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60013015B1 - 테이프 기록방식 판별을 위한 경보방법 - Google Patents

테이프 기록방식 판별을 위한 경보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60013015B1
KR960013015B1 KR1019930032022A KR930032022A KR960013015B1 KR 960013015 B1 KR960013015 B1 KR 960013015B1 KR 1019930032022 A KR1019930032022 A KR 1019930032022A KR 930032022 A KR930032022 A KR 930032022A KR 960013015 B1 KR960013015 B1 KR 96001301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gnal
tape
playback
mode
record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3003202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50020544A (ko
Inventor
이재길
Original Assignee
대우전자 주식회사
배순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우전자 주식회사, 배순훈 filed Critical 대우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19930032022A priority Critical patent/KR960013015B1/ko
Publication of KR95002054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5002054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6001301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013015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15/00Driving, starting or stopping record carriers of filamentary or web form; Driving both such record carriers and heads; Guiding such record carriers or containers therefor; Control thereof; Control of operating function
    • G11B15/02Control of operating function, e.g. switching from recording to reproducing
    • G11B15/026Control of operating function, e.g. switching from recording to reproducing by using processor, e.g. microcomputer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15/00Driving, starting or stopping record carriers of filamentary or web form; Driving both such record carriers and heads; Guiding such record carriers or containers therefor; Control thereof; Control of operating function
    • G11B15/02Control of operating function, e.g. switching from recording to reproducing
    • G11B15/05Control of operating function, e.g. switching from recording to reproducing by sensing features present on or derived from record carrier or container
    • G11B15/087Control of operating function, e.g. switching from recording to reproducing by sensing features present on or derived from record carrier or container by sensing recorded signal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220/00Record carriers by type
    • G11B2220/90Tape-like record carrier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7/00Editing; 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onitoring; Measuring tape travel
    • G11B27/10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easuring tape travel
    • G11B27/19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easuring tape travel by using information detectable on the record carrier
    • G11B27/28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easuring tape travel by using information detectable on the record carrier by using information signals recorded by the same method as the main record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Television Signal Processing For Recording (AREA)
  • Signal Processing Not Specific To The Method Of Recording And Reproducing (AREA)

Abstract

내용없음

Description

테이프 기록방식 판별을 위한 경보방법
도면 1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테이프 기록방식 판별을 위한 경보방법을 적용하는데 적합한 경보장치의 블록구성도,
도면 2는 본 발명에 따라 해당 VCR 기기에서 재생 가능한 기록방식이 아닌 다른 기록방식 테이프의 재생시에 음성 메세지를 발생하는 과정을 도시한 순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마이콤2 : 스위칭부
3 : 음성회로부4 : 증폭부
5 : 스피커
본 발명은 VCR(Video Casstte Recorder)의 재생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사용중인 VCR 기기에서 재생이 불가능한 다른 기록방식을 갖는 테이프의 재생시에 이를 사용자가 인식하는데 적합하도록 한 테이프 기록방식 판별을 위한 경보방법에 관한 것이다.
잘 알려진 바와 같이, 전형적인 통상의 VCR 재생장치는 대응 가능한 기록방식, 즉 기기에서 재생 가능한 기록방식으로 기록되지 않고 타 방식(NTSC, PAL, SECAM 방식 등)으로 기록된 테이프를 삽입하고 재생모드를 선택하게 되면, 테이프의 재생동작은 수행되더라도 각 방식별로 캡스턴(Capstan) F.G와 컨트롤비가 상이한 관계로 모니터상에 화면영상신호)이 디스플레이되지 않는다.
상기한 바와 같이 경우에 있어서, VCR에 대한 기본지식이 없는 사람들은 테이프 기록방식이 다름으로 인해 모니터상에 영상신호가 디스플레이되지 않음에도 불구하고, 이를 간과한 채 사용자가 VCR 기기 자체의 고장인 것으로 오인하는 경우가 흔히 발생하곤 하였다. 따라서, 이와 같은 테이프 기록방식의 다름으로 인한 영상 디스플레이 실패로 인해 야기될 수 있는 사용자의 고장 오인은 제조회사로의 항의 또는 불필요한 애프터 서비스 요청 등의 원인이 되고 있으며, 심지어는 관련 회사제품의 불신으로까지 이어지는 상황을 초래하는 문제가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한 점에 착안하여 안출한 것으로, 재생을 위해 삽입된 테이프가 현재 사용중인 VCR 기기에서 재생 가능한 기록방식이 아닌 다른 방식으로 기록된 테이프일때 그에 상응하는 사용자가 인식을 위한 음성 메시지를 제공할 수 있는 테이프 기록방식 판별을 위한 경보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마이콤을 이용하여 비디오 카세트 레코더에 탑재되어 재생되는 비디오 테이프의 기록방식을 판별하여 경보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마이콤에는, NTSC, PAL, SECAM 방식의 SP 및 LP 모드로 기록된 기준 캡스턴, F.G 신호와 컨트롤 비 신호가 저장되며, 상기 비디오 카세트 레코더의 재생모드시에 상기 재생 테이프에서 검출된 캡스터 F.G 신호 및 컨트롤 비 신호가 상기 기저장된 새 방식중 상기 비디오 카세트 레코더에 적용한 가능한 어느 한 방식의 기준 캡스턴 F.G 신호 및 컨트롤 비 신호인지의 여부를 체크하여 제1단계; 상기 제1단계에서 상기 재생 테이프에서 검출된 신호가 상기 비디오 카세트에 적용 가능한 방식의 신호이고, 재생 컨트롤 신호가 있을때 상기 재생 테이프에서 재생되는 영상을 모니터상에 제공하는 제2단계; 상기 제1단계에서 상기 재생 테이프에서 검출된 신호가 상기 비디오 카세트 레코더에 적용 가능한 방식의 신호가 아니면, 상기 기저장된 다른 두 방식의 각 기준 캡스톤 F.G 신호 및 컨트롤 비신호중 어느 한 신호인지를 체크하는 제3단계; 및 상기 제3단계에서의 체크결과, 상기 재생 테이프에서 검출된 신호가 상기 기저장된 다른 두 방식의 기준 캡스턴 F.G 신호 및 컨트롤 비 신호중 어느 한 신호가 아닌 것으로 판단되면, 스피커를 통해 그에 상응하는 음성 경보 메시지를 출력하는 제4단계로 이루어진 테이프 기록방식 판별을 위한 경보방법을 제공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제1도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테이프 기록방식 판별을 위한 경보방법을 적용하는데 적합한 경보장치의 블록구성도를 나타낸다. 동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경보방법을 적용하는데 적합한 경보장치는 마이컴(1), 스위칭(2), 음성회로부(3), 증폭부(4) 및 스프커(5)를 포함한다.
제1도에 있어서, 마이컴(1)에서는, 비디오 테이프가 도시 생략된 VCR 데크에 삽입되고 사용자에 의해 재생키가 투입되어 영상신호가 재생될때, 캡스턴 F.G 신호(CFG)와 컨트롤 비(CTL) 신호를 입력으로 현재 재생중인 비디오 테이프의 기록방식을 판단, 즉 VCR 기기에서 현재 재생중인 테이프가 NTSC 방식, PAL 방식 또는 SECAM 방식인지의 여부를 체크하여, 그 체크결과에 상응하는 스위칭 제어신호(즉, VCR기기에서 재생 가능한 테이프 기록방식이 아닐 경우, 음성 메시지 경보를 위한 제어신호)를 발생하여 다음 단의 스위칭부(2)에 제공한다. 이때, 마이컴(1)에는 NTSC 방식, PAL 방식 및 SECAM 방식에서 각각 SP 및 LP 모드로 기록된 각각의 기준 캡스턴 F.G 신호(CFG)와 기준 컨트롤 비(CTL) 신호가 저장되어 있다. 여기에서, 마이컴(1)에서 출력되는 스위칭 제어신호는 하이 또는 로우레벨을 갖는 적어도 두 레벨의 출력신호일 수 있다.
한편, 스위칭부(2)는 그의 베이스 단자가 저항(R1)을 통해 상기한 마이컴(1)에 연결되고 콜렉터 단자가 전원전압 Vcc에 연결되며 에미터 단자가 다음단의 음성회로부(Q1) 입력에 연결된 트랜지스터(3)로 구성되어, 상기한 마이컴(1)으로부터의 스위칭 제어신호에 의거하여 절환동작이 이루어진다. 즉, 스위칭부(2)를 이루는 트랜지스터(Q1)는 그의 베이스 단자를 통해 상기한 마이컴(1)으로부터 제공되는 스위칭 제어신호가 하이레벨일때, 즉, 일예로서 VCR이 NTSC 방식으로 기록된 테이프만을 재생할 수 있는 기기인데 데크에 삽입되어 현재 재생중인 테이프가 PAL 방식 또는 SECAM 방식으로 기록된 테이프인 경우에 마이컴(1)은 하이레벨의 스위칭 제어신호를 발생함 -턴온되어 전원전압 Vcc를 그의 에미터 출력에 제공한다. 이러한 트랜지스터(Q1)의 에미터 출력(전원전압 Vcc)은 음성회로부(3)로 입력된다.
다른 한편, 음성회로부(3)에는 해당 VCR 기기에서 재생 가능한 기록방식이 아닌 다른 방식으로 기록된 테이프의 재생시에 이를 사용자에게 경보하는데 이용되는 음성 메시지, 예를들어, 해당 VCR 기기가 NTSC 방식일때 PAL 방식 테이프가 삽입되어 재생되는 경우 현재의 재생 테이프는 PAL 방식 테이프이므로 영상 재생이 불가능합니다.라는 음성 메시지가 저장되어 있으며, 이와 같이 미리 저장되어 있는 음성 메시지는 스위칭부(2)으로부터의 전원전압 Vcc에 의해 출력되어 다음단의 증폭기(4)로 입력된다.
그런다음, 증폭기(4)에서는 상기한 음성회로부(3)에서 제공되는 음성메시지를 기설정된 소정레벨로 증폭하며, 이와 같이 증폭된 음성 메시지는 스피커(5)를 통해 외부로 출력된다. 그 결과, 사용자는 스피커(5)를 통해 출력되는 음성 메시지 경보를 통해 자신이 재생을 위해 VCR 기기에 삽입한 테이프가 다른 방식으로 기록된 테이프라는 사실을 인식할 수 있게 될 것이다. 따라서, VCR을 이용한 비디오 테이프 재생시에 테이프 기록방식의 다름으로 인해 영상 디플레이가 실패하는 경우에 사용자가 이를 기기의 고장으로 오인하는 경우를 완전히 배제할 수 있는 것이다.
다음에,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부재로 이루어진 경보장치를 이용하여 본 발명에 따라 해당 VCR 기기에서 재생 가능한 기록방식이 아닌 다른 기록방식 테이프의 재생될때 사용자에게 음성 메시지를 발생하는 과정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제2도는 본 발명에 따라 해당 VCR 기기에서 재생 가능한 기록방식이 아닌 다른 기록방식 테이프의 재생시에 음성 메시지를 발생하는 과정을 도시한 순서도이다.
먼저, 설명의 편의와 이해의 증진을 위해 해당 VCR 기기나 NTSC 방식 재생전용 기기라 가정한다.
제2도를 참조하면, 먼저 사용자가 재생하고자 하는 비디오 테이프를 VCR 기기에 삽입한 다음 재생키를 누르게 되면, VCR 기기는 대기모드 상태에서 재생모드(즉, 플레이모드)로 절환되면서 재생동작이 실행되는데, 이러한 재생동작에서 검출되는 캡스터 F.G 신호(CFG)와 콘트롤 비(CTL) 신호는 마이컴(1)으로 입력된다(단계 1).
다음에, 마이컴(1)에서는 현재 재생중인 테이프에서 검출되어 입력된 CFG 및 CTL 신호가 NTSC 방식의 기준 SP 모드로 기록된 CFG 및 CTL 신호인지의 여부를 체크하며(단계 13), 여기에서의 체크결과 입력 CFG 및 CTL 신호가 NTSC 방식의 기준 SP 모드로 기록된 CFG 및 CTL 신호인 것으로 판단되면 다시 재생 컨트롤(CTL) 신호가 있는지의 여부를 체크하여(단계 29), 재생 컨트롤(CTL) 신호가 있는 것으로 판단되면 모니터로의 영상 출력을 위한 제어를 수행하게 된다. 따라서, 모니터상에는 테이프에서 현재 재생되는 영상이 디스플레이될 것이다(단계 31).
한편, 상기 단계(13)에서의 체크결과, 입력 CFG 및 CTL 신호가 NTSC 방식의 기준 SP 모드로 기록된 CFG 및 CTL 신호가 아닌 것으로 판단되면, 마이컴(1)은 다시 입력 CFG 및 CTL 신호가 PAL 방식 또는 SECAM 방식의 기준 SP 모드로 기록된 CFG 및 CTL 신호인지의 여부를 순차적으로 각각 체크한다(단계 15,17). 이때, PAL 방식 및 SECAM 방식중 어느 것을 먼저 체크하더라도 무방하다.
그런다음, 상기 단계(단계 15,17)에서의 체크결과, 입력 CFG 및 CTL 신호가 PAL 방식 또는 SECAM 방식의 기준 SP 모드로 기록된 CFG 및 CTL 신호중의 어느 하나인 것으로 판단되면, 마이컴(1)에서는 트랜지스터(Q1)의 베이스에 연결된 그의 출력에 하이레벨의 스위칭 제어신호를 발생한다. 따라서, 트랜지스터(Q1)가 턴온되면서 음성회로부(3)에 전원전압 Vcc가 인가됨으로써, 음성회로부(3)에 미리 저장되어 있던 음성 메시지가 증폭기(4)를 경유하여 스피커(5)로 출력된다.
예를들면, 입력 CFG 및 CTL 신호가 PAL 방식의 기준 SP 모드로 기록된 CFG 및 CTL 신호인 경우 현재의 재생 테이프는 PAL 방식 테이프이므로 영상 재생이 불가능합니다.라는 음성 메시지가 스피커(5)로 출력될 것이고, 입력 CFG 및 CTL 신호가 SECAM 방식의 기준 SP 모드로 기록된 CFG 및 CTL 신호인 경우 현재의 재생 테이프는 SECAM 방식 테이프이므로 영상 재생이 불가능합니다., 라는 음성 메시지가 스피커(5)로 출력될 것이다. 그 결과, 사용자는 현재 VCR 데크에서 재생중인 테이프가 해당 VCR 기기에 대응할 수 없는 다른 기록방식의 테이프임을 알 수 있을 것이다.
한편, 상기 단계(단계 15,17)에서의 체크결과, 입력 CFG 및 CTL 신호가 PAL 방식 또는 SECAM 방식의 기준 SP 모드로 기록된 CFG 및 CTL 신호중의 어느 것도 아닌 것으로 판단되면, 마이컴(1)은 다시 입력 CFG 및 CTL 신호가 NTSC 방식의 LP 모드로 기록된 CFG 및 CTL 신호인지의 여부를 체크하며(단계 21), 이 단계(31)에서의 체크결과, 입력 CFG 및 CTL 신호가 NTSC 방식의 LP 모드로 기록된 CFG 및 CTL 신호인 것으로 판단되면, 처리는 전술한 단계(29)로 진행되어 그 이후의 과정(영상 디스플레이 등)을 실행한다.
다른 한편, 상기 단계(31)에서의 체크결과, 입력 CFG 및 CTL 신호가 NTSC 방식의 LP 모드로 기록된 CFG 및 CTL 신호가 아닌 것으로 판단되면, 마이컴(1)은 다시 입력 CFG 및 CTL 신호가 PAL 방식 또는 SECAM 방식이 LP 모드로 기록된 CFG 및 CTL 신호인지의 여부를 순차적으로 각각 체크한다(단계 23, 25). 이때, PAL 방식 및 SECAM 방식중 어느 것을 먼저 체크하더라도 무방하다.
그런 다음, 상기 단계(단계 23,25)에서의 체크결과, 입력 CFG 및 CTL 신호가 PAL 방식 또는 SECAM 방식의 LP 모드로 기록된 CFG 및 CTL 신호중의 어느 하나인 것으로 판단되면, 마이컴(1)에서는 트랜지스터(Q1)의 베이스에 연결된 그의 출력에 하이레벨의 스위칭 제어신호를 발생한다. 따라서, 트랜지스터(Q1)가 턴온되면서 음성회로부(3)에 전원전압 Vcc가 인가됨으로써, 전술한 바와 같이 음성회로부(3)에 미리 저장되어 있던 음성 메시지가 증폭기(4)를 경유하여 스피커(5)로 출력된다.
한편, 상기 단계(단계 23,25)에서의 체크결과, 입력 CFG 및 CTL 신호가 PAL 방식 또는 SECAM 방식의 LP 모드로 기록된 CFG 및 CTL 신호중의 어느 것도 아닌 것으로 판단되면, 마이컴(1)은 현재 재생중인 테이프가 NTSC 방식의 EP 모드로 기록된 테이프인 것으로 판단하며(단계 27), 그 결과 처리는 전술한 단계(29)로 진행되어 그 이후의 재생 과정이 실행될 것이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VCR 기기에서 비디오 테이프를 재생할때, 검출되는 캡스턴 F.G와 컨트롤 비 신호에 의거하여 재생중인 테이프가 어떤 방식의 테이프인가를 체크하며, 체크결과 해당 VCR 기기에 대응할 수 없는, 즉 기록방식이 다른 테이프인 것으로 판단될때 스피커를 통해 사용자에게 미리 저장된 음성 메시지를 출력해 주므로써, VCR을 이용한 비디오 테이프 재생시에 VCR 기기와 테이프간의 기록방식의 다름으로 인해 영상 디스플레이가 실패하는 경우에 사용자가 이를 기기의 고장으로 오인하는 경우를 완전히 배제할 수 있으므로 사용자 오해로 인해 해당 제품의 불신방지는 물론 VCR의 사용 편리성을 증진시킬 수 있다.

Claims (2)

  1. 마이콤을 이용하여 비디오 카세트 레코더에 탑재되어 재생되는 비디오 테이프의 기록방식을 판별하여 경보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마이콤에서는, NTSC, PAL, SECAM 방식의 SP 및 LP 모드로 기록된 기준캡스턴 F.G 신호와 컨트롤 비 신호가 저장되며, 상기 비디오 카세트 레코더의 재생모드시에 상기 재생 테이프에서 검출된 캡스터 F.G 신호 및 컨트롤 비 신호가 상기 기저장된 세 방식중 상기 비디오 카세트 레코더에 적용한 가능한 어느 한 방식의 기준 캡스턴 F.G 신호 및 컨트롤 비신호인지의 여부를 체크하는 제1단계; 상기 제1단계에서 상기 재생 테이프에서 검출된 신호가 상기 비디오 카세트에 적용 가능한 방식의 신호이고, 재생 컨트롤 신호가 있을때 상기 재생 테이프에서 재생되는 영상을 모니터상에 제공하는 제2단계; 상기 제1단계에서 상기 재생 테이프에서 검출된 신호가 상기 비디오 카세트 레코더에 적용 가능한 방식의 신호가 아니면, 상기 기저장된 다른 두 방식의 각 기준 캡스턴 F.G 신호 및 컨트롤 비 신호중 어느 한 신호인지를 체크하는 제3단계; 및 상기 제3단계에서의 체크결과, 상기 재생 테이프에서 검출된 신호가 상기 기저장된 다른 두 방식의 기준 캡스턴 F.G 신호 및 컨트롤 비 신호중 어느 한 신호가 아닌 것으로 판단되면, 스피커를 통해 그에 상응하는 음성 경보 메시지를 출력하는 제4단계로 이루어진 테이프 기록방식 판별을 위한 경보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3단계는; 상기 비디오 카세트 레코더로의 적용 가능 방식이 상기 NTSC 방식일때, 상기 재생 테이프에서 검출된 캡스턴 F.G 신호 및 컨트롤 비 신호가 상기 NTSC 방식의 SP 모드로 기록된 신호가 아니면, 상기 기저장된 PAL 방식 또는 SECAM 방식의 SP 모드로 기록된 기준 캡스턴 F.G 신호 및 컨트롤 비 신호중 어느 한 신호인지를 체크하는 제1과정; 상기 제1과정에서의 체크결과, 상기 재생 테이프에서 검출된 신호가 상기 PAL 방식 또는 SECAM 방식의 각 SP 모드로 기록된 신호 중 어느 한 신호인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스피커를 통해 그에 상응하는 음성 경보 메시지를 출력하는 제2과정; 상기 제1과정에서의 체크결과, 상기 재생 테이프에서 검출된 신호가 상기 PAL 방식 또는 SECAM방식의 각 SP 모드로 기록된 신호중 어느 한 신호가 아닌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NTSC 방식의 LP 모드로 기록된 캡스터 F.G 신호 및 컨트롤 비 신호인지를 체크하는 제3과정; 상기 제3과정에서의 체크결과, 상기 재생 테이프에서 검출된 신호가 상기 NTSC 방식의 LP 모드로 기록된 신호이고, 재생 컨트롤 신호가 있을때 상기 재생 테이프에서 재생되는 영상을 모니터상에 제공하는 제4과정; 상기 제3과정에서의 체크결과, 상기 재생 테이프에서 검출된 신호가 상기 NTSC 방식의 LP 모드로 기록된 신호가 아니면, 상기 기저장된 PAL 방식 또는 SECAM 방식의 LP 모드로 기록된 신호중 어느 한 신호인지를 체크하는 제5과정; 상기 제5과정에서의 체크결과, 상기 재생 테이프에서 검출된 신호가 상기 기저장된 PAL 방식 또는 SECAM 방식의 LP 모드로 기록된 신호중 어느 신호인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스피커를 통해 그에 상응하는 음성 경보 메시지를 출력하는 제6과정; 및 상기 제5과정에서의 체크결과, 상기 재생 테이프에서 검출된 신호가 상기 기저장된 PAL 방식 또는 SECAM 방식의 LP 모드로 기록된 신호중 어느 신호가 아닌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재생 테이프를 NTSC 방식의 EP 모드로 기록된 테이프로 간주하여 상기 재생 컨트롤신호가 있을때 상기 재생 테이프에서 재생되는 영상을 모니터상에 제공하는 제6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테이프 기록방식 판별을 위한 경보방법.
KR1019930032022A 1993-12-31 1993-12-31 테이프 기록방식 판별을 위한 경보방법 KR96001301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30032022A KR960013015B1 (ko) 1993-12-31 1993-12-31 테이프 기록방식 판별을 위한 경보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30032022A KR960013015B1 (ko) 1993-12-31 1993-12-31 테이프 기록방식 판별을 위한 경보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50020544A KR950020544A (ko) 1995-07-24
KR960013015B1 true KR960013015B1 (ko) 1996-09-25

Family

ID=1937495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30032022A KR960013015B1 (ko) 1993-12-31 1993-12-31 테이프 기록방식 판별을 위한 경보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60013015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50020544A (ko) 1995-07-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60013015B1 (ko) 테이프 기록방식 판별을 위한 경보방법
KR950022872A (ko) 2화면 영상기록재생장치 및 그 방법
KR100361676B1 (ko) 음성메시지자동재생방법
KR100303091B1 (ko) 디지털비디오카세트레코더의녹화상태판별장치및방법
KR100202490B1 (ko) 브이씨알의 오디오 처리회로 고장 표시방법
KR0132818B1 (ko) 컴팩트 디스크 플레이어 일체형 텔레비젼 수상기의 디스크 관리방법
JPH1040607A (ja) 録音再生装置
EP0869678A2 (en) Copy guard state indication
KR0147990B1 (ko) 성인용 테이프의 재생 방법
KR100207663B1 (ko) 영상기록재생장치의 재생방법 및 그에 적합한 장치
JPH08102910A (ja) 映像信号処理装置
KR19980051558A (ko) 오디오/비디오잭에 대한 접속상태 확인기능을 갖춘 텔레비젼
KR20000013212U (ko) 브이시알의 녹화상태 확인장치
KR100265166B1 (ko) 오디오 출력 자동 설정 장치 및 방법
JP3653434B2 (ja) 音響・映像コントロールシステム
KR0141867B1 (ko) 비데오 카세트 레코더의 광고 스킵 방법
KR100608255B1 (ko) Vcr의 오기록 방지방법
KR20000043659A (ko) 브이 씨 알의 비디오테이프 화질 및 음질상태 검출장치 및 그방법
KR19990051242A (ko) 비디오 카세트 레코더의 녹화 방법
KR20000034392A (ko) 브이씨디 플레이어의 영상 모드 판별 방법
KR19980038623A (ko) 오디오/비디오 잭(jack) 이상의 경고방법
KR19990026152A (ko) 브이 씨 알의 오디오/비디오데이타 재생방법
KR19980029488U (ko) 비디오 카세트 테이프의 상태 확인 장치
JP2000324373A (ja) 音信号入出力切り換え方法及び装置並びにビデオカメラ装置
KR20000040338A (ko) 오에스디가 없는 브이시알의 티브이와의 연결상태 판별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50823

Year of fee payment: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