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70000422Y1 - 교통 신호 제어기의 무선 원격 제어 장치 - Google Patents

교통 신호 제어기의 무선 원격 제어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70000422Y1
KR970000422Y1 KR2019930030321U KR930030321U KR970000422Y1 KR 970000422 Y1 KR970000422 Y1 KR 970000422Y1 KR 2019930030321 U KR2019930030321 U KR 2019930030321U KR 930030321 U KR930030321 U KR 930030321U KR 970000422 Y1 KR970000422 Y1 KR 97000042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gnal
output
channel
control
ke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3003032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50020671U (ko
Inventor
황규용
여환영
Original Assignee
황규용
여환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황규용, 여환영 filed Critical 황규용
Priority to KR2019930030321U priority Critical patent/KR970000422Y1/ko
Publication of KR950020671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50020671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7000042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00422Y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GTRAFFIC CONTROL SYSTEMS
    • G08G1/00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 G08G1/07Controlling traffic signals
    • G08G1/075Ramp contro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QSELECTING
    • H04Q9/00Arrangements in telecontrol or telemetry systems for selectively calling a substation from a main station, in which substation desired apparatus is selected for applying a control signal thereto or for obtaining measured values therefrom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elective Calling Equipment (AREA)

Abstract

내용 없슴.

Description

교통 신호 제어기의 무선 원격 제어 장치
제1도는 본 고안의 교통 신호 제어기의 무선 원격 제어장치의 송신기 회로도
제2도는 본 고안의 교통 신호 제어기의 무선 원격 제어장치의 수신기 회로도
제3도는 본 고안의 무선 원격 제어 장치의 손신기 제1실시예의 회로도
제4도는 본 고안의 무선 원격 제어 장치의 송신기 제2실시예 회로도
제5도는 본 고안의 무선 원격 제어 장치의 송신기 제3실시예 회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키입력부 2, 38 : 엔코더
3 : 전원 제어부 4, 9, 22, 39, 44 : 저역 통과 필터
5, 40 : 주파수 합성 및 변조부 6, 31, 41 : 중앙처리장치
7, 42 : 버퍼 8, 43 : 증폭기
10 : 송신 안테나 11 : 수신 안테나
12 : 고주파 증폭기 13, 17 : 혼합기
14 : 주파수 합성기 15, 19 : 중간 주파 증폭기
16, 20 : 중간주파 필터 18 : 제2국부 발진기
21 : 복조기 23 : 비교기
24 : 레벨 변환기 25, 26, 27 : 디코더
28, 29, 30 : 릴레이 구동부 32, 33, 34 : 릴레이
35 : 교통 신호 조작 판넬부 36 : 교통신호 제어부
37 : 아날로그 디지탈 변환기 46, 48 : 변조기
47 : 크리스탈 뱅크 49 : 크리스탈 스캔 뱅크
본 고안은 교통 신호등을 제어하는 교통 신호 제어기를 무선으로 원격 제어할 수 있도록 한 교통 신호 제어기의 무선 원격 제어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교통신호 제어기는 기 프로그램된 단계에 맞춰 자동적으로 교통 신호등(차량용 청색등, 적색등, 황색등, 좌회전등, 보행자용 청색등, 적색등)을 점등과 소등 제어하거나 또는 교통 경찰관이 수동으로 제어하는 구성이다.
특히, 수동 조작의 경우에는 교통 신호 제어기로에 부착되어 있는 스위치나 유선으로 인출되어 있는 유선 리모콘을 이용하기 때문에 교통 신호 제어기 근처에 가까운 거리내에 위치한 상태에서만 수동 조작이 가능하였다.
따라서, 교차로에 위치하는 교통 경찰관은 교통 신호 제어기로부터 이격된 위치로 이동할 수 없게 제한되며, 이러한 점은 효과적인 교통 흐름의 유도에 장애 요인이 되고, 교통경찰관의 행동 반경을 제약하는 요소로 작용하여 원격 제어의 실효성을 반감시키게 된다.
본 고안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유선 리모콘이 갖는 제약과 불편함을 해소하는 교통 신호 제어기의 무선 원격 제어장치를 제공함을 목적으로 한다.
본 고안은 무선으로 교통 신호 제어기를 원격 제어하여 원거리에 위치한 교통 경찰관이 편리하게 교통 신호등을 통제할 수 있게 하고, 교통 신호 제어기를 무선 원격 제어함에 있어 인접한 교차로 사이에서의 상호 간섭이 배제될 수 있도록 다수의 채널중 하나의 채널을 선택하여 무선 원격 제어를 실행할 수 있게 하는 교통 신호 제어기의 무선 원격 제어장치를 제공함을 목적으로 한다.
본 고안은 무선으로 교통 신호 제어기를 원격 제어함에 있어, 긴급 통과가 요구되는 차량, 예를 들면 소방차, 앰블런스 VIP차량, 경찰 차량 등에서 본 고안의 무선 송신기로 교차로의 신호등을 임시적으로 원격 제어 할 수 있게 하는 교통 신호 제어기의 무선 원격 제어 장치를 제공함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교통 신호 제어기의 무선 원격 제어장치는, 교통 신호 제어기의 원격 제어를 위한 키명령을 입력하여 약속된 키명령 코드를 생성하는 키명령 입력부와, 혼신 방지를 위해 변조처리부의 변조 주파수를 설정하여 교통 신호 등의 RF 원격 제어 채널을 선택하는 채널 선택부와, 상기 채널 선택부에 의해 선택된 채널의 RF 신호로 상기 키명령 입력부의 교통 신호등 제어 코드를 변조시키는 변조 처리부와, 상기 변조 처리된 RF 원격 제어신호를 무선 송출하는 출력부로 구성된 원격 제어 송신기; 원격 제어 송신기에서 출력된 교통 신호등의 RF 원격 제어신호를 수신하는 고주파 입력부와, 상기 고주파 입력부로 수신된 교통 신호 등 원격 제어신호를 디코딩하여 송신기의 신호등 제어키 명령을 검출하는 코드 검출부와, 상기 코드 검출부에서 검출된 원격 제어 키코드에 대응하여 교통 신호 제어부(36)에 조작 판넬부(35)의 스위치 온과 동일한 키명령을 공급하는 키명령 출력부와, 송신기의 RF채널과 일치하는 수신 채널을 선택하여 선택된 채널에 대응하는 RF신호 선국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고주파 입력부의 선국 채널을 제어하는 채널 선택 제어부로 구성된 원격 제어 수신기; 로 구성된다.
제1도는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교통 신호 제어기의 무선 원격 제어 장치의 송신기 제1 실시예를 나타낸 것이다.
제1도를 참조하면 본 고안의 교통 신호 제어기의 무선 원격 제어 장치의 송신기는, 신호등 제어 명령을 입력하는 키 입력부(1) 및 다오이드(D1, D2, D3)와, 상기 키입력부(1)로 입력된 명령을 부호화하는 엔코더(2)와, 송신기 전원을 공급하는 밧데리(BAT1)와, 상기 밧데리(BAT1)의 전원을 키입력부(1)의 명령에 따라 공급 또는 차단 제어하는 전원 제어부(3)와, 상기 전원 제어부(3)에서 공급되는 전원 레벨의 저전압 상태를 표시해주는 저전압 표시기(LED1)와, 상기 엔코더(2)에서 출력된 키명령을 필요한 신호 대역으로 필터링하는 저역 통과 필터(4)와, 각 채널별로 송신 주파수를 합성하여 저역 통과 필터(4)의 출력 키명령을 변조시키는 주파수 합성 및 변조부(5)와, 혼신 방지를 위한 채널을 선택하는 채널 선택 스위치(SW1)와, 채널 선택 스위치(SW1)의 선택 채널로 주파수 합성 및 변조부(5)를 제어하는 중앙처리장치(6)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주파수 합성 및 변조부(5)는 주파수 합성에 필요한 기준 주파수의 신호를 발진하는 수정 발진기(5A)와, 상기 발진기(5A)에서 출력된 신호 주파수를 분주하는 분주기(5B)와, 상기 분주기(5B)에서 분주된 신호와 분주기(5G)에서 피이드백되는 신호를 위상 비교하는 위상 비교기(5C)와, 상기 위상 비교기(5C)에서 출력된 비교 결과를 검파하는 루프 필터(5D)와, 상기 루프 필터(5D)에서 출력된 신호와 상기 저역 통과 필터(4)의 출력을 가산하는 가산기(5E)와, 상기 가산기(5E)의 출력 레벨에 따라 발진하는 전압 제어 발진기(5F)와, 상기 전압 제어 발진기(5F)의 출력 주파수를 중앙처리장치(6)의 제어를 받아 각 채널에 대응하는 분주비로 분주하여 위상 비교기(5C)에 피이드백 시켜 주는 분주기(5G)로 구성된다.
그리고, 본 고안의 송신기는 상기 주파수 합성 및 변조부(5)에서 출력된 RF 신호를 완충 증폭하는 버퍼(7)와, 상기 버퍼(7)에서 출력된 신호를 증폭하는 증폭기(8)와, 상기 증폭기(8)에서 증폭된 신호의 고조파 성분을 제거하는 저역 통과 필터(9)와, 상기 저역 통과 필터(9)에서 출력된 신호를 무선으로 송출하는 송신 안테나(10)를 포함한다.
상기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교통 신호 제어기의 무선 원격 제어 장치의 송신기에서는 실시예로써 송신 주파수 채널을 5개 채널(CH1-CH5)로 할당하였다.
그리고, 상기 키입력부(1)에는 현재 신호상태에서 다음 단계의 신호상태로 진행을 명령하는 진행 키(K1)와, 원격 제어(수동 제어)를 선택하는 원격 키(K2)와, 원격 제어를 해제하여 자동 제어를 선택하는 자동키(K3)와, 소방차나 앰블런스 등의 신속한 교차로 통과를 위하여 신호등을 점멸시켜 줄 것인가의 여부를 선택하는 점멸 키(K4)가 구비된다.
따라서 이 실시예에서, 상기 키입력부(1), 엔코더(2), 저역 통과 필터(4)는 송신기 키명령 입력부를 구성하고, 상기 주파수 합성 및 변조부(5)는 송신기 변조 처리부를 구성하고, 상기 채널 선택 스위치(SW1)와 중앙처리장치(6)는 송신기 채널 선택부를 구성하고, 상기 버퍼(7), 증폭기(8), 저역 통과 필터(9), 송신 안테나(10)는 송신기 출력부를 구성한다.
이러한 송신기로부터 무선 원격 제어명령을 받아 교통 신호기에 입력해주는 수신기의 실시예를 도면 제2도에 나타내었다.
제2도를 참조하면 본 고안의 교통 신호 제어기의 무선 원격 제어 장치의 수신기는, 송신기에서 송출된 무선 원격 제어신호를 수신하는 수신 안테나(11)와, 상기 안테나(11)로 수신된 신호를 증폭하는 고주파 증폭기(12)와, 상기 고주파 증폭기(12)의 출력 신호를 주파수 합성기(14)의 출력과 혼합하여 중간 주파수로 변환하는 제1혼합기(13)와, 중앙처리장치(31)의 제어를 받아 선택된 채널에 대응하는 국부 발진신호를 생성하여 상기 제1혼합기(13)에 공급하는 주파수 합성기(14)와, 상기 제1혼합기(13)의 출력 신호를 증폭하는 제1중간주파 증폭기(15)와, 상기 제1중간 주파 증폭기(15)의 출력 신호를 필터링하는 제1중간주파 필터(16)와, 상기 제1중간 주파 필터(16)의 출력을 제2국부 발진기(18)의 출력과 혼합하여 제2중간주파 신호로 변환하는 제2혼합기(17)와, 제2국부 발진신호를 생성하여 상기 제2혼합기(17)에 공급하는 제2국부 발진기(18)와, 상기 제2혼합기(17)의 출력 신호를 증폭하는 제2중간 주파 증폭기(19)와, 상기 제2중간 주파 증폭기(19)의 출력 신호를 필요한 신호 대역으로 필터링하는 제2중간주파 필터(20)와, 상기 제2중간주파 필터(20)의 출력신호를 복조하여 송신기측의 키명령을 검출하는 복조기(21)와, 상기 복조기(21)에서 복조 출력된 신호를 필요한 대역으로 필터링하는 저역 통과 필터(22)와, 상기 저역 통과 필터(22)의 출력을 소정의 기준 레벨과 서로 비교하여 디지탈 데이타로 변환시키는 비교기(23)와, 상기 비교기(23)의 출력신호를 레벨 변환하는 레벨 변환기(24)와, 상기 레벨 변환기(24)에서 출력된 신호의 키 명령을 각각 디코딩하기 위한 원격/자동 명령의 제1디코더(25), 진행 명령의 제2디코더(26), 점멸 명령의 제3디코더(27)와, 상기 각 디코더(25, 26, 27)의 출력에 따라 릴레이를 구동시키는 제1릴레이 구동부(28), 제2릴레이 구동부(29), 제3릴레이 구동부(30)와, 수신기의 채널을 선택하는 채널 선택 스위치(SW2)와, 상기 채널 선택스위치(SW2)로 선택된 태널의 선국을 위하여 주파수 합성기(14)를 제어함과 함께 제3디코더(27)의 출력에 따라 제3릴레이 구동부(30)를 제어하는 중앙처리장치(31)와, 상기 각 릴레이 구동부(28, 29, 30)의 출력에 따라 구도되어 교통 신호기 조작 판넬부(35)의 해당 키 입력과 키명령을 교통 신호 제어부(36)에 공급하는 제1릴레이(32), 제2릴레이(33), 제3릴레이(34)와, 수동으로 교통 신호 제어기를 통제하기 위한 교통 신호기 조작 판넬부(35)와, 상기 각 릴레이(32, 33, 34)의 출력이나 교통 신호기 조작 판넬부(35)의 키명령에 따라 교통 신호등을 점멸 구동 제어하는 교통 신호 제어부(36)와, 상기 복조기(21)에서 복조된 신호의 수신강도를 검출하여 이 검출 신호를 디지탈 신호로 변환하여 중앙처리장치(31)에 공급하는 아날로그 디지탈 변환기(37)로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교통 신호기 조작 판넬부(35)에는 수동 제어를 선택하는 수동 스위치(S1), 자동 제어를 선택하는 자동 스위치(S2), 현재 신호상태에서 다음 단계의 신호상태로 진행시키는 진행 스위치(S3), 모든 신호등을 점멸 시키는 점멸 스위치(S4)들이 구비된다.
상기 교통 신호 제어부(36)는 기존의 교통 신호 제어회로를 나타내며, 점멸, 진행, 수동, 자동 입력단이 온되면 이에 대응하는 신호등을 점등, 소등, 점멸 제어하는 회로이다.
그러므로 이 실시예에서, 수신 안테나(11), 고주파 증폭기(12), 제1혼합기(13), 제1중간주파 증폭기(15), 제1중간주파 필터(16), 제2혼합기(17), 제2국부 발진기(18), 제2중간주파 증폭기(19), 제2중간주파 필터(20)는 수신기의 고주파 입려부를 구성하고, 복조기(21), 저역통과필터(22), 비교기(23), 레벨 변환기(24), 디코더(25, 26, 27)는 코드 검출부를 구성하고, 릴레이 구동부(28, 29, 30), 릴레이(32, 33, 34)는 수신기의 키명령 출력부를 구성하며, 중아처리장치(31), 채널 선택 스위치(SW2), 주파수 합성기(14)는 채널 선택 제어부를 구성한다.
상기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교통 신호 제어기의 무선 원격 제어 장치의 송신기와 수신기를 이용한 교통 신호등의 무선 원격 제어는 다음과 같이 이루어진다.
먼저, 교통 경찰관 등의 신호 제어자가 송신기의 채널 선택 스위치(SW1)를 전환시켜 5개 채널중 하나의 채널을 설정하면 중앙처리장치(6)가 이를 감지하고, 주파수 합성 및 변조부(5)의 분주기(5G)의 분주비를 그 채널에 맞는 주파수가 되도록 변경시켜 설정한다.
이러한 송신기의 선택 채널과 동일한 채널을 수신기의 채널 선택 스위치(SW2)로 선택하면 수신기의 중앙처리장치(31)도 선택된 채널로 주파수 합성기(14)의 국부 발진 주파수를 설정해 줌으로써 송신기와 수신기가 동일 채널의 주파수를 송신하고 수신할 수 있게 한다.
이러한 채널 선택은 본 고안의 교통 신호 제어기의 무선 원격 제어 장치를 사용하는 교차로와 인접한 또다른 교차로 사이의 혼신을 방지하기 위한 노력이다.
이와 같이 채널을 맞춘 후, 키입력부(1)를 조작하게 된다.
키입력부(1)에는 현재 교통 신호등의 점등 상태의 다음 단계로의 진행을 명령하는 진행키(K1)와, 원격 제어를 명령하는 원격 제어키(K2)와, 원격 제어를 해제하는 자동키(K3)와, 신호등 점멸을 명령하는 점멸키(K4)가 각각 구비되어 있는데, 진행키(K1)를 온시키면 교통 신호등 제어과정의 예로써, 좌회전등 온-황색등 온-직진(청색등) 온-황색등 온-적색등 온, 등의 단계적인 신호등 제어를 이 키(K1)가 입력될 때마다 실행시키기 위한 키이고, 원격키(K2)가 온되면 무선 리모콘에 의하여 원격 제어를 실행하겠다는 명령을 수신기측으로 공급하여 이후부터는 무선 리모콘에 의한 원격 제어 명령에 의해서만 신호등이 제어되게 하는 키이고, 자동키(K3)는 원격 제어를 해제하여 신호기가 자동으로 동작하게 하는 키이고, 점멸키(K4)는 소방차나 앰블런스, 경찰 차량 등의 비상 차량의 신속한 통과를 위해 모든 신호등을 일시적으로 점멸시켜 주기 위한 키이다.
이러한 키입력부(1)의 키(K1, K2, K3, K4)를 온시키면 다이오드(D1)(D2)를 통해 전원부(3)에 키가 온되었음이 감지되고, 이를 감지한 전원 제어부(3)는 밧데리(BAT1)의 전원을 송신기 회로 전체에 동작 전원(VCC)으로 공급해 준다.
즉, 평상시에는 밧데리(BAT1) 전원을 차단하여 불필요한 전력 소모를 방지하고 있다가, 키입력이 있는 경우부터 송신기 전원(VCC)을 공급해 줌으로써 밧데리(BAT1)의 수명과 기기 동작 가능 시간을 최대한 확보해 주는 것이다.
그리고, 전원 제어부(2)는 밧데리(BAT1)의 출력 전압 레벨을 비교 감시하고 있다가, 이 전압 레벨이 소정의 기준레벨 이하로 낮아지면 저전압 표시기(LED1)를 온시켜 밧데리(BAT1)의 충전(또는 교체)을 요구해 줌으로써 원격 제어중에 밧데리(BAT1)의 수명 종료로 인한 동작 불능 상태의 발생을 예방할 수 있게 한다.
상기한 바와 같이 송신기 회로 전체에 동작 전원(VCC)이 공급되고, 키입력부(1)의 소정 키가 온되면 이 온된 키에 해당되는 약속된 코드를 엔코더(2)에서 발생(부호화)하여 이 키명령(데이타)을 저역 통과 필터(4)를 통해 필요한 대역 성분의 필터링을 수행시켜 주파수 합성 및 변조부(5)에 공급한다.
주파수 합성 및 변조부(5)와 중앙처리장치(6)는 채널 선택 스위치(SW1)에 선택된 채널의 RF 주파수로 저역 통과 필터(4)의 출력 키명령을 변조하는 회로부분이다.
제4도에서 설명하겠지만 이 채널 선택부는 채널 선택과 변조를 위하여 각각 다른 주파수로 발진하는 수정 발진소자와 이 발진 소자를 채널 선택 스위치(SW1)로 선택하여 변조시키는 회로로도 구현 가능하다.
제1도의 실시예에서는 분주 제어와 PLL 회로를 이용해서 채널을 선택하고 변조시키는 주파수 합성기와 변조기, 중앙처리장치를 이용하는 실시예이다.
즉, 중앙처리장치(6)에서 채널 선택 스위치(SW1)의 선택 채널에 해당하는 RF 주파수의 합성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분주기(5G)의 분주비를 제어하여 분주기(5G)의 분주비를 설정해 준다.
이와 같이 분주기(5G)의 분주비가 달라지면 주파수 합성 및 변조부(5)에서 변조되어 출력되는 신호의 RF 주파수는 특정 채널에 해당하는 RF 주파수가 된다.
즉, 수정 발진기(5A)에서 발진된 신호를 분주기(5B)에서 주파수 합성에 필요한 적절한 분주비로 일단 분주하고, 분주된 주파수의 신호는 위상 비교기(5C)에서 상기 분주비가 제어된 분주기(5G)의 출력신호와 위상 비교된다.
위상 비교 결과에 대응하는 값의 전압이 루프 필터(5D)를 거쳐 가산기(5E)데 공급되면, 가산기(5E)는 이 입력 신호와 저역 통과 필터(4)에서 출력되는 키명령(코드)을 가산하고, 가산된 신호를 전압 제어 발진기(5F)에 공급하며, 따라서 전압 제어 발진기(5F)는 입력된 신호 전압에 대응하는 주파수의 RF 신호(변조된 신호)를 발진하여 버퍼(7)에 공급하고, 또한 이때 분주기(5G)에서도 전압 제어 발진기(5F)의 출력 주파수 신호르 상기 설정된 분주비로 분주하여 위상 비교기(5C)에 공급함으로써 위상 비교기(5C)가 분주기(5B)(5G)의 두 출력 신호를 위상 비교한 결과를 다시 루프 필터(5D)를 통해 가산기(5E)에 공급하는 동작이 반복됨으로써 PLL 루프가 이루어지고, 안정된 RF 신호를 출력해 줄 수 있게 된다.
버퍼(7)는 입력된 RF 신호를 완충 증폭하여 증폭기(8)에 공급하며, 증폭기(8)는 입력된 신호를 무선으로 송출하기에 충분한 신호 레벨로 전력 증폭하여 저역 통과 필터(9)에 공급한다.
저역 통과 필터(9)는 입력된 RF 신호중에서 불필요한 대역의 성분(고조파)을 제거하고, 필요한 성분의 주파수 대역에 해당하는 상기 RF 신호르 송신 안테나(10)에 공급하여 키명령 RF 신호를 공중선으로 송출한다.
이와 같이 송출된 RF 신호는 수신기측의 수신 안테나(11)로 수신되고, 수신된 RF 신호는 고주파 증폭기(12)에서 증폭되어 제1혼합기(13)에 입력된다.
제1혼합기(13)는 중앙처리장치(31)의 제어를 받아 송신기 채널과 동일한 채널의 RF 신호 선국을 위한 주파수의 발진 신호를 출력하는 주파수 합성기(14)의 출력 신호와 상기 고주파 증폭기(12)에서 입력된 두 신호를 혼합하여 제1중간주파수 신호를 출력하고, 제1중간 주파수 신호는 제1중간주파 증폭기(15)에 입력된다.
주파수 합성기(14)의 구성은 송신기측의 주파수 합성 및 변조부(5)의 구성과 동일하다.
제1중간주파 증폭기(15)는 입력 신호를 증폭하여 제1중간주파 필터(16)에 공급하고, 제1중간주파 필터(16)는 입력신호를 제1중간주파 대역에 해당하는 성분만 필터링하여 제2혼합기(17)에 공급한다.
제2혼합기(17)는 제2국부 발진기(18)에서 발진되어 출력되는 국부 발진신호와 입력 제1중간주파 신호를 혼합하여 제2중간주파수의 신호를 출력한다.
제2혼합기(17)의 출력신호는 제2중간주파 증폭기(19)에서 증폭되어 제2중간주파 필터(20)에서 제2중간주파 대역에 해당하는 신호 성분만 필터링하고, 이 필터링된 신호는 복조기(21)에 공급된다.
복조기(21)는 입력된 신호를 복조하여 송신기측에서 입력한 키명령에 해당되는 데이타를 검출하고, 이 키명령을 저역 통과 필터(22)에 공급한다.
저역 통과 필터(22)는 입력된 키명령에서 불필요한 대역 성분을 제거하여 비교기(23)에 공급하고, 비교기(23)는 입력된 키명령을 소정의 기준 레벨과 비교하여 키명령인지 또는 일시적인 잡음에 의한 신호인지를 판별한다.
즉, 저역 통과 필터(22)에서 필터링된 키명령은 아날로그 신호로서 그 레벨이 디지탈 데이타로 인식하기에는 어려움이 있으므로 이를 파형 비교하여 정확한 디지탈 데이타 형태로 변환시키고, 이 디지탈 키명령을 레벨 변환기(24)에서 디코더(25, 26, 27)의 디코딩 가능한 정도의 소정 신호 레벨로 레벨 쉬프트시켜 디코더(25, 26, 27)에 공급한다.
제1디코더(25)는 키명령 중에서 원격 키(K2)명령 (수동 조작을 의미한다)과 자동키(K3) 명령(원격 제어 해제를 의미한다)을 디코딩하고, 제2디코더(26)는 진행 키(K1)의 명령을 디코딩하고, 제3디코더(27)는 소방차나 앰블런스와 같은 비상 차량을 위하여 모든 신호등을 일시적으로 점멸시키는 점멸 키(K4)의 명령을 디코딩한다.
송신기측의 무선 원격 제어 키명령이 원격 키(K2) 명령이면 제1디코더(25)에서 제1릴레이 구동부(28)에 디코딩 결과를 공급하고, 제1릴레이 구동부(28)는 제1릴레이(32)를 동작시켜 기존의 교통 신호기 조작 판넬부(35)의 수동 스위치(S1)가 온 된것과 동일한 신호를 교통 신호 제어부(36)에 입력해 준다.
이에 따라 기존의 교통신호 제어부(36)는 수동 모드로 전환되고, 이후에 입력되는 키명령을 받다들여 수동적인 신호 등 점등, 소등 제어를 실행하게 될 것이다.
그리고, 상기 자동 키(K3) 명령 입력시에는 제1릴레이 구동부(32)가 교통 신호기 조작 판넬부(35)의 자동 스위치(S2)가 온된 것과 동일한 신호를 교통 신호 제어부(36)에 입력해 주고, 이에 따라 기존의 교통 신호 제어부(36)는 기 프로그램된 신호등 점등, 소등 단계로 신호등을 자동 제어하게 된다.
따라서, 원격 제어키(K2) 명령에 의해 수동 원격 제어상태로 교통 신호 제어부(36)가 전환되고, 송신기측의 키명령이 진행키(K1) 명령이면 이 명령은 상기한 바와 같은 계통을 거쳐 제2디코더(26)에서 디코딩되고, 디코딩 결과는 제2릴레이 구동부(29)에 공급되며, 제2릴레이 구동부(29)는 제2릴레이(33)를 동작시켜 기존의 교통 신호기 조작 판넬부(35)의 진해 스위치(S3)가 온된 것과 동일한 신호를 교통 신호 제어부(36)에 입력해 준다.
이에 따라 기존의 교통 신호 제어부(36)는 진행 명령에 대응하여 현재 단계의 다음 단계에 해당되는 신호등 점등/소등 상태로 신호등의 점등과 소등 상태를 변경시켜 주게 된다.
한편, 송신기측의 점멸 키(K4) 명령이 입력되면 이 명령은 상기한 바와 같은 계통을 거쳐 제3디코더(27)에서 디코딩되고, 디코딩 결과는 제3릴레이 구동부(30)와 중앙처리장치(31)에 공급된다.
중앙처리장치(31)는 디코딩된 키명령이 점멸키(K4) 명령인가를 다시 해독하여 점멸키 명령이면 제3릴레이 구동부(30)가 디코더(27)의 디코딩 결과에 대응하여 동작할 수 있게 한다.
이와 같이 점멸키 명령에 대해서는 중앙처리장치(31)에서 다시 그 명령을 판독한 후 제3릴레이 구동부(30)의 동작 여부를 제어함으로써 교통 흐름에 장애가 될 수 있는 한시적인 신호등 점멸 제어가 불필요하게 발생되지 않게 신뢰성을 확보해 준다.
이와 같은 절차를 거쳐 제3릴레이 구동부(30)는 제3릴레이(34)를 동작시켜 기존의 교통 신호기 조작 판넬부(35)의 점멸 스위치(S4)가 온된 것과 동일한 신호를 교통 신호 제어부(36)에 입력해 준다.
따라서 이때 교통 신호 제어부(36)는 모든 신호등을 일시적으로 점멸시켜 준다.
그리고, 상기한 바와 같은 계통을 거쳐 RF 신호가 수신됨에 있어 복조기(21)에서 복조된 RF 신호의 수신 강도는 아날로그 디지탈 변환기(37)에서 디지탈 신호로 변환되어 중앙처리장치(37)에 입력되며, 중앙처리장치(37)는 이 수신 강도 검출 정보를 이용해서 비상 차량(소방차나 앰블런스 등)으로부터의 긴급 통과를 위한 RF 원격 제어 명령(신호등 일시 점멸명령) 처리를 실행하게 된다.
제3도는 이러한 비상 차량을 위해 제공되는 본 고안의 교통 신호 제어기의 무선 원격 제어 장치의 송신기의 실시예를 나타낸 것이다.
즉, 제3도를 참조하면, 신호등 점멸 제어 명령을 입력하는 비상 키(Ks)와, 상기 키(Ks) 입력 명령을 부호화하는 엔코더(38)와, 송신기 전원(VCC)을 공급하는 차량용 밧데리(BAT2)와, 상기 엔코더(38)에서 출력된 키명령을 필요한 신호 대역으로 필터링하는 저역 통과 필터(39)와, 상기 저역 통과 필터(39)에서 출력된 키명령을 선택된 채널별로 변조 처리하는 주파수 합성 및 변조부(40)와, 일정한 시간 간격으로 동일 키명령(점멸 키명령)을 모든 채널에 실어서 출력해 주기 위해 주파수 합성 및 변조부(4)의 분주비를 순차 스캐닝 제어하는 중앙처리장치(41)와, 상기 주파수 합성 및 변조부(40)에서 출력된 RF 신호를 완충 증폭하는 버퍼(42)와, 상기 버퍼(42)에서 출력된 신호를 증폭하는 증폭기(43)와, 상기 증폭기(43)에서 증폭된 신호를 필요한 신호 대역으로 필터링(고조파 제거)하는 저역 통과 필터(44)와, 상기 저역 통과 필터(44)에서 출력된 신호를 무선으로 송출하는 송신 안테나(45)로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주파수 합성 및 변조부(40)는 주파수 합성에 필요한 기준 주파수의 신호를 발진하는 수정 발진기(40A)와, 상기 발진기(40A)에서 출력된 신호 주파수를 분주하는 분주기(40B)와, 상기 분주기(40B)에서 분주된 신호와 분주기(40G)에서 피이드백되는 신호를 위상 비교하는 위상 비교기(40C)와, 상기 위상 비교기(40C)에서 출력된 비교 결과를 검파하는 루프 필터(40D)와, 상기 루프 필터(40D)에서 출력된 신호와 상기 저역 통과 필터(39)의 출력을 가산하는 가산기(40E)와, 상기 가산기(40E)의 출력 레벨에 따라 발진하는 전압 제어 발진기(40F)와, 상기 전압 제어 발진기(40F)의 출력 주파수를 중앙처리장치(41)의 제어를 받아 각 채널에 대응하는 분주비로 분주하여 위상 비교기(40C)에 피이드백시켜 주는 분주기(40G)로 구성된다.
그러므로 이 실시예에서, 상기 비상 키(Ks), 엔코더(38), 저역 통과 필터(39)는 송신기 키 명령 입력부를 구성하고, 상기 주파수 합성 및 변조부(40)는 송신기의 변조 처리부를 구성하고, 상기 중앙처리장치(41)는 송신기의 채널 선택부를 구성하며, 상기 버퍼(42), 증폭기(43), 저역통과필터(44), 송신 안테나(45)는 송신기 출력부를 구성하게 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비상 차량용 원격 제어 송신기는 차량에 탑재되어 운용되며, 비상 통과를 위해 교차로에 접근할때, 또는 비상 사태시 주행중 항상 비상 키(Ks)를 온시킨다.
비상키(Ks)가 온되면 차량용 밧데리(BAT2)로부터 키(Ks)를 통해 송신기 회로 전체에 동작 전원(VCC)이 공급되고, 엔코더(38)에도 비상 키(Ks) 명령이 입력되어 점멸 키(K4) 명령과 동일한 코드의 키명령을 발생시킨다.
이와 같이 약속된 코드를 엔코더(38)에서 발생(부호화)하여 이 키명령(데이타)을 저역 통과 필터(39)를 통해 필요한 대역성분의 필터링을 수행시켜 주파수 합성 및 변조부(40)에 공급한다.
주파수 합성 및 변조부(40)와 중앙처리장치(41)는 5개 채널 모두에 해당하는 RF 신호를 차례로 순차 출력해준다.
제5도에서 설명하겠지만 이회로는 채널 선택과 변조를 위하여 각가 다른 주파수로 발진하는 수정 발진소자와 이 발진 소자를 순차적으로 선택하여 변조시키는 변조 회로로도 구현 가능하다.
제3도의 실시예에서는 분주 제어와 PLL회로를 이용해서 채널을 선택하고 변조시키는 주파수 합성기와 변조기, 그리고 5개 채널을 순차적으로 스캐닝하여 선택해 주는 중앙처리장치를 이용하는 실시예이다.
즉, 중앙처리장치(41)에서 5개 채널에 해당하는 RF주파수의 변조가 순차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분주기(40G)의 분주비를 제어하여 분주기(40G)의 분주비를 설정해 준다.
이는 현재 통과하고자 하는 교차로의 교통 신호 제어기에 어떤 채널이 선택되어 운용되고 있는지 알 수 없기 때문에 모든 채널의 RF신호를 순차적으로 발생시켜 주는 것이다.
이와 같이 분주기(40G)의 분주비가 5개 채널로 순차 변경되면 주파수 합성 및 변조부(40)에서 변조되어 출력되는 신호의 RF주파수는 5개 채널에 해당하는 RF주파수가 차례로 출력된다.
즉, 수정 발진기(40A)에서 발진된 신호를 분주기(40B)에서 주파수 합성에 필요한 적절한 분주비로 일단 분주하고, 분주된 주파수의 신호는 위상 비교기(40C)에서 상기 분주비가 제어된 분주기(40G)의 출력신호의 위상 비교된다.
위상 비교 결과에 대응하는 값의 전압이 루프 필터(40D)를 거쳐 가산기(40E)에 공급되면, 가산기(40E)는 이 입력 신호와 저역 통과 필터(39)에서 출력되는 키명령을 가산하고, 가산된 신호를 전압 제어 발진기(40F)에 공급되며, 따라서 전압 제어 발진기(40F)는 입력된 신호 전압에 대응하는 주파수의 RF신호(변도된 신호)를 발잔하여 버퍼(42)에 공급하고, 또한 이때 분주기(40G)에서도 전압 제어 발진기(40F)의 출력 주파수 신호를 상기 설정된 분주비로 분주하여 위상 비교기(40C)에 공급함으로써 위상 비교기(40C)가 분주기(40B)(40G)의 두 출력 신호를 위상 비교한 결과를 다시 루프 필터(40D)를 통해 가산기(40E)에 공급하는 동작이 반복됨으로써 PLL루프가 이루어지고, 안정된 RF신호를 출력해 줄 수 있게 된다.
버퍼(42)는 입력된 RF신호를 완충 증폭하여 증폭기(43)에 공급하며, 증폭기(43)는 입력된 신호를 무선으로 송출하기에 충분한 신호 레벨로 전력 증폭하여 저역 통과 필터(44)에 공급한다.
저역 통과 필터(44)는 입력된 RF신호중에서 불필요한 대역의 성분을 제거하고, 필요한 성분의 주파수 대역에 해당되는 상기 RF신호를 송신 안테나(45)에 공급하여 키(Ks) 명령 RF신호를 공중선으로 송출한다.
이와 같이 송출된 RF신호는 제2도에 나타낸 수신기측의 수신 안테나(11)로 수신되고, 수신된 RF신호는 고주파 증폭기(12)에서 증폭되어 제1혼합기(13)에 입력된다.
이후의 신호 처리 과정은 상기한 바와 같이 이루어지게 되고, 이러한 비상키(Ks)의 명령은 점멸 명령이므로 제3디코더(27)에서 디코딩되어 중앙처리장치(31)와 제3릴레이 구동부(30)에 입력된다.
그리고, 아날로그 디지탈 변환기(37)는 복조기(21)의 출력 신호 레벨을 디지탈 신호로 변환하여 중앙처리장치(31)에 공급하게 된다.
중앙처리장치(31)는 아날로그 디지탈 변환기(37)로부터 입력되는 신호의 변화로부터 비상 차량이 교차로로 접근하고 있는가의 여부와, 교차로로부터 멀어지고 있는가(교차로 통과)의 여부를 판정하여 제3릴레이 구동부(30)를 제어한다.
즉, 상기 제3도의 송신기를 탑재한 차량이 교차로에 접근할수록 수신 신호의 강도는 점진적으로 증가하고, 멀어질수록 수신 신호의 강도는 점진적으로 감소할 것이다.
따라서, 중앙처리장치(31)는 아날로그 디지탈 변환기(37)로부터 입력된 수신 강도 감지신호가 시간 경과에 따라 점진적으로 증가하는 경우에는 교차로로 비상 차량이 접근하고 있는 경우로 판정하고, 제3릴레이 구동부(30)를 제어하며, 이에 따라 제3릴레이 구동부(30)는 제3릴레이(34)를 동작시켜 교통 신호가 조작 판넬부(35)의 점멸 스위치(S4)가 온된 것과 동일한 신호를 교통 신호 제어부(36)에 입력해 주고, 이에 따라 교통 신호 제어부(36)는 모든 신호등을 일시적으로 점멸시켜 비상 차량이 신속하게 통과될 수 있는 환경을 확보해 준다.
이때 중앙처리장치(31)는 수신 강도 감지신호를 일정한 시간마다 샘플링 값을 취하여 이 값이 증가로 판정되는 경우가 연속적으로 복수회 이상 계속되면 '교차로 접근'으로 판정함으로써 일시적인 수신 강도의 변화(비상 차량 주변의 장애물(다른 차량)등에 의해 일시적으로 증가 또는 감소될 수도 있음)에 따른 오류를 예방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신호등을 점멸시키면서 중앙처리장치(31)는 수신 강도 감지신호를 계속 감시하여 그 레벨이 최대값을 지나 점차 감소되는 경우에는 비상 차량이 교차로를 통과한 것으로 판정하고 제3릴레이 구동부(30)를 제어하여 제3릴레이(34)를 동작시켜 점멸 스위치(S4)를 오프시킨 것과 동일한 신호를 교통 신호 제어부(36)에 공급하며, 이에 따라 교통 신호 제어부(36)는 신호등 일시 점멸 제어를 중단하고, 이전의 제어 상태로 복구된다.
이때 중앙처리장치(31)는 수신 강도 감지신호를 일정한 시간마다 샘플링 값을 취하여 이값이 감소로 판정되는 경우가 연속적으로 복수회 이상 계속되면 '교차로 통과'로 판정함으로써 일시적인 수신 강도의 변화(비상 차량 주변의 장애물(다른 차량)등에 의해 일시적으로 증가 또는 감소될수도 있음)에 따른 오류를 예방할 수 있다.
도면 제4도는 본 고안의 교통 신호 제어기의 무선 원격 제어 장치의 송신기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것으로, 상기 채널 선택부를 다수의 수정 발진소자를 직접 선택하는 회로로 구현한 경우이다.
즉, 상기 저역 통과 필터(4)에서 출력된 키명령을 크리스탈 뱅크(47)의 발진소자에 의해 결정된 신호와 변조처리하여 버퍼(7)에 공급하는 변조기(46)와, 복수의 채널별로 각 채널에 해당되는 발진신호를 각각 출력하기 위하여 상기 채널 선택 스위치(SW1)를 통해 변조기(46)에 발진 소자를 연결하는 크리스탈 뱅크(47)로 구성되고, 상기 크리스탈 뱅크(47)는 5개 채널(CH1-CH5) 각각에 해당되는 발진 주파수를 결정하기 위한 수정 발진 소자(X1-X5)로 구성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무선 원격 제어 송신기의 경우는, 채널 선택 스위치(SW1)를 전환시킴에 따라 크리스탈 뱅크(47)의 발진소자(X1-X5)중에서 하나의 발진 소자가 변조기(46)와 연결되어 그 채널에 해당하는 발진 주파수를 공급함으로써 해당 채널의 RF신호를 변조기(46)가 출력하게 되며, 이후의 동작은 상기 제1도의 송신기에서와 동일하게 수행된다.
단지, 상기 제2도의 수신기 회로 구성에서 주파수 합성기(14)를 중앙처리장치(31)의 제어를 받아 선택 채널의 제1국부 발진 주파수를 발생시키는 크리스탈 뱅크(47)와 동일한 구성의 제1국부 발진부로 실시하여 송신기와 동일한 채널의 선국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실시하는 것이다.
제5도는 본 고안의 교통 신호 제어기의 무선 언격 제어 장치의 송신기의 또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며, 이 회로는 차량에 탑재되는 비상 차량용 송신기(제3도 참조)의 실시예이다.
제5도의 실시예에서는, 상기 저역 통과 필터(39)에서 출력된 키명령을 크리스탈 스캔 뱅크(49)의 발진소자에 의해 결정된 신호와 변조처리하여 버퍼(42)에 공급하는 변조기(48)와, 복수의 채널별로 각 채널에 해당되는 발진신호를 각각 출력하기 위하여 순차적으로 상기 변조기(48)에 발진 소자를 연결하는 크리스탈 스캔 뱅크(49)로 구성되고, 상기 크리스탈 스캔 뱅크(49)는 5개 채널(CH1-CH5) 각각에 해당되는 국부 발진 주파수를 결정하는 수정 발진 소자(X1-X5)와, 이 발진 소자를 순차적으로 선택하여 변조기에 연결하는 스위칭부(49A)로 구성된 실시예이며, 상기 각 실시예에서와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 부호로 표기하였다.
이와 같이 구성된 무선 원격 제어 송신기의 경우는, 비상 키(Ks)를 온시킴에 따라 송신기 전원(VCC)이 공급되면, 스위칭부(49A)가 순차적으로 스위칭 전환되어 상기 발잔소자(X1-X5)중에서 하나의 발진 소자씩 차례로 변조기(48)와 연결되어 그 채널에 해당하는 발진주파수를 공급함으로써 5개 채널의 RF신호를 변조기(48)가 출력하게 되며, 이후의 동작은 상기 제3도의 송신기에서와 동일하게 수행된다.
단지, 상기 제2도의 수신기 회로 구성에서 주파수 합성기(14)를 중앙처리장치(31)의 제어를 받아 선택 채널의 제1국부 발진 주파수를 발생시키는 크리스탈 뱅크(49)와 동일한 구성의 제1국부 발진부로 실시하여 송신기와 동일한 채널의 선국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실시하는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하면 교통 신호등 제어기를 무선으로 원격 제어할 수 있으므로 교통 경찰관이 교차로 위치에서 자유롭게 이동하면서 교통 신호등을 원격 제어할 수 있는 편리함과, 자유로운 행동 반경의 보장을 통한 원활한 교통 흐름의 유도를 확보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긴급을 요하는 비상 차량의 통과를 위하여 신호등을 일시적으로 점멸시킬때 그 차량에 탑재된 송신기를 이용해서 교통 신호등 제어기를 제어할 수 있으므로 편리하고, 긴급 차량의 통과를 신속하게 유도할 수 있으며, 이 차량의 교차로 접근과 통과를 자동적으로 판정하여 신호등을 제어하므로 편리한 효과가 있다.
또한, 기존의 교통 신호등 제어기의 회로 구성을 변조시키지 않고도 간소한 배선 처리만으로 본 고안을 적용할 수 있기 때문에 호환성도 높고, 저렴한 비용으로 설비가 가능한 효과가 있다.
그리고, 다수의 채널로 무선 원격 제어 채널을 선택하기 때문에 인접 교차로와의 혼신을 방지하며, 따라서 교통 신호등 제어기의 원격 제어 동작에 고도의 신뢰성을 보장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9)

  1. 교통신호 제어기를 원격 제어하기 위하여 통신선로를 가지고, 이 통신선로를 통해서 중앙과 지역, 또는 지역에서 각 교통 신호기를 연결하여 원격지에서 해당 교차로 등에 설치된 신호기를 제어하는 장치에 있어서, 교차로 등에 설치된 교통신호 제어기를 1:1로 직접 제어하기 위하여 교통신호 제어기의 원격 제어를 위한 키명령을 입력하여 약속된 키명령 코드를 생성하는 키명령 입력부와, 인접한 다른 교통신호 제어기의 무선 원격 제어시에 발생할 수 있는 혼신 방지를 위해 변조 처리부의 변조 주파수를 설정하여 교통신호등의 복수의 RF원격 제어 채널중 하나의 채널을 선택하는 채널 선택부와, 상기 채널 선택부에 의해 선택된 채널의 RF신호로 상기 키명령 입력부의 교통 신호등 제어코드를 변조시키는 변조 처리부와, 상기 변조된 RF원격 제어신호를 그 원격 제어기의 제어를 받는 1:1 대응의 교통신호 제어기가 수신하도록 무선 송출하는 출력부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교통신호 제어기의 무선 원격 제어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키명령 입력부는, 신호등 제어 명령을 입력하는 키 입력부(1)와, 상기 키입력부(1)로 입력된 명령을 부호화하는 엔코더(2)와, 상기 엔코더(2)에서 출력된 키명령을 필요한 신호 대역으로 필터링하는 저역 통과 필터(4)로 구성되고, 상기 변조 처리부는, 주파수 합성에 필요한 기준 주파수의 신호를 발진하는 수정 발진기5A)와, 상기 발진기(5A)에서 출력된 신호 주파수를 분주하는 분주기(5B)와, 상기 분주기(5B)에서 분주된 신호와 분주기(5G)에서 피이드백되는 신호를 위상 비교하는 위상 비교기(5C)와, 상기 위상 비교기(5C)에서 출력된 비교 결과를 검파하는 루프 필터(5D)와, 상기 루프 필터(5D)에서 출력된 신호와 상기 저역 통과 필터(4)의 출력을 가산하는 가산기(5E)와, 상기 가산기(5E)의 출력 레벨에 따라 발진하는 전압 제어 발진기(5F)와, 상기 전압 제어 발진기(5F)의 출력 주파수를 중앙처리장치(6)의 제어를 받아 각 채널에 대응하는 분주비로 분주하여 위상 비교기(5C)에 피이드백 시켜 주는 분주기(5G)로 구성되고, 상기 채널선택부는, 교통 신호등의 원격 제어 채널을 선택하는 채널 선택 스위치(SW1)와, 상기 채널 선택 스위치(SW1)의 선택 채널로 분주기(5G)의 분주비를 제어하는 중앙처리장치(6)로 구성되고, 상기 출력부는, 전압 제어 발진기(5F)에서 출력된 RF 키명령을 완충 증폭하는 버퍼(7)와, 상기 버퍼(7)에서 출력된 신호를 증폭하는 증폭기(8)와, 상기 증폭기(8)에서 증폭된 신호를 필요한 신호 대역으로 필터링하는 저역 통과 필터(9)와, 상기 저역 통과 필터(9)에서 출력된 신호를 무선으로 송출하는 송신 안테나(10)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통 신호 제어기의 무선 원격 제어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키명령 입력부는, 신호등 점멸 제어 명령을 입력하는 비상키(Ks)와, 상기 키(Ks) 입력 명령을 부호화하는 엔코더(38)와, 상기 엔코더(38)에서 출력된 키명령을 필요한 신호 대역으로 필터링하는 저역 통과 필터(39)로 구성되고, 상기 변조 처리부는, 주파수 합성에 필요한 기준 주파수의 신호를 발진하는 수정 발진기(40A)와, 상기 발진기(40A)에서 출력된 신호 주파수를 분주하는 분주기(40B)와, 상기 분주기(40B)에서 분주된 신호와 분주기(40G)에서 피이드백되는 신호를 위상 비교하는 위상비교기(40C)와, 상기 위상 비교기(40C)에서 출력된 비교 결과를 검파하는 루프 필터(40D)와, 상기 루프 필터(40D)에서 출력된 신호와 상기 저역 통과 필터(39)의 출력을 가산하는 가산기(40E)와, 상기 가산기(40E)의 출력 레벨에 따라 발진하는 전압 제어 발진기(40F)와, 상기 전압 제어 발진기(40F)의 출력 주파수를 중앙처리장치(41)의 제어를 받아 각 채널에 대응하는 분주비로 분주하여 위상 비교기(40C)에 피이드백 시켜 주는 분주기(40G)로 구성되고, 상기 채널 선택부는, 일정한 시간 간격으로 동일 키명령(점멸 키명령)을 모든 채널에 실어서 출력해 주기 위해 분주기(40G)의 분주비를 순차 스캐닝 제어하는 중앙처리장치(41)로 구성되고, 상기 출력부는, 전압 제어 발진기(40F)에서 출력된 RF 키명령을 완충 증폭하는 버퍼(42)와, 상기 버퍼(42)에서 출력된 신호를 증폭하는 증폭기(43)와, 상기 증폭기(43)에서 증폭된 신호를 필요한 신호 대역으로 필터링하는 저역 통과 필터(44)와, 상기 저역 통과 필터(44)에서 출력된 신호를 무선으로 송출하는 송신 안테나(45)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통 신호 제어기의 무선 원격 제어장치.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변조 처리부는, 상기 키명령 입력부에서 출력된 RF 키명령을 크리스탈 뱅크(47)의 방진소자에 의해 결정된 신호와 변조처리하여 출력부에 공급하는 변조기(46)로 구성되고, 상기 채널 선택부는, 교통 신호등의 원격 제어 채널을 선택하는 채널 선택 스위치(SW1)와, 복수의 채널별로 각 채널에 해당하는 발진신호를 각각 출력하기 위하여 수정 발진소자(X1-X5)를 갖고 이 발진 소자를 상기 채널 선택 스위치(SW1)를 통해 변조기(46)에 연결하는 크리스탈 뱅크(47)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통 신호 제어기의 무선 원격 제어장치.
  5. 제1항 또는 제2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송신기 전원을 공급하는 밧데리(BAT1)와, 상기 밧데리(BAT1)의 전원을 키 명령입력부의 명령에 따라 공급 또는 차단제어하는 전원 제어부(3)와, 상기 전원 제어부(3)에서 공급되는 전원 레벨의 저전압 상태를 표시해주는 저전압 표시기(LED1)를 포함하여 원격 제어시에만 송신기 전원이 소비되고 밧데리의 소모 상태를 표시함을 특징으로 하는 교통 신호 제어기의 무선 원격 제어장치.
  6. 제1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변조 처리부는 키명령 입력부에서 출력된 키명령을 크리스탈 스캔 뱅크(49)의 발진소자에 의해 결정된 신호와 변조처리하여 버퍼(42)에 공급하는 변조기(48)로 구성되고, 상기 채널 선택부는 5개 채널(CH1-CH5) 각각에 해당되는 국부 발진 주파수를 생성하기 위한 수정 발진 소자(X1-X5)와 이 발진 소자를 순차적으로 선택하여 변조처리부에 연결하는 스위칭부(49A)를 갖고 복수의 채널별로 각 채널에 해당되는 발진신호를 각각 출력할 수 있도록 순차적으로 상기 변조기(48)에 연결하는 멀티 채널 스캔 발진부(49)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통 신호 제어기의 무선 원격 제어장치.
  7. 교통 신호 제어기를 원격 제어하기 위하여 통신선로를 가지고, 이 통신선로를 통해서 중앙과 지역, 또는 지역에서 각 교통 신호기를 연결하여 원격지에서 해당 교차로 등에 설치된 신호기를 제어하는 장치로서; 교통신호 제어기를 제어하기 위하여 수동 제어를 선택하는 수동 스위치(S1), 자동 제어를 선택하는 자동 스위치(S2), 현재 신호 상태에서 다음 단계의 신호 상태로 진행시키는 진행 스위치(S3), 모든 신호등을 점멸시키는 점멸 스위치(S4)들이 구비된 교통신호기 조작 판넬부(35)와, 교통 신호기 조작 판넬부(35)의 키명령에 따라 교통 신호등을 점들/소등 구동제어하는 교통신호 제어부(36)로 구성된 교통 신호 제어회로에 있어서, 원격 제어 송신기에서 출력된 교통 신호등의 RF원격 제어신호를 수신하는 고주파 입력부와, 상기 고주파 입력부로 수신된 교통 신호등 원격 제어신호를 디코딩하여 송신기의 신호등 원격 키명령을 검출하는 코드 검출부와, 상기 코드 검출부에서 검출된 원격 제어 키코드에 대응하여 교통 신호 제어부(36)에 조작 판넬부(35)의 스위치 온과 동일한 키명령을 공급하는 키명령 출력부와, 송신기의 RF채널과 일치하는 수신 채널을 선택하여 선택된 채널에 대응하는 RF신호 선국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고주파 입력부의 선국 채널을 제어하는 채널 선택 제어부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통 신호 제어기의 무선 원격 제어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고주파 입력부는, 송신기에서 송출된 무선 원격 제어신호를 수신하는 수신 안테나(11)와, 상기 안테나(11)로 수신된 신호를 증폭하는 고주파 증폭기(12)와, 상기 고주파 증폭기(12)의 출력 신호를 주파수 합성기(14)의 출력과 혼합하여 중간 주파수로 변환하는 제1혼합기(13)와, 상기 제1혼합기(13)의 출력 신호를 증폭하는 제1중간주파 증폭기(15)와, 상기 제1중간 주파 증폭기(15)의 출력 신호를 필터링하는 제1중간주파 필터(16)와, 상기 제1중간 주파 필터(16)의 출력을 제2국부 발진기(18)의 출력과 혼합하여 제2중간주파 신호로 변환하는 제2혼합기(17)와, 제2국부 발진신호를 생성하여 상기 제2혼합기(17)에 공급하는 제2국부 발진기(18)와, 상기 제2혼합기(17)의 출력 신호를 증폭하는 제2중간 주파 증폭기(19)와, 상기 제2중간주파 증폭기(19)의 출력 신호를 필요한 신호 대역으로 필터링하는 제2중간주파 필터(20)로 구성되고, 상기 코드 검출부는, 상기 제2중간주파 필터(20)의 출력신호를 복조하여 송신기측의 키명령을 검출하는 복조기(21)와, 상기 복조기(21)에서 복조 출력된 신호를 필요한 대역으로 필터링하는 저역 통과 필터(22)와, 상기 저역 통과 필터(22)의 출력을 소정의 기준 레벨과 서로 비교하여 디지탈 데이타로 변환시키는 비교기(23)와, 상기 비교기(23)의 출력신호를 레벨 변환하는 레벨 변환기(24)와, 상기 레벨 변환기(24)에서 출력된 신호의 키 명령을 각각 디코딩하기 위한 원격/자동 명령의 제1디코더(25), 진행 명령의 제2디코더(26), 전멸 명령의 제3디코더(27)로 구성되고, 상기 키명령 출력부는, 상기 각 디코더(25, 26, 27)의 출력에 따라 릴레이를 구동시키는 제1릴레이 구동부(28), 제2릴레이 구동부(29), 제3릴레이 구동부(30)와, 상기 각 릴레이 구동부(28, 29, 30)의 출력에 따라 구동되어 교통 신호기 조작 판넬부(35)의 해당키 입력과 동일한 키명령을 교통 신호 제어부(36)에 공급하는 제1릴레이(32), 제2릴레이(33), 제3릴레이(34)로 구성되고, 상기 채널 선택 제어부는, 중앙처리장치(31)의 제어를 받아 선택된 채널에 대응하는 국부 발진신호를 생성하여 상기 제1혼합기(13)에 공급하는 주파수 합성기(14)와, 수신기의 채널을 선택하는 채널 선택 스위치(SW2)와, 상기 채널 선택스위치(SW2)로 선택된 채널의 선국을 위하여 주파수 합성기(14)를 제어하는 중앙처리장치(31)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통 신호 제어기의 무선 원격 제어장치.
  9. 제7항 또는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코드 검출부에서 출력되는 수신 RF신호 강도를 디지탈 신호로 변환하여 채널 선택 제어부에 공급하는 아날로그 디지탈 변환기(37)를 구비하고, 상기 아날로그 디지탈 변환기(37)로부터 입력된 수신 신호의 증가/감소를 채널 선택 제어부에서 판독하여 긴급 통과 차량의 교차로 접근 및 통과 여부를 판정한 결과에 따라 신호등의 점멸 키명령을 상기 키명령 출력부에서 출력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통 신호 제어기의 무선 원격 제어장치.
KR2019930030321U 1993-12-29 1993-12-29 교통 신호 제어기의 무선 원격 제어 장치 KR970000422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30030321U KR970000422Y1 (ko) 1993-12-29 1993-12-29 교통 신호 제어기의 무선 원격 제어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30030321U KR970000422Y1 (ko) 1993-12-29 1993-12-29 교통 신호 제어기의 무선 원격 제어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50020671U KR950020671U (ko) 1995-07-26
KR970000422Y1 true KR970000422Y1 (ko) 1997-01-20

Family

ID=1937332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30030321U KR970000422Y1 (ko) 1993-12-29 1993-12-29 교통 신호 제어기의 무선 원격 제어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70000422Y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09523A (ko) * 1999-07-10 2001-02-05 정석영 교통신호 원격제어방법 및 그 원격제어장치
KR100715038B1 (ko) * 2000-04-07 2007-05-09 강신란 교통 신호 제어 장치 및 방법
KR100771070B1 (ko) * 2006-11-27 2007-10-30 강신란 교통 신호 제어 장치 및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50020671U (ko) 1995-07-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20005507B1 (ko) 차량 자동추적 시스템의 차량 탑재장치
GB2287337A (en) Vehicle control system
KR970000422Y1 (ko) 교통 신호 제어기의 무선 원격 제어 장치
US6804511B1 (en) Radio controlling apparatus
KR100528671B1 (ko) 교통 신호등 무선 제어장치
JP2005323445A (ja) 列車制御システムの車上無線装置
KR100274506B1 (ko) 수신주파수의 변경이 가능한 가로등의 무선제어수신기 및 그 제어방법
JP4003466B2 (ja) 照明装置
JPH10230084A (ja) ラジコン模型の操縦用無線機、模型用無線機、管理用モニタ装置
KR0153325B1 (ko) 신호등 무선 연동 제어장치
KR200236744Y1 (ko) 지하철 플랫폼의 선로 감시를 위한 무선 모니터링 시스템
KR100188536B1 (ko) 크레인 원격제어용 송.수신시스템
RU93033273A (ru) Устройство беспроводной аварийно-взрывной и информационно-технологической шахтной сигнализации и связи
US20020102945A1 (en) Transmit-receive switching circuit and method of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KR101038700B1 (ko) 활주로등의 제어를 위한 무선 수신기
JP3806699B2 (ja) ワイヤレスマイクシステム、レシーバー、ワイヤレスマイク
KR100430787B1 (ko) 주파수 다중 채널 시스템의 채널 변환 장치
KR100255554B1 (ko) 양방향 통신 무선 조종기
JPH0422292A (ja) 単方向無線通信の周波数選択方式
JPH0236499A (ja) 車両誘導に使用する信号装置
KR940007720B1 (ko) 인공위성을 이용한 물체 추적장치
JP2008109367A (ja) 高周波モデム及びこれを用いた映像監視システム
KR200246377Y1 (ko) 에프엠 다크 신호를 이용한 가로등 및 보안등 제어 수신기
KR0181149B1 (ko) 양방향 페이져를 이용한 탐색시스템
KR20070016951A (ko) 무선 교통신호 제어장치 및 교통신호 제어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10716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