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60014409B1 - 적외선 스테레오 스피커 시스템 - Google Patents

적외선 스테레오 스피커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60014409B1
KR960014409B1 KR1019890000273A KR890000273A KR960014409B1 KR 960014409 B1 KR960014409 B1 KR 960014409B1 KR 1019890000273 A KR1019890000273 A KR 1019890000273A KR 890000273 A KR890000273 A KR 890000273A KR 960014409 B1 KR960014409 B1 KR 96001440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gnal
analog
infrared
speaker
fil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9000027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90012464A (ko
Inventor
믈로드지코프스키 알랜지.
츄이 이-핑
쿠 하이-핀
Original Assignee
코스 코포레이션
마이클 에프. 무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코스 코포레이션, 마이클 에프. 무어 filed Critical 코스 코포레이션
Publication of KR89001246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9001246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6001440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01440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5/00Near-field transmission systems, e.g. inductive or capacitive transmission systems
    • H04B5/20Near-field transmission systems, e.g. inductive or capacitive transmission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ansmission technique; characterised by the transmission medium
    • H04B5/22Capacitive coupl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0Transmission systems employing electromagnetic waves other than radio-waves, e.g.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or employing corpuscular radiation, e.g. quantum communication
    • H04B10/11Arrangements specific to free-space transmission, i.e. transmission through air or vacuum
    • H04B10/114Indoor or close-range type system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0Transmission systems employing electromagnetic waves other than radio-waves, e.g.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or employing corpuscular radiation, e.g. quantum communic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5/00Near-field transmission systems, e.g. inductive or capacitive transmission system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3/00Circuits for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0Power management, e.g. TPC [Transmission Power Control], power saving or power classes
    • H04W52/02Power saving arrangements
    • H04W52/0209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 H04W52/0225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using monitoring of external events, e.g. the presence of a signa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2420/00Details of connection covered by H04R, not provided for in its groups
    • H04R2420/07Applications of wireless loudspeakers or wireless microphon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D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ICT],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AIMING AT THE REDUCTION OF THEIR OWN ENERGY USE
    • Y02D30/00Reducing energy consumption in communication networks
    • Y02D30/70Reducing energy consumption in communication networks in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Circuit For Audible Band Transducer (AREA)
  • Optical Communication System (AREA)
  • Stereophonic System (AREA)

Abstract

내용없음.

Description

적외선 스테레오 스피커 시스템
제1도는 본 발명의 양호한 실시예에 따라 구성된 오디오 시스템을 도시한 신호/청취 영역의 등각도.
제2a도 및 제2b도는 본 발명의 양호한 실시예에 따라 구성된 송신기의 개략 회로도.
제3a도 및 제3b도는 본 발명의 양호한 실시예에 따라 구성된 좌측 스피커의 개략 회로도.
제4a도 및 제4b도는 본 발명의 양호한 실시예에 따라 구성된 우측 스피커의 개략 회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신호/청취 영역 12 : 오디오 신호 소오스
14 : 헤드폰 잭 16 : 변환수단
17, 19 : 스피커(선택 수단) 18 : 플러그
20 : 압축기/전치증폭회로 22, 24 : 채널 프로세싱 수단
26, 28 : 전력 입력 표시기회로 30, 32 : 정합 증폭기
34, 36 : 자동 이득 제어회로 38, 40 : FM 변조기 회로
42 : 반송 주파수 제한기/혼합기 44 : 적외선 발광 다이오드(LED)어레이
46 : 적외 출력 구동기 48 : AC 어댑터
50 : 전력 잭 52 : 스위치
54 : 전력 조절 회로 56 : 자동 차단 회로
58 : 대기 제어 회로 60 : LED 전력 표시기 회로
62 : LED 표시기 64, 66 : 수신 수단
68 : 감광성 다이오드 70 : RF 전치 증폭기
72, 108 : 대역 통과 필터 74, 110 : IF 증폭기
76 : 전원공급기/표시기 회로 78 : 팽창기/오디오 전치 증폭기
80 : 필터 회로 82 : 톤 및 볼륨 제어 회로
84 : 오디오 전력 출력 증폭기 86, 88 : 스피커 소자
90 : 자체 전원 92 : 전력 조절가
94 : 스위칭 수단 96 : 충전 리셉터클
98 : 전력 절약기 수단 100 : RF 증폭기
102 : 뮤팅 제어 회로 104 : 전력 차단 회로
106 : 가동 지연 조절기 112, 116 : 비교기
114 : 트랜지스터 회로망
본 발명은 오디오 증폭기에서 발생되는 전기 신호를 신호/청취 영역내에서방사될 오디오 신호로 변환시키기 위한 스피커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특히 배선으로 직접 접속하지 않고서 오디오 증폭기로부터 신호를 수신하는 스피커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적외광을 사용함으로써 정보를 무선 전송하는 것은 공지되어 있다. 예를 들어, 매우 적은 양의 정보는 텔리비젼, 컴팩트 디스크 플레이어 및 그외의 다른 전자 장치용 휴대 원격 제어 장치에 의해 전송된다. 기본적으로, 이 정보는 텔리비젼이 동조되는 채널을 변화시키고, 컴팩트 디스크 플레이어가 플레이할 트랙을 변화시키거나, 장치의 볼륨을 조정하는 것과 같은 제어 정보로 구성된다. 이 제어장치들은 장기간에 걸쳐 연속 신호를 보내는 것이 아니라, 제어 정보의 짧은 버스트를 보낸다. 이 정보 수신기에 전력을 공급하는 것은 전혀 문제가 되지 않는데, 그 이유는 수신 장치가 다른 부품용으로 상당히 많은 전력을 필요로 하므로, 선전압과 같은 전원에 접속되기 때문이다.
또한, 적외선 범위내의 반송파를 사용함으로써 오디오 신호를 송수신하는 것도 공지되어 있다. 뉴욕에 소재한 Sennheiser Electronic Corporation이 발행한 Wireless Communication With Infrared Light라는 책자내에는 오디오 정보가 송신기로부터 오디오 정보를 청취할 때 사용하기 위한 헤드폰형 수신기로 전송된 모노포닉(monophonic) 시스템이 기술되어 있다. 이 시스템은 기술한 바와 같이, 모노포닉이므로, 스테레오포닉 오디오 정보에 사용하기에 부적합하다. 스테레오포닉 오디오 정보를 제공할 수 있는 시스템에 대한 요구가 이미 많아졌고, 이 요구는 AM 스테레오 라디오 방송의 출현, 특히 텔리비젼용 스테레오 음에 의해 증가되고 있는 실정이다.
더욱이, 스피커에 관하여 오디오 신호를 스피커에 전송하는데 필요한 배선들은 스테레오 시스템이 처음 도입된 이래 이러한 시스템의 설치를 더욱 어렵게 만들었고, 미적 감각을 손상시켜 왔다. 배선에 의한 오디오 신호 전송이 갖고 있는 다른 문제점은 오디오 신호 소오스가 스피커를 과전력 상태로 만들어 스피커의 부품들을 손상시킬 가능성이 있다는 것이다. 스피커 시스템에 오디오 신호를 배선으로 전송하는데 있어서 생기는 어려움이나 초래할 수 있는 위험 없이 우수한 음질을 제공할 수 있는 스피커 시스템이 요구되어 왔다.
본 발명은 오디오 수신기 또는 증폭기, 또는 스테레오 텔리비젼과 같은, 스테레오포닉 신호 정보를 포함하는 전기 신호를 제공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하는 스테레오포닉 오디오 시스템을 포함한다. 변환 수단은 본 발명내에 포함되고, 이것을 제공 수단에 전기적으로 접속시키기 위한 수단을 포함한다. 변환 수단은 전기 신호를 수신하고, 이것을 스테레오포닉 신호 정보를 포함하는 적외 신호로 변환시키며, 신호/청취 영역 전체에 걸쳐 적외 신호를 방사한다. 이 신호/청취 영역내에는, 적외 신호의 일부분을 선택하고, 좌측 신호인 경우에, 적외 신호의 이 일부분을 제1가청음 신호로 변환시키며, 신호/청취 영역과 공간적으로 동일하게 연장(co-extensive)될 수도 있고 그렇지 않을 수도 있는 신호/청취 영역 전체에 걸쳐 이 가청음 신호를 방사하기 위한 제1선택 수단, 즉 좌측 스피커가 배치된다. 우측 스피커와 같은 제2선택 수단도 동일한 신호/청취 영역내에 배치되지만, 제1선택 수단과 멀리 떨어져 배치된다. 우측 신호인 경우에, 이 제2부분을 제2가청음 신호로 변환시키며, 동일한 신호/청취 영역 전체에 걸쳐 제2가청음 신호를 방사한다.
각 선택 수단은 적용되는 일부분 이외의 임의의 적외 신호를 필터하기 위한 필터 수단을 포함한다. 양호한 실시예내에서, 제공 수단은 좌측 채널 신호와 우측 채널 신호를 제공하고, 양 채널에 접속하기 위한 헤드폰 잭을 갖고 있는 스테레오 오디오 증폭기를 포함한다. 변환 수단은 좌측 채널 신호와 우측 채널 신호를 증폭하기 위한 증폭수단 및 이 증폭 수단에 변환 수단을 전기적으로 접속시키기 위한 헤드폰 잭과 결합가능한 플러그를 포함한다. 그 다음 이 2개의 신호들은 신호/청취 영역내에서 적외 다이오드 수단에 의해 방사되는 전송 신호를 발생시키기 위해 함께 혼합되는 반송 주파수를 변조시킨다.
일반적으로 각각의 선택 수단은 변환 수단으로부터의 전송 신호를 갖고 있는 적외광을 수신하여, 이것을 각 필터 수단에 통과 시키기 위한 광다이오드 장치, 각 필터 수단으로부터의 신호를 증폭시키기 위한 증폭 수단 및 신호/청취 영역 내에서 방사하기 위한 증폭 수단으로부터의 신호를 수신하며, 이것을 음 신호로 변환시키기 위한 최소한 1개의 스피커 수단을 포함한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목적은 음성 신호를 스피커에 전송시키는데 배선을 사용하지 않고서 신호를 시스템내의 스피커에 보내는 수신기 또는 증폭기를 갖고 있는 오디오 시스템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각 스피커가 사용가능한 오디오 신호 부분을 선택하고 신호의 나머지 부분을 무시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하는 상술한 바와 같은 오디오 시스템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정한 목적은 완전히 바테리 구동될 수 있으므로, 배선이 스피커에 부착될 필요가 없으므로, 신호/청취 영역내의 배치를 방해하지 않고, 배치에 전혀 영향을 미치지 않는 상술한 바와 같은 오디오 시스템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특정한 목적은 바테리가 스피커 봉입물내에 사용된 회로에 의해 재충전 가능하므로, 바테리 수명을 연장시키고저 할 경우에 사용자가 스피커를 전력 출구내에 플러그시키게 하는 상술한 바와 같은 오디오 시스템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이하,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다른 목적 및 장점들에 대해서 상세하게 기술하겠다.
제1도를 참조하면, 신호 또는 청취 영역(10)이 도시되어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스테레오 수신기 또는 증폭기, 또는 전자 오디오 신호의 임의의 다른 형태의 소오스(12)가 신호/청취 영역(10) 내에 배치된다. 소오스(12)는 예를 들어 소오스(12)의 정면(12a)상에 편리하게 배치된 헤드폰 잭(14)와 같은 악세서리 스피커 장치의 접속을 위한 출구를 포함한다.
본 발명은 또한 소오스(12)로부터 전기 오디오 신호를 수신하고, 이 신호를 신호/청취 영역(10)내에 방사될 적외 오디오 신호로 변환시키며, 이 신호를 방사하기 위한 변환 수단(16)을 제공한다. 이하, 이 변환 수단(16)을 적외선 송신기 또는 그냥 송신기라 칭한다. 2개의 분리된 선택 수단인 제1전자 선택 수단(17) 및 제2전자 선택 수단(19)가 송신기(16)으로부터 신호를 수신하기 위해 신호/청취 영역(10)내에 배치된다. 이하, 이 제1전자 선택 수단(17) 및 제2전자 선택 수단(19)를 스피커(17 및 19)라 칭한다. 신호 수신시에, 각 스피커(17 및 19)는, 좌측 신호이든지 우측 신호이든지, 스피커에 적합한 신호 부분을 선택하고, 이 신호를 음으로 변환시키며, 이 음을 신호/청취 영역(10)내에 방사한다. 송신기(16)에 대해서는 제2a도 및 제2b도를 참조함으로써 상세하게 알 수 있고, 스피커에 대해서는 제3a도, 제3b도, 제4a도 및 제4b도를 참조함으로써 상세하게 알 수 있다.
[변환 수단]
도면들, 특히 제2a도 및 제2b도를 참조하면, 송신기(16)은 앞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즉 소오스의 잭(14, 제1도)내에 플러그(18)을 삽입시킴으로써 소오스(12)에 송신기를 전기적으로 접속시키기 위한 플러그(18) 또는 다른 부착 수단을 포함하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다. 그러므로 플러그(18)을 통해 송신기(16)은 소오스(12)로 부터 좌측과 우측 채널내의 전기 오디오 신호를 수신한다. 플러그(18)로부터 신호는 압축 및 전치 증폭 회로(20)으로 들어가는데 여기에서, 신호는 더욱 효율적으로 잡음이 없는 전송을 위해 전치 증폭되고 압축된다. 압축은 주로 컴팬더(compander)라고 칭하는 집적 회로 IC1에 의해 달성된다. Signetics NE570N과 같은 소정의 적합한 직접 회로가 IC1로서 사용될 수 있다.
압축 및 전치 증폭 회로(20)으로부터 좌측 채널 신호는 좌측 채널 프로세싱 수단(22)로 보내지고, 우측 채널 신호는 우측 채널 프로세싱 수단(24)로 보내진다. 각 채널 프로세싱 수단(22 및 24)는 전력 입력 표시기 회로[26(좌측) 및 28(우측)]을 포함한다. 이 전력 입력 표시기 회로(26 및 28)의 목적은 송신기내로의 입력 레벨을 표시하기 위한 것이다. 즉, 전력 입력 레벨이 너무 높으면, LED 전력 표시기 회로(60)은 표시기 LED(62)를 밝게 빛나도록 구동시키고 정상 레벨로의 입력 신호 감소시에 정상 세기로 복귀시킨다. 또한, 각 채널 프로세싱 수단(22 및 24)는 임피던스 정합 목적용 정합 증폭기[30(좌측) 및 32(우측)] 및 자동 이득 제어 회로[34(좌측) 및 36(우측)]을 포함한다. 최종적으로 각 채널 신호는 채널 프로세싱 수단(22 및 24) 내의 FM 변조기 회로[38(좌측) 및 40(우측)]에 의해 반송파 신호를 변조한다. 좌측 채널용 반송파는 양호하게 95KHz 영역 내에 있고, 우측 채널용 반송파는 양호하게 약 250KHz이다.
분리된 좌측 및 우측 채널 프로세싱 수단(22 및 24)로부터, 신호들은 반송 주파수 제한기/혼합기(42)로 보내지는데, 여기서 신호들은 혼합된다. 즉, 단일 전송 신호로의 전송을 허용하기 위해 서로 결합된다. 최종적으로 전송 신호는 적외 출력 구동기(46)을 통해 적외선 발광 다이오드(LED) 어레이(44)를 통과한다. 이 어레이에서, LED 등은 적외광에 의해 혼합 신호를 전송하도록 구동기(46)에 의해 가동된다.
양호한 실시예내에서, 송신기(16)은 정규적인 AC 리셉터클(도시하지 않음)에 접속되는 AC 어댑터(48)에 의해 가동된다. 어댑터(48)의 출력은 양호하게 24V이고, 송신기(16)의 일부인 전력 잭(50)에 접속된다. 전력 잭(50)으로부터, 전력은 사용자가 송신기(16)의 일부인 전력 잭(50)에 접속된다. 전력 잭(50)으로부터, 전력은 사용자가 송신기(16)을 턴온 또는 턴 오프시킬수 있는 스위치(52)를 통과한다. 전력 조절 회로(54)는 전력이 송신기(16)의 나머지 부분으로 보내지기 전에 스위치로부터의 전력을 조절한다.
본 출원인은 사용자가 사용후에 송신기(16)을 온 상태인 채로 두거나 오프상태로 하는 것을 잊는 것은 흔히 있는 일이라고 결론지었다. 이러한 일이 사실이기 때문에, 송신기(16)의 양호한 실시예는 자동 차단 회로(56)을 포함한다. 이 회로(56)은 인입 전기 오디오 신호 및 이 경우에 좌측 채널을 모니터한다. 반송파 차단이 일시적인 것이 아니도록 적합한 기간동안 플러그(18)에 반송파가 전혀 입력되지 않는 경우에 자동 대기 회로(56)은 대기 제어 회로(58)을 사용함으로써 송신기(16)을 대기 모드로 효율적으로 스위치시켜, LED 어레이(44)를 효율적으로 디스에이블시키게 된다. 기간의 길이는 부품들의 값에 의해 결정된다. 이 경우에 기간은 약 45초로 결정된다. 대기 제어 회로(58)의 목적 및 동작에 대해서 스피커 회로 설명에 관련하여 더욱 상세하게 기술한다.
LED 전력 표시기 회로(60)이 상술한 바와 같이 전력 상태를 표시하도록 LED 표시기(62)를 구동시키지만, 이것의 주 목적은 전력이 전력 스위치(52)를 통해 송신기(16)에 인가될 때를 표시하기 위한 것이다. 양호한 실시예내에서, 표시기 LED(62)는 송신기 전력 스위치(52)가 온 상태일 때 마다 대기 제어 회로(58)의 상태에 관계없이 온 상태를 유지한다.
[선택 수단]
제1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송신기(16)으로부터의 적외 신호는 신호/청취 영역(10) 전체에 걸쳐 방사된다. 각 스피커(17 및 19)는 적외 신호를 수신하고 신호의 어느 부분이 사용될 지를 선택하기 위한 수신 수단(64 및 66)을 갖고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스피커(17 및 19)는, 제3a도 및 제3b도에 좌측 스피커(17)에 대해서 상세하게 도시되어 있고, 제4a도 및 제4b도에 우측 스피커(19)에 대해서 상세하게 도시되어 있다.
제3a도 와 제3b도, 및 좌측 스피커(17)을 참조하면, 송신기(16, 제1도)로부터의 신호는 양호한 실시예내에서 한 쌍의 광감기 다이오드(68)을 포함하는 수신 수단(64)에 의해 수신된다. 이 다이오드(68)은 앞에서 언급한 송신기(16) 내의 전송 신호에 대응하여 수신된 전기 신호를 발생시키도록 적외광에 반응한다. 2개의 다이오드(68)이 사용되는 이유는 각 다이오드(68)이 한측 상의, 즉 한 방향으로부터의 신호만을 수신할 수 있게 때문이다. 그러므로 전방향성(omnidirectional)인 수신기를 제공하기 위해서, 즉 어떠한 방향으로부터의 신호도 수신할 수 있는 수신기를 제공하기 위해서, 2개의 다이오드(68)이 사용되고, 백-투-백(back-to-back)형태로 배열된다. 그다음, 2개의 다이오드(68)에 의해 수신된 신호는 정치 증폭용 무선 주파수(RF) 전치 증폭기(70)으로 보내진다.
전치 증폭기(70)으로부터 신호는 대역 통과 필터(72)로 보내진다. 이 대역 통과 필터(72)는 스피커(17)이 사용될 선정된 반송파 주파수에서의 특정한 전기 오디오 신호를 선택하고, 모든 다른 신호들을 제외할 수 있도록 제공된다. 이 경우에 스피커(17)이 좌측 스피커이기 때문에, 선택된 반송파 주파수는 좌측 채널용으로 앞에서 언급된 95KHz이다.
이 선택은 대역 통과 필터(72)의 특정한 배열 및 부품들의 값에 의해 달성된다. 각각의 양호한 값들이 따르는 이 부품들의 배열은 다음과 같다. 주어진 값들은 단지 선호적인 값들인데, 그 이유는 다른 값들이 본 발명의 원리내에서 동일한 기능을 달성할 수도 있기 때문이다. 좌측 스피커(17)의 양호한 실시예 내에서 제3a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95KHz 주파수를 선택한 경우에, 신호는 먼저 직렬 접속된 저항기 R1(1.2kΩ)과 캐패시터 C1(0.00μF)로 보내진다. 다음에, 신호는 C1의 출력과 접지 사이에 병렬로 배열된 저항기 R2(10kΩ), 캐패시터 C2(600 pF) 및 표시기 L1(4.7mH)를 통과한다. 그다음, 신호는 표시기 L2(4.7mH)와 캐패시터 C3(82pF)의 병열 배열을 통과한다. 최종적으로 신호는 L2-C3 배열의 출력과 접지 사이에 배열된 캐패시터 C4(33pF)를 통과하고, 다른 캐패시터 C5(330pF)를 통과하여, 대역 통과 필터(72)로부터 출력된다.
대역 통과 필터(72)로부터 신호는 95KHz 반송파만을 갖도록 필터되고 250KHz 반송파 및 부수적인 오디오 신호가 제거된 신호는 선택된 신호 증폭용 중간 주파수(IF) 증폭기(74)를 통과한다. IF 증폭기(74)의 주요 기능 소자는 Syllax Model 111-0204 집적 회로인 집적회로 IC2이다. 신호는 IC2의 핀 14에서 대역 통과 필터(72)로부터 들어간다. 핀 1, 3, 4, 5 및 12는 접지된다. 핀 14는 저항기 R3(4.7kΩ)에 의해 핀 13에 접속된다. 부수적으로 핀 2는 캐패시터 C6(47μF)에 의해 핀 13에 접속된다. 핀 13은 캐패시터 C7(10μF)을 통해 접지에 접속된다. 핀 11은 전원 공급기/표시기 회로(76)에 접속되는데, 이 회로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핀 8은 캐패시터 C8(0.0068μF)에 의해 핀 11에 접속되고, 필터 회로(80)에 의해 팽창기(expander)/오디오 전치 증폭기 회로(78)에 접속된다. 좌측 스피커(17) 내에서 필터 회로(80)은 저항기 R4(2.2kΩ)와 직렬인 캐패시터 C9(2.2μF) 및 저항기 R4의 출력과 접지 사이에 접속된 캐패시터 C10(0.001μF)을 포함한다. 핀 9 및 10은 캐패시터 C11에 의해 접속되고, 핀 6 및 7은 캐패시터 C12에 의해 접속된다. 좌측 스피커(17) 내에서, 캐패시터 C11과 C12의 값들은 820pF가 양호하다. 최종적으로, 핀 7 및 9는 저항기 R5(3.9kΩ) 및 조정가능한 코일 L3에 의해 접속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오디오 신호 IF 증폭기(74)로부터 팽창기/오디오 전치 증폭기(78) 내로 통과한다. 이 회로의 목적은 제2도에 도시한 송신기(16)의 압축기/전치 증폭기 회로(20)에 의해 압축된 신호를 팽창시키기 위한 것이다. 이 이유로 인해 팽창기/오디오 전치 증폭기 회로(78)의 주요 기능 소자는 송신기(16)내에 사용된 것과 유사한 다른 Signetics NE570N 집적 회로인 다른 컴팬더 집적 회로 IC3이다.
팽창기/오디오 전치 증폭기 회로(84)로부터, 신호는 톤 및 볼륨 제어 회로(82)를 통과한 다음, 오디오 전력 출력 증폭기(84)를 통과하고, 최종적으로 스피커 소자(86 및 88)을 통과한다. 제3도에 도시한 실시예내에는, 2개의 이러한 스피커 소자가 도시되어 있지만, 스피커 제조 분야 내에 공지되어 있는 바와 같이 소정의 적합한 수의 소정의 적합한 형태 조합이 사용될 수 있다. 스피커 소자(86)은 트위터(tweeter)인 것으로 도시되어 있고, 스피커 소자(88)은 우퍼(woofer)이다. 톤 및 볼륨 제어 회로(82) 내에서, 오디오 신호의 톤 제어는 가변 저항기 R6에 의해 달성되고, 볼륨 제어는 다른 가변 저항기 R7을 사용함으로써 달성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스피커(17)의 전체 회로에 걸리는 전력은 전원 공급기(76)에 의해 제공된다. 양호한 실시예내에서 전원 공급기(76)은 8개의 종래 D전지와 같은 12V의 자체 전원(90)을 포함한다. 또한, 전원 공급기(76)은 종래의 전력 조절기(96)를 포함하고, 적합한 스위치 수단(94)에 의해 제어된다. 양호한 실시예 내에서, 스피커(17)의 사용 비용을 감소시키기 위해 사용자가 바테리(90)을 교체하지 않고 재충전시킬 수 있게 하도록 충전 리셉터클(96)이 제공된다.
[전력 절약기 수단]
전술한 바와 같이, 출원인은 비 사용시에 사용자가 시스템을 턴 오프시키지 못하거나 턴 오프시키는 것을 잊은 경우에 바테리 전력을 보존하기 위한 수단을 제공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결론지었다. 이 목적을 위해, 앞에서 간단이 기술한 바와 같이, 양호한 실시예내에서, 송신기(16)이 LED 어레이(44)를 디스에이블시킴에 인한 반송파의 손실에 응답하여 바테리 고갈을 막기 위해 스피커(17) 내에 전력 절약기 수단(98)에 제공된다. 송신기(16)이 오디오 신호 소오스(12)로부터의 신호를 더 이상 수신하고 있지 않다는 것을 감지할 때(즉, 이것은 수신기 또는 증폭기가 송신기 및 스피커가 턴 오프되지 않고 턴 오프되었다는 것을 의미한다), 송신기는 LED 어레이(44)를 디스에이블시킨다. LED 어레이(44)가 디스에이블될 때, 스피커(17)은 더 이상 LED 신호를 수신하지 않는다. 스피커(17)이 더 이상 신호를 수신하지 않는다는 것을 결정한 때, 전력 절약기 수단(98)은 스피커내의 주 전력 사용자인 오디오 전력 출력 증폭기(84)로의 전력을 차단한다. 나중에 신호가 다시 계속될 때, 송신기(16)의 LED 어레이(44)는 다시 엔이이블되고, 신호가 스피커(17)에 전송되어, 전력 절약기 수단(98)이 전력을 오디오 전력 출력 증폭기(84)에 재접속시키게 한다.
양호한 실시예내에서, 전력 절약기 수단(98)은 대역 통과 필터(72)의 출력으로부터의 신호를 수신하고 이것을 더욱 증폭시키기 위한 RF 증폭기(100)을 포함한다. 또한, 전력 절약기 수단(98)은 RF 증폭기(100)으로부터의 증폭된 RF 신호를 수신하는 뮤팅(muting) 제어 회로(102)를 포함한다. 신호기 RF 증폭기(100)으로부터 수신되고 있는 한, 뮤팅 제어 회로(102)는 스피커(17)의 오디오 부분의 동작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 그러나 송신기 LED 어레이(44)가 앞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디스에이블될 때와 같이 뮤팅 제어 회로(102)가 더 이상 이 신호를 수신하지 않을 때나, 신호가 송신기(16)과 스피커(17) 사이에 소정의 장애 또는 다른 간섭이 부여됨으로써 차단되더라도, 뮤팅 제어 회로(102)는 다음과 같이 차단 신호를 출력시킨다. RF 증폭기(100)으로부터의 신호는 비교기(112)의 부(-) 입력에 도달하기 전에 저항기 R8(4.7kΩ) 및 캐패시터 C13(0.001μF)로 구성되는 RC 필터를 통과한다. 비교기(112)의 정(+) 입력 레벨은 소오스와 입력 사이의 저항기 R9(003kΩ) 및 입력과 접지 사이의 가변 저항기 R10(최대 2.2kΩ)을 포함하는 분압기 회로망에 의해 제어된다. 또한, 비교기(112)의 부(-) 입력은 저항기 R11(10kΩ) 및 캐패시터 C14(820μF)를 포함하는 다른 RC 필터 회로망에 의해 필터된다. 그러므로 RF 증폭기(100)으로부터의 신호가 가변 저항기 R10의 셋팅에 의해 결정된 레벨 밑으로 강하될때, 비교기(112)는 출력 단자를 통해 신호를 발생시킨다. 이 신호는, 차단이 일시적인 것이 되지 않게 하기에 적합한 시간 지연 후에 팽창기/오디오 전치 증폭기 회로(78)로부터 톤 및 볼륨 제어 저항기 R6 및 R7로 오디오 신호를 분로시키는 트랜지스터 회로망(114)로 보내진다. 부수적으로, 비교기(112)의 출력으로부터의 신호도 전원 공급기(76)의 일부인 전력 차단 회로(104)에 보내진다. 이 신호는 트랜지스터 Q1과 다이오드 D1의 배열 및 차단이 일시적인 것이 되지 않게 하기에 적합한 지연 회로를 통해 비교기(116)의 정(+) 입력에 보내지는데, 부(-) 입력의 레벨은 2개의 저항기 R12(1MΩ)과 R13(150kΩ)으로 구성되는 분압기에 의해 결정된다. 그다음, 비교기(116)은 전류 제한 저항기 R14를 통해 출력 신호를 트랜지스터 Q3을 제어하게 된다. 트랜지스터 Q3은 오디오 전력 출력 증폭기(84) 및 팽창기/오디오 전치 증폭기(78)과의 전력의 접속을 제어한다. 그러므로 반송파가 차단되면, 증폭기(84)는 가동이 중지된다. 이 부품들이 회로내의 전력 대부분을 사용하는 것들이기 때문에, 비-사용시에 이 부품들을 비활성화시킴으로써 바테리의 수명이 상당히 연장될 수 있다. 그다음, 증폭된 RF 신호가 뮤팅 회로(102)에 의해 수신되면, Q3은 차단 회로(104)로부터의 지연 없이 곧 재활성화된다.
송신기(16)에 관하여 상술한 기간과 유사하게 시간 지연의 길이는 부품들의 값에 의해 결정되는데, 양호한 시간 지연은 약 30초이다.
소정의 경우에, 전력이 전력 차단 회로(104)에 의해서건 스위치(96)에 의해서건 증폭기(84)에 인가될 때마다, 가동 지연 조절기(106)은 전력을 증폭기 자체에 통하게 하기 전에 약 3초 정도의 매우 짧은 지연을 발생시킨다. 이것의 목적은 짧은 지연이 오디오 신호를 스피커 소자(86 및 88)에 보내기 전에 안정화할 시간을 다른 부품에 제공하게 하기 위한 것이다. 이것은 가동시에 스피커(17)로부터 발생하게 되는 일시적이지만 미적 감각을 해치는 잡음의 급등을 제거한다.
양호한 실시예내에서, 상태 표시기(95)는 전원 공급기(76) 내에 포함되고, 스피커 회로의 상태를 표시하기 위한 LED D2를 포함한다. 전력이 스위치(96)에 의해 차단되면, LED는 오프 상태로 된다. 전력이 인가되면, LED는 변하지 않지만 중간 휘도 상태인 온 상태로 된다. 충전시, LED는 더욱 강한 휘도 상태인 온 상태로 된다. 대기 모드내에 있을 때, 즉 오디오 전력 출력 증폭기(84)로의 전력이 상술한 바와 같이 차단될 때, LED는 변하지 않지만 매우 어두운 휘도 상태인 온 상태로 된다. 전원(90)이 충전되어야 할 때, LED는 어둡게 점등된다. 전원(90) 충전이 종료된 때, LED는 밝게 점등 된다.
제4a도 및 제4b도를 참조하면, 우측 스피커(19)가 상세하게 도시되어 있다. 이 스피커(19)의 구조 및 동작은 대역 통과 필터와 IF 증폭기부의 구조 및 회로의 다른 부분 내의 저항기와 캐패시터의 값을 제외하고는 스피커(17)과 유사하다. 이러한 차이에 대한 이유는 좌측 채널에 대한 반송파가 95KHz인 반면에, 우측 채널에 대한 반송파가 250KHz이기 때문이다. 소정의 부품들의 값은 상이한 반송파에 적합하도록 조정되어야 한다.
적합한 반송파 값의 선택은 RF 전치 증폭기(70)으로부터의 신호를 수신하는 대역 통과 필터(108)과 같은 부품 들의 특정한 배열 및 값에 의해 달성된다. 각각의 양호한 값이 따르는 이 부품 배열은 다음과 같다. 주어진 값들은 단지 선호적인 값들인데, 그 이유는 다른 값들이 본 발명의 원리내에서 동일한 기능을 달성할 수도 있기 때문이다. 우측 스피커(19)의 양호한 실시예내에서, 제4a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250KHz 주파수를 선택한 경우에, 신호는 먼저 직렬 접속된 저항기 R21(3.9kΩ)과 캐패시터 C21(0.001μF)로 보내진다. 다음에, 이 신호는 접지에 접속된 저항기 R22(6.8kΩ)을 통과하여 캐패시터 C22(470pF)로 보내진다.
그다음, 이 신호는 접지에 접속된 인덕터 L11(1mH)와 캐패시터 C23(330pF)를 통과하고, 접지에 접속된 캐패시터 C24(0.0015pF)를 통과하며, 인덕터 L12(1mH)를 통과하고, 접지에 접속된 또 다른 캐패시터 C25(470pF)를 통과하며, 최종적으로 캐패시터 C26(470μF)을 통과하여, 대역 통과 필터(108)로부터 출력된다.
좌측 스피커(17)의 경우와 같이, 대역 통과 필터(108)로부터의 신호는 IF 증폭기(110)에 공급된다. IF 증폭기(110)의 주요 기능 부품은 좌측 스피커(17)과 동일한, 즉 Syllax Mode 111-0204 집적 회로인 집적 회로 IC2이다. IC2의 여러 핀들은 다음과 같은 것을 제외하고는 좌측 스피커(17)에 대해 상술한 것과 같이 접속된다. 캐패시터 C8에 의해 핀 11에 접속되는 핀 8은 필터(80)의 나머지 부분이 좌측 스피커(17)내에 포함되지 않고서 캐패시터 C9에 의해 팽창기/오디오 전치 증폭기(78)에 접속된다. 좌측 스피커의 경우와 같이, 핀 9 및 10은 캐패시터 C27에 의해 서로 접속되고, 핀 6 및 7은 캐패시터 C28에 의해 서로 접속된다. 핀 7 및 9는 조정가능한 인덕터 L3에 의해서만 서로 접속되는데, 제3도의 저항기 R5에 대응하는 저항기는 없다.
2개의 스피커 회로들 사이의 다른 차이점은 뮤팅 제어 회로(102)에 있는데, 여기에서 캐패시터 C14는 좌측 스피커의 820pF가 아닌 600pF이다. 제4a도 및 제4b도에 도시한 우측 스피커(19)는 회로의 나머지 부분의 구조 및 동작은 제3a도 및 제3b도에 도시한 좌측 스피커(17)과 동일하다.
지금까지 기술한 장치는 상술한 목적을 충족시키기에 적합하지만, 본 발명은 본 명세서에 기술한 적외선 스테레오 스피커 시스템의 양호한 실시예에 제한되지 않는다. 본 발명은 첨부한 특허청구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모든 적당한 등가물을 포함한다.

Claims (8)

  1. 스테레오포닉 신호 정보를 포함하는 아날로그 전기 신호 소오스를 제공하기 위한 소오스 수단, 상기 아날로그 전기 신호를 수신하고, 이 아날로그 전기 신호를 상기 스테레오포닉 신호 정보를 포함하는 아날로그 적외 신호로 변환시키며, 신호/청취 영역 전체에 걸쳐 상기 아날로그 적외 신호를 방사하기 위한 변환 수단, 상기 아날로그 적외 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아날로그 적외 신호의 일부분을 선택하며, 상기 아날로그 적외 신호의 상기 일부분을 제1가청음 신호로 변환시키고, 신호/청취 영역 전체에 걸쳐 상기 가청음 신호를 방사하기 위해 상기 신호/청취 영역내에 배치되는 제1전자 선택 수단 및 상기 아날로그 적외 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아날로그 적외 신호의 다른 부분을 선택하며, 상기 아날로그 적외 신호의 상기 다른 부분을 제2가청음 신호로 변환시키고, 상기 신호/청취 영역 전체에 걸쳐 상기 제2가청음 신호를 방사하기 위해 상기 제1선택 수단과 멀리 떨어져 상기 신호/청취 영역내에 배치되는 제2전자 선택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테레오포닉 오디오스시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선택 수단이 상기 일부분 이외의 소정의 적외 신호를 필터하여, 제1필터 신호를 발생시키기 위해 필터 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제2선택 수단이 상기 다른 부분 이외의 소정의 신호를 필터하여, 제2필터 신호를 발생시키기 위한 필터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테레오포닉 오디오 시스템.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소오스 수단이 아날로그 좌측 채널 신호와 아날로그 우측 채널 신호를 제공하고, 2개의 상기 채널 신호와 접속하기 위한 헤드폰 잭을 작고 있는 스테레오 오디오 증폭기를 포함하고, 상기 변환 수단이 이 변환 수단을 스테레오 오디오 증폭기에 전기적으로 접속시키기 위해 상기 헤드폰 잭과 결합 가능한 플러그, 상기 아날로그 좌측 채널 신호와 상기 아날로그 우측 채널 신호를 증폭하기 위한 증폭 수단, 아날로그 전송 신호를 발생시키도록 상기 아날로그 좌측 채널 신호와 상기 아날로그 우측 채널 신호를 제거가능하게 혼합하기 위한 혼합 수단 및 상기 신호/청취 영역내에서 상기 아날로그 전송 신호를 포함하는 적외광을 방사하기 위한 적외 다이오드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테레오포닉 오디오 시스템.
  4. 제3항에 있어서, 각각의 상기 선택 수단이 상기 변환 수단으로부터 상기 아날로그 전송 신호를 반송하는 상기 적외광을 수신하여, 이것을 각 필터 수단에 통과시키기 위한 광다이오드 수단, 각 필터 수단으로부터의 상기 제1 또는 제2 필터 신호를 증폭하여 증폭된 신호를 발생시키기 위한 증폭 수단 및 상기 신호/청취 영역에서 방사하기 위해 상기 선택 수단의 상기 증폭 수단으로부터 증폭된 신호를 수신하고, 이 증폭된 신호를 음 신호로 변환시키기 위한 1개 이상의 스피커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테레오포닉 오디오 시스템.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변환 수단이 상기 소오스 수단으로부터의 신호를 검출하지 않는 동안 상기 변환 수단을 일시적으로 디스에이블시키기 위한 전력 절약기 수단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테레오포닉 오디오 시스템.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전력 절약기 수단이 상기 변환 수단으로부터의신호를 수신하지 않는 동안 상기 선택 수단의 상기 증폭 수단을 일시적으로 디스에이블시키기 위해 각 선택 수단 내에 배치된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테레오포닉 오디오 시스템.
  7.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변환 수단이 상기 소오스 수단으로부터의 신호를 검출하지 않은 선정된 기간 후에 상기 변환 수단을 일시적으로 디스에이블시키기 위한 전력 절약기 수단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테레오포닉 오디오 시스템.
  8.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전력 절약기 수단이 각 상기 선택 수단이 상기 변환 수단으로부터의 신호를 수신하지 않은 선정된 기간 후에 상기 선택 수단의 각각의 상기 증폭 수단을 일시적으로 디스에이블시키기 위해 각각의 상기 선택 수단내에 배치된 수단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테레오포닉 오디오 시스템.
KR1019890000273A 1988-01-13 1989-01-12 적외선 스테레오 스피커 시스템 KR96001440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43,588 1988-01-13
US07/143,588 US4899388A (en) 1988-01-13 1988-01-13 Infrared stereo speaker system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90012464A KR890012464A (ko) 1989-08-26
KR960014409B1 true KR960014409B1 (ko) 1996-10-15

Family

ID=2250472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90000273A KR960014409B1 (ko) 1988-01-13 1989-01-12 적외선 스테레오 스피커 시스템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4899388A (ko)
KR (1) KR960014409B1 (ko)
CA (1) CA1287373C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870791B2 (ja) * 1989-03-20 1999-03-17 ソニー株式会社 ワイヤレスヘッドホン
US5239295A (en) * 1990-04-16 1993-08-24 Motorola, Inc. Serial light interface which also functions as an ambient light detector
JP2830421B2 (ja) * 1990-08-14 1998-12-02 ソニー株式会社 ワイヤレス受信機
KR920014231A (ko) * 1990-12-31 1992-07-30 이헌조 무선헤드폰 송 수신회로
EP0653144B1 (en) * 1992-07-30 1998-12-02 Clair Bros. Audio Enterprises, Inc. Concert audio system
USRE38405E1 (en) * 1992-07-30 2004-01-27 Clair Bros. Audio Enterprises, Inc. Enhanced concert audio system
EP0586075B1 (en) * 1992-09-03 1999-03-03 Sony Electronics Inc. Loudspeaker systems
US5332928A (en) * 1992-12-10 1994-07-26 Threepenny Electronics Corporation Battery drain reducer
US5666422A (en) * 1994-05-18 1997-09-09 Harrison; Robert W. Remote speaker for surround-sound applications
DE4418337A1 (de) * 1994-05-26 1995-11-30 Mb Quart Akustik Und Elektroni Verfahren und Vorrichtung zur Wiedergabe von Schallsignalen sowie Steuergerät und Schallwiedergabegerät
US5818328A (en) * 1995-10-03 1998-10-06 Audio Enhancement 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improved wireless audio transmission
US5619582A (en) * 1996-01-16 1997-04-08 Oltman; Randy Enhanced concert audio process utilizing a synchronized headgear system
US5708718A (en) * 1996-02-22 1998-01-13 Sounds' So Real Accessories, Inc. Surround sound processor system
US5771441A (en) * 1996-04-10 1998-06-23 Altstatt; John E. Small, battery operated RF transmitter for portable audio devices for use with headphones with RF receiver
US6198825B1 (en) * 1996-04-15 2001-03-06 Narian Daryanani Wireless speaker circuit
US5793174A (en) * 1996-09-06 1998-08-11 Hunter Douglas Inc. Electrically powered window covering assembly
US5737427A (en) * 1996-09-09 1998-04-07 Ambourn; Paul R. Surround sound processor unit
KR19980086312A (ko) * 1997-05-31 1998-12-05 윤종용 무선 콤포넌트
KR19990041812A (ko) * 1997-11-24 1999-06-15 윤종용 무선 스피커를 갖는 컴퓨터 장치
US6487296B1 (en) 1998-09-30 2002-11-26 Steven W. Allen Wireless surround sound speaker system
WO2000041438A1 (en) * 1999-01-06 2000-07-13 Recoton Corporation Rear channel home theater wireless speaker system
US6580361B2 (en) * 2000-12-21 2003-06-17 Charles E. Bucher Low voltage speaker and lighting system
US20030107478A1 (en) * 2001-12-06 2003-06-12 Hendricks Richard S. Architectural sound enhancement system
TW570452U (en) * 2003-01-07 2004-01-01 Punch Video Inc LCD TV with an infrared wireless stereo transmission interface
US7137710B2 (en) * 2003-07-28 2006-11-21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Projection system
WO2005020634A1 (en) * 2003-08-22 2005-03-03 Koninklijke Philips Electronics N.V. Audio/video system for wireless driving of loudspeakers
TWM267780U (en) * 2004-10-20 2005-06-11 Chiayo Electronics Co Ltd Portable wireless amplifier
US7508326B2 (en) * 2006-12-21 2009-03-24 Sigmatel, Inc. Automatically disabling input/output signal processing based on the required multimedia format
US7995770B1 (en) 2007-02-02 2011-08-09 Jeffrey Franklin Simon Apparatus and method for aligning and controlling reception of sound transmissions at locations distant from the sound source
US7983427B2 (en) * 2007-02-12 2011-07-19 Bose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conserving battery power
US8477960B2 (en) * 2009-06-04 2013-07-02 Wavrydr, L.L.C. System for allowing selective listening on multiple televisions
AU2011312135A1 (en) 2010-10-07 2013-05-30 Concertsonics, Llc Method and system for enhancing sound
US8995679B2 (en) 2011-12-13 2015-03-31 Bose Corporation Power supply voltage-based headset function control
US8952824B2 (en) * 2012-07-20 2015-02-10 Bose Corporation Audio system surround acoustic driver powering
US9049513B2 (en) 2012-09-18 2015-06-02 Bose Corporation Headset power source managing
US8588432B1 (en) 2012-10-12 2013-11-19 Jeffrey Franklin Simon Apparatus and method for authorizing reproduction and controlling of program transmissions at locations distant from the program source
TWI581582B (zh) * 2013-05-02 2017-05-01 國富發科技有限公司 紅外線接收電路及其接收方法
US10433062B2 (en) * 2018-01-12 2019-10-01 Diodes Incorporated Stereo audio system and method
US11477418B2 (en) 2020-05-08 2022-10-18 Harris Global Communications, Inc. Systems and methods for providing a shoulder speaker microphone device with an integrated thermal imaging device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927316A (en) * 1974-06-07 1975-12-16 Zenith Radio Corp Wireless speaker system using infra-red link
US4405832A (en) * 1981-05-29 1983-09-20 Peavey Electronics Corp. Circuit for distorting an audio signal
DE3174369D1 (en) * 1981-12-24 1986-05-15 Itt Ind Gmbh Deutsche Circuit for the processing, transmission and acoustic reproduction of digitalized tone frequency signals
US4513446A (en) * 1983-02-09 1985-04-23 General Electric Company Control circuit for a radio transceiver
JPS60182825A (ja) * 1984-02-29 1985-09-18 Nec Corp 無線電話方式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90012464A (ko) 1989-08-26
US4899388A (en) 1990-02-06
CA1287373C (en) 1991-08-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60014409B1 (ko) 적외선 스테레오 스피커 시스템
US6215981B1 (en) Wireless signal transmission system, method apparatus
US5410735A (en) Wireless signal transmission systems, methods and apparatus
US6381308B1 (en) Device for coupling hearing aid to telephone
US8150460B1 (en) Wireless speakers and dock for portable electronic device
US5596648A (en) Infrared audio transmitter system
US6519448B1 (en) Personal, self-programming, short-range transceiver system
US5349386A (en) Wireless signal transmission systems, methods and apparatus
US8155362B2 (en) Wireless listening system
EP0471477B1 (en) Wireless receiver
US5818328A (en) 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improved wireless audio transmission
US4549179A (en) Apparatus for remote control of volume and power on electronic equipment possessing an audio output
US6421426B1 (en) Infrared wireless headset system
US5548654A (en) Infrared audio transmitter system
US20050191971A1 (en) Assisted listening device
US4969181A (en) Loudspeaker apparatus and method for a radio telephone apparatus
US20020106094A1 (en) Hearing aid
JP3431512B2 (ja) 音聴取装置
CA1131315A (en) Infrared radiation communication system
US4975964A (en) Automatic turn off system
JP2005508115A (ja) 感度制御照明コントローラおよびシステム
CN219514188U (zh) 一种多功能k歌设备
GB2252013A (en) Wireless television headphone set
RU187204U1 (ru) Система информационная для слабослышащих настенная
KR200432101Y1 (ko) 밀폐공간에서 사용되는 무선 통신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00811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