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60015433B1 - 장신구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장신구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60015433B1
KR960015433B1 KR1019940015773A KR19940015773A KR960015433B1 KR 960015433 B1 KR960015433 B1 KR 960015433B1 KR 1019940015773 A KR1019940015773 A KR 1019940015773A KR 19940015773 A KR19940015773 A KR 19940015773A KR 960015433 B1 KR960015433 B1 KR 96001543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n
plating
connecting ring
necklaces
bracelet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4001577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60003632A (ko
Inventor
정연성
Original Assignee
정연성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연성 filed Critical 정연성
Priority to KR1019940015773A priority Critical patent/KR960015433B1/ko
Publication of KR96000363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00363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6001543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015433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CPERSONAL ADORNMENTS, e.g. JEWELLERY; COINS
    • A44C25/00Miscellaneous fancy ware for personal wear, e.g. pendants, crosses, crucifixes, charms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CPERSONAL ADORNMENTS, e.g. JEWELLERY; COINS
    • A44C5/00Bracelets; Wrist-watch straps; Fastenings for bracelets or wrist-watch straps

Landscapes

  • Adornments (AREA)

Abstract

내용없음

Description

장신구의 제조방법
제1도는 본 발명의 제조공정을 나다내는 공정도
제2도 및 제3도는 본 발명 방법에 의하여 제조된 장신구의 사시도
제4도는 본 발명 결합핀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발췌사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핀 2 : 핀머리
3 : 연결고리 4 : 연결장공
5 : 접착테이프 6 : 구(球)부,
7 : 연결봉
본 발명은 목걸이 및 팔찌등의 장신구를 제조하도록 한 장신구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도 목걸이 및 팔찌등의 장신구가 다양하게 디자인되어 생산되고 있었는바, 이들 대다수의 장신구들은 줄부분을 가는 사슬형태로 엮어서 형성하고, 이 사슬의 중앙부위에 장신용 메달등을 고리로 연결 설치하도록 되어 있었으며, 상기 사슬형태의 줄과 메달은 별도로 제조하고 있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것은 사슬형태의 줄을 제조함에 있어서, 다수의 사슬 고리를 일일이 작업자가 엮어나가야 하므로서 그 제조작업이 번거로웠으며, 또 작업시간이 많이 소요되었고, 상기 사슬 고리의 일단에 개방형으로 되어 있기 때문에 이부분에 약간의 하중만 걸리더라도 쉽게 줄이 끊어지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 상기 사슬고리를 자동적으로 절첩시켜 줄을 제조하는 방법이 일부 안출된바 있었으나, 이는 사슬고리를 일일이 절곡시키는 절곡수단과 절곡된 사슬고리들을 상호 걸어서 연결시키는 연결수단 및 연결된 사슬고리들의 절곡단부를 압축시켜 고정하는 고정수단의 시스템을 구비하여야 했으며, 이에 따라 그 시설이 방대하게 되는 페단이 있었고, 하나의 시스템으로 다양한 디자인의 목걸이 및 팔찌등을 생산할 수가 없어 그 시스템의 규모에 비하여 생산성 및 경제성이 극히 저조하게 되는 점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제반 문제점을 감안하여 안출한 것으로 프레스가공으로 성형되는 다수의 고리를 핀으로 용이하게 연결 조립시키고, 고리를 여러렬로 다양하게 연결시켜 다양한 디자인의 장신구로 제조할 수 있도록 하며, 고리의 연결을 용이하고 견고하게 할 수 있도록 한 것인 바, 이를 이하에서 첨부한 도면과 실시예에 의거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실시예)
1. 제1공정(성형)
일반에 핀머리(2)가 형성된 봉상의 핀(1)과 연결장공(4)을 가진 연결고리(3)를 다수개 프레스가공하여 성형한다.
2. 제2공정(조립)
상기 성형된 핀(1)과 연결고리(3)를 제1도에서와 같이 1열, 2열 또는 다수열로 조립하되, 각 연결고리(3)를 겹치게 조립하고 이의 연결장공(4)에 핀(2)을 삽입시켜 가조립상태로 조립한다.
3. 제3공정(테이핑)
제2공정에서와 같이 핀(1)과 연결고리(3)가 상호 조립된 상태에서 핀머리(2) 부위에 접착테이프(5)를 길게 접착시켜 테이핑한다.
4. 제4공정(핀가공)
상기 제3공정에서와 같이 핀(1)과 연결고리(3)들이 조립되고, 접착테이프(5)의 테이핑작업이 완료되면, 상기 핀(1)들의 일단부가 연결고리(3)의 일단으로 노출되며, 이 노출된 부위에 붕산, 붕사를 도포하고 이곳을 프로판가스와 산소를 이용하여 용융시키며, 이 용융부위가 구(球)(6)형상이 되도록 가공하고, 이를 냉각시키며 상기 접착테이프(5)를 제거한다.
5. 제5공정(연마)
상기와 같이 하여 핀(1)과 연결고리(3)들이 결합되면, 상기 핀(1)을 중심으로 연결고리(3)들이 회전 가능하게 되고, 상기 구(6) 부분에 의하여 상기 조립상태가 이완되거나 분리되지 않게 되며, 이 상태에서 상기 핀(1)과 연결고리(3)들을 연마하여 표면을 가공한다.
6. 제6공정(도금)
상기와 같이 핀(1)과 연결고리(3)들의 조립이 완료되고, 연마작업이 끝나면, 핀(1)과 연결고리(3) 전체에 l4K, 18K, 24K 등의 금이나, 은 또는 기타 장식을 위한 물질을 도금하여 처리하며, 이 도금 완료후 제2도 및 제3도와 같은 팔찌, 목걸이 등의 제품이 완성된다.
이상과 같은 공정으로 제조되는 본 발명은 제4도에서와 같이 핀(1)의 핀머리(2) 부분에 2개의 연결봉(7)을 형성시킨 상태로 성형하고, 상기의 공정으로 제품을 제조할 수도 있다.
이상과 같은 본 발명은 간단한 제조공정으로 핀(1)과 연결고리(3)의 성형, 조립, 가공, 도금 등을 용이하게 하고, 그 제조를 원활하고 양호하게 이루어지며, 그 조리상태가 견고하게 된다.
또, 그 가공이 용이하여 제품의 질을 보다 향상시킬 수 있고, 상기 연결고리를 1열, 2열 또는 다열로 배치하여 다양한 디자인으로 이루어지는 팔찌, 목걸이 등을 제조할 수 있게 되는 점등의 특징을 지닌 것이다.

Claims (2)

  1. 핀머리(2)를 가진 핀(1)과 연결장공(4)이 형성된 연결고리(3)를 프레스 성형하는 성형공정과, 상기 핀(1)과 연결고리(2)를 여러가지렬로 조립하는 조립공정, 상기 조립된 핀머리(2) 부위에 접착테이프(5)를 접착하는 테이핑공정, 테이핑된 핀(1)의 봉 일단부에 붕산, 붕사를 도포하고 이를 프로판가스와 산소로 열가공하여 용융시키면서 구(6)부를 형성하는 핀가공공정, 핀가공이 된 제품을 연마하는 연마공정과 금, 은 등의 도금물질로 제품에 도금을 하는 도금공정을 거쳐 팔찌, 목걸이 등의 장신구를 제조하도록 함을 특징으로 하는 장신구의 제조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핀머리(2)를 가진 핀(1)에 2개의 연결봉(7)을 형성시켜 장신구를 제조하도록 함을 특징으로 하는 장신구의 제조방법.
KR1019940015773A 1994-07-01 1994-07-01 장신구의 제조방법 KR96001543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40015773A KR960015433B1 (ko) 1994-07-01 1994-07-01 장신구의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40015773A KR960015433B1 (ko) 1994-07-01 1994-07-01 장신구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03632A KR960003632A (ko) 1996-02-23
KR960015433B1 true KR960015433B1 (ko) 1996-11-14

Family

ID=1938711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40015773A KR960015433B1 (ko) 1994-07-01 1994-07-01 장신구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60015433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29208B1 (ko) * 2008-01-14 2009-12-01 한창우 핀 삽입 연결식 목걸이의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03632A (ko) 1996-02-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528909A (en) Wire for ornaments and method for making the same
EP0381831B1 (en) Method of composition of manufactured articles suited to realize necklaces, bracelets and similar items and items obtained with said method
KR960015433B1 (ko) 장신구의 제조방법
EP1168939B1 (en) Method of manufacturing jewelry network structures and network structures obtained with such method
US20070044511A1 (en) Method for assembling tennis bracelets and necklaces
KR101184156B1 (ko) 보석난집용 리드프레임과 이를 이용한 보석난집 및 액세서리 제품
US20050092023A1 (en) Jewelry including stones and rings
KR0121744B1 (ko) 여러가닥의 철사를 엮어서 내부가 관통되게 형성하는 관통와이어와 그 관통와이어로 형성한 장신용 악세사리
US6274250B1 (en) Process for manufacture of jewelry and jewelry made thereby
JP3030775B1 (ja) 装身具
KR960003438Y1 (ko) 악세서리용 부품
KR101767204B1 (ko) 체인용 난집의 제조방법 및 그 난집
KR200186169Y1 (ko) 체인 장신구
KR100923496B1 (ko) 난줄의 제조방법
US3054157A (en) End connector for molded beads
KR102506896B1 (ko) 귀금속 장신구의 힌지 연결장치
KR102205758B1 (ko) 사각 단면과 코일 권선형 구조를 갖는 고탄성 장신구 링 제조방법
US20050076507A1 (en) Method of making jewelry including stones and rings
US20040172971A1 (en) Semi-finished article, process and product relating to gold, jewelry and the like
US5581884A (en) Method of attaching an ornamental setting to an ornament
KR940007764Y1 (ko) 장식용 구슬 연결줄 성형집게
KR200450533Y1 (ko) 악세사리의 인조보석 연결함체
KR200195408Y1 (ko) 장식용 체인
KR950005010Y1 (ko) 장신용 악세사리연결소자의 연결구조
WO2022260608A1 (en) A method of jewelry assembly with flexible wire and flexible jewelry thereof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NORF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