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33247B1 - 카페트 폐기물을 이용한 블록 제품과 그 제조 공정 - Google Patents

카페트 폐기물을 이용한 블록 제품과 그 제조 공정

Info

Publication number
KR0133247B1
KR0133247B1 KR1019940016846A KR19940016846A KR0133247B1 KR 0133247 B1 KR0133247 B1 KR 0133247B1 KR 1019940016846 A KR1019940016846 A KR 1019940016846A KR 19940016846 A KR19940016846 A KR 19940016846A KR 0133247 B1 KR0133247 B1 KR 013324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ixture
weight
aggregate
resin mixture
extruded resi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4001684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60003915A (ko
Inventor
박영호
Original Assignee
박영호
이희성
박무정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영호, 이희성, 박무정 filed Critical 박영호
Priority to KR1019940016846A priority Critical patent/KR0133247B1/ko
Publication of KR96000391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00391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3324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33247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8/00Extrusion moulding, i.e. expressing the moulding material through a die or nozzle which imparts the desired form; Apparatus therefor
    • B29C48/022Extrusion moulding, i.e. expressing the moulding material through a die or nozzle which imparts the desired form; Apparatus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 choice of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BPREPARATION OR PRETREATMENT OF THE MATERIAL TO BE SHAPED; MAKING GRANULES OR PREFORMS; RECOVERY OF PLASTICS OR OTHER CONSTITUENTS OF WASTE MATERIAL CONTAINING PLASTICS
    • B29B17/00Recovery of plastics or other constituents of waste material containing plastics
    • B29B17/04Disintegrating plastics, e.g. by mill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L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 B29C, RELATING TO PARTICULAR ARTICLES
    • B29L2031/00Other particular articles
    • B29L2031/772Article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9L2031/7722Block-shaped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W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WASTEWATER TREATMENT OR WASTE MANAGEMENT
    • Y02W30/00Technologies for solid waste management
    • Y02W30/50Reuse, recycling or recovery technologies
    • Y02W30/62Plastics recycling; Rubber recycl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Separation, Recovery Or Treatment Of Waste Materials Containing Plastics (AREA)
  • Processing Of Solid Wastes (AREA)
  • Extrusion Moulding Of Plastics Or The Like (AREA)

Abstract

카페트 폐기물을 이용한 블럭 제품과 그 제조방법
본 발명은 공해방지에 기여할 수 있는 폐기물의 재활용에 관한 것으로, 카페트 폐기물을 이용하여 기존의 콘크리트 제품에 비해 강도가 우수하고 내열성이 좋은 블록제품과 이를 제조하기위해 생산성을 향상 시킨 블록제품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블록제품은 기존의 인조 경계석 제품이나 콘크리트 제품에 비하여 우수하고 동파로 인한 균열이 발생하지 않으며, 내열성이 강하여 장시간의 노출에도 노화현상이 일어나지 않고, 산이나 알칼리에 대해 안정적이고 파손된 제품은 재생이 가능한 잇점이 있다.

Description

카페트 폐기물을 이용한 블록 제품과 그 제조 공정
제1도는 1차 용율압출 수지 혼합물 제조방법(제1단계)에 관한 블록도이고,
제2도는 블록제품을 제조할 수 있는 원료를 만들기위한 골재와 석분의 처리 방법(제2단계)에 관한 블록도이고,
제3도는 1차로 용융 압출된 수지 혼합물과 2차로 처리된 골재 석분 혼합물로부터 블록제품을 제조하는 방법(제3단계)에 관한 블록도이다.
[발명의 목적]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 및 그 분야의 종래기술]
본 발명은 공해 방지에 기여할 수 있는 카페트 폐기물의 재활용에 관한 것으로, 특히 폐기물을 이용하여 기존의 콘크리트 제품에 비해 강도가 우수하고 내열성이 좋은 수지판넬이나 블록제품을 제조할 수 있도록한 카페트 폐기물의 블럭제품과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카페트 폐기물은 서로 상용성이 없는 수지 결합제의 혼합물로 열용융에 의한 재생 제품이 불가능하여 그 처리에 있어서 전부를 소각에 의존하고 있음이 현 실정이다. 이는 공해 방지 차원에서 바람직하지 못하여 재활용이 강력히 요구되고 있다.
그러나 종래의 혼합수지 콘크리트 조성물의 제조과정은 그 원료를 분쇄, 세척, 탈수, 건조를 연속적으로 행하여 그들을 적정비율로 액화 혼합하여 생성된 혼합물에 건조된 골재 등을 섞어서 금형을 통해 압축, 냉각, 탈형하는 과정을 통해 제조하는 것으로서, 카페트 폐기물을 종래의 제조방법을 통해 재활용하기에는 각기 물성치가 다른 수지들의 상용성 여부와 골재 석분과의 접착성 문제 때문에 적합하지 못한점이 있다.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기술적 과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카페트 폐기물을 재활용하기 위하여 첨가제들의 특정 배합과 생산성이 있는 제조방법을 개발하고 이 방법에 따라서 블록제품을 제조하는 데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발명의 제조방법은 다음과 같다.
제1단게로 카페트 폐기물을 작업성있게 분쇄한후 폐발포 폴리스티렌인 EPS나 PS제품의 재생 콤파운드를 혼합하고 거기에 탄산 나트륨과 에탄올아민 및 카본블랙 그리고 탈크를 혼합하여 용융시켜서 1차 용융 압출된 수지 혼합물을 만든다. 제2단계로 적정함량의 골재와 석분을 혼합하여 가열한다. 제3단계로는 제1단계에서 1차로 용융압출된 수지 혼합물에 제2단계에서 기히 가열된 석분과 골제를 혼합하고 2차 혼합 압출하여 블록 제품의 제조가 가능한 원료를 만든후 이 원료를 형틀에 넣어 유압프레스로 압력을 가하여 블록제품을 제조하는 것이다.
[본발명의 실시예]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1은 1차 용율압출 수지 혼합물 제조방법(제1단계)에 관한 블록도이다.
카페트 폐기물을 50 내지 70mm의 크기로 분쇄한다. 분쇄된 폐기물의 60 내지 70중량%에 첨가제로서 탄산 나트륨 0.1 내지 1중량%, 에탄올 아민 0.1 내지 1중량%, 카본 블랙 3 내지 10중량%, 탈크 3 내지 10중량%, 폐 발포 폴리스티렌인 EPS나 PS제품의 재생 콤파운드를 상기 폐기물 및 첨가제에 대하여 100중량%를 초과하지 않는 범위로 첨가하여 이들과 각각 혼합한다.
상기 혼합물의 온도 250 내지 350℃로 가열한다. 이때 과열에 의한 가스의 방출을 최소화하면 수지 혼합물을 이용한 블록 제품이 오랜 기간 외부에 노출되더라도 블록 제품에 열화 현상이 생기지 않아서 내열성이 좋게되고, 이는 수지의 단점인 열에 대한 취약성이 개선되게 된다.
상기 혼합 용융 압출과정에서 상기와 같은 배합은 각기 특성이 다른 수지들을 상용성있게 되살려, 골재와 석분과의 접착력을 증대 시키는 동시에 유동성을 향상시켜서 압출능력을 배가시키기 위해서이다.
도2는 블록제품을 제조할 수 있는 원료를 만들기위한 골재와 석분의 처리 방법(제2단계)에 관한 블록도이다.
100메쉬(目)이하 크기의 석분과, 8 내지 15mm이하 크기의 골재를 분리 이송하여 석분 20 내지 30중량%, 골재 70 내지 80중량%를 계측 혼합하여 집진 설비가 연결된 회전식 골재 건조기를 통과 시킨후 온도 조절용 이송장치에서 40 내지 60℃로 가열한다. 이는 미리 가열함으로써 후술하는 제3단계의 방법을 용이하게 하기위한 것이다.
도3은 1차로 용융 압출된 수지 혼합물과 2차로 처리된 골재 석분 혼합물로부터 블록제품을 제조하는 방법(제3단계)에 관한 블록도이다.
2차 혼합 압출기에 제1단계에서 1차로 용융 압출된 수지 혼합물 20 내지 30중량%와, 제2단계에서 기히 가열한 골재와 석분의 혼합물 70 내지 80 중량%를 투입 한다. 2차로 혼합 출된 혼합물은 120℃의 저온 저장 압출탱크로 이송하여 투입하고 필요한 분량 만큼의 혼합물을 압출 계량하여 성형기에 넣고 170kg/㎠의 자동 유압 프레스로 압축 성형하여 냉각 탈형 한다.
이렇게 형성된 반제품은 내부까지는 냉각되지 않은 상태이므로 탈형 이송장치를 통한후 다시 10 내지 25℃의 냉각수로를 통과시키어 제품의 형태가 뒤틀리게 되는 등의 변형되는 일이 없도록 하고, 이어서 자동 연마기측으로 이송한후 표면을 매끄럽게 연마하여 제품을 완성시킨후 파렛트에 적재하여 운반하게된다.
이와같은 방법을 통하여 얻은 블록제품의 강도를 실험해본 결과 압축강도는 300 내지 500kg/㎠, 인장강도는 30 내지 50kg/㎠, 휨 강도는 150 내지 210kg/㎠임을 알수가 있었는바, 이는 기존의 인조 경계석 제품 및 콘크리트 제품의 강도와 비교할 때 전연 손색이 없이 우수함을 알 수가 있었고, 또 동절기에도 동파로 인한 균열이 거의 발생됨이 없었으며, 또한 하절기의 뜨거운 열에 노출되게 하였어도 수지제품이 갖는 노화 현상이 거의 발생되지 않는다.
또 본 발명의 제품은 산이나 알칼리에 대하여 안정적이 었고, 파손된 제품은 재활용을 할 수가 있었다. 또 폐기물을 사용하는 관계로 색상의 선택이 한정되는 단점은 석분이나 골재의 색상과 함량에 의해 다양화 함으로서 극복할 수가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이러한 제품은 형틀에 의한 성형품이므로 무늬나 요철을 제작하는 데에 용이하여 도로 경계석, 인조 대리석, 보도 블록, 조경블럭, 맨홀박스, 문틀 등에 다양하게 활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특히 중요한 것은 카페트 폐기물을 재활용하여 자연환경의 오염을 방지하는 효과를 얻게한 것이다.

Claims (6)

  1. 카페트 폐기물을 이용한 블록제품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카페트 폐기물을 분쇄하고 첨가제를 투입후 가열하여 1차 용융 압출된 수지 혼합물을 만드는 단계; 골재와 석분을 혼합하여 가열하는 단계; 및 1차 용융 압출된 수지 혼합물과 기히 가열한 골재와 석분의 혼합물을 2차 혼합 압출하여 저온 저장 탱크를 통과 시키고, 유압프레스로 압축 성형하여 냉각 탈형후 냉각수로 재 냉각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카페트 폐기물을 이용한 블록 제품의 제조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1차 용융 압출된 수지혼합물은 50 내지 70mm의 크기로 분쇄된 카페트 폐기물 60 내지 70중량%와, 첨가제로 탄산나트륨 0.1 내지 1중량%, 에탄올 아민 0.1내지 1중량%, 카본블랙 3 내지 10중량%, 탈크 3 내지 10중량%, 그리고 상기 폐기물과 첨가제들에 대하여 100중량%를 초과하지 않는 범위로 첨가한 EPS나 PS제품의 재생 콤파운드를 포함함을 특징으로하는 카페트 폐기물을 이용한 블럭 제품의 제조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1차 용융 압출된 수지 혼합물을 만들기위한 가열 온도가 250 내지 350℃인 것을 특징으로하는 카페트 폐기물을 이용한 블럭 제품의 제조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가열된 골재 석분 혼합물의 온도는 40 내지 60℃이고, 그 골재와 석분은 각 70 내지 80중량%, 20 내지 30 중량%인 것을 특징으로하는 카페트 폐기물을 이용한 블럭 제품의 제조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2차 혼합 압출물은 1차 용융 압출된 수지혼합물 20 내지 30중량%와, 가열된 골재와 석분 혼합물 70 내지 80중량%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하는 카페트 폐기물을 이용한 블럭 제품의 제조방법.
  6. 수지혼합물을 이용한 블록 제품에 있어서, 카페트 폐기물을 분쇄하고 첨가제를 투입후 가열하여 1차 용융 압출된 수지 혼합물을 만들고, 골재와 석분을 혼합하여 가열하며, 상기 1차 용융 압출된 수지 혼합물과 기히 가열한 골재와 석분의 혼합물을 2차 혼합 압출하여 저온 저장 탱크를 통과시키고, 유압프레스로 압축 성형하여 냉각 탈형후 냉각수로 재 냉각하는 제1항에 의거 제조된 카페트 폐기물을 이용한 블록 제품.
KR1019940016846A 1994-07-13 1994-07-13 카페트 폐기물을 이용한 블록 제품과 그 제조 공정 KR013324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40016846A KR0133247B1 (ko) 1994-07-13 1994-07-13 카페트 폐기물을 이용한 블록 제품과 그 제조 공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40016846A KR0133247B1 (ko) 1994-07-13 1994-07-13 카페트 폐기물을 이용한 블록 제품과 그 제조 공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03915A KR960003915A (ko) 1996-02-23
KR0133247B1 true KR0133247B1 (ko) 1998-04-13

Family

ID=1938789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40016846A KR0133247B1 (ko) 1994-07-13 1994-07-13 카페트 폐기물을 이용한 블록 제품과 그 제조 공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0133247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84122A (ko) * 2002-04-25 2003-11-01 민흥규 황토와 왕겨 및 합성수지를 주재료로 한 합판 및 그제조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19447B1 (ko) * 2019-06-25 2021-02-25 (주)동희산업 플라스틱 배플의 배플핀 로딩구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84122A (ko) * 2002-04-25 2003-11-01 민흥규 황토와 왕겨 및 합성수지를 주재료로 한 합판 및 그제조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03915A (ko) 1996-02-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468539A (en) Precast surface paving overlay comprising rubber crumbs and clay particles
US9919452B2 (en) Building bricks including plastics
CN105153511A (zh) 改性沥青混合料改性剂及其制备方法
CN103038278A (zh) 由工程回收橡胶粉末制备的热固性组合物
KR0133247B1 (ko) 카페트 폐기물을 이용한 블록 제품과 그 제조 공정
CN102146175B (zh) 轮胎再生胶微波连续发泡板材及其制备方法
KR100560042B1 (ko) 폐콘크리트 미분말을 이용한 재생골재 제조방법 및그로부터 제조된 재생골재
CN1050392A (zh) 废旧橡胶、废旧塑料、木粉组合物及其制造方法
CN114316614A (zh) 一种再生资源制备多功能沥青混合料改性剂及其制备方法
KR0141421B1 (ko) 폐고무와 폐합성수지혼합물의 재활용품과 그 제조방법
PL221046B1 (pl) Sposób otrzymywania kompozytów z odpadów termoplastycznych tworzyw sztucznych oraz urządzenie do otrzymywania kompozytów z odpadów termoplastycznych tworzyw sztucznych
KR100349180B1 (ko) 폐플라스틱을이용한바닥재및건축벽재용성형물및그제조방법
KR100226637B1 (ko) 폐폴리에틸렌을 이용한 폴리머콘크리트제품 제조방법 및 그 제조장치
KR20210067574A (ko) 재활용 필름 포장재를 이용한 인공골재 제조방법
JPH06114365A (ja) 下水汚泥焼却灰の利用方法
KR101032117B1 (ko) 열경화성 폐 폴리우레탄의 재생방법 및 그 방법으로 얻어지는 친환경 탄성포장재용 폴리우레탄 칩
NO743945L (ko)
KR100284889B1 (ko) 폐타이어를 이용한 토건재의 제조방법
RU2792476C1 (ru) Сырьевая смесь для получения облицовочных полимерных композиционных материалов
CN111205556A (zh) 一种聚丙烯复合材料及其制备方法
KR100466448B1 (ko) 연속식 연진 성형체의 제조방법
KR100369701B1 (ko) 폐우레탄 또는 폐고무를 이용한 블록 제조방법
KR101076387B1 (ko) 열경화성 폐 폴리우레탄의 재생을 통한 친환경 황토성형품의 제조방법
CN111645351A (zh) 一种多用途生物塑胶垫的制备工艺及应用
KR101721330B1 (ko) 폐콘크리트의 미분말 활용방법 및 이를 이용한 콘크리트 패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20620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