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60016299B1 - 새로운 방법으로 착색한 수술용 봉합사 - Google Patents

새로운 방법으로 착색한 수술용 봉합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60016299B1
KR960016299B1 KR1019930031110A KR930031110A KR960016299B1 KR 960016299 B1 KR960016299 B1 KR 960016299B1 KR 1019930031110 A KR1019930031110 A KR 1019930031110A KR 930031110 A KR930031110 A KR 930031110A KR 960016299 B1 KR960016299 B1 KR 96001629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ture
colorant
colored
weight
polycaprolacto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3003111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50016667A (ko
Inventor
송수석
유동기
이승구
위상백
이진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삼양사
김상응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삼양사, 김상응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삼양사
Priority to KR1019930031110A priority Critical patent/KR960016299B1/ko
Publication of KR95001666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5001666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6001629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016299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CAPPARATUS FOR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C3/00Apparatus in which the work is brought into contact with a bulk quantity of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 B05C3/02Apparatus in which the work is brought into contact with a bulk quantity of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the work being immersed in the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04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for suturing wounds; Holders or packages for needles or suture material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13/00Machines and apparatus for drying fabrics, fibres, yarns, or other materials in long lengths, with progressive movemen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Surger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erials For Medical Uses (AREA)

Abstract

요약없음

Description

새로운 방법으로 착색한 수술용 봉합사
본 발명은 흡수성 수술용 봉합사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히는 봉합사의 표면에 소량의 착색체를 코팅물질과 함게 입힘으로써 의사가 환자의 상처부위를 꿰맬때 피에 묻은 봉합사의 식별을 용이하게 하고, 함께 사용한 코팅제의 윤활성으로 인해 매듭편이성을 향상시킨 착색된 수술용 봉합사 및 그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수술용 봉합사에 관한 기술로는 미국특허 제3,829,297호와 미국특허 제4,008,303호가 공지되어 있다. 미국특허 제 3,829,297호에서는 L(-)락타이드와 글리콜라이드를 공중합시킬때 반응혼합물에 대하여 착색제로써 D&C Violet No. 2(1-히드록시-4-p-톨루이노안트라퀴논)[1-Hydroxy-4-p-toluinoanthraquinone]를 0.1∼0.5중량% 첨가함으로써 만든 보라색의 고분자를 사용하여 보라색의 흡수성 수술용 봉합사를 제조하는 방법을 제시하고있다.
그러나 이 방법에는 두가지의 문제점이 있다. 하나는 공중합초기에 착색제를 첨가함으로써 공중합체내부에 착색제를 골고루 분산시키는 방법에 관한 것인데, 이 방법은 착색제의 분산효과를 높일 수 있는 방법이지만 동시에 착색제로 첨가된 D&C Violet No.2가 반응혼합물인 L(-)락타이드와 글리콜라이드의 공중합체 형성을 방해하는 물질로도 작용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공중합체 제조시 착색제를 첨가하게 되면 반응속도가 느릴뿐만 아니라 중합도가 낮아져서 이고분자를 이용하면 봉합사로써 갖춰야할 충분한 강도등의 물설을 갖는 봉합사를 제조하기 어렵게 된다. 또 다른 하나는 봉합사에 함유된 착색제의 양이 필요이상으로 많다는 것이다. 따라서 비록 사용된 착색제가 인체에 무해하다 할지라도 상처가 치유된후에도 오랜동안 몸속에 잔류할 수 있기 때문이다.
수술용 봉합사에 착색제를 넣는 이유는 의사가 수술을 행한 후 상처부위를 꿰맬때 피에 묻은 봉합사를 주변의 다른 조직등으로부터 쉽게 식별하게 하기 위한 것이므로 봉합사의 표면을 제외한 봉합사내부에 분산되어 있는 착색제는 사실상 불필요한 것이기 때문이다.
한편 미국특허 제4,008,303호에서는 글리콜라이드로 폴리글리콜산을 만든 후 이고분자와 함께 착색제로써 이고분자에 대해서 D&C Green No. 6[1,4-비스(p-톨루이디노)-안트라퀴논](1,4-Bis(p-toluidino)-anthraquinone)를 1∼10중량% 넣고 가열하여 녹인 다음 잘 저어서 착색제를 잘 분산시켜 녹색의 마스터배치를 만들어 착색제를 넣지않은 폴리글리콜산과 적절한 비율로 혼합하여 궁극적으로 전체봉합사중에서 착색제의 함량을 0.03∼0.5중량%로 조절한 녹색의 흡수성 봉합사를 만드는 방법을 기술하고 있다. 그러나 이 방법에서도 녹색으로 착색된 폴리글리콜산 마스터배치를 만드는 과정에서 폴리글리콜산과 착색제인 D&C Green No.6을 넣고 열을 가하며 녹여 혼합할때 폴리글리콜산의 열분해로 인해 녹색으로 착색된 마스터배치의 물성이 저하된다. 이렇게 물성이 저하된 마스터배치를 착색하지 않은 폴리글리콜산과 혼합하여 녹색의 봉합사를 만들면 봉합사의 물성도 저하되어 충분한 강도등의 물성을 갖기 어렵다. 또한 비록 충분한 물성을 갖는 봉합사가 제조된다 하더라도 미국특허 제3,829,297호에서의 방법과 마찬가지로 봉합사의 내부까지 착색제가 골고루 분산됨으로써 필요이상의 착색제가 사용되는 문제가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폴리글리콜산을 만든 후 이 고분자를 사용하여 제조하여 봉합사를 착색제와 함께 윤활성이 뛰어난 코팅제를 유기용매에 적당한 비율로 녹여 혼합한 용액에 침지하여 꺼낸뒤 유기용매를 건조하여 봉합사의 표면에만 착색제와 코팅제를 입힌 착색된 흡수성 봉합사 및 그 제조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따라서 최소량의 착색제를 사용하여 환자의 상처를 꿰맬때 의사가 봉합사를 쉽게 식별할 수 있도록 하고 다 꿰매고 난 뒤 매듭의 편이성을 향상시킨 것이다.
착색제로써 녹색의 D&C Green No.6또는 보라색의 D&C Violet No.2를 사용함으로써 봉합사가 인체의 혈액에 묻혀 있을때 색상이 더욱 진하게 보이므로 소량을 사용하고도 식별효과를 높였다. 본 발명에서 사용한 착색제가 혼합된 코팅제의 량은 전체봉합사의 1∼10중량% 차지하도록 메틸렌클로라아드, 아세톤, 메탄올, 에탄올, 톨루엔 등과 같은 유기용매에 적당한 비율로 녹인 다음 사용하였다.
본 발명에서 사용한 고분자량의 폴리카프로락톤은 유니오 카바이드사의 Tone P-787로 분자량이 15,000이상이었고, 폴리옥시에틸렌과 폴리옥시프로필의공중합체는 바스프사의 Lutrol F68로 분자량이 8,000 이상이었다. 그리고 착색제와 혼합된 코팅제의 조성비는 코팅제로 사용된 고분자량의 폴리카프로락톤과 폴리옥시에틸렌과 폴리옥시프로필렌의 공중합체에 대해서 착색제가 0.01∼0.4중량% 함유하도록 만들어서 사용하였으며, 착색제로 첨가한 보라색의 D&C Violet No.2 또는 녹색의 D&C Green No.6는 봉합사 전체의 중량에 대해서 0.001∼0.02중량% 차지하도록 착색혼합물의 농도와 침지시간을 조절하였다.
본 발명에서 사용한 폴리카프로락톤과, 폴리옥시에틸렌과 폴리옥시프로필렌의 공중합체의 혼합비는 코팅용 전체고분자중 폴리카프로락톤이 90∼10중량% 차지하도록 하였다. 폴리카프로락톤이 95중량% 이상 차지하거나 5중량% 이하 혼합된 코팅제를 사용하면 착색된 봉합사의 표면이 거칠거나 매듭 편이성이 좋지 않았다. 그리고 사용한 코팅제의 양이 지나치게 많으면 코팅된 봉합사의 외관이 매끄럽지 않았고 매듭을 만들때 코팅제가 일부 벗겨졌으며 너무 소량 사용하였을때는 윤활성이 감소하여 매듭편이성이 좋지 않았다. 또 착색제로 사용한 보라색의 D&C Violet No.2 또는 녹색의 D&C Green No.6를 전체 봉합사의 중량에 대해서 0.001중량% 미만 사용하였을때는 봉합사의 식별 효과가 없었다. 그리고 0.02중량% 이상 사용하였을때는 더 이상의 식별효과의 차이가 없었다. 또 착색된 봉합사의 색상은 동물의 혈액에 침지한 후 관찰하였으며 매듭편이성은 건조상태의 습윤상태에서 매듭을 만든 후 직접 두손으로 조작하며 관찰하였다. 여기서 습윤상태란 착색된 봉합사를 물속에 약 5∼10초 동안 침지하여 꺼낸 후의 상태를 말한다.
이하, 본 발명을 실시예에 의거하여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이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충분히 정제되고 건조된 글리콜라이드 500g과 이것에 대해서 촉매로서 옥탄산 제일주석 0.0004중량%를 중합반응기에 투입한 다음 반응기를 밀폐시키고 질소분위기에서 반응물을 저어주며 230℃에서 반응시켜 폴리글리콜산을 만들었다.
이와 같이 제조한 폴리글리콜산을 적당한 크기로 분쇄한 다음 RDS-7700(Rheometric Dynamic Spectrometer)기기를 사용하여 240℃에서 각 속도 10rad/sec일때 용융점도를 측정하였더니 20,000포아스(poise) 이상이었다.
이와 같이 하여 얻은 폴리글리콜산을 방사하였을때 강도가 6.5g/d이고 신도가 20%인 우수한 합성 흡수성 봉합사를 제조할 수 있었다. 이렇게 만든 봉합사를 70cm의 길이로 잘라 칭량한 후 사용하였다. 그리고 메틸렌클로라이드 300ml에 고분자량의 폴리카프로락톤 9g과 폴리옥시에틸렌과 폴리옥시프로필의 공중합체 1g을 넣고 녹인 다음 여기에 착색제로써 보라색의 D&C Violet No. 2를, 사용한 고분자에 대해서 0.1중량% 넣고 저어주면서 녹여 잘 혼합하였다.
이렇게 만든 착색제와 코팅제의 혼합용액을 덮개가 있는 코팅조에 부은 다음 앞에서 제작한 70cm의 봉합사를 코팅조에 담긴 용액에 약 2∼30초동안 침지한 후 꺼내 진공오븐에서 25∼100℃로 5시간 이상 건조하였다.
위와 동일한 방법으로 10개의 시료를 만들어 사용하였다. 착색된 시료 각각을 칭량한 후 착색하기 정의 봉합사 무게를 빼주어 착색제가 혼합된 코팅제의 양을 계산하였고 다시 코팅제와 혼합한 착색제와의 조성비로 착색제의 함량을 계산하였다. 그리고 10개의 시료에 대해서 평균값을 구하였다. 착색된 봉합사 전체무게중 착색제가 혼합된 코팅제의 평균함량은 5중량%였다.
따라서 착색된 봉합사중 D&C Violet No. 2의 함량은 코팅제의 0.1중량%이므로 전체봉합사의 0.005중량%이었다. 착색된 봉합사의 색상은 동물의 혈액에 약 5초간 침지한 후 관찰하였더니 검정색에 가깝도록 진하게 나타나 봉합사의 식별이 용이하였다. 그리고 착색된 봉합사의 매듭편이성은 건조상태와 습윤상태에서 매듭을 만든 후 직접 두손으로 조작하며 관찰하였다. 10개의 시료를 실험한 결과 미듭편이상이 매우 좋아 원하는 위치에매듭이 쉽게 만들어졌으며 반대편에서 매듭을 풀려고 했으나 쉽게 풀리지 않아 매듭이 안정함을 보여주었다.
실시예 2
착색제로서 녹색의 D&C Green No.6를 사용하여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착색된 봉합사를 제조하였더니 봉합사의 식별효과가 우수하였고 매듭편이성 및 매듭안정성도 좋았다.
실시예 3
착색제로서 보라색의 D&C Violet No.2 또는 녹색의 D&C Green No.6의 양이 전체봉합사의 0.001중량% 함유되도록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착색된 봉합사를 제조하였더니 봉합사의 식별효과가 양호하였고 매듭편이성 및 매듭안정성이 좋았다.
실시예 4
착색제로서 보라색의 D&C Violet No.2 또는 녹색의 D&C Green No,6의 양이 전체봉합사의 0.02중량% 함유되도록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착색된 봉합사를 제조하였더니 봉합사의 식별효과가 양호하였고 매듭편이성 및 매듭안정성이 좋았다.
실시예 5
코팅제로서 폴리카프로락톤과, 폴리옥시에틸렌과 폴리옥시프로필렌의 공중합체를 각각 5g씩 사용하여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착색된 봉합사를 제조하였더니 봉합사의 식별효과가 우수하였고 매듭편이성 및 매듭안정성도 좋았다.
실시예 6
코팅제로서 폴리카프로락톤과, 폴리옥시에틸렌과 폴리옥시프로필렌의 공중합체를 각각 5g씩 사용하여 실시예 2과 동일한 방법으로 착색된 봉합사를 제조하였더니 봉합사의 식별효과가 우수하였고 매듭편이성 및 매듭안정성도 좋았다.
실시예 7
코팅제로서 폴리카프로락톤 9g과, 폴리옥시에틸렌과 폴리옥시프로필렌의 공중합체 1g을 사용하여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착색된 봉합사를 제조하였더니 봉합사의 식별효과가 양호하였고 매듭편이성 및 매듭안정성도 좋았다.
실시예 8
코팅제로서 폴리카프로락톤 9g과, 폴리옥시에틸렌과 폴리옥시프로필렌의 공중합체 1g을 사용하여 실시예 2과 동일한 방법으로 착색된 봉합사를 제조하였더니 봉합사의 식별효과가 양호하였고 매듭편이성 및 매듭안정성도 좋았다.
실시예 9
코팅제로서 폴리카프로락톤 1g과, 폴리옥시에틸렌과 폴리옥시프로필렌의 공중합체 9g을 사용하여 실시예 2과 동일한 방법으로 착색된 봉합사를 제조하였더니 봉합사의 식별효과가 양호하였고 매듭편이성 및 매듭안정성도 좋았다.
비교예 1
착색제로서 보라색의 D&C Violet No.2 또는 녹색의 D&C Green No.6의 양이 전체봉합사의 0.0005중량% 함유되도록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착색된 봉합사를 제조하였더니 봉합사의 식별효과가 없었다.
비교예 2
코팅제로서 폴리카프로락톤 9.5g과, 폴리옥시에틸렌과 폴리옥시프로필렌의 공중합체 0.5g을 사용하여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착색된 봉합사를 제조하였더니 봉합사의 식별효과는 양호하였으나 봉합사의 표면이 거칠고 매듭편이성이 좋지 않았다.
비교예 3
코팅제로서 폴리카프로락톤 9.5g과, 폴리옥시에틸렌과 폴리옥시프로필렌의 공중합체 0.5g을 사용하여 실시예 2과 동일한 방법으로 착색된 봉합사를 제조하였더니 봉합사의 식별효과는 양호하였으나 봉합사의 표면이 거칠고 매듭편이성이 좋지 않았다.
비교예 4
코팅제로서 폴리카프로락톤 9.5g과, 폴리옥시에틸렌과 폴리옥시프로필렌의 공중합체 9.5g을 사용하여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착색된 봉합사를 제조하였더니 봉합사의 식별효과는 양호하였으나 봉합사의 표면이 거칠고 매듭편이성이 좋지 않았다.
비교예 5
코팅제로서 폴리카프로락톤 9.5g과, 폴리옥시에틸렌과 폴리옥시프로필렌의 공중합체 9.5g을 사용하여 실시예 2과 동일한 방법으로 착색된 봉합사를 제조하였더니 봉합사의 식별효과는 양호하였으나 봉합사의 표면이 거칠고 매듭편이성이 좋지 않았다.

Claims (7)

  1. 코팅제인 고분자량의 폴리카프로락톤과, 폴리옥시에틸렌과 폴리옥시프로필렌의 공중합체 및 착색제인 D&C Violet No.2(1-히드록시-4-p-톨루이노안트라퀴논) 또는 D&C Green No.6[1-4-비스(p-톨루이디노)-안토라퀴논]를 고분자량의 코팅제에 대해서 착색제의 양이 0.01∼0.4중량% 함유되도록 유기용매에 녹이고, 이 혼합유기용매에 수술용 봉합사를 침지하여 꺼낸 다음 유기용매를 건조시켜 봉합사의 표면에만 착색제와 함께 코팅제를 피복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착색된 수술용 봉합사의 제조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코팅제로 사용된 폴리카프로락톤과, 폴리옥시에틸렌과 폴리옥시프로필렌의 공중합체와의 혼합비는 코팅용 전체 고분자중 폴리카프로락톤이 10∼90중량%를 차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착색된 수술용 봉합사의 제조방법.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착색제의 양은 착색된 봉합사의 전체중량에 대해서 0.001∼0.02중량%임을 특징으로 하는 착색된 수술용 봉합사의 제조방법.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코팅제 및 착색제를 메틸렌클로라이드, 아세톤, 메탄올, 에탄올, 톨루엔과 같은 유기용매에 용해시킴을 특징으로 하는 착색된 수술용 봉합사의 제조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수술용 봉합사는 단섬사 또는 다섬사임을 특징으로 하는 착색된 수술용 봉합사의 제조방법.
  6. 제5항에 있어서, 수술용 봉합사는 내면사와 외면사로 구성된 다섬사임을 특징으로 하는 착색된 수술용 봉합사의 제조방법.
  7. 제1항의 방법에 따라 제조된 착색된 수술용 봉합사.
KR1019930031110A 1993-12-30 1993-12-30 새로운 방법으로 착색한 수술용 봉합사 KR96001629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30031110A KR960016299B1 (ko) 1993-12-30 1993-12-30 새로운 방법으로 착색한 수술용 봉합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30031110A KR960016299B1 (ko) 1993-12-30 1993-12-30 새로운 방법으로 착색한 수술용 봉합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50016667A KR950016667A (ko) 1995-07-20
KR960016299B1 true KR960016299B1 (ko) 1996-12-09

Family

ID=1937412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30031110A KR960016299B1 (ko) 1993-12-30 1993-12-30 새로운 방법으로 착색한 수술용 봉합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60016299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03027B1 (ko) * 1998-07-13 2002-11-22 대한민국 착색봉합사및그의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50016667A (ko) 1995-07-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Frazza et al. A new absorbable suture
US4105034A (en) Poly(alkylene oxalate) absorbable coating for sutures
EP0214861B1 (en) Surgical sutures
US4185637A (en) Coating composition for sutures
CA1066965A (en) Coated sutures
US4201216A (en) Absorbable coating composition for sutures
DE2257334C2 (de) Verfahren zur Herstellung von Poly-[L(-)-lactid-coglycolid]
EP0170966B1 (en) Dry coating of surgical filaments
JP5582404B2 (ja) 着色縫合糸
IE66684B1 (en) Process for coating absorbable sutures
EP2583094A1 (en) Indicator for sterilization process
KR960016299B1 (ko) 새로운 방법으로 착색한 수술용 봉합사
US6150497A (en) Method for the production of polyglycolic acid
CA1100370A (en) Absorbable coating composition for sutures
DE1494379A1 (de) Verfahren zur Herstellung von Mischpolymerisaten
TWI641742B (zh) 一種纖維材料的染色組成物及使用其之染色程序
KR102393316B1 (ko) 폴리디옥시리보뉴클레오타이드를 함유하는 흡수성 봉합사
EP0436308B1 (en) Surgical filament
JPS581942B2 (ja) キユウシユウセイ ノ キヨウジユウゴウタイヌイイト
US8579939B2 (en) Silk / absorbable polyester hybrid medical devices and applications thereof
IE922919A1 (en) Fluorescent synthetic sutures
KR102459980B1 (ko) 히알루론산을 함유하는 흡수성 봉합사 및 이의 제조방법
GB2031441A (en) Polypyrrolidone-iodine complex
KR0126599B1 (ko) 생분해성 수술용 봉합사
KR0157510B1 (ko) 봉합사용 흡수성 코팅 조성물 및 이로 코팅된 수술용 봉합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71130

Year of fee payment: 12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