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60015843B1 - 음성다중방송의 수신장치 - Google Patents

음성다중방송의 수신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60015843B1
KR960015843B1 KR1019940016451A KR19940016451A KR960015843B1 KR 960015843 B1 KR960015843 B1 KR 960015843B1 KR 1019940016451 A KR1019940016451 A KR 1019940016451A KR 19940016451 A KR19940016451 A KR 19940016451A KR 960015843 B1 KR960015843 B1 KR 96001584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gnal
amplifying
receiving
output
output sig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4001645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60006321A (ko
Inventor
정덕영
신영호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 주식회사
김광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 주식회사, 김광호 filed Critical 삼성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19940016451A priority Critical patent/KR960015843B1/ko
Publication of KR96000632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00632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6001584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015843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06Receivers
    • H04B1/16Circuits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GCONTROL OF AMPLIFICATION
    • H03G3/00Gain control in amplifiers or frequency changers without distortion of the input signal
    • H03G3/20Automatic control
    • H03G3/30Automatic control in amplifiers having semiconductor devices
    • H03G3/3052Automatic control in amplifiers having semiconductor devices in bandpass amplifiers (H.F. or I.F.) or in frequency-changers used in a (super)heterodyne receiv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ircuits Of Receivers In General (AREA)
  • Television Receiver Circuits (AREA)

Abstract

내용없음.

Description

음성다중방송의 수신장치
제1도는 종래의 비디오 디스크 레코더에 관한 오디오 신호처리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제2도는 본 발명에 의한 음성다중방송의 수신장치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블럭도이다.
제3도는 제2도의 본 발명의 구성을 통한 입력신호에 따른 직류변환기의 출력파형을 도시한 것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a, 10b : 밴드패스필터 20a, 20b : FM 복조기
30a, 30b : 이상신호검출부 40a, 40b : 뮤팅처리부
60a, 60b : 밴드패스필터 70a, 70b : IF 증폭기
80a, 80b : 직류변환기 90a, 90b : 검파기
100 : 비교기
본 발명은 음성다중방송의 음성신호처리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음성다중방송 수신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음성다중방송에 있어서, 주반송파의 부반송파는 분리되어 있고 약 200Khz 정도의 차이를 갖는다. 이때, 주반송파는 잡음이 존재하더라도 그래도 음성신호로 들을 수 있도록 해야 하며, 부반송파는 스테레오 또는 음성다중수신이 목적이므로 잡음이 크게 되면 주반송파와는 달리 음성으로 들을 수 없도록 신호를 뮤팅처리를 해야 한다. 또한, 음성다중수신기에서 모노방송인 경우에는 부반송파가 존재하지 않으나 실제는 존재하는 경우(한국 방송국의 경우)가 있다. 이때, 음성다중수신기는 부반송파를 반드시 뮤팅시킬 필요가 있다.
제1도는 미국 특허 NO. 4,393,489에 기재된 종래의 비디오 디스크 레코더에 관한 오디오 신호처리부를 본 발명과 관련하여 그 일부를 발췌한 것이다.
제1도는 밴드패스필터(이하, BPF)(10a, 10b), FM 복조기(20a, 20b), 이상신호검출부(30a, 30b) 및 뮤팅처리부(40a, 40b)로 구성되어 있다. 단자 5를 통해 입력되는 음성신호는 BPF(10a, 10b)를 통해 주신호 또는 부신호의 주파수에 따른 필터링을 하게 된다. 이어서, 필터링된 각 신호는 FM 복조기(20a, 20b)를 통해 신호 복조되어 대응되는 이상신호검출부(30a, 30b) 및 뮤팅처리부(40a, 40b)에 각각 입력된다. 이때, 이상신호검출부(30a, 30b)는 신호의 이상유무를 검출하여 검출신호를 발생시킨다. 또한 뮤팅처리부(40a, 40b)는 단자 55a 또는 55b를 통해 이상신호검출부(30a, 30b)의 검출신호 혹은 스테레오/모노의 채널 선택에 따라 신호의 전달 여부를 결정하는 즉, 뮤팅처리를 하게 된다. 즉, 채널 선택에 모노인 경우 신호의 이상이 검출된 경우는 대응되는 FM 복조기(20a, 20b)의 출력신호는 각각의 뮤팅처리부(40a, 40b)에 의해 뮤팅처리되어 출력신호를 내보내지 않는다.
종래의 오디오 신호처리장치를 음성다중방송에 적용하는 경우를 살펴보자. 음성다중방송의 부반송파에는 일반적인 음성신호외에 현재의 방송이 어떤 방송인지를 알려주는 ID 신호가 존재한다. 모노방송인 경우에도 주반송파의 신호가 강하여 부반송파로 유기되는 경우에는 실제로 신호가 없음에도 불구하고 신호가 있는 것처럼 감지되어 ID 신호처리에 오류동작을 일으킨다. 종래의 음성다중신호를 처리하는 장치에 있어서는 신호의 이상유무를 검출하고 이에 따른 뮤팅처리가 가능하나, 두 신호가 상호 간섭을 일으키는 경우에는 제대로 동작하지 않는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두 개의 신호입력이 간섭에 의한 오류동작을 방지하기 위한 음성다중방송 수신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음성다중방송 수신장치는 외부로부터 인가되는 입력신호로부터 제1신호를 분리하기 위한 제1밴드패스필터와 제2신호를 분리하기 위한 제2밴드패스필터와, 상기 제1신호를 입력받아 이를 증폭하는 제1증폭수단과 상기 제2신호를 입력받아 이를 증폭하는 제2증폭수단과, 상기 제1증폭수단의 출력신호를 입력받아 직류변환하는 제1직류변환수단과 상기 제2증폭수단의 출력신호를 입력받아 직류변환하는 제2직류변환수단과, 상기 제1 및 제2직류변환수단으로부터 출력신호들을 입력받아 비교하는 비교수단과, 상기 제1증폭수단의 출력신호를 검파하는 제1검파수단과 상기 제2증폭수단의 출력신호를 검파하는 제2검파수단을 구비하여 상기 비교수단의 출력신호를 상기 제1 또는 제2검파수단 출력신호의 뮤팅신호로 이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음성다중방송 수신장치를 설명하고자 한다.
제2도는 본 발명의 음성다중방송 수신장치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블럭도를 도시한 것이다.
제2도는 본 발명의 음성다중방송 수신장치는 밴드패스필터(이하, BPF)(60a, 60b), 중간주파증폭기(intermediate frequency amplifier 이하, IF 증폭기)(70a, 70b), 검파기(90a, 90b), 직류변환기(80a, 80b) 및 비교기(100)로 구성되어 있다.
단자 65를 통해 입력되는 신호는 한국의 방송의 경우에 비디오 중간 주파수 42.25-47.75Mhz의 영상신호로서 여기에 음성신호(4.5-4.72Mhz)가 FM 변조되어 실려 있다. 따라서, 밴드패스필터(60a, 60b)는 단자 65를 통해 입력되는 상기 영상신호로부터 음성신호를 추출하게 되는데 특히, 외부의 세라믹 필터로 구성된다. 이는 주반송파와 부반송파의 분리가 회로적으로 구현이 불가능하지는 않지만 규모가 커지기 때문이다. 이때, 밴드패스필터(60a, 60b)의 통과 주파수대역에 따라 주반송파와 부반송파를 분리하게 되는데 두 신호간의 감소비율은 40db 정도이다. IF 증폭기(70a, 70b)는 신호의 강도를 추출한다. 이때 IF 증폭기(70a, 70b)는 특히, 각 단의 출력이 다음 단의 입력으로 하는 직렬 연결된 다단의 차동증폭기로 구성된다. 직류변환기(80a, 80b)는 대응되는 IF 증폭기(70a, 70b)로부터 증폭된 신호를 입력받아 이를 직류로 변환한다. 비교기(100)는 두 개의 직류변환기(70a, 70b)로부터 신호를 입력받아 이를 상대적으로 비교하여 이에 따른 뮤팅신호를 출력한다. 검파기(90a, 90b)는 대응되는 IF 증폭기(70a, 70b)로부터 입력되는 FM 신호를 검파하여 출력한다. 이때, 검파방식은 여러 가지가 있는데 특히, 위상동기루프 검파방식 혹은 직각(Quardrature)검파방식을 사용한다.
이하, 상술한 본 발명의 음성다중방송 수신장치의 구성에 대한 동작 설명을 하고자 한다.
동작 설명을 위해 인용부호 110의 구성을 통해 주반송파를, 인용부호 120의 구성을 통해 부반송파를 각각 처리하는 것으로 정하고자 한다.
먼저 상기 FM 변조된 음성신호를 포함하는 영상신호가 단자 65를 통해 입력되어 BPF(60a, 60b)에 동시 입력된다. 이때, BPF(60a)는 입력신호로부터 주반송파를, BPF(60b)는 부반송파를 각각 분리한다. 따라서, BPF(60a)는 한국의 음성다중방송방식에 적용시는 주반송파의 주파수대력 즉, 4.5Mhz을 주파수 통과대역의 중심주파수로 설정되며, 반면에 BPF(60b)는 4.72Mhz가 주파수 통과대역의 중심주파수가 된다. 그런데, 한쪽의 신호가 존재하지 않더라도 다른 신호가 강하게 입력되는 경우에는 신호간의 간섭, 즉, 다른 신호로 유기가 된다. 또한, 방송신호 상태가 개선되면서 거의 모든 곳에서 강신호 상태를 갖는다. 따라서, BPF(60a, 60b)를 세라믹 필터로 구성하는 경우에도 두 신호간의 간섭에 의해 두 신호간의 신호 유기를 감쇠시키는데 한계를 갖게 된다. 이어서, IF 증폭기(70a, 70b)는 분리된 FM 신호인 주, 부반송파를 입력받아 이를 리미트 처리하기 위해 각각 다단 증폭한다. 이때, IF 증폭기(70a, 70b)의 입력한계점(input limitting point)은 40dbu 수준이고 BPF(60a, 60b)의 인접 반송파의 감쇠비는 30-40dbu가 한계이므로 입력 반송파의 신호레벨이 80dbu 이상이면 인접 반송파의 유입을 차단하기 어렵게 된다. 직류변환기(80a, 80b)는 입력되는 신호에 대응하여 직류신호로 변환한다. 이때, 직류변환기(80a, 80b)의 입력되는 신호는 예를 들어, IF 증폭기(70a, 70b)가 6단의 직렬 연결된 연산증폭기로 구성된 경우 1, 3, 5단(특별히 정해진 것을 아니나 통상 마지막 단의 출력신호는 발진파가 존재할 염려가 있어 제외한다)의 연산증폭기의 각 출력을 합성한 신호가 된다.
제3도는 단자 65를 통한 입력신호와 이에 따른 직류변환기(80a, 80b)의 출력 파형을 도시한 것이다.
이때, t1까지는 직류변환기(80a, 80b)의 출력이 작아 상호간의 차이가 나지 않는 입력한계점이다. 입력한계점을 설정하기 위해 직류오프셋(DC offset)을 두어야 하는데 직류변환기(80a, 80b)에, 또는 비교기(100)의 두 입력중 어느 하나에 직류오프셋을 두게 된다. 직류변환기(80a, 80b)의 출력 파형은 t1, t2 및 t3에서 변곡점을 갖게 되는데 이는 IF 증폭기(70a, 70b)가 다단 연산증폭기가 각기 리미트 처리할 때 각 단의 이득 차이로 생기게 된다. 이어서, 비교기(100)는 직류변환기(80a, 80b)로부터 직류변환된 신호를 입력받아 이를 상대 비교한다. 이때, 상기 직류변환된 신호가 차가 클때는 주반송파 또는 부반송파의 뮤팅신호로서 검파기(90a, 90b)의 출력신호를 뮤팅처리하기 위한 츨력신호를 발생한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음성다중방송의 주반송파 및 부반송파의 상호 신호간섭되어 유기되는 신호상태를 검출하고 이를 뮤팅신호로 이용함으로써 오류동작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Claims (5)

  1. 외부로부터 인가되는 입력신호로부터 제1신호를 분리하기 위한 제1밴드패스필터와 제2신호를 분리하기 위한 제2밴드패스필터; 상기 제1신호를 입력받아 이를 증폭하는 제1증폭수단과 상기 제2신호를 입력받아 이를 증폭하는 제2증폭수단; 상기 제1증폭수단의 출력신호를 입력받아 직류변환하는 제1직류변환수단과 상기 제2증폭수단의 출력신호를 입력받아 직류변환하는 제2직류변환수단; 상기 제1 및 제2직류변환수단으로부터 출력신호들을 입력받아 비교하는 비교수단; 상기 제1증폭수단의 출력신호를 검파하는 제1검파수단과 상기 제2증폭수단의 출력신호를 검파하는 제2검파수단을 구비하여 상기 비교수단의 출력신호를 상기 제1 또는 제2검파수단의 출력신호의 뮤팅신호로 이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성다중방송 수신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밴드패스필터는 세라믹 필터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성다중방송 수신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증폭수단은 직렬 연결된 다단의 연산증폭기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성다중방송 수신장치.
  4. 제1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직류변환수단은 대응되는 제1 및 제2증폭수단의 홀수번째 연산증폭기의 출력신호들의 합성신호를 입력받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성다중방송 수신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검파수단은 위상동기루프검파기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성다중방송 수신장치.
KR1019940016451A 1994-07-08 1994-07-08 음성다중방송의 수신장치 KR96001584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40016451A KR960015843B1 (ko) 1994-07-08 1994-07-08 음성다중방송의 수신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40016451A KR960015843B1 (ko) 1994-07-08 1994-07-08 음성다중방송의 수신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06321A KR960006321A (ko) 1996-02-23
KR960015843B1 true KR960015843B1 (ko) 1996-11-22

Family

ID=1938758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40016451A KR960015843B1 (ko) 1994-07-08 1994-07-08 음성다중방송의 수신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60015843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06321A (ko) 1996-02-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46172B1 (ko) 프론트앤드회로
KR960015843B1 (ko) 음성다중방송의 수신장치
FI67284B (fi) Omvandlare foer kabel-tv
NL192284C (nl) Televisieontvanger van het voor demodulatie van een stereo-omroepsignaal geschikt type.
KR910003729B1 (ko) 유선 tv 컨버터에서 음성스테레오와 볼륨제어시스템
KR970004923Y1 (ko) 컬러텔레비전의 pal방식 음성신호처리회로
KR930011595B1 (ko) 다 방송 수신 시스템의 공용 영상중간주파(pif) 회로
KR0139170B1 (ko) 미국 음성다중 시스템에서의 텔레비젼용 스피커/헤드폰 스위치 전환장치(Speaker/Head Phone Switching System in the MTS/Stereo Receiver)
JP2675157B2 (ja) Nicam音声多重放送受信機の検波回路
JP3561665B2 (ja) Amラジオ受信機
KR970068614A (ko) 위성 디지탈 라디오방송의 자동입력 절환장치
KR0174209B1 (ko) 음성 다중 vcr의 케이비피에스 데이터를 이용한 매트릭스 제어회로
JP2983840B2 (ja) 受信装置
JPS6122383Y2 (ko)
JP3119518B2 (ja) テレビジョン信号変換装置
CN102209255A (zh) 带有声音信号检测的电视信号接收机装置
JPS5838084A (ja) 音声多重復調回路装置
JPS63191485A (ja) 音声多重受信機
JPS5983479A (ja) テレビ受像機のバズ音防止装置
JPS5930381A (ja) テレビジヨン受像機の音声回路
JPH09163321A (ja) 音声多重tv受像機
JPH0828868B2 (ja) 音声信号受信装置
JPS58166883A (ja) 音声多重復調回路
KR20000045179A (ko) 음성다중 오디오박스
JPH04351081A (ja) 多方式テレビジョン受像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61030

Year of fee payment: 11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