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60011227B1 - 침입감시 및 녹화 시스템 - Google Patents

침입감시 및 녹화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60011227B1
KR960011227B1 KR1019910025877A KR910025877A KR960011227B1 KR 960011227 B1 KR960011227 B1 KR 960011227B1 KR 1019910025877 A KR1019910025877 A KR 1019910025877A KR 910025877 A KR910025877 A KR 910025877A KR 960011227 B1 KR960011227 B1 KR 96001122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utput
signal
voltage
circuit
mar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1002587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30003762A (ko
Inventor
김홍섭
전병후
Original Assignee
대우전자 주식회사
배순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우전자 주식회사, 배순훈 filed Critical 대우전자 주식회사
Publication of KR93000376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3000376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6001122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011227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18Closed-circuit television [CCTV] systems, i.e. systems in which the video signal is not broadcas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losed-Circuit Television Systems (AREA)
  • Burglar Alarm System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침입감시 및 녹화 시스템
제1도는 종래의 침입 감시장치를 포함하는 침입 감시 및 비디오 시스템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도면.
제2도는 본 발명에 따른 비디오 센서를 포함하는 침입 감시 및 녹화 시스템의 개략적인 블록도.
제3도는 제2도에 도시된 비디오 센서의 마크 발생부를 보다 상세히 도시하는 회로도.
제4도는 제2도에 도시된 전압 변동 검출부를 보다 상세히 도시하는 회로도.
제5도는 마크 점멸 회로를 포함하는 본 발명의 따른 비디오 센서를 도시하는 도면.
제6도는 본 발명의 실시태양에 따른 마크 발생부의 각 부분에서의 파형을 예시하는 도면.
제7a 및 제7b도는 본 발명에 따른 모니터상의 감지 영역을 도시하는 도면.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비디오 카메라 2 : 모니터
3 : VCR 4 : 동기신호 분리회로
5 : 믹서 6 : 수평 마크발생부
10 : 미분회로 30 : 전압변동 검출부
32 : 기준값 설정부 44 : 수직 마크발생부
70 : 휘도 변동 검출부 170 : 비디오 센서
본 발명은 침입 감시 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비디오 신호로부터 대상물의 개입에 따른 휘도 신호의 변동을 직접 거출하여 침입 여부를 감지하고 녹화시키는 침입 감시 및 녹화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 주택을 비롯하여, 백화점, 은행, 공장, 전시장 등의 장소에서 도난을 방지하고 기계의 작동 상태나 공정 흐름 등을 손쉽게 점검할 수 있는 폐쇄회로 감시장치인 CC(Closed Circuit) TV시스템을 이용하고 있다. 이 시스템은 관리하고자 하는 다수의 감시 대상 영역을 각각의 비디오 카메라로 촬영하여, 사무실에 설치된 각각의 모니터에 디스플레이되는 감시화면을 확인하며, 필요한 경우 원하는 장면만을 VCR을 이용하여 녹화하기도 한다.
또한, 특별히 감시하고자 하는 장소에 광센서장치 등을 설치하여 침이 여부가 확인될 때, VCR을 자동 녹화시키는 시스템도 존재한다.
제1도를 참조하면, 광센서를 이용하여 침입 여부를 감시하고, 녹화할 수 있는 선행 기술의 침입 감시 및 녹화 시스템이 개략으로 도시된다.
이러한 시스템은 비디오 카메라(1)에서 촬영되는 영상이 모니터(2)상에 디스플레이되므로서 감시 대상 영역을 확인할 수 있다. 침입 감시 장치(70)는 광센서 수단(11)에서 감지된 신호 변동에 따라 녹화 대기 상태중인 VCR을 작동시켜 주는 신호를 생성해 준다. 또한, 침입 여부에 따라 걍보장치(14)를 작동시켜줄 수도 있도록 구성된다.
이러한 종래의 감시 시스탬은 광신호의 직진성을 이용하기 때문에, 감지 범위가 협소하였다. 따라서, 가지영역을 확장시키기 위해서는 치입 감지 장치를 여러 장소에 분산 배치시켜야만 가능했다. 또한, 종래의 감시 시스템은 광센서 수단을 포함하는 침입 감기 장치를 설치 또는 이동 배치할 때 장치의 은폐를 위하여 번거로운 작업을 실시해야 하는 문제가 이었다.
그러므로, 본 발명은 비디오 카메라로부터 출력되는 복합 영상 신호로부터 침입 여부를 직접 감출할 수 있는 비디오 센서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다른 목적은 모니터상에서 침입 감지된 영역을 식별할 수 있도록 점멸시키는 비디오 센서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태양에 따르면, 비디오 센서는 비디오 카메라에서 출력되는 복합 영상 신호중의 동기 신호를 분리하는 동기 분리 회로와; 상기 분리된 동기 신호를 이용하여 모니터상에 조정가능한 감시 대상 영역을 생성하는 출력신호를 발생하는 마크 발생부와; 상기 마크 발생부의 출력신호에 의해 제어되어 상기 비디오 카메라로부터 전달된 영상 신호중의 상기 감시 대상 영역에 대응하는 비디오 신호를 선택적으로 출력하는 스위치 수단과; 상기 스위치 수단의 비디오 출력신호를 적분하여 감시 대상 영역의 전압을 평균하는 수단과; 상기 미분된 신호에 응답하여 평균신호의 변동을 검출하여 상기 녹화 대기 상태의 VCR를 녹화 작동시키는 신호를 제공하는 전압 변동 검출부와; 상기 마크 발생부의 출력신호와 상기 복합영상 신호를 믹스하여 모니터로 출력하는 믹서부와; 상기 전압 변동 검출부와 믹서 사이에 연결되어 전압 변동이 검출될 때 감지된 대상 영역을 점멸시켜 주는 신호를 상기 믹서로 제공하는 마크 점멸회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미디오 센서라는 용어는 종래의 침입 감시 장치에 대응하는 장치로서, 본 발명에서 비디오 신호로부터 직접 침입 여부를 감지하는 장치로 해석된다.
이하 본 발명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다음과 같이 상세히 설명될 것이다.
제2도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비디오 센서를 포함하는 침입 감시 및 녹화 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성이 도시된다.
이러한 비디오 세서(17)는 비디오 카메라(1)와 모니터(2) 및 VCR(3)사이에 배치되고, 동기 분리 회로(4) 및 믹서(5) 및 휘도 변동 검출부(7)를 포함하며, 휘도 변동 검출부(7)는 마크 발생부(20), 스위치(6), 미분회로(8) 및 전압 변동 검출부(30)로 구성된 포함한다.
비디오 카메라(1)는 일정 구역의 영상을 촬영한다. 동기 분리 회로(4)는 비디오 카메라(1)에서 출력된 복합 영상 신호의 수평 및 수직 동기 신호를 분리시킨 다음, 분리된 동기 신호를 마크 발생부(30)로 인가한다.
마크 발생부(30)는 동기 신호를 변환시키며, 믹서(5)는 마크 발생부(20)로부터 출력된 신호와 비디오 카메라(1)로부터의 비디오 신호를 믹스하여 모니터로 제공한다. 두 신호가 믹스될 때, 믹스된 신호후분의 휘도가 더윽 높아질 것이며, 결과적으로, 비디오 카메라(10)에서 촬영한 영상은 모니터(2)에서 다른 부분에 비하여 휘도가 높아진 어떠한 사각 마크 모양이 새겨진 영상으로 디스플레이된다. 이러한 마크 부분은 선행 기술의 센서에 의한 감지 대상 영역에 해당하는 것으로서, 이 영역으로 물체가 이동되면 마크 부분의 평균 휘도가 변하게 된다. 실제로, 흑백 모니터인 경우에는 마크 부분과 전체 영상은 휘도의 차이로서 식별되며, 칼라 모니터의 경우 색상의 휘도 차이로 식별될 수 있다.
마크 발생부(20)의 출력 신호는 또한 제어 신호로서 스위치(6)로 제공된다. 스위치(6)는 제어 신호에 의해 비디오 신호중의 감시 대상 영역의 마크 부분에 대응하는 신호 부분의 한 필드를 일정 주기마다 통과시킨다.이 신호는 미분회로(8)에 의해 평균화 된다. 이것은 마크 부분만의 휘도 변화에 대응하는 번압의 변동을 검출하기 위한 목적으로 사용된다. 적분된 신호는 다음단의 전압 변동검출부(30)로 인가된다.
전압 변동 검출부(30)의 기준치 설정부(32)는 다음단의 전압상승 검출부(34)와 전압하강 거출부(36)에 기준값을 설정해 준다. 상기 저압상승 검출부(34)와 전압하강 검출부(36)는 각기 휘도 변동에 대응하는 전압 값이 상승 또는 하강되었는가를 검출하며, 그 검출된 출력은 NAND게이트(38)을 거쳐서 플립플롭 회로(42)로 전달된다. 플립플롭(42)은 새로운 신호가 입력될 때까지 현 상태를 그대로 유지하는 작용을 하며, 리세트 스위치(SW)에 의해 리세트된다.
제3도를 참조하면, 제2도에 도시된 마크 발생부(20)의 상세 회로도가 도시된다.
도시된 바와 같이, 마크 발생부(20)는 수평 마크 발생부(40)와 수직 마크 발생부(60)를 포함한다.
수평 마크 발생부(40)는 마크의 모니터상의 위치를 조정해 주는 수평 마크 위치 조정부(43)와, 수평 마크의 폭을 조정해 주는 펄스폭 조정부(46)을 포함한다. 마크 위치 조정부(43)는 멀티바이브레이터로 구성되며, 이 멀티바이브레이터는 동기 분리 회로(4)의 수직 동기 신호를 수신하는 NAND 게이트(ND1)와, NAND 게이트(ND1)의 출력에 접속된 캐패시터(C1)와 가변저항(VR1)을 구비하는 RC 시상수 회로와, 시상수 회로의 출력을 상기 NAND게이트(ND1)로 귀환시키는 인버터(INV1)로 구성하며, 펄스 폭 조정회로(46)는 상기 인버터(INV1)에 접속된 캐패시터(C2)와 가변저항 (VR2)을 구비하는 시상수 회로를 포함한다. 시상수 회로의 출력은 인버터(INV2)를 통해 믹서(5)로 출력된다.
상기 마크 위치 조정부(43)의 시상수 회로는 NAND 게이트(ND1)에 의해 반전된 동기 신호의 변동시킴으로써 모니터상의 마크의 위치를 변경시킬 수 있다. 한편, 펄스폭 조정부(46)의 시상수 회로는 마크위치조정부(43)에서 출력된 신호의 폭을 변동시킴으로써 마크의 폭을 조정할 수 있다.
수직 마크 발생부(6)는 수평 마크 발생부와 유사하게 수직 마크 위치 조정 회로(63)와 폭조정 회로(66)를 포함한다.
수직 마크 위치 조정 회로(63)는 수평 동기 신호를 수신하는 NOR 게이트(NR1)와, NOD 게이트(NR1)의 출력을 이요하여 모니터상에 재현될 수직 마크의 위치를 설정해 주는 캐패시터(C3)와 가변저항(VR3)으로 이루오지는 RC 시상수 회로와, 시상수 회로의 출력을 반전시켜 NOR 게이트(NR1)로 귀환시키는 인버터(INV3)를 포함하는 멀팁이브레이터로 구성된다.
상기 위치 조정 회로(63)의 NOR 게이트(NR1)의 출력은 캐패시터(C4)와 가변저항(VR4)으로 구성된 RC시상수 회로로 구성된 폭조정 회로(66) 인가된다.
수평 마크 발생부의 시상수 회로의 시상수는 수직 마크 발생부의 시상수보다 휠씬 커야될 것이다. 이것은 수평 동기 신호는 1라인(1H)마다 발생하고, 수직 동기 신호는 1필드(1V)마다 발생되기 때문이다.
제6도에는, 예로, 상기 수직 발생부의 각 부분에서 발생되는 출력 파형을 도시한다. 수평 마크 발생부의 출력 파형은 수직 마크 발생부의 출력 파형과 유사한 것이다.
제6a도는 a점에서 측정한 수평 동기 신호를 도시한다. 제6b도에서는 점 b에서 측정된 파형으로서 가변저항(VR1)에 의해 조절된 파형이다. 제6c도에서는 점 c에서 측정된 파형으로서 가변 저항(VR2)에 의해 조절된 파형이다.
상기 수평 마크 발생부(40) 및 수직 마크 발생부(60)로부터의 출력은 조합 수단인 NOR 회로(50)에서 조합된다. NOR 회로(50)에서 반전된 신호는 믹서 회로부(5)에서 믹서된 후 모니터(2)로 출력되는 한편, 스위치 제어신호로서 스위치(6)로 인가된다. 스위치(6)는 제어 신호가 하이레벨인 동안 비디오 신호를 선택적으로 통과시킨다. 이렇게 부분적으로 슬라이스된 비디오 신호의 휘도 성분은 캐패시터(C8)와 저항(R8)으로 구성된 적분회로(8)에 의해 평활화된 다음 전압 변동 검출부(30)로 인가된다.
제4도를 참조하면, 제2도에 도시된 전압 변동 검출부의 상세 회로도가 도시된다.
전압 변동 검출부(30)는 버퍼 증폭기(12)를 통과한 감지대상 영역에 대응하는 슬라이스된 비디오 신호에서의 전압 변동을 검출한다.
상기 전압 변동 검출부(30)의 기준 값 설정부(32)는 선택된 비디오 신호가 수신되는 반전 압력 단자(-)와 전원 Vcc로부터 가변 저항(VR5)을 통하여 기준 전압이 인가되는 비반전 입력 단자(+)를 가지는 연산 증폭기(21)로 구성된다. 초기 상태시, 연산 증폭기(21)의 출력은 1/2 Vcc이도록 가변저항(VR5)에 의해 조절된다.
전압상승 검출부(34)는 연산증폭기(21)의 출력전압이 인가되는 반전 입력 단자(-)와 전원 Vcc로부터 가변저항(VR6)을 통하여 기준 전압이 인가되는 비반전 입력 단자(+)를 가지는 연산 증폭기(23)로 구성되며, 전압 하강 검출부(36)는 연산 증폭기(21)의 출력 전압이 인가되는 비반전 입력 단자(+)와 전원 Vcc로부터 가변저항(VR7)을 통하여 기준 전압이 인가되는 반전 입력 단자(-)를 가지는 연산 증폭기(25)로 구성된다.
이들 두 연산 증폭기(23)(25)는 비교기로서, 작용하며, 그 기준 전압은 각각의 상기 1/2 Vcc의 비교 전압보다 각기 약간 큰 및 작은 값이 되도록 가변저항(VR6)와 (VR7)에 의해 조절된다.
따라서, 전압상승 검출부(34)는 평균화된 신호의 휘도 변동에 대응하는 상승된 전압을 검출하며, 미달 검출부(36)는 하강된 전압을 검출할 수 있다.
각각의 전압 변동 검출부(34) 또는 (36)의 출력신호는 NAND 게이트(38)를 통하여 R/S 플립플롭(42)을 전달된다. R/S 플립플롭 회로(42)에 의해 동시에 트리거됨으로써, VCR(3)에서는 녹화 작동이 그리고 경보장치에서는 경보가 울리게 된다.
본 발명의 지침에 따라, 비디오 센서(17)내에 휘도 변동 거출부(7)를 다수개 설치함다면 감지 대상 영역과 이에 대응하는 마크 부분이 다수개로 확장될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경우, 마크의 위치와 폭은 위치 조정부와 폭조정부의 RC 회로에 의해 조절될 수 있다.
제5도를 참조하면, 마크 점멸 회로가 더 포함된 휘도 변동 검출부가 도시된다. 마크 점멸 회로(8)는 전압 변동이 발생된 마크 부분을 식별하기 위하여 이를 점멸시키기 위한 회로로서 R-S 플립플롭회로(82), 발진기(84), AND 게이트(86)를 포함한다.
플립플롭회로(82)의 리세트 단자(R)에는 전압 변동 검출부(30)의 출력이 인가되고 세트 단자(S)에는 Vcc전원이 인가된다. 발진기(84)는 플립플롭회로(82)의 인에이블 단자(EN)로 일정 주기의 발진 주파수를 공급한다. AND 게이트(86)는 제1입력 단자(83)로부터, 상기 NOR 회로(50)의 출력을 수신하며, 제1입력 단자(85)로부터 상기 전압 변동 검출부(30)의 출력 상태를 유지하는 플립플롭(62)의 Q출력 단자로부터의 신호를 수신한다. 또한, Q출력단자와 AND 게이트(86)의 제1입력 단자 사이에는 풀업 저항(78)을 통하여 Vcc전원이 인가된다.
스위치 수단(6)을 통과한 감지 대상 영역에 대응하는 슬라이스된 비디오 신호의 휘도 변동이 없다면 전압 변동 검출부(30)의 출력은 Vcc전원(제4도 참조)에 의해 하이레벨로 유지된다. 따라서, 플립플롭회로(82)는 발진기(84)에 의해 주기적으로 인에이블되기 때문에, 인에이블 기간 동안 플립플롭회로(82)는 그 출력을 하이레벨로 유지하는 한편, 디제이블 기간동안에도 풀업 저항(88) 때문에 하이레벨로 유지한다.
플립플롭회로(82)의 출력신호와 NOR 회로(50)로부터의 신호는 AND 게이트(86)를 통하여 출력된다. 이때 플립플롭 회로의 출력신호는 AND 게이트에 대한 제어 입력 신호로서 작용한다. 즉, AND 게이트(86)는 플립플롭 회로의 Q출력 신호가 하이레벨로서 제1입력 단자(83)로 인가될 때 마크에 대응하는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슬라이스된 비디오 신호의 휘도의 변동이 생기면, 즉, 입력 변동 거출부(30)의 출력이 로우레벨로 변하면, 상기 제4도에서 설명된 바와 같이 플립플롭회로(42)를 통하여 VCR(3)과 정보 장치(14)를 구동시키는 한편 플립플롭회로(82)는 발진기(84)에 의해 주기적으로 로우레벨의 신호를 출력한다.
AND 게이트(86)는 플립플롭회로의 주기적인 로우레벨 출력신호와 풀업 저항(88)에 의한 하이레벨의 신호에 따라 슬라이스된 비디오 신호를 믹서(5)로 주기적으로 출력하게 된다. 따라서, 마크에 대응하는 비디오 신호는 모니터(2)상에서 주기적으로 점멸될 것이다.
AND 게이트(86) 다음단의 스위치(92)를 포함하는 회로(90)는 마크 온/오프 회로로서, 모니터(2)상의마크가 보이게 하거나 보이지 않게 해주는 기능을 수행한다. 스위치(92)가 온인 경우, 마크에 대응하는 상기 AND 게이트(86)의 출력 신호가 마크 온/오프 회로(90)를 통하여 믹서(5)로 인가되므로써 그대로 모니터상에서 볼수 있지만, 스위치(72)가 오프인 경우, 모니터(2)상에는 마크 형상이 보이지 않는다. 그러나, 마크에 대응하는 비디오 신호의 변동이 검출되면, 마크에 대응하는 신호가 마크 점멸 신호(80)를 통과하므로써 감지된 마크가 주기적으로 점멸하게 될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비디오 카메라의 비디오 신호를 이용하여 감시 대상 영역에서의 침입 여부를 직접 검출할 수 있으며, 감시 대상 영역을 다수개 설정할 수도 있기 때문에 폭넓게 카메라 전방의 모든 영역을 폭넓게 감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감시 대상 영역에 대응하는 모니터상의 마크 부분을 점멸시킴으로써 다수개의 마크중의 감지된 마크를 식별할 수 있다.

Claims (6)

  1. 비디오 카메라(1)와, 상기 카메라에서 촬영된 영상을 디스플레이하는 모니터(2)와, 상기 모니터에 디스플레이되는 특정 영상을 녹화시킬 수 있는 VCR(3)을 포함하는 침입 감시 및 녹화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카메라(1)로부터 출력되는 복합 영상 신호중의 수직 및 수평 동기 신호를 분리하는 수평 및 수직 동기 분리 수단(4)과; 상기 분리된 각각의 동기 신호를 각기 변환시키는 수평 및 수직 마크 발생부(40,60)와; 상기 수평 및 수직 마크 발생부의 각각의 출력 신호를 조합하는 수단(50)과; 상기 조합 수단의 조합된 출력신호에 의해 제어되어 상기 비디오 카메라로부터 전달된 영상신호 중의 감시하고자 하는 감시 대상 영역에 대응하는 영상 신호를 선택적으로 출력하는 스위치 수단(6)과; 상기 스위치 수단(6)의 선택된 출력신호를 미분하여 상기 감시 대상 영역의 영상 신호의 전압을 평균하는 미분 회로(8)와; 상기 평균신호의 전압 변동을 검출함으로써 상기 녹화 대기 상태의 VCR(3)을 녹화 작동시키는 신호를 제공하는 전압 변동 검출부(30)와; 상기 감시 대상 영역에 대응하는 표시를 모니터상에 형성시키기 위하여 상기 조합수단의 조합된 출력신호와 상기 복합 영상 신호를 믹스하는 믹서(5)를 포함하는 비디오 센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비디오 센서는 상기 전압 변동 검출부(30)와 믹서(5) 사이에 연결된 마크 점멸 회로(80)를 더 포함하며, 상기 마크 점멸 회로는, 인에이블 단자(EN)를 가지며 상기 전압 변동 검출부(30)의 출력 상태를 유지시켜 주는 플립플롭회로(82)와, 상기 플립플롭회로의 인에이블 단자에 접속되어 상기 플립플롭회로를 주기적으로 인에이블시키는 펄스 출력을 제공하는 제공하는 발진회로(84)와, 상기 플리플롭의 출력을 수신하는 제1입력 단자(83)와, 상기 조합수단(50)의 출력 신호가 인가되는 제2입력 단자(85)와 상기 믹서(5)에 연결된 출력 단자를 가지는 AND 게이트(86)와, 상기 플립플롭회로의 출력단자(Q)와 상기 AND게이트의 제1입력단자 사이에 접속된 풀업 저항(80)을 포함하는 비디오 센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평 및 수직 마크 발생부(40),(60)는 각기 모니터상에서 마크의 위치를 조절해 주는 위치 조정 회로(43) 및 (63)와 그 폭을 조절해 주는 폭조절 회로(46) 및 (66)을 포함하며, 상기 마크의 위치 및 폭은 상기 위치 조정 회로와 폭조정 회로의 RC 시상수 회로에 의해 조절 가능한 비디오 센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압 변동 검출부(30)는, 상기 적분된 영상 신호가 인가되는 반전 입력 단자와 전원(Vcc)으로부터 가변저항(VR5)을 통하여 기준 전압이 인가되는 비반전 입력 단자를 가지는 연산 증폭기(21)로 구성된 기준 값 설정부(32)와; 상기 연산 증폭기(21)의 출력 전압이 인가되는 반전 입력 단자와, 상기 전원(Vcc)으로부터 가변저항(VR6)을 통하여 기준 전압이 인가되는 비반전 입력 단자를 가지는 연산 증폭기(23)로 구성된 전압상승 검출부(34)와 ; 상기 연산 증폭기(21)의 출력 전압이 인가되는 비반전 입력 단자와 상기 전원(Vcc)으로부터 가변저항(VR7)을 통하여 기준 전압이 인가되는 반전 입력 단자를 가지는 연산 증폭기(25)로 구성된 전압하강 검출부(36)와; 상기 전압상승 검출부(34) 또는 전압하강 검출부(36)중의 어느 하나의 검출부에서 비디오 신호를 출력해 주는 수단(38)과; 상기 검출된 출력 상태를 유지시켜 주는 수단(42)을 포함하는 비디오 센서.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연산 증폭기(23)와 연산 증폭기(25)의 각각의 반전 입력 단자와 비반전 입력 단자로 인가되는 기준 전압을 초기 상태시 인가되는 상기 연산증폭기(21)의 전압보다 각기 낮고 높게 설정되므로써, 상기 감시 대상 영역의 변동 전압의 상승과 하강이 모두 검출되는 비디오 센서.
  6. 비디오 카메라(1)와, 상기 카메라에서 촬영된 영상을 디스플레이하는 모니터(2)와, 상기 모니터에 디스플레이되는 특정 영상을 녹화시킬 수 있는 VCR(3)을 포함하는 침입 감시 및 녹화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카메라(1)로부터 출력되는 복합 영상 신호중의 수직 및 수평 동기 신호를 분리하는 수평 및 수직 동기 분리 수단(4)과; 상기 분리된 각각의 동기 신호를 각기 변환시키는 수평 및 수직 마크 발생부(40,60)와; 상기 수평 및 수직 마크 발생부의 각각의 출력 신호를 조합하고 반전시키는 수단(50)과; 상기 합성 수단의 조합된 출력신호에 의해 제어되어 상기 비디오 카메라로부터 전달된 영상신호 중의 상기 감시 대상 영역에 대응하는 영상 신호를 선택적으로 출력하는 스위치 수단(6)과; 상기 스위치 수단(6)의 비디오 출력신호를 미분하여 감시 대상 영역의 전압을 평균하는 미분 회로(8)와; 상기 적분된 신호에 응답하여 평균신호의 변동을 검출하여 상기 녹화 대기 상태의 VCR(3)을 작동 및 녹화 작동시키는 신호를 제공하는 전압 변동 검출부(30)와; 인에이블 단자(EN)를 가지며 상기 전압 변동 검출부(30)의 출력 상태 신호를 유지시켜 주는 플립플롭회로(82)와, 상기 플립플롭회로의 인에이블 단자에 접속되어 상기 플립플롭회로를 주기적으로 인에이블시킴는 펄스 출력을 제공하는 발진회로(84)와, 상기 플립플롭의 출력 신호를 수신하는 제1입력단자와, 상기 조합수단(50)의 출력 신호가 인가되는 제2입력 단자를 가지는 AND 게이트(86)와, 상기 플립플롭회로의 출력단자(Q)와 상기 AND 게이트의 제1입력단자 사이에 접속된 풀업 저항(88)을 가지는 마크 점멸 회로(8)와; 감시 대상 영역에 대응하는 마크를 모니터상에 형성시키기 위하여 상기 AND 게이트(86)의 출력신호와 상기 복합 영상 신호를 믹스하는 믹서(5)를 포함하는 비디오 센서.
KR1019910025877A 1991-07-23 1991-12-31 침입감시 및 녹화 시스템 KR96001122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910012591 1991-07-23
KR91-12591 1991-07-23
KR91-19831 1991-11-08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30003762A KR930003762A (ko) 1993-02-24
KR960011227B1 true KR960011227B1 (ko) 1996-08-21

Family

ID=6734625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10025877A KR960011227B1 (ko) 1991-07-23 1991-12-31 침입감시 및 녹화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60011227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30003762A (ko) 1993-02-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253070A (en) System and method for automatically detecting a variation of video information
US3828125A (en) Television systems
KR960011227B1 (ko) 침입감시 및 녹화 시스템
KR960011226B1 (ko) 침입감시 및 녹화 시스템
KR100235249B1 (ko) 캐릭터 제네레이터를 이용한 화상변화 검출장치및 방법
KR950006806Y1 (ko) 입력신호의 주파수 판별기
KR930011141B1 (ko) 영상신호의 움직임 검출회로
JP2002171513A (ja) 監視カメラによる自動検知装置
KR20020037640A (ko) 복수의 영상을 처리하는 카메라
KR100189055B1 (ko) 감시 카메라
JP2000050253A (ja) フレームスイッチャー装置
KR100862137B1 (ko) 영상감지용 알림기기
KR100250891B1 (ko) 씨씨티브이 시스템의 화면 표시 제어 장치
KR100433874B1 (ko) 동기신호 및 모드 검출장치와 방법
KR0176543B1 (ko) 동기 신호 발생 장치
KR200432963Y1 (ko) 영상감지용 알림기기
KR940002707B1 (ko) 비데오 카메라의 경보 장치
JPH033895U (ko)
KR20000005737U (ko) 카메라의 동기 제어 장치
KR970050439A (ko) 영상처리 시스템의 자막처리장치
JPH087837B2 (ja) 監視装置
JPH06296248A (ja) 監視カメラ
KR910017857A (ko) 디스플레이 제어 방식
KR970078578A (ko) 자막위치정보를 이용한 자막신호 위치 조정장치 및 방법
KR960033098A (ko) 화면비율 조정 디스플레이 장치 및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19990731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