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60014139B1 - 교류전원의 위상을 이용한 클록 발진기 - Google Patents

교류전원의 위상을 이용한 클록 발진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60014139B1
KR960014139B1 KR1019940021693A KR19940021693A KR960014139B1 KR 960014139 B1 KR960014139 B1 KR 960014139B1 KR 1019940021693 A KR1019940021693 A KR 1019940021693A KR 19940021693 A KR19940021693 A KR 19940021693A KR 960014139 B1 KR960014139 B1 KR 96001413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ve rectifier
wave
full
transformer
clock oscilla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4002169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60008469A (ko
Inventor
이규택
Original Assignee
대우전자 주식회사
배순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우전자 주식회사, 배순훈 filed Critical 대우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19940021693A priority Critical patent/KR960014139B1/ko
Publication of KR96000846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00846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6001413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014139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KPULSE TECHNIQUE
    • H03K19/00Logic circuits, i.e. having at least two inputs acting on one output; Inverting circuits
    • H03K19/0008Arrangements for reducing power consumption
    • H03K19/0016Arrangements for reducing power consumption by using a control or a clock signal, e.g. in order to apply power suppl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04Generating or distributing clock signals or signals derived directly therefrom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MAPPARATUS FOR CONVERSION BETWEEN AC AND AC, BETWEEN AC AND DC, OR BETWEEN DC AND DC, AND FOR USE WITH MAINS OR SIMILAR POWER SUPPLY SYSTEMS; CONVERSION OF DC OR AC INPUT POWER INTO SURGE OUTPUT POWER; CONTROL OR REGULATION THEREOF
    • H02M1/00Details of apparatus for conversion
    • H02M1/0003Details of control, feedback or regulation circuits
    • H02M1/0041Control circuits in which a clock signal is selectively enabled or disable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Ac-Ac Conversion (AREA)
  • Electric Clocks (AREA)
  • Synchronisation In Digital Transmission System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교류전원의 위상을 이용한 클록 발진기
제1도는 본 발명 실시예에 따른 클록 발진기의 블록도.
제2도는 제1도에 대한 상세 회로도.
제3도는 제1도의 주요 부분 타이밍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변압기 15 : 반파정류기
20 : 전파정류기 25 : 펄스발생기
본 발명은 컴퓨터의 각종 동작에 필요한 타이밍(timing : 시각 또는 시간조정)를 조절해주는 카운터 회로에 사용되는 발진기에 있어서, 특히, 교류전원의 위상을 이용한 발진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발진기는 지속적으로 변동하는 출력신호를 발생하는 회로로써, 페루프이득이 1보다 크고 위상조건을 만족하는 정귀환증폭기는 발진기로서 동작하며 출력신호가 정현파이면 그 회로를 정현파발진기라 한다.
출력전압이 급격히 어떤 전압레벨로 올라랐다가 다시 급격히 다른 전압레벨로 떨어지는 파형일 때 그 회로를 펄스발진기 또는 단형파발진기라고 하는데 발진기에는 자려발진기(SELF OSCILLATOR), 수정발진기(QUARTZ CRYSTAL OSCILLATO R), 톱니파발진기(SAW OSCILLATOR)등이 있다. 그중, 수정발진기는 수정의 결정을 적당한 각도로 절단하여 전극을 설치하고 여기에 전압을 가해 그 임피던스의 주파수 특성을 조사해 보면, 수정편은 주파수에 대응한 진동을 하며, 두 주파수폭은 상당히 좁은데 수정진동자 크리스탈에 전압을 가하고 콘덴서의 용량을 변화시켜 가면 어느 점에서 이 회로는 발진한다. 그 발진주파수를 살펴보면 주파수의 변동이 비교적 작고 안정된 발진을 하고 있다. 그러므로, 수정발진기는 무선송신기, 전기시계 등, 주파수의 정확성이 필요한 영역에서 널리 이용된다.
그러나, 종래의 수정발진기회로는 회로의 구성이 복잡하고 제작하는데 비용이 크게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서, 교류 전원의 위상을 이용하여 발진되도록 함으로서 구성이 간단하고 비용이 저렴한 클록 발진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교류전원의 위상을 이용한 클록 발진기는, 일반 가정용 교류전원을 강압하여 소정의 전압을 공급하는 변압기와, 상기 변압기로부터 공급된 정현파 신호를 제2전압레벨을 제거하고 제1전압레벨만 출력하는 반파정류기와, 상기 변압기로부터 공급된 정현파 신호를 제1전압레벨과 제2전압레벨을 모두 하이레벨로 출력하는 전파 정류기와, 상기 반파정류기와 전파 정류기에서 출력된 신호를 인가받아 클록을 발생하는 펄스 발생기를 구비한다.
또한,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발명에 채용되는 펄스 발생기는 논리곱 게이트로 됨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기타 목적과 여러 가지 장점은 이 기술 분야에 숙련된 사람들에 의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하기에 기술되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로부터 더욱 명확하게 될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제1도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에에 따른 교류전원의 위상을 이용한 클록 발진기에 대한 개략적인 블록구성도로서, 동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변압기(10), 반파정류기(15), 전파정류기(20) 및 펄스발생기(25)를 포함한다.
또한, 제2도는 제1도에 대한 상세 회로도이고 제3도는 주요 부분 타이밍도이다.
변압기(10)은 통상의 가정에 공급되는 100V/220V의 전압과 60Hz의 주파수를 갖는 교류 전원을 소정의 전압으로 강압하여 반파정류기(15)와 전파 정류기(20)로 전달한다.
그리고, 반파정류기(15)는 다이오드로 구성되어 상기 변압기에서 공급되어진 안정된 강압전압을 반파 정류한다. 또한, 전파정류기(20)는 브리지다이드로 구성되어 상기 강압된 전류를 전파 정류한다.
또한, 펄스발생기(25)는 논리곱 소자로 되어 있으며 상기 반파 정류기(15)와 전파 정류기(20)에서 각각 공급되는 정류전압을 논리곱 연산하여 펄스신호를 출력한다.
다음에,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부재를 갖는 본 발명의 동작과정에 대하여 첨부한 제1도, 제2도 및 제3도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먼저, 변압기(10)에 가정용 전원인 110V나 220V의 교류전원이 공급되면 상기 변압기(10)는 타소자들이 최적으로 구동되도록 위하여 공급된 정압을 강압시켜 주파수가 60Hz이고 정현파 특성을 갖는 교류 전압(제3도(a)참조)을 반파정류기(15) 및 전파 정류기(20)로 동시에 인가한다.
상기 반파정류기(15)는 다이오드로 구성되어 상기 변압기(10)에서 출력된 사인파신호를 인가받아 로우(L)레벨의 전압을 제거하여 반파정류하여 펄스발생부(25)로 하이(H)레벨의 전압만을 출력한다(제3도 (b)참조).
또한, 전파 정류기(20)는 브리지다이오드로 구성되어 상기 변압기(10)에서 출력되는 정현파의 하이(H)레벨동안 다이오드 D2와 D3는 전도상태이고 다이오드 D1과 D4는 오프(OFF) 상태에 있다. 그러므로, 상기 하이(H)레벨 동안 전파 정류기(20)에서 출력되는 파형은 입력파형과 같이 하이(H)레벨이다. 이어, 상기 양파정류부(20)로 입력되는 파형이 로우(L)레벨일 경우 전도하는 다이오드는 D1과 D4이고 제2양의 펄스를 형성하여 펄스발생기(25)로 출력한다(제3도 (c) 참조).
펄스발생기(25)는 논리곱 게이트로 구성되어 상기 반파정류기(15)와 전파 정류기(20)에서 출력된 정현파 신호를 논리곱 연산하여 그 결과를 출력함으로서 제3도(d)에 나타난 바와 같이 일정 주기로 발진된 펄스를 출력하게 된다.
상기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전원에서 공급되는 교류전원의 위상을 이용하여 구성이 간단하고 비용이 저렴한 클록 발진기를 제공할 수 있는 잇점이 있다.

Claims (4)

  1. 일반 가정용 교류전원을 강압하여 소정의 전압을 공급하는 변압기와, 상기 변압기로부터 공급된 정현파 신호를 반파 정류하는 반파정류기와, 상기 변압기로부터 공급된 정현파 신호를 전파 정류하는 전파 정류기와, 상기 반파정류기와 전파 정류기에서 출력된 신호를 인가받아 발진 펄스를 발생하는 펄스 발생기를 구비하는 교류전원의 위상을 이용한 클록 발진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반파정류기는 다이오드로 구성되는 교류전원의 위상을 이용한 클록 발진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파정류기는 브리지다이오드로 구성되는 교류전원의 위상을 이용한 클록 발진기.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펄스 발생기는 논리곱 게이트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교류전원의 위상을 이용한 클록 발진기.
KR1019940021693A 1994-08-31 1994-08-31 교류전원의 위상을 이용한 클록 발진기 KR96001413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40021693A KR960014139B1 (ko) 1994-08-31 1994-08-31 교류전원의 위상을 이용한 클록 발진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40021693A KR960014139B1 (ko) 1994-08-31 1994-08-31 교류전원의 위상을 이용한 클록 발진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08469A KR960008469A (ko) 1996-03-22
KR960014139B1 true KR960014139B1 (ko) 1996-10-14

Family

ID=1939160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40021693A KR960014139B1 (ko) 1994-08-31 1994-08-31 교류전원의 위상을 이용한 클록 발진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60014139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0076236A1 (en) * 2018-10-10 2020-04-16 Agency For Science, Technology And Research A power management modul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08469A (ko) 1996-03-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10015098A (ko) 개선된 역률 보정기능을 갖는 전력 공급장치
JPH11136931A (ja) 圧電トランスの駆動方法及び駆動装置
RU96114947A (ru) Источник энергии с переключением режимов для линейного усилителя мостовой схемы
KR890003084A (ko) 병렬식 ac전력 시스템에서의 전원을 동기시키기 위한 회로 및 방법
KR960014139B1 (ko) 교류전원의 위상을 이용한 클록 발진기
EP0403667A1 (en) Electronic switching ballast for a fluorescent lamp
JPH1174057A (ja) 無声放電用電源装置
JPS5541552A (en) Alternating current voltage adjusting unit
KR940009515B1 (ko) 방전등 제어시스템
JPS6127112Y2 (ko)
KR950003018Y1 (ko) 저주파 펄스폭 변조회로
JPH0956175A (ja) 圧電トランスを含む電源回路装置
JPH06175100A (ja) 液晶用バックライト
JPS6023016Y2 (ja) 超音波霧化装置
JPH1075584A (ja) 圧電トランスの制御回路
JPS61295866A (ja) スイツチング電源回路
JP2511691Y2 (ja) ランプ駆動回路
SU415650A1 (ko)
KR19990003003A (ko) 콜피츠발진기를 이용한 직류/직류 변환회로
KR880000772Y1 (ko) 발열체의 전력 제어회로(發熱體의 電力制御回路)
KR920014347A (ko) 고주파가열장치의 마그네트론 구동전원회로
KR850000209Y1 (ko) 정류회로
JPS5833729A (ja) 交流高圧電源装置
JP2001300420A (ja) 超音波発振回路
JPH08273875A (ja) 放電管用調光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1004

Year of fee payment: 1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002

Year of fee payment: 1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