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60015771B1 - 차종판별장치 - Google Patents

차종판별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60015771B1
KR960015771B1 KR1019910015131A KR910015131A KR960015771B1 KR 960015771 B1 KR960015771 B1 KR 960015771B1 KR 1019910015131 A KR1019910015131 A KR 1019910015131A KR 910015131 A KR910015131 A KR 910015131A KR 960015771 B1 KR960015771 B1 KR 96001577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hicle
signal
output
separator
photograph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1001513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30004895A (ko
Inventor
히데오 우에하라
싱이찌 타테바나
켕 우찌다
Original Assignee
미쯔비시주우고오교오 가부시기가이샤
쿄오노 미찌아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미쯔비시주우고오교오 가부시기가이샤, 쿄오노 미찌아끼 filed Critical 미쯔비시주우고오교오 가부시기가이샤
Priority to KR1019910015131A priority Critical patent/KR960015771B1/ko
Publication of KR93000489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3000489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6001577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015771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BTICKET-ISSUING APPARATUS; FARE-REGISTERING APPARATUS; FRANKING APPARATUS
    • G07B15/00Arrangements or apparatus for collecting fares, tolls or entrance fees at one or more control poi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18Closed-circuit television [CCTV] systems, i.e. systems in which the video signal is not broadcast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Fina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raffic Control Systems (AREA)
  • Devices For Checking Fares Or Tickets At Control Points (AREA)

Abstract

내용없음.

Description

차종판별장치
제1도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관한 차종판별장치의 구성도.
제2도는 동실시예에 있어서의 전자회로의 구성을 표시한 블록도.
제3도는 동실시예에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타이밍차아트.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제1차량분리기 2 : 제2차량분리기
3 : 차량촬영카메라 4 : 차량
10 : 도로 111∼11n, 211∼21n: 투광부
121∼12n, 221∼22n: 수광부 24 : 전후진판별부
26 : 리세트신호송출부 31 : 촬영지령입력회로
32 : 텔레비젼카메라 33 : 화상정보기억부
본 발명은, 유료도로의 요금수수(收受)시스템에 적용되는 차종판별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 유료도로의 요금수수시스템에서는, 차종판별장치에 의해 통과차량의 번호판을 판독해서 차종을 판별하도록 한 시스템이 사용되고 있다. 이와같은 차종판별장치를 사용한 경우, 통과차량의 번호판을 판독하는 타이밍이 판독정밀도에 크게 영향을 미친다.
종래의 차종판별장치에서는, 차량분리기와, 답판(踏板)(차측수, 차륜수, 휘일트레드)을 조합한 시스템이 이미 실용화되어 있다. 이것은 도로건설의 당초부터, 요금수수시스템을 도입할 목적으로, 답판설치용 프레임을 땅속에 매설하고, 차량분리기 및 답판으로부터의 신호에 의해서 셔터타이밍을 취하도록 된 것이다. 즉, 차량분리기의 신호에 의해서 화상을 도입하고, 어떤 일정시간 경과후에, 차량통과의 근거가 되는 답판신호가 존재하는 경우에 한해서 통행차량이라고 판단하여, 카메라의 셔터조작을 행하고 있다.
상기 종래의 방식을 사용한 차종판별장치를 설치하는 경우, 지금부터 새로이 건설되는 도로에 대해서는, 도로건설시에 답판프레임을 설치할 수 있으므로, 시공상 문제는 없다.
그러나, 현재, 이미 건설완료의 유료도로에 대하여 상기 차종판별장치를 설치하는 경우에는 답판프레임을 매설하는 것은 곤란하다. 특히 고가도로로 되어 있는 도로의 경우에는, 답판프레임을 매설하는 것은 전적으로 불가능하다.
그래서, 노면에 매설물이 없는 답판없는 차종판별장치가 요망되고, 최근에 있어서는 여러가지의 제안이 이루어지고 있다. 그러나, 이들 차종판별장치는, 차량의 촬영타이밍에 대해서 그다지 고려되어 있지 않고, 아직, 실용화에 이르지 않고 있다. 예를들면 차량분리기에 의해 차량을 검출하는 경우, 차량과 차량이외의 것과의 구별이 곤란하며, 사람이 차량분리기의 위치에 와서 센서의 광축을 차단하거나, 먼저, 또는 새가 날아와서 센서의 광축을 차단해도, 차량촬영카메라에 트리거신호가 발송되어 버린다고 하는 불편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 실정에 비추어서 이루어진 것으로서, 답판의 설치가 불필요하며, 이미 건설완료의 유료도로에 대해서도 설치가 용이하고, 또한, 차량과 차량이외의 물체를 확실하게 식별해서 최적의 위치에서 차량촬영을 행할 수 있는 차종판별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2쌍의 차량분리기를 차량진행방향으로 일정간격을 유지해서 배치하는 동시에, 이 차량분리기의 앞쪽에 통과차량을 촬영하는 차량촬영카메라를 배치하고, 상기 2쌍의 차량분리기로부터의 검지신호에 의해 차량의 전후진판별을 행하고, 상기 2쌍의 차량분리기로부터 차량검지신호가 동시에 출력되고, 또한, 상기 판별수단에 의해 차량이 전진하고 있다고 판별되었을때에 상기 차량촬영카메라를 작동시켜서 통과차량의 번호판부를 촬영하도록 한 것이다.
차량이 2쌍의 차량분리기에 다다르면, 각 차량분리기로부터 차량검지신호가 출력되면, 이 차량검지신호에 의거해서 차량의 전후진판별이 행하여진다. 그리고, 차량이 전진하고 있다고 판별되고, 또한, 차량분리기로부터 차량검지신호가 동시에 출력되고 있을때에 촬영지령신호가 출력된다. 이 촬영지령신호에 의해 차량촬영카메라가 작동하여, 차량의 번호판부를 촬영한다. 이 차량촬영카메라에 의해 촬영된 화상정보는, 화상처리장치로 전송되어서 차종의 판별이 행하여진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설명한다.
제1도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관한 차종판별장치의 구성도를 표시한 것이다. 동도면에 표시한 바와같이 유료도로(10)의 게이트부분에 투광부(1P) 및 수광부(1R)로 이루어진 제1차량분리기(1), 투광부(2P) 및 수광부(2R)로 이루어진 제2차량분리기(2)가 병설된다. 상기 투광부(1P), (2P)와 수광부(1R), (2R)은, 도로(10)를 사이에 개재해서 서로 대향하도록 배치되는 것으로서, 제1차량분리기(1)와 제2차량분리기(2)는, 차량진행방향으로 일정한 간격, 즉, 사람이 동시에 차단할 수 없는 간격, 예를들면 80cm∼150cm의 간격으로 설정된다. 또, 상기 제2차량분리기(2)의 앞쪽에는, 도로(10)의 한쪽편에 차량촬영카메라(3)가 배치된다. 이 차량촬영카메라(3)는, 도로(10) 위를 게이트부분에 침입해오는 차량(4)의 번호판부를 촬영한다.
제2도는, 차량분리기(1), (2) 및 차량촬영카메라(3)의 회로구성을 표시한 블록도이다.
제1차량분리기(1)는, 투광부(111)∼(11n), 수광부(121)∼(12n) 및 논리합회로(13)에 의해서 구성된다. 각 투광부(111)∼(11n)와 수광부(121)∼(12n)는 각각 쌍을 이루어서 광검지기를 구성하는 것으로서, 각 광검지기는 상호 간섭하지 않도록 제어된다. 그리고, 수광부(121)∼(12n)로부터 출력되는 신호는, 논리합회로(13)를 개재해서 차량검지신호 a로서 인출되어, 제2차량분리기(2)에 보내게 된다.
제2차량분리기(2)는, 제1차량분리기(1)와 마찬가지로 투광부(211)∼(21n), 수광부(221)∼(22n)를 구비하고 있다. 각 투광부(211)∼(21n)와 수광부(221)∼(22n)는, 각각 광검지기를 구성하는 것으로서, 각 광검지기는 상호간섭하지 않도록 제어된다. 그리고, 수광부(221)∼(22n)로부터 출력되는 신호는, 논리합회로(23)를 개재해서 차량검지신호 b로서 인출되어, 예를들면 플립플롭에 의해 구성되는 전후진판별부(24), 논리곱회로(25), 리세트신호송출부(26)에 입력된다. 또, 상기 전후진판별부(24) 및 논리곱회로(25)에는, 제1차량분리기(1)로 부터 보내오는 차량검지신호 a가 입력된다. 리세트신호송출부(26)는, 논리합회로(23)로부터 출력되는 차량검지신호의 내려서는 것을 검지해서 리세트신호 k를 발생하여, 전후진판별부(24)에 출력한다.
상기 전후진판별부(24)는, 논리합회로(13), (23)로부터 출력되는 차량검지신호 a, b의 발생순서에 의해 차량(4)의 전후진을 판별하고, 전진신호 c 또는 인버어터(27)를 개재해서 후진신호 d를 출력한다. 상기 전진신호 c 및 후진신호 d는 논리곱회로(28)에 입력된다.
상기 논리곱회로(25)의 출력신호는 차량검지신호 e로서 논리곱회로(29)에 입력되고, 논리곱회로(28)의 출력신호는 차량전진신호 f로서 논리곱회로(29)에 입력된다. 그리고, 이 논리곱회로(29)의 출력신호가 촬영지령신호 g로서 차량촬영카메라(3)에 보내지게 된다.
차량촬영카메라(3)는 촬영지령입력회로(31), 텔레비젼카메라(32) 및 화상정보기억부(33)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2차량분리기(2)로부터 보내오는 촬영지령신호 g가 촬영지령입력회로(31)에 입력된다. 이 촬영지령입력회로(31)는, 촬영지령신호 g가 보내져오면 촬영지령 h를 발생하여, 텔레비젼카메라(32)에 출력한다. 이 텔레비젼카메라(32)는, 상기 촬영지령 h에 의거해서 작동하고, 차량(4)의 번호판부를 촬영한다. 이 텔레비젼카메라(32)로부터 출력되는 화상정보 j는, 화상정보기억부(33)에 일시기억된 후, 소정의 타이밍으로 화상처리장치(도시생략)에 보내지게 된다.
다음에, 상기 실시예의 동작을 제3도의 타이밍차아트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로(10) 위를 진행해오는 차량(4)이 제1차량분리기(1)에 다다르고, 투광부(111)∼(11n)와 수광부(121)∼(12n) 사이의 광축을 가로막으면, 그 광축이 차단된 수광부(121)∼(12n)로부터 검지신호가 출력되고, 제3도에 표시한 바와같이 논리합회로(13)를 개재해서 차량검지신호 a로서 출력된다. 이 차량검지신호 a는, 제2차량분리기에 보내져서, 전후진판별부(24)에 입력된다. 그후, 차량(4)이 진행하여, 제2차량분리기(2)에 당도하고, 투광부(211)∼(21n)와 수광부(221)∼(22n) 사이의 광축을 가로막으면, 그 광축이 차단된 수광부(221)∼(22n)로부터 검지신호가 출력되고, 논리합회로(23)를 개재해서 차량검지신호 b로서 전후진판별부(24)에 보내지게 된다.
전후진판별부(24)는, 상기한 바와같이 최초에 제1차량분리기(1)로부터의 차량검지신호 a를 접수하고, 그 후에 제2차량분리기(2)로부터의 차량검지신호 b를 접수하였을 경우는, 차량(4)이 전진하고 있는 것으로 판별하고, 전진신호 c를 논리곱회로(28)에 출력한다. 이때 전후진판별부(24)로부터 인버어터(27)를 개재해서 출력되는 후진신호 d는, 하이레벨로 유지되어 있으므로, 논리곱회로(28)로부터 차량전진신호 f가 출력된다. 또, 상기 논리합회로(23)로부터 출력되는 차량검지신호 b는, 논리곱회로(25)에 입력된다. 이때 제1차량분리기(1)로부터 차량검지신호 a가 인가되어 있으므로, 논리곱회로(25)로부터 차량검지신호 e가 출력된다.
상기한 바와같이 논리곱회로(25)로부터 차량검지신호 e가 출력되고, 논리곱회로(28)로부터 차량전진신호 f가 출력되면, 논리곱회로(29)로부터 촬영지령신호 g가 출력되어, 차량촬영카메라(3)내의 촬영지령신호(31)에 입력된다. 이 촬영지령입력신호(31)는, 상기 촬영지령신호 g가 입력되면, 일정시간 폭의 촬영지령 h를 출력한다. 이 촬영지령 h이 출력되면, 그 트레일링에지의 내려선 부분에서 텔레비젼카메라(32)가 동작하여, 차량(4)의 번호판부를 촬영한다. 이 텔레비젼카메라(32)에 의해 촬영된 화상정보 j는 화상정보기억부(33)에 보내지게 된다. 이 화상정보기억부(33)는, 상기 텔레비젼카메라(32)로부터 보내오는 화상정보 j를 임시기억하고, 소정의 타이밍으로 화상정보 p를 화상처리장치에 송출한다. 이 화상처리장치는, 차량촬영카메라(3)로부터 보내오는 화상정보 p를 처리해서 번호판부의 표시정보를 판독하여, 차량(4)의 차종을 판별한다.
그후, 차량(4)이 더 진행하여, 제1차량분리기(1)의 앞을 완전통과하면, 수광부(121)∼(12n)의 출력신호가 모두 로우레벨로 되고, 논리합회로(13)를 개재해서 출력되는 차량검지신호 a가 로우레벨로 내려선다. 이 결과, 논리곱회로(25)의 출력신호 e 및 논리곱회로(29)의 출력신호 g가 다같이 내려서는 동시에, 일정시간후에 전후진판별부(24)로부터 출력되는 전진신호 c로 로우레벨로 내려선다.
또, 차량(4)이 진행하여, 제2차량분리기(2)의 앞을 완전통과하면, 수광부(221)∼(22n)의 출력신호가 모두 로우레벨로 되고, 논리합회로(23)를 개재해서 출력되는 차량검지신호 b가 로우레벨로 내려선다. 이 차량검지신호 b가 로우레벨로 내려서면, 리세트신호송출부(26)로부터 리세트신호 k가 출력되고, 그 트레일링에지(내림선)에 있어서 전후진판별부(24)가 리세트된다. 이상으로 모든 회로가 초기상태로 되돌아가, 다음의 진입차량에 대비한다.
또, 차량(4)이 후진해서 제2차량분리기(2), 제1차량분리기(1)앞에 위치하였을 경우에는, 최초에 제2차량분리기(2)의 논리합회로(23)로부터 차량검지신호 b가 출력되고, 그후, 제1차량분리기(1)의 논리합회로(13)로부터 차량검지신호 a가 출력된다. 이와같이 차량검지신호 b-a의 차례로 출력되었을 경우, 전후진판별부(24)는 차량이 후진하고 있다고 판별하고, 인버어터(27)를 개재해서 출력하는 후진신호 d를 로우레벨로 내려서게 한다. 따라서, 논리곱회로(28)의 게이트가 폐쇄되고, 논리곱회로(29)로부터 촬영지령신호 g가 출력되는 일은 없다.
이상 설명한 바와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제1 및 제2차량분리기를 일정한 간격을 유지해서 설치하고, 그 차량검지신호로부터 차량의 전후진판별을 행하고, 차량이 전진하고 있다고 판별하였을 경우에 있어서, 동시에 제1 및 제2차량분리기로부터 차량검지신호가 출력되었을때에, 그 차량검지신호에 의해 촬영지령을 출력하도록 하였으므로, 항상 정확한 타이밍으로 번호판부를 촬영하여, 차량판별을 정확하게 행할 수 있고, 또한, 예를들면 먼지, 새 등 차량이외의 물체가 차량분리기부분을 통과하였다고해도, 촬영지령은 출력되지 않아, 불필요한 촬영은 행하여지지 않는다. 또, 답판의 설치가 불필요하고, 이미 건설완료의 유료도로에 대해서도 용이하게 설치할 수 있어, 실용상 매우 큰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Claims (1)

  1. 차량진행방향으로 일정간격을 유지해서 배치되는 2쌍의 차량분리기와, 이 차량분리기의 앞쪽에 설치되어서, 통과차량을 촬영하는 차량촬영카메라와, 상기 쌍의 차량분리기로부터의 검지신호에 의해 차량의 전후진판별을 행하는 판별수단과, 상기 쌍의 차량분리기로부터 차량검지신호가 동시에 출력되고, 또한, 상기 판별수단에 의해 차량이 전진하고 있다고 판별되었을때에 상기 차량촬영카메라를 작동시켜서 통과차량의 번호판부를 촬영시키는 촬영수단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종판별장치.
KR1019910015131A 1991-08-30 1991-08-30 차종판별장치 KR96001577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10015131A KR960015771B1 (ko) 1991-08-30 1991-08-30 차종판별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10015131A KR960015771B1 (ko) 1991-08-30 1991-08-30 차종판별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30004895A KR930004895A (ko) 1993-03-23
KR960015771B1 true KR960015771B1 (ko) 1996-11-21

Family

ID=1931936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10015131A KR960015771B1 (ko) 1991-08-30 1991-08-30 차종판별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60015771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42321B1 (ko) * 2020-08-27 2022-09-08 문기석 식품에 혼입된 금속성 이물질 검사 장치 및 그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30004895A (ko) 1993-03-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243317B1 (ko) 차종 판별 장치
KR20170088692A (ko) 영상을 이용한 차량속도 산출장치 및 그 방법
JP5330289B2 (ja) 撮像装置および料金収受システム
JP2005114535A5 (ko)
KR101269192B1 (ko) 일방통행 위반 단속시스템
KR960015771B1 (ko) 차종판별장치
KR102022786B1 (ko) 타이어 패턴 판정 장치, 차종 판별 장치, 타이어 패턴 판정 방법 및 프로그램을 기록한 기록 매체
JPS6290800A (ja) 車両ナンバ−自動読取りシステム
JP2020030574A (ja) 牽引判定システム、車両区分判別システム、牽引判定方法、車両区分判別方法、及びプログラム
KR100663308B1 (ko) 프루브 카를 이용한 신뢰성 있는 교통 정보 수집 방법 및장치
JP3207696B2 (ja) 車種判別装置
JP2501325Y2 (ja) 車種判別装置
JPH05282592A (ja) 画像処理式車両感知装置及び交通情報処理方法
JP4268175B2 (ja) 車両判別システム
JP3652840B2 (ja) 車両検知装置
JP3073415B2 (ja) 車両検知装置
KR101874453B1 (ko) 차량의 통과 높이를 감지하기 위한 장치 및 이를 이용하는 단속 시스템
JP2567655Y2 (ja) 車種判別装置
KR102205595B1 (ko) 다차로 차량 촬영 시스템
KR102537818B1 (ko) 차량 속도 감지 정확성을 높인 교통정보 관리 시스템
KR100538932B1 (ko) 광센서를 이용한 차량의 전후진 판별 및 위반차량촬영방법 및장치
JP7038522B2 (ja) 車軸画像生成装置、車軸画像生成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H08202983A (ja) 車両検知装置
JPH02226479A (ja) ナンバプレート検出装置
JP2998166B2 (ja) 速度計測機能付き車番自動読取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19991102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