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60013925B1 - 분말분사 코팅용 캐빈 - Google Patents

분말분사 코팅용 캐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60013925B1
KR960013925B1 KR1019910701885A KR910701885A KR960013925B1 KR 960013925 B1 KR960013925 B1 KR 960013925B1 KR 1019910701885 A KR1019910701885 A KR 1019910701885A KR 910701885 A KR910701885 A KR 910701885A KR 960013925 B1 KR960013925 B1 KR 96001392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bin
spray coating
suction
cleaning
powder spra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1070188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20702638A (ko
Inventor
핑겔 요악심
Original Assignee
파르브텍 게젤샤프트 퓌르 베쉬히퉁스카비넨 지스템 엠베하
볼프람 루엘옌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파르브텍 게젤샤프트 퓌르 베쉬히퉁스카비넨 지스템 엠베하, 볼프람 루엘옌스 filed Critical 파르브텍 게젤샤프트 퓌르 베쉬히퉁스카비넨 지스템 엠베하
Publication of KR92070263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2070263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6001392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013925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4/00Arrangements for collecting, re-using or eliminating excess spraying material
    • B05B14/40Arrangements for collecting, re-using or eliminating excess spraying material for use in spray booths
    • B05B14/41Arrangements for collecting, re-using or eliminating excess spraying material for use in spray booths by cleaning the walls of the booth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4/00Arrangements for collecting, re-using or eliminating excess spraying material
    • B05B14/40Arrangements for collecting, re-using or eliminating excess spraying material for use in spray booths
    • B05B14/48Arrangements for collecting, re-using or eliminating excess spraying material for use in spray booth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te material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70/00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process for final industrial or consumer products
    • Y02P70/10Greenhouse gas [GHG] capture, material saving, heat recovery or other energy efficient measures, e.g. motor control, characterised by manufacturing processes, e.g. for rolling metal or metal working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55/00Gas separation
    • Y10S55/46Spray booths

Landscapes

  • Application Of Or Painting With Fluid Materials (AREA)
  • Cleaning In General (AREA)
  • Details Or Accessories Of Spraying Plant Or Apparatus (AREA)
  • Electrostatic Spraying Apparatus (AREA)
  • Coating Apparatus (AREA)
  • Filtering Of Dispersed Particles In Gases (AREA)
  • Spray Control Apparatus (AREA)
  • Automobile Manufacture Line, Endless Track Vehicle, Trailer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분말분사 코팅용 캐빈
제1도는 크리닝장치가 운휴위치로 이동된 상태의 수직작동 분말 코팅캐빈의 정면도.
제2도는 크리닝장치가 작동상태로 위차된 상태에서 제1도의 부분 측단면도.
제3도는 제2도의 화살표 Ⅲ방향에서 스크레이핑 립의 확대상세도.
제4도는 2개의 크리닝장치가 측부에 배치되면서 중앙흡입홈이 갖춰진 연속작동 캐빈의 측단면도.
제5도는 제4도의 V-V방향을 따라 흡입홈부위에서 캐빈의 단면도.
제6도는 캐빈의 플로어에 길이방향을 따라 흡입채널이 구비된 연속작동 캐빈의 다른 실시예의 길이방향 단면도.
제7도는 제6도의 Ⅶ-Ⅶ선 단면도.
제8도는 제7도의 화살표 Ⅷ방향으로 제6도 및 제7도의 캐빈에 구비된 흡입채널의 확대상세도.
제9도는 본 발명 다른 실시예에 따른 크리닝장치가 구비되면서 오른편(제9도(a))에 카트리지식 필터크리닝장치가 갖춰지고, 한편으로는 왼편(제9도(b))에 평평한 필터와 카트리지식 필터가 조합되어 있으며, 다른 한편으로는 제2흡입채널이 구비된 연속작동 캐빈의 일부절개 단면도.
제10도는 제9도의 상부에서 X선방향을 따른 확대상세도.
제11도는 제9도의 XI-XI선 단면도.
제12도는 본 발명에 따른 크리닝장치의 작용을 이해하는 데에 불필요한 부품이 제거된 상태에서 제9도의 크리닝장치의 부분확대 평면도.
제13도는 크리닝장치를 이동시키는 이동메카니즘측면에서 제9도의 크리닝장치의 장착대 확대상세도.
제14도는 평평한 필터구조와 제2흡입채널이 구비된 연속작동 캐빈에 있어서 다른 실시예에 따른 크리닝장치의 길이방향 단면도.
제15도는 제14도에서 크리닝장치가 운휴위치로 위치 상태에서 측면도.
제16도는 2개의 크리닝장치가 구비된 제14도의 크리닝장치와 유사한 캐빈의 단면도.
제17도는 제2흡입채널이 흡입벽에 일체로 형성되고, 흡입면필터가 이동가능하게 삽입되며, 제2카트리지식 필터크리닝장치가 분말수집장치에 구비된 캐빈의 단면도.
제18도는 제17도의 화살표 ⅩⅧ선 방향 확대상세도.
제19도는 크리닝벽에 의해 운반되는 스크레이핑 립이 분말을소제하는 상태에서 배치된 크리닝장치의 앞쪽에서 바라본 제18도와 유사한 확대상세도.
제20도는 회전하는 연속스크레이핑 립의 2중크라운 배치구조의 단면도.
제21도는 캐빈벽내에서 오리피스 위쪽에 배치된 제20도의 스크레이핑 립의 단면도.
제22도는 제20도의 스크레이핑 립의 변형 실시예를 나타내는 단면도.
이하 본 발명을 첨부된 예시도면에 의거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분말코팅재로 물품에다 분사코팅하기 위한 캐빈에 관한 것으로, 캐빈내부가 다수개의 벽과 마루 및 천장에 의해 구획지어짐과 더불어 특정한 길이방향축을 갖추고 있고, 이 길이방향축을 따라 물품이 캐빈내부에서 혹은 캐빈을 통해 이동가능하게 되어 있을뿐만 아니라 상기 길이방향축을 따라 캐빈내부에서 이동가능한 크리닝장치가 갖춰진 부날분사 코팅용 캐빈에 관한 것이다.
정전기적으로 분말코팅에 적합한 캐빈은 브이디이엠에이 표준시트(VDMA standard Steet)24 371의 1980년 3월에 발간된 파트1과 1983년 8월에 발간된 파트2에서 서술된 바와 같이 주위환경에 보다 적합하기 때문에 점차적으로 사용이 증가되고 있고. 이러한 캐빈에서는 일상적으로 필요한 가장 다양한종류의 건설부품이나 제조부품 혹은 기타 다른 물품을 하는 코팅재료는 예컨대 페인트사 방법으로 입혀지는 것과 같이 용제내에 분산용해된 형태의 것이 아니고 분말형상의 것이 사용되는바, 이 코팅분말은 대개 호스를 통해 유체화용기 외부의 분말분사건(powder gun)쪽으로 분사기를 의해 이송되게 되어있고, 상기 분사건에는 고전압을 받아 코팅분말을 정전기적으로 부하시키는 다수개의 전극이 장착되어 있으며, 또한 이 전극에 의해 부하된 코팅분말은 접지된 작업물품쪽으로 분사건에 의해 분사되게 되어 있는바, 이렇게 전기가 부하된 코팅분말은 분사량의 대략 40%정도로 작업물품상에 정착되게 되어 있는 반면에, 나머지 60%정도의 분사된 코팅분말은 캐빈내에서 다시 회수되어 코팅공정에 재사용되게 되어있다.
그런데, 상기와 같은 물품의 코팅과정에서는 물품에 코팅되지 않은 분말을 가능한 한 완전하게 회수해주어야 하고, 또한 다른 종류의 색상을 갖는 코팅분말로 코팅해주고자 할 경우에는 캐빈을 짧은 시간내에 재사용할 수 있도록, 즉 캐빈을 손질하여 운휴시간을 가능한한 짧게 해주기 위해 무엇보다도 가능한한 빠르면서 충분하게 캐빈내부를 소제해 주어야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그리고, 코팅제를 절약하는 동시에 분말분사캐빈이 사용될 때에 작업물품에 부착되지 않은 분사된 코팅분말을 가능한한 많이 회수하기 위해, 곧은 중공실린더형상을 갖는 캐빈이 독일 특허 제3,538,800호에 게재되어 있는바, 이 독일 특허에서는 하나 혹은 다수개의 날개 천장과 벽 및 플로어 스크레이퍼(floor scraper)가 구비되어 있고, 이 플로어 스크레이퍼는 실린더측에 대해 회전됨에 따라 잔여분말이 내벽으로부터 제거된 다음에 플로어의 유입구를 통해 분말수집장치로 이송되게 되어 있지만, 이와 같은 구조에서도 역시 코팅분말의 색상을 바꾸어 줄 경우에는 캐빈을 완전하게 소제해 줄수 없는 문제점이 있는바, 왜냐하면 구동수단을 갖춘 상기 스크레이퍼 그 자체가 완전하게 크리닝되지 못해 수동으로 소제해 주어야 하기 때문이며, 게다가 상기 스크레이퍼는 연속적으로 작동됨에 따라 캐빈내벽과 스크레이퍼상에 분말이 응집되게 되는데, 이러한 응집덩어리는 스크레이퍼가 가동되지 않는 위험을 피하기 위해 예컨대 용제와 같은 별개의 소제수단으로 제거해 주어야 하고, 또한 회전되는 스크레이퍼만으로는 캐빈중앙에 남아 있는 코팅분말을 사실상 제거해주기가 불가능한 문제점이 있었다.
한편, 사용되는 코팅분말의 색상이 변경되는 경우에 크리닝소비시간을 자동화하고 줄이기 위해 독일 오펜레겅쉬리프트(German offenlogung schrift)의 특허 제3,516,826호에는 상기 서술한 바와 같은 형식의 캐빈이 게제되어 있는바, 이 특허에서는 캐빈측을 따라 이동가능한 파이프-링장치가 구비되어 있고, 이 파이프-링장치에는 압축공기가 펄스형태로 분사되는 노즐이 갖춰져 캐빈벽에 묻어있는 잔류분말을 휘저어 주게되어 있으며, 이 잔류분말은 다시 메인흡입장치로 흡입되는 반면에 파이프-링장치자체를 소제해 주기 위해 노즐이 추가적으로 캐빈선단벽내에 배치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구조로 된 크리닝장치에서는 무엇보다도 매우 작은 입자가 함유된 분말이 캐빈내부에서 떠돌아 다녀 특히 캐빈의 코너부위에 가라 앉아 있기 때문에 캐빈내부가 만족할 만하게 소제되지 않았고, 또한 이렇게 코너부위에 가라 앉은 분말입자는 차후로 젖은 스폰지나 홈통과 같은 적절한 수단으로 제거해 주어야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기 공지된 다른 크리닝시스템에서는 캐빈벽이 대개 폴리에틸렌 스트(polyetylene sheet)와 전개 가능한 플라스틱으로 성형되어 있는바, 이 플라스틱 시트는 색상이 다른 코팅분말을사용할 경우에 회전되는 롤러상에 배치되어 있지만, 이와 같은 구조는 안정성의 이유로 많은 나라에서 완전하게 채용될 수없을 뿐만 아니라 무엇보다도 캐빈벽을 구획지우면서 매우 어렵게 지지된 시트웨브사이에서 일어나는 씰링문제로 인해 그 사용이 극히 제한적이었고, 이에 반하여 캐빈내부를 불완전하게 밀봉시킴으로써 전개 가능한 캐빈벽으로 인해 야기됨과 더불어 작업안정성 및 화재보호규정을 준수하는 데에 어려움의 원인이 되는 문제점을 피하기 위해 스프레이코팅캐빈에서 원칙적으로 요구되는 사항으로서 캐빈하우징이 견고한 벽을 갖추어야 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제반이유로 인해 오늘날에는 소동크리닝방법이 일반적으로 사용되고, 앞에서와 같은 캐빈에 견고한 벽이갖춰진 경우에는 캐빈에 부착된 분말이 스크레이퍼나, 스폰지, 습기찬 천 또는 이와 유사한 것으로 제거되었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한 클리닝방법에 있어서 제반 문제점을 해소시킴과 더불어 사람이 추가적으 크리닝해줄 필요없이 완전하게 크리닝시켜줄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잔여된 분말을 최적으로 회수해 줄 수 있도록 한 크리닝장치를 갖춘 캐빈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바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크리닝장치에는 스크레이퍼나 브러쉬와 같은 기계적인 크리닝부재가 구비된 견고한 운반대가 갖춰지고, 이 운반대는 크리닝장치의 작업운동과정에 캐빈내부의 외곽부를 최소한 탄력적으로 눌러주게 되며, 또한 상기 크리닝장치는 캐빈내부의 외곽부와 잘 조화되어 운반대와 내부외곽부 사이에 작업갭이 형성되면서 이 작업갭을 크리닝부재가 탄력적으로 메워주도록 되어 있다.
상기와 같은 크리닝장치가 구비된 캐빈은 연속적으로 작동되는 캐빈뿐만 아니라 수동으로 코팅되는 캐빈에도 사용할 수 있는 잇점이 있고, 기공지된 불어 날려서 크리닝하는 방식에 비해 본 발명에 따른 캐빈은, 예컨대 코팅분말의 색상을 변경시키는 경우에서와 같이 코팅 작업외에도 기계적으로 분말을 띄워 올리는 수단을 매개로 캐빈을 제어되는 방식으로 만족할 만하게 크리닝해 줌에 따라 캐빈벽에 고착된 분말의 정전기적 부하를 제거해 줄 수 있게되며, 이와 동시에 기계적인 크리닝부재를 사용함으로써 분말이 묻어 있는 면으로부터 분말을 완전하게 제거해 줄 수 있게 되어 있다.
그리고,상기 크리닝부재가 캐빈내부벽에 탄력적으로 접촉되게되어, 캐빈내부벽이 평탄하지 못한 경우에도 효과적으로 크리닝해줄 수있게 되므로, 캐빈내부벽은 코팅분말이 남아 있지 않고 거의 완전하게 크리닝되게 되는바, 이러한 경우에 상기 크리닝부재는 통상 회전연속되게 배치되게 되지만, 기존의 장치를 변경시키는 과정에 특히 다른 실시예가 있을 수도 있는데, 예컨대 필터밴더가 플로어에 갖춰지면 상기크리닝부재를사용할 필요가 없게 되며, 또한 상기 크리닝장치는 충분한 강성을 가지고 있을 뿐만 아니라 무엇보다도 캐빈내부벽이 평탄하지 못할 경우에도 크리닝부재를 사용하여 완전하게 크리닝시켜 줄수 있도록 되어, 기계적으로 자동화된 방식으로 가능한 최상의 크리닝효과를 얻을 수 있게 되어 있다.
또한, 상기 크리닝장치에 캐빈의 내부와 상응하는 외곽부를 갖춘 하나의 운반플레이트가 구비된 경우에는 스크레이핑 선단부(scraping edge)형상의 크리닝부재가 상기 외곽부를 구획짓는 선단부내에서 캐빈내벽쪽을 향해 배치되게 되는바, 이러한 형상은 구조적인 측면에서 매우 간단하고, 캐빈내부가 캐빈의 길이방향측을 따라 균일하게 만들어지기 때문에 제조비용에 있어서도 매우 유리하며, 게다가 크리닝부재가 스크레이핑 선단부형상으로 형상화됨에 따라 크리닝부재를 매우 용이하게 장착시킬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크리닝장치에 캐빈내부벽으로 긁어낸 분말을 흡입하기 위한 진공원이 바로 연결되는 경우에는 매우 효과적인 바, 유럽특허 제200,681호와 독일특허 제3,516,826호에 의한 크리닝장치에서는 분말이 압축공기에 의해 벽으로부터 불어 날려지게 되어 있고, 다른 독일특허 제8,812,950호 의한 캐빈에서는 코팅작업과정에 잔여분말을 단지 회수하기 위해 흡입공기가 사용되는 반면에, 본 발명에 따른 실사예에서는 흡입공기가 단지 분말을 이송시키는 데에 사용되며, 또한 만족할 만한 결과를 얻기 위해 상대적으로 고압의 압축공기가 사용하여 캐비으로부터 분말을 용이하게 불어 보낼 수 있도록 기 공지된 방법에 비해, 본 발명에 따른 캐빈엣는 상대적으로 낮은 흡입압력으로 작업이 가능함에 따라 이와 상응하여 캐빈의 벽두께를 얇게 해 줄 수 있을 뿐만아니라 캐빈내에서 제어되지 않은 분말의 난류현상과 바람직하지 못한 이송현상이 발생될 위험이 없고, 게다가 대부분의 경우에 있어서 분말이 쉽게 더럽혀지는 사실을 제외하고라도 수집된 잔여분말의 수집량은 극히 작기 때문에 캐빈의 (최종) 크리닝과정에 수집된 분발을 재사용하지 않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므로, 분말을 수거하기 위해 다시 크리닝장치를 소제해 줄 필요가 없는 것이다.
그리고, 캐빈벽의 크리닝흡입부는 캐빈벽상에 연결부나 계단부 또는 어떠한 형상부가 형성되어 있을지라도 이들을 주의깊게 반듯하게 해줄 필요없이 코너부와 더불어 완전하게 소제해 주게 되고, 또한 분말이 응집되는 일이 거의 없으며, 상기 크리닝부재는 탄성재질로 만들어진 스크레이핑 립(Scraping Lip)과 같이 적절하게 형상화되어, 예컨대 캐빈내벽이 어떠한 형상으로 변형되어 작업갭이 달라지게 되더라도 용이하게 적응될 수 있는 잇점이 있고, 어떠한 경우에 있어서도 최소한의 작업갭을 보장해주기 위해, 예컨대 한쪽 측부상에 오리피스(스프레이장치용 오리피스, 흡입오리피스 혹은 이와 유사한 것)가 배치될 경우에는 견고한 운반대가 상기 측부로 표류되는 것을 방지해 주기위해, 이 부위에서 스크레이핑 립이 상기 오리피스와 인접한 캐빈벽에 상당히 가깝게 가압되어 작동되지 않게 되고, 스페이서가 견고한 운반대 및 캐빈상에 정렬될 수 있게된다.
한편, 본 발명 실시예에서 상기 스크레이핑 립은 개별부품으로 디자인될 수 있는바, 이 개별부품은 운동방향에 대해 비스듬한 각도로 뻗은 동시에 안내날개방식으로 서로에 대해 오프셋됨과 더불어 운동방향으로 서로 감싸는 각 인접선단부상에 정렬되어 있고, 이러한 구조로 인해 몇몇 캐빈판넬을 변형시키는 고압력을 피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이와 동시에 서로 겹쳐짐에 따라 크리닝이 가능한한 최상의 방식으로 이루어지게 되며, 이와 동시에 흡입이 관련되게 되면 흡입공기가 스크레이핑 선단부를 따라 제어된 방식으로 유동되기 때문에 스크레이핑 립에는 분말이 부착되지 않게 됨으로써, 공기가 충분하게 유동되도록 공기의 유동면적 및 유동방향이 상기 립의 경사부에 의해 충분할 정도로 형성되게 된다.
또한, 상기 스크레이핑 선단부/스크레이핑 립이 운동방향으로 서로 간격을 두고 2중링이나 2중크라운 형상으로 배치됨과 더불어 각 립사이의 통로를 감싸는형태로 배치되면, 캐빈을 통하여 크리닝장치의 운동과정에 소제될 캐빈내벽의 모든 부위가 실제적으로 크리닝부재에 의해 두 번씩 휩쓸려져 캐빈내벽이 보다 깨끗하게 크리닝된다.
한편, 보다 간단하게 제조하기 위해 상기 스크레이핑 립은 최소한 하나의 연속적으로 회전하는 크라운 형태로 운반대상에 배치되는데, 이로 인해 부드러운 캐빈벽이 소제되면서 흡입공기가 필요하지 않는 크리닝공정의 실행이 가능해지고, 이와 동시에 스크레이핑 선단부/스크레이핑 립이 크리닝장치의 2개의 서로 대향된 운동방향으로 내부외곽부에 대해 서로 다른 압력으로 가압하도록 운반대상에 장착됨에 따라, 한쪽 방향으로 상대적으로 낮은 압력이 가해져서 예비크리닝이 이루어지도록 반면에 반대방향으로는 보다 높은 압력으로 마무리 크리닝이 실행되어, 분말덩어리가 형성되는 것이 방지되게 된다.
또한, 스크레이핑 립이 2중 크라운형상으로 배치되는 경우에도 크리닝장치의 운동방향에서 앞선 스크레이핑 립이 뒤따르는 스크레이핑 립보다 상대적으로 낮은 압력으로 내부외곽부와 접촉되도록 스크레이핑 립/스크레이핑 선단부를 배치해주게 되면 상기와 유사한 효과를 얻을수 있게 되고, 이러한 경우에 있어서 크리닝장치는 단지 크리닝을 목적으로 캐빈을 가로질러 통과하게 되며, 흡입공기가 2개의 크라운사이에 공급되면 상대적으로 낮은 압력을 갖는 스크레이핑 부재, 즉 앞선 스크레이핑 립이 약간 들려져 느슨하게 묻어 있는 분말이 흡입되는 갭이 형성되게 되고, 게다가 공기속도가 증가되면서 공기가 조절된 방식으로 두 번째 스크레이핑 립쪽으로 유동됨에 따라, 뒤따르는 스크레이핑 선단부의 유동상태를 개선시켜 주게되며, 이와 동시에 스크레이핑 선단부/립사이에 특정한 공기통로를 형성시켜 주기 위해 스페이서를 갖고서 한쪽 면상에 스크레이핑 선단부/립을 배치시켜 주는 것이 특히 유용하고, 결과적으로 유동상태는 매우 정확하게 조절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뒤따르는 스크레이핑 선단부에서는 공기가 보다 강력하게 유동되게된다.
그리고, 크리닝부재의 2중 크라운 배치구조와 캐빈벽내의 오리퍼스부위에서의 공기흡입효과에 있어서 스크레이핑 립이 함께 접혀져야 하는데, 이러한 경우에 오리피스의 바깥쪽으로 스크레이핑 립부위에서 두드러지게 활발한 흡입압력강하가 효과적으로 방지되게 되고, 물론 마찬가지로 캐빈의 형상이 다양해짐에 따라 각기 다른 작동상태와 구조적 차이를 충분하게 고려하는 것이 가능하도록 운반대상에서 서로에 대해 각기 다른 위치에서 스크레이핑 립을 연결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캐빈에는 크리닝장치가 구비되며, 이 크리닝장치는 최소한 하나의 운반대를 갖추고서 캐빈입구의 오리피스로부터 캐빈내로 이동될 수 있도록 되어 있고, 진공흡입원은 운동방향으로 운반플레이트 앞쪽에 효과적으로 배치되어 있으며, 원동력이나 다른 파워에 의해 캐빈을 통해 이동될 수 있는 상기와 같은 운반플레이트상에는 스크레이핑 선단부/스크레이핑 립형상의 크리닝부재가 어떤 요구되는 편리한 위치에 만족할 만하게 배치될 수 있고, 상기 운반플레이트에 의해 이미 크리닝된 부분으로부터 차후로 크리닝된 캐빈-스페이스부분을 간단하게분리시켜 줄수 있게 되며, 분말이 크리닝부재에 의해 떨어져 나오는 순간에 바로 흡입이 효과적으로 이루어지게 된다.
한편, 기 공지된 수동작동캐빈에서는 진공이 필터를 갖춘 흡입장치에 의해 형성되게 되는바, 이와 같은 종래의 캐빈에 있어서는 대개 구조상의 이유로 운반플레이트가 로드형상의 장착대중앙부에 장착됨과 더불어 원동력에 의해 장착대를 통해서 이동되게 되어 있고, 캐빈내에서 실행되는 코팅과정에 캐빈오리피스쪽으로 방해되지 않고 자유롭게 접근되도록 운반플레이트가 장착되어 캐빈오리피스부위에서 정지된 상태에서 운반플레이트가 바깥쪽으로 회전될 수 있게 되며, 물론 크리닝장치나 크리닝부재를 운송하는 플레이트는 적절한 방식으로 안내되어, 작업갭이 일정하게 유지됨과 더불어 스크레이핑 선단부가 연속적으로 일정하게 작업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연속적으로 작동되는 캐빈에 있어서는 크리닝장치가 2부분으로 나뉘어져 구성되어 있는바, 이 2부분으로 나뉘어진 크리닝장치는 캐빈선단부로부터 서로 접근되는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도록 장착되고, 이 2개의 크리닝장치사이에는 진공원이 배치되어있는바, 물론 여기서 상기서술한 바와같이 수동으로 작동되는 캐빈에서 처럼 캐빈내에서 압력을 감소시키는 오리피스가 충분하게 밀봉된 상태로 닫혀지게 되며, 상기 2부분으로 나뉘어진 크리닝장치에 있어서 진공원은 운동방향에 대해 수직방향으로 뻗은동시에 흡입부를 형성하는 중앙흡입홈과같이 구성되므로, 2개의 크리닝장치는 이 중앙흡입홈쪽으로 이동되게 되어 있다.
그런데, 다른 흡입장치에서는 흡입채널이 캐빈플로어내에서 크리닝장치/운반플레이트 혹은 플레이트의 운동방향으로 뻗어 형성되고, 운반플레이트나 플레이트는 상기 흡입채널내로 밀봉된 상태로 돌출되어 있는바, 이러한 장치에서는 흡입이 분말의 자중을 동시에 이용하도록 되어 있기 때문에 분말분사캐빈의 전체기능면에서 잇점이 있고, 본 발명의 다른 개발된 실시예에서는 흡입채널이 캐빈플로어에서 비스듬하게 아랫방향으로 뻗어 집중적으로 배치되어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는 연속으로 작동되는 캐빈에 사용될 수있을 뿐만아니라 필터유니트와 같은 측방오리피스를 갖춘 캐빈구조에 매우 효과적인 바, 이 실시예에서 크리닝장치는 연속링이나 크라운형상의 크리닝부재와 진공원을 갖춘 흡입벽으로 구성되고, 상기 진공원은 크리닝부재 바로 뒤쪽에서 크리닝부재와 함께 이동되도록 되어, 캐빈벽으로 부터 제거된 분말은 캐빈내부공간에서 떠돌아다니지 않고 흡입장치의 이동하는 운반벽 바로 위쪽으로 흡입되며, 이러한 장치는 그의 작동모우드에 있어서 보다 진보적이지만, 평균적으로 상기 서술한 바와 같이 진공원이 고정된(운동방향으로 운반벽의 한측에 고정됨)캐빈을 갖춘 시스템보다 어느 정도 값이 비싸고, 이 흡입벽 시스템은 크리닝부재가 2중크라운구조로 배치되면서 이 크라운구조내에 진공원이 배치되면 매우 효과적인 방식으로 제조될 수 있는바, 그러므로 상기와 같은 구조에서는 진공원이 이동하는 운반벽내에서 스크레이핑 립사이에 배치됨과 더불어 긁어내어진 분말은 크리닝부재사이, 즉 스크레이핑 립사이의 공간내로 흡입되게 되며, 이러한 흡입벽은 플로어필터밴드구조를 갖춘 기존의 장치를 변형시켜 적합하게 사용될 수 있게 된다.
그리고,상기 서술한 바와같이 크리닝장치로 사용되는 흡입벽시스템을 갖춘 캐빈에는 예컨대 카트리지식 필터흡입장치만 구비되거나 제2크리닝장치로서 카트리지식 필터장치에 뒤따르는 면필터장치가 갖춰지고, 이것은 기 공지된 사실을 선택적으로 이용할 수 있는바, 즉 카트리지식 필터가 사용되는 경우에는 대량의 배치제조가 매우 높은 복원비율로 진행될 수 있는 반면에, 면필터를 갖춘 경우에 있어서는 분말 색상을 빠르게 변경(예컨대 매개물과 코팅될 부분의 상대적으로 작은 배치사이즈(batch size) 및 빈번한 색상변경)시키는데 보다 특히 편리한데, 그 이유로서는 주위환경을 보호하고 충분한 작업안정성을 보정하기 위해 상대적으로 낮은 정도의 정화이유로 제2필터장치가 사용되기 때문이고, 따라서 사용자의 사용목적에 따라 선택되면서 본 발명에 따른 크리닝장치와 병합되는 캐빈의 기본적인 구조가 달라질 가능성들이 있다.
또한, 상기 면필터는 그의 제한된 효율로 인해 상대적으로 크게 형성시켜 주게 되지만 그에 따라 요구되는 필터 사이즈로 인해 캐빈벽을 적절하게 확장시켜 줄 수 없기 때문에, 캐빈의 바깥쪽에 위치된 필터장치를 갖춘 제2흡입채널시스템이 캐빈에 당연하게 갖춰지고, 캐빈에 사용됨과 더불어 분말을 필터로 이송시키는데에 필요할 뿐만아니라 다른 오리피스를 통해 캐빈으로부터 분말이 빠져나가지 못하도록 방지해 주면서 대기로 방출되는 전체 소요공기는 대기 필터시스템과 같이 똑같은 방식으로 나뉘어져 유동되는바, 특히 한편으로는 캐빈내에 위치되면서 감싼 면필터로 구성되는 필터시스템과 필터로 분말로 안내하는 공기기류로 나눠지고, 다른 한편으로는 캐빈외부에 위치된 필터시스템으로 유동되는 분리된 제2공기기류로 나눠지며, 이 제2공기기류는 캐빈내에서 크리닝장치에 의해 제거된 분말을얻는 방식으로, 즉 본 발명에 따른 크리닝장치에 의해 제거된 분말을 받는 방식으로 가이드됨과 더불어 이렇게 수용한 분말을 다시 예컨대 분리기(사이클론)와 같은 외부필터쪽으로 안내하여, 이 외부필터에서 분말이 크리닝된 다음에 재사용할 수 있도록 분말콘테이너로 이송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제2흡입채널시스템이 필터부위아랫쪽에 위치되면서 캐빈의 플로어부위에 정렬된 홈통을 갖추게되면 매우 효과적인 바, 이로인해 필터로부터 떨어지거나 적절한 분리장치에 의해 크리닝된 분말을 캐빈부위에서 떠돌아다니게 하는 위험이 없어 예컨대 분말콘테이너와 같은 분말수집장치로 바로 유도할 수 있는 잇점이 있고, 다른 잇점으로는 전체 필터유니트에 대해 단지 하나의 중앙분말콘테이너만 충분한 바, 즉 다수개의 캐빈유니트가 일련적으로 배치되는 경우에라도 단지 하나의 분말콘테이너만으로 충분하게 된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캐빈구조에 있어서 특히 편리한 점으로서는 상기 흡입벽이 캐빈바깥쪽으로 천장에 구비된 구동수단에 의해 이동가능하게 장착될 수 있는데에 있고, 흡입채널은 상기 흡입벽에 감춰질 수있으므로, 이러한 흡입벽시스템을 종래의 캐빈을 높은 비용으로 변경시키지않고 캐빈내부에다 단지 몇 개의 추가부품만으로 간단하면서도 편리하게 장착시켜 주기 위해서는, 상기 구동수단을 이빨이 형성된 구동벨트로구동시키면서 상기 흡입채널위쪽에 배치시켜, 흡입벽의 운동과정에 각각 노출되는 채널의 공기유입흠부위를 벨트가 밀봉가능하게 덮어줄 수 있도록 해 주어야야 한다.
이러한 기능률 효과적으로 간단하게실행하기 위해서는 바람직하기로는 상기 흡입벽은 크리닝부재/스크레이핑 선단부/스크레이핑립의 중앙부위에 적절한 공기유입오리피스가 갖춰진 중공벽형상으로 형상화된다.
한편,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서는 상기 흡입벽에 시트형상의(평편한)필터가 구비되면서 이 필터는 흡입벽의 전체면적에 걸쳐 뻗어 형성되고, 상기 제2흡입채널시스템은 좁은 연속크라운 혹은 링흠형상으로 배치되어, 이동가능한 필터구조가 수동작동 및 연속작동 되는 캐빈에 간단하게 가변적으로 사용될 수 있게 되며, 이와 같은 이동가능한 평편한 필터에서는 흡입벽이 오리피스로부터 가능한한 멀리 이동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캐빈내부로 청소원이 들어갈 필요가 없기 때문에 매우 편리하게 소제될 수 있게 되고, 게다가 상기 시트형상 필터에는 연속작동동안에 필터의 효율을 높이기위해 필터크리닝장치가 갖춰질 수 있다.
상기와 같은 필터크리닝장치는 예컨대 압축공기노즐을 갖추고서 나란하게 필터후부에 배치된 압축공기장치로 구성될 수 있고, 이 압축공기장치는 필터후부를 따라 단계적으로 이동가능할 뿐만아니라 필터방향과 반대방향으로 배치되게 되며, 좌우간 이와 같은 흡입벽구조에서는 필터와 평필터를 크리닝하기 위해 배치된 크리닝장치뒤쪽에서 공기유동단면적이 축소되지 않도록 제2흡입채널시스템이 상대적으로 좁은 링형상으로 구성되는데, 따라서 이러한 경우에 상기 제2흡입채널시스템은 흡입벽내에 일체로 형성됨과 더불어 필터의 기계적인 장착대를 동시에 구성하는 외부링을 형성하게 되고, 이와 동시에 작업갭부위에서 스크레이핑 립과 맞은편쪽에서서 분말이 함유된 공기통로에 대해 예컨대 탄성적인 연속실링립과 같은 충분한 씰링에 의해 흡입채널이 밀봉되게 된다.
한편,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에서는 상기 캐빈이 압축펄스부하장치형태로서 크리닝부재나 스크레이핑 립을 크리닝하는 장치를 갖추고 있는데, 상기 압축펄스부하장치에는 다시 크리닝부재/스크레이핑 립 및 이들의 개구부쪽을 향해 뻗은 캐빈오리피스를 둘러싸는 압축공기채널이 구비되고, 이와 동시에 압축공기채널의 오리피스가 작업갭의 크기와 상응하게 형상화되면 적절하게 밀봉시켜 줄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크리닝장치의 맨 앞부분에 있어서 크리닝부재/스크레이핑 립을 운반대가 단지 적재하는 방식으로 압축공기채널이 크리닝장치의 운반대와 동일한 높이로 밀봉될 수 있게 되면 채널을 포위해 주게 되며, 그러므로 이 모두와 함께 크리닝부재에 대해 크리닝부재/스크레이핑 립을 충분하게 소제하는 작동가능한 크리닝시스템이 캐빈상에 구비될 수있을 뿐만아니라 본 발명에 따라 갖춰진 모든 다른 장치를 산정/ 및 동시에 계정시킨 채로 구조적인 측면에서 과도한 경비지출없이 구비될 수 있게 된다.
그런데, 상기 서술한 바와 같이 캐빈뿐만아니라 자체로 소제될 크리닝장치에서 재사용가능한 상태로 복원시키는에 시간이 많이 소요되거나 값이 비싸기 때문에, 캐빈의 크리닝과정에 분말을 회수하는 것이 불가능하게 되면, 예컨대 분말의 색상변경이 빈번하게 이루어진 경우에 한편으로는 크리닝장치를 흡입벽으로 형상화시키면서 다른 한편으로는 캐빈내에 구비된 분말재사용분리기/필터와 독립된 수집필터에다 크리닝장치를 연결시키는 것이 매우 경제적이고 유용하게되는바, 즉 이 수집필터로 유입되는 분말을 재사용하기 위해 분말순환시스템에다 더 이상 이송시켜 줄 필요가 없게 된다.
그리고, 본 발명에 의해 대체로 얻어 질 수 있는 잇점은 수동작동캐빈이나 자동화방식으로 연속작동되는 캐빈을 크리능하는 경제적인 실행가능한 장치에 있고 또한 캐빈을 추가적으로 소제할 목적으로사람이 캐빈에 들어갈 필요없이 충분하게 크리닝해 줄 뿐만 아니라 이와 동시에 많은 경우에 있어서 분말을 최적으로 회수해 주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분말분사코팅용 캐빈(1)은 제1도 내지 제2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벽(11)과 천장(16)에 의해 밀봉된 내부(10)를 갖추고 있는데, 이 외벽(11)과 천장(16)은 견고한 벽재, 특히 알루미늄시트나 스틸시트 혹은 바람직하기로는 특정한 스틸시트나 그와 유사한 재질로 만들어지고, 상기 캐빈(1)는 수동조작되는 코팅캐빈으로서 플로어(14)아랫쪽에 설치된 견고한 지지스텐드(12)에 의해 지지됨과 더불어 앞쪽에오리피스(13)가 구비되어 있으며, 이 오리피스(13)를 통해 캐빈내부(10)로 수용된 물품이 기존의 스프레이건(spray gun)을 매개로 코팅되게 되고, 상기 스프레이건과 코팅될 물품은 도면에 도시되어 있지않다.
그리고, 상기 캐빈(1)의 후면상에는 다수개의 필터구조(2)를 갖춘 필터하우징부가 배치되고, 상기 필터구조(2)에는 카트리지식의 필터(21)가 구비되며, 또한 코팅될 제품의 표면상에 남아 있는 잔여코팅제를 상시 필터(21)쪽으로 운반하기 위해 상기 필터구조(2)에는 흡입부(5)가 연결되어 있고, 이 흡입부(5)는 상기 카트리지식 필터(21)에 정렬된 채널시스템(501)을 갖춘 2단계 흡입팬(50)을 갖추고 있으며, 이 흡입팬(50)에 의해 흡입캔내로 유입된 공기는 어느 정도 충분하게 정화되도록 혼입된 코팅분말이 걸려진 다음에 주위의 대기로 방출되게 되는데, 이 경우 보다 깨끗하게 공기를 정화시키기 위해 제2의 필터장치를 설치해 줄 수도 있다.
또한, 상기 필터(21)에의해 걸려진 코팅분말은 코팅분말수집콘테이너(6)내에 담겨지게 되는데, 이 과정에서 가장 간단한 경우로서는 필터(21)내에 걸려져 담겨진 코팅분말을 압축공기절연부(211)를 매개로 압력을 가하여 상기 연결부(211)아랫쪽에 배치된 수집콘테이너(6)내로 송출시키게 된다.
그러나, 본 발명은 다른 실시예에서는 제9도(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면필터(22)와, 사이클론형상의 분리기(도시되지 않음) 및, 상기 필터나 또는 유사한 필터 및/또는 분리기와 연결되면서 외부필터를 갖춘 제2흡입채널(53; 제9도에 도시됨)에 의해 공기정화가 이루어지게되고, 상기와 같은 공기 정화시스템의 구조는 사용되는 캐빈에 따라 선택적으로 선정되게 되지만, 이러한 선정문제는 기히 서술되어 있기 때문에 본 발명에서는 이에 대한 자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한편, 본 발명의 지도적 사상은 사용되는 코팅분말의 색상이 변경되는 경우 및/또는 특정수의 물품을 코팅한 후에 캐빈을 소제하는 크리닝시스템에 있는바, 무엇보다도 중요한 것은 장치의 운휴시간을 감소시킴과 더불어 가능한 빨리 재사용할 수 있도록 캐빈을 준비시키는데에 있는바, 이와같은 목적으로 크리닝장치(4)가 제1도 내지 제2도에 도시된 수동작동식 코팅캐빈에 1부분으로 구비되어 있고, 이 크리닝장치(4)는 구동력에 의해 작동되는 장착대(412)상에 장착된 운반대(41)를 갖추고 있으며, 또한 이 운반대(41)는 신뢰성있는 적절한 방식으로 안내되게 되어 있지만, 이러한 안내방식은 본 발명에서 상세하게 설명할 필요가 없기 때문에 그에대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그리고, 상기 운반대(41)에는 운반플레이트(410)가 구비되어 있고, 이 운반플레이트(410)의 외곽 혹은 선단부(411)는 상기 캐빈내부(10)의 단면형상과 상응하게되어 있으며, 또한 상기 선단부(411)는 캐빈내벽에 대해 작업공간(43)을 두고 배치되어 있는바, 이러한 작업공간에는 크리닝부재(42)에 의해 채워지게 되고, 이 크리닝부재(42)는 운반프레이트(410)상에 적절하게 장착되면서 스크레이핑 선단부 또는 립(421)을 갖춘 탄성 스크레이퍼(scraper)로 구성되어 있으며, 상기와 같은 크리닝부재들은 제3도와, 제11도 및 제20도 내지 제22도에 보다 상세하게 도시되어 있다.
한편, 제1도에서는 상기 크리닝장치(4)가 운휴위치에 위치된 상태로 도시되어 있고, 상기 운반대(41)는 즉 장착대(412)상에 장착된 운반 플레이트(410)는 캐빈의 바깥쪽으로 빠져나와 버팀재(414)의 피봇베어링(413)을 매개로 90°의 각도로 오리피스(13)외부로 회전되어, 캐빈이 수동코팅을 실행할 수있도록 오리피스(13)로부터 개구되어 있다.
또한, 상기 캐빈내부(10), 특히 외벽(11)을 소제하기 위해 상기 운반플레이트(410)가 먼저 오리피스(13)앞쪽으로 축선회된 다음에 제2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동수단에 의해 캐빈내부(10)로 이동되게 되는데, 이와 동시에 운반플레이트(410) 앞쪽으로 운동방향(B) 쪽에는 흡입팬(50)에 의해 진공이 형성되는 반면에 운반플레이트(410) 뒤쪽에는 정상압력이 형성되게 되며, 또한 상기 스크레이핑 립(421)은 캐빈외벽(11)상에 묻어 있는 코팅분말을 긁어내게 되는데, 이러한 코팅분말을 외벽(11)으로부터 기계적으로 긁어내어 줌에 따라 코팅분말의 정전기적 부하가 제거되게 되고, 상기와 같이 긁어 내어진 분말은 흡입팬(50)에 의해 야기된 진공에 의해 카트리지식 필터 혹은 필터(21)쪽으로 이송되게된다.
그리고, 제3도와 제11도 및 제20도 내지 제22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스크레이핑 립(421)은 운반 플레이트(410)의 외주면상에 2개의 크라운형상으로 배치되어 있지만, 제19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나의 크라운형상 또는 다수개의 크라운형상으로 배치될 수도 있는데, 이 립(421)의 배치구조는 캐빈의 형상구조와 요구되는 크리닝정도에 따라 선정되게 되고, 상기와 같은 크리닝의 원리는 분말을 긁어낸 다음에 이송시키는 스크레이핑 립이 없는 유리창크리닝고무의 원리와같고, 이에 반하여 분말이송은 흡입공기에 의해 이루어짐에 따라 캐빈외벽(11)상에 대해 상대적으로 저압력이 필요하게 되며, 캐빈내에서의 내구성은 상기 스크레이핑립의 탄성과 길이에 의해 보상될 수 있게 된다.
또한 제3도와 제9도 내지 제12도 및 제19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스크레이핑 립(421)은 개별적인 요소로서 크라운형상으로 배치될 수 있는데, 이 경우는 운반대(41)의 운동방향(B)으로 제12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립(421)이 구부러져 겹쳐진 부분에 의해 크리닝효과가 증가되게 되고, 상기 스크레이핑 립(421)이 2중크라운 혹은 다중 크라운형상으로 배치된 구조에서도 상기와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으며, 게다가 상기 스크레이핑 립(421)의 폭을 작게 해주면 작동과정에 캐빈시트내에서 쉽게 일어날 수 있는 불균일한 정화가 향상될 수 있게된다.
한편, 제3도와 제9도 내지 제12도 및 제19도에 도시된 바와 같은 스크레이핑 립(421)의 배치구조와 달리, 제20도 내지 제22도에는 하나 혹은 다중크라운형상으로 스크레이핑 립(421)이 연속적인 원형을 이루면서 배치되어 있는데, 이러한 배치구조에서 스크레이핑부재와 스크레이핑 성단부 혹은 스크레이핑 립을 매개로 캐빈벽상에 묻혀있는 과도한 코팅분말을 긁어내는 원리와, 흡입공기를 매개로 긁어낸 코팅분말을 제거하는 원리는 제1도 내지 제2도에 도시된 캐빈에서와 동일함과 더불어 이후의 다른 실시예에서도 동일하게 적용되기 때문에 그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한편, 상기 카트리지식 필터(21)와 다른 필터가 사용될 때에, 즉 예컨대 사이클론이 사용될 때에 캐빈의 하우징을 구획짓는 선단벽과 운반플레이트(410)의 앞쪽을 소제할 수 있도록 회전스프레이노즐(44)이 구비되는데, 이 스프레이노즐(44)은 흡입팬과 함께 사용됨에 따라 상기 선단벽과 운반플레이트(410)의 앞쪽부분에서 상대적으로 느슨하게 묻어있는 코팅분말을 제거하여 대부분에서 보다 상대적으로 코팅분말이 적은 정도로 잔여하게 된다.
그리고, 코팅분말을 흡입하기 위한 흡입팬과 카트리지식 필터를 사용하는 대신에 사이클론분리기를 사용할 수도 있는데, 이 사이클론분리기의 사용방법과 배치구조에 대해서는 당해분야에서 널리 공지되어 있기 때문에 이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제4도 내지 제5도에는 상기 클리닝장치(4)가 연속작동캐빈에 특히 적합하도록 2부분(4a,4b)으로 나누어져 있는데, 이러한 2부분으로 나누어진 크리닝장치(4a,4b)는 캐빈(1)의 한쪽 선단부로부터 진공원을 형성하는 중앙흡입홈(51)쪽으로 이동되게 되고, 필요한 크리닝효과를 얻기위해 연속작동캐빈내에서 열려진 입구 및 출구측 오리피스(13)가 닫혀지게 되며, 이러한 목적으로 적절한 분할수단이 구비되게 되고, 상기 중앙흡입홈(51)은 분말분리기와 색상별 분말수집콘테이너(도시되지 않음)쪽으로 향한 흡입채널(510)과 연통되게 된다.
여기서, 적절한 방식으로 구동되는 상기 크리닝장치(4)는 캐빈내부 바깥쪽에 캐빈의 상부에 배치된 롤러(415)상에 장착되고, 캐빈외벽(11)내에 형성된 홈(110)은 자동코팅건이 삽입될 수 있도록 노출되게 되며, 이러한 홈(110)은 캐빈이 크리닝되는 동안에 각각 적절한 수단에 의해 밀봉되어져 진공흡입력이 감소되는 것이 방지되게 된다.
제6도 및 제7도에는 상기 제4도 내지 제5도에 도시된 연속작캐빈과 유사한 연속작동캐빈이 도시되어 있는바, 이 캐빈에는 단지 하나의 크리닝장치(4)가 구비되어 있고, 이러한 구조의 캐빈과 상기 제4도 내지제5도에 도시된 캐빈과의 차이점으로는 캐빈플로어(14)가 흡입채널(52)쪽으로 경사지게 형성되어 있는데, 상기 흡입채널(52)은 캐빈의 길이방향을 따라 전체 길이에 걸쳐 뻗어 형성되어 있으며, 또한상기 흡입채널(52)은 다시 분리기 및 코팅분말수집콘테이너(도시되지 않음)와 연결된 구조로 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캐빈플로어(14)상에 형성된 흡입채널(52)은 제8도에 보다 자세히 도시되어 있고, 상기 크리닝장치(4)의 운반플레이트(410)는 상기 흡입채널(52)내로 적절하게 삽입된 형태로 결합되어 있으며, 또한 이와같은 삽입된 운반플레이트(410)의 선단부에는 탄성씨일부재(4102)가 구비되어, 크리닝장치(4)가 작동될 때에 정상압력 과압력이 유지되도록 흡입채널(52)을 밀봉시켜주게 되며, 상기 크리닝장치(4)에 의해 캐빈벽으로부터 제거된 코팅분말은 상기 흡입채널(52)을 통해 연속적으로 흡입되게 되는데, 이과정에서 코팅분말의 자중과 경사지게 형성된 캐빈플로어(14)에 의해 코팅분말이 용이하게 흡입되게되고, 또한 상기 운반플레이트(410)에 의해 정상압력과 진공압이 채널부위에서 구별지워져 밀봉됨에 따라, 이 각기 상이한 압력이 형성된 부위사이로 흡입채널(52)을 통해 어떠한 공기 유동도 야기되지 않게 되지만, 제거된 코팅분말은 흡입채널(52)내로 떨어져 수집콘테이너로 이송될 수 있게 된다.
물론, 상기 밀봉씨일부재(4102)는 채널부위에서 코팅분말이 잔여되어 고착되는 현상을 막아주기 위해 스트립퍼(stripper)형상으로 디자인될 수 있고, 또한 스크레이핑 립과 밀봉부재가 조합되어 사용될 수도 있다.
제9도는 본 발명 다른 실시예에 따른 크리닝장치를 도시한 것인바, 특히 공기정화에 있어서 2가지 다른 캐빈구조가 실시예로 도시되어 있는데, 이중 하나의 캐빈구조는 오른편(제9도(a))에 도시되어 있는 반면에 다른 하나의 캐빈구조는 왼편(제9도(b))에 도시되어 있고, 제9도(a)에서는 상기 서술한 흡입팬(50)과 카트리지식 필터(21)를 사용한 공기정화구조가 도시되어 있는 반면에, 제9도(b)에서는 캐빈벽상에 면필터(22)가 장착됨과 더불어 이 면필터(22)뒷쪽으로는 흡입팬(50)에 결합된 것과 마찬가지로 카트리지식 필터(21)가 배치되어 승응하는 하우징부내에서 제2크리닝장치부를 형성하게 되어 있으며, 콘테이너형상의 코팅분말수용용기(6)는 상기 각 실시예에서 카트리지식 필터(21)아랫쪽에 배치되어 있다.
그리고, 제9도와 제11도 내지 제12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크리닝장치(4)에서 운반대(41)는 2중구조로 된 스크레이핑 립(421)을 운반하는 중공흡입벽(45)형상으로 되어 있고, 크라운형상의 2개의 스크레이핑립(421)사이에는 연속흡입채널(451)이 배치되어 있는데, 이 흡입채널(451)은 제10도에서 자세히 도시된 바와 같이 캐빈의 상부에 배치된 다른 흡입채널(54)과 연결되어 있으며, 이 흡입채널(54)은 캐빈내부의 바깥쪽으로 캐빈의 천장부내에 형성되어 있다.
또한, 제10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조립식재질로 만들어지는 상기 흡입채널(54)는 중공흡입벽(45)의 장착대내에 적절한 방식으로 조립되어 있고, 상기 중공흡입벽(45)은 연속공기유입홈(541)을 갖춘 흡입채널(451)의 상부에 운반대(452)를 통해 미끄럼이동될 수 있도록 연결되어 있으며, 또한 이 중공흡입벽(45)은 선단부상의 편향롤로(462, 제13도에 도시됨)를 통해 회전하는 맞물림이빨이 형성된 구동밸브(46)에 연결되어 이동되게 되고, 이 구동벨트(46)의 장력은 고정플레이트(461)에 의해 조절됨과 더불어 이 구동벨트(46)의 밴드부에 의해 흡입벽(45)의 고정플레이트(461)를 제외하고 흡입채널(52)의 공기유입홈(541)이 전체길이에 걸쳐 덮혀지게 되며, 상기 2개의 크리닝부재(42,421)사이에서중공흡입벽(45)의 선단면내에는 구멍(453)이 형성되어 있는데, 상기 중공흡입벽(45)에 형성된 흡입효과에 의해 긁어내어진 코팅분말이 상기 구멍(453)을 통해 흡입(제10도에 1점쇄선으로 도시된 화살표 C방향)되어 흡입채널(54)내로 유입된 다음에 분리기와 분말수집콘테이너로 이송되게 된다.
상기와 같이 중공흡입벽(45)을 갖춘 크리닝시스템은 제9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면필터와 같은 필터유니트를 위해 캐빈벽내에 측방으로 오리피스가 배치된 경우에는 매우 효과적으로 이용될 수 있게 된다.
또한, 제9도에는 코팅과정에 코팅된 물품에 잔여된 코팅분말을 흡입하기 위한 다른 흡입시스템이 도시되어 있는바, 즉 캐빈플로어(14)의 코너부위에 재2흡입채널(53)이 구비되어 캐빈이 작동되는 과정(코팅과정)에 크리닝장치(4)에 의해 크리닝되는 동안에 양쪽으로 떨어지는 코팅분말을 수집하게 되어 있고, 이렇게 코팅분말을 수집하기 위해 상기 제2흡입채널(53)은 예컨대 캐빈의 외부에 배치된 사이클론과 같은 진공발생유니트와 연결되어 있으며, 또한 공기는 2줄기로 나뉘어져 유동되게 되는바, 그중에 하나의 공기줄기는 코팅과정에 필터부재를 거쳐 캐빈외부로 방출됨과 더불어 크리닝과정에는 천장부내의 흡입채널(54)을 통해 외부로 방출되는 반면에, 다른 하나의 공기줄기는 코팅과정에 하부코너부주위에 남아있는 코팅분말을 제2흡입채널(53)을 통해 이송시키거나 크리닝과정에는 필터에 의해 분리된 코팅분말을 캐빈외부에 위치된 수집콘테이너로 이송시키게 되며, 추가적으로 면필터가 대기로 방출되는 공기와 코팅분말을 분리시키기 위해 구비되어 있다.
상기와 같이 흡입공기를 2줄기로 나뉘어 유동시킴에 따라 상기 면필터는 충분한 공기정화효과를 얻을 수 있도록 크게 만들어져야 하지만 캐빈벽은 필터크기와 상응하여 크게 형성시켜 줄 필요가 없는 잇점이 있고, 하나 혹은 다수개의 외부필터를 사용함에 따라 카트리지식 필터의 코팅분말분리능력보다 작은 면필터의 분리능력은 간단하게 보상될 수 있으며, 또한 다른 잇점으로서는 적절하게 구성될 때에 모든 필터 유니트에 대해 단지 하나의 중앙수집콘테이너만이 필요하게 되는 바, 즉 다수개의 캐빈유니트가 사용되더라고 단지 하나의 중앙 수집콘테이너로 충당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기 공지된 것으로서 캐빈내에 설치되는 진동플로어나, 유체플로어, 또는 분사장치와 같은 운송장치가 필요없게 된다.
한편, 중공흡입벽이 구비된 연속자동캐빈의 변형실시예가 제14내지 제15도에 도시되어 있는바, 먼저 제14도에서는 중공흡입벽(45)이 작동중인 상태가 도시되어 있는 반면에 제15도에서는 운휴중인 상태가 도시되어 있고, 여기서 또한 제2흡입채널(53)이 캐빈의 전체길이에 걸쳐 2개의 면필터와 조합되어 있다.
제16도에는 진공벽으로서 제4도에 도시된 흡입벽과 유사한 구조의 2개의 중공흡입벽을 갖춘 연속작동캐빈의 변형실시예가 도시되어 있다.
그리고, 제17도에 도시된 실시예에서는 흡입벽(45)에 흡입벽(45)을 통해서 이동가능한 면필터(220)가 구비됨과 더불어 링이나 크라운 형상으로 연속적으로 뻗은 제2흡입채널953)이 갖춰져 있는데, 이와 같은 구조에서 상기 흡입벽(45)은 캐빈내벽을 소제하기 위한 그의 본래의 기능을 다할 뿐만아니라 면필터(220)를 운반시키는 운반대기능을 하게되어 있고, 또한 상기 흡입벽(45)은 캐빈오리피스(13)까지 멀리 이동될 수 있기 때문에 캐빈이 크리닝되는 과정에 사람이 캐빈내부로 들어갈 필요없이 제위치에서 면필터를 소제할 수있게 되며, 평평한 면필터(220)의 뒤쪽으로 위치된 흡입벽면은 실제적으로 자유상태로 남아있어, 즉 운반대(41)가 다른 실시예에서처럼 연속플레이트형상이 아니고 늑골(rib)형상으로 되어, 필터를 통과하는 공기줄기의 유동이 방해되지 않게 되며, 따라서 충분한 밀봉씨일이 결합되면서 그위에 스크레이핑 립이 배치되어 있는 제2흡입채널(530)이 단지 흡입벽의 외형부내에 남아 있어 크리닝부재의 연속베이스부를 형성하게 되며, 이와 같은형상으로 흡입벽이 디자인됨에 따라 캐빈을 선택적으로 수동작동 또는 연속작동시킬 수 있게 되고, 캐빈이 연속적으로 작동되는 경우에는 상기흡입벽이 작업물품의 운송방향을 가로지르는 방향으로 이동되게 된다.
또한, 제17도에서 하부플로어내에 배치된 클리닝장치(4)는 제18도에 자세하게 도시되어 있는바, 이 크리닝장치(4)에서 밀봉립(422)은 크리닝부재(42)의 스크레이핑 립(421)뒷쪽에 배치되어, 제2흡입채널(530)쪽에 진공이 형성될 때에 공기가 필터의 앞쪽으로부터 오리피스(531)를 통해 상기 흡입채널(530)내로 빨려져, 스크레이핑 립(421)에 의해 캐빈벽으로부터 긁어내어진 코팅분말을 필터(220)뒷쪽의 공간으로 이송시키지 않고 바로 제2흡입채널(530)내로 이송시켜주게 되고, 또한 제2흡입구멍(533)을 매개로 상기 서술한 외부필터유니트와 연결되게 된다.
제19도는 상기 면필터(220와 함께 크리닝 장치(4)와 앞부분에서 크리닝부재(42)나 스트레이핑 립(421)을 소제하기 위한 실시예가 도시되어 있는바, 이 실시예에서는 압축공기채널(423)이 캐빈의 선단부를 따라 캐빈내에 배치되어 있고(제17도에서는 도시되지 않음), 이 압축공기채널(423)은 오리피스(13)의 전면 주위 특히 크라운형상으로 배치된 크리닝부재(42)주위에 뻗어 위치되어 있으며, 또한 스크레이핑 립(421)이 캐빈의 전단부에 이르게 되면, 이 스크레이핑 립(421)을 운반하는 운반대(41)의 선단면이 압축공기채널(423)의 내부선단부와 접촉되면서 흡입채널(530)쪽을 향해 그의 오리피스(424)만 개구시키게 되며, 이와 동시에 상응하는 진공이 흡입채널(530)에 형성될 때에 스크레이핑 립으로부터 분말을 제거하여 흡입채널러(530)내로 빨아들이는 압축공기펄스가 흡입채널(530)에 발생되어, 코팅분말이 흡입채널(530)을 통해 외부의 제2필터유니트로 보내져 수집콘테이너에 수용하게 된다.
한편, 제5도와 제7도, 제9도 및 제10도에 도시된 크리닝장치가 연속적으로 작동되는 캐빈에 사용될 때에, 이 크리닝장치에는 작업물품 수송지역 바깥쪽으로 이동되거나 축선회될 수 있는 순환콘베이어(401)와 같은 운송수단을 매개로 작업물품을 용이하게 이송시킬수 있도록 통로(40)가 구비되게 된다.
한편, 제10도 내지 제22도에서는 연속크라운형상으로 정렬된 스크레이핑 립(421)이 운반대(41)의 이동방향으로 외벽(11)(및/또는 플로어/천장)에 대해 상이한 압력을 견디어낼 수 있도록 배치되어 있는데, 이것은 스크레이핑 립(421)이 운반대(41)상에 접촉됨에 따라 베어링포인트가 운반대(41)의 하단부로부터 일정한 간격을 두고 떨어져 상기 상이한 압력을 견디어낼 수 있게 되지만, 이와 같은 목적으로 예컨대 지지플레이트가 구비되게 되고, 도시한 바와 같이 이동방향을 따른 앞쪽 스크레이핑립(421a)은 운반선단부에 지지된 뒤쪽 스크레이핑 립(421b)보다 베이스에 대해 상대적으로 낮은 압력이 작용되며, 고정점과 베어링점사이의 이격거리가 보다 커짐으로 인해 예정된 탄성을 갖고 있는 앞쪽 스크레이핑 립(421a)은 운반선단부에 지지된 뒤쪽 스크레이핑 립(421b)보다 상대적으로 큰 곡률로 휘어져, 운반대(41)의 2개의 플레이트사이의 간격보다 스크레이핑(421a,421b)사이의 간격이 작아지게 되는바, 즉 베이스로부터 운반대까지 부채꼴형상으로 확장된 채널이 2개의 스크레이핑 립(421a,421b)사이에 형성되게 된다.
상기와 같이 공기가 흡입되지 않는 상태에서 크리닝과정에 2개의 스크레이핑 립(421a,421b)에 작용되는 압력이 서로 상이한에 따라, 앞쪽립(421a)은 코팅분말을 긁어낸 다음에 대부분의 코팅분말을 이송시키는 반면에, 뒤따르는 립(421b)은 보다 세밀하게 코팅분말을 긁어내어 마무리 소제작업을 하게 되고, 이와 같은 방식으로 긁어내어진 분말은 수집콘테이너나 흡입수집부 또는 캐반외부로 이송되게 된다.
한편, 크리닝작업이 흡입공기와 함께 성행될 때에, 즉 상기 운반대(41)가 흡입벽으로 디자인된 경우에는, 이 흡입벽내에 진공이 형성됨에 따라 상기 립(421a)은 약간 들려지게 되는 반면 뒤따르는 립(421b)은 보다 강하게 아래쪽으로 가압되게 되고, 상기 립(421a)과 벽(11)사이의 갭(426)을 통해 느슨하게 묻어 있는 보다 많은 양의 코팅분말이 흡입벽내로 흡입되는 반면에 이와 동시에 유동공기 및 유동분말과 뒤따르는 립(421b)의 스크레이핑선단부에는 가속도가 야기됨으로써, 상기 립(421b)에 의해 긁어내진 코팅분말이 보다 효과적으로 유동공기내로 흡입되게 한다.
물론, 상기 운반대(41)가 반대방향으로 이동될 경우에도 스크레이핑립(421a,421b)의 각 기능이 바꾸어지는 것을 제외하고 동일한 효과를 얻을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제21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와 같은 립의 배치구조에서 다른 잇점으로는, 상기 2개의 스크레이핑립(421a,421b)이 예컨대 홈(110; 제4도와 제6도, 제14도 및 제15도에 도시됨)과 같은 함몰부위를 통과할때에 흡입력에 의해 2개의 립(41a,41b)의 자유단이 서로 가압시켜지게 됨으로써 흡입통로가 닫혀짐에 따라 흡입벽내에서의 압력저하가 간단하면서도 효과적으로 방지되게 된다.
한편, 제2도에 도시된 실시예에서는 립(41a,41b)사이의 갭을 특정한 형상으로 만들어주기 위해 립(41a,41b)자유단에 스페이서(425)가 부착되어 있다.
그리고, 제20도 내지 제22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나의 스크레이핑립에는 비록 손으로라도 용이하게 소제될 수 있는 한 경사진 배치구조내에서 각 개별 크리닝부재 이상으로 어떠한 잇점이 있고 운반대(41)의 플레이트는 유지 및 보수하기 위해 개별적으로 용이하게 분리될 수 있게 된다.
한편, 본 발명을 상세히 서술함에 따라 당해분야에서 평균적으로 숙련된 기술자에 의해 본 발명의 범주내에서 많은 다른 변형과 조합이 발명적인 숙고없이 야기될 수있다.

Claims (34)

  1. 분말을 물품에다 분사코팅하기 위해 다수개의 벽(11)과 플로어(14) 및 천장(16)으로 구획지워지면서 특정한 길이방향측을 갖춘 캐빈내부(10)를 갖추되, 상기 길이 방향측을 따라 물품이 캐빈(1)내에서 혹은 캐빈(1)을 통해 이동가능하게 되고, 견고한 운반대(41)를 갖추고서 상기 캐빈내부(10)에서 길이방향측을 따라 이동가능한 크리닝장치(4)가 구비되며, 또한 상기 운반대(41)에는 크리닝장치(4)의 작업이동과정에 캐빈내부의 단면방향 외곽부(내부외곽부)를 최소한 탄력적으로 가압시키면서 캐빈내부벽쪽을 향한 크리닝부재(42)가 갖춰지고, 상기 크리닝장치(4)가 내부외곽부와 상응하도록되어 운반대(41)와 내부외곽부사이에 작업갭(43)이 형성되면서 이 작업갭(43)이 상기 크리닝부재(42)에 의해 탄력적으로 메워지도록 된 분말분사코팅용 캐빈에 있어서, 상기 크리닝장치(4)가 바로 진공원쪽에 배치됨과 더불어 이 진공원이 크리닝장치(4)에 의해 캐빈내부벽으로부터 떨어져 나온 분말을 흡입해주도록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말분사 코팅용 캐빈.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운반대(41)가 최소한 하나의 운반플레이트(410)를 갖춘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말분사 코팅용 캐빈.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크리닝 부재(42)가 캐반벽쪽을 향한 스크레이핑 선단부(421)형상으로서 운반대(41)나 혹은 운반 플레이트(410)의 선단부(411)상에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말분사 코팅용 캐빈.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크리닝부재(42)가 탄성재질로 만들어진 스크레이핑 립(421)으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말분사 코팅용 캐빈.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스크레이핑 립(421)이 운동방향(B)에 대해 비스듬한 각도로 뻗은 개별 크리닝 부재(42)로 형상화되고, 각 크리닝부재(42)가 안내날개와 같이 서로에 대해 오프셋되도록 배치됨과 더불어 상기 운동방향(B)으로 인접한 선단부를 소로 감싸주도록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말분사 코티용 캐빈.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스크레이핑 선단부/스크레이핑 립(421)이 운동방향(B)으로 소정의 간격을 두고 2중 크라운형상으로 배치되면서 개별 크리닝부재(42)사이에 통로가 형성되도록 정렬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말분사 코팅용 캐빈.
  7.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스크레이핑 립(421)이 운반대(41)상에 최소한 하나의 회전하는 연속크라운(425)형상으로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말분사 코팅용 캐빈.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스크레이핑 선다부/스크레이핑 립(421)가 크리닝장치(4)의 서로 대향된 2개의 운동방향으로 내부외곽부에 대해 상이한 압력으로 눌러주도록 운반대(41)상에 정렬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말분사 코팅용 캐빈.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스크레이핑 선단부/스크레이핑 립(42)이 2중크라운형상으로 배치되어, 크리닝 장치(4)의 운동방향으로 앞선 각 스트레이핑 립(421a)이 뒤따르는 각 스크레이핑 립(421b)보다 상대적으로 낮은 압력으로 내부외곽부를 가압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말분사 코팅용 캐빈.
  10.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크리닝부재(42) 한쪽 측부에는 스페이스(425)가 구비됨과 더불어 이 스페이스(425)에 의해 크리닝부재(42)의 내부외곽부사이에 특정한 통로(426)가 형성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말분사 코팅용 캐빈.
  11.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크리닝장치(4)가 캐빈입구측의 오리피스(13)로부터 캐빈내부로 이동가능한 최소한 하나의 운반플레이트(410)를 갖추고, 흡입진공원이 운동방향(B)으로 상기 운반플레이트(410)로부터 효과적으로 정렬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말분사 코팅용 캐빈.
  12.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필터를 갖춘 흡입장치(5,21)가 진공원과 동일한 측부상에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말분사 코팅용 캐빈.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크리닝장치(4)가 2개의 크리닝장치(4a,4b)로 구성되고, 이 2개의 크리닝장치(4a,4b)가 캐빈선단부로부터 서로를 향해 이동가능하도록 배치되며, 또한 2개의 크리닝장치(4a,4b)사이에 진공원(5)이 위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말분사 코팅용 캐빈.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진공원(5)에는 운동방향에 대해 수직방향으로 뻗은 중앙흡입홈(51)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말분사 코팅용 캐빈.
  15. 제1항에 있어서, 하나의 흡입채널(52) 이 크리닝장치(4)/운반대(41)의 운동방향으로 뻗어 플로어(14)내에 배치되고, 상기 운반대 혹은 운반플레이트가 흡입채널(52)내로 밀봉되게 돌출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말분사 코팅용 캐빈.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흡입채널(52)이 플로어(14)의 중앙부위에 비스듬하게 아랫쪽으로 뻗어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말분사 코팅용 캐빈.
  17.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크리닝장치(4)가 연속크라운형상으로 배치된 크리닝부재(42)와 이 크리닝부재(42) 바로 뒤쪽으로 연동하는 진공원(451)를 갖춘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말분사 코팅용 캐빈.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크리닝부재(42)가 2중크라운형상으로 배치되면서 이들 크라운사이에 진공원(451)이 위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말분사 코팅용 캐빈.
  19. 제17항 또는 제18항에 있어서, 카트리지식 필터흡입장치(21)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말분사 코팅용 캐빈.
  20. 제19항에 있어서, 면필터장치(22)가 구비됨과 더불어 제2크리닝장치가 상기 카트리지식 필터흡입장치(21)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말분사 코팅용 캐빈.
  21. 제17항에 있어서, 캐빈바깥쪽에 위치된 필터장치를 갖춘 제2흡입채널(53)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말분사 코팅용 캐빈.
  22.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제2흡입채널(53)이 최소한 하나의 홈통(53)을 갖춤과 더불어, 이 홈통(53)이 플로어(14)에 정렬되면서 필터(21,22)부위 아랫쪽에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말분사 코팅용 캐빈.
  23.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흡입벽(45)이 천장부내에 구비된 구동수단(16)을 매개로 이동가능하게 장착되고, 캐빈바깥쪽으로 상기 천장부내에는 흡입채널(54)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말분사 코팅용 캐빈.
  24. 제23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수단(16)이 이빨을 갖춘 벨트(46)로 이루어지면서 흡입채널(54)위쪽에 배치되어, 상기 벨트(46)가 흡입벽(45)의 운동과정에 각각 노출되는 채널(54)의 공기유입홈(541)부위를 밀봉되게 덮어주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말분사 코팅용 캐빈.
  25.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흡입벽(45)이 중공벽형상으로서 적절한 공기유입오리피스(453)를 갖춘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말분사 코팅용 캐빈.
  26.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흡입벽(45)에는 전체 표면에 걸쳐 뻗은 시트형상의(평평한) 필터(220)가 구비되고, 상기 제2흡입채널(53)이 흡입벽(45)의 외곽부를 따라 좁은 크라운(530)형상이나 연속링형상으로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말분사 코팅용 캐빈.
  27. 제26항에 있어서, 상기 제2연속흡입채널(530)이 작업갭(43)내로 향한 흡입오리피스(532)와 캐빈벽(11)쪽으로 향해 운반대(41)의 선단부(411)로부터 링형태로 뻗은 탄성밀봉립(422)으로 이루어짐과 더불어 스크레이핑립(421)방향으로 개구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말분사 코팅용 캐빈.
  28. 제26항 또는제27항에 있어서, 상기 시트형상필터(220)에는 필터크리닝장치가 갖춰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말분사 코팅용 캐빈.
  29. 제28항에 있어서, 상기 필터크리닝장치가 필터후방부위로 압축공기를 나란하게 부하하는 압축공기 장치로 이루어지고, 이 압축공기장치에는 필터후방부위를 따라 이동하면서 필터방향과 바대방향으로 압축공기를 부하하는 압축공기노즐이 갖춰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말분사 코팅용 캐빈.
  3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크리닝부재(42)을 소제하는 크리닝장치가 압력펄스를 부하하는 장치(423)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말분사 코팅용 캐빈.
  31. 제30항에 있어서, 상기 압력펄스를 부하하는 장치(423)가 캐빈오리피스/스크레이핑 선단부(421) 및 이들쪽을 향한 개구부를 에워싸는 압축공기채널(423)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말분사 코팅용 캐빈.
  32. 제31항에 있어서, 상기 압축공기채널(423)의 오리피스(424)가 작업갭(43)의 칫수와 상응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말분사 코팅용 캐빈.
  33. 제31항 또는 제32항에 있어서, 상기 크리닝장치(4)의 맨앞부분에 상기 압축공기채널(423)이 크리닝부재(42)/스크레이핑 선단부(421)만 부하하도록 크리닝장치(4)의 운반대(41)와 동일한 높이로 밀봉되게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말분사 코팅용 캐빈.
  34. 제3항과, 제17항 또는 제18항 및 제28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크리닝장치(4)가 흡입벽을 갖추고서 하나 혹은 다수개의 분말재생분리기나 또는 필터와 별도로 분말수집필터에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말분사 코팅용 캐빈.
KR1019910701885A 1989-06-16 1990-06-15 분말분사 코팅용 캐빈 KR96001392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8907539 1989-06-16
DEG8907539.0 1989-06-16
PCT/EP1990/000941 WO1990015670A1 (de) 1989-06-16 1990-06-15 KABINE ZUM SPRÜHBESCHICHTEN VON GEGENSTÄNDEN MIT PULVERFÖRMIGEM BESCHICHTUNGSMATERIAL ('b')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20702638A KR920702638A (ko) 1992-10-06
KR960013925B1 true KR960013925B1 (ko) 1996-10-10

Family

ID=684029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10701885A KR960013925B1 (ko) 1989-06-16 1990-06-15 분말분사 코팅용 캐빈

Country Status (16)

Country Link
US (1) US5346553A (ko)
EP (1) EP0478649B1 (ko)
JP (1) JP2559077B2 (ko)
KR (1) KR960013925B1 (ko)
AT (1) ATE115009T1 (ko)
AU (1) AU647026B2 (ko)
BR (1) BR9007450A (ko)
CA (1) CA2058924C (ko)
DE (2) DE59007948D1 (ko)
DK (1) DK0478649T3 (ko)
ES (1) ES2067748T3 (ko)
HU (1) HU209374B (ko)
LT (1) LT3586B (ko)
LV (1) LV11009B (ko)
RU (1) RU2072901C1 (ko)
WO (1) WO1990015670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4134701C2 (de) * 1991-10-21 1996-06-05 Gema Volstatic Ag Pulver-Sprühbeschichtungseinrichtung mit alternativ austauschbaren Filter- und Zykloneinheiten
DE9203367U1 (ko) * 1992-03-10 1992-08-27 Farb-Tec Gesellschaft Fuer Beschichtungskabinen Systeme Mbh, 2000 Hamburg, De
DE9203366U1 (ko) * 1992-03-10 1992-08-27 Farb-Tec Gesellschaft Fuer Beschichtungskabinen Systeme Mbh, 2000 Hamburg, De
FR2724583B1 (fr) * 1994-09-16 1996-12-20 Sames Sa Cabine de revetement d'objets par projection de materiau pulverulent et procede de nettoyage d'une telle cabine
DE19500873A1 (de) * 1995-01-13 1996-07-18 Gema Volstatic Ag Sprühbeschichtungsvorrichtung
DE19520498A1 (de) * 1995-06-03 1996-12-05 Gema Volstatic Ag Reinigungsverfahren und Reinigungsvorrichtung für Beschichtungspulver
GB9718944D0 (en) * 1997-09-05 1997-11-12 Nordson Corp Improvements relating to powder spray coating
US5849053A (en) * 1997-09-16 1998-12-15 Napadow; Michael P. Energy conservation means for a controlled environment room
AU7492400A (en) 1999-09-17 2001-04-17 Nordson Corporation Quick color change powder coating system
EP1138394A1 (en) * 2000-03-31 2001-10-04 Nordson Corporation Improvements in and relating to powder coating system
US6730169B2 (en) 2000-08-22 2004-05-04 Nordson Corporation Electrostatic power coating system
US6730167B2 (en) 2000-10-05 2004-05-04 Nordson Corporation Powder coating spray booth with a powder extraction system
US6866717B2 (en) * 2000-10-05 2005-03-15 Nordson Corporation Powder coating spray booth with air curtain
US20040074987A1 (en) * 2001-01-31 2004-04-22 Shutic Jeffrey R. Apparatus and method for automatic powder spray booth cleaning
US20050103883A1 (en) * 2002-03-21 2005-05-19 Schroeder Joseph G. Spray gun cleaning arrangements
ES2294668T3 (es) * 2004-03-30 2008-04-01 J. Wagner Ag Dispositivo y procedimiento para limpiar una cabina de aplicacion de revestimientos en polvo.
DE102006057696A1 (de) * 2006-12-07 2008-06-19 Eisenmann Anlagenbau Gmbh & Co. Kg Pulverbeschichtungskabine für eine Pulverbeschichtungsanlage
EP3184178B1 (de) * 2015-12-23 2018-10-17 J. Wagner AG Pulverbeschichtungsanlage zum beschichten von werkstücken
CN108906455A (zh) * 2018-07-20 2018-11-30 佛山市洵腾科技有限公司 一种可回收涂料的喷涂装置
CN110624736B (zh) * 2019-09-25 2021-08-20 宝应县润华静电涂装工程有限公司 一种环保干式循环喷漆房
CN112549408A (zh) * 2020-11-24 2021-03-26 湖南昌泰金属设备制造有限公司 一种用于汽车零部件的无机胶凝材料滚压成型的模具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H593717A5 (ko) * 1974-11-14 1977-12-15 Gema Ag
JPS5438978A (en) * 1977-08-31 1979-03-24 Nissan Motor Carpet producing method
US4430956A (en) * 1982-06-01 1984-02-14 George Koch Sons, Inc. Spray booth with undeposited coating material collection system
DE3315426A1 (de) * 1983-04-28 1984-10-31 ESB Elektrostatische Sprüh- und Beschichtungsanlagen G.F. Vöhringer GmbH, 7758 Meersburg Spruehkabine fuer elektrostatische pulverbeschichtungsanlagen
DE3412275C2 (de) * 1984-04-02 1986-10-30 Ransburg-Gema AG, St. Gallen Pulverbeschichtungskabine
CH668008A5 (de) * 1985-04-30 1988-11-30 H U Ramseier Fa Elektrostatische pulverbeschichtungsanlage.
DE3516826C3 (de) * 1985-05-10 1995-03-23 Ramseier Oberflaechentechnik & Längsbewegliche Reinigungseinrichtung im Inneren einer Beschichtungskabine
DE3538800A1 (de) * 1985-10-31 1987-05-07 Intec Maschinenbau Gmbh Pulverspruehkabine fuer die pulverbeschichtung von werkstuecken
DE3714052C1 (en) * 1987-04-28 1988-07-21 Heinrich Baurhenn Paint spray booth for powder coating parts
DE8812950U1 (ko) 1988-10-15 1988-12-08 Becker, Josef, 5451 Kurtscheid, D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ATE115009T1 (de) 1994-12-15
ES2067748T3 (es) 1995-04-01
DE59007948D1 (de) 1995-01-19
RU2072901C1 (ru) 1997-02-10
LT3586B (en) 1995-12-27
CA2058924A1 (en) 1990-12-17
AU5856990A (en) 1991-01-08
AU647026B2 (en) 1994-03-17
US5346553A (en) 1994-09-13
LTIP1495A (en) 1995-06-26
LV11009B (en) 1996-04-20
HU905535D0 (en) 1992-04-28
JPH05500629A (ja) 1993-02-12
HUT61495A (en) 1993-01-28
WO1990015670A1 (de) 1990-12-27
KR920702638A (ko) 1992-10-06
DE9006887U1 (ko) 1990-10-18
EP0478649A1 (de) 1992-04-08
CA2058924C (en) 2004-08-10
DK0478649T3 (da) 1995-05-15
BR9007450A (pt) 1992-04-28
LV11009A (lv) 1996-02-20
EP0478649B1 (de) 1994-12-07
JP2559077B2 (ja) 1996-11-27
HU209374B (en) 1994-05-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60013925B1 (ko) 분말분사 코팅용 캐빈
US4883506A (en) Electrostatic powder coating installation and method of operating the same
EP1268086B1 (en) Powder recovery in a coating booth
US4323030A (en) Spray coating device
RU2430791C1 (ru) Установка для лакирования изделий
US4401445A (en) Method for converting a liquid paint spray booth to a powder paint spray booth
KR960013924B1 (ko) 파우더코팅재를 이용한 물품의 스프레이코팅용 캐빈
GB2272851A (en) Powdered-paint spraying plant with variable-sectionbooth
US4934308A (en) Improved spray chamber for powder deposition
JPS6259634B2 (ko)
US20050022483A1 (en) Controlling cyclone efficiency with a vacuum interface
US5152839A (en) Powder deposition apparatus
JP4021024B2 (ja) 静電粉末コーティング装置及び方法
EP0723481B1 (en) Powder recovery module
EP1958703B1 (en) Cleaning the interior of a powder spray booth by pulsating air flow
JPH0256945B2 (ko)
CA2445482C (en) Controlling cyclone efficiency with vacuum interfa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ORF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