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60012549B1 - 팩시밀리(Facsimile)의 화상처리장치 - Google Patents

팩시밀리(Facsimile)의 화상처리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60012549B1
KR960012549B1 KR1019930009782A KR930009782A KR960012549B1 KR 960012549 B1 KR960012549 B1 KR 960012549B1 KR 1019930009782 A KR1019930009782 A KR 1019930009782A KR 930009782 A KR930009782 A KR 930009782A KR 960012549 B1 KR960012549 B1 KR 96001254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ght
image
control unit
amount
image process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3000978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50002374A (ko
Inventor
조익현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구자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구자홍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19930009782A priority Critical patent/KR960012549B1/ko
Publication of KR95000237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5000237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6001254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012549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40Picture signal circuits
    • H04N1/407Control or modification of tonal gradation or of extreme levels, e.g. background leve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40Picture signal circuits
    • H04N1/405Halftoning, i.e. converting the picture signal of a continuous-tone original into a corresponding signal showing only two leve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201/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and to details thereof
    • H04N2201/0077Types of the still picture apparatus
    • H04N2201/0093Facsimile machin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Facsimile Scanning Arrangements (AREA)
  • Image Input (AREA)

Abstract

없음.

Description

팩시밀리(Facsimile)의 화상처리장치
제1도는 (A)-(C)는 종래의 농담조절방법을 나타낸 개략도.
제2도는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화상처리장치 회로블럭도.
제3도는 제 2 도에 따른 농담조절방법을 나타낸 개략도.
제4도는 본 발명의 농담조절순서도.
제5도는 본 발명의 ABC 동작 순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광량제어부2 : 광원
3 : CCD4 : 화상처리부
5 : 제어부6 : MPU.
본 발명은 화상처리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광전변환되기전 광원의 광량을 제어하여 농담을 조절하도록 한 팩시밀리의 화상처리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팩시(Fax)에서는 콘트라스트(contrast)제어기능, 즉 보통(Normal), 백(Light), 흑(Dark)과 ABC 기능(Automatic Background Control)기능등은 광원의 광량이 항상 일정하게 유지된 상태에서, 이를 A/D(Analog/Digital)변환하는 과정에서 소프트 웨어적으로 광량을 슬라이스 레벨(slice level)로 흑과 백을 나누어 콘트라스트(contrast)기능을 수행한다.
제 1 도는 종래기술을 설명하기 위한 콘트라스트 제어방법을 나타낸 개략도로 이로부터 종래기술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 1 도와 같이 소프트웨어적으로 화상신호(아날로그신호)를 2치화하는 과정에서 로우(Low)와 하이(High)를 판단하는 슬라이스(silice) 레벨을 제 1 도(A)와 같이 노멀(Normal)을 기준으로 하여, 슬라이스 레벨을 제 1 도(B)와 같이 절대백 레벨에 가깝게 하면 화상은 흐르게 출력되고, 슬라이스 레벨을 제 1 도(C)와 같이 절대흑 레벨에 가깝게하면 화상은 진하게 출력된다.
그리고, ABC(Automatic Background Control)기능 또한, 피딩(Feeding)되는 원고가 유색일때 바탕색과 문자와의 구분을 위해 화상신호의 진폭을 변화시켜 2치화한다. 즉, 사용자가 키(key)로써 입력한 농담에 따라 노멀(Normal)을 기준으로 하여 슬라이스 레벨을 가변시켜 농담의 변화를 출력해낸다.
그리고, 이와같은 종래의 기술은 농담 구분시(흑색구분) 노멀 슬라이스 레벨을 설정, 이를 기준으로하여 슬라이스 레벨을 절대흑 레벨 또는 절대백 레벨에 가깝게 슬라이스 레벨을 가변시켜 구분하는데, 이를 위해서는 화상신호를 일정한 단계로 구분가능케하는 A/D 컨버터가 필요하며, 일정한 광량에 대응하는 증폭기와 화상전용 칩(chip) 등이 구분되어 소프트 웨어적으로 제어하게 하는 것이 필요하다.
또한 ABC(Automatic Background Control)기능의 실현을 위해 하드웨어적인 부품이 필요하며 아날로그 신호제어를 위해 사용되는 부품에 의한 편차와 차이로 인해 민감한 부분이 발생하며, 이를 보완하기 위한 하드웨어, 소프트 웨어적인 조치가 필요하는 등의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광전변환되기전 광원의 광량을 제어하여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적 처리과정을 일등을 감소시키는데 그목적이 있다.
이와같은 목적을 실현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 2 도는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화상처리장치의 기능블록도로, 입전원과 제어신호에 따라 출력되는 전류를 제어하여 광량을 조절하는 광량제어부(1)와 광량제어부(1)의 제어신호에 따라 광을 출력하는 LED(Light Emitting Diode)어레이로된 광원(2)과 광원(2)에서 출력된 광에서 원고의 데이타에 반사된 광에 다른 데이타를 전하(charge)로써 축적하는 CCD(Charge Coupled Device)(3)와, CCD(3)에 축적된 전하량(데이타)에 따라 화상을 처리하는 화상처리부(4)와, 화상처리부(4)로부터 입력되는 신호를 2치화 및 화상관련기능을 제어하는 제어부(5)와, 제어부(5)로부터 입력된 데이타를 화상데이타로 처리하는 MPU(Micro Processing Unit)(6)로 구성된다.
이와같이 구성된 화상처리장치는 사용자가 농담키(key)로 농담(보통, 흑, 백)을 선택하면 MPU(6)에서 이를 감지하여 광량제어부(1)의 전원과 제어신호에 따라 광원(2)에 입력되는 전류를 조절하여 사용자가 선택한대로 광량을 제어한다. 광원(2)에서 출력된 빛은 원고의 데이타에 반사되어 광전변환소자인 CCD(3)에 반사광에 대응하는 전하로써 데이타가 축적된다.
축적된 데이타는 전기적 신호로써 화상처리부(4)에서 장치에 알맞게 증폭 또는 버터링(buffering)되어 제어부(5)에서 2치화 및 각종 화상관련기능을 제어하게 되고, 2치화상된 데이타 MPU(6)에 입력되어 화상데이타로 처리된다.
제 3 도는 제 2 도에 따른 농담제어방법을 나타낸 개략도로써, 제 3 도(A)와 같이 슬라이스 레벨을 종래의 노멀한 상태와 같으나 광량이 변환한다.
제 3 도는 (B)와같이 슬라이스 레벨이 절대백 레벨에 가깝게 위치하면 광량이 증가하고, 제 3 도와 같이 슬라이스 레벨이 절대흑 레벨에 가깝게 위치하면 광량이 감소한다.
즉 종래기술에서 광량이 일정하고, 슬라이스 레벨이 변화하여 농담이 조절되는 것과는 달리 본 기술에서는 슬라이스 레벨은 일정하게 하고 광량의 크기를 조절하여 화상의 농담을 조절한다.
제 4 도는 제 2 도의 화상처리장치에 따른 농담조정순서도를 나타낸 것으로 농담조절모드인가를 체크하여 농담조절모드이면 농담키(key)의 종류를 체크하여, 노멀(Normal)키가 입력되었으면 결핍광량을 출력하고 흑(Dark)키가 입력되었으면 광량을 증가시키고, 백(Light)키가 입력되었으면 광량이 감소한다.
상기, 농담조정단계후 원고가 급송되고 정상동작을 개시한다. 제 5 도는 본 발명의 ABC(Automatic Background Control)기능의 순서도로, 광량이 결핍되면, 모드셋(Mode Set)인가를 체크하여 예이면 복사 또는 통신을 시작하고 원고에서 반사된 광량이 감소하였는가를 체크하여 광량이 감소하였으면 감소한 광량만큼 광량이 증가시키고 정상동작으로 복귀한다. 그리고 광량체크모드에서 광량이 감소되지 않았으면 바로 정상동작으로 복귀한다. 이와같은 본 발명의 다른실시예로 광원의 색깔이 자유로운 광원으로 색에 따라 그 반사량이 차이가 있으므로 색깔로서 광량의 조절도 가능하다.
상기와같은 본 발명은 농담조절기능의 수행이 간단하며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가 종래 기술에 비해 간단하여 가격이 절감되고, 소프트 웨어의 한계에 따라 농담을 세밀하게 분해할 수 없는 능력을 극복하는데 그 효과가 있다.

Claims (2)

  1. 입력전원을 제어신호에 따라 출력하는 광량제어부(1)와, 상기 광량제어부(1)의 출력전원에 대응하는 광을 출력하는 광원(2)과, 상기 광원(2)에서 출력된 광중에서 원소에서 반사되는 광량에 따라 영상정보를 출력하는 촬상수단과, 상기 촬상수단으로 부터의 입력신호를 증폭 및 버퍼링하여 출력하는 화상처리부(4)와, 상기 화상처리부(4)에서 출력된 신호를 2치화 및 화상관련기능을 부여하는 제어부(5)와, 상기 제어부(5)의 데이타를 받아 화상처리부로 처리하는 MPU(6)를 구비함을 특징으로 하는 팩시밀리의 화상처리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광량제어부(1)에 인가되는 제어신호에 따라 광원(2)의 광량을 제어하여 농담을 조절함을 특징으로 하는 팩시밀리의 화상처리장치.
KR1019930009782A 1993-06-01 1993-06-01 팩시밀리(Facsimile)의 화상처리장치 KR96001254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30009782A KR960012549B1 (ko) 1993-06-01 1993-06-01 팩시밀리(Facsimile)의 화상처리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30009782A KR960012549B1 (ko) 1993-06-01 1993-06-01 팩시밀리(Facsimile)의 화상처리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50002374A KR950002374A (ko) 1995-01-04
KR960012549B1 true KR960012549B1 (ko) 1996-09-20

Family

ID=1935657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30009782A KR960012549B1 (ko) 1993-06-01 1993-06-01 팩시밀리(Facsimile)의 화상처리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60012549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44674B1 (ko) * 2002-04-10 2004-08-21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자동차용 코너링 적응형 시트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50002374A (ko) 1995-01-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745488A (en) Image reader
US5784178A (en) High performance contact image sensor
EP0920193A2 (en) Image processing apparatus and method
KR960012549B1 (ko) 팩시밀리(Facsimile)의 화상처리장치
US7433093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increasing signal to noise ratio
JPH06189132A (ja) 画像読取装置
KR930011612A (ko) 화상 조정장치
JP3859102B2 (ja) 画像読取り装置
KR100240069B1 (ko) 화상처리 방법
US5910850A (en) Optimization binarizing circuit
KR100260912B1 (ko) 화상왜곡보정과 화상처리를 수행하는 장치
JPS63186387A (ja) 2値化回路
JP3105008B2 (ja) 画像読取装置
JPH1063768A (ja) バ−コ−ドイメ−ジ検出装置
JP3128836B2 (ja) 画像読取装置におけるシェーディング補正装置
JPS63988B2 (ko)
JP3234650B2 (ja) 赤黒データ読み取り装置
SU1758901A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 коррекции сигналов полутонового изображени фотоэлектронного преобразовател
JPS6041364A (ja) 光学的読み取り装置
JPH06268869A (ja) 原稿画像読み取り装置
JPH09331423A (ja) 画像読取装置
JPH11331513A (ja) 画像読取装置
JPH04156761A (ja) ファクシミリ送受信装置
JPH0279564A (ja) 画像読取り装置
JPH08321920A (ja) 画像読取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