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60015619B1 - 폐수지 혼합물을 이용한 대형 성형물 제조방법 및 그에 의해 제조되는 콘크리트 블록 성형받침대 - Google Patents

폐수지 혼합물을 이용한 대형 성형물 제조방법 및 그에 의해 제조되는 콘크리트 블록 성형받침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60015619B1
KR960015619B1 KR1019930017912A KR930017912A KR960015619B1 KR 960015619 B1 KR960015619 B1 KR 960015619B1 KR 1019930017912 A KR1019930017912 A KR 1019930017912A KR 930017912 A KR930017912 A KR 930017912A KR 960015619 B1 KR960015619 B1 KR 96001561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ste
waste resin
pipe
melt
suppo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3001791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50008067A (ko
Inventor
정병희
Original Assignee
정병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Family has litigation
First worldwide family litigation filed litigation Critical https://patents.darts-ip.com/?family=19363054&utm_source=google_patent&utm_medium=platform_link&utm_campaign=public_patent_search&patent=KR960015619(B1) "Global patent litigation dataset” by Darts-ip is licensed under a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4.0 International License.
Application filed by 정병희 filed Critical 정병희
Priority to KR1019930017912A priority Critical patent/KR960015619B1/ko
Publication of KR95000806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5000806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6001561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015619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39/00Shaping by casting, i.e. introducing the moulding material into a mould or between confining surfaces without significant moulding pressure; Apparatus therefor
    • B29C39/003Shaping by casting, i.e. introducing the moulding material into a mould or between confining surfaces without significant moulding pressure; Apparatus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 choice of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BPREPARATION OR PRETREATMENT OF THE MATERIAL TO BE SHAPED; MAKING GRANULES OR PREFORMS; RECOVERY OF PLASTICS OR OTHER CONSTITUENTS OF WASTE MATERIAL CONTAINING PLASTICS
    • B29B17/00Recovery of plastics or other constituents of waste material containing plastic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39/00Shaping by casting, i.e. introducing the moulding material into a mould or between confining surfaces without significant moulding pressure; Apparatus therefor
    • B29C39/02Shaping by casting, i.e. introducing the moulding material into a mould or between confining surfaces without significant moulding pressure; Apparatus therefor for making articles of definite length, i.e. discrete articles
    • B29C39/10Shaping by casting, i.e. introducing the moulding material into a mould or between confining surfaces without significant moulding pressure; Apparatus therefor for making articles of definite length, i.e. discrete articles incorporating preformed parts or layers, e.g. casting around inserts or for coating art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39/00Shaping by casting, i.e. introducing the moulding material into a mould or between confining surfaces without significant moulding pressure; Apparatus therefor
    • B29C39/22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39/38Heating or cooling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21/00Preparing, conveying, or working-up building materials or building elements in situ; Other devices or measures for constructional work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W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WASTEWATER TREATMENT OR WASTE MANAGEMENT
    • Y02W30/00Technologies for solid waste management
    • Y02W30/50Reuse, recycling or recovery technologies
    • Y02W30/62Plastics recycling; Rubber recycl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rchitectur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asting Or Compression Moulding Of Plastics Or The Like (AREA)

Abstract

내용없음

Description

폐수지 혼합물을 이용한 대형 성형물 제조방법 및 그에 의해 제조되는 콘크리트 블록 성형받침대
제1도는 본 발명에 의해 제조된 성형물의 한 예시도.
제2도는 제1도의 성형물을 제조하는 방법을 설명하는 도면.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지지대 2 : 파이프
3 : 하부 모울드 4, 4A : 용융물
5 : 상부 모울드
본 발명은 폐기물인 폐목분 또는 폐톱밥과 폐폴리프로필렌(P.P) 또는 폐폴리에틸렌(P.E)을 혼합, 용융 및 프레스에 의해, 압출하여 열변형이 없는 대형 성형물을 신속하게 제작할 수 있는 폐수지 혼합물을 이용한 대형 성형물 제조방법 및 그에 의해 생산된 콘크리트 블록 성형받침대에 관한 것이다.
통상적으로 환경문제와 관련한 폐자원 활용측면에서 폐수지류를 이용하여 여러 성형제품을 만들어내는 것이 바람직하게 고려되어 폐수지를 응용하여 성형한 여러가지 제품이 나오고 있다.
그러나 폐수지를 용융하여 3cm 두께 이상되는 각종 대형 제품을 만들고자 할 경우엔 가공온도, 폐수지 자체의 특성등의 여러가지 영향으로 인하여 가공후의 비틀림, 수축, 휨 등의 변형이 극히 심하여, 폐자재의 활용측면의 관점에서는 바람직하겠으나 생산된 제품이 전혀 제기능을 발휘하지 못하게 되는 바, 이는 본 폐수지 재생업계에서는 상당히 어려운 과제로 남아있었다.
즉 생산된 제품의 불량률이 극히 높아 초기에 계획했던 의도와는 달리 폐수지에 의해 생산된 제품의 질이 크게 저하하여 상품의 가치를 제대로 발휘하지 못하는 바, 현재까지는 주로 얇고 단순한 형태의 제품들을 제작하는데 한정하여 생산되어 왔었다.
이에 본 출원인은 이를 해결할 목적으로 제조후 변형이 없는, 3cm 이상 두께를 갖는 폐수지 제품을 제작가능토록 하기 위해 다음과 같은 본 발명을 하게 되었다.
본 발명에 사용되는 공지의 폐수지는, 주로 폐폴리프로필렌(P.P) 또는 폐폴리에틸렌 50∼60%, 그리고 폐목분 또는 가구류와 같은 수지를 포함하는 톱밥을 50∼35% 범위로 사용하고, 기타 수지를 10-5%를 사용하고, 나머지 첨가제로서 가소제, 염화파라핀, 카본블랙, 방염제 등을 첨가한다. 이하, 상기 조성으로 이루어진 혼합물을 "수지 혼합물"이라고 한다.
본 발명의 주요 특징은, 상기한 폐수지 혼합물을 용탕으로 만든 후, 일정 형상의 성형틀에 개략 반정도 충전한 후, 냉각용 파이프를 띄우고 그 위에 재차 폐수지 혼합물 용탕을 가하여 상부 성형틀로써 가압하고 성형틀 내부에 심어져 있는 파이프 내부에 냉각수를 순환시켜 폐수지 혼합물 용탕을 급속히 냉각시킴으로써, 제품의 생산시간을 단축시킴고 동시에 제품의 비틀림, 휨 등을 방지하고 제품의 강도를 향상시키도록 한 것으로, 이하 한 실시예를 참조로 그 제조방법을 설명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벽돌등의 블록제품을 만들어내는 1m 이상의 대형 블록 성형받침대를 제작한 것을 예로써 설명하지만 본 발명은 본 제품에 한정되는 것은 결코 아니다.
본 발명에서 제조하는 제품은, 상당한 두께를 갖는 제품을 상술한 폐수지 혼합물로써 제조가능토록 한 것으로, 제품 내부에 지지대(1)를 갖는 파이프(2)가 포함되도록 제조하는 것이다.
제1도는 본 발명에 의하여 제조되는 제품의 한 예로써, 콘크리트 블록 성형받침대를 예시한 것으로, 이것은, 개략 1.1m×1.3m로 이루어지며 두께는 5cm 정도 되는 중량물이다. 제2도는 제1도와 같은 제품을 제조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종래의 블록 성형받침대는 통상적으로 수입원목(아비똥)을 사용하므로 가격이 비싸고,2∼3년 사용후에는 부식, 마모 파손이 심하여 못쓰게 된다.
또한 통판이 아닌 여러가지 목재편을 조립되므로 그 위에 콘크리트 블록 등을 성형할 경우 콘크리트 블록에 손상을 준다.
상기한 바와같은 제품을 본 발명에 의해 제작함에 있어 제2도를 참조로 설명하면, 하부 모울드(3) 내부에 폐수지 혼합물을 용탕으로 만든 용융물(4)을 제2도에 도시한 "L" 정도의 높이로 채우고 난뒤, 하부 모울드(3) 내부에 지지대(1)를 갖는 내부가 빈 지그재그형의 파이프(2)를 띄워 놓는다. 이때 용융물(4) 자체는 매우 점성이 크므로 파이프가 떠있게 된다. 지지대(1)의 역할은 파이프(2)를 지지하는 역할을 하며, 지그재그형의 파이프(2)와 수직으로 설치하여 일체로 용접 고정한다. 파이프(2)의 개방된 단부는 외부의 냉각수단과(도시생략) 연결되어 있다.
이와같이 파이프(2)가 띄워진 상태에서 다짐기구 등으로 용융물(4) 상면을 편평하게 다진후 2차로 용융물(4A)을 가득 채우고, 상부 모울드(5)를 덮어 프레스기를 이용하여, 상부 모울드(5)를 5톤 이상의 압력으로 누르면서 용융물(4, 4A) 내부에서 발생되는 가스를, 통상의 모울드 자체 구조에 의한 방법으로 제거한다. 이 경우, 내부의 용융물(4, 4A)에 가하는 압력은 5톤 정도가 적당하다. 이때, 상부 모울드(5)의 가압시, 파이프(2)의 단부는 성형물 외부의 냉각수단과 연결되어 있어서 냉각매체 예로써 물, 공기 등의 저온유체를 공급함으로써, 200℃ 넘는 용융물(4, 4A)을 신속하게 냉각시켜, 종래 서냉으로 인한 잔열로 인해 열변형인 수축, 휨, 뒤틀림을 방지하고 또한 냉각시간의 단축으로 다량 생산이 가능한 장점이 있다.
구체적으로 말하면 종래의 방법에 의하면, 상기한 크기의 콘크리트 블록 성형받침대를 제작하는데 있어 30분 이상 소요되는 반면, 본 실시예에 의하면 10분 정도 시간이 소요된다.
상기에서 제작예로 설명한 콘크리트 등의 블륵 성형받침대는 그 용도상 두께가 3cm 이상 두꺼워야 하므로, 용융물을 공냉에 의존하는 경우에는 모울드 자체의 상하, 좌우의 외면 냉각에만 의존하므로 30분 이상 장시간이 소요되므로 생산성이 극히 떨어지고 휨, 뒤틀림 등의 열변형이 발생하는 단점이 있는 반면, 본 발명에 의하면 뛰어난 생산성(종래의 약 3배)과 제품 자체의 뒤틀림, 수축 등의 변형을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으며, 또한 제품 자체 내부에 심어지는 파이프 및 지지대에 의해 제품 자체의 강도가 더욱 향상되어 반영구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지대한 장점이 있다.
그외의 장점으로는, 폐목분 또는 톱밥의 첨가로 받침대 자체의 미끄럼 및 제품의 밀림이 없으며, 상면이 편평한 통판이므로 그 위에 놓이는 콘크리트 블록의 균열, 파손이 없고, 다이 전체(다리부 및 상판)가 일체형으로 성형되므로 나무와 같이 부스러짐이 없으며, 그 상판 위에서 콘크리트 블록 제작시, 콘크리트 몰탈에 진동을 줄때, 진동효과가 좋아 콘크리트 블록의 불량률이 적고 제작된 블록의 강도가 뛰어나다.
또한, 제조시 300℃의 고온 및 5톤 이상의 프레스 성형으로 제조되므로 변형이 없고, 받침대 보수가 필요없다. 만약 받침대(다리부)에 손상이 있을 경우엔, 합성수지로 간단히 보수되며, 톱질, 못질도 가능한 장점이 있다. 또한, 고온의 양생실에서도 변형, 변질이 전혀 없는 장점이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콘크리트 불록 성형받침대에 대한 한가지 예로써 설명하였지만, 이에 결코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Claims (2)

  1. 폐폴리프로필렌 또는 폐폴리에틸렌 50∼60%, 폐목분 또는 폐톱밥 50∼35%, 기타 수지 10∼5%, 그리고 첨가제로서 가소제, 염화파라핀, 카본블랙, 방염제 등의 조성물로 이루어지는 공지의 폐수지 혼합물을 용융하여 3cm 이상의 두께를 갖는 대형의 폐수지 성형물을 제조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한 폐수지 혼합물을 용탕으로 만든 용융물(4)을 하부 모울드(3)에 주입하는 단계, 상기한 주입된 폐수지 용융물(4)에 지지대(1)를 갖는 파이프(2)를 설치하는 단계, 그 위에 용융물(4A)를 채워 상부 모울드(5)로 덮는 단계, 5톤이상 압력으로 상부 모울드(5)로 가압하면서 상기한 하부 모울드(3)내의 파이프 내부로 냉각유체를 통과시켜 용융물(4, 4A) 내부를 냉각시키는 단계로 제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수지 혼합물을 이용한 대형 성형물 제조방법.
  2. 공지의 폐수지 혼합물을 이용하여 콘크리트 블록 성형받침대를 구성함에 있어서, 콘크리트 블록 성형받침대 내부에, 지그재그형의 파이프(2)와, 지그재그형 파이프(2)의 길이방향에 수직하게 일체로 형성한 지지대(1)가 포함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블록 성형받침대.
KR1019930017912A 1993-09-07 1993-09-07 폐수지 혼합물을 이용한 대형 성형물 제조방법 및 그에 의해 제조되는 콘크리트 블록 성형받침대 KR96001561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30017912A KR960015619B1 (ko) 1993-09-07 1993-09-07 폐수지 혼합물을 이용한 대형 성형물 제조방법 및 그에 의해 제조되는 콘크리트 블록 성형받침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30017912A KR960015619B1 (ko) 1993-09-07 1993-09-07 폐수지 혼합물을 이용한 대형 성형물 제조방법 및 그에 의해 제조되는 콘크리트 블록 성형받침대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50008067A KR950008067A (ko) 1995-04-15
KR960015619B1 true KR960015619B1 (ko) 1996-11-18

Family

ID=1936305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30017912A KR960015619B1 (ko) 1993-09-07 1993-09-07 폐수지 혼합물을 이용한 대형 성형물 제조방법 및 그에 의해 제조되는 콘크리트 블록 성형받침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60015619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21167B1 (ko) * 2009-07-20 2009-10-14 오기만 고하중물 받침용 플레이트 성형방법 및 그 제품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623505B2 (ja) * 2005-04-07 2011-02-02 株式会社シマノ 釣り竿のリールシート構造および釣り竿
KR200459909Y1 (ko) * 2010-05-13 2012-04-20 삼일화학주식회사 디스플레이장치용 발포수지 포장재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21167B1 (ko) * 2009-07-20 2009-10-14 오기만 고하중물 받침용 플레이트 성형방법 및 그 제품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50008067A (ko) 1995-04-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686251A (en) Method for making decorative resin-wood composites and the resultant product
JPH0376614A (ja) 繊維強化熱可塑性樹脂成形品の製造方法
US3574801A (en) Method for making panels of the artificial stone-type
KR960015619B1 (ko) 폐수지 혼합물을 이용한 대형 성형물 제조방법 및 그에 의해 제조되는 콘크리트 블록 성형받침대
CN103895202A (zh) 一种用物理发泡工艺一次性挤出成型生产xps装饰条异型材檐板的方法
KR0134682B1 (ko) 섬유 및 플라스틱 폐기물을 이용한 성형제품의 제조방법
US4028448A (en) Method of molding plastics material
KR100207952B1 (ko) 폐수지 혼합물 콘크리트 블록 성형받침대
CN1386797A (zh) 一种建筑材料及其制造方法
KR100406318B1 (ko) 고강도 황토블록 및 그 제조방법
KR100349180B1 (ko) 폐플라스틱을이용한바닥재및건축벽재용성형물및그제조방법
KR102515624B1 (ko) 판상구조 흑연복합체를 포함하는 비금속 사출물 및 그의 제조방법
KR20010066180A (ko) 차체외판용 열경화성 수지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CN1061273C (zh) 中高铬耐热耐磨铸件的气化模铸造的工艺方法
KR100270899B1 (ko) 거푸집용 판재의 제조방법
KR0133247B1 (ko) 카페트 폐기물을 이용한 블록 제품과 그 제조 공정
KR101538492B1 (ko) 폐플라스틱을 이용한 건축용 각재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970006451B1 (ko) 강화 합성보의 제조방법
RU196295U1 (ru) Цоколь опоры
KR900007763B1 (ko) 폴리에틸렌 배합 수지 콘크리트 조성물
KR940006959A (ko) 프라스틱 물질을 결합제로 사용한 토목 및 건축 재료 및 그 제조방법
CN107415268B (zh) 一种lft-d建筑模板二次成型工艺
KR100432702B1 (ko) 산화마그네슘을 이용한 건자재 및 이의 성형 방법
GC0000223A (en) Method and installation for manufacturing centriguged glass fibre-reinforced pipes
JPS61139428A (ja) 一体構造板要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J206 Request for trial to confirm the scope of a patent right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CONFIRMATION OF THE SCOPE OF RIGHT_DEFENSIVE REQUESTED 20080211

Effective date: 2008070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108

Year of fee payment: 17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