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65166B1 - 오디오 출력 자동 설정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오디오 출력 자동 설정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65166B1
KR100265166B1 KR1019970068385A KR19970068385A KR100265166B1 KR 100265166 B1 KR100265166 B1 KR 100265166B1 KR 1019970068385 A KR1019970068385 A KR 1019970068385A KR 19970068385 A KR19970068385 A KR 19970068385A KR 100265166 B1 KR100265166 B1 KR 10026516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ffect
audio
audio signal
signal
soun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7006838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90049444A (ko
Inventor
김성제
Original Assignee
윤종용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종용,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윤종용
Priority to KR101997006838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265166B1/ko
Publication of KR1999004944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4944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6516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6516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3/00Circuits for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GCONTROL OF AMPLIFICATION
    • H03G3/00Gain control in amplifiers or frequency changers
    • H03G3/002Control of digital or coded signals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GCONTROL OF AMPLIFICATION
    • H03G3/00Gain control in amplifiers or frequency changers
    • H03G3/20Automatic contro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2499/00Aspects covered by H04R or H04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their subgroups
    • H04R2499/10General applications
    • H04R2499/15Transducers incorporated in visual displaying devices, e.g. televisions, computer displays, laptop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Stereophonic System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오디오 자동 감지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디스플레이 장치로 수신된 오디오신호의 출력을 자동으로 설정하는 장치에 있어서, 외부입력단자부로부터 출력되는 비디오신호를 인가받아 비디오신호의 종류를 판별하여 상기 오디오신호에 3D 효과가 필요한 비디오신호인 경우에 3D 효과를 인에이블(Enable)시키기 위한 제어신호를 발생하는 제어기와, 상기 제어신호를 인가받아 사운드 프리 앰프로부터 일정레벨로 증폭되어 출력되는 상기 오디오신호에 3D 효과를 부여하는 3D 사운드 IC로 구성하여, 비디오신호의 종류에 따라 오디오의 출력을 자동으로 설정할 수 있도록 함에 있다.

Description

오디오 출력 자동 설정 장치 및 방법
본 발명은 오디오 자동 감지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디스플레이 장치의 외부에 설치된 외부입력단자로부터 입력되는 비디오신호를 감지하여 3D 효과를 갖는 신호이면 자동으로 3D효과를 갖는 오디오신호로 출력할 수 있도록 하는 설정하는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비디오나 오디오를 재생하는 미디어(Media)의 멀티미디어화에 따라 하나의 셋트(Set)에서 보다 많은 종류의 비디오나 오디오를 출력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예를 들어, 종래의 디스플레이 장치는, 단지 컴퓨터 본체로부터 발생된 하나의 비디오나 오디오를 수신 받아 이를 표시하거나 출력하도록 동작되었다.
그러나, 최근 디스플레이 장치는, 컴퓨터 본체에서 발생된 비디오만이 아니라 보다 다양한 종류의 미디어(Media)를 수신받아 출력할 수 있도록 구성한다. 즉, 하나의 디스플레이 장치에 VTR, 위성방송, 게임기를 연결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외부입력단자가 구성된다. 디스플레이 장치에 구성된 외부입력단자로 연결된 각 미디어들 중에는, 특히 오디오에 3D 효과를 부여하는 경우가 있다.
이 경우 종래의 디스플레이 장치는, 오디오에 3D 효과를 부여하기 위해 사용자가 디스플레이 장치에 온 스크린 디스플레이(On screen display) 기능이 있는 경우 이 기능을 이용해서 오디오에 3D효과를 선택하거나, 디스플레이 장치의 외부에 3D 효과를 선택하는 키가 있는 경우에 이를 이용하여 오디오에 3D 효과를 부여한다. 따라서 디스플레이 장치로 입력된 오디오가 3D 효과를 갖으며 3D 효과를 사용자가 수동으로 선택해야 하는 불편한 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다양한 비디오신호를 수신받기 위한 외부입력단자부가 설치된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외부입력단자부로 수신된 비디오신호를 감지하여 3D 효과를 갖는 오디오신호를 필요로 하는 비디오신호인 경우에 오디오신호에 3D 효과를 갖도록 자동으로 설정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함을 목적으로 한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디스플레이 장치로 수신된 오디오신호의 출력을 자동으로 설정하는 장치에 있어서, 외부입력단자부로부터 출력되는 비디오신호를 인가받아 비디오신호의 종류를 판별하여 상기 오디오신호에 3D 효과가 필요한 비디오신호인 경우에 3D 효과를 인에이블(Enable)시키기 위한 제어신호를 발생하는 제어기와, 상기 제어신호를 인가받아 사운드 프리 앰프로부터 일정레벨로 증폭되어 출력되는 상기 오디오신호에 3D 효과를 부여하는 3D 사운드 IC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은, 디스플레이 장치로 수신된 오디오신호의 출력을 자동으로 설정하는 장치에 있어서, 외부입력단자부로 수신되어 출력되는 비디오신호를 제어기에서 인가받아 비디오신호의 종류를 확인하는 단계와, 상기 단계에서 비디오신호의 종류가 확인되면 비디오신호에 따른 오디오신호에 3D 효과가 필요한지를 판단하는 단계와, 상기 단계에서 오디오신호에 3D 효과가 필요한 경우로 판단되면 3D 사운드 IC를 인에이블(Enable)시키는 단계로 구성된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자동 오디오 설정 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블럭도,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자동 오디오 설정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이하, 본 발명을 첨부된 도면을 이용하여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도 1에서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오디오 출력 자동 설정 장치는, 다수의 비디오신호 및 오디오신호를 수신받는 외부입력단자부(11)와, 상기 외부입력단자부(11)로 수신된 비디오신호를 인가받아 비디오신호의 종류를 판별하여 오디오신호에 3D 효과가 필요한 비디오신호인 경우에 3D 효과를 인에이블(Enable)시키기 위한 제어신호를 발생하는 제어기(12)와, 상기 외부입력단자부(11)로 수신되어 출력되는 오디오신호를 인가받아 일정 레벨로 증폭하여 출력하는 사운드 프리 앰프(13)와, 상기 사운드 프리 앰프(13)로부터 일정레벨로 증폭되어 출력되는 오디오신호를 인가받아 상기 제어기(12)로부터 출력되는 제어신호에 따라 일정레벨로 증폭된 오디오신호에 3D 효과를 부여하는 3D 사운드 IC(14)와, 상기 3D 사운드 IC(14)에서 3D 효과가 부여된 오디오신호를 인가받아 충분히 증폭하여 스피커(SP)로 출력하는 사운드 메인 앰프(15)로 구성된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본 발명의 오디오 출력 설정 장치를 제어하는 방법은, 도 2에서와 같이, 외부입력단자부(11; 도 1에 도시됨)로 수신되어 출력되는 비디오신호를 인가받아 제어기(11; 도 1에 도시됨) 비디오신호의 종류를 확인하는 단계(S11)와, 상기 비디오신호의 종류를 확인하는 단계(S11)에서 비디오신호의 종류가 확인되지 않으면 비디오신호를 확인하기 위해 비디오신호의 종류를 확인하는 단계(S11)를 재실행하기 위해 리턴(Return)하는 단계(S12)와, 상기 비디오신호의 종류를 확인하는 단계(S11)에서 비디오신호의 종류가 확인되면 비디오신호에 따른 오디오신호에 3D 효과가 필요한지를 판단하는 단계(S13)와, 상기 오디오신호에 3D 효과가 필요한지를 판단하는 단계(S13)에서 오디오신호에 3D 효과가 필요한 것으로 판단되면 3D 사운드 IC(14)를 인에이블(Enable)시키는 단계(S14)와, 상기 오디오신호에 3D 효과가 필요한지를 판단하는 단계(S13)에서 오디오신호에 3D 효과가 필요하지 않은 경우로 판단되면 3D 사운드 IC(14)를 디스에이블(Disable)시키는 단계(S15)로 구성된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본 발명을 보다 상세히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디스플레이 장치(10)에 설치된 외부입력단자부(11)에는 다수의 미디어(Media)가 접속된다. 즉, VTR, 디지탈 비디오 디스크(Digital video disk; 이하 DVD로 약칭함) 드라이브, 위성방송, 게임기 등의 미디어가 접속된다. VTR, DVD 드라이브, 위성방송, 게임기 등의 미디어에서 비디오신호와 오디오신호를 발생하여 출력한다. 출력되는 비디오신호와 오디오신호는 외부입력단자부(11)에서 수신받는다. 외부입력단자부(11)로 수신된 비디오신호는 비디오 앰프부(16)로 인가되어 충분한 레벨로 증폭된 후 CRT로 인가되어 표시된다. 이 때, CRT에 표시되는 화상을 보다 현실감이 있도록 하기 위해 오디오신호에 3D 효과를 부여하는 경우가 발생한다.
예를 들어 VTR, DVD 드라이브, 게임기에서 재생되는 비디오신호나 위성방송에서 수신되는 방송신호를 제어기(12)에서 감지하였는지를 확인한다(S11). 비디오신호가 감지되지 않은 것으로 확인되면 리턴 단계(S12)를 통해서 단계(S11)를 반복 실행하여 비디오신호의 감지를 계속 실행한다. 반대로, 비디오신호가 감지되면 감지된 비디오신호에 3D 효과가 필요로 하는 비디오신호 인지를 판별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제어기(12)는, 감지된 비디오신호의 프레임 수를 1초 간격으로 카운트(Count)하여 동화상에 필요로 하는 프레임 수를 갖는 비디오신호 인지를 확인한다.
확인 결과, 3D 효과를 갖는 비디오신호이면, 제어기(12)는 3D 사운드 IC(14)를 인에이블시키기 위한 제어신호를 발생하여 출력한다. 출력되는 제어신호는 3D 사운드 IC(14)에서 인가받는다. 제어신호를 인가받은 3D 사운드 IC(14)는 인에이블(Enable)된다(S15). 즉, 3D 사운드 IC(14)는, 사운드 프리 앰프(13)에서 일정 레벨로 증폭되어 출력되는 오디오신호에 3D 효과를 부여한다. 이 때, 사운드 프리 앰프(3)는, 외부입력단자부(11)로부터 출력되는 오디오신호를 인가받아 일정 레벨로 증폭한다. 3D 사운드 IC(14)에서 3D효과를 갖도록 처리된 오디오신호는 다시 사운드 메인 앰프(15)를 통해서 충분히 증폭되어 스피커(SP)를 통해서 3D 효과를 갖는 오디오신호를 출력한다. 출력되는 3D 효과를 갖는 오디오신호는, CRT에 표시되는 영상신호와 일치되어 사용자가 보다 생동감 있게 화상을 즐길 수 있게 된다.
반대로, 단계(S13)에서 비디오신호가 오디신호에 3D 효과를 갖지 않으면, 제어기는 3D 사운드 IC(14)를 인에이블(Enable)시키기 위한 제어신호를 발생하지 않는다. 이로 인해서 3D 사운드 IC(14)는 디스에이블(Disable)된다(S14). 3D 사운드 IC(14)가 디스에이블 됨에 따라 사운드 프리 앰프(13)로부터 일정 레벨로 증폭된 오디오신호는 3D 효과가 부여되지 않는다. 따라서 3D 효과가 부여되지 않은 상태에서 일정 레벨로 증폭된 오디오신호는 사운드 메인 앰프(15)를 통해서 충분히 증폭되어 스피커(SP)를 통해서 출력된다. 즉, 모노(Mono) 오디오신호로 출력된다.
따라서 오디오신호를 비디오신호에 따라 자동으로 출력 설정 조건을 변경할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디스플레이 장치의 외부입력단자에 어떠한 종류의 미디어(Media) 장착되는 경우에도 비디오신호의 종류에 따라 자동으로 오디오의 출력을 자동으로 설정함에 따라 디스플레이 장치의 사용 편리성을 제공하는 효과를 가진다.

Claims (3)

  1. 디스플레이 장치로 수신된 오디오신호의 출력을 자동으로 설정하는 장치에 있어서,
    외부입력단자부로부터 출력되는 비디오신호를 인가받아 비디오신호의 종류를 판별하여 상기 오디오신호에 3D 효과가 필요한 비디오신호인 경우에 3D 효과를 인에이블(Enable)시키기 위한 제어신호를 발생하는 제어기와,
    상기 제어신호를 인가받아 사운드 프리 앰프로부터 일정레벨로 증폭되어 출력되는 상기 오디오신호에 3D 효과를 부여하는 3D 사운드 IC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오디오 출력 자동 설정 장치.
  2. 디스플레이 장치로 수신된 오디오신호의 출력을 자동으로 설정하는 장치에 있어서,
    외부입력단자부로 수신되어 출력되는 비디오신호를 제어기에서 인가받아 비디오신호의 종류를 확인하는 단계와,
    상기 단계에서 비디오신호의 종류가 확인되면 비디오신호에 따른 오디오신호에 3D 효과가 필요한지를 판단하는 단계와,
    상기 단계에서 오디오신호에 3D 효과가 필요한 경우로 판단되면 3D 사운드 IC를 인에이블(Enable)시키는 단계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오디오 출력 자동 설정 방법.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오디오신호에 3D 효과가 필요한지를 판단하는 단계는,
    오디오신호에 3D 효과가 필요하지 않은 경우로 판단되면 3D 사운드 IC를 디스에이블(Disable)시키는 단계가 부가되어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오디오 출력 자동 설정 방법.
KR1019970068385A 1997-12-12 1997-12-12 오디오 출력 자동 설정 장치 및 방법 KR10026516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68385A KR100265166B1 (ko) 1997-12-12 1997-12-12 오디오 출력 자동 설정 장치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68385A KR100265166B1 (ko) 1997-12-12 1997-12-12 오디오 출력 자동 설정 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49444A KR19990049444A (ko) 1999-07-05
KR100265166B1 true KR100265166B1 (ko) 2000-09-15

Family

ID=1952722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068385A KR100265166B1 (ko) 1997-12-12 1997-12-12 오디오 출력 자동 설정 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265166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49444A (ko) 1999-07-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395419A (zh) 组合系统及其自动拷贝方法
KR100265166B1 (ko) 오디오 출력 자동 설정 장치 및 방법
KR100432601B1 (ko) 오디오와 비디오를 기록 및 재생하기 위한 장치
EP1067773A3 (de) Bild- und Tonwiedergabegerät und Verfahren für dessen Betrieb
KR950022872A (ko) 2화면 영상기록재생장치 및 그 방법
KR100220100B1 (ko) 비디오 카세트 레코더에서의 외부 연결단자 입/출력 절환방법
KR960006402B1 (ko) 모니터를 이용한 복합 가라오케 브이씨알(vcr)
KR0132840B1 (ko) 잔여방영시간 표시기능을 가진 비디오 테이프 재생장치
KR960013308B1 (ko) 텔레비전의 외부음성신호출력장치
JPH08307783A (ja) Cd再生装置内蔵テレビジョン装置
KR100245524B1 (ko) 텔레비전에서의 통신버스자체진단방법
KR960013015B1 (ko) 테이프 기록방식 판별을 위한 경보방법
US6285821B1 (en) External input signal processing circuit for a television receiver with a video tape recorder for the purpose of viewing copy-protected video signals
KR0164703B1 (ko) 이중 스크린시 메인 서브 음성 기록 장치
KR940002929B1 (ko) 텔레비젼 시스템의 자동모드 절환 방법
KR20060088648A (ko) 채널 감시 장치 및 제어 방법
JPH0358682A (ja) 外部スピーカ状態表示機能付テレビジョン受像機
KR200212467Y1 (ko) 외부기기의 오디오신호 과입력 방지장치_
KR100566271B1 (ko) 디지털 비디오 재생시스템에서의 무신호 테이프 검출방법
KR0133433Y1 (ko) 영상재생장치의 뮤트상태 제어회로
KR100608255B1 (ko) Vcr의 오기록 방지방법
KR200252656Y1 (ko) 모니터음성과 가변음성의 선택적 출력이 가능한 텔레비젼
KR19990054066A (ko) 이상화면 경고음 발생 장치 및 방법
KR100661838B1 (ko) 디브이디 레코더의 신호제어장치 및 그 방법
KR960025678A (ko) 컴팩트 디스크 플레이어와 브이.티.알. 일체형 텔레비젼 수상기 및 그 수상기의 자동 슈퍼임포즈 기능수행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530

Year of fee payment: 1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529

Year of fee payment: 1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528

Year of fee payment: 1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