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68883B1 - 종합정보통신망의 디지탈 가입자에 대한 회선 경로 시험방법 - Google Patents

종합정보통신망의 디지탈 가입자에 대한 회선 경로 시험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0168883B1
KR0168883B1 KR1019940034261A KR19940034261A KR0168883B1 KR 0168883 B1 KR0168883 B1 KR 0168883B1 KR 1019940034261 A KR1019940034261 A KR 1019940034261A KR 19940034261 A KR19940034261 A KR 19940034261A KR 0168883 B1 KR0168883 B1 KR 016888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st
subscriber
result
matching device
subscriber match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4003426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60027698A (ko
Inventor
신경철
예병호
우왕돈
Original Assignee
양승택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조백제
한국전기통신공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양승택,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조백제, 한국전기통신공사 filed Critical 양승택
Priority to KR1019940034261A priority Critical patent/KR0168883B1/ko
Publication of KR96002769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02769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6888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68883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QSELECTING
    • H04Q3/00Selecting arrangements
    • H04Q3/0016Arrangements providing connection between exchanges
    • H04Q3/0062Provisions for network management
    • H04Q3/0087Network testing or monitoring arrangement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31/00Arrangements for testing electric properties; Arrangements for locating electric faults; Arrangements for electrical testing characterised by what is being tested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1R31/28Testing of electronic circuits, e.g. by signal tracer
    • G01R31/317Testing of digital circuits
    • G01R31/31712Input or output aspects
    • G01R31/31716Testing of input or output with loop-back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QSELECTING
    • H04Q11/00Selecting arrangements for multiplex systems
    • H04Q11/04Selecting arrangements for multiplex systems for time-division multiplexing
    • H04Q11/0428Integrated services digital network, i.e. systems for transmission of different types of digitised signals, e.g. speech, data, telecentral, television signals
    • H04Q11/0435Details
    • H04Q11/045Selection or connection testing arrang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onitoring And Testing Of Exchanges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ISDN(Inteligented Services Digital Nerwork)전전자교환기에서 디지탈 가입자의 회선에 대한 전송 프레임이 가입자 댁내의 NT(Network Termination)에서 교환기의 가입자 정합 장치간에 정상적으로 송수신이 되는가를 시험하는 ISDN의 디지탈 가입자에 대한 디지탈 루프백 시험방법에 관한 것으로, 가입자 정합 장치를 구동하고 시간 스위치를 연결하는 제1단계와, 시험환경이 구성된 후 DST와 ITEC간 상호작용에 의해 디지탈 회선의 루프백 시험을 진행하는 제2단계와, 상기 루프백 시험이 완료된 후 시간 스위치를 해제하고 가입자 정합 장치를 해제하는 제3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여 디지탈 가입자 회선의 프레임 전송에서 회선의 전송 효율에 대한 상태를 운용자가 시험을 통해 이해함으로써 시스템 운용시 대처할 수 있는 방법을 빠르게 판단하거나 회선의 고장 위치를 파악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종합정보통신망의 디지탈 가입자에 대한 회선 경로 시험방법
제1도는 본 발명이 적용되는 ISDN전전자 교환 시스템의구성 블럭도.
제2도는 가입자 모듈의 구성도.
제3도는 가입자 시험이 진행되는 블럭간 정합도.
제4도는 디지탈 가입자 회선 경로 시험 환경 구성도.
제5도는 본 발명에 따른 종합정보통신망의 다지탈 가입자에 대한 회선 경로 시험방법의 수행과정을 나타내는 일실시예 흐름도.
제6도는 제5도의 회선 경로 시험을 위한 가입자 정합 장치의 구동 과정을 나타내는 일실시예 흐름도.
제7도는 제5도의 회선 경로 시험 처리 과정을 나타내는 일실시예 흐름도.
제8도는 제5도의 회선 경로 시험을 위한 가입자 정합 장치 해제 처리 과정을 나타내는 일실시예 흐름도.
본 발명은 ISDN(Intergrated Service Digital Network)전전자 교환기에서 디지탈 가입자의 회선에 대한 전송 프레임이 가입자 댁내의 NT(Network Termination)에서 교환기의 가입자 정합 장치간에 정상적으로 송수신이 되는가를 시험하기 위하여 루프백을 이용한 ISDN의 디지탈 가입자에 대한 회선 경로 시험방법에 관한 것이다.
기존의 교환기에서는 수용되는 가입자가 아날로그 가입자만 존재하여 회선의 금속성(metallic)시험만 하면 회선의 이상 유무를 판단할 수 있었다. (여기서 금속성 시험은 전류, 전압 그리고 정전 용량을 측정하는 시험을 말한다.)
그러나, 상기한 바와 같은 전전자 교환기가 ISDN 교환기로 개발되면서 가입자의 전송에 관여하는 프레임의 정상적인 전송를 시험할 필요가 대두되고 있었으나, 기존의 경우는 이에 대한 적절한 시험 방법이 전혀 제시되지 아니 하였는데, ISDN 교환기에서 디지탈 가입자 회선에 대해 프레임의 전송이 정상적으로 이루어졌는지 여부를 시험하기 위한 방안이 절실히 요구되고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요구를 충족시키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가입자 댁내의 설비중 NT(Network Termination)와 교환 시스템내의 가입자 정합 장치를 엔드 포인트(end point)로 지정해, 가입자 정합 장치(LT: Line Termination)와 가입자 댁내의 NT(Network Termination)간에 회선 시험 경로를 구성하고, 소정 시험 패턴을 상기 시험 경로에 발생시키므로써, 교환 시스템에서 가입자 댁내의 상기 NT까지의 전송 구간에 이상 유무를 검증할 수 있는 종합정보통신망의 디지탈 가입자에 대한 회선 경로 시험 방법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호처리 기능과 자체적인 운용 및 유지보수를 수행하는 ASS(Access Switching Subsystem)와, 시스템의 총괄적인 유지보수 및 운용 관련 기능, 통계, 보조 기억장치를 제어하는 CCS(Central Control Subsystem)와, 상기 호처리 기능중 번호 번역, 루트 제어 기능, 시간 스위치, 가입자 정합 장치 및 루프백 점의 연결 같은 집중 기능 등을 수행하며, 상기 ASS 상호간 혹은 상기 ASS와 CCS사이를 광 링크(Optical Link)로 연결하는 INS(Interconnection Network Subsystem)을 구비하는 ISDN(Integrated Services Digital Network)전전자 교환 시스템에 적용되는 종합정보통신망 디지탈 가입자에 대한 회선 경로 시험방법에 있어서, 가입자의 상태가 시험 가능한 상태인지를 점검하는 제1단계;
상기 제1단계의 검사 결과 시험이 가능하면, 시험 패턴 발생 및 전송 과정에서의 오류 유무를 측정하기 위한 시험 장비를 점유하고, 측정한 대상 가입자의 정합 장치를 구동하는 제2단계; 상기 가입자 정합 장치와 시험장비를 연결하기 위해, 상기 시간 스위치를 연결하여 회선 시험 경로를 구성하는 제3단계; 상기 시험 장비로 회선 경로 시험을 요구하고, 시험 환경이 구성된 후 회선 경로 시험을 수행하는 제4단계; 상기 제4단계후 상기 시간 스위치, 가입자 정합 장치 및 시험 장비를 순차적으로 해제하는 제5단계; 및 시험상태로 변경한 가입자의 상태를 원래대로 환원하는 제6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요점을 간략하게 설명하면, 교환기에서 발생한 디지탈 패턴이 디지탈 가입자의 회선을 경유하여 다시 송신한 시험 장비로 수신되었을 때 패턴의 내용이 송신할 때와 수신되었을 때 차이가 없는가를 시험하기 위해 시험 경로의 구성과 시험 장비, 가입자 정합 장치, NT, 그리고 각종 시험 자원을 제어하는 것이다.
이렇게 함으로써 본 발명의 목적인 디지탈 회선 경로 시험을 실시할 수 있고, 디지탈 회선의 이상이 발생하였을 때 이상으로 추정되는 지점을 확인, 판단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제1도는 본 발명이 적용되는 ISDN 전전자 교환시스템의 구성 블록도이다.
제1도는 도시한 바와같이, 가입자 및 중계선 정합, 시간 스위치, 각종 신호 장치, 패킷 처리기 등을 구비하여 대부분의 호처리 기능과 자체적인 운용 및 유지보수를 수행하는 ASS(Access Switching Subsystem)과, 시스템의 총괄적인 유지보수 및 운용 관련 기능, 통계, 마그네틱 테이프나 디스크 같은 보조 기억 장치를 제어하는 CCS(Central Control Subsystem)와, 호처리 기능중 번호 번역, 루트 제어기능, 시간 스위치의 연결 같은 집중 기능 등을 수행하며 망동기 장치를 구비하여 시스템의 클럭을 생성, 배급하고 ASS 상호간 혹은 ASS와 CCS사이을 광 링크(Optical Link)로 연결하는 INS(Interconnection Network Subsystem)으로 이루어진다.
제2도는 가입자 모듈의 구성도이다.
제2도에 보인 바와 같이, 가입자는 ASS에 수용되며 수용되는 가입자에 따라 ASS의 종류가 나누어 지는데, 본 발명이 적용되는 가입자는 디지탈 가입자가 수용되는 ASS-I, AAS-SI가 있다.
상기 ASS-1는 디지탈 가입자만 수용되는 시스템으로 최대 4개의 PP(Peripheral Processor)가 실장되고 각 PP당 512 가입자를 수용한다. 그리고 상기 ASS-SI는 디지탈 가입자와 아날로그 가입자는 혼합한 형태로 수용된 시스템으로 역시 최대 4개의 PP를 수용하며 이는 아날로그 가입자를 수용하는 ASIP(Analog Subscriber Peripheral Processor)과 디지탈 가입자를 수용하는 ISAP(ISDN Subscriber Access Processor)가 실장된다.
상기 ISAP가 최대 512 가입자를 수용하는 반면 상기 ASIP는 최대 2048 가입자를 수용한다. ASS-SI는 PP를 구성하는 방법에 따라 수용되는 가입자 수가 달라진다.
제3도는 가입자 시험이 진행되는 불럭간 정합도이다.
제3도에 나타낸바와 같이, 운용간의 요구가 있을 때 MMS(Man Machine Subsystem)로 부터 시험 주관 불럭인 LTTM(Line and Trunk Test Management)으로 운용자의 시험요구가 전달되면 LTTM에서는 해당 가입자가 실장된 ASS 번호와 해당 ASS내에서 실장번호를 NDH(Number Data Handling)로 문의하여 시험 가입자가 실장된 ASS로 운용자가 요구한 시험 변수를 전달한다. ASS에서는 DST(Digital Subscriber Test)블럭에서 입력 변수를 수신하여 시험을 진행한다.
제4도는 디지탈 가입자 회선 경로 시험의 시험 환경 구성도이다.
제4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디지탈 가입자를 시험하는 시험 경로는 ASP내의 시험 장비, 시간 스위치, 그리고 가입자 정합장치가 연결되어야 한다. 이들의 경로는 시험 블럭인(Digital Subscriber Test)블럭에서 서로 연결시킨다. 시험에서 루프백 점은 루프하고자 하는 위치에 따라 다르다. 가입자 정합 장치. 즉 LT(Line Termination)에서 될수도 있고 NT(Network Termination)에서도 될 수 있다. 그리고 PMUX(Primary Multiplex)같은 경우에는 루프백 점이 PMUX가 될 수도 있다. 즉, 이 루프백 점은 시험을 하는 운용자의 판단에 의거해서 시험을 한다.
시험 경로가 DST 블럭에 의해 구성이 되면 DST 블럭의 시험 요구를 수신한 ITEC(ISDN Test Equipment Control)시험 장비에서는 시험 패턴을 발생하는데 이 시험 패턴은 시간 스위치, 가입자 장치, 루프백 점을 경유한 후 다시 가입자 정합장치, 시간 스위치를 거쳐 시험정비로 되돌아 온다. 시험 장비에서는 바로 다시 되돌아온 패턴이 시험 시작시 전송한 것과 같은지를 확인하는 것이다.
제5도는 본 발명에 따른 종합정보통신망의 디지탈 가입자에 대한 회선 경로 시험 방법의 수행과정을 나타내는 일실시예 흐름도이다.
제5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디지탈 가입자 회선 경로 시험을 위해 우선, 가입자의 상태가 시험이 가능한 상태인지를 점검한다(501). 그리고 시험 패턴을 발생하고 다시 그 패턴을 수신하여 전송과정에서의 오류유무를 측정하기 위한 시험장비(ITEC)를 점유하고(502), 측정해야 할 가입자의 정합 장치로 가입자를 구동해야 한다(503). 그리고 가입자 정합장치와 시험 장비를 연결하기 위해 시간 스위치를 연결하면( 504), 시험 경로 구성이 완료된다.
DST블럭에서 ITEC시험 장비로 회선 경로 시험을 요구하고 그 결과를 수신한다(505). 이러한 과정을 통해, 시험이 완료되면, 새험 준비 단계에서의 동작과는 반대로 시험 자원을 해제한다. 먼저, 연결한 시간 스위치를 절단하고(506), 가입자 정합장치에서 구동된 루프백 점을 해제하거나 또는 활성화된 회선을 비활성화시킨다(507). 또한, 점유된 시험 장비를 해제하고(508), 시험 상태로 변경한 가입자의 상태를 원래대로 환원한다(509).
제6도는 제5도의 회선 경로 시험을 위한 가입자 정합 장치의 구동 과정을 나타내는 일실시예 흐름도이다.
제6도에 보인 바와같이, 가입자가 시험할 수 있는 상태로 되면 DST 블럭에서는 가입자 정합장치의 상태를 시험할 수 있는 상태로 변경한다. 가입자 회선의 상태가 활성화되어야만 회선에서 프레임을 주고 받을 수 있다. 그러나 루프백점이 LT인 경우에는 활성화하지 않아도 된다.
루프백 점이 NT이거나 PMUX인 경우에는 계층 1의 활성화를 요구하고(601), 활성화 결과 대기상태가 된다(602). 가입자 정합 장치에서 회선을 활성화한 후 DST로 그에 대한 결과를 전송하면 DST에서 이를 수신하여(603), 다시 루프백 점 설정을 요구한 후(604), 루프백 점 설정 결과 대기상태가 된다(607). 그러나 활성화에 대한 결과를 수신하지 못하면(605), 시험을 실시하지 않고 점유한 자원은 해제하고 시험을 종료한다(606).
상기 루프백 점 설정 결과 대기상태에서 루프백 점 설정 요구에 대한 결과를 수신하면(608), 가입자 정합 장치의 구동 루틴은 종료된다(609). 그리고 루프백 점 설정 요구에 대한 결과를 수신하지 못하면(610), 활성화 요구에서 결과를 수신하지 못한 것과 같이 점유왼 자원들을 해제하고 시험을 종료한다(611).
제7도는 제5도의 회선 경로 시험 처리 과정을 나타내는 일실시예 흐름도이다.
제7도는 보인 바와 같이, 시험 환경이 모두 구성이 되었으므로 DST블럭에서는 ITEC시험 장비로 시험을 요구하고(701). 시험 결과 대기상태가 된다(702). 시험장비는 시간 스위치, 가입자 정합 장치, 루프백 점 다시 가입자 정합 장치, 시간 스위치를 거쳐 시험 장비로 돌아오는 시험 패턴을 분석하여 그 결과를 DST블럭으로 전송하고(703), 시험을 종료한다(704). 회선 경로 시험은 BER(Bit Error Rate)시험으로 전체 시험 비트수와 시험 시간 그리고 오류의 비트수를 가지고 있다. 그리고 ITEC로 부터 시험 결과를 수신하지 못하면(705), 점유한 자원을 모두 해제하고 시험을 종료한다(706).
제8도는 제5도의 회선 경로 시험을 위한 가입자 정합 장치 해제 처리 과정을 나타내는 일실시예 흐름도이다.
제8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DST 블럭에서 가입자 정합 장치로 루프백 점의 해제를 요구하고(801), 루프백 점 해제 결과 대기 상태(802)로 간다. 가입자 정합장치에서는 해당 시험의 가입자 디지탈 루프백 점을 해제하고 그 결과를 DST블럭으로 전송한다. 따라서 상기 결과를 수신한(803)DST블럭에서는 다시 가입자 정합 장치로 계층 1의 비활성화를 요구하고(804), 계층 1 비활성화 결과 대기 상태로 간다(807). 루프백 점 해제 결과 대기 상태에서 결과를 수신하지 못하면(805), 계층1의 비활성화 역시 동작이 되지 않으므로 점유한 시험 자원을 해제하고 시험을 종료한다(806). 계층 1 비활성화 결과 대기 상태에서 계층 1 비활성화 결과를 수신하면(808), 가입자 정합 장치의 시험 환경 요소는 모두 해제되었으므로 본 루틴을 종료한다(809). 그러나 계층 1 비활성화 결과 대기 상태에서 결과를 수신하지 못하더라도(801), 본 루틴은 종료된다(811).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은 상기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라 구체적으로 기술되었으나, 상기한 실시예는 그 설명을 위한 것이며 그 제한을 위한 것이 아님을 주의하여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기술분야의 통상의 전문가라면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내에서 다양한 실시예가 가능함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디지탈 가입자 회선의 프레임 전송에서 회선의 전송 효율에 대한 상태를 운용자가 시험을 통해 이해함으로써 시스템 운용시 발생되는 환경변화 및 장애 등에 대한 대처방안을 보다 신속히 확보하도록 하며, 회선의 고장 위치를 파악할 수 있도록 하므로써, 유지보수에 소요되는 인력 및 경비를 현저하게 줄일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Claims (5)

  1. 호처리 기능과 자체적인 운용 및 유지보수를 수행하는 ASS(Access Switching Subsystem)와, 시스템의 총괄적인 유지보수 및 운용 관련 기능, 통계, 보조기억 장치를 제어하는 CCS(Central Control Subsystem)와, 상기 호처리 기능중 번호 번역, 루트 제어 기능, 시간 스위치, 가입자 정합 장치 및 루프백 점의 연결 같은 집중 기능 등을 수행하며, 상기 ASS상호간 혹은 상기 ASS와 CCS사이를 광 링크(Optical Link)로 연결하는 INS(Interconnection Network Subsystem)을 구비하는 ISDN(Intergrated Services Digital Network)전전자 교환 시스템에 적용되는 종합정보통신망 디지탈 가입자에 대한 회선 경로 시험방법에 있어서, 가입자의 상태가 시험 가능한 상태인지를 점검하는 제1단계; 상기 제1단계의 검사 결과 시험이 가능하면, 시험 패턴 발생 및 전송 과정에서의 오류 유무를 측정하기 위한 시험 장비를 점유하고, 측정할 대상 가입자 정합 장치를 구동하는 제2단계; 상기 가입자 정합 장치와 시험 장비를 연결하기 위해, 상기 시간 스위치를 연결하여 회선 시험 경로를 구성하는 제3단계; 상기 시험 장비로 회선 경로 시험을 요구하고, 시험 환경이 구성된 후 회선 경로 시험을 수행하는 제4단계; 상기 제4단계후 상기 시간 스위치, 가입자 정합 장치 및 시험 장비를 순차적으로 해제하는 제5단계; 및 시험상태로 변경한 가입자의 상태를 원래대로 환원하는 제6단계를 포함하는 종합정보통신망의 다지탈 가입자에 대한 회선 경로 시험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3단계는, 계층 1의 활성화를 요구하고 활성화 결과 수신을 대기하는 제7단계; 상기 가입자 정합 장치에서 회선을 활성화한 후, 그에 대한 결과를 전송하고, 다시 루프백 점 설정을 요구한 후 루프백 점 설정 결과를 대기하는 제8단계; 및 상기 루프백 점 설정 결과 대기상태에서 루프백 점 설정 요구에 대한 결과를 수신하지 못하면 점유된 자원들을 해제하고 루프백 점 설정 요구에 대한 결과를 수신하면 종료되는 제9단계를 포함하는 종합정보통신망의 디지탈 가입자에 대한 회선 경로 시험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7단계는, 상기 활성화 결과 대기상태에서 활성화에 대한 결과를 수신하지 못하면 시험을 실시하지 않고 점유한 자원은 해제하는 제10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종합정보통신망의 디지탈 가입자에 대한 회선 경로 시험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4단계는, 상기 시험장비로 시험을 요구하고 시험결과 대기상태가 되는 제7단계; 시험결과 대기상태에서 상기 시험장비는 상기 시간 스위치, 가입자 정합 장치 및 루프백 점을 거치고 다시 상기 가입자 정합 장치, 시간 스위치를 거쳐 상기 시험 장비로 돌아오는 시험 패턴을 분석하여 그 결과를 전송하는 제8단계; 및 시험 결과 대기상태에서 시험 결과를 수신하지 못하면 점유한 자원을 모두 해제하고 시험을 종료하는 제9단계를 포함하는 종합정보통신망의 디지탈 가입자에 대한 회선 경로 시험 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5단계는, 상기 가입자 정합 장치로 루프백 점의 해제를 요구하고 루프백 점 해제 결과를 대기하는 제7단계; 상기 가입자 정합 장치가 해당 시험의 가입자 디지탈 루프백 점을 해제하면, 그 결과를 수신한 후, 다시 가입자 정합 장치로 계층 1의 비활성화를 요구하고 계층 1 비활성화 결과를 대기하는 제8단계; 상기 루프백 점 해제 결과 대기상태에서 결과를 수신하지 못하면 점유한 시험 자원을 해제하고 시험을 종료하는 제9단계; 및 상기 계층 1 비활성화 결과 대기 상태에서 계층 1 비활성화를 결과를 수신하면 가입자 정합 장치의 시험 환경 요소는 모두 해제되었으므로 종료하고, 상기 계층 1 비활성화 결과 대기 상태에서 결과를 수신하지 못하더라도 종료되는 제10단계를 포함하는 종합정보통신망의 디지탈 가입자에 대한 회선 경로 시험 방법.
KR1019940034261A 1994-12-14 1994-12-14 종합정보통신망의 디지탈 가입자에 대한 회선 경로 시험방법 KR016888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40034261A KR0168883B1 (ko) 1994-12-14 1994-12-14 종합정보통신망의 디지탈 가입자에 대한 회선 경로 시험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40034261A KR0168883B1 (ko) 1994-12-14 1994-12-14 종합정보통신망의 디지탈 가입자에 대한 회선 경로 시험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27698A KR960027698A (ko) 1996-07-22
KR0168883B1 true KR0168883B1 (ko) 1999-02-01

Family

ID=1940154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40034261A KR0168883B1 (ko) 1994-12-14 1994-12-14 종합정보통신망의 디지탈 가입자에 대한 회선 경로 시험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0168883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80408B1 (ko) * 2000-11-29 2003-04-11 삼성전자주식회사 스위치 보드를 이용한 피알아이 링크 루프백 시험 방법
KR100406234B1 (ko) * 2001-10-10 2003-11-17 엘지전자 주식회사 억세스 네트워크에서의 브이 5.2 가입자 상태 정보 교환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59912B1 (en) * 1997-01-17 2000-06-15 Samsung Electronics Co Ltd Time switch controlling method for diagnosing error of call route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80408B1 (ko) * 2000-11-29 2003-04-11 삼성전자주식회사 스위치 보드를 이용한 피알아이 링크 루프백 시험 방법
KR100406234B1 (ko) * 2001-10-10 2003-11-17 엘지전자 주식회사 억세스 네트워크에서의 브이 5.2 가입자 상태 정보 교환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27698A (ko) 1996-07-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353326A (en) Method for performing continuity check in an electronic exchange system
KR0168883B1 (ko) 종합정보통신망의 디지탈 가입자에 대한 회선 경로 시험방법
US6467055B1 (en) Test system for use with a communications network, and apparatus and method for testing digital data transfer within a communications network
US6373820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maintenance and repair of CAMA interface in PCX system
KR0173207B1 (ko) 전전자 교환기의 패킷 가입자 선로 루프백 시험 방법
KR950005988B1 (ko) 전전자 교환기의 통화로 제어 방법
KR0174404B1 (ko) 가입자 서비스 제어신호 추적기능 구현 방법
KR100236938B1 (ko) 비동기전달모드 교환시스템에서의 서로 다른 가입자 교환 서브시스템내 정합모듈간 경로 시험방법
KR960010869B1 (ko) 분산시스팀에서의 프로세서 상태관리 및 감사 방법
KR0131852B1 (ko) 종합정보통신망 교환시스템의 시간 스위치에서의 패킷고정경로 시험 방법
KR950011475B1 (ko) 서비스 교환기의 넘버.7(No.7) 신호방식 계층7 프로토콜 사용자부인 응용서비스요소의 초기화 방법
KR950011470B1 (ko) 서비스 교환기의 넘버.7(No.7) 신호방식 계층7 프로토콜 문답처리기능응용부의 초기화 방법
KR100281553B1 (ko) 지능형 정보제공 시스템에서의 안내 방송을 위한 지정 경로 설정 장치 및 그 방법
KR100292802B1 (ko) 시뮬레이터에서의 호감시방법
KR100247024B1 (ko) 유사 동기식 디지털 계위(pdh)호에 대한 비동기전송모드(atm) 궤환 시험 방법
KR960014425B1 (ko) 패킷경로 시험방법
KR100249859B1 (ko) 차세대지능망 지능형정보제공시스템 지능망응용프로토콜 시험장치
KR100261296B1 (ko) 전전자 교환기에서 인터넷 가입자 루프백 시험방법
KR950003683B1 (ko) 전전자 교환기의 디지틀 중계선의 비트에러율 시험 방법
KR100342486B1 (ko) 다중화장치에서 종합정보통신망 가입자의 디지털 루프캐리어서비스방법
KR100644284B1 (ko) 광가입자 전송장치의 관리자와 대행자간 운용관리 통신채널 상태 진단 방법
JPH09116937A (ja) 構内交換機の回線系インタフェース
KR20000044387A (ko) 로컬 교환기에서 종합정보통신망 가입자 포트관리방법
KR0127086B1 (ko) 종합정보 통신망 교환 시스템의 패킷고정 경로에서 공간 스위치에 대한 시험 방법
KR950013156B1 (ko) 전전자 교환기에서의 선별적 통화량 폭주 제어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70919

Year of fee payment: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