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60014178B1 - 프로세서 상태정보테이블을 이용한 분산시스팀에서의 프로세서 상태관리 방법 - Google Patents

프로세서 상태정보테이블을 이용한 분산시스팀에서의 프로세서 상태관리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60014178B1
KR960014178B1 KR1019930021723A KR930021723A KR960014178B1 KR 960014178 B1 KR960014178 B1 KR 960014178B1 KR 1019930021723 A KR1019930021723 A KR 1019930021723A KR 930021723 A KR930021723 A KR 930021723A KR 960014178 B1 KR960014178 B1 KR 96001417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ocessor
state
test
status
om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3002172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50012243A (ko
Inventor
김현숙
김철수
김한경
Original Assignee
조백제
한국전기통신공사
양승택
재단법인한국전자통신연구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조백제, 한국전기통신공사, 양승택, 재단법인한국전자통신연구소 filed Critical 조백제
Priority to KR1019930021723A priority Critical patent/KR960014178B1/ko
Publication of KR95001224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5001224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6001417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014178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5/00Digital computers in general; Data processing equipment in general
    • G06F15/16Combinations of two or more digital computers each having at least an arithmetic unit, a program unit and a register, e.g. for a simultaneous processing of several program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onitoring And Testing Of Exchanges (AREA)
  • Exchange Systems With Centralized Control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프로세서 상태정보테이블을 이용한 분산시스팀에서의 프로세서 상태관리 방법
제1도는 본 발명이 적용된 ATM교환기의 각 모듈별 프로세서 구성도.
제2도는 본 발명에 따른 프로세서 상태 관리 방법에 대한 처리 흐름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OMP(Operation and Maintenance Processor)
2 : NSCP(Network Synchroization Control Processor)
3 : MMCP(Man Machine Control Processor)
4,11 : BCP(Broadcasting Call Processor)
5 : CIMP(Central Interconnection Maintenance Processor)
6 : RCIP(Remote Center Interface Processor)
7 : GSP(Global Service Proocessor)
8,13 : NTP(Number Traslation Processor)
9 : SCP(Subscriber Call Processor)
10 : TCP(Trunk Call Processor)
12 : ASMP(Access Switching Maintenance Processor)
14 : SH(Signalling Handler)
본 발명은 건전자교환기와 같은 분산처리 시스팀에서 운용 및 유지 보수 프로세서(Operation and Maintenance Processor ; 이하, OMP라함)에 부하를 주지않고 프로세서 상태정보테이블을 이용한 프로세서 상태관리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전전자교환기와 같은 분산처리 시스팀은 수십내지 수천개의 프로세서로 이루어져 있으므로, 프로세서들의 상태를 주기적으로 관리해야 하며, 시스팀 부하를 최소화하면서 정확하게 상태를 관리해댜 한다. 각 프로세서의 상태관리는 OMP가 수행하는 데 OMP는 프로세서 상태관리 기능 이외에도 시스팀의 운용, 유지보수에 관련되어 시스팀 재시도, 운용에 관련된 제어기능, 시험기능, 다양한 트래픽 정보, 통계 및 과금정보의 수집관리 기능, 가입자 관리 기능등을 수행하기 때문에 부하가 많이 걸린다. 따라서, 어느 프로세서가 비정상적인 상태에 있는지 알고 신속히 복구하기 위해서는 시험주기가 빨라져야 하고, 이를 위해서는 OMP의 부하를 최소화할 수 있는 상태관리 방법이 필요하다. 그런데, 이 방법은 모든 프로세서를 어드레스 순서에 따라 상태 시험을 하고 비정상(Not-OK)적인 프로세서를 발견하면 상태정보테이블에 비정상 프로세서에 관한 정보를 기록한다(프로세서 상태가 정상(OK)인 경우에는 상태정도테이즐에 기록할 필요 없다). 이 상태정보테이블은 마지막 프로세서까지 상태시험을 완료한 후에 OMP로 돌려주어 OMP가 프로세서 상태를 관리할 수 있도록 한다.
기존의 상태관리 방법은 OMP로 매번 각 프로세서로 상태시험을 요구하고 상태시험을 요구받은 프로세서는 상태가 정상이든 비정상이든 OMP로 매번 응답을 보내야 한다. 따라서, 기존의 방법은 모든 프로세서가 OMP와 상태시험에 관련된 메시지를 주고 받기 때문에 교환기와 같은 분산 시스팀에서 수백 내지 수천개의 프로세서 상태를 관리해야 하는 PMP에 많은 부하를 주어 병목현상을 초래하게 되고, 이런 과부하로 인해 프로세서 상태시험을 자주 수행할 수 없어서 프로세서의 정확한 상태파악이 힘들어 비정상적인 프로세서를 신속히 발견하고, 또 복구하기 어려워지는 단점이 있다.
상기 종래 기술에 대한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본 발명은, 마지막에 위치한 프로세서까지 상태 시험을 완료한 후 모든 비정상 프로세서에 관한 정보를 상태정보테이블에 기록하여 OMP로 알려주므로 기존의 방법에 비해 부하를 줄일 수 있고, 상태정보 테이블을 사용하기 때문에 고장난(fault)프로세서의 정보를 가져올 수 있고 타이머를 이용하여 평균 확산 지연 시간(average propagation delay time)을 알 수 있으며, 또한 기존의 방법에 비해 부하가 적기 때문에 프로세서 상태 시험을 자주할 수 있어서 비정상 프로세서를 보다 빨리 발견하고 이에 대한 복구 처리를 신속히 할 수 있도록 한 프로세서 상태정보테이블을 이용한 분산시 스팀에서의 프로세서 상태관리 방법을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OMP(Operation and Maintenance Processor), NSCP(Network Synchronization Control Processor), MMCP(Man Machine Control Processor), BCP(Broadcasting Call Processor), CIMP(Central Interconnection Maintenance Processor), RCLP(Remote Center Interface Processor), GSP(Global Service Processor), NTP(Number Translation processor), SCP(Subscriber Call Processor), TCP(Trunk Call Processor), ASMP(Access Switiching Maintenance Processr), SH(Signalling Handler)를 구비하는 교환기에 적용되는 프로세서 상태관리 방법에 있어서, 상기 OMP가 상태 시험을 하고자 하는 프로세서로 상태시험을 요구하고 관련 타이머를 작동하게 하면 상태시험을 요구받은 프로세서가 자신의 상태를 시험하는 제1단계; 상기 제1단계 수행 후, 시험결과가 정상이면 상태시험완료를 상기 OMP로 보내고 타이머를 완료하게 하며 다음에 위치한 프로세서를 시험하도록 요구하는 제2단계; 상기 제1단계 수행후, 프로세서 상태가 비정상이면 비정상 상태임을 상태정보테이블에 기록하여 다음에 위치한 프로세서로 상태시험요구메시지를 송신하고 관련 타이머를 작동하게 하는 제3단계; 및 상기 제2단계 및 제3단계 수행후, 마지막 프로세서의 상태를 시험할 때까지 반복하고 마지막 프로세서를 시험한 후 상태 정보테이블을 OMP로 보내고 종료하는 제4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제1도는 본 발명이 적용되는 ATM교환기의 각 모듈별 프로세서 구성도로서, OMP(1), NSCP(2), MMCP(3), BCP(4), CIMP(5), RCIP(6), GSP(7), NTP(8), SCP(9), TCP(10), BCP(11), ASMP(12), NTP(13), SH(14) 순서로 위치해 있다고 가정한다.
OMP(1)는 시스팀내의 일련의 운용과 유지보수 관련 기능을 총괄한다. 따라서, 이에 필요한 보조 기억장치로 마그네틱 테이프(MT) 및 디스크를 관장한다.
MT에는 요금 기록, 통계, 유지보수, 운용관리 정보등이 수록되며, 디스크에는 일반 프로그램(generic program) 및 데이터 등이 수록된다. NSCP(2)(Network Synchronization Control Processor)는 망동기 장치를 제어한다. MMCP(3)(Man Machine Control Processor)는 운용자와 시스팀간의 대화를 가능하게 한다. 운용자와 시스팀간의 대화를 위해서는 시스팀 콘솔을 포함한 VDU(Visual Display Unit)들과 출력데이터를 하드카피하기 위한 프린터들이 사용된다. VDU의 가시성(visiblity) 보완, 명령화일(command file), 로깅 파일(logging file)저장 등의 용도로 로컬 디스크(local disk)를 활용한다.
BCP(4)(Broadcasting Call Processor)는 다중접속(방송)관련 서비스 제공을 위한 호/접속 제어를 관장하는 프로세서로서 CIM(Central Interconnection Module)과 ASM(Access Switching Module)에 위치하여 CIM과 착신측 ASM호 처리과정의 전반적인 다중 접속 기능을 제어한다.
CIMP(5)(Centrol Interconnection Maintenance Processor)는 CIM내의 장애수집 및 하드웨어 자원에 대한 시험등 CIM내에서의 유지보수 업무에 대한 제어를 과장한다.
RCIP(Remote Center Interface Processor)는 원격 운용 센터 혹은 TMN(Telecommunication Management Network)과의 통신을 제어하하며, 필요에 따라서는 프로토콜 변환기능을 수행한다.
GSP(7)(Global Service Processor)는 녹음안내방송 등과 같은 시스팀 전반적으로 제공하는 시스팀 서비스를 제어한다.
NTP(8)(13)(Number Translation Processor)는 각 SCp(9), TCP(10) 및 BCP(11)로부터의 번호번역 요구에 응답하게 되며, ASM번호 번역과 각 ASM에 수용된 링크 ID번역을 수행한다.
SCP(9)(Subscriber Call Processor)는 UNI프로토콜을 사용하는 일반 가입자의 호 처리를 수행하는 프로세서로서 가입자 정합회로와 함께 호수락 제어, UPC, 우선순위 제어, 혼잡제어(congestion control)등 전반적인 트래픽 제어를 수행한다.
TCP(10)(Trunk Call Processor)는 NNI(Network Node Interface)프로토콜을 사용하는 망과의 호처리를 수행하는 프로세서로서 중계선 정합 회로와 함께 입/출력호에 대한 호/접속 제어를 수행하며, 망과의 정합에 필요한 모든 기능을 관장한다.
ASMP(12)(Access Switching Maintenance Processor)는 ASM내의 장애수집 및 하드웨어 자원에 대한 시험등 ASM내에서 유지보수 업무에 대한 제어를 관장한다.
SH(Signalling Handler)는 UNI/NNI프로토콜 상의 신호정보 셀을 종단시키고 SCP, TCP 혹은 BCP와 함께 신호정보를 처리한다.
상기한 바와 같은 각각의 기능블럭을 이용한 전체적인 설명은 아래와 같다.
OMP(1)가 프로세서 상태시험요구메세시를 처음에 위치한 NSCP(2)로 보내면서 NSCP(2)와 관련된 타이머를 작동시킨다. NSCP(2)와 관련된 타이머를 멈춘다. NSCP(2)는 MMCP(3)로 상태시험요구메시지를 보내면서 MMCP(3)와 관련된 타이머를 작동시킨다.
NSCP(2)의 상태가 비정상이면 (NSCP(2)관련 타이머가 만료되도록 응답이 없는 경우) OMP(1)(상태시험요구메시지를 보낸 프로세서가 OMP(1)임)는 NSCP(2)가 비정상임을 상태 정보테이블에 기록하고 MMCP(3)로 상태시험요구메시지를 보낸 뒤 MMCP(3)관련 타이머를 작동시킨다.
상태시험요구메시지를 받은 MMCP(3)도 동일한 방법으로 프로세서 상태를 시험한 후 상태가 정상이면 MMCP(3)에게 상태시험요구메시지를 보냈던 프로세서로 상태시험완료메시지를 보내고, BCP(4)로 상태시험요구메시지를 보내면서 BCP(4) 관련 타이머를 작동시킨다. MMCP(3)의 상태가 비정상적이면 MMCP(3)에게 상태시험요구메시지를 보냈던 프로세서는 MMCP(3)가 비정상임을 상태정보체이블에 기록하고 BCP(4)로 상태시험요구메시지를 보내면서 BCP(4)관련 타이머를 작동시킨다. 마지막 프로세서인 SH(14)의 상태시험이 완료된 때까지 상기한 과정이 반복되고 SH(14)의 상태시험이 완료된 휴 상태정보테이블을 OMP(1)로 보내어 OMP(1)가 비정상 프로세서를 복구할 수 있도록 한다.
이 방법은 OMP(1)가 중앙에 속해져서 모든 프로세서의 상태를 어드레스 순서에 따라 순차적으로 관리한다. OMP(1)에는 모든 프로세서의 어드레스 및 타이머(각 프로세서의 상태를 시험하는 데 필요한 시간)관련 정보 테이블을 가진다. 모든 프로세서는 자신의 프로세서 이후에 존재하는 프로세서들으어드레스 및 타이머(각 프로세서의 상태정보를 시험하는 데 필요한 시간)관련 정보테이블을 가진다. 프로세서 상태시험 후 발견한 비정상 프로세서에 관련된 정보는 상태정보테이블에 기록한다.
제2도는 본 발명에 따른 프로세서 상태 관리 방법에 대한 처리 흐름도이다. OMP(1)가 처음에 위치해 있는 프로세서로 상태시험을 요구하면서 그 프로세서와 관련된 타이머를 작동시킨다(15). 상태시험을 요구받은 프로세서는 자신의 상태를 시험해서 (16) 그결과 정상이면 상태시험완료메시지를 OMP(1)로 보내면서 타이머를 멈추고(17), 다음에 위치한 프로세서를 시험하도록 요구하면서 그 프로세서와 관련된 타이머를 작동시킨다(18).
상기 상태 시험(18)결과, 프로세서 상태가 비정상이면 현재 시험을 요구받은 프로세서의 앞에 위치한 프로세서는 요구받은 프로세서가 비정상임을 상태정보테이블에 기록하여(19)다음에 위치한 프로세서로 상태시험요구메시지와함께 상태시험요구메시지를 받은 프로세서는 자신의 프로세서를 시험해서 동일한 방법을 사용하여 그 결과를 다음에 취한 프로세서로 상태시험요구메시지와 함께 보내고 관련 타이머를 작동시키고(20), 이런 과정은 마직막에 위치한 프로세서의 상태를 시험할 때까지 계속되고 마지막 프로세서를 시험(21)한 후 상태 정보테이블을 OMP(1)로 보낸다(22).
OMP(1)는 이 상태정보테이블을 이용하여 비정상 프로세서를 복구시키면 된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효과는 OMP에 부하를 적게 주고, 상태정보테이블을 사요하기 때문에 비정상 프로세서 정보를 가질 수 있고, 부하를 덜 주기 때문에 프로세서 상태 시험을 자주 시행할 수 있으므로 비정상 프로세서를 보다 빨리 발견하고 복구할 수 있으며 정확한 상태를 파악할 수 있다.

Claims (1)

  1. OMP(Operation and Maintenance Processor)(1), NSCP(Network Synchronization Control Processor)(2), MMCP(Man Machine Control Processor)(3), BCP(Broadcasting Call Processor)(4),(11)CIMP(Central Interconnection Maintenance Processor)(5), RCIP(Remote Center Interface Processor)(6), GSP(Global Service Processor)(7), NTP(Number Translation processor)(8),(13) SCP(Subscriber Call Processor)(9), TCP(Trunk Call Processor)(10), ASMP(Access Switiching Maintenance Processr)(12), SH(Signalling Handler)(14)를 구비하는 교환기에 적용되는 프로세서 상태관리 방법에 있어서, 상기 OMP(1)가 상태 시험을 하고자 하는 프로세서로 상태시험을 요구하고 관련 타이머를 작동하게 하면 상태시험을 요구받은 프로세서가 자신의 상태를 시험하는 제1단계(15, 16); 상기 제1단계(15, 16) 수행 후, 시험결과가 정상이면 상태시험완료메시지를 상기 OMP(1)로 보내고 타이머를 완료하게 하며 다음에 위치한 프로세서를 시험하도록 요구하는 제2단계(17, 18); 상기 제1단계(15, 16) 수행후, 프로세서 상태가 비정상이면 비정상 상태임을 상태정보테이블에 기록하여 다음에 위치한 프로세서로 상태시험요구메시지를 송신하고 관련 타이머를 작동하게 하는 제3단계(19, 20); 및 상기 제2단계(17, 18) 및 제3단계(19, 20) 수행후, 마지막 프로세서의 상태를 시험할 때까지 반복하고 마지막 프로세서를 시험한 후 상태 정보테이블을 OMP(1)로 보내고 종료하는 제4단계(21, 22)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세서 상태정보테이블을 이용한 분산시스팀에서의 프로세서 상태관리 방법.
KR1019930021723A 1993-10-19 1993-10-19 프로세서 상태정보테이블을 이용한 분산시스팀에서의 프로세서 상태관리 방법 KR96001417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30021723A KR960014178B1 (ko) 1993-10-19 1993-10-19 프로세서 상태정보테이블을 이용한 분산시스팀에서의 프로세서 상태관리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30021723A KR960014178B1 (ko) 1993-10-19 1993-10-19 프로세서 상태정보테이블을 이용한 분산시스팀에서의 프로세서 상태관리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50012243A KR950012243A (ko) 1995-05-16
KR960014178B1 true KR960014178B1 (ko) 1996-10-14

Family

ID=1936614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30021723A KR960014178B1 (ko) 1993-10-19 1993-10-19 프로세서 상태정보테이블을 이용한 분산시스팀에서의 프로세서 상태관리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60014178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50012243A (ko) 1995-05-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0411798B1 (en) End-to-end network surveillance
US5864608A (en) System and method for formatting performance data in a telecommunications system
JP3407016B2 (ja) 網管理システム
KR960014178B1 (ko) 프로세서 상태정보테이블을 이용한 분산시스팀에서의 프로세서 상태관리 방법
KR100285331B1 (ko) 사설교환기에서의통계데이터생성장치
KR960010869B1 (ko) 분산시스팀에서의 프로세서 상태관리 및 감사 방법
KR100292156B1 (ko) 통화정보수집방법 및 그를이용한통화정보수집분배장치
WO1997050209A1 (en) A method for fault control of a telecommunications network and a telecommunications system
KR960015606B1 (ko) 순방향, 역방향 항해 기법을 이용한 프로세서 상태 관리 방법
KR100274848B1 (ko) 망관리 시스템에서의 망관리 방법
KR100266990B1 (ko) 이동통신교환기의과금데이터제어장치
KR0168883B1 (ko) 종합정보통신망의 디지탈 가입자에 대한 회선 경로 시험방법
KR970007401B1 (ko) 분산처리시스템에서 고장자원별 사건번호를 이용한 고장관리방법
KR950011481B1 (ko) 교환기의 프로세서간 통신망에서 노드의 경보주소 생성방법 및 경보주소 생성시스템
KR100236980B1 (ko) 통신관리망 환경에서 교환기의 보드 탈장/실장 경보 처리 방법
KR20020051615A (ko) 초고속 정보통신 통합망 관리 체계에서 프레임릴레이망의관리 정보 불일치 감지 및 보정 방법
KR20050076406A (ko) 통신 관리 네트워크에서 네트워크 소자에 대한 관리시스템 및 그 관리 방법
KR100249859B1 (ko) 차세대지능망 지능형정보제공시스템 지능망응용프로토콜 시험장치
JP3084873B2 (ja) 空加入者の加入者回路自動試験方法
KR100856258B1 (ko) 이동통신 교환기에서 그룹서비스를 이용한 과금정보 수집방법
KR100210816B1 (ko) 전전자 교환 시스템에서의 집중과금 처리장치
KR100239052B1 (ko) 전전자교환기에 있어서 콜레지스터 감사방법
JP3581182B2 (ja) 情報通信ネットワーク方式
KR100239053B1 (ko) 전전자교환기에 있어서 중계선상태 출력방법
KR19980016046A (ko) Tdx-10계열 교환기의 호처리장애시 원격교환모듈의 단독기능수행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