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40007720B1 - 인공위성을 이용한 물체 추적장치 - Google Patents

인공위성을 이용한 물체 추적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40007720B1
KR940007720B1 KR1019920003394A KR920003394A KR940007720B1 KR 940007720 B1 KR940007720 B1 KR 940007720B1 KR 1019920003394 A KR1019920003394 A KR 1019920003394A KR 920003394 A KR920003394 A KR 920003394A KR 940007720 B1 KR940007720 B1 KR 94000772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gnal
frequency
output
transmission
satelli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2000339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30018285A (ko
Inventor
최영호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 주식회사
강진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 주식회사, 강진구 filed Critical 삼성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19920003394A priority Critical patent/KR940007720B1/ko
Publication of KR93001828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3001828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4000772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40007720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SRADIO DIRECTION-FINDING; RADIO NAVIGATION; DETERMINING DISTANCE OR VELOCITY BY USE OF RADIO WAVES; LOCATING OR PRESENCE-DETECTING BY USE OF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RADIO WAVES; ANALOGOUS ARRANGEMENTS USING OTHER WAVES
    • G01S3/00Direction-finders for determining the direction from which infrasonic, sonic, ultrasonic, or electromagnetic waves, or particle emission, not having a directional significance, are being received
    • G01S3/02Direction-finders for determining the direction from which infrasonic, sonic, ultrasonic, or electromagnetic waves, or particle emission, not having a directional significance, are being received using radio wave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Remote Sensing (AREA)
  • Radio Relay Systems (AREA)
  • Digital Transmission Methods That Use Modulated Carrier Wave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인공위성을 이용한 물체 추적장치
제 1 도는 인공위성의 통신시스템을 나타낸 설명도.
제 2 도는 이 발명에 따른 인공위성을 이용한 물체 추적장치의 송.수신회로도.
제 3 도는 인공위성의 송수신관계를 나타낸 설명도.
제 4 도는 제 3 도에 의해 물체를 추적하는 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빔의 상태도.
제 5 도의 a,b는 2개의 인공위성을 이용하여 물체를 추적하는 원리를 나타낸 설명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송수신 안테나 20 : 송수신 스위치부
30 : 제 1 주파수변환부 40 : FSK 복조부
50 : 마이콤 60 : 주파수합성부
70 : 변조부 80 : 제 2 주파수변환부
31 : 저잡음 증폭기 32, 84 : 대역필터
33, 43, 44, 82 : 믹서 41, 360 : 디멀티플렉서
42 : 국부 발진기 45, 46, 48, 162, 262 : 저역통과필터
163, 263 : VCO 47, 161, 261: 위상비교기
81, 83 : 증폭기 L1, L2, L3 : 리미터
이 발명은 인공위성을 이용한 물체 추적장치에 관한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2개의 인공위성을 사용하여 고정 및 이동중인 물체의 위치를 파악하여 추적하기 위한 물체 추적장치에서 물체에 부착되는 송수신장치에 관한 것이다. 인공위성을 여러분야에 이용되고 있으나 그중 특정한 물체를 추적하기 위한 장치로서 인공위성이 많이 이용되고 있다. 특히, 이러한 인공위성을 이용한 물체 추적장치는 차량, 기차, 선박, 항공기등과 같이 위치가 항시 이동되는 물체에 대한 위치 파악 및 추적으로 이들의 관리운용이 보다 더 효과적으로 되는 잇점을 가져다 준다.
이와같은 물체 추적장치의 이용에 의해 이동물체의 사고나 위험을 방지하고, 도나 차량등의 신속한 회수가 가능하다. 또한, 사람이 접근하기가 곤란한 지역이나 사람이 장기간 거주하기가 곤란한 자연환경의 지역등에 여러자원의 정보를 파악하는데 이용될 수 있다. 현재 이용되고 있는 기존의 물체 추적장치의 추적방법은, 다수곳의 수신소를 설치하고 특정의 물체의 전파를 발사하며 이 물체에서 다시 전파를 송신하여 상기 여러곳의 수신소에서 이 전파를 수신하여서 물체로부터 수신기까지의 전파의 도달시간을 계산하여 물체의 위치를 파악하였다.
이와같은 방법은 여러곳에 수신소를 설치해야 되므로 협소한 지역에서의 물체 추적은 가능하나, 광대한 지역에서의 물체 추적이 곤란하다.
이 발명은 이와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것으로서, 이 발명의 목적은 2개의 인공위성을 이용하여 광대한 지역을 커버할 수 있는 물체 추적장치를 제공하며 이러한 물체추적이 가능하도록 양방향 통신이 가능한 인공위성을 이용한 물체 추적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이와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이 발명은, 인공위성으로부터 송출되는 신호를 수신하며 시스템으로부터 발생된 신호를 인공위성으로 송신하는 송수신안테나와, 이 송수신안테나와 연결되어 송신 및 수신모드에 따라 스위칭되는 송수신스위치부와, 이 송수신스위치부와 연결되어 수신모드시에 송수신안테나를 통해 수신되는 신호를 입력받아 저주파로 주파수변환시키는 제 1 주파수변환부와, 이 제 1 주파수변환부와 연결되어 제 1 주파수변환부에서 저주파로 변환된 입력신호를 복조하여 디지탈신호를 출력하는 FSK 복조부와 이 FSK 복조부와 연결되어 입력되는 디지탈신호의 데이타를 판별하여 시스템을 콘트롤하는 명령신호와 인공위성으로 송신할 메세지를 발생하는 마이콤과, 이 마이콤과 상기 FSK 복조부 및 제 1 주파수변환부에 연결되어 상기 마이콤에 명령에 따라 설정된 주파수로 신호를 발생하여 FSK 복조부에 제공하는 제 1 주파수변환부에는 변환신호원을 제공하는 주파수합성부와, 이 주파수합성부 및 상기 마이콤에 연결되어 마이콤으로부터 입력되는 신호를 일정한 신호로 변조시키는 변조부와, 이 변조부 및 상기 주파수합성부와 연결되어 변조된 신호를 고주파로 주파수변환하여 송수신스위치부를 통해 송수신안테나로 출력하는 제 2 주파수변환부로 된 인공위성을 이용한 물체 추적장치에 그 특징이 있다.
이하, 이 발명이 실시예에 대하여 첨부도면에 따라서 상세히 설명한다. 제 1 도는 인공위성을 이용한 통신 시스템을 나타낸 설명도로서, 인공위성(100)과, 사용자유니트(200) 및 중앙통제소(300)로 구성된다. 상기 인공위성(100)과 사용자유니트(200)간의 송수신주파수를 F1이라하고, 이 f1 신호를 수신하여 지상의 중앙통제소(300)로 중계하는 주파수를 f2라 칭한다. 기준 송수신소(400)에서는 각 지역에 설치되어 기준이 되는 위치를 제공하게된다. 제 2 도는 이 발명에 따른 인공위성을 이용한 물체 추적장치의 송수신회로를 나타낸 것이다. 즉, 인공위성과 지상과의 송수신을 행하기 위한 송수신안테나(10)는 송수신스위치부(20)에 연결되어 수신모드에 송수신안테나(10)와 연결되며, 수신되는 신호를 주파수 변환시키는 제 1 주파수변환회로(30)가 설치된다. 이 주파수변환회로(30)에는 주파수변환되는 신호를 복조하여 디지탈신호로 출력시키는 FSK 복조부(40)가 연결된다. 이 FSK 복조부(40)에는 시스템을 콘트롤하며 입력된 신호의 데이타를 판별하는 마이콤(50)이 연결되고, 이 마이콤(50)에는 주파수합성부(60)와 변조부(70)가 각기 연결된다. 상기 주파수합성부(60)는 제 1 주파수변환부(30)와 제 2 주파수변환부(80)에 연결되고 다른 한편으로는 변조부(70)에도 연결된다. 변조부(70)는 상기 주파수합성부(60)와 마이콤(50)에 의해 변조를 행하여 세트 외부로 송신하기 위해 변조를 행한다. 상기, 제 2 주파수변환부(80)는 상기 주파수합성부(60)와 상기 변조부(70)의 출력에 의해 주파수를 고주파로 변환하며, 상기 송수신스위치부(20)와, 연결되어서 송수신스위치부(20)가 송신모드일때 송수신안테나(10)와 연결된다. 한편, 상기 제 1 주파수변환부(30)는, 송수신스위치(20)와 연결되어서 수신되는 미세한 신호를 증폭하는 저잡음증폭기(31)와, 상기 저잡음증폭기(31)와 연결되어서 입력되는 신호중 일정한 대역의 신호(f1)만을 통과시키는 대역필터(32)와, 이 대역필터(32)에 연결되어 상기 f1 신호를 낮은 주파수로 변환시키는 믹서(33)로 이루어졌다. FSK 복조부(40)는 상기 주파수변환부(30)의 믹서(33)와 연결되어 입력되는 신호를 분리시키는 디멀티플렉서(41)와, 이 디멀티플렉서(41)와 연결되어 0°위상의 입력되는 신호에서 f2신호성분을 제거하는 믹서(43)와, 상기 디멀티플렉서(41)와 연결되어 90위상의 입력되는 신호에서 f2신호성분을 제거하는 믹서(44)와, 상기 믹서(43)와 믹서(44)에 연결되어 0°및 90°의 위상 변화된 주파수변환신호를 제공하는 국부발진기(42)와, 상기 믹서(43), (44)에 각기 연결되어 저역신호성분을 통과시키는 저역통과필터(45), (46)와, 이 저역통과필터(45), (46)에 각기 연결되어 신호의 크기를 제한시키는 리미터(L1), (L2)와, 상기 리미터(L1), (L2)들과 연결되어 입력되는 신호들의 위상을 비교하여 1 또는 0의 디지탈신호를 출력하는 위상비교기(47)와, 이 위상비교기(47)와 연결되어 출력되는 신호에서 저역성분만을 통과시키는 저역통과필터(48)와, 이 지역통과필터(48)와 연결되어 입력되는 신호의 크기를 제한하여 마이콤(50)으로 출력시키는 리미터(L3)로 이루어졌다. 한편, 주파수합성부(60)는 2개의 PLL회로(160), (260)와 디멀티플렉서(360) 및 TCXO(Temperature Compensated Crystal Oscillator)(460)로 이루어졌다. 즉, TCXO(460)에서는 기준신호를 제공하고 상기 PLL 회로(160), (260)는 이 기준신호를 제공받아 국부발진기(42)와 디멀티플렉서(360)에 입력을 제공한다. 상기 PLL 회로(160), (260)는 각기 위상비교기(161), (261)와 저역통과필터(162), (262) 및 VCO(Voltage Controlled Oscillator)(163), (263) 및 분주기(164), (264)로 이루어졌으며, 분주기(164)는 마이콤(50)에 연결되어 마이콤(50)에 의해 제어된다. 또한 제 2 주파수변환부(80)는 상기 변조부(70)에서 출력되는 신호의 세력을 증폭하는 증폭기(81)와, 이 증폭기(81)의 출력과 상기 디멀티플렉서(360)의 출력을 믹싱하여 높은 주파수대로 변환시키는 믹서(82)와, 이 믹서(82)와 연결되어 주파수변환되어 출력신호를 증폭하는 증폭기(83)와, 이 증폭기(83)와 연결되어 증폭된 신호에서 일정한 대역의 신호를 통과시키는 대역통과필터(84)로 이루어졌다. 이와같이 연결구성된 이 발명의 작용효과를 설명하면, 지상통제소(300)에서 인공위성(100)으로 f2 신호를 송신하면, 인공위성(100)에서는 이 신호를 수신하여 사용자유니트(200)에 f1 신호를 송신하게 된다. 이 신호는 제 2 도의 송수신안테나(10)를 통해 입력되며 이때의 송수신스위치부(20)는 수신모드로 되며 수신된 신호는 제 1 주파수변환부(30)로 입력된다. 주파수변환부(30)는 저잡음증폭기(31)에서 수신된신호를 증폭하고, 대역통과필터(32)를 통해서는 일정한 대역의 신호만이 통과된다. 이 대역통과된 신호는 믹서(33)에서 디멀티플렉서(360)에서 제공되는 신호와 믹싱되어 낮은 주파수의 신호로 변환되어 FSK 복조부(40)로 출력된다. 이 FSK 복조부(40)에서는 입력되는 신호가 디멀티플렉서(41)에 의해 2개의 신호로 분리되어 각기 믹서(43), (44)로 신호간 입력되며, 주파수합성부(60)에의해 발진주파수가 제어되는 국부발진기(42)에 의해 신호가 0°및 90°위상변환되어 믹서(43), (44)에서 상기 디멀티플렉서(41)에서 출력되는 신호와 믹싱되어 출력된다. 이 믹서(43), (44)의 출력들은 각기 저역통과필터(45), (46)와, 리미터(L1), (L2)를 통해 저역신호성분만이 통과된후 신호의 크기가 제한되어서 위상비교기(47)에 입력된다. 이 위상비교기(47)는 상기 리미터(L1), (L2)를 통해 입력되는 신호의 위상을 비교하여 1 또는 0의 디지탈신호를 출력한다. 이 신호는 저역통과필터(48)에서 필터링되고 리미터(L3)에 의해 신호의 크기가 제한되어 마이콤(50)에 입력된다. 이때 마이콤(50)에 입력되는 신호는 동기신호부와 어드레스부 및 명령부로 신호의 포멧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상기 신호중 동기신호부는 복호부의 동기를 맞추는 신호이고 어드레스부는 각 사용자에게 할당된 어드레스이며, 명령부는 특정 어드레스에 대해 특정의 주파수를 할당하도록하는 데이타이다. 마이컴(50)에서는 상기와 같은 포멧의 신호를 입력받아 이 명령을 해독하여 주파수합성기(60)의 주파수를 설정하여 제어명령을 추력한다. 이 마이콤(50)에서 출력하는 신호는 동기신호부와 어드레스부 및 메세지부로 신호의 포멧이 이루어진다. 이 신호는 주파수합성기(60)의 PLL 회로(160)에서 마이콤(50)에 의해 설정된 주파수로 변환된후, 변조부(70)에 입력된다. 즉, 마이콤(50)에 의해 분주기(164)의 분주비율이 결정되어 TCXO(460)의 출력과 이 분주기(264)의 출력에 의해 VCO(163)의 발진주파수가 결정되고 이 신호는 저역통과필터(162)와 위상비교기(161)를 통해 변조부(70)의 변조신호로 제공되며 다른 한편으로는 FSK 복조부(40)의 디멀티플렉서(42)에 제공된다. 변조부(70)는 마이콤(50)의 출력신호를 상기 위상비교기(161)의 출력신호에 의해 변조를 행하여 제 2 주파수변환부(80)로 출력하며, 제 2 주파수변환부(80)는 상기 변조부(70)의 출력신호를 증폭기(81)에서 큰 세력으로 증폭시키고 믹서(82)에서는 이 증폭기(81)의 출력과 디멀티플렉서(360)에서 제공되는 신호로 고주파로 주파수변환시킨다. 이 고주파로 변환된 신호는 증폭기(83)에서 다시 더축 큰 세력으로 증폭되고, 대역통과필터(84)를 통해서는 필요한 대역만이 출력된다. 이때의 송수신스위치(20)는 송신모드로 되게되어 상기 대역통과필터(84)에서 출력되는 신호가 송수신안테나(10)를 통해 인공위성(100)으로 송신된다. 제 3 도는 인공위성을 이용한 통신관계를 나타내었다. 즉, 인공위성(100)에서 다수의 사용자유니트(200)를 호출하게되면, 이 신호를 수신한 특정다수의 사용자유니트(200)는 정해진 주파수로 인공위성(100)으로 재송신하게된다. 이때 인공위성(100)으로 재송신되는 신호의 주파수는 수신신호의 명령부에 의해 결졍된다. 제 2 도와 같은 회로구성은 각 사용자유니트(200)에 설치되는것으로, 인공위성(100)과의 송수신은 f1 신호에 의해 이루어진다. 사용자유니트(200)에서 각기 인공위성(100)으로 송신하는 신호는 각 사용자유니트(200) 마다의 특정의 주파수인 f1+B, f+2B, …fn+nB등으로 대역이 서로 다르게 된다. 상기에서 B는 채널 대역이다. 한편, 인공위성(100)은 이들 사용자유니트(200)의 신호를 수신한후 중앙통제소(300)로 송신되는데, 이때는 f2 신호로 송신을 행하며 f2 신호는 넓은 대역폭을 갖도록하여 중앙통제소(300)와 송신한다. 즉, f2±B, f2±2B,…,f2±nB신호를 중앙통제소(300)로 송신한다. 구체적으로는 사용자 및 이동하는 물체를 상술한 제 2 도와 같은 송수신장치를 설치하고 인공위성(100)을 이용하여 중앙통제소(300)와 사용자유니트(200)들의 통신을 행하게되는데, 중앙통제소(300)에서는 f2 신호의 주파수로 인공위성(100)으로 송신하면, 이 인공위성(100)은 f2 신호를 f2 신호로 변환하여 사용자유니트(200)인 사람이나 차량.선박등으로 전송하게 된다. 이때 각 사용자유니트(200)로 전송되는 신호는 각 사용자유니트(200)의 인식번호를 포함하게 된다. 사용자유니트(200)의 상기의 신호를 자신의 인식번호가 확인되면 f1 신호 주파수로 인공위성(100)으로 송신하며, 인공위성(100)에서는 이 신호를 f2 주파수대역으로 변환시킨 후 중앙통제서(300)로 전송하게 된다. 이 중앙통제소(300)에서는 인공위성의 위성안테나를 스캐닝하여 사용자유니트(200)의 위치를 알 수 있게 된다. 제 4 도는 이와같이 물체를 추적하는것을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서, 인공위성(100)에서는 긴 막대모양의 빔(B1)을 일정한 속도로 회전시킨다. 따라서 빔(B1)은 일정시간(T1)에 a지점을 지나가게되고, 시간(T2)에 b지점을 통과하게 된다. 이때 다른 빔(B2)은 빔(B1)이 b지점을 통과할때에 빔(B2)은 a지점을 통과하게 된다. 먼저의 빔(B1)은 지상의 사용자유니트(200)로 f1 주파수로 호출신호를 송출하면서 스캐닝하여, 이 빔(B1)이 지나가는 지역(A)의 유니트들은 호출신호를 수신하게 된다. 이후, 제 2 도와 같은 송수신장치에서 수신한후 다시 인공위성(100)으로 f1 주파수로 송신하게 된다. 이후, 빔(B1)을 뒤따라 오는 빔(B2)이 상기 송수신장치로부터 송신된 신호를 수신하여 지상의 중앙통제소(300)로 송신하게되며, 이 빔(B1), (B2)은 정해진 시간에 정해진 위치를 통과하게 되므로 물체의 위치를 파악하게 된다. 따라서 2개의 인공위성(100), (101)을 이용할경우에 특정 물체에 대한 위치를 파악하게 된다. 즉, 제 5 도의 (a), (b)에서와 같이 시간(T1)에 두 인공위성(100), (101)이 동시에 수신하는것을 이용하여 위치를 파악하게 된다. 제 5 도의 (b)는 물체(사용자유니트)의 위치를 파악하는 방법을 나타낸것이다. 두 인공위성(100), (101)의 거리(r3)를 계산하고, 송수신되는 물체의 위치에 의해 각 인공위성(100), (101)간의 직선에 의해 형성되는 각도 θ1, θ2를 알수 있으므로 인공위성(101)과 사용자유니트(200)간의 거리(r1)와, 인공위성(100)과 사용자유니트(200)간의 거리(r2) 를 계산하여 물체의 정확한 위치를 파악하게 된다. 따라서, 차량. 선박. 항공기등에 이 발명에 따른 송수신장치를 부착하면 차량. 선박. 항공기등의 이동위치와 속도등을 파악하게 된다.
이상에서와 같이 이 발명에 다른 인공위성을 이용한 물체 추적장치에 의하면, 인공위성으로부터 송출되는 신호를 수신하며 시스템으로부터 발생된 인공위성으로 송신하는 송수신안테나와, 이 송수신안테나와 연결되어 송신 및 수신모드에 따라 스위칭되는 송수신스위치부와, 이 송수신위치부와 연결되어 수신모드시에 송수신안테나를 통해 수신되는 신호를 입력받아 저주파로 주파수변환시키는 제 1 주파수변환부와, 이 제 1 주파수변환부와 연결되어 제 1 주파수변환부에서 저주파로 변환된 입력신호를 복조하여 디지탈신호로 출력하는 FSK 복조부와, 이 FSK 복조부와 연결되어 입력되는 디지탈신호의 데이타를 판별하여 시스템을 콘트롤하는 명령신호와 인공위성으로 송신할 메세지를 발생하는 마이콤과, 이 마이콤과 상기 FSK 복조부 및 제 1 주파수변환부에 연결되어 상기 마이콤에 명령에 따라 설정된 주파수로 신호를 발생하여 FSK 복조부에 제공하고, 제 1 주파수변환부에는 변환신호원을 제공하는 주파수합성부와, 이 주파수합성부 및 상기 마이콤에 연결되어 마이콤으로부터 입력되는 신호를 일정한 신호로 변조시키는 변조부와, 이 변조부 및 주파수합성부와 연결되어 변조된 신호를 고주파로 주파수 변환하여 송수신스위치부를 통해 송수신안테나로 출력하는 제 2 주파수변환부로 된 것이므로 인공위성으로부터 송신되는 f1 신호를 수신하여서 마이콤에 의해 메세지를 인공위성으로 송신하게 된다. 또한, 2개의 인공위성에 의해 이와같은 송수신장치에서 발생되는 신호를 수신하여 중앙통제소에 송신하게되므로 이 2개의 인공위성에서 보내온 신호에 의해 전술한 송수신장치를 부착한 사용자유니트의 위치를 정확하게 파악할 수 있다. 따라서, 고정 및 이동중인 물체의 추적이 용이하며 차량등이 항상 그 위치가 추적되므로 도난의 위험성이 없게 된다. 또한, 이와같은 이동물체의 추적범위가 인공위성에 의해 이루어지므로 광범위한 지역에서의 물체의 감시가 가능한 효과를 갖는다.

Claims (5)

  1. 인공위성으로부터 송출되는 신호를 수신하며 시스템으로부터 발생된 신호를 인공위성으로 송신하는 송수신안테나(10)와, 이 송수신안테나(10)와 연결되어 송신 및 수신모드에 따라 스위칭되는 송수신스위칭부(20)와, 이 송수신스위치부(20)와 연결되어 수신모드시에 송수신안테나(10)를 통해 수신되는 신호를 입력받아 저주파로 주파수를 변환시키는 제 1 주파수변환부(30)와, 이 제 1 주파수변환부(30)와 연결되어 제 1 주파수변환부(30)에서 저주파로 변환된 입력신호를 복조하여 디지탈신호로 출력하는 FSK 복조부(40)와, 이 FSK 복조부(40)와 연결되어 입력되는 디지탈신호의 데이타를 판별하여 시스템을 콘트롤하는 명령신호와 인공위성으로 송신할 메세지를 발생하는 마이콤(50)과, 이 마이콤(50)과 상기 FSK 복조부(40) 및 제 1 주파수변환부(30)에, 연결되어 상기 마이콤(50)의 명령에 따라 설정된 주파수로 신호를 발생하여 FSK 복조부(40)에 제공하고, 제 1 주파수변환부(30)에는 변화신호원을 제공하는 주파수합성부(60)와, 이 주파수합성부(60) 및 상기 마이콤(50)에 연결되어 마이콤(50)으로부터 입력되는 신호를 일정한 신호로 변조시키는 변조부(70)와, 이 변조부(70) 및 주파수합성부(60)와 연결되어 변조된 신호를 고주파로 주파수변환하여 송수신스위치부(20)를 통해 송수신안테나(10)로 출력하는 제 2 주파수변환부(80), 로 된 인공위성을 이용한 물체추적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주파수변환부(30)는, 송수신스위치부(20)에 연결되어 수신모드시에 인공위성으로부터 송신된 신호를 입력받아 큰 세력으로 증폭하는 저잡음증폭기(31)와, 이 저잡음증폭기(31)에 연결되어 특정대역의 신호만을 통과시키는 대역필터(32)와, 상기 대역필터(32)와 연결되고 상기 주파수합성부(60)에서 제공되는 신호에 의해 대역필터(32)를 통과한 신호를 저주파로 주파수변환시키는 믹서(33), 로 된 인공위성을 이용한 물체 추적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FSK 복조부(40)는, 상기 제 1 주파수변환부(30)와, 연결되어 제 1 주파수변환부(30)에서 출력되는 신호를 분리시키는 디멀티플렉서(41)와, 상기 주파수합성부(60)와 연결되어 주파수합성부(60)에 출력에 따라 발진주파수가 변환되며 0°및 90°위상의 2종의 출력을 발생하는 국부발진기(42)와, 상기 디멀티플렉서(41)의 일측과 상기 국부발진기(42)에 일측에 연결되어 티멀티플렉서(41)의 한 출력신호와 국부발진기(42)에서 출력되는 0°위상의 신호를 믹싱하는 믹서(43)와, 상기 멀티플렉서(41)의 다른 일측과 상기 국부발진기(42)의 다른 일측에 연결되어 디멀티플렉서(41)의 다른 출력 신호와 국부발진기(42)에서 출력되는 90°위상의 신호를 믹싱하는 믹서(44)와, 상기 믹서(43), (44)에 각기 연결되어 이 믹서(43), (44)에 출력되는 신호에서 저역을 통과시키는 저역통과필터(45), (46)들과, 상기 저역통과필터(45), (46)에 각기 연결되어 출력되는 신호의 크기를 제한하는 리미터(L1), (L2)들과, 상기 리미터(L1), (L2)에 연결되어 이 리미터(L1), (L2)에서 출력되는 위상이 90°다른 신호를 입력받아 위상을 비교하여 0 또는 1의 디지탈출력을 발생하는 위상비교기(47)와, 이 위상비교기(47)의 출력신호를 필터링하는 저역통과필터(48)와, 상기 저역통과필터(48)의 출력신호의 크기를 제한하는 리미터(L3), 로 된 인공위성을 이용한 물체 추적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주파수합성부(60)는, 기준신호를 발생하는 TCXO(460)와, 상기 마이콤(50)의 제어에 따라 FSK 복조부(40)와, 변조부(70)에 일정주파수의 신호를 제공하는 PLL 회로(260)와, 상기 TCXO(460)에 연결되어 TCXO(46)에서 제공되는 기준신호를 분주하여 출력하는 PLL 회로(260)와, 이 PLL 회로(260)의 신호를 분리하여 출력하여 상기 제1, 제 2 주파수변환부(30), (80)에 변환신호원을 제공하는 디멀티플렉서(360), 로 된 인공위성을 이용한 물체 추적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제 2 주파수변환부(80)는, 상기 변조기(70)와 연결되어 변조기(70)의 출력신호를 증폭하는 증폭기(18)와, 상기 주파수합성부(60)와 증폭기(81)에 연결되어 주파수합성부(60)에서 제공되는 변환신호원과 상기 증폭기(81)의 출력을 믹싱하는 믹서(82)와, 이 믹서(82)에 연결되어 믹서(82)에서 출력되는 신호를 증폭하는 증폭기(83)와, 이 증폭기(83)에 연결되어 일정한 대역신호를 통과시켜 상기 송수신 스위치부(20)로 출력시키는 대역필터(84), 로 된 인공위성을 이용한 물체 추적장치.
KR1019920003394A 1992-02-29 1992-02-29 인공위성을 이용한 물체 추적장치 KR94000772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20003394A KR940007720B1 (ko) 1992-02-29 1992-02-29 인공위성을 이용한 물체 추적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20003394A KR940007720B1 (ko) 1992-02-29 1992-02-29 인공위성을 이용한 물체 추적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30018285A KR930018285A (ko) 1993-09-21
KR940007720B1 true KR940007720B1 (ko) 1994-08-24

Family

ID=1932985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20003394A KR940007720B1 (ko) 1992-02-29 1992-02-29 인공위성을 이용한 물체 추적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40007720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30018285A (ko) 1993-09-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20005507B1 (ko) 차량 자동추적 시스템의 차량 탑재장치
CA1310067C (en) Single-frequency time division duplex transceiver
US4363129A (en) Method and means of minimizing simulcast distortion in a receiver when using a same-frequency repeater
JP2000501837A (ja) スペクトラム拡散パイロットを備えたgps変換器
CA1092261A (en) Two-way radio transmission system between a main station and secondary stations
KR940007720B1 (ko) 인공위성을 이용한 물체 추적장치
US5369779A (en) Two-way MMDS communications system
JPH0642638B2 (ja) 無線通信装置
US2877344A (en) Transmitter-receiver tuning system
US9748980B2 (en) Apparatus and methods of accessing all channels of a superheterodyne receiver simultaneously
US6026114A (en) Transmitting and receiving apparatus of time division full-duplex spread spectrum communication system
JPS5949033A (ja) スペクトラム拡散通信用送受信装置
JP3652821B2 (ja) フィルタの所定帯域幅の帯域端周波数検出装置と当該装置を用いたssb送信機およびssb受信機
JPH11103266A (ja) Fh用非同期受信機
CA1229888A (en) Method of transmitting digital data by modulating a high frequency signal
GB2135544A (en) Radio communications systems
SU1626436A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 приема широкополосных сигналов с линейной частотной модул цией
KR100249676B1 (ko) 국부 발진신호의 누설 신호 소거장치
JP2002217767A (ja) 信号検出装置
JPS6333824B2 (ko)
Darcey Satellite communication system and method Patent
NO772305L (no) Radio link relestasjon.
JPS604388A (ja) 画像信号伝送装置
GB336096A (en) Improvements in multiplex high frequency signalling systems
JPH0591094A (ja) Fm送受信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70727

Year of fee payment: 1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