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60014398B1 - 멀티디스크 플레이어의 로딩, 언로딩장치 - Google Patents

멀티디스크 플레이어의 로딩, 언로딩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60014398B1
KR960014398B1 KR1019940010226A KR19940010226A KR960014398B1 KR 960014398 B1 KR960014398 B1 KR 960014398B1 KR 1019940010226 A KR1019940010226 A KR 1019940010226A KR 19940010226 A KR19940010226 A KR 19940010226A KR 960014398 B1 KR960014398 B1 KR 96001439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ear
cam
tray
loading
rotat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4001022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50034165A (ko
Inventor
맹현진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부품 주식회사
이종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부품 주식회사, 이종수 filed Critical 엘지전자부품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19940010226A priority Critical patent/KR960014398B1/ko
Publication of KR95003416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5003416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6001439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014398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17/00Guiding record carriers not specifically of filamentary or web form, or of supports therefor
    • G11B17/22Guiding record carriers not specifically of filamentary or web form, or of supports therefor from random access magazine of disc record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17/00Guiding record carriers not specifically of filamentary or web form, or of supports therefor
    • G11B17/02Details
    • G11B17/021Selecting or spacing of record carriers for introducing the heads

Landscapes

  • Automatic Disk Changer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멀티디스크 플레이어의 로딩, 언로딩장치
제1도는 종래 멀티디스크 플레이어의 로딩, 언로딩장치를 나타낸 평면도로서, a)는 매가진내에 디스크가 수납되어 있는 상태, b)는 로딩시 매가진내에 수납된 디스크가 취출되어 이송되는 상태도, c)는 언로딩시 매가진내로 디스크가 수납되기 위해 역이송되는 상태도.
제2도는 종래 멀티디스크 플레이어의 로딩, 언로딩장치를 나타낸 정면도.
제3도는 종래 장치에서 선택된 디스크를 이송시킬 수 있도록 구동롤러와 종동롤러가 위치 이동된 상태를 나타낸 요부 확대도로서, a)는 구동롤러와 종동롤러가 가운데의 트레이에 수납된 디스크를 이송시키기 위해 위치 이동된 상태도, b)는 구동롤러와 종동롤러가 상,하부 트레이에 수납된 디스크를 이송시키기 위해 위치 이동된 상태도.
제4도는 본 발명 멀티디스크 플레이어의 로딩, 언로딩장치를 나타낸 정면도로서, a)는 매가진내에 디스크가 수납되어 있는 상태도, b)는 로딩시 매가진내에 수납된 디스크가 취출되어 이송되는 상태도, c)는 언로딩시 매가진내로 디스크가 수납되기 위해 역이송되는 상태도.
제5도는 본 발명 멀티디스크 플레이어의 로딩, 언로딩장치를 나타낸 정면도.
제6도는 본 발명 장치에서 선택된 디스크를 이송시킬 수 있도록 구동롤러와 종동롤러가 위치 이동된 상태를 나타낸 요부 확대도로서, a)는 구동롤러와 종동롤러가 가운데의 트레이에 수납된 디스크를 이송시키기 위해 위치 이동된 상태도, b)는 구동롤러와 종동롤러가 상,하부 트레이에 수납된 디스크를 이송시키기 위해 위치 이동된 상태도.
제7도는 본 발명 장치를 구성하는 캠기어와 캠을 확대하여 나타낸 평면도.
제8도는 제7도의 요부 종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본체 3 : 트레이
9,9a : 가이드봉 10 : 모터
11 : 워엄 12 : 워엄기어
13 : 수직이동판 13a : 랙
14 : 메인모터 15 : 캠기어
15a : 요입홈 15b : 격막
16 : 캠 16b : 돌출핀
17 : 메임워엄 18 : 매개기어
19 : 축기어 20 : 중간기어
21 : 구동롤러 26 : 베벨기어
27 : 감지스위치
본 발명은 멀티디스크 플레이어의 로딩, 언로딩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구조를 변경하여 제작비를 절감시킴과 함께 언로딩 선택시 매가진내에서 취출된 디스크가 상기 매가진내로 다시 원활하게 수납되도록 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멀티디스크 플레이어는 여러장의 디스크를 하나의 매가진에 수납시킨 상태에서 상기 각 디스크를 선택적으로 재생할 수 있도록 한 기기로서, 상기 멀티디스크 플레이어에는 재생시 매가진에 수납된 디스크를 취출시켜 턴테이블까지 이송시켜 주도록 하거나 재생 완료시 턴테이블까지 이송되어 있던 디스크를 역이송시켜 매가진내로 다시 수납시켜 주도록 로딩, 언로딩장치를 갖고 있다.
종래 로딩, 언로딩장치는 첨부도면 제1도 내지 제3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31) 내부에 매가진을 구성하는 케이스(32)가 구비되어 있고, 상기 케이스 내에는 일측으로 걸림턱(33a)이 형성된 복수개의 트레이(33)가 각각 슬라이딩 가능하게 제1코일스프링(34)으로 탄력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케이스(32)내의 일측면에는 각 트레이(33)에 수납된 디스크(35)를 잡아주도록 판스프링(36)이 부착되어 있고, 상기 케이스(32) 내에는 장공(37a)이 형성된 복수개의 회동레버(37)가 한지결합됨과 함께 각 트레이(33)에는 상기 각 회동레버(37)에 형성된 장공(37a)으로 끼워지게 보스(38)가 형성되어 트레이(33)의 슬라이딩 이동에 따라 회동레버(37)가 회동되도록 되어 있다.
또한 본체(31)내의 후방에는 가이드봉(39)이 고정됨과 함께 모터(40)의 구동력을 워엄(41)과 워엄기어(42)를 통해 전달받아 정, 역회전 가능하도록 피동기어(43)가 고정된 리드스크류(44)가 설치되어 있고, 상기 리드스크류에는 리드스크류(44)의 정, 역회전시 가이드봉(38)에 안내되면서 상,하로 수직이동되도록 장홈(45a)을 갖는 수직이동판(45)이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본체(31)의 후면에는 메인모터(46)의 구동력을 동력전달수단을 통해 전달받아 편심회전 가능하도록 반달형의 캠(47)이 설치됨과 함께 상기 캠의 편심회전시 좌,우로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안내공(48a)과 절곡편(48b)이 형성된 슬라이딩부재(48)가 제2코일스프링(49)으로 탄력설치되어 있고, 상기 수직이동판(45)의 상부에는 수직이동판이 상,하로 이동할 때 하나의 트레이를 선택하기 위해 함께 상,하로 이동하거나 슬라이동부재(48)가 좌,우로 슬라이딩 이동할 때 선택된 하나의 트레이(33)를 케이스(32)의 내, 외측으로 이동시키기 위해 함께 좌, 우로 이동하도록 걸림돌기(50a)와 안내장공(50b)을 갖는 수평이동레버(50)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에서 동력전달수단은 메인모터(46)에 축결합되어 메인모터의 구동력을 받아 정,역회전하는 메인워엄(51)과, 본체(31)에 힌지결합되어 상기 메인워엄(51)의 회전력을 받아 전달하는 복수개의 매개기어(52)와, 반달형의 캠(47)에 일체화되어 상기 매개기어(52)의 회전력을 전달받아 캠(47)을 회전시켜 주는 캠기어(53)로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본체(31) 내에는 끝단으로 구동롤러(54)가 설치된 하부플레이트(55)가 회동가능하게 힌지결합됨과 함께 종동롤러(56)가 설치된 상부플레이트(57)가 토숀스프링(58)의 탄력을 받으며 회동가능하게 힌지결합되어 있고, 상기 구동롤러(54)의 일측힌지축은 수직이동판(45)에 형성된 장홈(45a)내로 끼워져 수직이동판(45)이 상,하로 이동할때 구동롤러(54)도 함께 이동되도록 되어 있으며, 상기 하부플레이트(55)의 힌지축에는 캠기어(53)의 회전력을 받아 회전가능하도록 구동기어(59)가 설치되어 있고, 상기 하부플레이드(55)에는 구동기어(59)의 회전력을 받아 전달하도록 복수개의 중간기어(60)가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구동롤러(54)의 일측힌지축에는 중간기어(60)의 회전력을 받아 구동롤러(54)에 회전력을 부여하여 주도록 종동기어(61)가 고정되어 있다.
따라서 매가진을 구성하는 케이스(32)내의 각 트레이(33)에 디스크(35)를 수납시킨 상태에서 재생하고자 하는 하나의 디스크를 선택하여 상기 선택된 디스크의 로딩버튼을 누르면 먼저 본체(31)내의 모터(40)가 구동되고 이 구동력은 워엄(41)과 워엄기어(42)를 통해 리드스크류(44)에 고정된 피동기어(43)로 전달되므로 상기 리드스크류(44)가 어떤 디스크를 선택하였나에 따라 정회전하거나 역회전하고 이에 따라 리드스크류(44)에 설치된 수직이동판(45)과 상기 수직이동판의 상부에 설치된 수평이동레버(50)가 상부로 이동하거나 하부로 이동하는데, 이때 하부플레이트(55)의 끝단에 설치된 구동롤러(54)의 일측힌지축이 수직이동판(45)에 형성된 장홈(45a)내로 끼워져 있으므로 상기 수직이동판(45)의 상,하부이동력이 구동롤러(54)를 통해 하부플레이트(55)로 전달되고 이에 따라 하부플레이트가 위치 이동됨과 함께 상부플레이트(57)에 설치된 종동롤러(56)는 상기 구동롤러(54)에 접촉된 상태로 위치 이동된다.
즉, 첨부도면 제3도 a)는 매가진을 구성하는 3개의 트레이(33)중 가운데(2번)의 트레이에 수납된 디스크를 이송시켜줄 수 있도록 구동롤러(54)와 종동롤러(56)가 위치 이동된 상태인데, 이와같은 상태에서 구동롤러(54)와 종동롤러(56)에 의해 상부(1번)의 트레이에 수납된 디스크를 재생하기 위해서는 1번 디스크의 재생버튼을 선택하면 되고 하부(3번)의 트레이에 수납된 디스크를 재생하기 위해서는 3번 디스크의 재생버튼을 선택하면 된다.
그럼 여기서 디스크 재생버튼을 선택함에 따라 구동롤러(54)와 종동롤러(56)가 위치 이동되는 과정을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부의 트레이에 수납된 디스크를 재생하기 위하여 1번 디스크의 재생버튼을 선택하면 본체(31)내에 설치된 리드스크류(44)가 정방향(시계방향)으로 회전하므로 상기 리드스크류에 설치된 수직이동판(45)과 수직이동판의 상부에 설치된 수평이동레버(50)가 상부로 이동하고 이에 따라 본체(31)내에 힌지결합된 하부플레이트(55)가 상기 수직이동판(45)의 상부이동력을 구동롤러(54)를 통해 전달받아 도면상 시계방향으로 회동하므로 상기 구동롤러가 상부로 이동함과 동시에 상기 하부플레이트(55)에 의해 회동이 규제되어 있던 상부플레이트(57)가 토숀스프링(58)의 탄력을 받으면서 하부플레이트(55)의 회동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회동하므로 상기 하부플레이트에 설치되어 있는 종동롤러(56)도 상부로 위치 이동하고 이에 따라 제3도 b)의 실선과 같이 구동롤러(54)와 종동롤러(56)가 복수개의 트레이 중 상부의 트레이에 수납된 디스크를 이송시킬 수 있게 된다.
또한 제3도 a)와 같은 상태에서 하부의 트레이에 수납된 디스크를 재생하기 위하여 3번 디스크의 재생버튼을 선택하면 하부플레이트(55)에 설치된 구동롤러(54)와 상부플레이트(57)에 설치된 종동롤러(56)가 제3도 b)의 일점쇄선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3번 디스크를 이송시킬 수 있도록 위치 이동되는데, 이에 대한 작용설명은 구체화하지 않아도 이해 가능하리라 생각되어 생략한다.
이와같이 하여 구동롤러(54)와 종동롤러(56)가 선택된 디스크(35)를 이송시켜줄 수 있도록 위치 이동 완료되면 메임모터(46)가 도면상 시계방향으로 구동되고 이 구동력은 상기 메인모터에 축결합된 메임워엄(51)과 본체(31)에 회전가능하게 힌지결합된 복수개의 매개기어(52)를 통해 반달형의 캠(47)에 일체화되어 있는 캠기어(52)로 전달되므로 상기 캠(47)이 반시계방향으로 편심회전함과 함께 상기 캠기어(53)의 회전력은 하부플레이트(55)의 힌지축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된 구동기어(59)와 상기 하부플레이트(55)에 회전가능하게 힌지결합된 복수개의 중간기어(60)를 통해 구동롤러(54)의 일측힌지축에 고정된 종동기어(61)로 전달되므로 상기 구동롤러(54)가 회전하는데, 이때 선택된 디스크가 후술하는 작용에 의해 트레이(33)에서 취출되어 회전하는 구동롤러(54)와 상기 구동롤러와의 접촉에 의해 회전되는 종동롤러(56)의 회전력을 받으면서 텐테이블(도시는 생략함)까지 이송된다.
상기 작용에서 복수개의 트레이(33)에 수납된 디스크(35) 중 가운데 트레이에 수납된 디스크를 취출시켜 이송하는 과정을 이하에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첨부도면 제2도는 가운데 트레이에 수납된 디스크를 이송시켜줄 수 있도록 구동롤러(54)와 종동롤러(56)가 위치 이동된 상태이고 이와같은 상태에서는 본체(31)의 후면에 편심회전 가능하게 캠(17)의 직선면이 슬라이딩부재(18)의 일측에 형성된 절곡편(48b)에 접촉되어 있는데, 이때 캠기어(53)의 회전에 따라 캠(47)이 도면상 시계방향으로 편심회전하면 상기 캠의 곡선면이 어느 순간부터는 슬라이딩부재(48)의 일측부에 접촉되므로 상기 슬라이딩부재는 캠(47)의 힌지축에 안내되면서 도면상 우측으로 슬라이드 이동하고 이에 따라 수직이동판(45)의 상부면에 설치된 수평이동레버(50)가 가이드봉(39)에 안내되면서 수평이동한다.
상기에서 슬라이딩부재(48)가 슬라이딩될 때 캠(47)의 힌지축에 안내되는 것은 상기 슬라이딩부재(48)에 안내공(48a)이 형성되어 상기 안내공이 캠(47)의 힌지축에 끼워져 있으므로 가능하고, 수평이동레버(50)가 수평이동될때 가이드봉(39)에 안내되는 것은 상기 수평이동레버(50)에 안내장공(50b)이 형성되어 상기 안내장공이 가이드봉(39)에 끼워져 있으므로 가능하다.
한편 첨부도면 제1도 a)와 같은 상태에서 수평이동레버(50)가 도면상 우측으로 이동하면 상기 수평이동레버에 형성된 걸림돌기(50a)가 트레이(33)에 형성된 걸림턱(33a)을 끌어당겨 주므로 디스크(35)가 수납되어 있는 상기 트레이(33)가 매가진을 구성하는 케이스(32)의 개방부를 통해 제1코일스프링(34)의 탄력을 받으면서 외측으로 이동되고 이에 따라 케이스(32)내에 힌지결합된 회동레버(37)가 트레이(33)의 외측이동력을 받아 도면상 반시계방향으로 회동하면서 상기 트레이(33)에 수납된 디스크(35)를 밀어주는데, 이때 디스크가 케이스(32)에 부착되어 상기 디스크를 잡아주고 있던 판스프링(36)을 밀면서 트레이(33)의 외측으로 일정거리(레버의 회동각도와 비례된 거리)만큼 1차 이송되므로 상기 1차 이송된 디스크의 선단 일부가 제1도 b)와 같이 회전되는 구동롤러(54)와 종동롤러(56) 사이로 끼워져 물리게 된다.
상기에서 회동레버(37)가 트레이(33)의 인출력을 받아 회동하는 것은 상기 트레이(33)에 보스(38)가 형성되어 있고, 회동레버(37)에는 상기 보스에 끼워지게 장공(37a)이 형성되어 있으므로 가능하다.
이와같이 1차 이송된 디스크(35)의 선단 일부가 구동롤러(54)와 종동롤러(56) 사이에 끼워져 물리게 되면 상기 디스크(35)가 구동롤러(54)와 종동롤러(56)의 회전에 의해 계속해서 2차 이송되므로 트레이(33)에서 완전히 취출되어 턴테이블까지 도달함에 따라 로딩이 완료된다.
상기 작용설명에서 디스크의 로딩이 완료된 상태에서는 캠(47)이 다시 원상태로 되돌아 온 상태이므로 도면상 우측으로 슬라이딩되어 있던 슬라이딩 부재(48)가 다시 좌측으로 슬라이딩되어 있고 이에 따라 케이스(32)의 외측으로 이동되어 있던 트레이(33)도 상기 케이스(32) 내로 다시 이동되어 있는데, 이는 로딩시 메인모터(46)가 캠기어(53)의 일회전 완료시까지만 구동되다가 정지되므로 가능하다.
또한 트레이(33)에서 취출되어 로딩 완료된 디스크(35)를 재생하였거나 필요에 따라 재생을 정지하였을 경우에는 상기 디스크를 언로딩시켜 다시 트레이에 수납시겨야 하는데, 이때에는 본체(31)에 편심회전 가능하게 설치된 반달형의 캠(47)과 하부플레이트(55)에 설치된 구동롤러(54)가 메인모터(46)의 반시계방향 구동력을 받아 로딩시와 반대방향으로 회전하여 디스크(35)를 역이송시켜주면 된다.
즉, 메인모터(46)가 도면상 반시계방향으로 구동되면 상기 메인모터의 구동력을 로딩시와 동일한 경로를 통해 캠(47)이 받아 시계방향으로 편심회전함과 함께 구동롤러(54)가 받아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는데, 이때 디스크(35)는 구동롤러(54)의 반시계방향 회전력과 상기 구동롤러의 접촉에 의해 회전되는 종동롤러(56)의 시계방향 회전력에 의해 제1도의 c)와 같이 1차 역이송되고 케이스(32)내의 트레이(33)는 제1코일스프링(34)의 탄력을 받으면서 다시 외측으로 인출되어 1차 역이송된 디스크(35)를 탑재시킨다.
한편 제1도 c)와 같은 상태에서 계속되는 메인모터(46)의 반시계방향 구동력을 받아 구동롤러(54)와 종동롤러(56)가 회전되더라도 1차 역이송된 디스크(35)는 상기 구동롤러(54)와 종동롤러(56)의 회전력에 의해서는 더이상 이송되지 못하게 되는데, 이때 시계방향으로 회전되는 반달형 캠(47)의 직선면이 슬라이딩부재(48)의 절곡편(48b)에 접촉되는 순간부터는 상기 슬라이딩부재(48)는 제2코일스프링(49)의 복원력을 받아 도면상 좌측으로 슬라이딩되므로 수평이동레버(50)에 의한 트레이(33)의 외측이동력이 해재되고 이에 따라 트레이는 제1코일스프링(34)의 복원력을 받아 케이스(32) 내부로 이동됨과 함께 디스크(35)는 상기 케이스(32) 내부에 부착된 판스프링(36)의 복원력을 받으면서 2차 역이송되어 트레이(33)에 수납되므로 역이송이 완료된다.
그러나 종래 이와같은 장치는 매가진 내에 수납된 복수개의 디스크중 어느 하나의 디스크를 선택하였을때 상기 선택된 하나의 디스크를 취출시키기 위해 구동롤러와 종동롤러를 위치 이동시켜 주는 구성과 로딩 및 언로딩시 상기 선택된 하나의 디스크를 매가진에서 취출시키거나 다시 매가진에 수납시키기 위해 트레이를 내,외측으로 이동시켜 주는 구성이 복잡하므로 제작비가 증가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언로딩시 반달형 캠의 편심회전에 따라 슬라이딩부재가 우측으로 슬라이딩 이동된 다음 다시 좌측으로 슬라이딩 이동될때 상기 슬라이딩부재의 좌측 이동을 끝까지 캠이 규제하므로 구동롤러와 종동롤러의 회전에 의해 1차 역이송된 디스크를 계속해서 2차 역이송시켜 주기 위한 슬라이딩부재의 좌측 이동과 트레이의 좌측 이동이 신속히 이루어지지 못하고 이에 따라 2차역이송되는 디스크가 회전되는 종동롤러 위로 종종 타고 넘어가게 되어 매가진 내로 안정되게 수납되지 못하는 문제점도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서, 매가진 내에 수납된 복수개의 디스크중 어느 하나의 디스크를 선택하였을때 상기 선택된 하나의 디스크를 취출시키기 위해 구동롤러와 종동롤러를 위치 이동시켜 주는 구성과 로딩 및 언로딩시 상기 선택된 하나의 디스크를 매가진에서 취출시켜 주거나 다시 매가진에 수납시켜 주는 구성을 간편하게 변경하여 제작비를 절감시킴과 함께 언로딩시 구동롤러와 종동롤러의 회전력에 의해 1차 역이송된 디스크가 판스프링의 복원력에 의해 계속해서 신속히 2차 역이송되도록 함에 따라 디스크가 매가진 내로 안정되게 수납되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 형태에 따르면 본체 내에 고정된 한쌍의 가이드봉을 따라 상,하로 수직이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일측으로 랙이 형성된 수직이동판과, 상기 본체 내에 설치되어 모터의 구동력을 워엄을 통해 전달받아 회전하면서 수직이동판을 수직이동시켜 주는 워엄기어와, 상기 본체 내에 설치되어 메인모터의 구동력을 메인워엄과 매개기어를 통해 전달받아 회전하는 축기어와, 상기 한쌍의 가이드봉 중 일측 가이드봉에 설치되어 축기어의 회전력을 복수개의 중간기어를 통해 전달받아 회전하는 캠기어와, 상기 한쌍의 가이드봉중 일측가이드봉에 설치되어 로딩시에만 캠기어의 일방향 회전력을 받아 함께 회전하면서 트레이를 외측으로 이동시켜 주도록 걸림돌기를 갖는 캠과, 상기 수직이동판의 상부면에 설치됨과 함께 구동 롤러의 일측힌지축에 고정되어 캠기어의 회전력을 구동롤러로 전달하는 베벨기어를 포함하여 구성된 본 발명 멀티디스크 플레이어의 로딩, 언로딩장치가 제공된다.
이하 본 발명을 일실시예로 도시한 첨부된 도면 제4도 내지 제8도를 참고로 하여 더욱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첨부도면 제4도는 본 발명 멀티디스크 플레이어의 로딩, 언로딩장치를 나타낸 평면도이고 제5도는 본 발명 멀티디스크 플레이어의 로딩, 언로딩장치를 나타낸 정면도이며 제6도는 본 발명 장치에서 선택된 디스크를 이송시킬 수 있도록 구동롤러와 종동롤러가 위치 이동된 상태를 나타낸 요부 확대도이고 제7도는 본 발명 장치를 구성하는 캠기어와 캠을 확대하여 나타낸 평면도이며 제8도는 제7도의 요부 종단면도로서, 본 발명은 본체(1) 내부에 매가진을 구성하는 케이스(2)가 구비되어 있고, 상기 케이스 내에는 일측으로 걸림벽(3a)이 형성된 복수개의 트레이(3)가 각각 슬라이딩 가능하게 제1코일스프링(4)으로 탄력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케이스(2)내의 일측면에는 각 트레이(3)에 수납된 디스크(5)를 잡아주도록 판스프링(6)이 부착되어 있고, 상기 케이스(2) 내에는 장공(7a)이 형성된 복수개의 회동레버(7)가 힌지결합됨과 함께 각 트레이(3)에는 상기 각 회동레버(7)에 형성된 장공(7a)으로 끼워지게 보스(8)가 형성되어 트레이(3)의 슬라이딩 이동에 따라 회동레버(7)가 회동되도록 되어 있다.
또한 본체(1) 내의 후방에는 한쌍의 가이드봉(9)(9a)이 고정됨과 함께 모터(10)의 구동력을 워엄(11)을 통해 전달받아 정,역회전 가능하도록 워엄기어(12)가 설치되어 있고, 상기 가이드봉(9)(9a)에는 워엄기어(12)의 정,역회전력을 받아 상,하로 수직 이동하도록 일측으로 랙(13a)이 형성됨과 함께 전면으로 장홈(13b)이 형성된 수직이동판(13)이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한쌍의 가이드봉(9)(9a) 중 일측가이드봉(9)에는 메인모터(14)의 구동력을 전달수단을 통해 전달받아 회전하도록 캠기어(15)가 설치되어 있고, 상기 일측가이드봉(9)에는 캠기어(15)가 일방향으로 회전할때만 함께 회전하면서 트레이(3)를 외측으로 이동시켜 주도록 걸림돌기(16a)를 갖는 캠(16)이 설치되어 있다.
상기에서 전달수단은 메인모터(14)에 축결합되어 메인모터의 구동력을 받아 정,역회전하는 메인워엄(17)과, 본체(1) 내에 설치되어 상기 메인워엄(17)의 회전력을 매개기어(18)를 통해 전달받아 회전하는 축기어(19)와, 상기 수직이동판(13)의 상부면에 설치되어 축기어(19)의 회전력을 전달받아 캠기어(15)를 회전시키는 복수개의 중간기어(20)로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본체(1) 내에는 끝단으로 구동롤러(21)가 설치된 상부플레이트(22)가 회동가능하게 힌지결합됨과 함께 종동롤러(23)가 설치된 하부플레이트(24)가 제2코일스프링(25)의 탄력을 받으며 회동가능하게 힌지결합되어 있고, 상기 구동롤러(21)의 일측힌지축은 수직이동판(13)에 형성된 장홈(13b) 내로 끼워져 수직이동판(13)이 상,하로 이동할때 구동롤러(21)도 함께 이동되도록 되어 있으며, 수직이동판(13)의 상부면과 구동롤러(21)의 일측힌지축에는 캠기어(15)의 회전력을 받아 구동롤러(21)를 회전시켜 주도록 베벨기어(26)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에서 캠기어(15)가 일방향으로 회전할때만 캠(16)이 회전하도록 하기 위해 상기 캠기어(15)의 상부면에 요입홈(15a)가 격막(15b)을 일체로 형성하고 캠(16)의 하부면에는 상기 요입홈(15a) 내로 끼워지게 돌출편(16b)를 형성하여 캠기어(15)가 일방향으로 회전할때는 격막(15b)이 돌기(16b)를 밀어줌에 따라 캠(16)이 회전되도록 함과 함께 캠기어(15)가 다른 일방향으로 회전할때는 격막(15b)이 돌기(16b)를 밀어주지 않으므로 상기 돌기가 요입홈(15a)에 안내되도록 한다.
한편 수직이동판(13)의 상부면 타측에는 캠(16)의 일회전 완료 시점을 감지하여 메인모터(14)의 구동을 정지하여 주도록 감지스위치(27)를 설치한다.
따라서 매가진을 구성하는 케이스(2) 내의 각 트레이(3)에 디스크(5)를 수납시킨 상태에서 재생하고자 하는 하나의 디스크를 선택하여 상기 선택된 디스크의 로딩버튼을 누르면 먼저 본체(1) 내의 모터(10)가 구동되므로 상기 모터에 축결합된 워엄(11)이 어떤 디스크(5)를 선택하였나에 따라 정회전하거나 역회전하고 이 회전력은 본체(1)에 설치되어 상기 워엄(11)과 수직이동판(13)의 일측 랙(13a)에 맞물려 있는 워엄기어(12)를 통해 상기 수직이동판(13)으로 전달되므로 수직이동판이 한쌍의 가이드봉(9)(9a)에 안내되면서 상부로 이동하거나 하부로 이동하는데, 이때 상부플레이트(22)의 끝단에 설치된 구동롤러(21)의 일측힌지축이 수직이동판(13)에 형성된 장홈(13b) 내로 끼워져 있으므로 상기 수직이동판(13)의 상,하부이동력이 구동롤러(21)를 통해 상부플레이트(22)로 전달되고 이에 따라 상부플레이트가 위치 이동됨과 함께 하부플레이트(24)에 설치된 종동롤러(23)는 상기 구동롤러(21)에 접촉된 상태로 위치 이동된다.
즉 첨부도면 제6도 a)는 매가진을 구성하는 3개의 트레이(3)중 가운데(2번)의 트레이에 수납된 디스크를 이송시켜줄 수 있도록 구동롤러(21)와 종동롤러(23)가 위치 이동된 상태인데, 이와같은 상태에서 구동롤러(21)와 종동롤러(23)에 의해 상부(1번)의 트레이에 수납된 디스크를 재생하기 위해서는 1번 디스크의 재생버튼을 선택하면 되고 하부(3번)의 트레이에 수납된 디스크를 재생하기 위해서는 3번 디스크의 재생버튼을 선택하면 된다.
그럼 여기서 디스크의 재생버튼을 선택함에 따라 구동롤러(21)와 종동롤러(23)가 위치 이동되는 과정을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부의 트레이에 수납된 디스크를 재생하기 위하여 1번 디스크의 재생버튼을 선택하면 본체(1) 내에 설치된 워엄기어(12)가 모터(10)의 구동력을 워엄(11)을 통해 전달받아 도면상 시계방향으로 회전하므로 수직이동판(13)이 한쌍의 가이드봉(9)(9a)에 안내되면서 상부로 이동하고 이에 따라 본체(1) 내에 힌지결합된 상부플레이트(22)가 상기 수직이동판(13)의 상부이동력을 구동롤러(21)를 통해 전달받아 도면상 시계방향으로 회동하므로 상기 구동롤러가 상부로 이동함과 동시에 상기 상부플레이트(22)에 의해 회동이 규제되어 있던 하부플레이트(24)가 제2코일스프링(25)의 복원력을 받으면서 상부플레이트(22)의 회동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회동하므로 상기 하부플레이트에 설치되어 있는 종동롤러(23)도 상부로 위치 이동하고 이에 따라 제6도 b)의 실선과 같이 구동롤러(21)와 종동롤러(23)가 복수개의 트레이 중 상부의 트레이에 수납된 디스크를 이송시킬 수 있게 된다.
또한 제6도 a)와 같은 상태에서 하부의 트레이에 수납된 디스크를 재생하기 위하여 3번 디스크의 재생버튼을 선택하면 상부플레이트(22)에 설치된 구동롤러(21)와 하부플레이트(24)에 설치된 종동롤러(23)가 제6도 b)의 일점쇄선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3번 디스크를 이송시킬 수 있도록 위치 이동되는데, 이에 대한 작용 설명은 구체화하지 않아도 이해 가능하리라 생각되어 생략한다.
이와같이 하여 구동롤러(21)와 종동롤러(23)가 선택된 디스크(5)를 이송시키줄 수 있도록 위치 이동 완료되면 메인모터(14)가 도면상 시계방향으로 구동괴고 이 구동력은 상기 메인모터에 축결합된 메인워엄(17)과 본체(1)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된 매개기어(18)를 통해 축기어(19)로 전달된 다음 수직이동판(13)의 상부면에 설치된 복수개의 중간기어(20)와 일측가이드봉(9)에 설치된 캠기어(15)를 통해 상기 수직이동판(13)의 상부면에 설치됨과 함께 구동롤러(21)의 일측힌지축에 고정된 베벨기어(26)로 전달되므로 상기 구동롤러(21)가 회전하는데, 이때 선택된 디스크(5)가 후술하는 작용에 의해 트레이(3)에서 취출되어 회전되는 구동롤러(21)와 상기 구동롤러와의 접촉에 의해 회전하는 종동롤러(23)의 회전력을 받으면서 턴테이블(도시는 생략함)까지 이송된다.
상기 작용에서 복수개의 트레이(3)에 수납된 디스크(5) 중 가운데 트레이에 수납된 디스크를 취출시켜 이송하는 과정을 이하에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첨부도면 제5도는 가운데 트레이에 수납된 디스크를 이송시켜줄 수 있도록 구동롤러(21)와 종동롤러(23)가 위치 이동된 상태이고 이와같은 상태에서는 수직이동판(13)의 상,하이동을 안내하는 한쌍의 가이드봉(9)(9a)중 일측가이드봉(9)에 설치되어 있는 캠(16)의 걸림돌기(16a)가 가운데 트레이(3)에 형성된 걸림턱(3a)에 접촉되어 있는데, 이때 캠기어(15)가 도면상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면 상기 캠기어의 상부면에 형성된 격막(15b)이 캠(16)의 하부면에 형성된 돌출편(16b)을 밀어주므로 상기 캠(16)도 캠기어(15)와 함께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한다.
한편 첨부도면 제4도 a)와 같은 상태에서 캠기어(15)가 도면상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면 상기 캠기어에 형성된 걸림돌기(16a)가 가운데 트레이(3)에 형성된 걸림턱(3a)을 밀어주므로 디스크(5)가 수납되어 있는 상기 트레이가 매가진을 구성하는 케이스(2)의 개방부를 통해 제1코일스프링(4)의 탄력을 받으면서 외측으로 이동하고 이에 따라 케이스(2) 내에 힌지결합된 회동레버(7)가 트레이(3)의 외측이동력을 받아 도면상 반시계방향으로 회동하면서 상기 트레이(3)에 수납된 디스크(5)를 밀어주는데, 이때 디스크가 케이스(2)에 부착되어 상기 디스크를 잡아주고 있던 판스프링(6)을 밀면서 트레이(3)의 외측으로 일정거리(레버의 회동각도와 비례된 거리)만큼 1차 이송되므로 상기 1차 이송된 디스크의 선단 일부가 제4도 b)와 같이 회전되는 구동롤러(24)와 종동롤러(26) 사이로 끼워져 물리게 된다.
상기에서 회동레버(7)가 트레이(3)의 외측 이동력을 받아 회동하는 것은 상기 트레이(3)에 보스(8)가 형성되어 있고, 회동레버(7)에는 상기 보스에 끼워지게 장공(7a)이 형성되어 있으므로 가능하다.
이와같이 디스크가 1차 이송되어 선단 일부가 구동롤러(24)와 종동롤러(26) 사이에 끼워져 물리게되더라도 캠기어(15)의 캠(16)은 계속해서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므로 상기 캠기어(15)에 형성된 걸림돌기(15a)가 어느 시점에서는 외측으로 이동된 트레이(3)의 걸림턱(3a)을 밀지 못하게 되고 이에 따라 트레이(3)는 코일스프링(4)의 복원력을 받아 다시 케이스(2) 내로 이동되는데, 이때 캠기어(15)의 회전력은 수직이동판(13)의 상부면에 설치됨과 함께 구동롤러(21)의 일측힌지축에 고정된 베벨기어(22)를 통해 상기 구동롤러(21)로 전달되므로 1차 이송된 디스크(5)가 도면상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는 구동롤러(21)와 상기 구동롤러의 회전력을 받아 도면상 시계방향으로 회전하는 종동롤러(23)의 회전에 의해 계속해서 2차 이송됨에 따라 트레이(3)에서 완전히 취출되어 턴테이블까지 도달함으로 로딩이 완료된다.
한편 트레이(3)에서 취출되어 구동롤러(21)와 종동롤러(23) 사이에 물리도록 디스크(5)가 1차 이송된 후에는 캠(16)은 캠기어(15)의 계속적인 일회전 완료시까지의 회전력을 받아 다시 원상태에 위치되는데, 상기 캠기어(15)의 일회전 완료는 수직이동판(13)의 상부면 타측에 설치된 감지스위치(27)가 캠(16)의 일회전 완료 시점을 감지하여 상기 캠기어(15)에 회전력을 부여해 주는 메인모터(14)를 정지시켜 주므로 가능하다.
상기한 작용설명에서 디스크의 로딩이 완료된 상태에서는 캠(16)이 제4도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되돌아온 상태이므로 디스크를 이송시키기 위해 케이스(2)의 외측으로 이동되어 있던 트레이(3)도 다시 케이스(2)의 내측으로 이동되어 있는데, 이는 로딩시 메인모터(14)가 캠기어(15)의 일회전 완료시까지만 구동되다가 정지되므로 가능하다.
또한 트레이(3)에서 취출되어 로딩 완료된 디스크(5)를 재생하였거나 필요에 따라 재생을 정지하였을 경우에는 다시 디스크를 언로딩시켜 다시 트레이(3)에 수납시켜야 하는데, 이때에는 일측가이드봉(9)에 설치된 캠기어(15)가 메인모터(14)의 구동력을 받아 로딩시와 반대방향으로 회전하여 디스크(5)를 역이송시켜주면 된다.
즉, 메인모터(14)가 로딩시와 반대방향으로 회전하면 상기 메인모터의 구동력을 로딩시와 동일한 경로를 통하여 일측가이드봉(9)에 설치된 캠기어(15)가 전달받아 도면상 시계방향으로 회전하는데, 이때 구동롤러(21)는 상기 캠기어(15)의 시계방향 회전력을 베벨기어(26)를 통해 전달받아 시계방향으로 회전함과 함께 종동롤러(23)는 상기 구동롤러(21)의 시계방향 회전력을 받아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므로 디스크(5)가 제4도 c)와 같이 1차 역이송이 되고 이 1차 역이송된 디스크(5)는 케이스(2) 내부에 부착된 판스프링(6)의 복원력을 받으면서 계속해서 2차 역이송되어 트레이(3)에 수납되므로 언로딩이 완료된다.
상기 언로딩 작용에서 캠기어(15)가 시계방향으로 회전할때 캠(16)이 회전하지 않는 것은 캠기어(15)에 형성된 격막(15b)이 캠(16)에 형성된 돌출편(16b)를 밀어주는 방향으로 회전하지 않으므로 가능한데, 이때 캠기어(15)의 격막(15b)과 일체 형성된 요입홈(15a)이 캠(15)에 형성된 돌출편(16b)에 안내됨은 이해 가능하다.
그러므로 본 발명은 매가진 내에 수납된 복수개의 디스크중 어느 하나의 디스크를 선택하였을때 상기 선택된 하나의 디스크를 취출시키기 위해 구동롤러와 종동롤러를 위치 이동시켜 주는 구성과 로딩 및 언로딩시 상기 선택된 하나의 디스크를 매가진에서 취출시키거나 다시 매가진에 수납시켜 주는 구성이 종래에 비해 간단하므로 제작비가 절감됨과 함께 상기 언로딩시 1차 역이송된 디스크가 판스프링의 복원력에 의해 계속해서 2차 역이송될때 규제를 받지 않고 신속히 역이송되므로 안정적으로 매가진 내에 수납되는 효과가 있다.

Claims (3)

  1. 본체(1) 내에 고정된 한쌍의 가이드봉(9)(9a)을 따라 상,하로 수직이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일측으로 랙(13a)이 형성된 수직이동판(13)과, 상기 본체(1) 내에 설치되어 모터(10)의 구동력을 워엄(11)을 통해 전달받아 회전하면서 수직이동판(13)을 수직이동시켜 주는 워엄기어(12)와, 상기 본체(1) 내에 설치되어 메인모터(14)의 구동력을 메인워엄(17)과 매개기어(18)를 통해 전달받아 회전하는 축기어(19)와, 상기 한쌍의 가이드봉(9)(9a) 중 일축가이드봉(9)에 설치되어 축기어(19)의 회전력을 복수개의 중간기어(20)를 통해 전달받아 회전하는 캠기어(15)와, 상기 한쌍의 가이드봉(9)(9a)중 일측가이드봉(9)에 설치되어 로딩시에만 캠기어(15)의 일방향 회전력을 받아 함께 회전하면서 트레이(3)를 외측으로 이동시켜 주도록 걸림돌기(16a)를 갖는 캠(16)과, 상기 수직이동판(13)의 상부면에 설치됨과 함께 구동롤러(21)의 일측힌지축에 고정되어 캠기어(15)의 회전력을 구동롤러(21)로 전달하는 베벨기어(26)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디스크 플레이어의 로딩, 언로딩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캠기어(15)의 상부면에 요입홈(15a)과 격막(15b)을 일체 형성하고 캠(16)의 하부면에는 상기 요입홈(15a) 내로 끼워지게 돌출편(16b)을 형성하여 로딩시 상기 캠기어(15)가 일방향으로 회전할때 격막(15b)이 돌출편(16b)을 밀어줌에 따라 캠(16)이 회전하도록 한 멀티디스크 플레이어의 로딩, 언로딩장치.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수직이동판(13)의 상부면에 캠(16)의 일회전을 감지하여 메인모터(14)의 구동을 정지하여 주도록 감지스위치(27)를 설치하여서 된 멀티디스크 플레이어의 로딩, 언로딩장치.
KR1019940010226A 1994-05-10 1994-05-10 멀티디스크 플레이어의 로딩, 언로딩장치 KR96001439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40010226A KR960014398B1 (ko) 1994-05-10 1994-05-10 멀티디스크 플레이어의 로딩, 언로딩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40010226A KR960014398B1 (ko) 1994-05-10 1994-05-10 멀티디스크 플레이어의 로딩, 언로딩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50034165A KR950034165A (ko) 1995-12-26
KR960014398B1 true KR960014398B1 (ko) 1996-10-15

Family

ID=193828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40010226A KR960014398B1 (ko) 1994-05-10 1994-05-10 멀티디스크 플레이어의 로딩, 언로딩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60014398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50034165A (ko) 1995-12-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0437795C (zh) 光盘驱动装置
KR960008043B1 (ko) 미니디스크겸용 콤팩트디스크플레이어
JPH01159859A (ja) Datのカセットローディング装置
US4807066A (en) Cassette changer for magnetic recording-reproduction apparatus
US4586096A (en) Cassette loading/ejecting device
JP2000298903A (ja) ディスクプレーヤ
US5706147A (en) Cassette loading device for tape recorder
KR960014398B1 (ko) 멀티디스크 플레이어의 로딩, 언로딩장치
US5434839A (en) Disc loading apparatus for an optical disc player using a single motor for horizontal and vertical movement of the disc tray
US5365506A (en) Laser disk player
KR960014397B1 (ko) 멀티디스크 플레이어의 로딩, 언로딩장치
KR0147576B1 (ko) 카세트 로딩장치
JPH07111012A (ja) ディスクファイル装置
GB2236006A (en) Power transmission apparatus for a magnetic recording/reproducing apparatus
US5255138A (en) Automatic disk changer
KR100461297B1 (ko) 디스크 플레이어의 디스크 로딩장치
JPS6341145B2 (ko)
JPS59180845A (ja) 磁気記録再生装置におけるカセツト移動用駆動装置
KR970001982B1 (ko) 멀티 콤팩트 디스크 플레이어 및 디스크 플레이 방법
JP2700723B2 (ja) カセット装填装置
JP3026983B2 (ja) ディスクローディング装置
JPH0325317Y2 (ko)
JPS615467A (ja) カセツト式テ−プレコ−ダ
JP2668173B2 (ja) カセット装填装置
KR950001389Y1 (ko) 디스크 플레이어의 디스크 인출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