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60016039B1 - 변기의 세정수 공급장치 - Google Patents

변기의 세정수 공급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60016039B1
KR960016039B1 KR1019890010596A KR890010596A KR960016039B1 KR 960016039 B1 KR960016039 B1 KR 960016039B1 KR 1019890010596 A KR1019890010596 A KR 1019890010596A KR 890010596 A KR890010596 A KR 890010596A KR 960016039 B1 KR960016039 B1 KR 96001603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shing water
bowl
water supply
jet
flow r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9001059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10003225A (ko
Inventor
아쯔오 마키타
히로후미 다께우찌
신지 시바다
노보루 신바라
오사무 쯔쯔이
Original Assignee
토토 기기 가부시끼가이샤
고가 요시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Family has litigation
First worldwide family litigation filed litigation Critical https://patents.darts-ip.com/?family=27325514&utm_source=google_patent&utm_medium=platform_link&utm_campaign=public_patent_search&patent=KR960016039(B1) "Global patent litigation dataset” by Darts-ip is licensed under a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4.0 International License.
Priority claimed from JP63185136A external-priority patent/JP2856280B2/ja
Priority claimed from JP63185134A external-priority patent/JP2740519B2/ja
Priority claimed from JP63315651A external-priority patent/JPH02161027A/ja
Application filed by 토토 기기 가부시끼가이샤, 고가 요시네 filed Critical 토토 기기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91000322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1000322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6001603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01603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DWATER-CLOSETS OR URINALS WITH FLUSHING DEVICES; FLUSHING VALVES THEREFOR
    • E03D5/00Special constructions of flushing devices, e.g. closed flushing system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DWATER-CLOSETS OR URINALS WITH FLUSHING DEVICES; FLUSHING VALVES THEREFOR
    • E03D5/00Special constructions of flushing devices, e.g. closed flushing system
    • E03D5/10Special constructions of flushing devices, e.g. closed flushing system operated electrically, e.g. by a photo-cell; also combined with devices for opening or closing shutters in the bowl outlet and/or with devices for raising/or lowering seat and cover and/or for swiveling the bowl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DWATER-CLOSETS OR URINALS WITH FLUSHING DEVICES; FLUSHING VALVES THEREFOR
    • E03D2201/00Details and methods of use for water closets and urin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E03D2201/30Water injection in siphon for enhancing flush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Sanitary Device For Flush Toilet (AREA)

Abstract

내용없음.

Description

변기의 세정수 공급장치
제1도는 본 발명에 관한 세정수 공급장치의 제1의 실시예를 나타낸 블록도를 포함한 변기의 종단면도.
제2도는 제1도의 나타난 공급장치의 제어부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
제3도는 본 발명에 관한 세정수 공급방법의 과정을 나타낸 공정도.
제4도는 본 발명에 관한 세정수 공급장치의 한 동작예를 나타낸 타임챠트.
제5도 및 제6도는 본 발명에 관한 세정수 공급장치의 다른 동작예를 나타낸 타임챠트.
제7도는 본 발명에 관한 세정수 공급장치의 제2의 실시예를 나타낸 블록도를 포함한 변기의 종 단면도.
제8도는 본 발명에 관한 세정수 공급장치의 제3의 실시예를 나타낸 종단면도.
제9도는 제8도의 IX-IX선 단면도.
제10도는 본 발명에 관한 세정수 공급장치의 제4의 실시예에 관한 동작예를 나타낸 공정도.
제11도는 제4의 실시예에 관한 동작예를 나타낸 타임챠트.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수세식대변기11 : 보울부
12 : 배수로13 : 림부
14 : 세정수통로15 : 세정수공급원
16 : 세정수공급17 : 보울부 공급관
18 : 분출부 공급관23 : 유량센서
24 : 전자개폐밸브32 : 메모리
33 : 입력인터페이스회로34 : 출력인터페이스회로
41 : 세정수탱크43 : 수위센서
53 : 트랩배수로58 : 기기 수납실
73 : 기동입력부
본 발명은 수세식 변기에 세정수를 공급하는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변기의 보울(Bowl)부와, 보울부의 저부에 인접해서 형성되어서 사이펀 작용을 일으키는 트랩배수로에 효율적으로 세정수를 공급하는 세정수 공급장치에 관한 것이다.
수세식 변기는 오물을 받아서 저장하는 보울형상을 한 보울부와, 보울부의 저부에 연이어 통해서 설치되고 대략 역 U자형을 한 트랩 배수구를 갖추고 있다.
변기로 공급되는 세정수량의 삭감, 배수 작용에 필요한 트랩 배수로의 사이펀 작용의 발생을 확실하게 할 목적에서 최근 보울부와 트랩 배수로에 각각 다른 계통의 세정수를 공급하는 방법이 채용되어 있다.
예를들면 일본특허출원 공고 제 30092/1980년에 기재되어 있는 세정수 공급장치에서는 변기의 보울부와 트랩배수로에 각각 2개의 급수관 및 배수경로를 연이어 통해서 세정수를 공급하는 구조가 제안되어있다.
이 장치에서는 각각의 급수관에 전자 개폐 밸브가 설치되어 타이머를 이용해서 각각의 전자 개폐 밸브의 개폐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방식이 나타나있다.
또한 트랩 배수로의 근방에는 트랩 배수로 세정수 공급구멍이 개구되어 있다.
전술한 종래의 장치에 있어서는 전자개폐 밸브의 개폐 제어를 행함에 의해 먼저 트랩 배수로에 세정수를 공급해서 트랩배수로에 사이펀 작용을 일으켜서 오물·오수를 배출한다.
계속해서 보울부에 세정수를 공급하여 보울부의 세정을 행한다는 세정수 공급과정이 실시된다.
이에 따라 보울부만으로 세정수를 공급되는 방식의 세정수 공급 장치에 비해 소량의 세정수로 트랩 배수로의 사이펀 작용을 발생시키기 쉽고 세정수의 절약이 가능하다는 효과가 있다.
그러나 종래의 장치에서는 전자개폐 밸브의 개폐제어를 타이머를 이용한 시간으로 제어하기 때문에 급수관등의 급수압이 변화하면 유량이 변동하여, 최적의 세정효과를 올릴 수 없는 문제가 있었다.
특히, 급수압이 저하한 경우 변기내에 오물이 잔류해버리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트랩 배수로에로의 세정수 공급구멍은 변기의 성형시에 일체적으로 개구해 있는 것뿐으로, 세정수를 예를들면 제트 분류로해서 토출하는 구조로 되어 있지 않다. 때문에 트랩 배수로 면에서 사이펀 작용을 확실하게 발생시키기 위해서의 세정수량은 기대한 만큼 감소하지 않는다는 문제가 있었다.
또, 보울부의 세정이 오물등의 배출후에 행해지므로, 트랩배수로에서 사이펀 작용으로 완전하게 배출되지 않은 오물등은 다시 보울부내에 잔류한다는 문제가 있었다.
전술한 종래 장치의 문제점의 하나를 해결하기 위해서 일본 특허출원공고 제42057/1986년에 기재된 것과 같은 세정수 공급장치가 제안되었다.
이 세정수 공급장치는 급수압의 변동에 따른 급수량의 변동이라는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세정수를 미리 저장하는 세정수 저장탱크를 장치하고 있다.
세정수 저장 탱크는 내부가 트랩 배수로로의 세정수 공급 경로와, 보울부로의 세정수 공급 경로로 분리되어, 일단 저장된 소정량의 세정수를 탱크내에서 분배해서 공급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이와 같은 세정수 저장탱크를 준비함으로서 급수압의 변동에 의한 급수량이 부족하다는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그러나 이와같은 탱크를 설치하기 위해서의 여분의 공간 및 공사가 필요하게 된다.
또 세정수 저장탱크의 구조가 복잡하고 단가가 높다는 문제가 있다.
또 세정수 저장탱크의 수위가 소정값으로 될때까지 세정작용을 행할 수 없어서 세정수 공급장치를 연속사용할 수 없다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전술한 종래 장치에 있어서 트랩배수로에 세정수를 공급하고 사이펀 작용을 일으킨 후에 보울부의 세정을 행하도록 세정수의 공급과정이 실시되고 있다.
때문에 보울부의 오염의 심한 경우 충분한 세정을 행할 수 없다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트랩 배수로에의 세정수 공급구멍의 단면적이 크기 때문에 세정수 공급 구멍에서 분출되는 세정수의 힘이 크지 않다.
때문에 제트에 의한 분출 효과를 충분히 발휘할 수 없다.
즉 사이펀 작용을 일으키기 위해 트랩 배수로로 공급되는 세정수량을 단시간에 충분히 많게 할 수 없게 된다.
따라서 결과적으로 세정수 공급구멍으로 공급되는 세정수량을 충분히 삭감할 수 없다는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제안된 것으로 소량의 세정수로 효과적인 세정 작용을 할 수 있는 변기의 세정수 공급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세정수 공급장치는 세정수 공급구멍이 뚫려있는 보올부와, 보울부의 저부에 인접해서 형성된 트랩배수로와, 세정수 공급원과, 세정수의 공급원과 보울부의 세정수 공급구멍을 연이어 통하게 접속하는 통로가 형성되어 있는 보울부 연통장치와, 트랩 배수로로 향해서 세정수를 제트 분출하는 제트 분출부와, 세정수의 공급원과 제트 분출부를 연이어 통해서 접속하는 통로가 형성되어 있는 제트 분출부 연통(連通)장치와, 보울부 연통장치의 통로내에 설치되어 통로를 개폐하는 보울부 연통개폐장치와, 제트 분출부 연통장치의 통로내에 설치되어 통로를 개폐하는 제트분출부 연통 개폐장치와, 보울부 연통 개폐 장치 및 제트 분출부 연통 개폐장치에 각각 개폐 동작 지령신호를 보내는 제어장치를 갖추고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다음의 각 스텝에 의해 변기의 보울부와 트랩 배수로에 세정수가 공급된다.
a. 보울부에 소정 유량의 세정수를 공급해서 보울부을 세정한다.
b. 트랩 배수로로 세정수를 제트 분출하여 트랩 배수로에 사이펀 작용을 발생시켜 보울부내의 물을 배수한다.
c. 보울부에 소정 유량의 세정수를 공급하고, 보울부의 수위 상승을 행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보울부 연통 장치 및 제트 분출부 연통장치에는 각각 연통 장치내를 흐르는 유량을 검출하는 유량 검출 장치가 설치되어 있고, 제어 장치는 유량 검출장치에서의 유량 신호에 의해 공급된 세정수량을 적산하는 세정 수량 적산장치와, 적산 장치에 의해 적산된 적산세정수량과 미리 정해진 세정수 공급량의 설정값을 비교하는 수량비교를 장치를 갖추고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제트 분출부는 제트 분출용 노즐을 갖추고 있다.
제1도 및 제2도는 본 발명에 의한 세정수 공급장치의 제1의 실시예가 나타나 있다.
수세식 대변기(10)는 오물. 오수등을 받아 저장하는 보울 형상을 한 보울부(11), 보울부(11)의 저부에 연이어 통해서 설치되어 대략 역 U자상을 한 트랩배수로(12), 보울부(11)의 위 가장자리를 원통모양으로 둘러싸도록 형성된 림부(13)를 갖추고 있다.
림부(13)는 내부가 비어서, 세정수의 유통 통로(13)가 형성되어 있다.
림부(13)의 유통통로(13a)의 일단에는 세정수의 급수구(13b)가 개구되어 있다.
또 림부(13)에는 대략 원주상의 복수개의 세정수 공급 구멍(13c)이 뚫려서 유통통로(13a)와 연이어 통해 있다.
세정수 공급구멍(13c)은 보울부(11)의 내벽면에 대해 경사 방향으로 향해 뚫려 있다.
예를들면 세정수 공급구멍(13c)을 세정수 분출방향이 수평방향보다 예를들면 약 45。아래로 향하도록 경사지게 개구한다.
따라서 분출된 세정수가 보울부(11)내에서 나선상의 흐름을 일으킨다.
트랩 배수로(12)가 연이어 통해 있는 쪽과 반대쪽의 보울부(11)의 외방부에는 세정수가 통과하는 세정수 통로(14)가 설치되어 있다.
세정수 통로(14)의 일단에는 세정수 급수구(14)가 개구되고, 타단에는 세정수를 분출하는 제트 분출구멍(14b)이 설치되어 있다.
제트 분출구멍(14b)은 세정수 통로(14)에 공급된 세정수를 트랩배수로(12)로 향해 가속력을 가지고 분출할 수 있도록 제트 분출용 노즐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제트 분출구멍(14b)은 트랩 배수로(12)의 통로내를 세정수가 가장 저항이 작은 상태에서 통과할 수 있도록 트랩 배수로(12)의 형상등을 고려해서 그 분출 방향을 정하고 있다.
세정수의 공급원(15)에 접속된 세정수 공급관(16)은 도중에서 림부(13)의 급수구(13b)로 향하는 보울부 공급관(17)과, 세정수 급수구(14a)로 향하는 제트 분출부 공급관(18)으로 나누어져 있다.
보울부 공급관(17)은 유량 센서(21), 전자개폐밸브(22)를 통해서 림부의 급수관(13b)으로 접속되어 있다.
제트 분출부 공급관(18)도 유량센서(23), 전자개폐밸브(24)를 통해서 세정수 급수구(14a)로 접속되어 있다.
전자개폐 밸브(22),(24)는 각각 신호선(22a)(24a)에 의해 전자개폐 밸브(22)(24)로 개폐 동작 신호를 보내는 제어장치(30)로 접속되어 있다.
또한 유량센서(21)(23)는 각각 신호선(21a)(23a)에 의해 유량 검출 신호를 제어장치(30)로 송신 가능하게 되어 있다.
제어장치(30)는 제2도에 나타낸 것처럼 마이크로 프로세서(MPU)(31),메모리(32), 입력인터페이스회로(33), 출력인터페이스회로(34)를 갖추고 있다.
마이크로프로세서(31)는 유량센서(21)(23)에서의 유량 신호에 의해 세정수량을 적산하는 세정수량 적산장치(31a) 적산장치(31a)에 의해 적산된 적산 세정수량과 미리 정해진 세정수량 공급량의 설정값을 비교하는 수량 비교장치(31b)를 갖추고 있다.
세정수 공급량의 설정값은 메모리(32)에 미리 기억되어 있다.
또한 메모리(32)에는 전자개폐밸브(22)(24)의 개폐동작을 지령하는 신호의 지령 과정이 기억되어 있다.
마이크로 프로세서(31)에는, 또 전자개폐밸브(22)(24)의 개폐동작 지령신호를 시간제어하는 타이머(31c)가 설치되어 있다.
제어장치(30)의 입력인터페이스회로(33)에는 보울부 공급관(17)에 설치된 유량센서(21), 제트 분출부 공급과(18)에 설치된 유량 센서(23)에서의 신호선(21a)((23a)이 접속되어 있다.
또 입력 인터페이스 회로(33)에는 기동스위치(25b)를 갖춘 기동 입력부(25)가 신호선(25a)에 의해 접속되어 있다.
제어장치(30)의 출력 인터페이스회로(34)에는 각각 보울부 공급관(17)에 설치된 전자개폐 밸브(22)로의 신호선(22a), 제트 분출부 공극관(18)에 설치된 전자 개폐 밸브(24)로의 신호선(24a)이 접속되어 각각의 전자 개폐 밸브(22)(24)에 개폐동작신호가 송신되도록 되어있다.
다음에 제3도 및 제4도를 참조해서 본 실시예에 의한 세정수 공급장치의 동작순서를 설명한다.
수동, 착좌스위치 또는 광센서등을 이용해서 자동적으로 기동 스위치(25b)가 온으로 됨에 따라 세정수 공급장치의 작동이 개시된다.
기동 입력부(25)에서의 기동신호는 제어장치(30)에 보내지고 이어서 마이크로프로세서(31)에서 보울부용의 전자개폐밸브(보울용 밸브)(22)를 여는 지령신호가 보울용 밸브(22)로 보내진다.
보울용 밸브(22)가 열림에 따라 세정수 공급원(15)에서의 세정수가 보울부 공급관(17)을 통해서 급수구(13b)로 공급된다.
급수구(13b)에서 림부(13)의 립부(13)의 유통로(13a)내로 유입한 세정수는 세정수 공급구멍(13c)에서 분출되고, 부울부(11)내에서 나선상의 흐름을 일으키면서 흐른다.
따라서 부울부(11)내의 세정이 된다(스텝 S1).
보울부(11)로 공급되는 세정수의 유량은 유량센서(21)에 의해 검출되고, 그 유량 신호가 제어장치(30)의 세정수량 적산장치(31a)로 보내져서 급수량이 적산된다(스텝 S2).
적산된 급수량은 비교장치(31b)에 있어서 설정값과 비교된다(스텝 S3).
보울부(11)로의 공급수량이 소정값에 달하면 보울용 밸브(22)에 폐쇄동작지령 신호가 보내지고 보울용 밸브(22)가 닫힌다(스텝 S4).
따라서 보울부(11)내의 주된 세정 작용이 종료한다.
기동 입력부(25)에서의 기동 신호는 제어장치(30)의 타이머(31c)로도 보내져서, 타이머(31c)에 의한 시간 카운트가 개시된다(스텝 S5).
카운트 시간이 소정값을 넘으면 제어장치(30)에서 제트분출부 공급관(18)에 설치된 전자개폐밸브(제트용 밸브)(24)에 밸브 개방 지령 신호가 보내진다(스텝 S6).
제트용 밸브(24)가 열림에 따라 세정수 공급원(15)에서의 세정수가 제트분출부 공급관(18)을 통해서 세정수 급수구(14a)로 공급되어 세정수 통로(14)로 유입한다.
세정수 통로(14)로 유입한 세정수는 제트 분출구멍(14b)에서 제트상태로 기세좋게 분출하여 트랩배수로(12)내로 공급된다.
따라서 트랩배수로(12)에 사이펀 작용이 생기고, 보울부(11)내의 고인물 및 폐기물이 트랩배수로(12)를 통해서 배출된다.
사이펀 작용을 일으키는데 필요한 제트분출량은 트랩배수로(12)의 형성등에 의해 가장 적당한 값이 정해지고 있고, 제트 분출량의 제어가 유량센서(23)를 이용해서 행해진다.
즉 보울부(11)로의 급수량 제어와 같이 유량센서(23)에 의해 유량을 검출하고, 적산장치(31a)에 적산하고, 비교장치(31b)에 있어서 설정값과 비교한다(스텝 S7,S8).
소정량의 세정수가 제트분사구멍(14b)에서 분출되면 제트용 밸브(24)가 폐쇄된다(스텝 S9).
제트용 밸브(24)가 열리는 타이밍은 제4도에 나타낸 것처럼 보울용 밸브(22)가 열려있는 도중으로 할 수 있다.
이 경우 제4도에 나타낸 것처럼 시간(T1)의 동안은 보울부(11)와 세정수 통로(14)와의 양방으로 세정수가 공급된다.
이와 같이 함으로서 세정수 통로(14)내의 공기를 제트 분출구멍(14b)에서 미리배기할 수 있고, 이어서 사이펀 작용을 일으키기 위해 제트분출 작용을 효과적으로 행할 수 있게 된다.
사이펀 작용을 일으키기 위해 필요한 만큼의 세정수의 제트분출을 종료하면 제트용 밸브(24)는 닫히고, 사이펀 작용에 의해 보울부(11)내의 오수, 오물등이 배출되나, 배출작용의 연속시간은 타이머(31c)에 의해 제어된다.
즉 보울용 밸브(22)가 닫히면 타이머(31c)에 의해 시간 카운트가 개신된다(스텝 S10).
소정시간(T2) 경과후(제4도 참조) 보울용 밸브(22)에 개방 지령신호가 보내지고 보울용 밸브(22)가 다시 열린다.
따라서 세정수가 보울부(11)내로 공급되나, 이 공급량은 전술한 바와 같이 유량센서(21)를 이용해서 검출되고, 적산장치(31a)에서 적산된다(스텝 S12).
비교장치(31b)에서 소정유량에 달했는지 아닌지가 비교되고(스텝 S13) 소정의 급수량에 달한때 보울용 밸브(22)가 닫혀진다(스텝 S14).
따라서 보울부(11)내에 소정수위까지의 수위상승이 행해진다. 그래서 보울용 밸브(22)가 폐쇄됨으로서 세정수 공급장치의 일련의 동작 과정을 종료한다.
이와 같이 제트분출구멍(14b)에서 세정수를 분출함으로서 트랩배수로(12)의 최상위 위치까지 세정수를 용이하게 채울수 있고 소량의 세정수로 효율좋게 사이펀 작용을 일으킬 수 있다.
또 제트 분출 수량은 유량 센서(21)에서 검출하여 유량제어되므로 사이펀 작용으로 필요한 급수량을 최적으로 제어할 수 있다.
또 보올용 밸브(22) 및 제트용 밸브(24)의 폐쇄 지령 신호를 유량센서(21)(23)를 이용한 급수량의 적산결과에 입각해서 제어하고 있어서 세정수 공급원(15) 또는 세정수 공급관(16)내에 압력변화가 생겨도 항상 소정의 세정수를 공급할 수 있어서 급수량이 부족하다는 문제는 생기지 않는다.
또한 보울부(11)의 세정작용 종료후에 트랩배수로(12)에서 오수등을 배출하는 세정과정을 채용함으로서 보울부(11)내의 오염이 심한 경우에도 항상 양호한 세정효과를 거둘 수 있다.
전술한 실시예에 있어서는 제4도에 나타낸 것처럼 보울용 밸브(22)를 열고 있는 사이에 계속해서 제트용 밸브(22)을 열고 보울부 세정 작용과 제트 분출 작용을 동시에 일으키는 프로세스를 채용한 예를 설명했다.
그러나 제트용 밸브(24)의 개방동작은 제5도에 나타낸 것처럼 보울용 밸브(22)의 폐쇄후에 행해도 좋다.
이 경우 제트용 밸브(24)의 개방동작 지령 신호는 제어 장치(30)의 타이머(31c)를 이용하지 않고 보울용 밸브(22)의 폐쇄 신호를 이용해도 좋다.
또한 제6도에 나타낸 타임챠트와 같이 제트용 밸브(24)를 열고 있는 사이에 보울용 밸브(22)를 열고 수위 상승을 개시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하면 제트 분출구멍(14b)에서의 제트 분출에 의해 사이펀 작용이 생기고 보울부(11)내의 물이 배출되고 있는 사이에 계속해서 보울부(11)로의 급수가 행해진다.
따라서 사이펀 작용에 의해 보울부(11)가 비거나, 트랩배수로(12)와 보울부(11)가 물이 없는 상태로 연이어 통하는 것이 방지된다.
따라서 트랩 배수로(12)에서의 악취가 보울부(11)로의 칩입이 방지되고 또한 제트 분출구멍(14b)에서의 제트 분출에 의한 소음을 방지할 수 있다.
또 유량센서(21)(23)로서는 예를 들면 유량에 비례해서 회전하는 날개 바퀴를 갖추고, 그 회전에 대응하는 전기 신호를 출력하는 것을 채용할 수 있다.
또한 다른 유량 제어장치로서 공급관중에 압력계를 설치하여 출력 검출값에 입각한 타이머의 작동시간을 제어하고, 전자개폐 밸브의 개방 작동시간을 제어함에 따라 행할 수도 있다.
제7도는 본 발명에 의한 세정수 공급장치의 제2의 실시예를 나타내는 제1도의 상당도이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는 세정수 공급원이 세정수 저수용의 세정수 탱크(41)를 갖추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대변기(10)의 구조, 대변기(10)에 접속되는 세정수 공급용의 보울부 공급관(17), 제트 분출부 공급관(18), 유량 센서(21)(23) 및 전자 개폐 밸브(22)(24)등은 제1도에 나타낸 실시예와 같으므로 제1도와 같은 부호를 붙여 설명을 생략한다.
세정수 공급원(15)에 접속된 세정수 공급관(16)은 세정수 탱크(41)의 급수부(41a)에 접속되어 세정수 공급원(15)에서의 세정수가 일단 세정수 탱크(41)내로 저장되도록 되어 있다.
세정수 공급관(16)에는 급수구(41a)의 상류측위치에 전자 개폐 밸브(43)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세정수 탱크(41)내에는 상방위치에 탱크내에 수위를 검지하는 수위센서(43)가 설치되어 있다.
이 수위센서(43)로서는 빛 또는 초음파를 발사하여 그 반사파가 도달하기까지의 시간을 연산함에 의해 수위를 검지하는 구조의 것을 이용할 수 있다.
세정수 탱크(41)의 배출구(41b)에는 세정수 공급관(16a)이 전송되고 이 세정수 공급관(16a)은 보울부 공급관(17) 및 제트 분출부 공급관(18)으로 나누어져 있다.
전자 개폐밸브(42)는 신호선(42a)에 의해 제어장치(30)의 출력 인터페이스 회로(34)(제2도 참조)를 통해서 마이크로 프로세서(31)에 접속되어 있다.
또한 수위센서(43)는 신호선(43a)에 의해 제어장치(30)의 입력인터페이스회로(33)를 통해서 마이크로 프로세서(31)에 접속되어 있다.
다음에 제2의 실시예에 의한 세정수 공급장치의 동작 순서를 설명한다.
기동 스위치(25b)를 온으로 함으로서 기동 입력부(25)에서 기동 신호가 제어장치(30)로 보내지고 제1도에 나타낸 실시예와 같은 프로세스로 대변기(10)로의 세정수가 공급되어 보울부(11)를 세정후, 트랩 배수로(12)에서 오수등이 배출된다.
이 경우 세정수는 세정수 탱크(41)의 배출구(41b)에서 배출 공급되므로 세정수 탱크(41)내의 수위은 저하한다.
일련의 세정 과정이 종료하면 전자개폐밸브(42)에 개방 동작지령 신호가 보내져서 전자 개폐밸브(42)가 열리고 세정수 공급원(15)에서 세정수가 세정수 탱크(41)로 공급된다.
세정수 탱크(41)내의 수위가 상승하고, 수위센서(43)에 의해 소정수위까지 달한 것이 검지되면 전자 개폐 밸브(42)가 닫혀지고 세정수 탱크(41)로의 급수가 종료한다.
세정수 공급원에 세정수탱크(41)를 설치함에 의해 세정에 필요한 급수량을 보다 안정한 상태에서 확보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세정수 공급원(15)에서의 세정수의 공급압력이 변동한 경우에서도 항상 소정의 수압의 부울부용 세정수, 제트분출용 세정수를 얻을 수 있다.
제8도 및 제9도는 본 발명에 의한 세정수 공급 장치의 제3의 실시예를 나타내고 있다.
수세식 대변기(50)는 오물, 오수등을 받아 저장하는 보울상을 한 보울부(51),보울부(51)와 사이벽(52)으로 구획되어 보울부(51)의 저부로 연이어 통해서 설치된 대략 역 U자형의 트랩 배수로 (53)을 가지고 있다.
보울부(51)의 위가장자리에는 원주상의 림부(54)가 설치되어 있다.
림부(54)는 내부가 비어서 세정수의 유통통로(54a)가 형성되어 있다.
유통 통로(54a)의 일부는 확대되어 급수실(54b)이 형성되고 이 급수실(54b)에 대해 세정수 급수로(54c)가 개구하고 있다.
림부(54)에는 또한 유통통로(54a)에 연이어 통해서 복수개의 세정수 공급구멍(54d)이 뚫려있다.
세정수 공급구멍(54d)은 보울부(11)의 내벽면에 대해서 세정수 분출 방향이 수평방향에서 약 45°하방으로 향하도록 경사져 개구해있다.
따라서 분출된 세정수가 보울부(11) 내에서 나선상의 흐름을 일으켜 세정 효과를 높일 수 있다.
트랩 배수로 (53)의 하류측 배출로(53a)는 고개부(53b)에서부터 대략 직사각형관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배출로(53a)의 하류끝에는 원통상의 물실 발생기구(water seal generating mechanism)(55)가 연결고정되어 있다.
물실 발생기구(55)는 합성수지제의 원통제로 되고, 대략 중앙에서 하방에 걸쳐서 직경이 넓어진 직경확대부(55a)와, 이 직경 확대부(55a)내에 같은 중심으로 수납 설치된 오물가이드 원통(55b)을 가지고 있다.
직경 확대부(55a)의 하단에는 안쪽 방향으로 향해서 플랜지부(55c)가 형성되어 유출구(55)의 직경을 축소한 조절부가 설치되어 있다.
직경 확대부(55a)의 상방측은 연결원통부(55d)로 되어 배출로(53a)의 하류단에 접착제등을 이용해서 방수 상태를 유지하며 끼워 맞추어져 있다.
직경 확대부(55a)와 오물 가이드 원통(55b)과의 사이는 제9도에 나타낸 것처럼 연결부(55e)에 의해 연결 되어 있다.
직경 확대부(55a)의 내주면과 오물 가이드 원통(55b)의 외주면과의 사이, 오물 가이드 원통(55b)의 하단과 플랜지부(55c)의 상면과의 사이에는 각각 제8도 및 제9도에 나타낸 것처럼 간격(57a)(57b)이 벌려져 있다.
또한 직경 확대부(55a)의 내벽과 오물 가이드 원통(55b)의 상단과의 사이에도 간격(55c)을 두고 있다.
대변기(50)의 급수실(54b)의 상방측에는 세정수 공급제어기를 수납하는 기기 수납실(58)을 구성하는 카바(59)가 설치되어 있다.
기기 수납실(58)에는 카바(59)를 끼워 통해서 세정수 공급원(15)으로 접속된 세정수 공급관(61)이 삽입되어 있다.
이 세정수 공급관(61)은 보울부 공급부(62)와 제트 분출부 공급관(63)으로 나누어져 있다.
보울부 공급관(62)은 전자 개폐밸브(보울용 밸브)(64), 대기 개방 밸브(65) 및 유량 센서(66)를 차례로 통해서 급수구(54c)로 접속되어 있다.
또한 제트 분출부 공급관(63)은 동일하게 전자 개폐밸브(제트용 밸브)(67), 대기개방밸브(68) 및 유량센서(69)를 차례로 통해서 제트 분출부로 접속되어 있다.
제트 분출부는 보울부(51)의 최저부 위치에 분출구멍(71a)을 트랩 배수로(53)의 유입구(53c)로 지향시켜 설치된 제트분출용 노즐(71)을 가지고 있다.
제트 분출용 노즐(71)은 금속 또는 합성 수지로 형성된 U자상을 하고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는 제트 분출부 공급관(63)은 대변기(50)의 외벽면으로 따라 배관되어, 제트 분출용 노즐(71)의 급수구(71b)에 직접 접속되어 있다.
기기 수납실(58)내에는 제어장치(72)가 배치되고 전술한 실시예와 같이 전자 개폐 밸브(64)(67) 및 유량 센서 (66)(69)가 신호선으로 접속되어 있다.
또한 세정수 공급장치의 조작용 각종 스위치 또는 작동 개시 신호를 발하는 센서등이 설치된 기동 입력부(73)가 제어장치(72)로 접속되어 배치되어있다.
이와같은 구성으로 되는 세정수 공급장치의 세정 작용 프로세스는 전술한 실시예와 같으므로 그 설명은 생략하고 본 실시예의 특색부분만 설명한다.
먼저 본 실시예에 있어서 제트 분출부 공급관(63)이 다른 급수경로를 거치지 않고 직접 제트 분출용 노즐(71)로 접속되어 있어서, 세정수 공급원(15)에서 노즐(71)까지의 유로 저항이 작고 급수 압력의 저하를 작게 할 수 있다.
따라서 세정수 공급원(15)의 급수 압력이 비교적 낮은 경우에서도 트랩 배수로(53)에의 세정수의 공급이 가능하고 사이펀 작용을 일으킬 수도 있다.
또한 제트 분출되는 세정수의 기세가 강해서 단시간에 트랩 배수로(53)내의 공기를 배출하고 사이펀 작용을 개시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이 사이펀 작용을 효율좋게 일으킴에 따라 세정수의 절감을 도모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 있어서는 트랩 배수로(53)의 하류끝에 물실 발생기구(55)를 설치했다.
즉 트랩 배수로(53)의 하류측 배출로(53a)를 흐르는 세정수의 일부는 직경확대부(55a)와 오물 가이드 원통(55b)와의 간격(57c)(57a)(57b)을 통과해서 유출구(56)에서 배출된다.
이 경우 유출구(56)에는 플랜지부(55c)를 설치함에 의해 조절부가 형성되어서 오물가이드 원통(55b)의 하단과 플랜지부(55c)의 상면과의 간격(57b)을 통과하는 반경내 방향으로 향하는 유수가 유출구(56)를 물실하는(수막으로 카바하는) 현상을 일으킨다.
이 물실에 의해 트랩 배수로(53)내가 대기와 차단되고, 물실부 보다 상류측에 세정수가 충만함에 따라 트랩배수로(53)내의 공기가 신속, 확실하게 세정수와 함께 유출구(56)에서 배출된다.
따라서 트랩배수로(53)로 완전한 사이펀 작용을 용이하게 일으킬 수 있다.
전술한 제1-제3실시예에 있어서는 보울부 공급관(17) 제트 분출부 공급관(18)로의 급수제어를 유량 센서(21)(23)의 검출 신호로부터 급수량을 적산하고, 이 적산값에 입각해서 행하고 있다.
그러나 급수 제어는 적산값에 입각한 것에 한하지 않고 공급관(17)(18)을 흐르는 순간 유량을 검출하면서 시간에 따른 제어도 가능하다.
이와 같은 급수량 제어 방식을 이용한 예를 제4의 실시예로서 설명한다.
제4의 실시예에 관한 세정수 공급장치는 제어장치(30)의 제어프로그램을 제외하고 전술한 제1-제3실시예와 같다.
다만 보울용 밸브(22), 제트용 밸브(24)로는 유량제어 능력의 보다 높은 개폐 밸브를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예를 들면 무단계로 개폐 제어 가능한 압력 액츄에이터를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10도 및 제11도는 제4실시예에 관한 동작예를 나타낸 공정도 및 타임챠트이고 이하 이들의 도면을 이용해서 본 실시예의 작용에 대해서 설명한다.
먼저 기동 스위치(25b)가 온으로 되면 타이머(31c)에 의한 시간 카운트가 스타트한다.(스텝 U1).
다음에 마이크로프로세서(31)에서의 지령신호에 따라 보울용 밸브(22)가 열리고 (스텝 U2) 세정수가 보울부 공급관(17)으로 공급된다.
유량센서(21)에서의 유량 신호는 제어장치(30)의 비교장치(31b)로 보내지고 미리 설정되어 있는 순간 유량 설정값과 비교된다.(스텝 U4,U5).
공급되는 순간 유량의 설정값 보다 크다면 보울용 밸브(22)는 조금 닫히고(스텝 U6)역으로 설정값보다 작으면 보울용 밸브(22)는 조급 열린다 (스텝 U7).
이와 같이 해서 보울부 공급관(17)로 공급되는 순간 유량이 대개 일정하게 되도록 보울용 밸브(22)의 개폐 제어가 행해지고 보울부(11)로의 세정수 공급공정이 단속된다.
타이머(31c)에 의한 시간카운트가 소정시간(tR1)에 달하면 (스텝 U3) 보울용 밸브(22)는 완전히 닫혀진다 (스텝 U8).
한편 타이머(31c)의 시간 카운트가 소정시간(tJ1)(제11도에 나타낸 타임챠트에서는 tJ1=tR1)에 달하면 (스텝 U17) 제트용 밸브(24)가 열린다 (스텝 U18).
따라서 제트 분출부 공급관(18)을 통해서 제트 분출 구멍(14b)에서 세정수가 제트 분출된다.
유량센서(23)에서의 유량신호는 유량센서(21)와 같이 제어장치(30)의 비교장치로 보내지고 미리설정되어 있는 순간 유량 설정값과 비교된다 (스텝 U20, U21).
이 비교 결과에 따라 제트 분출부 공급관(18)내의 유량이 대략 일정하게 되도록 제트용 밸브(24)의 개폐도의 정리가 행해진다 (스텝 U22, U23).
타이머(31c)의 시간 카운트가 소정시간(tJ2)에 달하기까지 제트 분출구멍(14b)으로 세정수의 공급이 계속도고 따라서 트랩 배수로(12)내에 사이펀 작용이 발생한다.
타이머(31)의 시간 카운트가 소정시간(tJ2)에 달하면 (스텝 U19) 제트용 밸브(24)가 완전히 닫혀지고 제트 분출작용이 정지된다 (스텝 U24).
한편 타이머(31c)가 시간 카운트가 소정시간(tJ2)(제11도의 타임 챠트에서는 TR2=tJ2)에 달하면 (U9).
보울용 밸브(22)는 다시 열린다 (스텝 U10).
보울용 밸브(22)의 개방 동작은 타이머(31c)의 시간 카운트가 소정시간(tR3)에 달하기 까지 계속된다.
이 사이 전술한 바와 같이 유량센서(21)에서의 순간 유량값을 비교하면서 보울용 밸브(22)의 개폐도의 조정이 행해진다 (스텝 U12, U13, U14, U15).
보울부 공급관(17)에 대략 일정 유량으로 세정수가 공급되어 보울부(11)의 수온 상승이 이루어진다.
타이머(31c)의 시간 카운트가 소정시간(tR3)에 달하면 (스텝 U11), 보울용 밸브(22)가 완전히 닫히고 (스텝 U11), 보울용 밸브(22)가 완전히 닫히고 (스텝 U16) 일련의 작용을 종료한다.
제4의 실시예의 타임챠트로서 제11도에 나타낸것 외에 제4도, 제5도, 제6도에 나타낸것과 같은 타임챠트를 채용할 수도 있다.
이상 설명한 것처럼 본 발명에 따르면 비교적 소량의 세정수로 효과적인 세장작용을 행할 수 있다.

Claims (9)

  1. 대변기의 보울부와, 보울부의 바닥부에 인접하여 형성된 트랩배수로에 세정수 공급원에서의 세정수를 각각 다른 급수경로를 통하여 공급하는 변기의 세정수 공급장치에 있어서, 상기 보울부에는 복수개의 세정수 공급구멍이 뚫려있고, 상기 보울부의 바닥부 근방에는 상기 트랩배수로를 향하여 세정수를 제트분출하는 제트분출부가 설치되고, 상기 세정수 공급원과 상기 보울부의 세정수 공급구멍은 보울부 연통수단에 의해 연통접속되며, 상기 보울부 연통수단의 통로내에는 상기 통로를 개폐하는 보울부 연통개폐수단이 설치되며, 제트분출부 연통수단의 통로에는 상기 통로를 개폐하는 제트 분출부 연통개폐수단이 설치되며, 상기 보울부 연통수단 및 제트분출부 연통수단에는 각각 유량검출수단이 설치되며, 상기 보울부 연통개폐수단 및 제트분출부 연통개폐수단에는 상기 유량검출수단으로부터의 유량신호에 의해 공급된 세정수량을 적산하는 세정수량 적산수단과, 상기 적산수단에 의해 적산된 적산세정수량과 미리 정해진 세정수 공급량의 설정값을 비교하는 수량비교수단을 구비하여, 상기 유량검출수단으로부터의 유량신호에 기초하여 보울부 연통개폐수단 및 제트분출부 연통개폐수단을 흐르는 순간유량이 일정하도록 상기 각 개폐수단을 개폐제어하는 제어수단이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정수 공급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수단은 개폐동작 지령신호의 지령프로세스를 기억하는 기억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정수 공급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수단은 개폐동작 지령신호를 시간제어하는 타이머 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정수 공급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세정수 공급원은 세정수 저장용의 세정수 탱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정수 공급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세정수 탱크에는 수위센서가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정수 공급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트분출부는 제트분출용 노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정수 공급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트분출용 노즐은 접속관에 의해 세정수 공급원에 접속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정수 공급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보울부에 뚫려있는 상기 세정수 공급구멍은 세정수가 상기 보울부내에서 나선상의 흐름을 일으키도록 상기 보울부내벽에 대해 경사각을 가지고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정수 공급장치.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트랩 배수로의 하류측에는 지름 방향으로 축소된 조절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정수 공급장치.
KR1019890010596A 1988-07-25 1989-07-25 변기의 세정수 공급장치 KR96001603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9)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63185136A JP2856280B2 (ja) 1988-07-25 1988-07-25 便器の洗浄給水装置
JP??63-185134 1988-07-25
JP??63-185136 1988-07-25
JP63-185136 1988-07-25
JP63185134A JP2740519B2 (ja) 1988-07-25 1988-07-25 便器の洗浄水供給装置
JP63-185134 1988-07-25
JP??63-315651 1988-12-14
JP63-315651 1988-12-14
JP63315651A JPH02161027A (ja) 1988-12-14 1988-12-14 サイホンジェット式便器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10003225A KR910003225A (ko) 1991-02-27
KR960016039B1 true KR960016039B1 (ko) 1996-11-25

Family

ID=273255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90010596A KR960016039B1 (ko) 1988-07-25 1989-07-25 변기의 세정수 공급장치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5133089A (ko)
EP (2) EP0554918A2 (ko)
KR (1) KR960016039B1 (ko)
CA (1) CA1333210C (ko)
DE (1) DE68910600T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0415432B1 (en) * 1989-09-01 1993-03-31 Toto Ltd. Water closet flushing apparatus
AU699462B2 (en) * 1992-11-13 1998-12-03 Kohler Co. Pump operated plumbing fixture
US5305475A (en) * 1992-11-13 1994-04-26 Kohler Co. Pump operated plumbing fixture
DE9308680U1 (de) * 1993-06-10 1994-07-14 Lepel Barbara Freifrau Von Urinal mit Wasserspülung
DK0663035T3 (da) * 1993-08-02 2000-05-22 Geberit Technik Ag Skylleindretning til et vandkloset
KR960010614Y1 (ko) * 1993-11-23 1996-12-20 최한선 변기의 위생제어장치
US5666675A (en) * 1995-06-07 1997-09-16 Geberit Technik Ag Flushing means with a toilet bowl
DE69818507D1 (de) * 1997-11-26 2003-10-30 Clara S A Sanitäre einrichtung versehen mit einem siphon
FR2771430B1 (fr) * 1997-11-26 2000-01-07 Clara Perfectionnements aux installations sanitaires munies de siphon
DE29907588U1 (de) 1998-07-24 1999-09-30 Geberit Technik Ag Spülvorrichtung
DE19962404A1 (de) * 1999-12-22 2001-07-05 Bartsch Elektrotechnik Gmbh Elektronisch gesteuerte Toilettenspülanlage
EP1293613A4 (en) * 2000-06-23 2004-12-08 Inax Corp METHOD FOR SUPPLYING THE WATER SHUT-OFF VALVE, SHUT-OFF VALVE FOR TOILETS, WATER SUPPLY DEVICE FOR CLEANING TOILETS, WESTERN TOILETS WITHOUT TANK, AND WESTERN TOILETS, FLOW SWITCHING DEVICE , AND TOILETS
US6956498B1 (en) 2000-11-02 2005-10-18 Sloan Valve Company System for remote operation of a personal hygiene or sanitary appliance
NZ512778A (en) * 2002-01-05 2004-08-27 Silentnite 02 Company Ltd A toilet with water supplied directly from mains supply (no cistern), having a venturi effect inducing water inlet at the base/rear of the bowl and also rim mounted jets orientated to provide a clockwise 'rinsing' of the bowl.
JP3817734B2 (ja) * 2002-09-03 2006-09-06 東陶機器株式会社 水洗便器
US6877170B1 (en) * 2003-07-21 2005-04-12 Niccole Family Trust Toilet control system
US7690395B2 (en) 2004-01-12 2010-04-06 Masco Corporation Of Indiana Multi-mode hands free automatic faucet
US7028347B2 (en) * 2004-09-01 2006-04-18 Sanderson Dilworth D Digital electronic volume/flow control sensor toilet
US8011031B2 (en) * 2004-12-16 2011-09-06 Wabtec Holding Corp. Quiet, low water volume toilet
US8590067B2 (en) * 2005-02-03 2013-11-26 Danco, Inc. Control of toilet bowl fill flow
WO2006083507A2 (en) * 2005-02-03 2006-08-10 Mjsi, Inc. Toilet bowl water level indication
US8032956B2 (en) * 2005-11-21 2011-10-11 Ideal Standard International Bvba Multi-phase, high energy flushing system
US8162236B2 (en) 2006-04-20 2012-04-24 Masco Corporation Of Indiana Electronic user interface for electronic mixing of water for residential faucets
US9243756B2 (en) 2006-04-20 2016-01-26 Delta Faucet Company Capacitive user interface for a faucet and method of forming
US8118240B2 (en) 2006-04-20 2012-02-21 Masco Corporation Of Indiana Pull-out wand
US8365767B2 (en) 2006-04-20 2013-02-05 Masco Corporation Of Indiana User interface for a faucet
US8089473B2 (en) 2006-04-20 2012-01-03 Masco Corporation Of Indiana Touch sensor
US8418277B2 (en) * 2006-08-31 2013-04-16 Toto Ltd. Flush toilet
US9243392B2 (en) 2006-12-19 2016-01-26 Delta Faucet Company Resistive coupling for an automatic faucet
JP4110578B1 (ja) * 2006-12-28 2008-07-02 Toto株式会社 水洗大便器
WO2008094651A1 (en) 2007-01-31 2008-08-07 Masco Corporation Of Indiana Capacitive sensing apparatus and method for faucets
US7806141B2 (en) 2007-01-31 2010-10-05 Masco Corporation Of Indiana Mixing valve including a molded waterway assembly
US8376313B2 (en) 2007-03-28 2013-02-19 Masco Corporation Of Indiana Capacitive touch sensor
US8613419B2 (en) 2007-12-11 2013-12-24 Masco Corporation Of Indiana Capacitive coupling arrangement for a faucet
US8776817B2 (en) 2010-04-20 2014-07-15 Masco Corporation Of Indiana Electronic faucet with a capacitive sensing system and a method therefor
US8561626B2 (en) 2010-04-20 2013-10-22 Masco Corporation Of Indiana Capacitive sensing system and method for operating a faucet
MX347296B (es) 2012-04-20 2017-04-21 Masco Corp Grifo que incluye un pico extensible con sensor capacitivo.
CN104563242A (zh) * 2013-10-17 2015-04-29 成霖企业股份有限公司 一种冲水马桶的控制系统及其方法
RU2608231C1 (ru) * 2015-12-07 2017-01-17 Общество с ограниченной ответственностью "Самарский Стройфарфор" Способ увода стоков в канализацию из чаши унитаза
CN112639229B (zh) 2018-07-12 2023-04-28 科勒公司 具有高效水流路径的马桶
US11230832B2 (en) * 2018-08-30 2022-01-25 Kohler Co. Toilet system
RU198274U1 (ru) * 2019-09-04 2020-06-29 Чаожоу Чаоан Жонгтао Керамикс Ко., Лтд Унитаз с интеллектуальной системой очистки
DE102020103121A1 (de) 2020-02-07 2021-08-12 Grohe Ag Verfahren zum Erkennen einer drohenden Ablaufverstopfung

Family Cites Families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19812A (en) * 1913-09-08 1914-12-08 John A Deignan Water-closet.
US1142092A (en) * 1913-10-30 1915-06-08 Philip Haas Water-closet valve.
US1928717A (en) * 1932-09-26 1933-10-03 Cesare C Campus Siphon jet flushing nozzle, water closet, flushing valve, and bidet combination
US1973349A (en) * 1932-11-03 1934-09-11 Frederick C Kruse Water closet
US1998861A (en) * 1934-05-14 1935-04-23 Cesare C Campus Siphonproof flushometer and bowl combination
GB504351A (en) * 1937-10-20 1939-04-20 Edward Johns & Company Ltd Improvements in water-closet basins
US2552625A (en) * 1946-03-11 1951-05-15 Sloan Valve Co Electrically operated flush valve
US2688141A (en) * 1950-11-08 1954-09-07 Sloan Valve Co Automatic flushing system
US2783475A (en) * 1953-08-13 1957-03-05 Alton W Sturman Flushing mechanism for water closets
US3010115A (en) * 1960-08-22 1961-11-28 Charles B Wiggs Flushing system for a commode
US3224013A (en) * 1964-03-18 1965-12-21 Elton H Tubbs Siphonic flush commode
US3843978A (en) * 1973-08-27 1974-10-29 C Ragot Water-closet construction
US3965492A (en) * 1974-08-12 1976-06-29 Hendricks Victor P Electric flushing toilet bowl
FR2415999A1 (fr) * 1978-02-07 1979-08-31 Lecat Roger Perfectionnements apportes aux water-closets chimiques
FR2430485A1 (fr) * 1978-07-03 1980-02-01 Lecat Roger Dispositif de w.-c. alimente directement par l'eau d'une canalisation, sans passage par un reservoir intermediaire dit " de chasse "
JPS6040440A (ja) * 1983-08-11 1985-03-02 松下電工株式会社 便器水洗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DE68910600D1 (de) 1993-12-16
CA1333210C (en) 1994-11-29
US5133089A (en) 1992-07-28
EP0554918A2 (en) 1993-08-11
EP0352712A3 (en) 1990-05-30
EP0352712B1 (en) 1993-11-10
KR910003225A (ko) 1991-02-27
EP0352712A2 (en) 1990-01-31
EP0554918A3 (ko) 1994-01-26
DE68910600T2 (de) 1994-06-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60016039B1 (ko) 변기의 세정수 공급장치
KR960008129B1 (ko) 변기의 세정수 공급 장치
US7069604B2 (en) Tankless western-style flush toilet
KR20190027841A (ko) 보울 내용물에 대응하도록 변기 보울에 대한 물 용적 배출의 조정을 자동화하기 위한 시스템, 이 시스템을 포함하는 화장실 및 관련 방법
US9737181B1 (en) Self-cleaning helical drain toilet
JP4798555B2 (ja) 洗浄水タンクおよび洗浄水タンクを備えた水洗便器
JP2007046307A (ja) 便器洗浄装置
JPH0390729A (ja) 便器の洗浄給水装置
JP2740519B2 (ja) 便器の洗浄水供給装置
JP4110853B2 (ja) 便器装置
EP0369377B1 (en) Water closet flushing apparatus
JP3624632B2 (ja) 切換弁とこれを用いた水洗式大便器
JP2763610B2 (ja) 洗浄給水装置
JP4188272B2 (ja) 便器装置
JPH05311724A (ja) サイホンジェット式便器
JP2763607B2 (ja) 洗浄給水装置
CN1041804A (zh) 便桶的清洗水供给装置
JPH02132234A (ja) 大便器洗浄方法および洗浄装置
JP2006028757A (ja) 水道直圧式大便器
JP2004162505A (ja) 便器装置
JP2010189935A (ja) 衛生洗浄装置
JP2018096167A (ja) 便器装置
JP2004225366A (ja) 水洗便器
JPH0390750A (ja) 水洗式便器
JPH02256730A (ja) 大便器の洗浄給水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01116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