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60033707A - 압출다이 및 이 다이를 통과하는 유동 조절방법 - Google Patents

압출다이 및 이 다이를 통과하는 유동 조절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60033707A
KR960033707A KR1019950006647A KR19950006647A KR960033707A KR 960033707 A KR960033707 A KR 960033707A KR 1019950006647 A KR1019950006647 A KR 1019950006647A KR 19950006647 A KR19950006647 A KR 19950006647A KR 960033707 A KR960033707 A KR 96003370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rs
window
bar
die
enlargem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5000664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335042B1 (ko
Inventor
케이. 멘델 킬리안
Original Assignee
유씨 인더스트리즈, 인코포레이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씨 인더스트리즈, 인코포레이티드 filed Critical 유씨 인더스트리즈, 인코포레이티드
Priority to KR101995000664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35042B1/ko
Publication of KR96003370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03370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3504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35042B1/ko

Links

Landscapes

  • Extrusion Moulding Of Plastic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압출다이 및 유동조절 방법에는 유동경로를 가로질러서 횡방향으로 뻗어있는 유동전환기 형태의 유동조절기가 포함되어 있다. 이 유동전환기는 다이단부의 상류에 창을 형성하고 있고 약간 테이퍼가 형성된 확대부를 제공하는데, 이러한 확대부는 창의 전체 횡단면적을 변화시키지 않고 창의 중앙으로부터 양단부쪽으로 비례적으로 유동을 전환시키도록 이 유동경로를 가로지르는 창을 따라서 한쪽면으로부터 다른 한쪽면으로 이동할 수 있거나. 바람직하게는 중앙부로부터 대칭적으로 외부로, 또는 그 반대로 이동할 수 있다. 이러한 창은 다이몸체내에 오목하게 형성된 축방향으로 회전가능한 한쌍의 원통형의 바에 의해서 형성되어 있는데, 이러한 각각의 바들은 확대부를 형성하는 플랫을 갖추고 있다. 바람직한 실시형태에서는 이 플랫이 나선형이다.바들이 동시에 서로 역회전할 때 이 확대부가 창을 가로질러서 이동하도록 나선형의 플랫들이 서로 맞은편에 위치하거나 매치되어 있다. 중앙 또는 축으로부터 각각의 횡방향이 단부로 확대부가 대칭적으로 이동하는 지점에서, 나선형의 매치되는 플랫들이 각각의 바의 중앙부의 각각의 단부상에서 반대방향으로 회전한다. 확대부가 창의 횡방향의 한쪽단부로부터 다른 한쪽단부로 이동하는 지점에서는 각쌍의 바가 반대방향으로 회전하더라도 각각의 나선형의 플랫의 회전은 바의 한쪽단부로부터 다른 한쪽단부로 동일하다. 유동경로를 가로지르는 확대부의 이동은 바의 축방향의 회전에 의해서 수행된다. 바의 세로줄의 쌍은 개별적으로 또는 서로간에 공동으로 사용될 수 있고 축방향으로 기울어진 플랫을 가질 수 있다.

Description

압출다이 및 이 다이를 통과하는 유동 조절방법
본 내용은 요부공개 건이므로 전문내용을 수록하지 않았음
제1도는 본 발명에 따른 다이의 단며을 일부 절단한 평면도, 제2도는 제1도의 선 2-2을 따라서 절단한 수직 단면도, 제3도는 다이의 한쪽면의 유동 제어 구동기를 확대한 측면도, 제4도는 제3도의 선 4-4로부터 본 단일 구동점의 횡방향의 단면도, 제5도는 제1도 및 제2도에 도시된 다이의 회전가능한 유동 제어바 중 하나의 측면도, 제6도는 제5도의 오른손 단부로부터 본 바의 단면도, 제7도는 바의 상부로부터 본 제5도의 바의 평면도, 제8도는 바의 오른손 단부로부터 본 제7도의 바의 단면도, 제9도는 창의 횡방향 단부를 형성하며 이 창의 중심을 확대한 것을 도시한 제5도 및 제7도에 도시된 것과 같은 한쌍의 바의 측면도, 제10도는 제1도와 유사하지만 다이내의 3세트의 유동 제어바를 도시한 평면도, 제11도는 제2도와 유사하지만 세로의 배열을 도시한 것으로서 제10도의 선 11-11을 따라서 절단한 수직 다면도, 제12도는 바의 다른 형태의 측면도, 제13도는 제12도의 바의 평면도, 제14도는 제9도와 비슷하지만, 창의 횡방향의 단부를 형성한 제12도 및 13도에 도시된 것과 같은 한쌍의 바를 도시한 측면도, 제15도 내지 제18도는 제9도에 도시된 바 세트의 여러가지의 합리적인 위치를 다소 과장되게 표현한 축소된 순서도로서, 바의 중심이 확장된 되돌아간 위치로부터 그 단부쪽으로 대칭적으로 이동하는 확대된 위치로 진행하여 그 양쪽 단부에 이르는 상태를 도시한 순서도, 제19도 내지 제22도는 제14도에 도시된 바 세트의 여러가지의 합리적인 위치를 다소 과장되게 도시한 축소된 순서도로서, 바의 한쪽단부가 확장된 되돌아간 위치로 부터 중앙이 확장된 위치로 진행하여 그 맞은편 단부가 확장되는 상태를 도시한 순서도, 제23도 및 제24도는 한쪽에는 선형의 플랫(flat)을 갖추고 있고 다른 한쪽에는 포물선형 또는 축방향으로 기울어진 플랫을 갖추고 있는 바세트의 서로 유사한 축소도로서, 제24도의 바가 제23도의 위치로부터 역회전하는 것을 도시한 축소도, 제25도 및 제26도는 포물선형의 플랫을 갖추고 있는 바세트의 2개의 위치와 유사하지만 반대방향의 축방향으로 기울어져 있는 상태를 도시한 축소도이다. 제27도는 제26도의 선 27-27으로부터 본 제26도의 바세트중의 하나를 도시한 평면도.

Claims (33)

  1. 압출 다이로서, 상기 다이내의 유동경로를 가로질러서 횡방항으로 뻗어있는 구멍을 가지고 있고 창의 긴쪽을 따라서 내부에 확대부를 가지고 있는 좁은 장방형의 창을 형성하고 있는 유동조절기와, 그리고 상기 유동경로를 가로질러서 상기 창의 긴쪽을 따라서 상기 확대부를 균일하게 이동시키기 위한 조적수단을 포함하고 있는 압출다이.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창의 긴쪽을 따라서 상기 확대부가 이동할때 상기 확대부의 면적을 일정하게 유지하기 위한 수단을 더 포함하고 있는 압출다이.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좁은 장방형의 창의 중앙으로부터 그 반대편 단부쪽으로 대칭적으로 상기 확대부를 이동시키고 그 반대로도 이동시키기 위한 수단을 더 포함하고 있는 압출다이.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유동조절기는 상기 창의 한쪽면을 형성하는 축방향으로 회전가능한 바를 포함하고 있는 압출다이.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바는 그 위에 상기 확대부를 형성하는 나선형의 플랫을 갖추고 있는 압출다이.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창의 맞은편을 형성하는 제2바로서 상기 확대부의 일부를 형성하는 나선형의 플랫을 갖추고 있는 제2바를 더 포함하고 있고, 상기 바들은 동시에 회전하도록 장착되어 있으며 상기 각각의 플랫들은 상기 확대부를 형성하도록 상호 작용하는 압출다이.
  7.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창의 맞은편을 형성하는 축방향으로 회전가능한 제2바를 더 포함하고 있고, 상기 바들은 쌍으로 이루어져서 단일점으로부터 서로 역회전하며 그리고 상기 쌍으로 이루어지는 바들은 서로간에 미러영상으로 이루어져 있는 압출다이.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쌍으로 이루어진 바가 나선형의 플랫을 포함하고 있는 압출다이.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쌍으로 이루어진 바가 상기 바의 중심점에 대해서 대칭적인 축방향으로 기울어진 플랫을 더 포함하고 있는 압출다이.
  10.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쌍으로 이루어진 바가 상기 바의 중심점에 대해서 대칭적인 축방향으로 기울어진 플랫을 더 포함하고 있는 압출다이.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플랫들이 단부에서 상기 바의 축에 가깝게 형성되어 있는 압출다이.
  12.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플랫들이 상기 중심점에서 상기 바의 축에 가깝게 형성되어 있는 압출다이.
  13. 제7항에 있어서, 상기 각각의 나선형의 플랫이 작은 헬리컬 각을 가지고 있는 압출다이.
  14. 제7항에 있어서, 다이몸체 내의 원통형의 홈들은 상기 다이몸체 내의 유동경로의 플리넘 쪽으로 개방되어 있고 상기 각각의 바가 상기 원통형의 홈내에 장착되어 있으며, 그리고 상기 각각의 바는 한번의 회전 위치에서 상기 플리넘과 같은 높이가 되는 선형플랫을 포함하고 있는 압출다이.
  15.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다이의 상기 유동 경로에서 세로줄로 배열된 여러쌍의 서로 반대편의 바를 포함하고 있고, 상기 유동을 조절하도록 동시에 또는 개별적으로 상기 각 쌍의 바들을 작동하기 위한 수단을 더 포함하고 있는 압출다이.
  16.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다이가 조절가능한 다이단부를 포함하고 있고, 상기 다이단브를 조절하지 않은채 상기 다이단부를 통한 전체의 유동조절을 제공하도록 상기 바들을 서로 역회전시키기 위한 수단을 더 포함하고 있는 압출다이.
  17. 압출물의 형상을 조절하는 방법으로서, 플라스틱 용융물을 형성하는 단계와, 다이단부를 가진 다이를 통해서 상기 용융물을 압출하는 단계와, 상기 다이단부의 상류에 상기 다이단부의 횡방향의 치수와 대칭을 이루는 폭이 좁고 연장된 유동경로의 창을 제공하는 단계와, 상기 창의 긴쪽에 확대부를 제공하는 단계와, 그리고 상기 다이의 단부를 통한 유동을 조절하도록 상기 유동경로를 가로질러서 상기 확대부의 위치를 조절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있는 방법.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확대부가 상기 유동경로를 가로질러서 조절될때 상기 확대부의 외형의 사이즈를 유지하는단계를 더 포함하고 있는 방법.
  1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창의 중앙부로부터 양단부쪽으로 그리고 그 반대로의 범위내에서 상기 확대부를 대칭적으로 조절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있는 방법.
  20.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창의 긴 양쪽 단부들을 따라서 상기 확대부를 형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있는 방법.
  21.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창의 상기 긴 단부들을 따라서 상기 확대부를 대칭적으로 형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있는 방법.
  22.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창의 적어도 하나의 긴 단부가 축방향으로 회전가능한 바에 의해서 형성되어 있고, 상기 확대부의 위치를 조절하기 위해서 상기 바를 회전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있는 방법.
  2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창의 긴 양쪽 단부들이 축방향으로 회전가능한 바의 의해서 형성되어 있고, 상기 확대부의 위치를 조절하기 위해서 상기 바들을 모두 회전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있는 방법.
  24.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나선형의 플랫을 상기 바위에 제공하는 단계로서 상기 나선형 플랫이 상기 바의 단면내에 리세스를 형성하는 단계와, 상기 창의 긴 쪽 단부를 따라서 상기 리세스의 위치를 바꾸도록 상기 바를 회전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있는 방법.
  25.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바 위에 배치되는 나선형의 플랫을 제공하는 단계와, 상기 창의 긴쪽단부를 따라서 상기 리세스의 위치를 바꾸도록 상기 바들을 회전시키는 단계와, 상기 확대부를 상기 유동경로의 중앙부로부터 상기 양쪽단부쪽으로 균일하고 대칭적으로 이동하고 그 반대로도 이동시키도록 상기 나선형의 플랫을 상기 바의 각각의 단부에서 반대방향으로 회전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있는 방법.
  26. 제25항에 있어서, 상기 확대부를 대칭적으로 이동시키기 위해서 상기 바들을 단일점으로부터 균일하게 역회전 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있는 방법.
  27. 제23항에 있어서, 상기 유동경로에 횡방향으로 뻗어서 세로로 배열된 여러쌍의 바들을 제공하는 단계와, 상기 다이에 전체의 유동조절을 제공하도록 상기 각 쌍의 바를 개별적으로 또는 공동으로 조작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있는 방법.
  28. 제23항에 있어서, 상기 각각의 바의 단면이 원형이고 상기 바의 원이 상기 유동경로의 플리넘내로 조금 돌출하도록 상기 다이의 몸체 내에 원통형의 리세스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각각의 바에는 상기 바의 한번의 회전 위치에서 상기 플리넘과 같은 높이가 되는 선형의 플랫을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있는 방법.
  29. 제23항에 있어서, 상기 각각의 바의 위에 작은 각의 나선형 플랫을 제공하는 단계로서 상기 각각의 바중 하나가 다른 하나에 대해서 미러영상으로 형성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있는 방법.
  30. 제29항에 있어서, 상기 작은 각이 상기 바의 한쪽 단부로 부터 다늘 한쪽 단부까지 일정하게 형성되어 있는 방법.
  31. 제29항에 있어서, 상기 작은 각은 나선형 플랫이 상기 바들의 중심성의 각각의 면에서 서로 반대 방향으로 회전하는 방법.
  32. 제23항에 있어서, 상기 각각의 바에는 축방향으로 기울어진 플랫들이 제공되어 있는 방법.
  33. 제32항에 있어서, 한쌍의 바를 서로간에 인접하게 세로줄로 제공하는 단계로서, 상기 기울어진 플랫이 대칭을 이루고, 한쌍의 바가 양단부에서 바의 축과 가까운 반면 다른 한쌍의 바는 중앙부에서 바의 축과 가까우며, 이에 따라서 상기 유동경로의 횡방향으로 전체의 유동조절을 제공하도록 상기 각쌍의 바들이 서로간에 공동으로 역회전될 수 있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있는 방법.
    ※ 참고사항 : 최초출원 내용에 의하여 공개하는 것임.
KR1019950006647A 1995-03-28 1995-03-28 압출다이및이다이를통과하는유동조절방법 KR10033504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50006647A KR100335042B1 (ko) 1995-03-28 1995-03-28 압출다이및이다이를통과하는유동조절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50006647A KR100335042B1 (ko) 1995-03-28 1995-03-28 압출다이및이다이를통과하는유동조절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33707A true KR960033707A (ko) 1996-10-22
KR100335042B1 KR100335042B1 (ko) 2002-11-23

Family

ID=6655311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50006647A KR100335042B1 (ko) 1995-03-28 1995-03-28 압출다이및이다이를통과하는유동조절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35042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61056B1 (ko) 2008-03-03 2010-06-01 김소자 수지시트 제조 방법 및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335042B1 (ko) 2002-11-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DE3529463C2 (ko)
DK0730940T3 (da) Ekstrusionsdyse og fremgangsmåde til regulering af strømningen gennemdysen
EP1902824B1 (en) Meshing-type two-axis extruder
JPS62231719A (ja) ゴム材料の押出装置
EP1048433B1 (en) Kneading degree adjusting device for twin screw extruder
US20220274147A1 (en) Duct cutting-and-forming device for elbow duct manufacturing device
KR960033707A (ko) 압출다이 및 이 다이를 통과하는 유동 조절방법
JP4187531B2 (ja) スクリュー要素
EP1136621A3 (de) Rotierbare Walze
US5964338A (en) Conveyor apparatus having adjustable rollers
EP3122230B1 (de) Endoskopisches instrument
CA2144237A1 (en) Extrusion die and method of controlling flow through the die
KR0140270B1 (ko) 단축압출기용 카오스 스크류(Chaos Screw)
DE102005003860B4 (de) Kalibriervorrichtung
JP3220957B2 (ja) シート状製品の押出成形用ノズル
JPH0262222A (ja) 押出機の圧力調整装置
AU696385B2 (en) Extrusion die and method of controlling flow through the die
US5499869A (en) Device for adjusting the pressure of the plastic material in a screw extruder
MX9501518A (es) Dado de extrusion y metodo para controlar el flujo a traves del dado.
JPH11216762A (ja) 二軸押出機における混練度調整装置
JPH08267535A (ja) 押出成形ダイおよびダイを通る流量を制御する方法
NZ270682A (en) Extrusion die having flow control formed by enlargement of rectangular window movable across the flow path
KR100466573B1 (ko) 압출기 핀의 구조
JPH0572425U (ja) 押出機の混練度調整装置
JPH11216763A (ja) 二軸押出機における混練度調整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