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36980B1 - 통신관리망 환경에서 교환기의 보드 탈장/실장 경보 처리 방법 - Google Patents

통신관리망 환경에서 교환기의 보드 탈장/실장 경보 처리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36980B1
KR100236980B1 KR1019960069263A KR19960069263A KR100236980B1 KR 100236980 B1 KR100236980 B1 KR 100236980B1 KR 1019960069263 A KR1019960069263 A KR 1019960069263A KR 19960069263 A KR19960069263 A KR 19960069263A KR 100236980 B1 KR100236980 B1 KR 10023698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oard
alarm
message
mounting
herni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6006926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80050440A (ko
Inventor
이병윤
이길행
우왕돈
Original Assignee
이계철
한국전기통신공사
정선종
한국전자통신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계철, 한국전기통신공사, 정선종, 한국전자통신연구원 filed Critical 이계철
Priority to KR101996006926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236980B1/ko
Publication of KR1998005044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5044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3698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36980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41/00Arrangements for maintenance, administration or management of data switching networks, e.g. of packet switching networks
    • H04L41/06Management of faults, events, alarms or notifications
    • H04L41/0686Additional information in the notification, e.g. enhancement of specific meta-data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41/00Arrangements for maintenance, administration or management of data switching networks, e.g. of packet switching networks
    • H04L41/06Management of faults, events, alarms or notifications
    • H04L41/0631Management of faults, events, alarms or notifications using root cause analysis; using analysis of correlation between notifications, alarms or events based on decision criteria, e.g. hierarchy, tree or time analysi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41/00Arrangements for maintenance, administration or management of data switching networks, e.g. of packet switching networks
    • H04L41/06Management of faults, events, alarms or notifications
    • H04L41/0654Management of faults, events, alarms or notifications using network fault recover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Data Exchanges In Wide-Area Networks (AREA)

Abstract

1. 청구 범위에 기재된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
본 발명은 교환기의 보드 탈장/실장 경보 처리 방법에 관한 것임.
2. 발명이 해결하려고 하는 기술적 과제
본 발명은 전체적인 망차원의 관리 방식에 연동할 수 있는 비동기전달모드(ATM) 교환기를 개발하기 위하여 관리자와 교환기 사이에 관리대행자를 두어 교환기로부터 전달되는 장애와 경보 정보를 관리자에서 처리하도록 하는 경보 처리 방법을 제공하고자 함.
3. 발명의 해결방법의 요지
본 발명은, 보드 탈장/실장에 대한 경보메시지를 수신하면 경보처리 변환 프로세스를 생성한 후에 경보메시지가 보드 탈장인지 보드 실장인지를 판단하여, 보드 탈장 메시지이면 보드 탈장에 대한 경보 처리를 수행한 후에 인터페이스 보드의 탈장이 영향을 주는 링크(link)를 검색하여 링크의 상태를 비활성화시키고, 보드 실장 메시지이면 보드 실장에 대한 경보 처리를 수행한 후에 인터페이스 보드의 실장으로 인하여 생성되는 링크(link)를 검색하여 링크의 상태를 활성화시킨다.
4. 발명의 중요한 용도
통신관리망에서 경보 처리에 이용됨.

Description

통신관리망 환경에서 교환기의 보드 탈장/실장 경보 처리 방법{METHOD FOR PROCESSING BOARD EJECT/EQUIPMENT ALARM IN TELECOMMUNICATION MANAGEMENT NETWORK}
본 발명은 초고속 통신망 관리를 위한 통신관리망(TMN : Telecommunication Management Network) 시스템의 관리 대행자인 에이전트(Agent) 시스템이 비동기전달모드(ATM) 교환기로부터의 보드 탈장/실장에 대한 경보를 처리하는 경보 처리 방법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교환기 관리 방식에 있어서는 망 운용자가 입출력 장치를 통하여 교환 시스템의 운용 및 유지보수 작업에 관련된 각종 시험이나 측정 또는 내용 변경을 수행할 수 있도록 교환기와 운용자 사이에 HMI(Human-Machine Interface)란 언어를 정의하여 교환기에 대한 운용 및 유지보수 작업을 수행하였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교환기 관리 방식은 운용자의 경험과 지식에 의존하게 되어 운용자의 명령에 절대적인 영향을 받게 되고, 이에 따라 현재 발생한 상황에 적합한 시스템의 관리가 어렵게 되어 시스템의 성능을 크게 저하시킬 가능성이 높은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각 교환기로부터 발생한 정보를 수집하여 각 교환기의 상태를 전체 망차원의 관점에서 결정하여 해당 교환기에 가장 적절한 명령을 발생하는 전체적인 망차원의 관리자의 존재가 필요하게 되었다.
현재 추세는 다양해지고 복잡해지는 망의 성능을 향상시키기 위한 일관적이고 체계적인 망 관리 기술이 도입되고 있는 상황이며, 이러한 관리자가 존재하게 되는 경우에 각 교환기는 발생한 경보의 위치와 정보를 망관리자에 전달하여 망차원에서 장애를 고립화하여 효율적인 장애 절체와 시험 기능을 가능하게 한다.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본 발명은, 전체적인 망차원의 관리 방식에 연동할 수 있는 비동기전달모드(ATM) 교환기를 개발하기 위하여 관리자와 교환기 사이에 관리대행자를 두어 교환기로부터 전달되는 장애와 경보 정보를 관리자에서 처리하도록 하는 경보 처리 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도 1 은 관리자와 관리대행자(Agent)간의 연결 구조도.
도 2 는 관리대행자와 비동기전달모드(ATM) 교환기간의 시스템 구조도.
도 3 은 본 발명이 적용되는 관리대행자 시스템의 상세 구조도.
도 4 는 본 발명에 따른 경보처리 인터페이스에서 생성되는 메시지의 구조도.
도 5 는 본 발명에 따른 보드 탈장/실장 경보를 수신한 보드 경보 관리객체에서의 처리 흐름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31 : 시스템 인터페이스 32 : 경보처리 인터페이스
33 : 보드 경보 관리객체 34 : 링크 경보 관리객체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통신관리망 환경에 적용되는 보드 탈장/실장 경보 처리 방법에 있어서, 보드 탈장/실장에 대한 경보메시지를 수신하면 경보처리 변환 프로세스를 생성한 후에 경보메시지가 보드 탈장에 대한 메시지인지 보드 실장에 대한 메시지인지를 판단하는 제 1 단계; 상기 제 1 단계의 판단 결과, 보드 탈장 메시지인 경우에 보드 경보(circuitPack) 관리객체 인스턴스는 경보메시지를 성공적으로 수신하였음을 알리는 확인 메시지를 경보처리 인터페이스에 전달하는 제 2 단계; 전달된 메시지로부터 장애 발생 위치, 장애 원인 및 장애 등급 정보를 추출하고, 장애 위치 정보로부터 장애가 발생한 보드에 따른 보드 경보(circuitPack) 관리객체의 인스턴스를 찾아내어 인스턴스의 장애 상태 값(AlarmStatus)에 장애 등급(Severity)을 기록하고, 인스턴스의 운용 상태값(Operational Status)을 비활성화로 변경하는 제 3 단계; 보드 탈장 경보를 관리자에게 보고한 후에 탈장된 보드가 인터페이스 보드인지를 판단하는 제 4 단계; 상기 제 4 단계의 판단 결과, 인터페이스 보드인 경우에는 인터페이스 보드의 탈장이 영향을 주는 링크(link)를 검색하여 링크의 상태를 비활성화시키고, 인터페이스 보드가 아니면 종료하는 제 5 단계; 및 상기 제 1 단계의 판단 결과, 보드 실장 메시지이면 보드 실장에 대한 경보 처리를 수행한 후에 인터페이스 보드의 실장으로 인하여 생성되는 링크(link)를 검색하여 링크의 상태를 활성화시키는 제 6 단계를 포함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일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1 은 관리자와 관리대행자(Agent)간의 연결 구조도로서, 도면에서 "11"은 관리자, "12"는 관리대행자를 각각 나타낸다.
관리자(11)와 관리대행자(12)는 계층적인 구조를 가지게 되며, 관리자(11)는 관리 명령을 생성하여 물리적, 또는 논리적으로 분할되어진 관리대행자(12)에게 전달하여 해당 교환기에 대한 관리명령을 수행하고, 관리대행자(12)는 교환기로부터 발생한 경보 정보를 수신하여 이를 관리자(11)에게 전달하는 구조를 가진다.
관리자(11)와 관리대행자(12)는 기존의 워크스테이션에 관리표준 프로토콜을 이식한 시스템으로 구현 가능하며, 관리대행자(12)는 표준 프로토콜로 전달되어진 관리 명령을 분석하여 해당 교환기에 대한 내부 관리 명령 형태로 변환하는 역할과 교환기로부터 전달되어진 비정형, 비표준의 관리 정보를 추출하여 이를 관리자(11)에게 전달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즉, 통신관리망(TMN) 환경에서의 경보 처리 방법은 교환기로부터 전달되는 교환 시스템 의존적인 경보 정보를 효율적으로 변환하여 표준화되어진 정보로 변화한다.
도 2 는 관리대행자와 비동기전달모드(ATM) 교환기간의 시스템 구조도이다.
에이전트 시스템(관리대행자)(12)은 비동기전달모드(ATM) 교환기로부터 전달되는 경보 정보를 이더넷보드(21)를 통하여 교환기내의 운용과 유지보수를 담당하는 운용보전 프로세서(OMP : Operation and Maintenance Processor)(22)로부터 전달받는다. 운용보전 프로세서(22)는 시스템내의 일련의 운용과 유지보수관련 기능 등을 총괄한다. 즉, 과금처리, 통계, 유지보수, 및 운용관리 기능등을 수행하는 프로세서이다. ASNM(Access Switch Network Module)(23)은 비동기전달모드(ATM) 교환기의 기본 단위인 셀을 전송하는 ASM(Access Switch Module)내의 넌-블럭킹(non-blocking) 자기 루팅 스위치로서 시스템의 구성에 따라 일정한 집선비를 갖는 집선기능을 수행하며, ISNM(Interconnection Switch Network Module)(24)은 각 ASM(Access Switch Module)간의 내부연결자(interconnector)로서 사용되는 자기 루팅 스위치이다.
도 3 은 본 발명이 적용되는 관리대행자 시스템의 상세 구조도로서, 도면에서 "31"은 시스템 인터페이스, "32"는 경보처리 인터페이스, "33"은 보드 경보 관리객체, "34"는 링크 경보 관리객체를 각각 나타낸다.
교환기에서 경보가 발생하게 되면, 에이전트 시스템(관리대행자)(12)내의 시스템 인터페이스(31)로 전달된다. 시스템 인터페이스(31)에서는 해당 경보가 보드 탈장 경보인지를 확인하여 경보처리를 담당하는 경보처리 인터페이스(32)로 해당 메시지를 전달하게 된다. 경보메시지를 수신한 경보 처리 인터페이스(32)에서는 해당 경보가 보드에 관한 내용인지 아니면 링크에 대한 내용인지를 판단하여 해당 관리 객체(33,34)로 관련 메시지를 전달한다. 그러면, 관리대행자 프로세스와 관리자에 의하여 경보메시지가 처리된다.
도 4 는 본 발명에 따른 경보처리 인터페이스에서 생성되는 메시지의 구조도이다.
메시지 헤더(MSG Header)(41)는 해당 경보메시지가 전달되어야 할 관리 객체의 주소와 해당 경보메시지의 길이 정보를 포함한다.
경보 종류(AlarmType)(42)는 해당 경보의 종류를 명시하는 필드로 보드실장, 보드 탈장, 및 신호 손실의 값을 가진다.
위치 정보(Location)(43)는 해당 경보가 발생한 물리적인 위치에 대한 값을 가지며, 이는 랙, 셀프, 슬럿, 및 보드의 정수값을 가진다. 보드는 특정 처리 기능을 가지는 최소 단위이며, 슬럿에 실장된다. 셀프는 여러 개의 슬럿을 가지며, 랙은 여러개의 셀프를 가질 수 있다.
경보 등급(Severity Type)(44)은 5 등급의 값(ALARM_CRITIC, ALARM_MAJOR, ALARM_MINOR, ALARM_INDETERMINATE, ALARM_CLEARED)을 가지며, 각각의 경보의 심각도에 따라 정의되는 값을 가지다.
경보 원인(AlarmInfo)(45)은 경보가 발생한 이유를 할당하는 필드로서, 비동기전달모드(ATM) 교환기에서 발생가능한 종류의 장애 원인들을 포함한다.
도 5 는 본 발명에 따른 보드 탈장/실장 경보를 수신한 보드 경보 관리객체에서의 처리 흐름도이다.
경보 발생 메시지를 수신한 경보처리 인터페이스(32)는 해당 메시지가 어떤 종류의 경보인지를 판단하여 해당 경보가 보드 탈장/실장에 대한 경보일 경우에 해당 보드에 대한 표준화 관리객체인 보드 경보(circuitPack) 관리객체 인스턴스로 해당 메시지를 전달한다(51). 해당 보드 경보 관리객체 인스턴스는 보드 탈장/실장에 해당하는 경보처리 변환 프로세스를 생성한 후에(52) 해당 경보메시지가 보드 탈장에 대한 메시지인지 아니면 보드 실장에 대한 메시지인지를 판단하여(53) 각각의 경우에 대한 처리 절차를 수행한다.
보드 탈장 메시지인 경우에는 보드 경보(circuitPack) 관리객체 인스턴스는 해당 경보메시지를 성공적으로 수신하였음을 알리는 확인 메시지를 경보처리 인터페이스에 전달하고(54) 보드 탈장에 대한 해당 처리 절차를 수행한다(55). 즉, 전달된 메시지로부터 장애 발생 위치, 장애 원인, 및 장애 등급 정보를 추출하고, 장애 위치 정보로부터 장애가 발생한 보드에 해당하는 보드 경보(circuitPack) 관리객체의 인스턴스를 찾아내어 인스턴스의 장애 상태 값(AlarmStatus)에 장애 등급(Severity)을 기록하고 인스턴스의 운용 상태값(Operational Status)을 비활성화로 변경한다. 이후, 해당 탈장 경보를 관리자에게 보고하기 위한 보고 절차를 수행한다(56). 이후, 해당 보드가 인터페이스 보드인지를 판단하여(57) 인터페이스 보드인 경우에는 해당 인터페이스 보드의 탈장이 영향을 주는 링크(link)들을 검색하여 해당 링크의 상태를 비활성화시키고(58), 인터페이스 보드가 아니면 바로 종료한다.
한편, 보드 실장 메시지인 경우에 보드 경보(circuitPack) 관리객체 인스턴스는 해당 경보 메시지를 성공적으로 수신하였음을 알리는 확인 메시지를 경보처리 인터페이스에 전달하고(59) 보드 실장에 대한 해당 처리 절차를 수행한다(60). 즉, 전달된 메시지로부터 실장된 보드의 위치, 장애 원인, 및 장애 등급 정보를 추출하고, 보드 실장 위치 정보로부터 실장된 보드에 해당하는 보드 경보(circuitPack) 객체의 인스턴스를 찾아내어 인스턴스의 장애 상태 값(AlarmStatus)에 장애 등급(Severity)인 장애 해제(alarm_cleared)을 기록하고 해당 인스턴스의 운용 상태값(Operational Status)을 활성화로 변경한다. 이후, 해당 보드 실장 경보를 관리자에게 보고하기 위한 보고 절차를 수행한다(61). 이후, 해당 보드가 인터페이스 보드인지를 판단하여(62) 인터페이스 보드인 경우에는 해당 인터페이스 보드의 실장으로 인하여 생성되는 링크(link)들을 검색하여 해당 링크의 상태를 활성화시키고(63), 인터페이스 보드가 아니면 바로 종료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있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므로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은 통신관리망 에이전트 시스템을 사용하여 다양해지고 복잡해지는 망의 성능을 향상시키기 위한 일관적이고 체계적인 망관리를 수행할 수 있으며, 이러한 통신관리망 에이전트 시스템에 접속하고자 하는 임의의 관리자가 존재하는 경우에 각 교환기는 발생한 경보의 위치와 정보를 임의의 망관리자에 전달하여 망차원에서 장애를 고립화하여 효율적인 장애 절체와 시험 기능이 가능하며, 관리자와 교환기사이에 관리대행자를 두어 교환기로부터 전달되는 장애 정보를 관리자에서 처리 가능하도록 하여 교환기의 관리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3)

  1. 통신관리망 환경에 적용되는 보드 탈장/실장 경보 처리 방법에 있어서,
    보드 탈장/실장에 대한 경보메시지를 수신하면 경보처리 변환 프로세스를 생성한 후에 경보메시지가 보드 탈장에 대한 메시지인지 보드 실장에 대한 메시지인지를 판단하는 제 1 단계;
    상기 제 1 단계의 판단 결과, 보드 탈장 메시지인 경우에 보드 경보(circuitPack) 관리객체 인스턴스는 경보메시지를 성공적으로 수신하였음을 알리는 확인 메시지를 경보처리 인터페이스에 전달하는 제 2 단계;
    전달된 메시지로부터 장애 발생 위치, 장애 원인 및 장애 등급 정보를 추출하고, 장애 위치 정보로부터 장애가 발생한 보드에 따른 보드 경보(circuitPack) 관리객체의 인스턴스를 찾아내어 인스턴스의 장애 상태 값(AlarmStatus)에 장애 등급(Severity)을 기록하고, 인스턴스의 운용 상태값(Operational Status)을 비활성화로 변경하는 제 3 단계;
    보드 탈장 경보를 관리자에게 보고한 후에 탈장된 보드가 인터페이스 보드인지를 판단하는 제 4 단계;
    상기 제 4 단계의 판단 결과, 인터페이스 보드인 경우에는 인터페이스 보드의 탈장이 영향을 주는 링크(link)를 검색하여 링크의 상태를 비활성화시키고, 인터페이스 보드가 아니면 종료하는 제 5 단계; 및
    상기 제 1 단계의 판단 결과, 보드 실장 메시지이면 보드 실장에 대한 경보 처리를 수행한 후에 인터페이스 보드의 실장으로 인하여 생성되는 링크(link)를 검색하여 링크의 상태를 활성화시키는 제 6 단계
    를 포함하는 보드 탈장/실장 경보 처리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6 단계는,
    보드 실장 메시지인 경우에 보드 경보(circuitPack) 관리객체 인스턴스는 경보 메시지를 성공적으로 수신하였음을 알리는 확인 메시지를 경보처리 인터페이스에 전달하는 제 7 단계;
    전달된 메시지로부터 실장된 보드의 위치, 장애 원인, 및 장애 등급 정보를 추출하고, 보드 실장 위치 정보로부터 실장된 보드에 따른 보드 경보(circuitPack) 객체의 인스턴스를 찾아내어 인스턴스의 장애 상태 값(AlarmStatus)에 장애 등급(Severity)인 장애 해제(alarm_cleared)을 기록하고, 인스턴스의 운용 상태값(Operational Status)을 활성화로 변경하는 제 8 단계;
    보드 실장 경보를 관리자에게 보고한 후에 실장된 보드가 인터페이스 보드인지를 판단하는 제 9 단계; 및
    상기 제 9 단계의 판단 결과, 인터페이스 보드인 경우에는 인터페이스 보드의 실장으로 인하여 생성되는 링크(link)를 검색하여 링크의 상태를 활성화시키고, 인터페이스 보드가 아니면 종료하는 제 10 단계
    를 포함하는 보드 탈장/실장 경보 처리 방법.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경보메시지는,
    경보메시지가 전달되어야 할 관리객체의 주소와 경보메시지의 길이 정보를 포함하는 메시지 헤더(MSG Header);
    경보의 종류를 명시하는 필드로 보드실장, 보드 탈장, 및 신호 손실의 값을 가지는 경보 종류(AlarmType);
    경보가 발생한 물리적인 위치에 대한 값을 가지는 위치 정보(Location);
    각각의 경보의 심각도에 따라 정의되는 값을 가지는 경보 등급(Severity Type); 및
    경보가 발생한 이유를 할당하는 필드로서, 교환기에서 발생가능한 종류의 장애 원인을 포함하는 경보 원인(AlarmInfo)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드 탈장/실장 경보 처리 방법.
KR1019960069263A 1996-12-20 1996-12-20 통신관리망 환경에서 교환기의 보드 탈장/실장 경보 처리 방법 KR10023698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69263A KR100236980B1 (ko) 1996-12-20 1996-12-20 통신관리망 환경에서 교환기의 보드 탈장/실장 경보 처리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69263A KR100236980B1 (ko) 1996-12-20 1996-12-20 통신관리망 환경에서 교환기의 보드 탈장/실장 경보 처리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50440A KR19980050440A (ko) 1998-09-15
KR100236980B1 true KR100236980B1 (ko) 2000-01-15

Family

ID=1948985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60069263A KR100236980B1 (ko) 1996-12-20 1996-12-20 통신관리망 환경에서 교환기의 보드 탈장/실장 경보 처리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236980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54329B1 (ko) * 1998-12-26 2002-09-28 주식회사 로커스 지능망 서비스 시스템을 위한 디지털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및 음성 처리 보드의 실장 및 탈장 방법
KR100460512B1 (ko) * 2002-07-22 2004-12-08 엘지전자 주식회사 통신시스템의 파워모듈 제어장치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40017467A (ko) * 1992-12-29 1994-07-26 양승택 전전자 교환기에서의 신호 단말 상태 관리 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40017467A (ko) * 1992-12-29 1994-07-26 양승택 전전자 교환기에서의 신호 단말 상태 관리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50440A (ko) 1998-09-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1282276B (zh) 一种以太网树业务的保护方法及设备
US20030137934A1 (en)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management of fabric links for a network element
US6252853B1 (en) Switching router and a datagram transfer system
CN101277214B (zh) 一种管理刀片式服务器的方法及系统
JP2008131615A (ja) リンクアグリゲーション用の通信装置及びプログラム
Stanic et al. On monitoring transparent optical networks
US20030145069A1 (en) Virtual network configuration verification
JP3811007B2 (ja) 仮想接続の保護切替
US6058120A (en) System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telecommunications components
KR100236980B1 (ko) 통신관리망 환경에서 교환기의 보드 탈장/실장 경보 처리 방법
CN109104319B (zh) 一种数据存储装置及方法
US20070055913A1 (en) Facilitating detection of hardware service actions
US6373820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maintenance and repair of CAMA interface in PCX system
KR0173380B1 (ko) 분산형 액세스 노드 시스템에서의 성능관리 방법
KR100216580B1 (ko) 비동기전달모드 교환기와 운용워크스테이션간의 통신장애상태 관리방법
Stanic et al. Efficient alarm management in optical networks
KR20010055482A (ko) 통합망 환경에서 서비스관리시스템의 관리명령을 교환기명령어로 변환하는 방법
CN112636944B (zh) Olt设备脱网智能诊断方法及系统
KR100275530B1 (ko) 통신관리망 시스템에 의한 비동기전달모드 교환기의 상태 관리 방법
CN113312089B (zh) 低成本高效率的盘间通信物理通道倒换控制系统及方法
CN116545507A (zh) 一种网络交换机交互的方法
CN209627387U (zh) 一种交换机
KR100267380B1 (ko) 비동기전송모드 베이스 액세스 장치
KR100243674B1 (ko) 통신관리망 환경에서 가상경로 연결 정보 출력 방법
JPH02288527A (ja) 分散障害診断方式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31001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