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21330B1 - 폐콘크리트의 미분말 활용방법 및 이를 이용한 콘크리트 패널 - Google Patents

폐콘크리트의 미분말 활용방법 및 이를 이용한 콘크리트 패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21330B1
KR101721330B1 KR1020150130242A KR20150130242A KR101721330B1 KR 101721330 B1 KR101721330 B1 KR 101721330B1 KR 1020150130242 A KR1020150130242 A KR 1020150130242A KR 20150130242 A KR20150130242 A KR 20150130242A KR 101721330 B1 KR101721330 B1 KR 10172133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crete
fine powder
concrete panel
waste
waste concre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3024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032645A (ko
Inventor
김봉주
김진만
정의인
유재성
Original Assignee
공주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공주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공주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5013024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21330B1/ko
Publication of KR2017003264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3264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2133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2133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8WORKING CEMENT, CLAY, OR STONE
    • B28BSHAPING CLAY OR OTHER CERAMIC COMPOSITIONS; SHAPING SLAG; SHAPING MIXTURES CONTAINING CEMENTITIOUS MATERIAL, e.g. PLASTER
    • B28B3/00Producing shaped articles from the material by using presses; Press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B28B3/20Producing shaped articles from the material by using presses; Press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wherein the material is extrud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8WORKING CEMENT, CLAY, OR STONE
    • B28BSHAPING CLAY OR OTHER CERAMIC COMPOSITIONS; SHAPING SLAG; SHAPING MIXTURES CONTAINING CEMENTITIOUS MATERIAL, e.g. PLASTER
    • B28B11/00Apparatus or processes for treating or working the shaped or preshaped articles
    • B28B11/14Apparatus or processes for treating or working the shaped or preshaped articles for dividing shaped articles by cutting
    • B28B11/16Apparatus or processes for treating or working the shaped or preshaped articles for dividing shaped articles by cutting for extrusion or for materials supplied in long webs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18/00Use of agglomerated or waste materials or refuse as fillers for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Treatment of agglomerated or waste materials or refuse, specially adapted to enhance their filling properties in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 C04B18/04Waste materials; Refuse
    • C04B18/16Waste materials; Refuse from building or ceramic industry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CSTRUCTURAL ELEMENTS; BUILDING MATERIALS
    • E04C2/00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 E04C2/02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characterised by specified materials
    • E04C2/04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characterised by specified materials of concrete or other stone-like material; of asbestos cement; of cement and other mineral fibr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Architectur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Devices For Post-Treatments, Processing, Supply, Discharge, And Other Processes (AREA)
  • Processing Of Solid Wast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폐콘크리트의 미분말 활용방법 및 이를 이용한 콘크리트 패널이 제시된다. 본 발명에 따른 폐콘크리트의 미분말 활용방법 및 이를 이용한 콘크리트 패널은 폐콘크리트 미분말을 50~150㎛ 크기의 미분말로 분급하는 단계; 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에 따라, 불필요하게 낭비되는 폐콘크리트의 미분말을 재활용하여 콘크리트 패널의 생산 원가를 절감할 수 있으며, 환경보호에 기여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잔골재를 폐콘크리트의 미분말로 대체함으로써, 콘크리트 패널의 강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폐콘크리트의 미분말 활용방법 및 이를 이용한 콘크리트 패널{Method of utilizing waste concrete micropowder and concrete panel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폐콘크리트의 미분말 활용방법 및 이를 이용한 콘크리트 패널 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입자별로 분급된 폐콘크리트의 미분말을 압출성형 콘크리트 패널의 재료로 활용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건설폐기물 중 폐콘크리트는 60%이상을 차지하고 있으며, 폐콘크리트 재활용 기술은 국내외적으로 많은 연구가 진행되어 천연 골재를 대체하는 순환골재로 사용되고 있다.
순환골재 생산방식은 크게 습식과 건식으로 분류되고 습식에서 발생되는 부산물은 폐콘크리트 슬러지이며 건식 공정에서는 폐콘크리트 미립분으로 발생된다. 각각의 부산물은 순환골재의 품질이 향상될수록 발생량은 증가하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으며, 폐콘크리트가 100%일 때 고품질의 순환골재는 70%, 부산물은 30%로 발생된다고 보고되고 있다.
지금까지 건설되었던 구조물의 노후화에 의해 건설폐기물의 발생량은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어, 전체 폐기물 발생량 증가의 원인이 되고 있다. 특히, 폐콘크리트는 49,352(ton/일)이 발생하여 년간 약 1,800만 톤이 발생하고 있으며, 그 양은 매년 급격히 증가하고 있다. 그러나 적절한 재활용방안을 찾지 못하여 단순히 노반재로만 이용되거나 최종매립지에 매립되고 있으므로 이에 따라 폐콘크리트의 재활용에 대한 중요성은 이전보다 더 증가하고 있는 실정이다.
또한, 건설폐기물중의 60~65%가 폐콘크리트이기 때문에 건설폐기물의 재활용률을 높이기 위해서는 폐콘크리트의 재활용률을 높이는 것이 중요한 비중을 차지하게 된다.
또한, 폐콘크리트는 유가자원으로서의 가치도 다른 폐기물에 비하여 높기 때문에 많은 개발자들이 오랫동안 개발주제로 다루어왔다.
현재 천연골재는 연간 2억 6000만 톤 이상의 매우 막대한 량을 사용하고 있지만, 최근 자연 환경을 보전하기 위하여 골재 자원의 취득이 어려워짐에 따라 새로운 대체자원의 필요성이 높아지고 있다.
이러한 배경에서 많은 콘크리트 연구자들은 폐콘크리트를 콘크리트용 골재로서 사용하기 위한 노력을 기울여 왔으나, 폐콘크리트를 파쇄하여 제조한 순환골재는 일반 골재에 비하여 흡수율, 비중 등의 물성이 나쁘기 때문에 순환골재를 사용하여 제조한 재생콘크리트의 강도, 건조수축 등의 물성도 저하하게 되는 문제점이 발생하고 있다.
이와 같이, 순환골재의 품질이 나쁜 것은 순환골재에 필연적으로 존재하게 되는 다량의 구 콘크리트 또는 구 모르타르 때문이므로 이것들을 제거하면 순환골재의 품질은 당연히 향상하게 된다.
또한 순환골재의 다양한 크기의 입자를 분급하여 각각의 입자에 맞도록 시멘트를 생산한다면 재료간의 균형적인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 분야에 관한 연구는 일본에서 매우 다양하게 수행되고 있는데, 高橋泰一, 阿部道? 등은 폐기콘크리트의 분쇄 횟수를 증진시켜 구 콘크리트 및 구 모르타르 부분을 제거하기 위한 연구를 수행하여 분쇄기의 종류를 적절히 배치하여 3차 이상 분쇄를 할 경우 일반 골재와 동등한 수준의 순환골재를 얻을 수 있음을 보고하고 있으나, 이 경우 재생조골재의 회수율은 약 30% 정도이며, 나머지 70%는 순환잔골재와 폐콘크리트 미분말로 남게 되어 이들의 용도 개발이 필요함을 제시하고 있다.
또한, 友澤史紀 등은 순환골재의 제조시 구 콘크리트 및 모르타르 부분을 효과적으로 제거하기 위하여 가열과 분쇄를 겸용하는 방안을 제안하고 있는데, 이 방법 역시 미분말의 발생량이 높을 뿐만 아니라 높은 에너지 비용을 요구하기 때문에 경제성에 문제가 있다.
이상의 연구결과를 고려하면 폐콘크리트 재생자원화는 필연적인 것이며, 그 방안으로써 가장 합리적인 것은 콘크리트용 골재로 사용하는 것이지만 콘크리트용 골재로 사용할 수 있을 정도의 양질의 순환골재를 제조하기 위해서는 기존의 폐콘크리트를 처리하여 발생하는 재생자원인 순환굵은골재, 순환잔골재 뿐만 아니라, 다량으로 발생하는 콘크리트 미분말의 재활용 개발이 시급한 문제점으로 대두되고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입자별로 분급된 일정 크기의 폐콘크리트의 미분말을 활용하여 압출성형 콘크리트 패널의 재료로 재활용할 수 있도록 하는 폐콘크리트의 미분말 활용방법 및 이를 이용한 콘크리트 패널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일정 크기의 미분말을 콘크리트 패널의 잔골재를 대체 사용하도록 하여 강도, 내구성 및 경제성을 향상시키도록 하는 폐콘크리트의 미분말 활용방법 및 이를 이용한 콘크리트 패널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상술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폐콘크리트의 미분말 활용방법 및 이를 이용한 콘크리트 패널은 폐콘크리트의 미분말을 50~150㎛ 크기의 미분말로 분급하는 단계; 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일 실시예에 따라, 상기 50~150㎛ 크기의 미분말을 이용하여 콘크리트 패널의 재료로 사용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상기 콘크리트 패널은 압출성형으로 만들어 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예에 따라, 상기 50~150㎛ 크기의 미분말은 상기 콘크리트 패널의 잔골재를 대체하여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예에 따라, 상기 50~150㎛ 크기의 미분말은 상기 콘크리트 패널의 채움재로 활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에서 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르면, 폐콘크리트의 미분말을 입자별로 분급하고, 분급된 일정크기의 미분말을 압출성형 콘크리트 패널의 재료로 사용함으로써, 불필요하게 낭비되는 폐콘크리트의 미분말을 재활용 할 수 있다.
또한, 입자별로 분급된 폐콘크리트의 미분말을 재활용 함으로써, 압출성형 콘크리트 패널을 생산하는 생산 원가를 절감할 수 있다.
또한, 산업부산물인 폐콘크리트 미분말을 재활용 함으로써, 환경보호에 기여할 수 있다.
또한, 잔골재를 분급된 일정크기의 폐콘크리트의 미분말로 대체함으로써, 콘크리트 패널의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관련된 폐콘크리트 미분말을 이용한 콘크리트 패널 생산공정을 나타낸 흐름도 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관련된 폐콘크리트의 미분말 분급공정을 나타낸 흐름도 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관련된 압출성형 및 양생을 통한 생산공정을 나타낸 흐름도 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통해 설명 될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이를 상세한 설명을 통해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의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 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한 이해를 방해한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하, 도 1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폐콘크리트의 미분말 활용방법 및 이를 이용한 콘크리트 패널의 일 실시예를 설명한다. 참고적으로 도 1은 폐콘크리트 미분말을 이용한 콘크리트 패널 생산공정을 나타낸 흐름도 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폐콘크리트의 미분말 활용방법 및 이를 이용한 콘크리트 패널은 미분말 분급단계(100), 혼입량 조절단계(200), 원료배합단계(300), 성형단계(400), 양생단계(500), 제품출하단계(6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각종 산업부산물로 발생되는 폐콘크리트는 다양한 크기와 혼합물로 구성되어있어서 이를 재활용 할 수 있도록 미분말로 분쇄해 준다. 분쇄된 폐콘크리트는 다양한 입자별 크기를 가지고 있으며 미분말 분급단계(100)를 거쳐 또다시 각각의 입자별 크기에 맞도록 분급되게 된다.
미분말의 분급은 사이클론 장치를 이용하거나 미세망을 사용하여 분급할 수 있다. 사이클론 장치는 투입된 미분말을 장치내에서 회전시켜 떨어지도록 하여 일정크기의 미분말을 분급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미세망은 일정크기의 구멍으로 형성되어 있어서 미세망 구멍크기 이상의 미분말은 통과되지 못하도록 하여 미분말이 분급될 수 있도록 한다.
사이클론 장치 및 미세망을 통과하지 못한 잔여물 미분말은 따로 분급되어 채움재로 사용되거나 아스팔트의 재료로 사용될 수 있다.
미분말 분급단계(100)를 통해 분급된 50~150㎛ 크기의 미분말은 콘크리트 패널의 채움재로 사용되는데, 기존의 콘크리트 패널에 혼합되던 잔골재를 대체하여 사용되게 된다. 50~150㎛ 크기의 미분말은 콘크리트 패널의 강도를 증진하도록 하는데, 이는 수열합성에 의한 토버모라이트 생성으로 강도가 발현되게 된다.
한편, 수열합성에 있어서 시멘트로만 사용하게 되면 공극의 증가로 강도가 저하되는 반응이 일어나는데, 이때 규산질 재료를 첨가하면 강도가 발현되게 된다.
미분말의 분급방법에 있어서 이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한 방식의 미분말 분급방법이 사용될 수 있으며, 미분말이 일정한 크기로 분급될 수 있는 것이면 이에 족하다.
혼입량 조절단계(200)에서는 분급된 미분말의 혼입량을 조절하여 다른 재료와 섞이도록 한다. 50~150㎛ 크기의 미분말은 시멘트, 실리카파우더, 규회석 등 다양한 재료와 섞이게 되는데, 각각의 재료와 적절한 혼입량에 맞추어 배합기에 투입되게 된다. 혼입량의 조절은 혼합원료의 용도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며 첨가되는 재료 또한 달라질 수 있다.
특히 혼입량 조절단계(200)에서는 배합설계를 하게 되는데, 이는 각 재료의 성질을 통해 만들고자 하는 제품의 강도, 내구성, 균일성 등을 경제적으로 얻을 수 있도록 시멘트, 물, 잔골재, 굵은 잔골재 및 혼화재료의 비율을 산정하는 것이다.
원료배합단계(300)에서는 혼입된 재료들이 물과 혼합되어 잘 섞일 수 있도록 한다. 또한, 배합을 통해 압출성형 시 제품의 강도가 균일하게 분포될 수 있도록 하며, 콘크리트의 사용 용도에 따라 적절한 혼합비와 배합방법을 사용하여 강도와 물성치를 다르게 할 수 있다.
성형단계(400)에서는 배합된 혼합원료를 통해 성형으로 제품의 형상을 만들어 낸다. 압출성형기의 실린더에 투입된 혼합원료는 성형기의 형상에 따라 일정한 모양으로 연속해서 제품을 생산하게 된다. 압출성형기의 내부 실린더에서는 혼합원료가 균일한 온도 및 압력을 받도록 하여 생산되는 콘크리트 패널의 품질을 최대화 할 수 있도록 한다.
성형단계(400)의 성형 방법에 있어서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콘크리트 패널을 생산할 수 있는 다양한 방식의 성형방법이면 족하다.
양생단계(500)에서는 성형되어 나온 콘크리트 제품을 양생하여 제품이 경화하도록 하고 강도가 발현될 수 있도록 한다.
양생단계(500)에서는 콘크리트가 경화 중 적정온도를 확보할 수 있도록 하고, 충분한 습도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며, 콘크리트가 충분히 경화되기까지 충격과 과대한 하중 등의 유해한 외력이 가해지지 않도록 보호해야 한다. 한 바람, 비, 눈, 일광 등의 기상작용에 대해 콘크리트 노출면을 보호해야 한다.
양생단계(500)를 거친 콘크리트 패널은 충분한 강도를 가지게 되고 콘크리트로서의 필요한 조건을 갖추게 된다.
양생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콘크리트 패널이 충분한 강도를 가질 수 있고 콘크리트로서의 필요한 조건을 갖출 수 있게 하는 것이면 이에 족하다. 또한 양생의 횟수와 조건에 있어서도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제품출하단계(600)에서는 양생되어 생산된 콘크리트 패널을 각각의 용도에 맞도록 절단 및 가공을 하고, 현장에서 사용할 수 있도록 출하하게 된다.
이하, 도 2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폐콘크리트의 미분말 활용방법 및 이를 이용한 콘크리트 패널의 일 실시예를 설명한다. 참고적으로 도 2는 폐콘크리트의 미분말 분급공정을 나타낸 흐름도 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폐콘크리트의 미분말 활용방법 및 이를 이용한 콘크리트 패널은 미분말투입(110), 사이클론분급(120), 미세망분급(130), 잔여물분급(140), 입자별추출(15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각종 산업부산물로 발생된 폐콘크리트는 분쇄과정을 거쳐 여러 입자가 섞인 미분말로 만들어 진다. 미분말투입(110)의 과정에서는 분쇄된 폐콘크리트의 미분말이 분급기로 그대로 투입되게 된다.
투입된 미분말은 사이클론분급(120)에 의해서 1차적으로 분급이 되게 되는데, 이 때 사이클론 방식으로 작은 미분말은 통과하여 분리되게 되고 큰 미분말은 쌓여서 따로 저장되게 된다. 1차적으로 분급된 작은 미분말은 다시 미세망분급(130)과정을 통해 2차적으로 분급되게 되는데, 사이클론분급(120)에 의해 분급된 작은 미분말의 통로에 미세망이 설치가 되어 있어서 미세망의 일정 크기에 따라 작은 미분말은 다시금 분급되게 된다.
미세망의 크기는 50~150㎛의 입자가 통과할 수 있도록 형성되어 있어, 50㎛ 미만의 입자와 150㎛을 초과하는 크기의 입자는 미세망에 의해 걸러진다.
잔여물분급(140)에서는 범위에 해당하지 않는 크기의 입자를 가진 미분말이며, 다양한 크기의 미분말이 존재하게 된다. 잔여 미분말은 큰 입자의 미분말이 사용될 수 있는 용도의 재료로 사용되게 된다.
사이클로분급(120)과 미세망분급(130)에 의해 분급된 각각의 입자들은 입자별추출(150)로 각각의 용도에 맞도록 사용되게 된다. 특히, 50~150㎛의 입자는 압출성형 콘크리트 패널로 사용되도록 추출되도록 한다.
입자의 크기와 사용용도에 있어서 이에 한정되지 않고 각각의 입자 크기별로 콘크리트 제품을 만드는 것이면 족하다. 또한, 분급의 방식에 있어서도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다양한 방식의 미분말 분급방식의 사용이 가능하다. 미분말이 입자별로 분급되는 것이면 이에 족하다.
이하, 도 3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폐콘크리트의 미분말 활용방법 및 이를 이용한 콘크리트 패널의 일 실시예를 설명한다. 참고적으로 도 3은 압출성형 및 양생을 통한 생산공정을 나타낸 흐름도 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폐콘크리트의 미분말 활용방법 및 이를 이용한 콘크리트 패널은 배합원료투입(410), 압출성형(420), 1차 상압증기양생(510), 규격절단(610), 2차 고온고압양생(520), 표면샌딩 및 면처리(620), 품질검수(630), 포장 및 출하(64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배합원료투입(410)에서는 콘크리트 패널의 용도에 맞게 혼합된 원료를 배합시켜 압출성형기에 투입하게 된다. 배합된 원료에는 50~150㎛ 크기의 폐콘크리트 미분말을 포함하고 있다. 압출성형기의 호퍼에 투입된 혼합원료는 일정하게 실린더안으로 들어가게 되고 실린더 내부의 스크류에 의해 압출성형기의 노즐로 이동하게 된다.
이동과정 중, 실린더 내부는 혼합원료가 고품질의 원료가 될 수 있도록 균일한 압력과 온도를 가해준다. 균일한 압력과 온도를 받으며 스크류에 의해 이동하는 혼합원료는 압출성형기의 노즐에서 엄청난 압력을 받게된다.
압출성형(420)에서는 노즐로 이동된 혼합원료가 노즐 끝의 성형기에 의해 나오면서 성형이 되게 된다. 콘크리트 패널은 성형기에 의해 판의 모양으로 성형되어 나오게 되며, 지속적으로 생산이 되어 절단되지 않은 긴 직사각형의 모양으로 사출되게 된다.
성형의 모양 및 사출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콘크리트 제품의 사용용도에 따라 다양한 방식과 방법의 적용이 가능하다. 혼합원료가 압출성형기에 의해 사출되어 콘크리트 제품의 형상을 갖추는 것이면 이에 족하다.
1차 상압증기양생(510)에서는 압출성형되어 사출된 콘크리트 패널은 단시간에 소요의 강도를 발현하기 위해 고온의 증기로 양생을 하게 된다. 양생의 단계는 전치단계, 승온단계, 등온단계, 하강단계, 마감단계로 나눌 수 있는데, 전치단계에서는 6시간 20도를 유지하게 되고, 승온단계에서는 3시간 최고 70도의 온도로 양생하게 된다. 승온단계에서는 시간당 10~20도의 온도변화를 주도록 한다.
등온단계에서는 9시간 70도를 유지하여 양생하게 되고, 하강단계에서는 6시간 최저 20도의 온도로 양생하게 된다. 하강단계에서는 시간당 5~10도의 온도변화를 주도록 한다. 마지막으로 마감단계에서는 6시간 20도의 온도로 양생을 하게 된다.
일반적으로 1차 상압증기양생(510)은 혼합후 2~3시간이 지난 후 실시하게 되는데, 콘크리트 패널을 증기양생실에 넣어 온도를 균등하게 상승 또는 하락 시켜 양생시킨다.
이러한 1차 상압증기양생(510)의 과정을 거쳐 콘크리트 패널은 소요의 강도를 가질 수 있게 된다. 하지만 초기강도는 매우 커지나 그 이후의 강도증진은 적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85도 이상의 온도에서의 양생은 유해하다는 문제점이 있다.
규격절단(610) 과정에서는 1차 상압증기양생(510)의 과정을 거친 콘크리트 패널이 절단기를 통해 각각의 사용용도에 맞도록 절단되도록 한다. 1차 상압증기양생(510) 후 컨베이어 벨트를 따라 이동하는 콘크리트 패널은, 절단기의 회전하는 날에 의해 정확한 시간 차와 간격으로 절단되게 된다. 일정한 크기로 절단된 콘크리트 패널은 다시 소요의 강도를 높이기 위한 2차 양생과정으로 들어가게 된다.
규격절단(610) 과정에 있어서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다양한 콘크리트 제품이 각각의 사용 용도에 맞도록 절단 되는 것이면 이에 족하다. 또한 일정한 크기가 아닌 다양한 크기의 콘크리트 제품 절단의 방식도 가능하다.
2차 고온고압양생(520)에서는 절단된 콘크리트 패널을 다시 양생하여 단시간에 고강도를 얻을 수 있도록 한다.
절단된 콘크리트 패널은 기밀한 용기 또는 장치에 투입되어 180도 전후의 고온과 1Mpa의 압력을 받도록 한다. 양생과정으로는 전양생, 온도양생, 정온도, 온도하강의 단계로 나눌 수 있는데, 전양생은 1~4시간, 온도양생은 3~4시간, 정온도는 3시간, 온도하강은 3~7시간 정도로 양생하게 된다.
양생과정에서 시멘트 중의 실리카와 칼슘이 결합하여 토버모라이트의 결정 또는 준결정을 형성하는 수열양생반응이 일어나는데, 이러한 반응으로 단시간에 고강도를 얻을 수 있다.
2차 고온고압양생(520)으로 인해 콘크리트 패널은 단시간에 압축강도 60~100Mpa을 얻을 수 있고, 내 동해성, 황산염에 대한 저항성이 커지며, 백화현상이 감소되고 부착강도가 감소되는 특징이 발생된다.
2차 고온고압양생(520)의 오토클레이브 양생 과정은 결함재로 시멘트만 들어있는 경우에 오토클레이브 양생을 하면 얻게 되는 강도가 매우 낮아 질 수 있다. 고온 고압에서는 수화반응과 관련된 화학반응이 상당히 달라지기 때문에 만족할만한 강도를 얻으려면 규산질재료(SiO2)를 넣어야만 한다. 처음에는 보통의 수화반응처럼 C-S-H가 생성되지만 화학반응이 일어나면서 빠르게 알파-규산 이석회 수화물(알파-dicalicium silicate hydrate)결정체로 바뀌게 된다.
수열 합성반응의 매커니즘을 보게되면 (C3S+S2S) + H 의 포틀랜드시멘트가 C-SH + CH +S 의 실리카로 바뀌게 되고, 실리카는 다시 C-S-H로 바뀌며 최종적으로 C5S6H5의 토버모라이트가 된다.
표면샌딩 및 면처리(620)에서는 강도가 형성된 콘크리트 패널의 표면을 샌딩하여 매끄럽게 하고, 면처리를 통해 튀어나온 곳이나 울퉁불퉁한 면을 수평으로 처리하여 준다. 이를 통해 현장에서 보다 용이하게 콘크리트 패널이 사용될 수 있도록 한다.
품질검수(630)에서는 콘크리트 패널의 이상유무를 확인하거나 기준 이상의 적절한 강도와 특성을 가지고 있는지를 평가한다. 또한 콘크리트 패널의 치수와 형상의 이상유무를 체크하여 콘크리트 패널이 현장에서 사용될 수 있는지를 최종적으로 점검한다.
포장 및 출하(640)에서는 품질검수(630)가 완료된 콘크리트 패널이 현장에서 사용될 수 있도록 포장하여 출하하게 된다.
압출성형 및 양생을 통한 생산에 있어서, 콘크리트 패널에 한정되지 않으며 다양한 콘크리트 제품 생산의 적용이 가능하다. 또한, 성형 및 양생의 횟수와 방식에 있어서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다양한 횟수의 양생과 방식의 적용이 가능하다. 성형 및 양생을 통해 폐콘크리트의 미분말이 콘크리트 제품으로 생산되는 것이면 족하다.
이상과 같이 실시예들이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상기의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설명된 기술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순서로 수행되거나, 및/또는 설명된 시스템, 구조, 장치 등의 구성요소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형태로 결합 또는 조합되거나, 다른 구성요소 또는 균등물에 의하여 대치되거나 치환되더라도 적절한 결과가 달성될 수 있다.
그러므로, 다른 구현들, 다른 실시예들 및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도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의 범위에 속한다.
100 : 미분말 분급단계
110 : 미분말투입
120 : 사이클론분급
130 : 미세망분급
140 : 잔여물분급
150 : 입자별추출
200 : 혼입량 조절단계
300 : 원료배합단계
400 : 성형단계
410 : 배합원료투입
420 : 압출성형
500 : 양생단계
510 : 1차 상압증기양생
520 : 2차 고온고압양생
600 : 제품출하단계
610 : 규격절단
620 : 표면샌딩 및 면처리
630 : 품질검수
640 : 포장 및 출하

Claims (6)

  1. 폐콘크리트의 미분말 분급공정에 있어서,
    상기 폐콘크리트의 미분말을 50~150㎛ 크기의 미분말로 분급하여, 콘크리트 패널을 만드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콘크리트의 미분말 활용방법.
  2. 삭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콘크리트 패널은 압출성형으로 만들어 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콘크리트의 미분말 활용방법.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콘크리트 패널은 고온증기양생에 의한 수화작용으로 강도가 발현되어 만들어 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콘크리트의 미분말 활용방법.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50~150㎛ 크기의 미분말은 상기 콘크리트 패널의 잔골재를 대체하여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콘크리트의 미분말 활용방법.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50~150㎛ 크기의 미분말은 상기 콘크리트 패널의 채움재로 활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콘크리트의 미분말 활용방법.
KR1020150130242A 2015-09-15 2015-09-15 폐콘크리트의 미분말 활용방법 및 이를 이용한 콘크리트 패널 KR10172133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30242A KR101721330B1 (ko) 2015-09-15 2015-09-15 폐콘크리트의 미분말 활용방법 및 이를 이용한 콘크리트 패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30242A KR101721330B1 (ko) 2015-09-15 2015-09-15 폐콘크리트의 미분말 활용방법 및 이를 이용한 콘크리트 패널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32645A KR20170032645A (ko) 2017-03-23
KR101721330B1 true KR101721330B1 (ko) 2017-03-29

Family

ID=5849612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30242A KR101721330B1 (ko) 2015-09-15 2015-09-15 폐콘크리트의 미분말 활용방법 및 이를 이용한 콘크리트 패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21330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84211B1 (ko) 2009-10-28 2010-09-28 공주대학교 산학협력단 폐콘크리트에서 얻어지는 폐콘크리트 미분말을 이용한 콘크리트 조성물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88339B1 (ko) * 2011-06-30 2013-07-22 대형환경 주식회사 폐콘크리트 미분말 및 이를 이용한 제품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84211B1 (ko) 2009-10-28 2010-09-28 공주대학교 산학협력단 폐콘크리트에서 얻어지는 폐콘크리트 미분말을 이용한 콘크리트 조성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32645A (ko) 2017-03-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orinaldesi et al. Lightweight plasters containing plastic waste for sustainable and energy-efficient building
JP5474036B2 (ja) 石炭灰造粒物の製造方法、それによる石炭灰造粒物を利用するコンクリート製品の製造方法、それら製造方法によって製造した高密度・高強度コンクリート製品、その高密度・高強度コンクリート製品を利用した再生骨材の製造方法、および、この製造方法にて製造した再生骨材
US9919452B2 (en) Building bricks including plastics
Miranda Júnior et al. Increasing the compressive strength of Portland cement concrete using flat glass powder
CN104496304A (zh) 一种新型墙体材料及其制造方法
Habib et al. Concrete production using recycled waste plastic as aggregate
KR101721330B1 (ko) 폐콘크리트의 미분말 활용방법 및 이를 이용한 콘크리트 패널
CN107793069A (zh) 一种建筑垃圾再生路面砖及其制备方法
Najjar et al. Rigid polyvinyl chloride waste for partia l replacement of natural coarse aggregate in concrete mixture
ITMI20121357A1 (it) Processo di riciclo di materiali compositi termoindurenti
KR20210037682A (ko) 부산물 및/또는 잔류물의 재사용 및 이산화탄소의 흡수를 통한 CaO-MgO 결합제 및 건축 제품을 수득하는 방법
CN104817718A (zh) 利用玻璃钢废料制作系列塑料制品及其工艺
CN110937849A (zh) 一种高强度、经济环保砖的制备
KR20170021109A (ko) 폐콘크리트의 미분말 분급공정 및 이를 이용한 콘크리트 제품
EP4059679A1 (en) Cured articl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same
CN112805307A (zh) 用于生产塑料复合材料的新型组合物及其方法
KR101147395B1 (ko) 천연석을 이용한 고분자 복합재료의 제조방법
Mishra et al. A study on use of plastic waste aggregate as partial replacement of natural coarse aggregate in cement concrete mix
KR20010046209A (ko) 폐 섬유 강화 플라스틱의 재활용 방법
CN104193220A (zh) Pet塑料混凝土及其制备方法
Miranda Jr et al. Influence of waste glass on the physical properties of Portland cement concrete
KR102660295B1 (ko) 재생플라스틱 칩과 시멘트를 혼합 제조한 모래대용품
Edae Gamma Radiation as a Recycling Tool for Waste Materials Used in Concrete
KR20010046210A (ko) 폐 섬유 강화 플라스틱의 재활용 방법
KR0133247B1 (ko) 카페트 폐기물을 이용한 블록 제품과 그 제조 공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