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60013866B1 - 화장문의 화장판 부착구조 - Google Patents

화장문의 화장판 부착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60013866B1
KR960013866B1 KR1019950013645A KR19950013645A KR960013866B1 KR 960013866 B1 KR960013866 B1 KR 960013866B1 KR 1019950013645 A KR1019950013645 A KR 1019950013645A KR 19950013645 A KR19950013645 A KR 19950013645A KR 960013866 B1 KR960013866 B1 KR 96001386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te unit
decorative plate
piece
door body
do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5001364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50030979A (ko
Inventor
리꼬우 미스노
주우껭 다까세
Original Assignee
최창선
린나이코리아주식회사
나이또 스스무
린나이가부시기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창선, 린나이코리아주식회사, 나이또 스스무, 린나이가부시기가이샤 filed Critical 최창선
Publication of KR95003097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5003097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6001386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013866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5/00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 A47L15/42Details
    • A47L15/4251Details of the casing
    • A47L15/4257Details of the loading door
    • A47L15/4265Arrangements of door covering/decoration panels or plinths, e.g. for integrated dishwashers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화장문의 화장판 부착구조
제1도는 본 발명 실시예의 문을 채용한 식기세정기의 단면도.
제2도는 실시예의 화장문의 분해사시도.
제3도는 요부단면도.
제4도는 하변측면(17)과 결합편(36)의 관계를 나타내는 요부단면도.
제5도는 영구자석(4)의 흡착면(41)과 돌출편(35)의 관계를 나타내는 요부단면도.
제6도는 화장판유닛(3)의 다른 실시예의 이면측으로부터의 설명사시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문본체 11 : 조작박스부
1a : 이면구성판 1b : 전면구성판
2 : 기구본체 12 : 폐쇄면부
13 : 플렌지부 14 : 개구
3 : 화장판유닛 31 : 결합편
32 : 부착편 4 : 영구자석
41 : 흡착면
본 발명은 화장문의 화장판 부착구조, 특히, 식기세정기와 같이 싱크대에 조립되는 형식의 기구 등에 있어서 정면 화장문의 화장판유닛 부착구조에 관한 것이다.
통상적으로 식기세정기 등의 문은 하변부를 회동지점으로 하여 상하로 개폐하는 구조로 되어 있고, 더구나, 문본체는 전체에 걸쳐있는 정도의 두께를 가지고 있다. 그리고 이 전면에 화장판유닛이 부착된다.
이와같은 화장문에 있어서의 화장판유닛의 부착구조가 이미 실개평 5-1324호 공보에 제안되어 있고, 이것에서는 문본체의 전면상단으로부터 일정범위의 조작박스부의 하방전역을 화장판유닛의 부착부로 하고 있으며, 그 조작박스부의 하방이 전기조작 박스부의 전면보다도 요입된 요입부로 하여 이 요입부에 화장판유닛을 부착하여 문본체측으로부터 나사고정하는 구성을 채용하고 있다.
이것에 의하여 화장판유닛의 표면과 조작박스부 표면과의 외관적 일련성이 확보된다. 또, 상기 요입부에 부착된 화장판유닛의 교환에 의하여 각종의 화장문으로 형성할 수 있다.
그러나, 이것에서는 문본체로의 화장판유닛이 나사고정작업이 어려운 문제가 있다. 통상적으로 문본체가 기구본체에 장착된 그대로에서 상기 화장판유닛이 장착되는 것이므로 문본체를 전방으로 열어 젖힌 상태에서 문본체측으로부터 나사고정된다. 이때 문본체의 하측에 위치하는 화장판유닛을 소정의 위치에 위치결정상태에 유지하기 어려워 실제상 한사람의 작업자로서는 그 나사고정 작업이 곤란하게 되기 때문이다.
본 발명은 이러한 점에 착안하여 발명된 것이며, 문본체를 열은 상태에서의 화장판유닛의 부착작업을 간소화 할 수 있는 것을 그 과제로 하는 것이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수단은 「문본체(1)의 화장판유닛(3)의 부착부 상단에 하방으로 개방한 결합홈(111)을 형성하고, 화장판유닛(3)의 상단에는 부착위치에 있어서 상기 결합홈(111)에 끼워지는 결합편(31)을 설치하며, 문본체(1)의 화장판유닛(3)의 부착부 또는 화장판유닛(3)의 표면 일방에는 자성체로된 피흡착편(39)을 구비시킴과 함께, 타측방에는 화장판유닛(3)을 상기 부착위치에 부착시킨 상태에 있어서 상기 피흡착편(39)을 흡착하는 영구자석(4)을 부착하고, 상기 화장판유닛(3)을 문본체의 이면측으로부터 나사고정하도록 한」것이다.
상기의 기술적 수단은 다음과 같이 작용한다.
문분체(1)에 화장판유닛(3)을 조립할 때 화장판유닛(3)의 결합편(31)을 결합홈(111)에 끼워 결합시켜서 문본체(1)의 전면 부착위치에 부착시킨다. 이것에 의하여 피흡착편(39)이 영구자석(4)에 흡착유지된다. 따라서, 문본체(1)를 전방으로 열어젖힌 상태에서도 화장판유닛(3)은 문본체(1)의 소정위치로 위치가 결정된다. 이 상태에서 화장판유닛(3)을 문본체(1)의 이면측으로부터 나사고정하면 화장판유닛(3)이 결합편(31)과 결합홈(111)이 결합한 상태로 나사고정된다.
화장판유닛(3)을 문본체(1)에 나사고정할 때 양자가 위치결정 상태로 임시고정되어 있으므로 이 나사고정 작업이 간단하다. 문본체(1)와 화장판유닛(3)은 나사고정부와는 별도로 결합편(31)과 결합홈(111)의 결합에 의하여 양자가 부착상태로 유지되므로 나사고정 부위가 적어도 충분한 부착강도가 얻어진다. 따라서 나사고정부의 수를 적게할 수 있다.
다음에 상기한 본 발명의 실시예를 도면에 의하여 자세하게 설명한다.
이 실시예는 제1도에 나타낸 바와같이, 본 발명의 화장문을 식기세정기에 실시한 것이다. 이 식기세정기에서는 기구본체(2)의 케이싱(Casing)(K)내에 전방으로 개방한 세정실(21)이 설치되고, 이 세정실(21)내에는 세정식기를 수용하기 위하여 상하에 설치한 한쌍의 랙(R)(R)이 인출가능하게 수용되어 각 랙(R)의 하방에 세정노즐(N)이 각각 설치된다.
그리고, 전기세정실(21)의 전면개방부는 하단부 양측으로써 케이싱(K)의 측벽에 의하여 축설된 화장문에 의하여 개폐되고, 이것을 닫은 상태에서 세정노즐(N)(N)로부터의 세정수에 의하여 랙(R)내의 식기가 세정되게 된다.
상기 화장문은 제1도, 제2도와 같이 문본체(1)와 화장판유닛(3)으로 구성된다.
이 화장판유닛(3)의 전면은 그대로 주방 등의 실내에 노출하게 되므로, 이것의 전면부의 디자인은 수요자의 취향에 맞추어서 선정된다. 이점에서 이 화장판유닛(3)은 교체가능하여 각종 디자인의 제품이 선정될 수 있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이 때문에, 문본체(1)는 상단부에 조작박스부(11)를 구동시킨 평편한 상자체로 되어있고, 전기 조작박스부(11)의 하방의 문본체(1) 전면은 상기 조작박스부(11)의 전면보다도 일단후방으로 요입된 요입부(A)로 되어 있으며, 이 요입부(A)의 전역에 화장판유닛(3)이 부착고정된다.
상기 문본체(1)를 평편한 상자체로 하기 위하여 문본체(1)는 이면구성판(1a)과 전면구성판(1b)으로 되고, 제3도에 나타낸 바와같이 이면구성판(1a)은 세정실(21)의 전면개방부를 폐쇄하기 위한 폐쇄면부(12)의 저부를 지점축으로 하여 전방으로 개방되는 상자체 또는 접시체로 되어 있으며, 그 주변측의 상변 및 양측변의 전면연부로부터 플렌지부(13)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폐쇄면부(12)의 주연부가 세정실(21)의 전면 개방부를 둘러싸는 주벽단면(22)과 접하여 세정실(21)의 개방부를 닫는다.
조작박스부(11)는 상기 이면구성판(1a)의 상단부에 장착된 상자체로서 전면부에 손잡이부(112)나 조작패널부(113)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그 하면에는 그 전면연부에 따라서 그 근방에 하방으로 개방하는 결합홈(111)이 형성되어 있다.
또, 이면구성판(1a)의 상기 조작박스부(11)의 하방구역의 전면은 평편한 상자상 또는 접시상의 전면구성판(1b)에 의하여 폐쇄되어 있다. 그리고, 좌우의 측벽(15)(15)은 이면구성판(1a)의 플렌지부(13)의 측방단연부와 일치하도록 부착되어 있다. 이 때문에, 이 전면구성판(1b)의 각측벽(15)의 후단에는 내측으로 굴곡된 부착편(16)이 연설되고, 이것이 플렌지부(13)에 복수 개소에서 나사고정되어 있다. 이에 의하여 이면구성판(1a)의 전방구역이 폐쇄되고, 플렌지부(13)의 측연과 전면구성판(1b)의 측벽(15)(15)이 일치된 것으로 되며, 문본체(1)는 전체로서는 평편한 직사각형 상자체의 상변으로부터 일정범위에 걸쳐서 조작박스부(11)가 전방으로 돌출되고, 이 조작박스부(11) 이하의 부분이 요입부(A)로 된 외관으로 한다.
또, 상기 전면구성판(1b)의 하부에서 양측변 근방에는 한쌍의 직사각형의 개구부(14)(14)가 형성되어 각 개구부(14)에는 플렌지부(13)와 접합된 부착편(16)의 일부가 만나게 된다.
이 실시예에서는 상기 문본체(1)의 요입부(A)의 형성구역의 상하 길이보다도 화장판유닛(3)의 상하 길이를 길게 설정하고 있으며, 화장판유닛(3)의 하부는 전면구성판(1b) 하변으로부터 다시 하방으로 돌출한다. 그리고, 상기 전면구성판(1b)의 하변측벽(17)의 대략 중앙부에는 개구부(171)가 형성되어 이 개구로부터 흡착면(41)이 하방으로 독출하도록 영구자석(4)이 전면구성판(1b)내에 부착되어 있다. 또한, 상기 개구부(171)의 좌우에 좁고 긴 직사각형이 결합공(172)(172)이 형성되어 있다.
화장판유닛(3)은 제3도 내지 제5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접시상 주체(3a)와, 그 양측벽에 부착된 단면 L자형의 측변보강틀(3b)(3b)과, 하변측에 부착된 하변보강틀(3c)로 되며, 상기 측변보강틀(3b)(3b)을 포함한 그 횡폭이 문본체(1)와 상기 요입부(A)의 폭에 일치하고 상기 접시상 주체(3a)는 후방으로 개방한 평편한 직사각형의 접시상체로 하여 그 상변측벽에는 상기 조작박스부(11)의 결합홈(111)에 끼워지는 결합편(31)이 부착되어 있다. 또한, 접시상 주체(3a)의 좌우의 측벽으로부터 내측으로 굴곡된 굴곡변(33)(33)의 중간부에는 상기 개구부(14)에 일치하는 위치에 판재를 지지대 형상으로 굴곡시킨 부착편(32)(32)이 나사(도시하지 않음)에 의하여 부착되어 있다. 또한, 그 하방에서 전면구성판(1b)의 하변측벽(17)에 일치하는 위치에는 자성체에 의하여 구성되는 가로대(34)가 부착되어 있어 이것의 상단 돌출편(35)에는 상기 결합공(172)(172)에 일치하는 위치에 결합편(36)(36)이 돌출된다. 그리고 상기 돌출편(35)에 있어서의 이들 결합편(36)의 중간 부가 피흡착편(39)로 된다.
더구나, 이 실시예의 화장판유닛(3)은 접시상 주체(32)의 전면과 보강틀(3b)(3b)의 전면 누름판(37)(37) 및 하변보강틀(3c)의 전면누름판(38)과의 사이에 일정한 간격을 형성하고 있으며, 이 간격부에 화장패널(5)을 삽입하고 있다.
그리고, 보강틀(3b)과 하부보강틀(3c)은 일체라도 좋다. 이에 의하여 상기 화장패널(5)은 화장판유닛(3)에 있어서, 그 양측변 및 하변이 전기 누름판(37) 및 누름판(38)에 의하여 유지되어 접시상 주체(3a)의 표면에 부착고정된다. 또한, 화장판유닛(3)을 문본체(1)로부터 떼어낸 상태에서는 전기 화장패널(5)은 상방으로 떼어내기가 자유롭게 되므로 이것의 교환이 간단하게 이루어진다.
이 실시예의 것에서는 결합편(31)을 결합홈(111)에 삽입함과 함께 화장판유닛(3)의 이면으로부터 돌출된 부착편(32)(32)을 개구(14)(14)에 각각 삽입하여 각 부착편(32)의 정상면을 개구부(14)에 면한 부착편(16)을 통하여 플렌지부(13)에 나사고정하면 화장판유닛(3)은 문본체(1)의 전면의 소정위치로 고정된다.
그리고, 부착편(32)을 접시상 주체(3a)에 부착시킨 나사(도시하지 않음)를 포함하여 부착편(32)의 전체가 개구부(14)내에 수용되는 구성으로 되어 있으므로 화장판유닛(3)의 이면이 문본체(1)의 전면구성판(1b)에 밀착한다. 또, 「전면구성판(1b)에는 하변측벽(17)의 중앙의 개구부(171)에 흡착면(41)을 노출시킨 영구자석(4)이 설치되고, 화장판유닛(3)의 후면에는 이것의 장착상태에 있어서 상기 하변측벽(17)에 일치하는 위치에 후방으로 돌출된 돌출편(35)을 구비시킨 가로대(34)가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화장판유닛(3)을 문본체(1)의 전면에 부착고정함에 있어서 상기와 같이하여 화장판유닛(3)을 소정의 위치로 배치하면 화장판유닛(3)의 이면으로부터 돌출된 돌출편(35)의 중앙의 피흡착면(39)이 영구자석(4)의 흡착면(41)에 흡착유지된다. 따라서, 부착편(32)(32)을 사용하여 문본체(1)에 나사고정함에 있어서, 상기 흡착에 의하여 화장판유닛(3)이 임시 고정 상태로 유지되기 때문에 화장판유닛(3)의 부착이 간단하다.
상기와 같이 하여 부착된 화장판유닛(3)에서는 접시상 주체(3a)의 전면에 부착 유지된 화장패널(5)의 상단부가 조작박스부(11)의 하면에 접하게 되므로 이것이 화장판유닛(3) 내에서 덜컹거리는 일도 없다.
또한, 문본체(1)에는 제2도에 나타낸 바와같이 이면구성판(1a)에 전면구성판(1b)을 부착함에 있어서 양측의 플렌지부(13)의 하부에 축받이판(19)(19)이 나사고정된다. 그리고, 이 축받이판(19)의 축공(191)에 케이싱(K)의 측벽으로부터 돌출된 지점축(도시하지 않음)을 삽입하도록 하여 케이싱(K)에 조립된다. 이에 의하여 상기 구성의 화장문이 상하로 희동하는 상태로 세정실(21)을 개폐하게 된다.
또한, 화장판유닛(3)에 있어서, 전면구성판(1b)의 하변에 일치하는 위치에는 가로대(34)가 부착되어 이것의 상단 돌출편(35)에는 상기 결합공(172)(172)에 일치하는 위치에 결합편(36)(36)이 돌출된다.
따라서, 화장판유닛(3)을 문본체(1)의 전면구성판(1b)에 부착할 때 상기 결합편(36)(36)이 결합공(172)(172) 끼워진 상태에서 위치 결정이 되어 상기한 영구자석(4)에 의하여 흡착유지 자력에 의하여 화장판유닛(3)이 임시고정되므로 임시고정 상태가 안정되고, 또한 임시고정위치가 정확하게 된다.
더구나, 상기 실시예에서는 화장패널(5)을 끼운 화장판유닛(3)을 부착하는 경우에 대해서 설명하였지만, 화장판유닛(3)을 제6도에 표시한 바와같이 목제의 후판등과 같은 두께가 두꺼운 하나의 판으로된 화장판유닛(3)으로 할 수도 있다. 이 경우에는 후판제의 직사각 형판으로 한 화장판(30)의 이면에 상기 실시예와 같은 위치에 같은 부착편(32)(32) 및 가로대(34)를 나사고정한다. 이 경우에도 상기 실시예의 경우와 같이하여 부착된다.
또한, 상기 어느예에서도 「문본체(1)는 이면구성판(1a)와 전면구성판(1b)에 의하여 형성된 평편한 상자체로 형성함과 함께, 문본체(1)의 전면은 상단으로부터 일정범위를 조작박스부(11)로 하여 그 하방전역의 전면을 이 조작박스부(11)의 전면 보다도 일단 요입시킨 요입부로 함과 함께 상기 조작박스부(11)의 상기요입부에 면한 하면에는 하방으로 개방된 결합홈(111)을 형성하고, 상기 배면구성판(1a)은 기구본체(2)의 전면개방부를 폐쇄하는 폐쇄면부(12)의 외주에 상기전면개방부를 면한 주벽단면과 소정의 간격를 가지고 있도록 문본체 전면측에 요입시켜서 설치한 플렌지부(13)를 구비한 구성으로 하며, 전면구성판(1b)은 적어도 조작박스부(11)의 하방전역에 걸쳐서 이면구성판(1a)의 전방부를 폐쇄하고 또한 그 양측면이 상기 플렌지부(13)의 단연부와 일치한 후방으로 개방한 상자상태로 하며, 이 전면구성판(1b)의 하부의 양측변근방에서 또한 이면구성판(1a)의 플렌지부(13)와 대향하는 위치에는 개구부(14)(14)를 형성하며, 상기 조작박스부(11)의 하방으로써 상기 전면구성판(1b)에 부착되는 화장판유닛(3)의 상단에는 상기 결합홈(111)에 끼워지는 결합편(31)을 설치함과 함께 이면의 측변근방에서 또한 전기개구부(14)(14)와 대향하는 위치에 부착편(32)(32)을 돌출시켜서 상기 결합편(31)을 상기 결합홈(111)에 끼워 결합시켜서 상기 개구부(14)(14)로부터 전면구성판(1b)내에 삽입한 부착편(32)(32)를 플렌지부(13)을 나사고정한」것이므로 다음과 같은 작용, 효과가 있다.
이면구성판(1a) 전면구성판(1b) 및 조작박스부(11)에 의하여 문본체(1)가 평편한 상자상으로 구성되어 이 문본체(1)는 화장판유닛(3)과는 별개로 조립된다.
별개로 조립된 화장판유닛(3)은 문본체(1)에 대하여 결합편(31)을 결합홈(111)에 끼워 결합시켜서 상기 개구부(14)(14)로부터 전면구성판(1b)내로 삽입한 부착편(32)(32)을 플렌지부(13)에 나사고정 하므로써 문본체(1)와 일체화된다. 이 상태에서는 상기 부착편(32)(32)은 외부로 노출됨이 없이 전면구성판(1b)내에 내장된다. 또, 이면구성판(1a)의 측연부(플렌지부(13)의 측연부)와 전면구성판(1b)의 측벽이 일치함과 함께 화장판유닛(3)의 측연이 일치한 것으로 되어 외관적 일련성이 확보될 수 있다.
화장판유닛(3)을 부착하기 위한 부착나사는 플렌지부(13)의 이면에 노출되지만 플렌지부(13)와 기구본체의 전면개방부를 둘러싸는 주벽단면과의 사이에는 소정의 간격이 있으므로 상기 부착나사의 두부가 전기부벽 단면과 대접함이 없이 폐쇄면부(12)에 의한 폐쇄상태가 손상되는 일은 없다.
따라서, 화장판유닛(3)의 교환에 있어서 문본체(1)를 분해할 필요가 없으므로 화장판유닛(3)의 교환작업이 간단하다.
화장판의 조립에 있어서도 문본체(1)의 조립과 화장판유닛(3)의 조립을 별개로 행하기 때문에 생산공정이 표준화될 수 있고 생산성이 향상된다. 또한, 조립상태에서의 외관적 일련성이 확보될 수 있어서 화장판유닛(3)을 부착하기 위한 부착나사 등의 부재가 외부로 노출되는 일이 없어서 외관적으로 보기흉한 부위가 생기지 않는다. 더구나, 문본체(1)에 의한 본체측의 전면개방부의 폐쇄상태도 손상되지 않는다.
상기 실시예에서는 영구자석(4)을 전면구성판(1b)의 하변측벽(17)에 설치하였지만 화장판유닛(3)의 돌출편(35)에 상방측으로 노출되도록 영구자석(4)을 부착하여 상기 하변측벽(17)을 피흡착부로 하여도 좋다.
더구나, 상기 실시예에서는 결합홈(111)은 문본체(1)의 전면구성판(1b)과 일정간격을 가지도록 하였지만 이 결합홈(111)이 상기 전면구성판(1b)에 연속하는 형태로 형성되어도 좋다.

Claims (4)

  1. 문본체(1)의 화장판유닛(3)의 부착부 상단에 하방으로 개방된 결합홈(111)을 형성하고, 화장판유닛(3)의 상단에는 부착위치에 있어서 상기 결합홈(111)에 끼워지는 결합편(31)을 설치하여, 문본체(1)의 화장판유닛(3)의 부착부 또는 화장판유닛(3)의 이면의 일방에는 자성체로된 피흡착편(39)을 구비시킴과 함께 타측방에는 화장판유닛(3)을 상기 부착위치에 부착한 상태에 있어서 상기 피흡착편(39)을 영구자석(4)을 부착하고, 상기 화장판유닛(3)을 문본체의 이면측으로부터 나사고정하도록 한 화장문의 화장판 부착구조.
  2. 화장판유닛(3)의 이면에는 자성체로 된 피흡착편(39)를 구비시키고, 상기 피흡착편(39)을 흡착하는 영구자석(4)을 상기 문본체(1)에 부착한 청구범위 제1항에 기재의 화장문의 화장판 부착구조.
  3. 결합홈(111)을 문본체(1)의 상단부로 돌출시킨 조작박스부(11)의 하면에 형성함과 함께 이 조작박스부(11)의 하방전면을 화장판유닛(3)의 부착부로 하고, 영구자석(4)은 문본체(1)내에 설치되어 이 문본체(1)의 전면구성판(1b)의 하변측벽(17) 중앙의 개구부(171)에 흡착면(41)을 노출시킨 구성으로 하며, 화장판유닛(3)의 후면에는 이것의 장착상태에 있어서 상기 흡착면(41)에 일치하는 위치에 피흡착편(39)을 돌출시킨 청구범위 제1항 또는 제2항 기재의 화장문의 화장판 부착구조.
  4. 하변측벽(17)에는 개구부(171)를 사이에 두고서 그 회측에 결합공(172)(172)이 설치되고, 화장판유닛(3)의 후면에 돌출편(35)를 설치하며, 이 돌출편(35)에는 상기 결합공(172)(172)에 일치하는 위치에 결합편(36)(36)을 상방으로 돌출시킨 청구범위 제3항 기재의 화장문의 화장판 부착구조.
KR1019950013645A 1994-05-30 1995-05-29 화장문의 화장판 부착구조 KR96001386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11721494 1994-05-30
JP94-117214 1994-05-30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50030979A KR950030979A (ko) 1995-12-18
KR960013866B1 true KR960013866B1 (ko) 1996-10-10

Family

ID=1470622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50013645A KR960013866B1 (ko) 1994-05-30 1995-05-29 화장문의 화장판 부착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60013866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50030979A (ko) 1995-12-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220204B2 (en) Refrigerator door and method of manufacture thereof
US4288133A (en) Appliance control housing and console construction
CA2395001C (en) Dishwasher door assembly
JP3868725B2 (ja) 冷蔵庫扉
KR960013866B1 (ko) 화장문의 화장판 부착구조
KR100437423B1 (ko) 전자레인지의도어어셈블리
KR100425846B1 (ko) 냉장고의 데코도어 장치
JP3251808B2 (ja) 化粧扉の化粧板取付構造
KR100776372B1 (ko) 주방가구용 도어
EP3714755A1 (en) Dishwasher
CN218220148U (zh) 一种洗碗机的门体机构及洗碗机
KR100551196B1 (ko) 김치저장고의 전면디스플레이판넬 조립구조
JPH0893729A (ja) マグネットブラケット
JPH033862B2 (ko)
CN213850565U (zh) 洗碗机门体组件及洗碗机
KR100429813B1 (ko) 전자제품의 조작패널
JP3533949B2 (ja) 加熱調理装置の扉
JPH0322947Y2 (ko)
JPH11241573A (ja) 家具用扉
KR20030065904A (ko) 냉장고의 데코도어 장치
JP3069480B2 (ja) 幕前板の取り付け構造
JP2782763B2 (ja) 収納キャビネット
JPH0610924Y2 (ja) 電気湯沸し器
JP2523576B2 (ja) 換気扇
JPH0116325Y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40923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