 전송한다.
신뢰성을 증진시키기 위한 한가지 기술로써, 초기 요구 신호들은 3중 데이타 여유분(최소한 정밀한 데이타를 위하여)을 포함하고, 제어 채널을 통해 연속적으로 전송하는 채널 할당 신호들은 가능한한 많은 데이타의(예를들면, 피호출측과 할당된 채널을 나타내는 것들과 같은 최소한 정밀한 데이타의) 6중 여유분을 포함할 수 있다. 할당된 동작 채널상에서 연속적으로 교환되는 핸드 세이크 신호들도 최소한 정밀한 데이타의 3중 데이타 여유분을 포함할 수 있다. 이와같이 하여, 고속 데이타율(예를들면 9600bps)에 의해 이용 가능하게 되는 증가된 신호 발생 용량의 일부가 보다 신뢰적인 채널 배경 및 통신 기능들을 위해-단, 모든 APCO-16 요건을 충분히 초과하면서-활용된다.
보다 고우선 순위 호출(call)들에 대한 응답성을 확실히 하기 위하여, 할당된 동작 채널을 통해 부가청 디지탈 채널 할당 갱신 메시지들이 또한 전송된다. 이들은 동작 채널들상에 존재하는 각 유니트에서 감시된다. 따라서, 미리 통신 예약된 어떤 유니트로 보다 고우선 순위 호출이 지향되면, 그 유니트는 새로 할당된 동작 채널로 즉시 동작을 절환하도록 인에이블되어 보다 고우선 순위 호출을 즉시 수신하게 된다.
한편, 진행중인 통신에 대한 피호출측들의 사후 엔트리를 위하여, 채널 할당 처리가 완수된 후에도 디지탈 채널 할당 "사후 엔트리(late entry)" 메시지들이 계속 전송되어, 사후 엔트런트들(예를들면, 무선을 막턴 온한 경우나, 터널을 막 통과한 경우, 건물 뒤에서 막 나온 경우, 일시적인 인터럽선 후에 다시 무선 통신이 이루어진 경우, 보다 고우선 순위 또는 동등한 우선 순위 호출을 완료한 경우 등)이 아무 하자없이 가능한한 빨리 적절히 할당된 동작 채널로 절환될 수 있도록 한다(사후 엔트리 특징에 관한 보다 상세한 설명은 1985년 4월 22일자로 출원된 미합중국 특허원 제725,682호를 참조하기 바람).
채널 할당의 즉각적이고 효과적인 종료를 위하여, 호출 유니트의 PTT 스위치가 해제될때, 그것은 할당된 동작 채널상으로 디지탈 언키이드(unkeyed) 메시지를 전달한다.
제어 사이트에서 이 언키이드 메시지를 수신함에 따라서, 할당된 동작 채널로부터 즉시 모든 유니트를 드롭시켜서 그 동작 채널이 재할당을 위해 자유롭게 되도록 할당된 동작 채널을 통해 디지탈 드롭 신호가 전송된다(소정 무선 유니트는 할당된 동작 채널로부터 드롭함에 따라 자동적으로 제어 채널을 감시하기 위한 본래 상태로 되돌아갈 것이다).
본 발명의 시스템은, 지속적으로 전용화된 "제어" 데이타 채널을 통해 전달된 디지탈 신호들에 의해서 트렁킹 제어가 이루어지기 때문에, "디지탈적으로" 트렁크된 시스템이라고 불리어지기도 한다. 모든 유니트는 턴 온시나 리세트시에 자동적으로 미리 결정된 주 제어 채널로 복귀하도록 프로그램 된다. 기대된 제어 채널 데이타 포맷이 발견되지 않으면, 유효 제어 채널이 발견될때까지 다른 가능한 제어 채널들이 미리 결정된 수순으로 연속적으로 감시된다. 이와같이 하여, 중앙 제어 사이트에서의 통상의 제어 채널 장치가 일시적으로 서비로부터 제거될 수 있다(예를들면, 보수 목적을 위하여). 이 특징은 또한 정규 제어 채널이 예기치 않게 오동작하는 경우에도 지속적인 트렁크 시스템 동작을 허용한다.
본 발명의 양호한 실시예는 기존의 모든 APCO-16 요건과 일치하고, 또 많은 분야에 있어서 기존의 APCO-16 요건을 초월하도록 설계된다. 본 발명의 양호한 실시예는 또한 데이타 인크립션(encryption) 기술, 이동 디지탈 데이타 터미널(디지탈 데이타는 트렁크식 무선 통신 기간중에 아날로그 음성 데이타 대신 전달될 수 있다) 및/또는 이용 가능한 자동차량 로케이션 시스템들을 지원할 수 있다. 제어 사이트에서 중앙 프로세서가 고장을 일으키는 경우에도 트렁크식 시스템 동작을 유지시킬 수 있도록, 고장 방지 구성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무선 유니트들 및/또는 중앙 사이트 사이에서 디지탈 데이타가 통신되어야 할 경우, 그것은 시스템을 통해 아날로그 음성 신호들과 유사한 방식으로 처리된다. 특히, 이와 같은 디지탈 데이타 통신은 기존의 오디오 통과 대역내에 수용된 비율로 수행될 것이고, 바람직한 음성 통신인 것처럼 트렁크될 것이다(즉, 전용 디지탈 데이타 통신 채널들이 전혀 요구되지 않는다). 디지탈 데이타 통신의 신뢰성을 증진시키기 위하여, 데이타 전송들(아날로그 음성 전송들도 포함)은 중앙 제어 사이트에 접속된 위성 수신기들을 채용하는 보우팅(voting) 시스템들내에서 보우트 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양호한 실시예에 있어서, 다음과 같은 유형의 디지탈 제어 신호 발생 메시지들이 활용된다.
Figure kpo00001
Figure kpo00002
양호한 실시예의 일반적인 특징들중의 일부와 기대되는 장점(효과)들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Figure kpo00003
Figure kpo00004
Figure kpo00005
양호한 실시예에 있어서, 어떤 기관이나, 플리트 또는 서브 플리트내의 유니트의 어드레스를 결정하는데 11비트가 이용될 수 있다. 특정 유니트의 개별적인 아이덴티티(즉, "논리 ID")를 결정하는 데에는 12비트가 이용될 수 있다. 어떤 기관이나, 플리트 또는 서브 플리트내의 그룹 어드레스들을 결정하기 위한 11비트의 사용은 각 기관이 각종 플리트 및 서브 플리트 구조를 가질 수 있도록 상당한 유연성을 제공한다. 더우기, 유니트 식별은 특정 플리트 및 서브 플리트 구조에 의해서 제한된다. 4096 유니트 식별 코드들은 서브 플리트들중에서 분할될 수 잇다.
본 발명의 일시예적 시스템의 일부 특징을 아래에 요약한다(그 순서가 중요성을 나타내는 것은 아니며, 제한되는 것도 아니다).
a) 재시도 윈도우 확대
요구된 동작 채널 할당이 달성되지 않으며, 그 요구는 자동적으로 재시도 된다. 이와 같은 재시도가 이루어지는 시간 윈도우는 앞서 성공치 못했던 재시도 수의 함수로서 증가된다. 이것은 평균 채널 액세스 시간을 현저히 저하시키는데, 여기서 요구 경합보다는 잡음이 실제적인 문제이다. 요구 경합 문제들을 위한 회복 기구도 물론 제공하고 있다.
b) 부가청 신호 발생의 보다 양호한 이용
채널 할당들을 확인하기 위해서만 부가청 신호 발생을 이용하기 보다는, 이와 같은 타당성 검사 기능을 현저히 간단화하고, 그래서 부가청 신호 발생 용량의 대부분이 다른 용도(예를들면, 우선 순위 스캔)에 자유로이 이용될 수 있도록 간단한 카운터 필드가 채용된다. 양호한 실시예에 있어서, 소정 채널에 대한 2비트 부가청 "카운트"필드는 그 채널의 새로운 동작 할당시마다 증분된다. 그래서, 무선 유니트가 이 필드내의 변경을 관측하면, 그것은 제어 채널로 즉시 드롭 백 하도록 프로그램된다.
c) 스캔 기능을 동적으로 변경시킴에 따른 우선 순위 코뮤니케 분열의 최소화
우선 순위 호출 개시 후, 무선 유니트는 복귀된 보다 고 우선 순위 호출을 탐색하기 위하여 일시적으로(예를들면, 약 2초 동안) 제어 채널상의 통상적인 다중 그룹 스캔을 디스에이블 한다. 이것은 진행중인 보다 저 우선 순위 코뮤니케내로 일시적으로 전환될 가능성을 저하시키고, 또한 다음의 보다 고 우선 순위 코뮤니케의 단편을 잃어버리게 될 가능성을 저하시킨다. 바로 직전에 포함된 호출 그룹에 대한 마찬가지의 일시적인(예를들면, 2초) 스캔 실행(우선 순위 호출들을 제외)은 비 우선 순위 코뮤니케들의 분열을 방지하는데 도움이 된다.
d) 채널 할당에 있어서 전송-트렁크된 비트이 사용
트렁킹 시스템은 2가지 트렁킹 모드를 갖는다.
a) 호출 유니트가 언키이 하자마자 동작 채널이 할당 해제되는 전송 트렁크식 모드.
b) 유니트의 언키잉 다음의 "n"초에 동작 채널이 할당 해제되거나, "n"초 이내에 다른 유니트가 그 채널상으로 키이하는 메시지 트렁크식 모드.
시간 "n"은 "행 타임(hang time)"이라고 불리운다. 피호출 및 호출 유니트들이 전송-트렁킹 모드가 유효함을 "인지"하고 있음을 동적으로 확실히 함으로써, 호출 유니트는 PTT 해제시 제어 채널로 즉시 복귀하고, 그래서 그 동작 채널은 제어 사이트로부터의 드롭 채널 신호 발생을 위해 즉시 자유롭게 된다. 피호출 유니트들도 동작 채널상에 전송하는 것이 적극적으로 방지될 수 있고, 그래서 동작 채널에 대한 무선 유니트들의 다중 키잉을 회피할 수 있다.
e) 즉각적으로 복귀된 호출들의 자동 어드레스 지정
피호출 및 호출 유니트들/그룹들은 초기 채널 할당 신호 발생시에 식별된다. 피호출 유니트는 호출 유니트 ID를 포착하고, 시스템이 전송 트렁크식 모드인 경우에는 방금 완료된 코뮤니케 후의 미리 결정된 기간(예를들면, 5초) 이내에 PTT 스위치가 해제되면 복귀 호출을 자동적으로 방금 호출한 무선 유니트로 어드레스 하도록 인에이블 된다. 이것은 필수적인 콜백 처리 과정을 간단화 할 뿐만 아니라 액세스 시간을 최소화 한다. 전송 트렁크식 모드의 보다 폭넓은 응용을 허용함으로써, 특히 좋지 않은 신호 발생 영역에서 성공적인 메시지 교환의 가능성을 증진시키기도 한다.
f) 9600bps 허용 "루스" 동기화
보다 높은 9600bps 신호 발생율의 사용은 간단한 "도팅(dotting)" 시퀸스에 의해 신속히 달성될 간략화된 비트 동기화를 허용한다(즉, '0'과 '1'의 교대 101010…). 그래서, 모든 채널에 걸쳐서 정밀하게 동기화된 정보 전달을 유지할 필요가 전혀 없다. 따라서, 하드웨어 요건 시스템폭을 감축시킬 뿐만 아니라, 제어 사이트에 고장 방지 구성을 보다 용이하게 한다.
g) 개선된 채널 드롭 신호 발생
드롭 채널 신호 발생은 간단한 신장된 도팅 시퀀스이다. 그러므로, 각 무선 유니트는 간단한 드롭 채널 신호 발생 및 채널 할당 확인을 동시에 탐색할 수 있다. 이것은, 제어 사이트가 보다 즉각적으로 재할당을 위한 소정 동작 채널 이용 가능성을 고려할 수 있고, 만일 "로드 업"되어 있다면, 드롭 채널 신호 발생을 즉각적으로 인터럽트 하여 동작 채널상에 새로운 채널 할당 확인 신호들을 발생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개개의 무선 유니트는 그것에 적절히 어드레스 되지 않으면 무시할 것이다). 그 결과, "로드"된 시스템(즉, 기존의 채널 요구들이 이미 대기중인 시스템)은 단지 약 100msec 이내에 동작 채널을 드롭시킬 수 있고, 그것을 즉시 대기된 요구된 재할당 할 수 있다. 드롭되는 호출에 대한 사후 엔트리를 발생하는 무선 유니트들은 드롭 채널 신호 발생 및 채널 할당 확인 신호 발생을 동시에 탐색할 수 있는 능력 때문에 그 사실을 검출하여 그 채널로부터 적절히 드롭할 수 있다.
h) 특징 프로그래밍
공장이나 공급자에 의한 성가신 특징 프로그래밍(특징들을 부가하기 위한 재 프로그래밍도 포함)을 회피하기 위하여, 최종 사용자가 모든 이와 같은 "프로그래밍"을 안전하게 수행할 수 있게 하는 신규의 처리 과정이 채용된다. 모든 유니트는 공장에서 모든 가능한 기능을 수행하도록 프로그램된다. 기능 인에이블 비트맵과 독특한 실제 ID는 공장에서 함께 인크립트 되어 "프로그램 코드"로서 사용자에게 제공된다. 사용자가 각 디바이스를 프로그램 할때, 그것의 인크립된 "프로그램 코드"들은 무선 프로그래머로 입력되고, 이것은 계속해서 접속된 무선 유니트내에 특징 인에이블 비트 맵과, 디코드된 실제 ID 및 "방금 프로그램된"비트를 적절히 설정한다. "방금 프로그램된" 무선 디바이스는 명백한 실제 ID를 근거로 하여 중앙 제어기내에 논리 ID에 대한 요구를 로그한다. 기능 인에이블 프로그램 코드의 불법 복사가 발생하면, 동일한 논리 ID가 할당될 것이고, 트렁크식 중계기 시스템의 무선의 이용성이 소멸될 것이다.
i) 이중 채널 할당 핸드 세이크-하나는 할당된 동작 채널상에서 이루어짐
최초의 9600bps 채널 할당 신호 발생 교환은 제어 채널상에 이루어진다. 그러나, 확인(즉, 제2핸드 세이크)은 할당된 동작 채널상에 이루어진다. 그래서, 중앙 제어가 할당된 동작 채널상에서 피호출 유니트들을 언뮤트(unmute) 하기 전에 적합한 채널이 성공적으로 할당 및 고정되었음이 확실시 된다. 신호 발생은, 채널 조건이 음성에 대해 부적합한 경우, 핸드 세이크가 떨어지고, 그래서 호출이 자동적으로 종료하도록 이루어진다.
본 발명은 첨부 도면을 참조로 한 이하의 양호한 실시예에 대한 설명으로부터 보다 명백히 이해될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트렁크식 무선 중계기 시스템의 일반적인 구성이 제1도에 도시되어 있다. 여기서, 각종 그룹의 개개의 유니트는 트렁크식 중계기 제어 사이트(100)에 설치된 공유 무선 중계기 채널들을 통해 서로(각자의 그룹 내부는 물론 외부와도) 통신한다. 디스패치 콘솔(102)은 중계기국 사이트(104)에 직접 하우스 될 수도 있고, 통상적인 다른 무선 설비(106)들을 통해 원격에 설치될 수도 있다. 복수의 디스패치 콘솔(102)(예를들면, 별개의 각 플리트에 대해 하나씩)이 있을 수 있고, 전체 시스템을 위한 마스터 또는 감독 디스패치 콘솔이 있을 수 있다.
제2도는 중앙 사이트(100)가 하나 이상의 위성 수신기 사이트(100-1)와 함께 보다 상세히 도시되어 있다. 위성 수신기 사이트들은, 선택된 안테나측의 어느 한쪽에서 무선 수신이 일시적으로 양호해질 수 있도록, 중앙 사이트(100)로부터 공간적으로 배치된다. 그래서, 위성측들은 물론 중앙 사이트들로부터 수신된 신호들은 제어 또는 통신 처리를 위해 가장 이용가능한 신호를 선택하도록 "보우터" 회로망내에서 조합된다.
중앙 사이트에서는, 송신 안네타(200)와 수신 안테나(202)(이들은 때로는 공통 안테나 구조일 수도 있다)가 통상의 신호 조합/분리 회로(204),(206)와 함께 활용될 수 있다. 송신 및 수신 RF 안테나 회로망(200)-(206)은 그래서 복수의 RF 중계기 "국(station)"(300),(302),(304),(306)등 내에 포함된 복수의 이중 RF 채널 송신/수신 회로들을 개별적으로 서비스할 수 있다. 통상, 20개의 이와 같은 국이 있을 수 있다. 각 국의 송신기 및 수신기 회로망은 통상 전용 제어반 CS(예를들면, 마이크로프로세서 의존식 제어 회로)에 의해 제어된다. 각 국과 관련된 이와 같은 제어반 로직 회로들은, 계속해서, 트렁킹 카드 TC(예를들면, 마이크로프로세서 의존형 로직 제어 회로)(400),(402),(404) 및 (406)에 의해 제어된다. 모든 트렁킹카드(400)-(406)는 제어 데이타 버스(412)를 통해 서로 및/또는 주 사이트 제어기(410)와 통신한다. 주 사이트 제어기(바람직한 경우에는 선택적인 백업 제어기들도 포함)는 상용 가능한 범용 프로세서(예를들면, 18MHz-J11 칩 세트를 갖는 PDP 11/73 프로세서)이다. 비록 전체 시스템을 위한 주 "정보 인식" 및 제어능력이 제어기(410)내에 존재하지만, 다른 백업 또는 "고장 방지" 제어 기능들도 트렁킹 카드(400)-(406)내에 조합될 수 있다. 이들은 제어기(410)의 오동작시에도 지속적인 트렁크식 중계기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보다 상세한 고장 반전 특징들은 본 출원인에 의해 출원된 미합중국 특허출원 제057,046호, "Fail Safe Architecture for Public Trunking System" 참조).
선택적인 전화 인터콘넥트(414)가 또한 공중 교환식 전화 회로망 즉, 공중 전화망에 제공될 수 있다. 통상, 시스템 관리기 터미널, 프린터 등(416)이 또한 전체 시스템 관리 및 제어를 위해(하나 이상의 디스패쳐 콘솔(102)과 함께) 제공된다. 특수 시험 및 경보 설비(418)를 제공하는 것도 바람직하다.
신호 "보우터" 호로(502),(504),(506) 및 (508)들은 복수의 입력 디지탈 또는 아날로그 신호를 수신하여 그들로부터 가장 강도 있는 또는 가장 신뢰적인 한 입력 신호를 선택적으로 출력하도록 접속된다. 그래서, 중앙 사이트(100)로부터 수신된 신호들은 각 채널 보우터 회로(502)-(508)에 입력되고, 추가의 유사한 입력 신호들이 위성 수신기측(100-1)내의 수신기들로부터 발생되어 마찬가지로 각 보우터 회로에 입력된다. 보우팅 처리의 결과들은 트렁킹 카드 회로(400)-(406)들로 다시 전달되어, 거기서 유효하게 "수신된"신호로서 더욱 처리된다.
제어 데이타 통신을 위한 중앙 사이트 구성이 제3도에 보다 상세히 도시되어 있다. 여기서, PDP 11/73 제어기(410)는 19.2KB 링크(412)를 통해 개개의 채널내의 각 이중 중계기 회로를 제어하는 최대 25트렁킹 제어 카드 TC와 통신한다. 디스패치 콘솔(102)로/로부터의 다운 링크를 지원하는 하드웨어와 통신하기 위하여 또다른 고속 19.2KB 링크(420)가 사용된다. 중앙 처리기(410)와의 다른 데이타 통신은 제3도에 도시된 9600 보오드 링크들을 통해 이루어진다. 중앙 처리기(410)는, 예를들면, 128K 바이트 코드 PROM, 1M 바이트의 RAM 및 32HV-11/J 호환 RS-232C 포트들을 포함할 수 있다. 그것은 허용 가능한 실시간 기준으로 모든 각종 데이타 통신들을 관리하기 위한 멀티-태스킹, 사상 구동식 오퍼레이팅 시스템을 제공하도록 마이크로 파워 파스칼을 이용해서 프로그램 된다.
제어된 각 중계기 채널에서, 19.2KB 데이타 버스(412)(바람직한 경우, 선택적인 백업 제어기로부터의 것도 포함)는 TC 모듈내의 8031 프로세서에 의해 감시된다. TC 트렁킹 제어 모듈은 제4도에 도시된 오디오, 신호 발생 및 제어 버스들과 함께 그것과 관련된 중계기의 제어반 CS를 통해 제어를 시험하고, 클럭동기화 및 "고장 완화" 지시를 제공하는 하드 결합된 입력들을 수신한다(예를들면, 고장 완화 지시는 중앙제어기(410)에 의한 정상적인 제어가 이용 불가능하고, 각 트렁킹 제어 모듈 TC내에서 다른 분산식 제어 알고리즘이 실행되어야 함을 지시한다).
실시예적 시스템내에 사용하기에 적합한 이동/포터블 무선 유니트의 일반적인 구성도 또한 제5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마이크로프로세서 의존형이다. 여기서, 마이크로프로세서(550)에는, 무선 유니트 디스플레이, 키이 패드, 푸시-투-토크 스위치, 그리고 스피커에 기본 아날로그 오디오 출력을 제공하고 마이크로폰으로부터 아날로그 오디오 입력들을 수신하는 오디오 회로(556)들과의 인터페이스를 위한 적당한 메모리(552) 및 입/출력 회로(554)들이 제공된다. 디지탈 인터페이스로서의 모뎀(558)을 통한 보조 제어(예를들면, 음성 인크립션, 차량 로케이션 또는 기타 유형의 디지탈 토이신 서브 시스템 등)도 제공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물론, I/O 회로(554)들은 RF 수신기(560) 및 송신기(562) 및 송신기(562)를 통한 적당한 프로그램식 제어를 허용하는데, 이것은 통상의 신호 결합기(564)를 거쳐 공통 안테나(566)를 통한 양방향의 완전히 이중화된 통신을 허용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복잡한 시스템의 모든 유니트 및 서브 유니트에 관한 보다 상세한 설명은 필연적으로 상당히 방대하고 복잡할 것이다. 그러나, 이 분야에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들이라면 일반적으로 RF 송신기 및 수신기 회로, 프로그램식 범용 컴퓨터 제어기 등을 갖는 디지탈 제어 트렁크식 중계기 시스템들과는 이미 친숙하기 때문에, 매우 상세한 설명은 불필요할 것으로 여겨진다. 대신에, 본 발명을 구성하는 주제만을 명백히 해야 할 것이다. 따라서, 이 설명의 나머지는 시스템내에서의 호출 개시 및 종료를 위해 활용되는 신호발생 프로토콜에 집중될 것이다. 왜냐하면, 이것이 현저한 개선(신뢰성 및 속도면에 있어서)을 구성하는 것이라고 여겨지기 때문이다.
호출 배정은, 호출 유니트가 전용 제어 채널을 통해 중앙 사이트로 특정 디지탈 채널 요구 신호를 전송함에 따라서, 시작한다. 이에 응답하여, 중앙 사이트는 특정 디지탈 채널 할당 신호를 제어 채널을 통해 아웃바운드로 전송한다. 그러면, 호출 유니트는 이에 응답하여 할당된 동작 채널로 즉시 절환하고, 이에 중앙사이트는 할당 확인 메시지(고속 디지탈 형태)를 보낸다. 호출 유니트가 동작 채널상의 확인 신호들을 수신하면, 중앙 사이트가 동작 채널상에서 요구된 통신 세션을 시작하기 위해 피호출 유니트들을 해제하기 전에, 제2핸드 세이크를 완수하기 위한 동작 채널을 통해(즉, 제1의 것은 제어 채널상에서 이루어지고, 이번의 것은 동작 채널상에서 이루어진다) 중앙 사이트로 허가 응답을 보낸다. 그 대신, 이 처리중에 호출 유니트가 그것에 어드레스된 제어 채널상에서 채널 갱신 메시지를 수신하면, 채널 요구 호출은 일시적으로 보류되고(그러나, 비상 또는 보다 고 우선 순위 요구는 채널 요구를 진행한다), 호출 유니트는 유입 호출을 수신하도록 피호출 상태로 복귀한다. 만일 호출 유니트가 어떠한 응답도 수신하지 못하면(또는 부적절하게 완수된 응답 핸드 세이크 시퀀스의 경우), 호출 요구를 성공시키기 위한 재시도(최대 8회까지)전에 랜덤 기간동안 자동적으로 대기한다.
피호출 유니트는 시초에 스탠바이 구성으로 존재하고, 중앙 제어 사이트로부터의 아웃 바운드 제어 채널상에 나타나는 디지탈 메시지들을 지속적으로 감시한다. 피호출측(피호출 그룹중의 하나일 것임)으로서 어드레스된 채널 할당 메시지를 검출하면, 피호출 유니트는 즉시 동작을 할당된 동작 채널상으로 절환한다. 거기서, 또한 중앙 사이트으로부터 동작 채널상의 아웃 바운드 확인 신호들을 검출하고, 성공적으로 확인되면, 동작 채널상에서 해제 또는 비 스켈치 신호를 기다린다(예를들면, 동작 채널상에서 호출 유니트와의 핸드 세이크의 성공적인 단수에 응답하여 중앙 사이트로부터 전송됨). 피호출 유니트는 또한 채널 갱신 메시지를 수신할 수도 있다. 이것은 단지 피호출 유니트가 정확한 채널상에서 이미 동작하고 있음을 확인하는 것이다.
호출 유니트에 대한 프로그래밈이 일반적으로 제6도의 흐름선도에 도시되어 있다. 여기서, 호출 모드로의 엔트리시, 스텝(600)에서 호출 요구가 제어 채널 CC상에 전달된다. 스탭(602)에서 호출 대기를 위한 검사가 이루어진다. 대기되면, 전달은 루프(603)를 대기하도록 이루어진다. 스텝(604)에서 검출된 할당에 대한 시험 후에 스텝(606)에서 30초 타이머의 경과에 대한 시험이 이루어진다. 제어는 수동 요건으로 효과적으로 다시 전달되어 출구(607)를 통해 호출 처리를 재개한다).
호출 요구가 대기되지 않으면, 스텝(608)에서 특정 유니트가 피호출측으로서 이미 요구된 적이 있었는지의 여부를 시험한다. 만일 그렇다면, 스텝(610)에서 동작의 피호출 모드로 진행한다. 기대된 시간에 수신되지 않으면, 랜덤 대기가 스텝(614)에 삽입되고, 그후 스텝(616)에서 이 특정 호출을 완수하기 위해 8번의 시트가 이루어졌는지의 여부가 시험된다. 만일 그렇다면, 서브 루틴은 스텝(618)에서 배출된다. 그렇지 않다면, 서브 루틴은 스텝(600)에 재입력된다.
스텝(612)나 (604)에서 채널 할당이 성공적으로 검출되면, 스텝(620)에서 유니트 동작은 즉시 할당된 동작 채널로 절환되고, 스텝(622)에서 제2의 성공적인 핸드 세이크(확인된 신호 발생)에 대한 시험이 이루어진다. 동작 채널상에서 비성공적으로 확인되면, 배출이 이루어지고, 호출이 종료된다. 그런데, 제2핸드 세이크(예를들면, 동작 채널상의 핸드 세이크)가 성공적으로 확인되고 완수되면, 스텝(624)에서 호출 유니트는 신장된 시퀀스의 도팅(dotting)(예를들면, 성공적인 제2핸드 세이크를 나타냄)을 전송하고, 다음에 스텝(626)에서 할당된 동작 채널을 통해 음성의 전송(또는 디지탈 통신 세션이 요구된 경우에는 데이타의 전송)이 이루어지며, 스텝(628)에서 서브 루틴이 배출된다(예를들면, 스텝(627)에서 PTT 스위치의 해제를 탐색하고 언키이드 신호를 전송하는 표준 감시 루틴으로).
피호출 유니트 다음의 프로토콜이 일반적으로 제7도에 도시되어 있다(예를들면, 이 동작 모드로 유니트를 제어하는데 적당한 컴퓨터 프로그램을 나타냄).
엔트리시, 스텝(700)에서 "양호한"메시지(예를들면, 특정 유니트에 어드레스된 것)에 대하여 제어 채널이 간단히 감시된다. 이와 같은 메시지가 검출되면, 스텝(702)에서 메시지의 "갱신" 유형에 대한 검사가 이루어진다. 메시지가 이 유형이면, 스텝(704)에서 그것이 약 1.0초 이내에 반복되었는지의 여부가 검사된다. 그렇지 않으면, 피호출 모드로의 재엔트리가 이루어진다. 그런데, 보다 고 우선 순위 유입 호출의 갱신이 이와 같은 기간내에 반복되면, 스텝(106)에서 할당된 동작 채널로의 즉각적인 절환이 이루어진다. 스텝(707)에서 신호 발생이 확인되지 않으면, 비 스켈칭(스텝 716)으로의 즉각적인 절환이 이루어지고, 그후 그 채널이 감시된다.
반면에, 스텝(707)에서 신호 발생 확인이 이루어지면, 그것은 정상 채널 할당이 실제로 이루어지고 있고, 제어가 언뮤트(unmute) 메시지를 탐색하기 위해 블럭(714)으로 전달된다는 것을 나타낸다.
스텝(702)에서 어떠한 채널 갱신 메시지도 검출되지 않으면, 스텝(708)에서 그 메시지는 그것이 채널 할당이었는지의 여부에 대해 검사된다. 그렇지 않으면, 서브 루틴의 시초로 복귀된다. 그러나, 만일 적절한 채널 할당이 수신되었다면, 스텝(710)에서 할당된 동작 채널로의 절환이 이루어지고, 스텝(712)에서 동작 채널상의 적절한 확인 신호 발생에 대한 검사가 이루어진다. 스텝(714)에서 할당된 그 동작 채널상에 적절한 언뮤팅 메시지가 그후 또한 수신되면, 스텝(716)에서 피호출 유니트는 비 스켈칭한다. 스텝(714)에서 언뮤팅 메시지가 전혀 수신되지 않으면, 스텝(718)에서 드롭 메시지에 대한 검사가 이루어진다. 동작 채널상에 드롭 메시지는 전혀 없고 고속 신호 발생만이 여전히 존재하고 있는 경우(스텝(720)에서 검출된 바와 같이), 스텝(714)에서 언뮤트 메시지에 대한 추가적인 검사가 이루어진다. 그러나, 스텝(720)에서 드롭 메시지도 전혀 없고, 고속 신호 발생도 중지되었다면, 스텝(716)에서 피호출 유니트는 비 스켈치 된다.
소정 오디오 호출의 말미에서, 호출 무선 송신기는 제8도에 그래프적으로 도시된 바와 같은 특수 해제 PTT 신호를 전송한다. 적당한 전송 및 검출 지연 기간후에, 할당된 동작 채널은 그 동작 채널상으로 드롭 채널 신호를 전송함으로써 응답한다. 제8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 결과로서, 해제 PTT 신호가 개시된후 단지 167msec 내에 동작 채널이 이용 가능하게 된다.
호출 프로토콜 신호들에 대한 대표적인 타이밍이 제9도에 그래프적으로 도시되어 있는 바, 여기서 약 290msec 이내에 통상적인 호출 프로토콜이 달성될 수 있고 소정 동작 채널을 통해 통신이 개시됨을 알 수 있다.
이부 상관 메시지 포맷(기타 상관 신호 발생 포맷 및 프로토콜을 포함)의 비트-레벨 맵이 제10도에 그래프적으로 도시되어 있다. 제어 채널은 제10도에 도시된 포맷(100)을 반복하는 아웃 바운드 연속 전송을 전달한다. 잘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각 40비트 메시지가 3번(모든 '0'가 '1'들로 변경되고, 또 그 역으로 변경되는 반전 전달 1회를 포함) 전달되고, 순환 메시지 시간 "슬로트"당 이와 같은 메시지들이 2번 전달된다. 선택적인 도팅 서문(사용되는 경우)은 수신 유니트들에 의한 지속적인 비트 동기화를 확실히 하고, 특유의 바커(Barker) 코드는, 뒤따르는 40비트 레벨 메시지 사이의 비트 경계들을 규정하도록, 프레임 동기화를 허용한다. 제어 채널은 이러한 메시지 슬로트들을 연속적으로 전달하기 때문에, 도팅 서문은 전혀 필요없지만, 워드 프레임 바커 코드의 전달은 각 순환 전송 사이클에 대해 한번이면 충분할 것이다. 물론, 바람직하다면, 지속적인 비트 동기화를 더욱 보장하기 위하여 비교적 짧은 도팅 서문이 사용될 수도 있다.
제어 채널 CC상의 인 바운드 메시지들은 제10도에 도시된 포맷(802)이고, 예를들면, 호출 유니트로부터 전달된 그룹/개별 할당 요구들을 구비할 수 있다. 여기서, 도팅 서문은 상당히 길고, 워드 프레임 바커 코드는, 40비트 메시지(3중 여유분과 함께)가 전달되기 전에 중앙 사이트에서의 수신 회로들이 적절히 동기화 되도록 3번 반복된다. 바람직하게는, 동기적으로 시간 "슬로트된" 유입 제어 채널 메시지들-제어 채널의 인 바운드 부분상의 메시지들이 중앙 사이트로부터 제어 채널상으로 출력하는 메시지들(제10도에서 점선으로 표시됨)과 동일한 시간 슬로트 동안에 발생함을 의미함-을 형성하도록 적당한 전달 타이밍 회로들이 활용된다.
그룹 호출 요구 메시지 포맷은 제10도에서 확장된 스케일로 도시되어 있다. 그것은 2비트 메시지 유형(MT) 코드를 포함한다(메시지 유형 필드는 추가의 비트들을 포함하도록 트리-로직(tree-logic) 형식으로 확장될 수 있다). 그래서, 이 MT-A 필드는, 예를들면, 개별 호출로부터 그룹 호출을 구별한다. 2비트를 포함하는 통신 필드 유형은 요구되는 동신 세션의 유형을 나타낸다(바람직하게는, 최고 우선 순위 비상 호출이 요구되고 있음을 나타내기 위해 1비트이 우선 순위 필드가 사용될 수도 있다). 11비트의 피호출 식별코드(그룹이나 개별 유니트를 나타냄) 다음에는 호출 유니트의 아이덴티티를 나타내는 12비트 필드("논리 ID"가 뒤따른다. 40비트 메시지의 마지막에는 에러 검출 및 정정을 위한 12비트의 표준 BCH 코드가 존재한다.
복귀 채널 할당 메시지는 실제로 제10도에 확장된 스케일로 도시된 바와 같은 포맷을 갖고 있는 2 메시지 쌍을 구비한다. 처음의 2비트는 메시지 유형(MT)을 식별하고, 다음의 2비트는 발생될 통신 세션의 유형을 식별한다. 다음에, 호출 유니트의 아이덴티티가 6디지트 필드에 의해 표현된다(예를들면, 최상위 6비트는 2메시지쌍중 한 메시지로 전달되고, 최하위 6비트는 그러한 메시지들의 다른 메시지로 전달된다). 다음의 1비트 필드는 그룹 호출이나 개별 호출이 포함되어 있는지의 여부를 식별하고, 할당된 동작 채널은 그 다음의 5비트에 의해 식별된다. 피호출 유니트(들)의 그룹 또는 개별 아이덴티티는 그 다음의 12비트내에 포함되고, 그 다음에 12비트의 BCH 에러 검출/정정 코드가 뒤따른다.
일단 동작이 할당된 동작 채널로 복귀하면, 중앙 사이트는 포맷(804)의 확인 메시지를 동작 채널을 통해 아웃 바운드로 전달한다. 그것은, 길이가 동작 채널상에서 32비트로 감출된 것을 제외하고는, 제어 채널 CC상의 연속적인 전달들과 같은 일반적인 형태의 것이다. 다시한번, 그 메시지가 3중 여유분(하나는 반전됨)과 함께 전달된다. 바람직하게는, 제어 채널상에 전다뢰는 메시지들과 동일한 시간 슬로트 이내가 되도록 동작 채널내에서 확인 메시지가 타임된다. 32비트 확인 메시지의 포맷도 또한 제10도의 (806)에 확장된 형태로 도시되어 있다. 여기서, 4비트는 메시지 유형 코드로 전용되고, 추가의 2비트는 저속 부가청 디지탈 데이타(이것은 동작 채널상에 연속적으로 나타나고, 그 동작 채널에 존재하는 유니트들에 의해 감시될 것이다)를 프레임 하거나 디코드 하는데 유용한 부가청 프레임 카운트를 제공한다. 1비트는 또한 전송 트렁크되거나 메시지 트렁크 되어 통신 세션을 식별하는데 전용된다. 확인 메시지(806)의 다른 1비트는 그룹 또는 개별 유니트의 호출을 식별하고, 피호출 그룹 또는 개별 유니트의 식별은 그 다음의 12비트내에 포함된다. 확인 메시지(806)의 마지막 12비트는 BCH 에러 검출/정정 코드이다.
제2핸드 세이크(즉, 동작 채널상에서의)가 일단 성공적으로 완수되면, 호출 유니트는 제10도에 마찬가지로 도시된 바와 같이 오디오가 뒤따르게 되는 384비트의 도팅을 전달한다(요구된 오디오 통신 세션의 경우).
동작 채널상에서 호출 유니트에 의해 전달되는 신장된 도트 시퀀스는 성공적인 핸드 세이크 시퀀스의 허가로 이루어지고, 그에 대한 응답으로서, 중앙 사이트는 동작 채널상에 피호출 유니트(들)를 긍정적으로 언뮤트하기 위한 아웃 바운드 디지탈 메시지를 전달한다. 이와 같은 언뮤트 메시지의 포맷(808)이 제10도에 도시되어 있다. 다시한번, 메시지 유형 코드는 최초 4비트를 이용하고, 부가청 프레임 카운트는 다음의 2비트로 구성된다. 다음 비트는 트렁크된 스테이터스 또는 비트렁크된 스테이터스(예를들면, 정규적인 행 타임)를 지시하는데, 이것은 다른 선택적 목적을 위해 사용될 수도 있다. 언뮤트 되는 유니트(들)의 아이덴티티는 다음의 12비트로 설정되고, 그 다음의 12비트는 표준 BCH 에러 검출/정정 코드를 나타낸다.
동작 채널상에서의 통신 세션의 말미에, 호출 유니트는 다시 384비트의 도팅과, 그 다음의 각기 128비트로 이루어진 4데이타 블럭을 전달한다. 이와 같은 각 데이타 블럭은 8비트 바이트가 뒤따르는 서문으로서 16도팅 비트와 16비트 바커 코드(그중 일부는 비트는 "필러(filler)"일 수 있다)를 포함하고, 그 각각은 3중 여유분(하나는 반전된 것임)과 함께 전달되며, 동작 채널상에서 전달되는 디지탈 메시지들의 32비트 메시지 특성을 구성한다. 32비트 언키이(unkey) 메시지 포맷(810)이 또한 제10도에 도시되어 있다. 여기서, 4비트 메시지 유형 코드 다음에 사용되지 않는 2비트와 블럭 카운트를 위한 2비트가 뒤따른다. 호출 유니트의 아이덴티티는 그 다음의 12비트내에 설정되고, 그 다음의 12비트는 표준 BCH 에러 검출/정정 코드이다.
마지막으로, 중앙 사이트에서 동작 채널상의 언키이 메시지를 수신함에 응답하여, 초신장된 도팅 시퀀스(예를들면, 896 내지 2816비트)의 동작 채널상의 아웃 바운드 메시지가 제10도에서 (8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앙 사이트로부터 전달되고, 이에 응답하여, 그 채널상의 모든 유니트는 그 특정 동작 채널로부터 드롭하고, 유효 제어 채널로 복귀한다.
대표적인 호출 발생/종료 시퀀스 동안에 중앙 사이트 제어기, 호출 유니트 및 피호출 유니트(들)에서 발생하는 프로그램된 이벤트(event)들의 시퀀스가 제11도의 흐름선도에 도시되어 있다.
프로그램된 각 유니트는 정적인 제어 채널(CC) 감시기 루틴을 갖는데, 여기서 모든 유니트와 중앙 사이트 제어기는 정적인 상태로 존재한다. 스텝(1100)에서 호출 유니트가 CC 감시기로부터 호출 서브 루틴을 입력하면, 스텝(1102)에서 이 호출 시도가 재시도인지의 여부에 대한 시험이 이루어진다. 그렇지 않으면, 스텝(1106)에서 재시도 카운터가 최대 내용인 8로 설정되고, 스텝(1108)(이 스텝은 재시도가 처리중인지에 대한 시험이 이루어지는 스텝(1102)에서 직접 추출된다)에서 1씩 감소된다. 스텝(1110)에서 시험되듯이 재시도 카운터가 0까지 감소되었다면, 스텝(1112)에서 고장 획득 가청 비프(beep)가 발생되고 CC 감시기로 되돌아간다. 반면에, 재시도의 최대 수치가 아직 이루어지지 않았다면, 스텝(1114)에서 채널 할당 요구가 제어 채널상에 슬로트 동기화(예를들면, 시간 t1에서)를 위해 전달된다. 인 바운드 메시지의 검출시, 중앙 사이트 제어기는 채널 할당 요구를 수신 및 기억하고 스텝(1200)에서 자유로운 동작 채널을 할당한다. 실시예적 시스템에 있어서, 인 바운드 요구에 대한 응답은 미리 결정된 지연내에 공급될 수 있다. 스텝(1204)(시간 t2)에서는 아웃 바운드 채널 할당 메시지들(즉, 메시지쌍)이 가능한한 빨리 제어 채널상에 전달된다. 스텝(118)에서는 제어 채널로부터 2메시지 채널 할당쌍이 수신되어 호출 유니트내에 기억된다(이 유니트는 최대 수치의 슬로트에 달할때까지 메시지를 탐색할 것이다). 2메시지쌍중의 어느 하나의 메시지가 성공적으로 수신되면, 이것은 충분할 것이다. 전술한 바와 같이, 그동안에 채널 갱신이 수신되면, 피호출 상태로 되돌아가게 된다(그 호출은 비상이 아닌 것으로 가정한다). 스텝(1120)에서의 시험 결과 유효 채널 메시지가 수신되지 않았고 최대 수치의 슬로트가 관측되었다면, 스텝(1122)에서 적당한 지연이 로드되고, 진행은 CC 감시기로 되돌아 간다(여기서부터 호출 서브 루틴에 대한 복귀 엔트리가 곧 수행될 것이다).
재시도 이전에 적당한 지연을 로드하는 처리는 의식적으로 제어되는 방식으로 재시도 윈도우의 진보적인 "확대"라고 생각될 수 있다. 무선으로부터의 인 바운드 데이타 메시지가 응답을 얻지 못하게 되는 이유는 3가지가 있다. 즉 (1) 인 바운드 메시지가 충분히 검출되지 않았거나, (2) 아웃 바운드 메시지가 충분히 검출되지 안았거나, (3) 경합(동일한 인 바운드 제어 채널 슬로트상에서 하나의 요구내에 2 이상의 이동 무선이 전달된 경우)이 발생했기 때문이다.
경합이 발생했거나, 그렇지 않으면 이동 무선 유니트들이 그들의 요구들을 랜덤하게 재전송 하는 경우, 경합들이 계속해서 발생할 것이다. 이에 따라, 무선 유니트가 인 바운드 메시지에 대한 응답 수신을 실패하면, 그것은 자신의 요구를 다시 전달하기 위해 "랜덤"한 기간의 시간을 대기한다. 그런데, (1)이나 (2)의 경우가 발생되면, 실제로 재시도를 랜덤화할 이유가 전혀 없다. 불행히도, 그 무선 유니트는 응답 실패의 원인을 결정할 수 없다.
그러나, 이동 무선 유니트가 재전송을 위해 대기하는 시간이 길면 길수록, 조악한 신호 발생들 영역에서는 평균 액세스 시간이 길어지게 된다. 왜냐하면, 여기서 대부분의 재시도가 발생하기 때문이다. 손실된 응답의 원인으로 되는 것은 종종 경합이 아니라 잡음이기 때문에, 랜덤화 하는 재시도들은 종종 낭비적이다.
이 문제를 바로 잡기 위하여, 본 발명은 어떤 정정 동작을 취한다. 첫째, 비채널 획득 메시지가 채널 요구 메시지들보다 훨씬 느린 재시도율을 갖게 된다. 전자에 대한 액세스 시간은 정밀하지 않다(반면에, 후자는 정밀하다). 그래서, 비채널 요구 메시지로 전달하는 무선과 채널 요구 메시지로 전달하는 무선 사이에서 경합이 발생하면, 전자의 재시도율은 다음의 재시도에서 후자와의 경합이 전혀 발생하지 않도록 보장하기에 충분할 만큼 늦어질 것이다.
둘째, 랜덤한 재시도율은 재시도수에 따라 변화한다. 재시도 알고리즘(채널 획득 메시지만에 대하여)은 연속하는 각 재시도로 재시도 윈도우를 확대한다. 이것은 잡음 존재시에 있어서의 평균 액세스 시간을 감소시키기는 하지만, 응답 손실의 원인 경합인 경우에 여전히 회복 기구를 제공한다.
양호한 실시예는 다음의 간단한 루울을 이용한다.
1차 재시도 2 슬로트 랜덤 가변성
2차 재시도 4 슬로트 랜덤 가변성
그 이후의 재시도들 8 슬로트 랜덤 가변성
보다 효율성을 얻기 위하여 수신된 비트 에러율의 함수로서 재시도 윈도우 폭을 변경시키는 것도 가능하다.
스텝(1120)에서의 시험 결과로서 유효 동작 채널 할당이 수신되었다면, 스텝(1124)에서 호출 유니트는 할당된 동작 채널로 즉시 절환하고, 스텝(1126)에서 동작 채널을 통해 적절한 확인 메시지를 수신하도록 대기한다. 이 확인 메시지는 스텝(1206)에서, 즉 시간 t3에서 중앙 사이트 제어기에 의해 전달된다. 확인 메시지가 스텝(1128)에서의 시험 결과인 드롭 메시지에 의해 중첩되거나, 또는 스텝(1130)에서의 프리세트 타이머의 타임 아웃에 의해 중첩되면, 스텝(1132)에서 호출 유니트는 동작 채널상에 384비트의 도팅을 전달하기 시작하고, 그 다음에 스텝(1134)에서 음성 전송(또는, 다른 적당한 통신 세션)을 시작한다.
다시 중앙 사이트 제어기로 되돌아가서, 스텝(1208)에서 동작 채널상의 신장된 기간의 허가 도팅에 대한 검사가 이루어진다. 그것이 수신되지 않으면, 배출이 이루어진다. 그러나, 적절히 수신되면, 스텝(1210)에서 동작 채널상에 2 유니트 키이드/언뮤트 메시지가 아웃 바운드로 전달된다.
상기한 모든 것이 발생한 동안, 피호출 유니트는 스텝(1300)에 설명된 바와 같이 시간 t2(호출 유니트와 거의 동시)에서 제어 채널로부터 2 메시지 채널 할당쌍을 수신하여 기억한다(2 메시지쌍중에서 어느 한 메시지만 보이면 충분하다). 이에 대한 응답으로, 피호출 유니트는 스텝(1302)에서 할당된 동작 채널로 절환되고, 스텝(1304)(시간 t3)에서 그 동작 채널상의 적절한 확인에 대하여 할당된 동작 채널을 감시한다. 적절한 확인 메시지가 수신된 경우에만, 피호출 유니트는 시간 t3에서 중앙 사이트 제어기로부터 동작 채널상에 전달된 언뮤트 메시지를 수신하고, 이에 응답하여, 스텝(1306)에서는 동작 채널에 대해 피호출 유니트의 수신기를 언뮤트 한다.
할당된 동작 채널상에서 호출 및 피호출 유니트(들)간의 통신 세션이 계속되는 동안, 중앙 사이트 제어기는(TC들을 거쳐) 스텝(1212)에서 모든 유니트에 대하여 모든 동작 채널상으로 부가청 신 채널 할당(및 드롭) 데이타를 계속해서 전달한다. 중앙 사이트 제어기는 또한 스텝(1214)에서(적절한 TC를 거쳐) 제어 채널상에 주기적으로 채널 갱신 메시지들을 계속 전달한다(예들들면, 사후 엔트리들이 적절한 동작 채널로 즉시 들어갈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중앙 사이트 제어기는 모든 Tc에 대해 채널 할당 및 드롭들을 통지하고, 이에 대한 응답으로서, 각 TC는 그것의 채널에 대해 적당한 부가청 신호를 발생시킨다.
기존의 시스템들에서는 이동 무선 유니트들에 의한 타당성 검사로부터 부가청 신호 발생이 통상 이용된다. 어떤 이동 무선 유니트가 동작 채널상에 있을때, 그것은 그것이 그 채널을 소유하고 있음을 확실히 하기 위하여 부가청 신호 발생을 감시한다. 어떤 무선 유니트가 그것이 소유하고 있지 않은 채널상으로 할당되는 최소한 2가지의 이유가 있다.
1) 동작 채널상의 코뮤니케내에 정확히 존재하는 경우, 채널 드롭을 나타내고 재할당되는 것을 실패한다.
2) 제어 채널을 감시하면서, 메시지를 부정확하게 디코드하고 부정확한 채널로 된다.
문제 (1)은 채널상의 모든 유니트에 2비트 부가청 카운트를 제공함으로써 해결된다. 한 채널상에 하나의 호출이 배치될때마다, 채널 TC는 그것의 카운트를 증분한다. 이에따라, 어떤 무선 유니트가 카운트 변경을 나타내면, 그것은 채널 드롭 시퀀스를 손실하였음을 "인지"하게 된다.
문제 (2)에 대해서는, 기존의 시스템들상에 부정확하게 디코드한 아웃 바운드 제어 메시지들이 존재할 가능성이 있다. 여기서, 그들이 소유하고 있지 않은 채널들로부터의 무선들을 재지시하기 위한 신속한 방도가 통상 제공된다. 이를 위해서, 부가청 신호 발생이 통상 이 목적을 위해 배타적으로 이용된다. 그러나, 본 발명에서, 장점은 제어 채널상의 고 정보율이 취해진다는 것이고, 이동 무선 유니트는 동작 채널로 들어가기 전에 갱신 메시지를 2번 나타내도록 요구된다. 사후 엔트리 시간내에는 무시할 수 있는 증가가 있지만, 부정확한 채널로 들어갈 가능성은 가상적으로 제거된다. 그 결과, 부가청 데이터가 다른 목적-예를들면, 우선 순위 스캔-을 위해 사용될 수 있다.
소정 통신 세션의 말미에, 호출 유니트내의 PTT 스위치를 언키이 하는 처리가 스텝(1136)에 설명되어 있는 바, 그 결과로서, 스텝(1138)(시간 t6)에서 동작 채널상에 언키이드 메시지의 전달이 이루어진다. 전송 트렁크식 모드인 경우, 호출 유니트는 즉시 제어 채널로 복귀할 것이고, 그래서 그 동작 채널을 즉시 자유롭게 한다. 이에 응답하여, 스텝(1216)에서, 중앙 사이트 제어기는 동작 채널상에서 언키이드 메시지를 수신하고, 스텝(1218)에서, 초 신장된 도팅 스트링(시간 t7에서 동작 채널로 896 내지 2816비트)을 전달한다. 피호출 유니트도 물론 시간 t6에서 동작 채널상의 언키이드 메시지를 수신하였고, 이에 대한 응답으로, 스텝(1308)에서 수신기를 이미 뮤트한 바 있었다. 피호출 유니트는 시간 t7에서 동작 채널상의 중앙 사이트 제어기로부터의 아웃 바운드 초신장된 도팅 스트링을 수신하고, 이에 대한 응답으로, 스텝(1310)에서 제어 채널로 복귀한다.
코뮤니케 분열을 최소화 하기 위하여 특수 우선 순위 스캔 시퀀스가 이용된다.
무선 유니트가 다중 그룹에 대해 스캔하고 호출이 그 우선 순위 그룹에 대해 이루어질때, 그 무선 유니트는 제어 채널로의 복귀 즉시 2초 기간동안 다중 그룹 스캔을 자동적으로 디스에이블 한다(우선 순위 그룹만의 스킨을 위하여), 그 우선 순위 그룹은 방금 통신하고 있었기 때문에, 이 기간중에 다른 코뮤니케가 발생할 가능성이 높다. 그 무선 유니트가 다른(비우선 순위) 그룹(보다 저 우선 순위인 것으로 정의함) 호출내로 스캔되어, 그 우선 순위 그룹상에서 다른 코뮤니케가 발생하는 경우, 그 무선 유니트는 비 우선 순위 그룹으로부터 코뮤니케 단편을 청취할 것이고, 다음 우선 순위 그룹 코뮤니케 내로의 그것의 엔트리는 지연될 것이다(우선 순위 스캔은 그 무선을 우선 순위 그룹내에 넣기 위하여 1.0 내지 1.5초 사이에 발생할 수 있다).
코뮤니케 분열을 최소화 하는데 이용되는 다른 독특한 특징은 무선 유니트를 방금 전에 감시된 비 우선 순위 그룹으로 자동적으로 할당하는 편의 우선 순위이다. 기본적으로, 비 우선 순위 코뮤니케가 감시되면, 그 코뮤니케 다음의 2초동안 그 무선 유니트는 다른 모든 스캔된 호출들을 무시할 것이고(물론 우선 순위 그룹에 대해서는 제외), 우선 순위 그룹 코뮤니케들에 대해서도 마찬가지이다. 더우기, 그 무선 유니트는 항상 최종적으로 감시된 비 우선 순위 그룹을 기억한다. 우선 순위 그룹 코뮤니케로부터의 복귀시, 그 무선 유니트는 감시된 최종 비우선 순위 그룹을 스캔되는 다른 그룹들상으로 제공할 것이다.
이하의 실시예에서, '--'는 그 그룹이 코뮤니케 채널내에 포함됨을 의미하고, 그룹 A가 우선 순위 그룹이며 그것의 코뮤니케들이 2초 이하만큼 분리된다고 가정된다.
그룹 A ---- ---- -- -----
그룹 B -------------------------
그룹 C ----------------------------
무선 감시기 : BBBAAA AAAA AA AAAAA BBBB CCCC
동작 채널 확인 신호 발생에는 코뮤니케가 전송 트렁크식인지 메시지 트렁크식인지의 여부에 따라 무선들을 통지하는 비트(즉, 메시지/전송 트렁크식 비트)가 있다. 이 독특한 특징은 보다 높은 주파수 효율성을 제공한다.
호출 무선은 동작 채널상에 있을 것으로 메시지/전송 트렁크식 비트를 나타내도록 보장된다. 그 비트가 "전송 모드"로 설정되면, 호출 이동 무선 유니트는 그 채널이 전송을 중단하자마자 곧 제거될 것임을 인지한다. 결과적으로, PTT가 해제될때, 호출 무선 유니트는 자동적으로 또한 즉시 제어 채널로 되돌아간다. 이에 따라, 동작 채널 TC가 호출 이동 무선 유니트의 언키이 메시지를 검출하자마자 곧 채널 드롭 신호 발생을 시작하기 때문에 채널 이용의 효율성을 증가시킨다. 즉, 전송중인 이동 무선 유니트가 전송을 중단하고, 채널상에서 그것의 수신기를 얻은 후, 호출중인 이동 무선 유니트내에서 채널 드롭 신호 발생이 검출되는 것을 보장하게 될 충분한 시간을 가질 수 있도록 그 신호 발생을 신장시켜서는 안된다.
호출된 무선 유니트들은 또한 이 메시지/전송 트렁크식 비트를 관찰하지만, 전혀 다른 이유때문이다. 코뮤니케가 메시지 트렁크 되며, 호출되었던 무선 유니트들은, 그들이 채널 드롭전에 응답을 제공하여야 할 경우에, 할당된 동작 채널상으로 키이할 수 있어야 한다. 그러나, 그 코뮤니케가 전송 트렁크 되면, 어떤 피호출 무선 유니트도 할당된 동작 채널상에 전달하여서는 안된다. 그때문에, 2비트가 "전송"모드로 설정되면, 피호출 무선 유니트들은 동작 채널상에 키이하도록 허용되지 않을 것이다. 이것은 무선 유니트들이 서로의 정상에서 키잉하는 것을 방지하기 때문에, 매우 유용한 특징이다.
메시지/전송 트렁크식 비트는 따라서 3가지 시스템 장점을 제공한다. 즉, 그것은 채널 드롭 시간을 감소시킴으로써(종래의 시스템들부터 3의 인수만큼) 주파수(즉, 채널) 효율이 보다 높은 전송 트렁킹을 이루고, 사용자들이 키이할 수 없는(예를들면, 기존의 시스템들에 대해서, 0.5초 드롭 시퀀스중에 무선 유니트가 키이되면, 시퀀스가 완수할때까지 대기하여야 한다) 전송간의 데드 타임을 감축시키며, 동작 채널상에서 무선 유니트들이 서로의 정상에서 키잉하는 것으로부터 절대적인 보호를 제공한다.
실시예적 시스템상에서의 개별 호출을 위하여, 호출 무선 유니트는 그 자신을 식별하고, 호출되는 무선유니트를 특정하도록 제어 채널의 단일 인 바운드 채널을 이용한다. 양 무선 유니트는 아웃 바운드 제어 채널 메시지를 통해 확인 신호가 발생하는 이용 가능한 동작 채널로 된다. 피호출 무선 유니트에 대한 언뮤트 메시지는(고속 확인 신호 발생의 완수시) 또한 호출 무선 유니트의 ID를 특정한다. 피호출 무선 유니트는 자동적으로 호출 무선 유니트의 ID를 기억하고, 피호출 무선 유니트의 PTT 스위치가 호출국의 최종 PTT 스위치 해제후 5초 이내에 눌려지면, 개별 호출을 자동적으로 시초 호출로 다시 배치한다. 이 능력은 사용자의 용이하고 편리한 전송 트렁킹을 허용하고, 개별 호출동안 주파수(즉, 채널) 효율성을 보다 향상시킨다. 그것은 또한 호출 무선 유니트가 피호출 무선 유니트와 접촉하는 것을 허용하고, 피호출 무선 유니트가 호출 무선 유니트로 호출을 개시하도록 앞서 프로그램되지 않은 경우에도 채널 행타임 없이 대화할 수 있도록 한다.
실시예적 시스템에서의 신호 발생은 매우 효과적이고, 채널 드롭 시간을 최소화 하며, 시스템 효율성을 증진시킨다. 그것은 예를들면, 기존의 다른 모든 시스템들 상에서 통상 저속 신호 발생이 이용되었던 것에 비해 고속 신호 발생이라는 점에서 독특하다. 더우기, 분산 구성 사이트에서의 메시지 트래픽을 특히 최소화 하도록 설계된다.
이와같이 신규한 채널 드롭 신호 발생이 없으면, 채널이 드롭을 개시하면, 메시지는 아웃 바운드 제어 채널상의 모든 갱신(즉, 방금 드롭되는 동작 채널에 대한 무선 유니트들을 지칭하는 것임)을 중지시키면서 동작 채널 TC로부터 제어 채널 TC로(중앙 사이트 제어기를 거쳐) 전달되지 않으면 안될 것이다. 무선 방송이 일단 오프되면, 채널 TC는 중앙 사이트 제어기로 추가의 메시지를 전달하여 드롭된 동작 채널을 재할당할 수 있음을 통지하여야 한다. 채널 드롭 처리를 늦추는 중앙 사이트내의 부가적인 메시들 이외에, 중앙 사이트 제어기상에 부가적으로 로드하는 종래의 기술이 이용된다. 또다른 문제는 동작 채널상에 전달되는 드롭 채널 신호 발생이 충분한 기간이어야 한다는 것이다. 이것은, 채널이 일단 다운된 후 그 채널상으로 사후에 무선이 입력되거나 또는 그 채널상에서 다음 호출이 이미 발생되기 시작한 후에 그 채널상으로 사후 입력을 방지할 수 있는 타이밍 양면성을 보장하기 위해서이다.
양호한 실시예는 독특한 드롭 채널 신호 발생, 독특한 무선 신호 발생 검출 알고리즘 및 채널 TC가 드롭 채널 메시지를 중앙 사이트 제어기로 전달할때의 타이밍을 이용한다.
드롭 채널 신호 발생을 9600bps 도팅으로 함으로써, 드롭 채널 신호 발생이 그 신호 발생을 청취하고 있는 무선 조작자들에 앞서 검출 및 뮤트될 수 있을뿐만 아니라, 검출 알고리즘은 도팅과 확인 신호 발생을 동시에 탐색할 수 있는 무선들상에 프로세서를 로딩하기에 충분한 빛을 배치한다.
다음의 루울은 동작 채널 TC의 드룹 기능으로서 수행된다.
1) 100msec의 로딩 전달
2) 도팅을 인터럽트하지 않고, 중앙 사이트 제어기로 채널 드롭 메시지 전달
3) 부가적인 200msec의 도팅 전달-단, 그것을 중지시키고 확인 메시지를 전달하기 시작하는 것은 중앙사이트 제어기로부터 전달되는 채널 할당 메시지이어야 함.
중앙 사이트 제어기가 소정 채널 TC로부터 드롭 채널 메시지를 수신할때, 그 중앙 사이트 제어기에 의해 수행되는 루울은 다음과 같다.
1) 제어 채널 TC에 즉시 통지하여 그것이 동작 채널 TC로 갱신들을 전달하는 것을 중지시킬 수 있도록 함.
2) 재할당을 위해 그 채널이 즉시 이용 가능하게 함.
무선이 동작 채널을 떠남에 따라 그 무선에 의해 수행되는 루울은 다음과 같다.
1) 1/2초 동안 그 그룹에 대한 모든 채널 갱신 및 남겨지는 코뮤니케의 채널을 무시함.
무선이 동작 채널에 도달함에 따라 그 무선에 의해 수행되는 루울은 다음과 같다.
1) 도팅(즉, 드롭 채널 신호를 구성하기에 충분히 긴 기간의) 및 확인 신호 발생을 동시에 탐색함.
2) 드롭 채널 도팅이 나타나면, 그 채널을 떠남.
3) 확인이 나타나면 그 채널을 떠나고, ID가 정당한 것이 아니면, 그렇게 말할 수 있을때까지 신호 발생을 고정하고 언뮤트하지 않음.
4) 확인 신호 발생이 중지하거나, 그 채널상에 어떠한 신호 발생도 나타나지 않으면, 부가청 및 언뮤트를 탐색함.
이러한 처리들의 순수한 효과의 중요성을 이해하기 위하여 다음의 2가지 경우를 고려한다. 즉, (1) 채널이 즉시 재할당되지 않을때, (2) 채널이 즉시 재할당될때 드롭 채널 메시지가 중앙 사이트 제어기로 전달된 시점으로부터 100msec 이후에만 무선이 드롭 채널 신호 발생상으로 사후 입력되는 것이 가능하다. 그래서, 그 채널이 재할당되고 있지 않으면, 사후 입력하는 무선은 전달되는 추가의 도팅을 나타낼 것이고 그 채널을 드롭 오프할 것을 인지할 것이다. 한편, 시스템이 로드되어 있으면(예를들어, 호출 요구들이 중앙 사이트 제어기내에 대기중인 경우), 그 채널은 즉시 대기중인 제1그룹으로 할당되게 된다. 방금 드롭된 호출내로의 사후 입력을 시도하는 무선을 다음 호출 개시가 발생하게 될 그룹과 함께 확인 메시지를 나타낼 것이고, 그 채널을 드롭한 것을 인지하게 될 것이다.
로드된 시스템내의 채널을 드롭하는 것은 단지 100msec의 신호 발생과 중앙 사이트로의 단지 하나의 메시지만을 요구한다. 드롭되는 호출로의 사후 입력을 일으키는 무선들은, 드롭 채널 신호 발생과 확인 신호 발생을 동시에 탐색할 수 있는 능력때문에, 그 사실을 검출한다.
무선 가격의 상승에 대비하여, PST 무선 제조업자는 무선 유니트들내에 이러한 "특징들"을 추가로 프로그램할 수 있다. 이에 앞서, 공장에서는 독자적인 PROM 또는 EPROM을 제조한다. 이러한 방식의 한가지 단점은 각 무선 유니트를 독자적으로 프로그램하는 비용이다. 그리고, 그것은 고객이 추가의 특징들을 요구하는 경우에 무선을 제공하는데 효과적이지 못하다.
그런데, 양호한 실시예는 공장 프로그래밍 코스트를 제거할 수 있도록 한다. 각 무선 유니트를 고객에 의해 현장(예를들면, 그룹들, 시스템들등)에서 프로그램 되기 때문에, 이때, 무선 유니트내에 특징들이 프로그램되면 된다. 문제는 고객이 단지 판매된 특징들만을 프로그램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는 프로그래밍 테스크를 어떻게 조절하느냐에 있다.
고객으로의 무선 유니트들의 수송은 프로그래밍 코드와 실제 ID(각 무선 유니트에 대해 한쌍)의 세트를 명세하는 종이 한장이면 족하다. 각 프로그래밍 코드는 "특징 인에이블 비트 맵"의 인크립션과 무선 유니트의 실제 ID이다.
고객이 무선 유니트를 프로그램 할때, 그는 2가지 일을 해야 한다. 먼저, 무선 유니트를 프로그램 한다. 이를 위해서, 그 고객은 그 무선 유니트를 위해 계약한 특징들을 나타내는 프로그래밍 코드를 선택하고, 그것을 무선 프로그래머내에 입력시킨다. 프로그래밍 코드에 의해 디스에이블된 특징들을 프로그램하는 것을 방지하면서 그 고객은 무선 프로그래머를 이용하여 무선 유니트를 프로그램한다. 둘째로, 사용자는 시스템 관리기를 개재하여 그 무선 유니트를 시스템 데이타 베이스에 등록시킨다. 그 무선 유니트의 실제 ID는 그 무선 유니트가 데이타 베이스내에 있도록 규정되어야 한다.
무선 프로그래머가 무선 유니트내에 데이타를 기입할때, 그것은 무선 유니트 자체내에 "방금 프로그램된" 비트를 설정한다. 무선 유니트가 턴 온 될때마다, 그것은 그 비트를 검사한다. 설정되었으면, 그 무선 유니트는 그것의 사용자가 트렁크식 시스템상에서 통신할 수 있게 되기 전에 중앙 사이트 제어기로부터 논리 ID를 요구하는데 그 자체의 실제 ID를 사용한다. 중앙 사이트 제어기는 그 논리 ID가 그 무선 유니트에 할당될 것인지를 결정하기 위한 시스템 관리기 데이타 베이스로 들어간다. 고객이 상이한 무선 유니트들을 프로그램 하는데 동일한 프로그래밍 ID를 사용하고자 하는 경우, 그는 각 무선 유니트내에 동일한 논리 ID를 설정하면 충분하고, 이것은 독자적인 식별 능력이 상실되었음을 의미한다. 이것은 고객이 기존의 시스템들내에 사용된 PROM을 복제한 경우와 마찬가지의 결과이다.
그 결과는 동일한 보호 레벨을 갖는다는 것이고, 한편으로는 공장에서 무선 유니트들을 프로그램할 필요성을 회피한다. 무선 유니트에 특징들을 추가하는 것은 갱신된 프로그래밍 ID를 발행하는 것을 포함하고, 무선 유니트들을 프로그램 하는데 있어서의 모호함이 제거된다(예를들면, 기존의 시스템들에 있어서의 무선 유니트는 어떤 특징을 수행하도록 인에이블 되지 않았어도 그 특징을 수행하도록 프로그램된다. 그래서, 고객이 그것을 프로그램하고 그것이 동작하지 않을때, 그 고객은 그 무선 유니트가 잘못 프로그램 되었는지 또는 그 특징이 디스에이블 되었는지 말할 수 없다). 그리고, 이동 무선 유니트들 내에는 어떠한 특수 소프트웨어도 기입되지 않는다. 다만, 무선 프로그래머이다. 특징 인에이블/소프트웨어에 관련하는 소프트웨어 버그를 고정하는 것은 현장에서 모든 유니트에 대한 것보다는 일부의 컴퓨터내의 코드를 변경하는 것을 포함하기 때문에 이 마지막 장점은 매우 훌륭하다.
각종 유형의 호출 발생 시퀀스내에 포함되는 신호 발생 프로토콜 및 포맷들의 상세한 설명을 이하에 요약 한다.
I. 무선 발생, 논리 ID 획득 시퀀스
A. CC는 모든 비작동 이동 무선 유니트가 수신하게될 연속적인 스트림의 제어 메시지들을 전송한다. 메시지들은 2메시지씩 다음과 같은 프레임 포맷으로 30msec 프레임으로 전달된다.
도팅=32비트
바커=16비트(예를들면, 11비트 바커 코드+5비트 도팅 서문)
메시지 #1=40비트
메시지 #1(반전됨)=40비트
메시지 #1=40비트
메시지 #2=40비트
메시지 #2(반전됨)=40비트
메시지 #2=40비트
B. 이동 무선 유니트의 전원이 턴 온될때, 그것은 제어 채널(CC)로부터 다음과 같은 포맷의 현장 ID 메시지를 수신한다.
MT-A=2비트(예, 11)
MT-B=3비트(예,111)
MT-C=4비트(예, 1110)
지연=2비트
채널=5비트
우선 순위=3비트
홈 사이트=1비트
고장 완화=2비트
사이트 ID=6비트
BCH 코드=12비트
지연은 제어 채널이 인 바운드 전송에 응답하기 전에 제어 채널 슬로트의 최대 수치를 규정한다. 채널은 유효 제어 채널을 위한 채널 수를 규정한다. 우선 순위는 보다 저 우선 순위를 갖는 이동 무선들이 인 바운드 제어 채널상에서 전송하는 것을 금지한다. 홈 사이트 비트는 현장 ID가 홈(=0) ID인지 또는 인근(=1) ID인지를 규정한다.
C. 바람직하게는, 그리고 우선 순위가 허용하는 한, 이동 뮤선 유니트는 선택적으로 수신된 제어 채널 메시지와 동기하여 제어 채널상에 로그인 요구를 전달한다. 프레임 형태는 다음과 같다.
도팅=152비트
바커 코드(3회 반복됨)=48비트(필터 포함)
메시지=40비트
메시지(반복됨)=40비트
메시지=40비트
로그인 메시지는 다음과 같이 코드된다.
MT-A=2비트
MT-B=3비트
그룹 ID=11비트
논리 ID=12비트
BCH 코드=12비트
이동 무선 유니트가 어떠한 논리 ID도 갖고 있지 않으면, 그것은 논리 ID 요구 메시지를 전송할 것이다. 논리 ID 요구 메시지는 다음과 같이 코드된다.
MT-A=2비트
MT-B=3비트
MT-C=3비트
실제 ID=20비트
BCH 코드=12비트
D. 제어 채널은 논리 ID 할당 메시지로 응답한다.
Ⅱ. 무선 호출 시퀀스-무선 발생, 그룹 호출
A. 제어 채널은 모든 비동작 이동 무선 유니트가 수신하게 될 연속적인 스트림의 제어 메시지들을 전송한다. 메시지들은 다음과 같은 프레임 포맷으로 2메시지씩 30msec 프레임으로 전달된다.
도팅=32비트
바커=16비트
메시지 #1=40비트
메시지 #1(반전됨)=40비트
메시지 #1=40비트
메시지 #2=40비트
메시지 #2(반전됨)=40비트
메시지 #2=40비트
B. 그룹 호출을 발생하고자 하는 이동 무선 유니트들은 수신된 제어 채널 메시지들과 동기하여 제어 채널상에 그룹 채널 할당 요구를 전송한다. 그 프레임 포맷은 다음과 같다.
도팅=152비트
바커(3회 반복됨)=48비트
메시지=40비트
메시지(반전됨)=40비트
메시지=40비트
그룹호출 메시지는 다음과 같이 코드된다.
MT-A=2비트
통신 유형(예, 음성, 데이타, 상호 접속 또는 음성비밀)=2비트
비사용=1비트
그룹 ID=11비트
논리 ID=12비트
BCH코드=12비트
C. 제어 채널은 채널 할당 2메시지쌍으로 응답한다. 코딩은 다음과 같다.
MT-A=2비트
통신 유형(예, 음성)=2비트
1/2논리 ID=6MSB 또는 LSB
그룹/논리=1비트
채널=5비트
그룹 ID=12비트
BCH코드=12비트
D. 피호출 그룹의 모든 이동 무선 유니트는 할당된 동작채널로 절환하고, 확인 메시지를 수신한다. 슬로트된 동작 채널 메시지들은 다음과 같은 프레임을 이용하여 전달된다.
도팅=32비트
바커=16비트
메시지=32비트
메시지(반전됨)=32비트
메시지=32비트
그룹 호출 확인 메시지는 다음과 같이 코드된다.
MT코드=4비트
부가청 카운트=2비트
메시지/전송 트렁킹=1비트
그룹/논리 ID=1비트
그룹 ID=12비트
BCH 코드=12비트
E. 발생 이동 무선 유니트들은 확인 메시지를 수신하고, 384비트의 도팅, 그리고 오디오를 전송한다.
F. 동작 채널은 도팅을 수신하고, 2개의 유니트-키이드/언뮤트 메시지를 전송한다.
MT코드=4비트
부가청 카운트=2비트
메시지/전송 트렁킹=1비트
필러=1비트
논리 ID=12비트
BCH코드=12비트
피호출 이동 무선 유니트는 언뮤트 메시지를 수신하고 오디오를 어뮤트한다.
G. 다른 동작 채널들상의 유효 이동 무선 유니트들은 부가청 채널 할당 메시지를 수신한다.
H. 제어 채널은 사후 엔트리 이동 무선 유니트들을 위한 채널 갱신 메시지를 전송한다.
I. 전송중인 이동 무선 유니트는 언키이하고, 슬로트 되지 않은 언키이 메시지를 전달한다. 슬로트 되지 않은 모든 메시지 포맷은 다음과 같다.
도팅=384비트
데이타블럭 #3=128비트
데이타블럭 #2=128비트
데이타블럭 #1=128비트
데이타블럭#0=128비트
데이타 블럭 #3, #2, #1 및 #0들은 2비트 블럭 카운트를 제외하고는 동일하며(각 블럭은 4회 반복됨), 각각 다음과 같은 포맷을 갖는다.
도팅=16비트
바커 코드=16비트
바이트 1=8비트
바이트 1(반전됨)=8비트
바이트 1=8비트
바이트 2=8비트
바이트 2(반전됨)=8비트
·
·
·
바이트 3=8비트
바이트 4=8비트
바이트 4(반전됨)=8비트
바이트 4=8비트
언키이 메시지는 다음과 같이 코드된다.
MT 코드=4비트
비사용=2비트
블럭 카운트=2비트
논리 ID=12비트
BCH 코드=12비트
J. 동작 채널은 896 내지 2816비트의 도팅을 전송하여 그 채널로부터 모든 이동 무선 유니트를 드롭시킨다.
Ⅲ. 무선 호출 시퀀스-무선 발생, 개별 호출
A. 제어 채널은 모든 비동작 이동 무선 유니트가 수신하게될 연속적인 스트림의 제어 메시지들을 전송한다. 이 메시지들은 다음과 같은 포맷을 갖는 30msec 프레임으로 2메시지씩 전달된다.
도팅=32비트
바커=16비트
메시지 #1=40비트
메시지 #1(반전됨)=40비트
메시지 #1=40비트
메시지 #2=40비트
메시지 #2(반전됨)=40비트
메시지 #2=40비트
B. 개별 호출을 발생하고자 하는 이동 무선 유니트는 수신된 제어 채널 메시지들과 동기하여 제어 채널상에 할당요구를 전송한다. 그 프레임 포맷은 다음과 같다.
도팅=152비트
바커(3회 반복됨)=48비트
메시지=40비트
메시지(반전됨)=40비트
메시지=40비트
개별 호출 요구 메시지는 다음과 같이 코드된다.
MT-A코드=2비트
통신 유형(예, 음성)=2비트
논리 ID(피호출측)=12비트
논리 ID(호출측)=12비트
BCH 코드=12비트
C. 제어 체널은 채널 할당 2메시지쌍으로 응답한다. 코딩은 다음과 같다.
MT-A코드=2비트
통신 유형(예, 음성)=2비트
1/2 논리 ID=6MSB 또는 LSB
그룹/논리 ID=1비트
논리 ID=12비트
BCH코드=12비트
D. 호출측(최종 논리 ID)과 피호출측 이동 무선 유니트는 모두 할당된 동작 채널로 절환하고, 확인 메시지를 수신한다. 슬로트된 동작 채널 메시지들은 다음과 같은 프레임을 이용하여 전송된다.
도팅=32비트
바커=16비트
메시지=32비트
메시지(반전됨)=32비트
메시지=32비트
개별 호출 확인 메시지는 다음과 같이 코드된다.
MT코드=4비트
부가청 카운트=2비트
메시지/전송 트렁킹=1비트
그룹/논리 ID=1비트
논리 ID=12비트
BCH코드=12비트
E. 발생 이동 무선 유니트는 확인 메시지를 수신하고, 384비트의 도팅, 그리고 오디오를 전송한다.
F. 동작 채널은 도팅을 수신하고, 2개의 유니트-키이스/언뮤트 메시지를 전송한다.
MT코드=4비트
부가청 카운트=2비트
메시지/전송 트렁킹=1비트
비사용 비트=1비트
논리 ID=12비트
BCH코드=12비트
피호출측 이동 무선 유니트는 언뮤트 메시지를 수신하고, 오디오를 언뮤트 한다.
G. 다른 동작 채널들상의 유효 이동 무선 유니트들은 부가청 채널 할당 메시지를 수신하지 않는다.
H. 제어 채널은 사후 엔트리 이동 무선 유니트들을 위한 채널 갱신 메시지를 전송한다.
I. 전송중인 이동 무선 유니트는 언키이하고, 슬로트 되지 않은 언키이 메시지를 전달한다. 슬로트 되지 않은 모든 메시지 포맷은 다음과 같다.
도팅=384비트
데이타 #3=128비트
데이타 #2=128비트
데이타 #1=128비트
데이타 #0=128비트
데이타 #3, #2, #1 및 #0은 동일하고(4회 반복됨), 각각 다음과 같은 포맷을 갖는다.
도팅=16비트
바커=16비트
바이트 1=8비트
바이트 1(반전됨)=8비트
바이트 1=8비트
바이트 2=8비트
바이트 2(반전됨)=8비트
·
·
·
바이트 3=8비트
바이트 4=8비트
바이트 4(반전됨)=8비트
바이트 4=8비트
언키이 메시지는 다음과 같이 코드된다.
MT코드=4비트
비사용=2비트
부카운트=2비트
논리 ID=12비트
BCH코드=12비트
Ⅳ. 무선 호출 시퀀스-무선 발생, 비상 그룹 호출
A. 제어 채널은 모든 비동작 이동 무선 유니트가 수신하게 될 연속적인 스트림의 제어 메시지들을 전송한다. 이 메시지들은 다음과 같은 포맷을 갖는 30msec 프레임으로 2메시지씩 전달된다.
도팅=32비트
바커=11비트
메시지 #1=40비트
메시지 #1(반전됨)=40비트
메시지 #1=40비트
메시지 #2=40비트
메시지 #2(반전됨)=40비트
메시지 #2=40비트
B. 비상 그룹 호출을 발생하고자 하는 이동 무선 유니트는 수신된 제어 채널 메시지들과 동기하여 제어 채널상에 할당 요구를 전송한다. 그 프레임 포맷은 다음과 같다.
도팅=152비트
바커(3회 반복됨)=48비트
메시지=40비트
메시지(반전됨)=40비트
메시지=40비트
비상 그룹 호출 요구 메시지는 다음과 같이 코드된다.
MT-A코드=2비트
통신 유형=2비트
스테이터스/C=1비트
그룹 ID=11비트
논리 ID=12비트
BCH코드=12비트
C. 제어 채널은 다음과 같이 코드되는 2채널 할당 메시지로 응답한다.
MT-A코드=2비트
통신 유형=2비트
1/2논리 ID=6MSB 또는 LSB
그룹/논리 ID=1비트
채널=5비트
그룹 ID=12비트
BCH코드=12비트
D. 피호출 그룹의 모든 이동 무선 유니트는 할당된 동작 채널로 절환하고, 확인 메시지를 수신한다. 슬로트된 동작 채널 메시질들은 다음과 같은 프레임을 이용하여 전송된다.
도팅=32비트
바커=16비트
메시지=32비트
메시지(반전됨)=32비트
메시지=32비트
비상그룹 호출 확인 메시지는 다음과 같이 코드된다.
MT코드=4비트
부가청 카운트=2비트
메시지/전송 트렁킹=1비트
그룹/논리 ID=12비트
그룹 ID=12비트
BCH=12비트
E. 발생 이동 무선 유니트는 확인 메시지를 수신하고, 384비트의 도팅, 그리고 오디오를 전송한다.
F. 동작 채널은 도팅을 수신하고, 2유니트-키이드/언뮤트 메시지를 전송한다.
MT코드=4비트
부가청 카운트=2비트
메시지/전송 트렁킹=1비트
1비트(비사용)=0
논리 ID=12비트
BCH 코드=12비트
피호출 이동 무선 유니트는 언뮤트 메시지를 수신하고, 오디오를 언뮤트 한다.
G. 다른 동작 채널들상의 유효 이동 무선 유니트들은 부가청 채널 할당 메시지를 수신한다.
H. 제어 채널은 사후 엔트리 이동 무선 유니트들을 위한 채널 갱신 메시지를 전송한다.
I. 전송중인 이동 무선 유니트는 언키이하고, 슬로트되지 않은 2 언키이 메시지를 전달한다. 슬로트 되지 않은 모든 메시지 포맷은 다음과 같다.
도팅=384비트
데이타 #3=128비트
데이타 #2=128비트
데이타 #1=128비트
데이타 #0=128비트
데이타 #3, #2, #1 및 #0은 동일하고(4회 반복됨), 각각 다음과 같은 포맷을 갖는다.
도팅=16비트
바커=16비트
바이트 1=8비트
바이트 1(반전됨)=8비트
바이트 1=8비트
바이트 2=8비트
바이트 2(반전됨)=8비트
·
·
·
바이트 3=8비트
바이트 4=8비트
바이트 4(반전됨)=8비트
바이트 4=8비트
언키이 메시지는 다음과 같이 코드된다.
MT코드=4비트
부가청 카운트=2비트
논리 ID=12비트
BCH코드=12비트
Ⅴ. 무선 호출 시퀀스-무선 발생, 스테이터스 호출
A. 제어 채널은 모든 비동작 이동 무선 유니트가 수신할 연속 스트림의 제어 메시지들을 전송한다. 이 메시지들은 다음과 같은 포맷을 갖는 30msec 프레임으로 2메시지씩 전달된다.
도팅=32비트
바커=16비트
메시지 #1=40비트
메시지 #1(반전됨)=40비트
메시지 #1=40비트
메시지 #2=40비트
메시지 #2(반전됨)=40비트
메시지 #2=40비트
B. 스테이터스 호출을 발생하고자 하는 이동 무선 유니트는 수신된 제어 채널 메시지들과 동기하여 제어 채널상에 스테이터스 요구를 전송한다. 그 프레임 포맷은 다음과 같다.
도팅=152비트
바커(3회 반복됨)=48비트
메시지=40비트
메시지(반전됨)=40비트
메시지=40비트
스테이터스 요구 메시지는 다음과 같이 코드된다.
MT-A코드=2비트
MT-B코드=3비트
MT-C코드=3비트
3비트(비사용)=000
자동 응답=1비트(예, yes)
4비트(비사용)=0000
논리 ID=12비트
BCH코드=12비트
C. 제어 채널은 다음과 같이 코드된 스테이터스 페이지 메시지로 응답한다.
MT-A코드=2비트
MT-B코드=3비트
MT-C코드=4비트
2비트(비사용)=00
자동응답=1비트(예, yes)
스테이터스=4비트
논리 ID=12비트
BCH코드=12비트
D. 피호출 이동 무선 유니트는 다음과 같이 코드된 제어 채널 스테이터스 메시지를 전송한다.
MT-A코드=2비트
MT-B코드=3비트
MT-C코드=3비트
3비트(비사용)=000
자동응답=1비트(예, yes)
스테이터스=4비트
논리 ID=12비트
BCH코드=12비트
E. 제어 채널은 다음과 같은 코드된 스테이터스 허가 메시지로 응답한다.
MT-A코드=2비트
MT-B코드=3비트
MT-C코드=4비트
2비트(비사용)=00
자동응답=1비트(예, yes)
스테이터스=4비트
논리 ID=12비트
BCH코드=12비트
Ⅵ. 무선 호출 시퀀스-무선 발생, 특수 호출
A. 제어 채널은 모든 비동작 이동 무선 유니트가 수신할 연속 스트리의 제어 메시지들을 전송한다. 이 메시지들은 다음과 같은 포맷을 갖는 30msec 프레임으로 2메시씩 전달된다.
도팅=32비트
바커=16비트
메시지 #1=40비트
메시지 #1(반전됨)=40비트
메시지 #1=40비트
메시지 #2=40비트
메시지 #2(반전됨)=40비트
메시지 #2=40비트
B. 특수 호출을 발생하고자 하는 이동 무선 유니트는 수신된 제어 체널 메시지들과 동기하여 제어 채널상에 특수 호출 요구를 전송한다. 그 프레임 포맷은 다음과 같다.
도팅=152비트
바커(3회 반복됨)=48비트
메시지=40비트
메시지(반전됨)=40비트
메시지=40비트
특수 호출 요구 메시지는 다음과 같이 코드된다.
MT-A코드=2비트
MT-B코드=3비트
MT-C코드=3비트
2비트(비사용)=00
통신 유형 코드=2비트(예, 상호 접속)
1비트(비사용)=0
우선 순위 코드=3비트
논리 ID=12비트
BCH코드=12비트
C. 제어 채널은 채널 할당 2메시지쌍으로 응답한다. 코딩은 다음과 같다.
MT-A코드=2비트
통신유형 코드=2비트(예, 상호 접속 intcnt)
1/2논리 ID=6MSB 또는 LSB
그룹/논리=1비트
채널=5비트
논리 ID=12비트
BCH코드=12비트
D. 이동 무선 유니트는 할당된 동작 채널로 절환하고, 확인 메시지를 수신한다. 슬로트된 동작 채널 메시지들은 다음과 같은 프레임을 이용하여 전달된다.
도팅=32비트
바커=16비트
메시지=32비트
메시지(반전됨)=32비트
메시지=32비트
BCH코드=12비트
특수 호출 확인 메시지는 다음과 같이 코드된다.
MT코드=4비트
부카운트=2비트
행/타임/트렁크=1비트
그룹/논리 ID=1비트
논리 ID=12비트
BCH코드=12비트
E. 발생 이동 무선 유니트는 확인 메시지를 수신하고, 다중 블럭 특수 호출 메시지를 전송한다. 메시지 프레임(이하에 나타냄)은 1 내지 16블럭을 가질 수 있다.
도팅=384비트
데이타 #3블럭 #1=128비트
데이타 #2블럭 #1=128비트
데이타 #1블럭 #1=128비트
데이타 #0블럭 #1=128비트
데이타 #3블럭 #2=96비트
데이타 #2블럭 #2=96비트
·
·
·
데이타 #3, #2, #1 및 #0는 각 블럭내에서 동일하다(4번 반복됨). 블럭 #1 데이타에 대한 코딩은 다음과 같다.
도팅=16비트
바커=16비트
바이트 1=8비트
바이트 1(반전됨)=8비트
바이트 1=8비트
바이트 2=8비트
바이트 2(반전됨)=8비트
·
·
·
바이트 3=8비트
바이트 4=8비트
바이트 4(반전됨)=8비트
바이트 4=8비트
블럭 #1 이후의 블럭들내의 데이타는 도팅이나 바커 코드를 갖지 않는다. 전화 상호 접속이 요구되면, 블럭 #1 데이타는 다음과 같이 코드된다.
그룹 카운트=4비트
개별 카운트=4비트
전화 디지트 카운트=4비트
전화 디지트 #1=4비트
전화 디지트 #2=4비트
BCH코드=12비트
상호 접속이 전혀 요구되지 않으면, 블럭 #1은 다음과 같이 코드된다.
그룹 카운트=4비트
개별 카운트=4비트
그룹/논리 ID=12비트
BCH코드=12비트
잇따른 블럭들은 블럭 #1 카운트들을 만족하도록 요구되는 바에 따라 하나의 그둡 ID, 하나의 논리 ID, 또는 5전화 디지트로 코드된다. 전화 디지트들이 우선이고, 그 다음에는 논리 ID를, 또 그 다음에는 그룹 ID들이다. 디지트 코딩은 니블(nibble)당 1디지트이다(널=1010).
ID코딩은 다음과 같다.
8바이트=10101010(8비트)
그룹/논리 ID=12비트
BCH코드=12비트
F. 동작 채널은 슬로트된 동작 채널 특수 호출 수신 비트 맵 메시지를 전송한다. 슬로트된 동작 채널 메시지들은 다음과 같은 프레임을 이용하여 전송된다.
도팅=32비트
바커=16비트
메시지=32비트
메시지(반전됨)=32비트
메시지=32비트
BCH코드=12비트
특수 호출 수신 비트 맵을 다음과 같이 코드된다.
MT코드=4비트
블럭 #1비트=1비트(예, ok)
블럭 #2비트=1비트(예, ok)
블럭 #3비트=1비트(예, 0=반복)
블럭 #4비트=1비트
·
·
·
블럭 #16비트=1
BCH코드=12비트
G. 발생 이동 무선 유니트는 비트 맵 메시지를 수신하고, 다중 블럭 특수 호출 메시지를 전송한다. 그 메시지 프레임(이하에 나타냄)은 1 내지 16 블럭을 가질 수 있다.
도팅=384비트
데이타 #3블럭 #1=128비트
데이타 #2블럭 #1=128비트
데이타 #1블럭 #1=128비트
데이타 #0블럭 #1=128비트
데이타 #3블럭 #2=96비트
데이타 #3블럭 #2=96비트
·
·
·
데이타 #3, #2, #1 및 #0는 각 블럭내에서 동일하다(4번 반복됨). 블럭 #1에 대한 코딩은 다음과 같다.
도팅=16비트
바커=16비트
바이트 1=8비트
바이트 1(반전됨)=8비트
바이트 1=8비트
바이트 2=8비트
바이트 2(반전됨)=8비트
·
·
·
바이트 3=8비트
바이트 4=8비트
바이트 4(반전됨)=8비트
바이트 4=8비트
블럭 #1 이후의 블럭들내의 데이타는 도팅이나 바커코드를 갖지 않는다.
자신들의 비트 맵 비트내에 "0"을 갖고 있는 블럭들만이 전송된다. 예를들면, 스텝 F에서, 스텝 E의 블럭 #3이 최초 블럭으로 재전송될 것이다. 100msec 이내에 비트 맵도 수신되지 않으면, 스텝 E나 G 이후에, 모든 블럭이 재전송된다.
스텝 F 및 G는 모든 블럭이 정확히 수신될때까지(비트 맵=1들)반복된다.
H. 제어 체널은 모든 비동작 모선 이동 유니트들이 수신할 연속 스트림의 제어 메시지들을 전송한다. 이 메시지들은 다음과 같은 포맷을 갖는 30msec 프레임으로 2메시지씩 전달된다.
도팅=32비트
바커=16비트
메시지 #1(반전됨)=40비트
메시지 #1=40비트
메시지 #2=40비트
메시지 #2(반전됨)=40비트
메시지 #2=40비트
I. 제어 체널은 특수 호출에 대해 요구되는 바에 따라 0에서 16까지의 채널 할당 2메시지쌍을 전달한다. 각 메시지에 대한 코팅은 다음과 같다.
MT-A코드=2비트
통신 유형 코드=2비트
1/2 논리 ID=6 MSB 또는 6 LSB
그룹/논리 ID=1비트
채널=5비트
논리=12비트
BCH코드=12비트
J. 모든 비호출 이동 무선 유니트는 할당된 동작 채널로 되고, 언뮤트 한다(사후 엔트리와 동일하게). 이 점에서부터 동작 채널 메시지들은 그룹 또는 개별 호출과 동일하게 된다.
Ⅶ. 무선 호출 시퀀스-무선 발생, 동적 재분류 호출
A. 제어 채널은 모든 비동작 이동 무선 유니트가 수신할 연속 스트림의 제어 메시지들을 전송한다. 이 메시지들은 다음과 같은 포맷을 갖는 300msec 프레임으로 2메시지씩 전달된다.
도팅=32비트
바커=16비트
메시지 #1=40비트
메시지 #1(반전됨)=40비트
메시지 #1=40비트
메시지 #2=40비트
메시지 #2(반전됨)=40비트
메시지 #2=40비트
B. 동적 재분류 호출을 발생하고자 하는 이동 무선 유니트는 수신된 제어 채널 메시지들과 동기하여 제어 채널상에 요구를 전송한다. 그 프레임 포맷은 다음과 같다.
도팅=152비트
바커(3회 반복됨)=48비트
메시지=40비트
메시지(반전됨)=40비트
메시지=40비트
동적 재분류 요구 메시지는 다음과 같이 코드된다.
MT-A코드=2비트
MT-B코드=3비트
그룹 ID=11비트
논리 ID=12비트
BCH 코드=12비트
C. 제어 채널은 다음과 같이 코드된 동적 재분류 메시지로 응답한다.
MT-A 코드=2비트
MT-B 코드=3비트
그룹 ID=11비트
논리 ID=12비트
BCH 코드=12비트
D. 이동 무선 유니트는 다음과 같이 코드된 로그인 메시지로 동적 재분류를 확인한다.
MT-A 코드=2비트
MT-B 코드=3비트
그룹 ID=11비트
논리 ID=12비트
BCH 코드=12비트
E. 이동 무선 유니트는 다음과 같이 코드된 메시지로 동적 재분류의 취소를 요구할 수 있다.
MT-A 코드=2비트
MT-B 코드=3비트
그룹 ID=11비트
BCH 코드=12비트
F. 제어 채널은 다음과 같이 코드된 취소 동적 재분류 메시지로 응답한다.
MT-A 코드=2비트
MT-B 코드=3비트
그룹 ID=11비트
논리 ID=12비트
BCH 코드=12비트
G. 이동 무선 유니트는 다음과 같이 코드된 로그인 메시지로 동적 재분류 취소를 확인한다.
MT-A 코드=2비트
MT-B 코드=3비트
그룹 ID=11비트
논리 ID=12비트
BCH 코드=12비트
Ⅷ. 무선 호출 시퀀스-콘솔 발생, 그룹 호출
A. 제어 채널은 모든 비동작 이동 무선 유니트가 수신할 연속 스트림의 제어 메시지들을 전송한다. 그 메시지들은 다음과 같은 포맷을 갖고 있는 30msec 프레임으로 2메시지씩 전달된다.
도팅=32비트
바커=16비트
메시지 #1=40비트
메시지 #1(반전됨)=40비트
메시지 #1=40비트
메시지 #2=40비트
메시지 #2(반전됨)=40비트
메시지 #2=40비트
B. 그룹 호출을 발생하고자 하는 콘솔은 다운 링크로 호출 메시지를 전송한다. 그 그룹 호출 메시지는 다음과 같이 코드된다.
MID=1바이트(#0)=8비트
#바이트=1바이트(#1)=8비트
소오스 지정=바이트 #2 및 #3=16비트
비사용=4비트
MT-A 코드=2비트
통신 유형=2비트
그룹 ID=12비트
논리 OD=12비트
패리티=1바이트(#8)=8비트
C. 제어 채널은 채널 할당 2메시지쌍으로 응답한다. 그 코딩은 다음과 같다.
MT-A=2비트
통신유형=2비트
1/2논리 ID=6MSB 또는 LSB
그룹/논리 ID=1비트
채널=5비트
그룹 ID=12비트
BCH 코드=12비트
D. 피호출 그룹의 모든 이동 무선 유니트는 할당된 동작 채널로 절환하고, 확인 메시지를 수신한다. 슬로트된 동작 채널 메시지들은 다음과 같은 프레임을 이용하여 전송된다.
도팅=32비트
바커=16비트
메시지=32비트
메시지(반전됨)=32비트
메시지=32비트
그룹 호출 확인 메시지는 다음과 같이 코드된다.
MT 코드=4비트
부가청 카운트=2비트
행 타임/트렁크식=1비트
그룹/논리 ID=1비트
그룹 ID=12비트
BCH 코드=12비트
E. 발생 콘솔은 다운 링크로부터 채널 할당을 수신하고 오디오를 규정된 채널로 절환한다. 콘솔 메시지는 다음과 같이 코드된다.
MID=1바이트(#0)=8비트
#바이트=1바이트(#1)=8
S/D=바이트 #2, #3=16비트
비사용=4비트
MT 코드=2비트
통신 유형=2비트
논리 ID=12비트
비사용=2비트
그룹/논리=1비트
채널=5비트
그룹 ID=12비트
패리티=1바이트(#9)=8비트
F. 동작 채널은 2유니트-키이드/언뮤트 메시지를 전송한다.
MT 코드=4비트
부가청 카운트=2비트
행 타임/트렁크식=1비트
1비트(비사용)=0
논리 ID=12비트
BCH 코드=12비트
피호출 이동 무선 유니트들은 언뮤트 메시지를 수신하고, 오디오를 언뮤트한다.
G. 다른 동작 채널들상의 유효 이동 무선 유니트들은 부가청 채널 할당 메시지를 수신한다.
H. 제어 채널은 사후 엔트리 이동 무선 유니트들을 위한 채널 갱신 메시지를 전송한다.
I. 콘솔은 다음과 같이 코드된 언키이 메시지를 전달한다.
MID=1바이트(#0)=8비트
#바이트=1바이트=8비트
소오스 지정=바이트 #2 및 #3=16비트
비사용=4비트
MT 코드=4비트
비사용=4비트
논리 ID=12비트
패리티=바이트 #7=8비트
J. 동작 채널은 그 채널로부터 모든 이동 무선 유니트들을 드롭하도록 896 내지 2816비트의 도팅을 전송한다.
K. 콘솔은 언키이 메시지를 수신한다.
MID=바이트 #0=8비트
#바이트=바이트 #1=8비트
소오스 지정=바이트 #2 및 #3=16비트
MT-A/B/C=9비트
드롭 Cr=1비트
비사용=1비트
채널=5비트
논리 ID=12비트
패리티=바이트 #8=8비트
Ⅸ. 무선 호출 시퀀스-콘솔 발생, 개별 호출
A. 제어 채널은 모든 비동작 이동 무선 유니트가 수신할 연속 스트림이 제어 메시지들을 전송한다. 그 메시지들은 다음과 같은 포맷을 30msec 프레임으로 2메시지씩 전달된다.
도팅=32비트
바커=16비트
메시지 #1=40비트
메시지 #1(반전됨)=40비트
메시지 #1=40비트
메시지 #2=40비트
메시지 #2(반전됨)=40비트
메시지 #2=40비트
B. 개별 호출을 발생하고자 하는 콘솔은 다운 링크로 개별 호출 메시지를 전송한다. 개별 호출 메시지는 다음과 같이 코드된다.
MID=바이트 #0=8비트
#바이트=바이트 #1=8비트
소오스 지정=바이트 #2 및 #3=16비트
비사용=4비트
MT-A 코드=2비트
통신 유형=2비트
논리 ID=12비트
논리 ID=12비트
패리티=바이트 #8=8비트
C. 제어 채널은 채널 할당 2메시지쌍으로 응답한다. 그 코딩은 다음과 같다.
MT-A 코드=2비트
통신 유형=2비트
1/2 논리 ID=6 MSB 또는 LSB
그룹/논리 ID=1비트
채널=5비트
논리 ID=12비트
BCH 코드=12비트
D. 피호출 이동 무선 유니트는 할당된 동작 채널로 절환하고, 확인 메시지를 수신한단. 슬로트될 동작 채널 메시지들은 다음과 같은 프레임을 이용하여 전송된다.
도팅=32비트
바커=16비트
메시지=32비트
메시지(반전됨)=32비트
메시지=32비트
개별 호출 확인 메시지는 다음과 같이 코드된다.
MT 코드=14비트
부가청 카운트=2비트
행 타임/트렁크식=1비트
그룹/논리 ID=1비트
논리 ID=12비트
BCH 코드=12비트
E. 발생 콘솔은 다운 링크로부터 채널 할당 메시지를 수신하고, 오디오를 규정된 채널은 절환한다. 콘솔 메시지는 다음과 같이 코드된다.
MID=바이트 #0 (8비트)
#바이트=바이트 #1=8비트
소오스 지정=바이트 #2 및 #3=16비트
비사용=4비트
MT 코드=2비트
통신 유형 코드=2비트
논리 ID=12비트
비사용=2비트
그룹/논리 ID=1비트
채널=5비트
논리 ID=12비트
패리티=바이트 #9=8비트
F. 동작 채널은 2유니트-키이드/언뮤트 메시지를 전송한다.
MT 코드=4비트
부가청 카운트=2비트
행 타임/트렁크식=1비트
1비트(비사용)=0
논리 ID=12비트
BCH 코드=12비트
피호출 이동 무선 유니트는 언뮤트 메시지를 수신하고, 오디오를 언뮤트한다.
G. 다른 동작 채널들상의 유효 이동 무선 유니트들은 부가청 채널 할당 메시지를 수신하지 않는다.
H. 제어 채널은 사후 엔트리 이동 무선 유니트들을 위한 채널 갱신 메시지를 전송한다.
I. 콘솔은 다음과 같이 코드된 언키이 메시지를 절단한다.
MID=바이트 #0=8비트
#바이트=바이트 #1=8비트
소오스 지정=바이트 #2 및 #3=16비트
비사용=4비트
MT 코드=4비트
비사용=4비트
논리 ID=12비트
패리티=바이트 #7=8비트
J. 동작 채널은 그 채널로부터 모든 이용 무선 유니트를 드롭하도록 896 내지 2816비트를 전송한다.
K. 콘솔은 언키이 메시지를 수시한다.
MID=바이트 #0=8비트
#바이트=바이트 #1=8비트
소오스 지정=바이트 #2 및 #3=16비트
MT-A/B/C=9비트
드롭 채널=1비트
비사용=1비트
채널=5비트
논리 ID=12비트
패리티=바이트 #8=8비트
Ⅹ. 무선 호출 시퀀스 콘솔 발생, 패치 구동
A. 제어 채널은 모든 비동작 이동 무선 유니트들의 수신할 연속 스트림의 제어 메시지들을 전송한다. 그 메시지들은 다음과 같은 포맷을 갖는 30msec 프레임으로 2메시지씩 전달된다.
도팅=32비트
바커=16비트
메시지 #1=40비트
메시지 #1(반전됨)=40비트
메시지 #1=40비트
메시지 #2=40비트
메시지 #2(반전됨)=40비트
메시지 #2=40비트
B. 패치를 수립하고자 하는 콘솔은 다운 링크로 패치 ID 할당 메시지를 전송한다. 패치 ID 할당 메시지는 그룹 및 논리 ID 카운트들에 의존하는 가변 길이이다.
MID=29 : 바이트 #0=8비트
#바이트=바이트 #1=8비트
소오스/저정=바이트 #2,#3=16비트
비사용=4비트
그룹 카운트=4비트
개별 카운트=4비트
논리 ID=12비트
비사용=12비트
논리 ID=12비트
비사용=12비트
논리 ID=12비트
비사용=13비트
그룹 ID=11비트
비사용=13비트
그룹 ID=11비트
비사용=13비트
패치 ID=11비트
패리티=8비트
C. 콘솔은 특수 그룹 ID 코드(1000 0000 0000)를 이용하여 중앙 사이트 제어기로부터 패치 요구의 허가를 수신한다.
MID=12=바이트 #0=8비트
#바이트=바이트 #1=8비트
소오스/지정=바이트 #2,#3=16비트
비사용=4비트
MT-A 코드=11=2비트
MT-B 코드=100=3비트
패치 ID=11비트
그룹 ID=11비트
패리티=바이트 #8=8비트
D. 콘솔이 패치를 구동하고자 할때, 그것은 다운 링크로 패치 구동 메시지를 전송한다.
MID=27=바이트 #0=8비트
#바이트=바이트 #1=05=8비트
소오스/지정=바이트 #2 및 #3=16비트
비사용=4비트
MT 코드=4비트(1110)
비사용=5비트
패치 ID=11비트
패리티=바이트 #7=8비트
E. 제어 채널은 가 ID 할당 메시지들로 응답한다. 그룹 할당 메시지들은 다음과 같이 코드된다.
MT-A 코드=2비트(11)
MT-B 코드=3비트(110)
가 그룹 ID=11비트
비사용=1비트
그룹 ID=11비트
BCH 코드=12비트
그룹 가 ID 메시지들은 제어 채널 배경 모드내에서 반복되고, 이동 무선 유니트들에 의해서 허가되지는 않는다.
개별 가 ID 할당 메시지들은 다음과 같이 코드된다.
MT-A 코드=2비트(11)
MT-B 코드=3비트(101)
가 그룹 ID=11비트
논리 ID=12비트
BCH 코드=12비트
F. 모든 이동 무선 유니트는 할당 메시지들을 수신하지만, 개별 호출 이동 무선 유니트들만이 메시지를 허가한다.
MT-A 코드=2비트(11)
MT-B 코드=3비트(110)
가 그룹 ID=11비트
논리 ID=12비트
BCH 코드=12비트
G. 콘솔은 패치를 확인하기 위하여 패치 할당/구동 메시지들을 수신한다. 각 할당에 대하여 하나의 메시지가 있다.
MID=12=바이트 #0=8비트
#바이트=바이트 #1=8비트
소오스/지정=바이트 #2 및 #3=16비트
비사용=4비트
MT-A 코드=2비트(11)
MT-B 코드=3비트(100)
패치 ID=11비트
그룹 ID=12비트
패리티=바이트 #8=8비트
MID=13=바이트 #0=8비트
#바이트=바이트 #1=8비트
소오스/지정=바이트 #2 및 #3=16
비사용=4비트
MT-A 코드=2비트(11)
MT-B 코드=3비트(101)
패치 ID=11비트
논리 ID=12비트
패리티=바이트 #8=8비트
H. 콘솔은 패치 ID를 이용하여 그룹 호출 메시지를 전송함으로써 패치 호출을 발생한다.
MID=24=바이트 #0=8비트
#바이트=바이트 #1=8비트
소오스/지정=바이트 #2 및 #3=16비트
비사용=4비트
MT 코드=2비트(00)
통신 유형=2비트(00)
패치 ID=12비트
논리 ID=12비트
패리티=바이트 #8
I. 제어 채널은 그룹 호출 메시지를 전송한다. 그 다음의 스텝들은 콘솔 발생 그룹 호출과 동일하다.
이제까지 본 발명의 양호한 실시예에 대해 설명하였으나, 당 분야에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라면 본 발명의 신규한 특징 및 장점들을 그대로 유지시키면서 이 실시예에 대하여 각종의 변형을 행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이러한 모든 변형 및 변경들도 첨부된 특허청구의 범위의 범주내에 포함시키고자 한다.

Claims (78)

  1. 디지탈 제어 채널과, 그 제어 채널을 통해 전송되는 디지탈 제어 신호들에 의해 지정된 개개의 무선 유니트가 일시적으로 사용하도록 할당된 복수의 동작 채널을 갖고, 상기 제어 채널은 상기 무선 유니트로부터의 인바운드 디지탈 제어 신호를 제어 사이트로 보내고, 상기 인바운드 디지탈 제어 신호는 이산 신호 전송 슬로트를 정의하는 시간다중 포맷(time-multiplexed format)을 갖는 트렁크식 무선 중계기 시스템내에서 정확하고 신속한 통신을 달성하기 위한 통신방법에 있어서, (a) 상기 제어 채널 인바운드 디지탈 신호 전송 슬로트를 통해 제1무선 유니트로부터 상기 제어 사이트로 디지탈 요구신호들은 전달함으로써 동작 채널의 할당을 요구하는 단계와 ; (b) 소정의 기대된 응답 시간내에 상기 제어 사이트으로부터 상기 제어 채널을 거쳐 응답 채널 할당 신호들이 복귀되는지에 대해 상기 제어 채널을 감시하는 단계와 ; (c) 이와 같은 채널 할당 신호들이 검출되지 않으며, (c1) 재시도 시간 윈도우내에 단계(a) 및 (b)를 반복하고, (c2) 재시도 횟수의 함수로써 상기 재시도 시간 윈도우의 지속기간을 증가시키는 단계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반복은 상기 재시도 시간 윈도우내에서 랜덤하게 변화하는 시간으로 발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디지탈 요구 신호들은 소정의 시간 슬로트들내에서 메시지들로써 전송되고, 상기 증가 단계(c2)는 다음의 표,
    1차 재시도=2슬로트 가변성
    2차 재시도=4슬로트 가변성
    이후의 재시도들=8슬로트 가변성
    에 따라 상기 재시도 시간 윈도우의 지속 시간을 증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채널을 통해 전송된 상기 디지탈 제어 신호들의 상기 신호 전송 슬로트들이 특정의 지속기간을 갖고, 상기 증가 단계(c2)는 상기 재시도 시간 윈도위의 지속기간을 상기 제어 채널 신호 전송 슬로트들의 상기 특정 지속기간의 함수로써 증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증가 단계(c2)는 상기 제어 채널 인바운드 디지탈 신호 전송 슬로트들의 지속기간에 관련된 시간 간격만큼 상기 재시도 시간 윈도우 지속기간을 증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방법.
  6. 디지탈 제어 채널과, 그 제어 채널을 통해 전송되는 디지탈 제어 신호들에 의해 지정되는 개개의 무선 유니트가 일시적으로 사용하도록 할당된 복수의 동작 채널을 갖고, 상기 제어 채널은 상기 무선 유니트로부터 인바운드 디지탈 제어 신호를 제어 사이트으로 보내고, 상기 인바운드 디지탈 제어 신호는 이산 신호 전송 슬로트를 정의하는 시간다중 포맷을 갖는 트렁크식 무선 중계기 시스템내에서 정확하고 신속한 통신을 달성하기 위한 통신장치에 있어서, (a) 제어 채널 인바운드 디지탈 신호 표시 슬로트를 거쳐 디지탈 요구 신호들은 전달함으로써 동작 채널의 할당을 요구하는 수단과; (b) 소정의 기대된 응답 시간내에 상기 제어 채널을 거쳐 응답 채널 할당 신호들이 복귀되는지에 대해 상기 제어 채널을 감시하는 수단과; (c) 이와 같은 반응 채널 할당 신호들이 검출되지 않는 경우에, 재시도 시간 윈도우내에 상기 요구 기능 및 감시 기능을 반복하는 수단과; (d) 재시도 횟수의 함수로써 상기 재시도 시간 윈도우의 지속기간을 증가시키기 위해 상기 반복 수단에 연결된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반복 수단은 상기 반복된 요구들이 상기 재시도 시간 윈도우내에서 랜덤한 가변 시간으로 발생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장치.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디지탈 요구 신호들은 소정의 시간 슬로트들내에서 메시지들로써 전송되고, 상기 지속기간 증가 수단은 다음의 표,
    1차 재시도=2슬로트 가변성
    2차 재시도=4슬로트 가변성
    이후의 재시도들=8슬로트 가변성
    에 따라 상기 시간 윈도위가 점진적으로 증가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장치.
  9.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채널을 통해 전송된 상기 디지탈 제어 신호들의 상기 신호 전송 슬로트들이 특정의 지속기간을 갖고, 상기 증가 수단은 상기 제어 채널 신호 전송 슬로트들의 상기 특정 지속기간의 함수로써 상기 재시도 시간 윈도우를 포함시키는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장치.
  10.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증가 수단이 상기 제어 채널 인바운드 디지탈 신호 전송 슬로트들의 지속기간에 관련된 시간 간격만큼 상기 재시도 시간 윈도우 지속기간을 증가시키는 수단을 포함하는 특징으로 하는 통신장치
  11. 디지탈 제어 채널과, 그 제어 채널상의 디지탈 제어 신호들에 의해 지정된 개개의 무선 유니트가 일시적으로 사용하도록 할당된 복수의 동작 채널을 갖는 트렁크식 무선 중계기 시스템내에서 정확하고 신속한 통신을 달성하기 위한 통신방법에 있어서, 활당된 동작 채널상에서 무선 유니트의 동작이 설정된 후에 상기 할당된 동작 채널을 거쳐 반복적으로 전송된 부가청(subaudible) 신호들을 통해 수신된 소정의 디지탈 데이타 필드를 감시하는 단계와 ; 상기 소정의 디지탈 데이타 필드내에서 검출된 변경에 응답하여 상기 동작 채널로부터 무선 유니트의 동작을 드롭(drop)시키는 단계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방법.
  12. 제11항에 있어서, 주어진 동작 채널상에 전송된 상기 소정의 데이타 필드를 그 채널의 새로운 할당이 이루어질때마다 변경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방법.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소정의 데이타 필드는 다중 비트 2진 카운터 필드를 구비하고, 상기 다중 비트 2진 카운터 필드는 그에 포함되어 있는 카운트 값을 증분시킴으로써 변경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방법.
  14. 디지탈 제어 채널과, 그 제어 채널상의 디지탈 제어 신호들에 의해 지정된 개개의 무선 유니트가 일시적으로 사용하도록 할당된 복수의 동작 채널을 갖는 트렁크식 무선 중계기 시스템내에서 정확하고 신속한 통신을 달성하기 위한 통신장치에 있어서, 할당된 동작 채널상에서 무선 유니트의 동작이 설정된 후에 상기 할당된 동작 채널을 거쳐 전송된 부가청 신호들을 통해 수신된 소정의 디지탈 데이타 필드를 감시하는 수단과; 상기 소정의 디지탈 데이타 필드내에서 검출된 변경에 응답하여 상기 동작 채널로부터 무선 유니트의 동작을 드롭시키는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장치.
  15. 제14항에 있어서, 주어진 동작 채널상에 전송된 상기 소정의 데이타 필드를 그 채널의 새로운 할당이 이루어질때마다 변경시키는 수단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장치.
  16.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소정의 데이타 필드를 다중 비트 2진 카운터 필드로서 규정하는 수단을 구비하며 상기 다중 비트 2진 카운터 필드는 그에 포함되어 있는 카운트 값을 증분시킴으로써 변경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장치.
  17. 디지탈 제어 채널과, 그 제어 채널상의 디지탈 제어신호들에 의해 지정된 개개의 무선 유니트가 일시적으로 사용하도록 할당된 복수의 동작 채널을 갖는 트렁크식 무선 중계기 시스템내에서 정확하고 신속한 통신을 달성하기 위한 통신방법에 있어서, 상기 제어 채널이나 코뮤니케에 포함된 각 무선 유니트에 할당된 동작 채널 중 적어도 하나에 제공된 제어 신호들을 테스트함으로써, 상기 할당된 동작 채널의 이용이 전송 트렁크식인지 또는 메시지 트렁크식 인지를 식별하는 트렁크 상태 신호를 검출하는 단계와 ; 전송 트렁크 상태가 검출되었을 경우, PTT 해제시 제어 채널에 대해 호출 유니트의 동작을 즉시 반전시키는 단계와 ; 전송 트렁크 상태가 검출되었을 경우, 상기 할당된 동작 채널상의 피호출 유니트로부터의 전송을 방지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방법.
  18. 디지탈 제어 채널과, 그 제어 채널상의 디지탈 제어 신호들에 의해 지정된 개개의 무선 유니트가 일시적으로 사용하도록 할당된 복수의 동작 채널을 갖는 트렁크식 무선 중계기 시스템내에서 정확하고 신속한 통신을 달성하기 위한 통신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어 채널이나 코뮤니케에 포함된 각 무선 유니트에 할당된 동작 채널중 적어도 하나에 제공된 제어신호내에 트렁크 상태를 테스트하는 수단과; 상기 테스팅 수단에 접속되고 상기 테스팅에 응답하여 상기 할당된 동작 채널의 이용이 전송 트렁크식인지 또는 메시지 트렁크식인가를 결정하는 수단과; 전송 트렁크 상태가 검출되었을 경우, PTT 해제시 제어 채널에 대해 호출 유니트의 동작을 즉시 반전시키는 수단과; 전송 트렁크 상태가 검출되었을 경우, 상기 할당된 동작 채널상의 피호출 유니트로부터의 전송을 방지하는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장치.
  19. 디지탈 제어 채널과, 그 제어 채널상의 디지탈 제어신호들에 의해 지정된 개개의 무선 유니트가 일시적으로 사용하도록 할당된 복수의 동작 채널을 갖는 트렁크식 무선 중계기 시스템내에서 정확하고 신속한 통신을 달성하기 위한 통신방법에 있어서, 호출 무선 유니트에 의해 코뮤니케를 위한 동작 채널 할당이 개시되었는지에 대해 상기 제어 채널을 감시하는 단계와 ; 호출 무선 유니트의 아이덴티티를 피호출 무선 유니트에 기록하는 단계와 ; 방금 호출된 무선의 PTT 스위치가 방금전의 코뮤니케의 중지후 소정시간 기간내에 작동되는 경우, 이전의 상기 호출 무선 유니트의 상기 기록된 아이덴티티를 이용하여 방금 호출된 무선 유니트로부터 다시 이전의 상기 무선 유니트로 채널 할당 호출 요구를 계속해서 자동적으로 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방법.
  20. 디지탈 제어 채널과, 그 제어 채널상의 디지탈 제어 신호들에 의해 지정된 개개의 무선 유니트가 일시적으로 사용하도록 할당된 복수의 동작 채널을 갖는 트렁크식 무선 중계기 시스템내에서 정확하고 신속한 통신을 달성하기 위한 통신장치에 있어서, 호출 무선 유니트에 의해 코뮤니케를 위한 동작 채널 할당이 개시되었는지에 대해 상기 제어 채널을 감사히는 수단과; 호출 무선 유니트의 아이덴티티를 피호출 무선 유니트에 기록하는 수단과; 방금 호출된 무선의 PTT 스위치가 방금전의 코뮤티케의 중지후 소정시간 기간내에 작동되는 경우, 이전의 상기 호출 무선 유니트의 상기 기록된 아이덴티티를 이용하여 방금 호출된 무선 유니트로부터 이전의 상기 무선 유니트로 채널 할당 호출 요구를 계속해서 자동적으로 개시하는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장치.
  21. 디지탈 제어 채널과, 그 제어 채널상의 디지탈 제어 신호들에 의해 지정된 개개의 무선 유니트가 일시적으로 사용하도록 할당된 복수의 동작 채널을 갖는 트렁크식 무선 중계기 시스템내에서 정확하고 신속한 통신을 달성하기 위한 통신방법에 있어서, 소정 무선 유니트에 어드레스된 동작 채널 할당들에 대해 상기 제어 채널을 감시하는 단계와 ; 상기 제어 채널상에서 이와 같은 할당의 검출에 응답하여 상기 무선 유니트의 동작을 할당된 동작 채널로 시프트하는 단계와 ; 확장된 도팅 신호와, 코뮤니케를 위한 상기 무선 유니트로의 특정 채널을 할당을 확인하는 확인 신호들에 대해, 할당된 동작 채널상으로의 도달과 동시에, 시초로 그 동작 채널을 감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방법.
  22.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할당된 동작 채널의 시초 감시 단계는, 상기 확장된 지속기간 도팅 신호가 검출된 경우에 무선 동작들을 상기 제어 채널로 다시 시프트하는 단계와 ; 상기 확인 신호들이 상기 무선 유니트에 그 특징 채널이 할당되는 것을 확인하는 경우에 무선 동작들을 상기 할당된 동작 채널상에 록크하고 출력 신호를 뮤트(muting)하는 단계와 ; 상기 할당된 동작 채널상에서 다른 소정의 언뮤팅(unmuting)신호들이 검출될 때 상기 출력 신호를 계속하여 언뮤트하는 단계와 ; 상기 확인 신호들의 중단시, 부가청 신호 전송 및 언뮤팅 신호들에 대해 상기 할당된 동작 채널을 감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방법.
  23. 제21항에 있어서, 드롭 채널 신호 전송의 수신시, 상기 동작 채널을 드롭하고 소정 시간 기간동안 방금 드롭된 어드레스 및 동작 채널에 대한 임의의 채널 갱신을 무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방법.
  24. 제21항에 있어서, 호출 무선에서 PTT 스위치의 해제시, 언키이드 메시지가 상기 할당된 동작 채널을 통해 중앙 제어 사이트로 전송되고, 계속해서, 상기 중앙 제어 사이트는, 할당된 동작 채널상에 존재하는 모든 무선 유니트에 대해 제1의 소정 시간 기간동안 드롭 채널 신호를 구성하도록 도팅 신호를 전송하고, 다른 코뮤니케들에 대한 요구들이 제어 사이트에 대기하고 있는 경우에, 상기 드롭 채널 신호를 인터럽트하고 이미 할당된 동작 채널을 통해 즉시 어드레스된 채널 할당 확인 메시지를 즉시 전송함으로써 언키이드 메시지에 응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방법.
  25. 디지탈 제어 채널과, 그 제어 채널상의 디지탈 제어 신호들에 의해 지정된 개개의 무선 유니트가 일시적으로 사용하도록 할당된 복수의 동작 채널을 갖는 트렁크식 무선 중계기시스템내에서 정확하고 신속한 통신을 달성하기 위한 통신장치에 있어서, 소정 무선 유니트에 어드레스된 동작 채널 할당에 대해 상기 제어 채널을 감시하는 수단과; 상기 제어 채널상에서 이와 같은 할당의 검출에 응답하여 상기 무선 유니트의 동작을 할당된 동작 채널로 시프트하는 수단과; 지속기간이 확장된 도팅 신호와, 코뮤니케를 위한 상기 무선 유니트로의 특정 채널의 할당을 확인하는 확인 신호들에 대해, 할당된 동작 채널상으로의 도달시에, 시초로 그 동작 채널을 동시에 감시하는 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장치.
  26. 제25항에 있어서, 상기 할당된 동작 채널을 동시에 감시하는 수단은, 상기 확장된 지속기간 도팅 신호가 검출된 경우에 무선 동작들을 상기 제어 채널로 시프트하는 수단과; 상기 확인 신호들을 검출하는 수단과; 상기 검출 수단에 연결되며 상기 검출 수단이 상기 확인 신호들을 검출한 경우에 무선 동작을 상기 할당된 동작 채널에 록크시키는 수단과; 뮤트된 무선 출력을 공급하고 또한 상기 할당된 동작 채널상에서 언뮤팅 신호들의 검출에 응답하여 상기 출력을 뒤이어 언뮤트하는 수단과; 상기 확인 신호들의 중단시, 부가청 신호 및 언뮤팅 신호들에 대해 상기 할당된 동작 채널을 감시하는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장치.
  27. 제25항에 있어서, 채널 드롭 신호 전송의 수신에 응답하여 상기 동작 채널을 드롭시키는 수단과; 드롭 채널 신호 전송의 수신후에, 소정시간 기간동안 방금 드롭된 어드레스 및 동작 채널에 대한 임의 채널 갱신을 무시하는 수단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장치.
  28. 제25항에 있어서, 호출 무선에서 PTT 스위치의 해제시, 언키이드 메시가 상기 할당된 동작 채널을 통해 중앙 제어 시이트로 전송되고, 계속해서, 중앙 제어 시이트는, 할당된 동작 채널상에 존재하는 모든 무선 유니트에 대해 드롭 채널 신호를 구성하도록 제1의 소정시간 기간동안 도팅 신호들을 전송하는 수단과; 다른 코뮤니케들에 대한 요구들이 제어 시이트에 대기하고 있는 경우에, 상기 드롭 채널 신호를 인터럽트하고 이미 할당된 동작 채널을 통해 이미 어드레스된 채널 할당 확인 메시지를 즉시 전송하는 수단을 포함하고 언키이드 메시지에 응답하는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장치.
  29. 디지탈 제어 채널과, 그 제어 채널상의 디지탈 제어 신호들에 의해 지정된 개개의 무선 유니트가 일시적으로 사용하도록 할당된 복수의 동작 채널을 갖는 트렁크식 무선 중계기 시스템내에서 정확하고 신속한 통신을 달성하기 위한 통신방법에 있어서, 상기 제어 채널을 통해 제1무선 유니트로부터 제어 시이트로 디지탈 요구 신호들을 전달함으로써 동작 채널의 할당을 요구하는 단계와 ; 상기 제어 채널을 통해 디지탈 할당 신호들은 전달함으로서 상기 제1무선 유니트 및 적어도 하나의 무선 유니트에 특정의 동작 채널을 할당하는 단계와 ; 상기 할당된 동작 채널을 통해 상기 무선 유니트들중의 적어도 하나와 상기 제어 시이트 사이에 디지탈 핸드 세이크 신호들을 교환하는 단계와 ; 상기 핸드 세이크 신호들의 성공적인 교환에 응답하여 상기 할당된 동작 채널상에 디지탈 해제 신호들을 전달함으로써 상기 할당된 동작 채널을 통한 통신을 위해 상기 유니트들을 해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방법.
  30. 제29항에 있어서, 상기 핸드 세이크 신호들은 상기 제1무선 유니트와 교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방법.
  31. 제29항에 있어서, 상기 해제 신호들은 상기 제어 시이트로부터 전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방법.
  32. 제29항에 있어서, 상기 모든 디지탈 신호는 대략 9600bps의 속도로 전송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방법.
  33. 제29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신호들, 요구신호들 및 핸드 세이크 신호들은 3중 데이타 여유분을 포함하고, 상기 할당 신호들은 피호출측과 할당된 채널을 나타내는 데이타의 6중 여유분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방법.
  34. 제29항에 있어서, 특정 우선순위가 상기 동작 채널 할당과 관련되어 있고, 할당된 동작 채널상에 우선순위들이 관련된 디지탈 부가청 신규 채널 할당 갱신 메시지들을 전송하는 단계와 ; 각 무선 유니트내에서 상기 갱신 메시지들을 감시하고, 상기 각 무선 유니트로 향한 새로운 채널 갱신 메시지와 관련된 우선순위가 상기 특정 우선순위보다 고순위일 경우, 응답하여 상기 할당된 동작 채널을 드롭 오프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방법.
  35. 제34항에 있어서, 상기 할당 단계는 상기 동작 채널이 할당될 때마다 부가청 신호 전송 카운트 값을 증분시키는 단계를 포함하고 ; 상기 부가청 메시지 전송 단계는 상기 부가청 갱신 메시지들의 각 메시지내에 상기 증분된 카운트 값을 전송하고 상기 동작 채널을 통해 상기 부가청 갱신 메시지를 연속적으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방법.
  36. 제34항에 있어서, 상기 할당 단계는 상기 동작 채널이 할당될 때마다 2비트 부가청 신호 전송 카운트 값을 증분시키는 단계를 포함하고 ; 상기 부가청 메시지 전송 단계는 상기 부가청 갱신 메시지들의 각 메시지내에 상기 증분된 카운트 값을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방법.
  37. 제29항에 있어서, 진행중인 동작 채널 통신에 대해 상기 초기 디지탈 할당 신호들에 의해 지정된 피호출 유니트의 사후 엔트리를 허용하도록 제어 채널상에 디지탈 채널 할당 사후 엔트리 메시지들을 후속적으로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방법.
  38. 제29항에 있어서, 호출 유니트로부터 상기 할당된 동작 채널상에 디지탈 언키이드 메시지를 전달하는 단계와 ; 상기 언키이드 메시지에 응답하여, 상기 제어 시이트로부터 상기 할당된 동작 채널상에 모든 유니트가 드롭 오프되도록 해서 할당된 동작 채널이 즉시 다음의 할당을 위해 자유롭게 되도록 하는 디지탈 드롭 신호를 전달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방법.
  39. 디지탈 제어 채널과, 그 제어 채널상의 디지탈 제어 신호들에 의해 지정된 개개의 무선 유니트가 일시적으로 사용하도록 할당된 복수의 동작 채널을 갖는 트렁크식 무선 중계기 시스템내에서 확실하고 신속한 통신을 달성하기 위한 통신방법에 있어서, 상기 제어 채널을 통해 제1무선 유니트로부터 제어 시이트로 디지탈 요구 신호들을 전달함으로써 동작 채널의 할당을 요구하는 단계와 ; 상기 제어 채널을 통해 상기 제어 시이트로부터 상기 무선 유니트들로 디지탈 할당 신호들을 전달함으로써 상기 제1무선 유니트 및 적어도 하나의 제2무선 유니트에 특정 동작 채널을 할당하는 단계와 ; 상기 제어 시이트로부터 상기 할당된 동작 채널상에 디지탈 확인 신호들을 전달함으로써 상기 할당을 확인하는 단계와 ; 상기 확인 신호들에 응답하여 상기 할당된 동작 채널을 통해 상기 유니트들중의 하나로부터 상기 제어 시이트로 디지탈 확인 신호들을 전달하는 것을 포함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유니트에 의한 상기 할당 및 확인 신호들의 성공적인 수령을 인지하는 단계와 ; 상기 인지 신호들에 응답하여 상기 할당된 동작 채널을 통해 디지탈 해제 신호들을 전달함으로써 통신을 위해 상기 유니트들중의 적어도 하나를 해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방법.
  40. 제39항에 있어서, 상기 인지 신호들은 상기 제1유니트로부터 전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방법.
  41. 제39항에 있어서, 상기 해제 신호들은 상기 제어 시이트로부터 전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방법.
  42. 제41항에 있어서, 상기 제2유니트는 상기 해제 신호들의 수신에 의해 통신하도록 인에이블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방법.
  43. 제42항에 있어서, 상기 인지 신호들은 상기 제1유니트로부터 전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방법.
  44. 제41항에 있어서, 상기 인지 신호들은 상기 제1유니트로부터 전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방법.
  45. 제39항에 있어서, 상기 요구 신호들, 할당 신호들, 인지 신호들 및 해제 신호들은 모두 디지탈적으로 인코드되고, 상기 제어 채널 및 할당된 동작 채널을 통해 각각 대략 9600bps의 속도로 전송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방법.
  46. 제39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신호들, 상기 요구 신호들 및 상기 확인 신호들은 각각 3중 데이타 여유분을 포함하고, 상기 할당 신호들은 피호출측 및 할당된 채널을 나타내는 데이타의 6중 여유분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방법.
  47. 제39항에 있어서, 특정 우선순위가 상기 동작 채널 할당과 관련되어 있고, 할당된 동작 채널상에 우선순위들이 관련된 디지탈 부가청 신규 채널 할당 갱신 메시지들을 전송하는 단계와 ; 각 유니트내에서 상기 갱신 메시지들을 감시하고, 상기 각 무선 유니트로 향한 새로운 채널 갱신 메세지와 관련된 우선순위가 상기 특정 우선순위보다 고순위일 경우, 응답하여 상기 할당된 동작 채널을 드롭 오프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방법.
  48. 제47항에 있어서, 상기 할당 단계는 상기 동작 채널이 할당될 때마다 부가청 신호 전송 카운트 값을 증분시키는 단계를 포함하고 ; 상기 부가청 메시지 전송 단계는 상기 부가청 갱신 메시지의 각 메시지내에 상기 증분된 카운트 값을 전송하고 상기 동작 채널을 통해 상기 부가청 갱신 메시지를 연속적으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방법.
  49. 제39항에 있어서, 진행중인 동작 채널 통신에 대해 상기 초기 디지탈 할당 신호들에 의해 지정된 피호출 유니트의 사후 엔트리를 허용하도록 제어 채널상에 디지탈 채널 할당 사후 엔트리 메시지들을 후속적으로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방법.
  50. 제39항에 있어서, 호출 유니트로부터 상기 할당된 동작 채널상에 디지탈 언키이드 메시지를 전달하는 단계와 ; 상기 언키이드 메시지에 응답하여, 상기 제어 시이트로부터 상기 할당된 동작 채널상에, 모든 유니트가 드롭 오프되도록 해서 할당된 동작 채널이 즉시 다음의 할당을 의해 자유롭게 되도록 하는 디지탈 드롭 신호를 전달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방법.
  51. 디지탈 제어 채널과, 그 제어 채널상의 디지탈 제어 신호들에 의해 지정된 개개의 무선 유니트가 일시적으로 사용하도록 할당된 복수의 동작 채널을 갖는 트렁크식 무선 중계기 시스템내에서 정확하고 신속한 통신을 달성하기 위한 통신장치의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제어 채널을 통해 제1무선 유니트로부터 제어 시이트로 디지탈 요구 신호들을 전달함으로써 동작 채널의 할당을 요구하는 수단과; 상기 제어 채널을 통해 디지탈 할당 신호들을 전달함으로써 상기 제1무선 유니트 및 적어도 하나의 무선 유니트에 특정의 동작 채널을 할당하는 수단과; 상기 할당된 동작 채널을 통해 상기 무선 유니트들중의 적어도 하나의 상기 제어 사이에 디지탈 핸드 세이크 신호들을 교환하는 수단과; 상기 핸드 세이크 신호들이 성공적인 교환에 응답하여 상기 할당된 동작 채널상에 디지탈 해제 신호들을 전달함으로써 상기 할당된 동작 채널을 통한 통신을 위해 상기 유니트들을 해제하는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장치의 시스템.
  52. 제51항 있어서, 상기 동작 채널 할당이 그와 관련된 특정 우선순위를 갖고, 할당된 동작 채널상에 관련 우선 순위를 갖는 디지탈, 부가청 신규 채널 할당 갱신 메시지들을 전송하는 수단과; 각 유니트에서 상기 갱신 메시지들을 감시하는 수단과; 상기 감시 수단에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감시된 갱신 메시지들의 우선순위들을 검출하기 위한 수단과; 상기 검출 수단에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각 무선 유니트로 향한 새로운 채널 갱신 메세지와 관련된 우선순위가 상기 특정 우선순위보다 고순위일 경우, 할당은 동작 채널을 그에 응답하여 드롭 오프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스템.
  53. 제52항에 있어서, 상기 할당 수단은 상기 동작 채널이 할당될때마다 부가청 신호 전송 카운트값을 증분시키는 수단을 포함하고 ; 상기 부가청 메시지 전송 수단은 상기 부가청 갱신 메시지들의 각 메시지에서 상기 증분된 카운트값을 전송하는 수단과 상기 동작 채널을 통해 상기 부가청 갱신 메시지를 연속적으로 전송하는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스템.
  54. 제52항에 있어서, 상기 할당 수단은 상기 동작 채널이 할당될때마다 2비트 부가청 신호 전송 카운트 값을 증분시키는 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부가청 메시지 전송 수단은 상기 부가청 갱신 메시지의 각 메시지내에 상기 증분된 카은트값을 전송하는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스템.
  55. 제52항에 있어서, 진행중인 동작 채널 통신에 대해 상기 초기 디지탈 할당 신호들에 의해 지정된 피호출 유니트의 사후 엔트리를 허용하도록 제어 채널상에 디지탈 채널 할당 사후 엔트리 메시지들을 후속적으로 전송하는 수단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스템.
  56. 제52항에 있어서, 호출 유니트로부터 상기 할당된 동작 채널상에 디지탈 언키이드 메시지를 전달하는 수단과; 상기 언키이드 메시지에 응답하여, 상기 제어 시이트로부터 상기 할당된 동작 채널상에 모든 유니트가 드롭 오프되도록 해서 할당된 동작 채널이 즉시 다음의 할당을 위해 자유롭게 되도록 하는 디지탈 드롭 신호를 전달하는 수단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스템.
  57. 디지탈 제어 채널과, 그 제어 채널상의 디지탈 제어 신호들에 의해 지정된 개개의 무선 유니트가 일시적으로 사용하도록 할당된 복수의 동작 채널을 갖는 트렁크식 무선 중계기 시스템내에서 확실하고 신속한 통신을 달성하기 위한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제어 채널을 통해 제1무선 유니트로부터 제어 사이트로 디지탈 요구 신호들을 전달함으로써 동작 채널의 할당을 요구하는 수단과; 상기 제어 채널을 통해 상기 제어 시이트로부터 상기 무선 유니트들로 디지탈 할당 신호들을 전달함으로써 상기 제1무선 유니트 및 적어도 하나의 제2무선 유니트에 특정의 동작 채널을 할당하는 수단과; 상기 제어 시이트로부터 상기 할당된 동작 채널상에 디지탈 확인 신호들을 전달함으로써 상기 할당을 확인하는 수단과; 상기 확인 신호들에 응답하여 상기 할당된 동작 채널을 통해 상기 유니트들중의 하나로부터 상기 제어 시이트로 디지탈 확인 신호들을 전달하는 것을 포함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유니트에 의한 상기 할당 및 확인 신호들의 성공적인 수신을 인지하는 수단과; 상기 인지 신호들에 응답하여 상기 할당된 동작 채널을 통해 디지탈 해제 신호들을 전달함으로써 통신을 위해 상기 유니트들중의 적어도 하나를 해제하는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스템.
  58. 제57항에 있어서, 상기 요구 신호들, 할당 신호들, 인지 신호들 및 해제 신호들이 모두 디지탈적으로 인코드되고, 상기 제어 채널 및 할당된 동작 채널을 통해 각각 대략 9600bps의 속도로 전송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스템.
  59. 제57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신호들, 상기 요구신호들 및 상기 확인 신호들 각각은 3중 데이타 여유분을 포함하고, 상기 할당 신호들은 피호출측 및 할당된 채널을 나타내는 데이타의 6중 여유분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스템.
  60. 디지탈 제어 채널과, 그 제어 채널상의 디지탈 제어 신호들에 의해 지정된 개개의 무선 유니트가 일시적으로 사용하도록 할당된 복수의 동작 채널을 갖는 트렁크식 무선 중계기 시스템내에서 확실하고 신속한 통신을 달성하기 위한 통신방법에 있어서, 동작 채널의 할당을 요구하는 단계와 ; 상기 요구된 할당에 응답하여 상기 제어 채널을 통해 발행된 디지탈 동작 채널 할당 신호들을 감시하는 단계와 ; 상기 할당된 동작 채널을 통해 상기 제어 시이트와 상기 무선 유니트들 사이에 디지탈 핸드 세이크 신호들을 교환하는 단계와 ; 상기 핸드 세이크 신호들의 성공적인 교환에 응답하여 상기 할당된 동작 채널상에 디지탈 해제 신호들을 전달함으로써 통신을 위해 상기 할당된 동작 채널을 해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방법.
  61. 제60항에 있어서, 상기 해제 신호들은 상기 제어 시이트로부터 전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방법.
  62. 제60항에 있어서, 상기 모든 디지탈 신호는 대략 9600pbs의 속도로 전송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방법.
  63. 제60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신호들, 요구 신호들 및 핸드 세이크 신호들은 3중 데이타 여유분을 포함하고, 상기 할당 신호들은 피호출측과 할당된 채널을 나타내는 데이타의 6중 여유분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방법.
  64. 제60항에 있어서, 상기 동작 채널 할당이 그와 관련된 특정 우선순위를 갖고, 상기 할당된 동작 채널상에 관련 우선순위들을 갖는 디지탈 부가청 신규채널 및 할당 갱신 메시지들을 전송하는 단계와 ; 각 무선 유니트내에서 상기 갱신 메시지들을 감시하는 단계와 ; 상기 감시수단으로 향한 새로운 채널 갱신 메시지와 관련된 우선순위가 상기 특정의 우선순위보다 고순위일 경우, 그에 응답하여 할당된 동작 채널을 드롭 오프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방법.
  65. 제64항에 있어서, 상기 할당 단계는 상기 동작 채널이 할당될 때마다 부가청 신호 전송 카운트값을 증분시키는 단계를 포함하고 ; 상기 부가청 메시지 전송단계는 상기 부가청 갱신 메시지들의 각 메시지내에 상기 증분된 카운트값을 전송하고 상기 동작 채널을 통해 상기 부가청 갱신 메시지를 연속적으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방법.
  66. 제60항에 있어서, 진행중인 동작 채널 통신에 대해 피호출 유니트의 사후 엔트리를 허용하도록 제어 채널상에 디지탈 채널 할당 사후 엔티르 메시지들을 연속적으로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상기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방법.
  67. 디지탈 제어 채널과, 그 제어 채널상의 디지탈 제어 신호들에 의해 지정된 개개의 무선 유니트가 일시적으로 사용하도록 할당된 복수의 동작 채널을 갖는 트렁크식 무선 중계기 시스템내에서 확실하고 신속하게 통신을 달성하기 위한 시스템에 있어서, 동작 채널의 할당을 요구하는 수단과; 상기 제어 채널을 통해 디지탈 할당 신호들을 전달함으로써 무선 유니트에 특정의 동작 채널을 할당하는 수단과; 상기 할당된 동작 채널을 통해 상기 무선 유니트중 적어도 하나와 상기 제어 시이트 사이에 디지탈 핸드 세이크 신호들을 교환하는 수단과; 상기 핸드 세이크 신호들의 성공적인 교환에 응답하여 상기 할당된 동작 채널상에 디지탈 해제 신호들을 전달함으로써 통신을 위해 상기 할당된 동작 채널을 해제하는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스템.
  68. 제67항에 있어서, 상기 동작 채널 할당은 그와 관련된 특정 우선순위를 갖고, 할당된 동작 채널상에 관련 우선순위들을 갖는 디지탈, 부가청 신규채널 할당 갱신 메시지들을 전송하는 수단과; 각 유니트에서 상기 갱신 메시지들을 감시하는 수단과; 상기 감시 수단에 연결되고 상기 감시된 갱신 메시지들의 우선순위들을 검출하기 위한 수단과; 상기 검출 수단에 연결되고 상기 각 무선 유니트로 향한 새로운 채널 갱신 메세지와 관련된 우선순위가 상기 특정 우선순위보다 고순위일 경우, 그에 응답하여 상기 할당된 동작 채널을 드롭 오프하기 위한 수단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스템.
  69. 제68항에 있어서, 상기 할당 단계는 상기 동작 채널이 할당될 때마다 부가청 신호 전송 카운트값을 증분시키는 수단을 포함하고 ; 상기 부가청 메시지 전송 수단은 상기 부가청 갱신 메시지들의 각 메시지내에 상기 증분된 카운트값을 전송하는 수단과 상기 동작 채널을 통해 상기 부가청 갱신 메시지를 연속적으로 전송하는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스템
  70. 제67항에 있어서, 진행중인 동작 채널 통신에 대해 상기 시초 디지탈 할당 신호들에 의해 지정된 피호출 유니트의 사후 엔트리를 허용하도록 제어 채널상에 디지탈 채널 할당 사후 엔트리 메시지들을 후속적으로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방법.
  71. 제67항에 있어서, 호출 유니트로부터 상기 할당된 동작 채널상에 디지탈 언키이드 메시지를 전달하는 수단과; 상기 언키이드 메시지에 응답하여, 상기 제어 시이트로부터 상기 할당된 동작 채널상에, 모든 유니트가 드롭 오프되도록 해서 할당된 동작 채널이 즉시 다음의 할당을 위해 자유롭게 되도록 하는 디지탈 드롭 신호를 전달하는 수단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스템.
  72. 디지탈 제어 채널과, 그 제어 채널상의 디지탈 제어 신호들에 의해 지정된 개개의 무선 유니트가 일시적으로 사용하도록 할당된 복수의 동작 채널을 갖는 트렁크식 무선 중계기 시스템내에서 확실하고 신속한 통신을 달성하기 위한 무선 유니트에 있어서, 상기 제어 채널을 통해 제어 시이트로 디지탈 요구 신호들을 전달함으로써 동작 채널의 할당을 요구하는 수단과; 상기 제어 채널을 통해 디지탈 동작 채널 할당 신호들을 검출하는 수단과; 상기 할당된 동작 채널을 통해 상기 제어 사이트와 디지탈 핸드 세이크 신호들을 교환하는 수단과; 상기 핸드 세이크 신호들의 성공적인 교환후에 상기 할당된 동작 채널상에서 디지탈 해제 신호들을 검출하고, 상기 검출된 해제 신호들에 응답하여 할당된 동작 채널을 통해 통신을 언뮤트하는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유니트.
  73. 제72항에 있어서, 상기 동작 채널 할당은 그와 관련된 특정 우선순위를 갖고, 할당된 동작 채널상에 관련 우선순위들을 갖는 디지탈 부가청 신규 채널 할당 갱신 메시지들을 전송하는 수단과; 각 통신장치에서 상기 갱신 메시지들을 감시하는 수단과; 상기 감시 수단에 연결되고 상기 감시된 갱신 메시지들의 우선 순위들을 검출하기 위한 수단과; 상기 검출 수단에 연결되고 상기 각 무선 유니트로 향한 새로운 채널 갱신 메시지와 관련된 우선순위가 상기 특정 우선순위보다 고순위일 경우, 그에 응답하여 할당된 동작 채널을 드롭 오프하기 위한 수단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스템.
  74. 제73항에 있어서, 상기 할당 수단은 상기 동작 채널이 할당될 때마다 부가청 신호 전송 카운트값을 증분시키는 수단을 포함하고 ; 상기 부가청 메시지 전송 수단은 상기 부가청 갱신 메시지들의 각 메시지내에 상기 증분된 카운트값을 전송하는 수단과 상기 동작 채널을 통해 상기 부가청 갱신 메시지를 연속적으로 전송하는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스템.
  75. 제72항에 있어서, 먼저 향해었던 진행중에 동작 채널 통신에 대한 피호출 유니트의 사후 엔트리를 허용하도록 상기 제어 채널상에서 디지탈 채널 할당 사후 엔트리 메시지들을 검출하는 수단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스템.
  76. 제72항에 있어서, PTT 스위치 해제에 응답하여 호출 유니트로부터 상기 할당된 동작 채널상에 디지탈 언키이드 메시지를 전달하는 수단과; 할당된 동작 채널상에 수신된 디지탈 드롭 신호에 응답하여 할당된 동작 채널을 드롭 오프하고, 그에따라 그 할당된 동작 채널이 즉시 다음의 할당을 위해 자유롭게 되도록 하는 수단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스템.
  77. 디지탈 제어 채널과, 그 제어 채널상의 디지탈 제어 신호들에 의해 지정된 개개의 무선 유니트가 일시적으로 사용하도록 할당된 복수의 동작 채널을 갖는 트렁크식 무선 중계기 시스템내에서 확실하고 신속한 통신을 달성하기 위한 통신방법에 있어서, 상기 제어 채널 또는 할당된 동작 채널중의 적어도 하나상에 채널 할당 신호들과 함께, 상기 동작 채널의 이용이 전송 트렁크식 또는 메시지 트렁크식인지를 식별하는 트렁크 상태 신호를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방법.
  78. 디지탈 제어 채널과, 그 제어 채널상의 디지탈 제어 신호들에 의해 지정된 개개의 무선 유니트가 일시적으로 사용하도록 할당된 복수의 동작 채널을 갖는 트렁크식 무선 중계기 시스템내에서 확실하고 신속한 통신을 달성하기 위한 통신장치에 있어서, 제어 시이트에 설치되어, 상기 제어 채널 및 상기 동작 채널들을 통해 무선 주파수 신호들을 전송 및 수신하는 트랜시버 수단과; 상기 제어 채널 또는 할당된 동작 채널중의 적어도 하나상에 채널 할당 신호들과 함께, 상기 동작 채널의 이용이 전송 트렁크식 또는 메시지트렁크식 인지를 식별하는 트렁크 상태 신호를 전송하는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장치.
KR1019880000830A 1987-06-03 1988-01-30 트렁크식 무선 중계기 시스템 KR96000481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07/056,922 US4905302A (en) 1987-06-03 1987-06-03 Trunked radio repeater system
US056,922 1987-06-03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90001308A KR890001308A (ko) 1989-03-20
KR960004810B1 true KR960004810B1 (ko) 1996-04-13

Family

ID=2200737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80000830A KR960004810B1 (ko) 1987-06-03 1988-01-30 트렁크식 무선 중계기 시스템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1) US4905302A (ko)
JP (1) JP3087966B2 (ko)
KR (1) KR960004810B1 (ko)
CA (1) CA1290401C (ko)
DK (1) DK305388A (ko)
GB (2) GB2206018B (ko)
HK (3) HK30893A (ko)
SG (1) SG3893G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274837A (en) * 1987-06-03 1993-12-28 Ericsson Ge Mobile Communications Inc. Trunked radio repeater system with multigroup calling feature
US5128930A (en) * 1987-08-14 1992-07-07 General Electric Company Processor-to-processor communications protocol for a public service trunking system
US5206863A (en) * 1987-08-14 1993-04-27 General Electric Company Processor-to-processor communications protocol for a public service trunking system
US5212724A (en) * 1987-08-14 1993-05-18 General Electric Company Processor-to-processor communications protocol for a public service trunking system
US5020132A (en) * 1987-08-14 1991-05-28 Ericsson Ge Mobile Communications Inc. Processor-to-processor communications protocol for a public service trunking system
US5159701A (en) * 1989-03-31 1992-10-27 E. F. Johnson Company Method and apparatus for a distributive wide area network for a land mobile transmission trunked communication system
US5086507A (en) * 1989-05-25 1992-02-04 Ericsson Ge Mobile Communications Inc. Drop channel pre-alert for trunked radio communication system
US5131007A (en) * 1989-06-09 1992-07-14 General Electric Company Digital voter for multiple site PST R trunking system
US5131010A (en) * 1989-10-12 1992-07-14 General Electric Company Voice guard digital voter for multiple site PST RF trunking system
US5125101A (en) * 1990-02-16 1992-06-23 Etrunk Systems, Inc. Trunking method and apparatus for establishing communication in a two-way mobile radio system
GB2243974B (en) * 1990-03-22 1994-04-06 Motorola Israel Ltd Trunked radio system
US5101502A (en) * 1990-04-02 1992-03-31 Motorola, Inc. Wide area trunked channel busy override
US5392278A (en) * 1990-08-28 1995-02-21 Ericsson Ge Mobile Communications Inc. Distributed multisite system architecture
EP0474379B1 (en) * 1990-09-04 1995-11-22 Hewlett-Packard Company Method and apparatus for analyzing nodes on a computer network
US5355516A (en) * 1990-09-28 1994-10-11 Motorola, Inc. Method for reducing superfluous channel allocation in a cellular radiotelephone communication system
US5134714A (en) * 1990-10-12 1992-07-28 Motorola, Inc. Remote control of priority communications automatic
US5276911A (en) * 1990-11-02 1994-01-04 Motorola, Inc. Contention reducing technique for a radio frequency communication system
US6088342A (en) * 1997-05-05 2000-07-11 Nokia Mobile Phones Limited Dynamic configuration of radio link protocol in a telecommunications system
US5247703A (en) * 1991-05-16 1993-09-21 Relm Communications, Inc. Transceiver with off hook scanning
US5220565A (en) * 1991-05-30 1993-06-15 Motorola, Inc. Selective transmission of encoded voice information representing silence
FI88986C (fi) * 1991-10-03 1993-07-26 Telenokia Oy Foerfarande foer genomfoering av ett gruppsamtal i digitalt radionaet
JP2822721B2 (ja) * 1991-10-08 1998-11-11 日本電気株式会社 チャネル割当方法
US5826198A (en) * 1992-01-13 1998-10-20 Microcom Systems, Inc. Transmission of data over a radio frequency channel
US5517680A (en) * 1992-01-22 1996-05-14 Ericsson Inc. Self correction of PST simulcast system timing
US5392449A (en) * 1992-06-29 1995-02-21 Motorola, Inc. Resource management by an intelligent repeater
US5513378A (en) * 1992-06-29 1996-04-30 Ranz; Stephen J. Maintaining communications after control breaks in a trunked communication system
US5459761A (en) * 1992-06-29 1995-10-17 Motorola, Inc. Intelligent repeater for trunked communications
GB2268366B (en) * 1992-06-30 1996-08-07 Ericsson Ge Mobile Communicat Control channel timing detection and self correction for digitally trunked simulcast radio communication system
US5805645A (en) * 1992-06-30 1998-09-08 Ericsson Inc. Control channel synchronization between DBC and Cellular networks
US5568511A (en) * 1992-08-26 1996-10-22 Ericsson Ge Mobile Communications Inc. System and method for radio disconnect and channel access for digitized speech trunked radio systems
US5410740A (en) * 1993-03-24 1995-04-25 Telefonaktiebolaget L M Ericsson Control of a radio communications system base station
JP3315475B2 (ja) * 1993-05-28 2002-08-19 キヤノン株式会社 データ通信装置
US5477539A (en) * 1993-07-23 1995-12-19 Ericsson Inc. Narrow band simulcast system having low speed data distribution
US5659881A (en) * 1994-03-11 1997-08-19 Ericsson Inc. Distributed method of call arbitration in an RF trunking multisite coordinator architecture
US5579339A (en) * 1994-04-04 1996-11-26 Motorola, Inc. Method for concurrent monitoring of multiple communications
US5537684A (en) * 1994-07-29 1996-07-16 Motorola, Inc. Method for a communication unit to influence communication resource allocation
FI98690C (fi) * 1994-10-18 1997-07-25 Nokia Telecommunications Oy Menetelmä alueryhmäpuhelun muodostamiseksi matkaviestinjärjestelmässä ja matkaviestinjärjestelmä
US5689801A (en) * 1994-11-14 1997-11-18 Ericsson Inc. Power monitoring system for a single site, split location trunked radio communication system
US5752198A (en) * 1994-11-14 1998-05-12 Ericsson Inc. Single site, split location trunked radio communications system
WO1996031074A1 (en) * 1995-03-29 1996-10-03 Ericsson Inc. Console dispatch in an extended multisite radio communications network
US6044265A (en) * 1995-06-05 2000-03-28 Bellsouth Corporation Methods and apparatus for cellular set programming
US5675629A (en) 1995-09-08 1997-10-07 At&T Cordless cellular system base station
US5911120A (en) 1995-09-08 1999-06-08 At&T Wireless Services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having mobile stations establish a communication link through the base station without using a landline or regional cellular network and without a call in progress
US5842134A (en) * 1995-09-28 1998-11-24 Ericsson Inc. Auto-alignment of clear voice and low speed digital data signals in a simulcast system
US5875211A (en) * 1995-10-26 1999-02-23 Ericsson Inc. Multisite radio system with false mobile radio signalling detection
US5761240A (en) * 1996-02-06 1998-06-02 Ericsson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determining an optical communications channel without loss of channel messages on a current communications channel
US5790638A (en) * 1996-06-07 1998-08-04 Telefonaktiebolaget L M Ericsson (Publ) Signaling in call transfer calling operations to control the initiation of secondary number telephone service features
US6081720A (en) * 1996-06-28 2000-06-27 Hughes Electronics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allocating shared communication channels
US5857144A (en) * 1996-08-09 1999-01-05 Ericsson, Inc. In-band vehicular repeater for trunked radio system
US6047160A (en) * 1996-08-29 2000-04-04 Ericsson Inc. Transportable base station for a trunked radio communication system
US6169880B1 (en) 1996-10-16 2001-01-02 Ericsson Inc. Method and system of load sharing and prioritization of radio repeaters
US5884180A (en) * 1996-10-30 1999-03-16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Method of providing a delayed connection announcement to a mobile subscriber within a radio telecommunication system
US5956648A (en) * 1997-03-12 1999-09-21 G/Tracker Technologies Llc Trunked radio monitoring system
US6519472B1 (en) 1997-03-12 2003-02-11 Terence Brennan Trunked radio monitoring system
US6529486B1 (en) 1997-04-11 2003-03-04 Transcrypt International/E.F. Johnson Company Trunked radio repeater communication system
US6374115B1 (en) 1997-05-28 2002-04-16 Transcrypt International/E.F. Johnson Method and apparatus for trunked radio repeater communications with backwards compatibility
US6684080B1 (en) 1997-05-28 2004-01-27 Transcrypt International/E. F. Johnson Company Trunked radio repeater communication system including home channel aliasing and call grouping
US6333937B1 (en) * 1998-03-05 2001-12-25 At&T Wireless Services, Inc. Access retry method for shared channel wireless communications links
US6507737B1 (en) * 1998-09-30 2003-01-14 Lucent Technologies Inc. Method for automatically monitoring continuity and integrity of communication trunks
JP2000134668A (ja) * 1998-10-27 2000-05-12 Nec Corp 移動通信システムにおける通信状態改善方法および移動通信システム
JP3961829B2 (ja) * 1999-10-02 2007-08-22 サムスン エレクトロニクス カンパニー リミテッド 符号分割多重接続通信システムの制御チャネル信号を断続的に送受信する装置及び方法
GB2383925A (en) * 2002-01-04 2003-07-09 Ubinetics Ltd Pilot signal detection using varying window sizes
AU2003206381A1 (en) * 2002-01-11 2003-07-30 Hubbell Incorporated Scanning tone adapter for remote radio dispatch communication
CN1315291C (zh) * 2002-03-18 2007-05-09 上海自动化仪表股份有限公司 现场总线中继器
US7546135B2 (en) * 2002-04-08 2009-06-09 M/A-Com Private Radio Systems, Inc. Extended addressing for a digital trunked radio system
US7203318B2 (en) * 2002-06-17 2007-04-10 M/A-Com Private Radio Systems, Inc. Secure transmission system for a digital trunked radio system
US7599496B2 (en) * 2002-08-27 2009-10-06 Pine Valley Investments, Inc. Secure encryption key distribution
US7917748B2 (en) * 2002-10-25 2011-03-29 Pine Valley Investments, Inc. Secure group secret distribution
US7353036B2 (en) * 2004-05-10 2008-04-01 Motorola, Inc. Push-to-talk reverse channel establishment
US7508840B2 (en) 2004-05-28 2009-03-24 Bae Systems Information And Electronic Systems Integration Inc. Mobile temporary incident area network for local communications interoperability
US8238287B1 (en) 2004-10-06 2012-08-07 Marvell International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quality of service (QoS) in a wireless local area network
US8131209B1 (en) 2004-10-08 2012-03-06 Marvell International Ltd. Repeater configuration and management
US7962166B1 (en) * 2005-08-30 2011-06-14 Motorola Solutions, Inc. Method for indicating a band plan for a trunked radio communications system
EP1929659B1 (en) * 2005-09-28 2018-08-22 LG Electronics Inc. A method of cooperatively relaying data in cellular networks for a broadcast multicast services
US9711868B2 (en) 2009-01-30 2017-07-18 Karl Frederick Scheucher In-building-communication apparatus and method
US8472881B2 (en) 2009-03-31 2013-06-25 Karl Frederick Scheucher Communication system apparatus and method
US8682249B2 (en) * 2010-08-11 2014-03-25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Input device with switchable frequency channel for switchable use between computer systems
WO2013174014A1 (zh) * 2012-05-25 2013-11-28 华为技术有限公司 位置信息采集控制方法和终端

Family Cites Families (6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BE629287A (ko) * 1962-03-22
US3458664A (en) * 1965-10-14 1969-07-29 Motorola Inc Control unit for mobile radio telephone system
US3571519A (en) * 1968-10-31 1971-03-16 Motorola Inc Synchronous supervisory unit for mobile telephone system
US3696210A (en) * 1970-08-06 1972-10-03 Motorola Inc Data transferring system utilizing a monitor channel and logic circuitry to assure secure data communication
US3801956A (en) * 1971-04-19 1974-04-02 Motorola Inc Digital sequence detector using multiple samples during each digit time period
US3898390A (en) * 1973-05-15 1975-08-05 Martin Marietta Corp Multiple zone communications system and method
US3906166A (en) * 1973-10-17 1975-09-16 Motorola Inc Radio telephone system
US3936616A (en) * 1974-09-23 1976-02-03 Motorola, Inc. "Wild" mobile disable circuit
US3970801A (en) * 1974-12-03 1976-07-20 Motorola, Inc. Dialing apparatus for a portable radio telephone
US4022973A (en) * 1975-05-12 1977-05-10 General Electric Company Apparatus for indicating synchronization and out-of-synchronization conditions
US4001693A (en) * 1975-05-12 1977-01-04 General Electric Company Apparatus for establishing communication between a first radio transmitter and receiver and a second radio transmitter and receiver
US4027243A (en) * 1975-05-12 1977-05-31 General Electric Company Message generator for a controlled radio transmitter and receiver
US4029901A (en) * 1975-11-13 1977-06-14 Motorola, Inc. Control center for a communications system with interchannel patching capabilities
US4012597A (en) * 1975-11-24 1977-03-15 Motorola, Inc. Transmission trunk multichannel dispatch system with priority queuing
US4010327A (en) * 1976-05-11 1977-03-01 Motorola, Inc. Communication system interface circuit
US4131849A (en) * 1976-10-21 1978-12-26 Motorola, Inc. Two-way mobile radio voice/data shared communications system
US4128740A (en) * 1977-02-14 1978-12-05 Motorola, Inc. Antenna array for a cellular RF communications system
US4161718A (en) * 1977-06-20 1979-07-17 Motorola Israel Ltd. Supervisory control system
US4184118A (en) * 1977-10-03 1980-01-15 Motorola, Inc. Base station feedback reporting system
US4231114A (en) * 1978-02-27 1980-10-28 Motorola, Inc. Synchronizing means for a two-way communication system
JPS54158102A (en) * 1978-06-05 1979-12-13 Hitachi Denshi Ltd Inter-call system
US4409687A (en) * 1978-10-30 1983-10-11 General Electric Company Arrangement and method for establishing radio communication in a system
US4360927A (en) * 1979-03-12 1982-11-23 General Electric Company Repeater trunking system
JPS5823776B2 (ja) * 1979-05-04 1983-05-17 日立電子株式会社 無線通話方式
US4267593A (en) * 1979-06-15 1981-05-12 Wescom Switching, Inc. Method and means for digital conferencing
US4400585A (en) * 1979-11-30 1983-08-23 Motorola,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automatically attempting to seize a radio channel in a multichannel communication system
US4312070A (en) * 1979-12-07 1982-01-19 Motorola, Inc. Digital encoder-decoder
US4369443A (en) * 1979-12-26 1983-01-18 Meta Systems, Inc. Message communication system with message storage
US4322576A (en) * 1979-12-28 1982-03-30 Racal-Milgo, Inc. Message format for secure communication over data links
JPS5925530B2 (ja) * 1980-01-21 1984-06-19 日本電気株式会社 回線接続制御方式
US4309772A (en) * 1980-01-24 1982-01-05 Motorola, Inc. Soft quantizer for FM radio binary digital signaling
US4312074A (en) * 1980-02-07 1982-01-19 Motorola,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detecting a data signal including repeated data words
JPS56126339A (en) * 1980-03-10 1981-10-03 Nec Corp Mobile communication system
US4347625A (en) * 1980-06-16 1982-08-31 General Electric Company Arrangement for cellular operation of a repeater trunking system
US4339823A (en) * 1980-08-15 1982-07-13 Motorola, Inc. Phase corrected clock signal recovery circuit
US4382298A (en) * 1981-03-27 1983-05-03 General Electric Company Binary digit or bit restoration circuit
US4430755A (en) * 1981-05-14 1984-02-07 Motorola, Inc. Portable radio telephone
US4434323A (en) * 1981-06-29 1984-02-28 Motorola, Inc. Scrambler key code synchronizer
US4418425A (en) * 1981-08-31 1983-11-29 Ibm Corporation Encryption using destination addresses in a TDMA satellite communications network
US4430742A (en) * 1981-11-20 1984-02-07 Motorola, Inc. Data muting method and apparatus for radio communications systems
US4450573A (en) * 1981-12-07 1984-05-22 Motorola Inc. Bit data operated squelch
US4433256A (en) * 1982-07-06 1984-02-21 Motorola, Inc. Limiter with dynamic hysteresis
US4485486A (en) * 1982-08-03 1984-11-27 Motorola,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assigning duplex radio channels and scanning duplex radio channels assigned to mobile and portable radio telephones in a cellular radiotelephone communications system
US4534061A (en) * 1983-09-06 1985-08-06 General Electric Company Deterministic multi-access method for a decentralized mobile radio system
US4578815A (en) * 1983-12-07 1986-03-25 Motorola, Inc. Wide area coverage radio communication system and method
JPS60134531A (ja) * 1983-12-22 1985-07-17 Toshiba Corp 無線機
JPS60210035A (ja) * 1984-04-02 1985-10-22 Japan Radio Co Ltd 一斉放送方式
JPS619036A (ja) * 1984-06-23 1986-01-16 Trio Kenwood Corp アマチユア無線用通信機
US4658435A (en) * 1984-09-17 1987-04-14 General Electric Company Radio trunking system with transceivers and repeaters using special channel acquisition protocol
US4757536A (en) * 1984-10-17 1988-07-12 General Electric Company Method and apparatus for transceiving cryptographically encoded digital data
US4663765A (en) * 1985-02-01 1987-05-05 General Electric Company Data muting method and apparatus for audo-digital communications systems
JPS61205039A (ja) * 1985-03-08 1986-09-11 Oki Electric Ind Co Ltd ブロツク同期通信方式
US4649567A (en) * 1985-04-22 1987-03-10 General Electric Company Dispatch overdialing for inter-group and other added calling/called access to communications channels in a trunked radio communications system
US4698805A (en) * 1985-09-13 1987-10-06 Motorola, Inc. Console interface for a trunked radio system
US4716407A (en) * 1985-10-07 1987-12-29 Motorola, Inc. Trunked communication system true priority channel scan
JPH024531Y2 (ko) * 1985-10-30 1990-02-02
CA1250900A (en) * 1986-11-18 1989-03-07 Northern Telecom Limited Private cellular system
US4723264A (en) * 1987-06-19 1988-02-02 Motorola, Inc. Signalling method for establishing trunked communication
US4811420A (en) * 1987-07-08 1989-03-07 International Mobile Machines Corporation Initialization of communication channel between a subsciber station and a base station in a subscriber communication system
JPH102836A (ja) * 1996-06-13 1998-01-06 Canon Inc 光学的異方性測定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DK305388D0 (da) 1988-06-03
US4905302A (en) 1990-02-27
HK30793A (en) 1993-04-08
GB2244889A (en) 1991-12-11
HK30893A (en) 1993-04-08
GB2206018A (en) 1988-12-21
GB2244889B (en) 1992-06-03
CA1290401C (en) 1991-10-08
GB2206018B (en) 1992-06-03
GB8813168D0 (en) 1988-07-06
GB9111268D0 (en) 1991-07-17
HK30993A (en) 1993-04-08
KR890001308A (ko) 1989-03-20
DK305388A (da) 1989-03-17
SG3893G (en) 1993-03-12
JPS644133A (en) 1989-01-09
JP3087966B2 (ja) 2000-09-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60004810B1 (ko) 트렁크식 무선 중계기 시스템
KR970000427B1 (ko) 트렁크식 무선 중계기 시스템
US5483670A (en) Trunked radio repeater system with control channel monitoring feature
US5125102A (en) Trunked radio repeater system including synchronization of a control channel and working channels
US6374115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trunked radio repeater communications with backwards compatibility
US5365512A (en) Multisite trunked RF communication system with reliable control messaging network
US6529486B1 (en) Trunked radio repeater communication system
US4573207A (en) Queued community repeater communications system
JP2583448B2 (ja) トランク式音声/データ通信システムのための加入者ユニット
US4692945A (en) Dispatch trunked radio system
US5392278A (en) Distributed multisite system architecture
US5200954A (en) Communication link between multisite RF trunked network and an intelligent dispatcher console
JPH0777366B2 (ja) 通信システムの加入者を動的に編成しなおす方法
EP0390214A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a distributive wide area network for a land mobile transmission trunked communication system
WO1986001957A1 (en) Radio trunking system with transceivers and repeaters using special channel acquisition protocol
US5659881A (en) Distributed method of call arbitration in an RF trunking multisite coordinator architecture
US4554677A (en) Queued community repeater controller
US5699353A (en) Extended trunked RF communications systems networking
US5875211A (en) Multisite radio system with false mobile radio signalling detection
EP0473355B1 (en) Distributed multisite coordination system for trunked radio systems
CA1336920C (en) Trunked radio repeater system
GB2244890A (en) Trunked radio repeater system
GB2151883A (en) Queued community repeater communications system
EP1773077A1 (en) A method of indicating a channel available for sending uplink access reques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70405

Year of fee payment: 12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