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60010725Y1 - 플로피 디스켓 보관용 박스 - Google Patents

플로피 디스켓 보관용 박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60010725Y1
KR960010725Y1 KR2019940000598U KR19940000598U KR960010725Y1 KR 960010725 Y1 KR960010725 Y1 KR 960010725Y1 KR 2019940000598 U KR2019940000598 U KR 2019940000598U KR 19940000598 U KR19940000598 U KR 19940000598U KR 960010725 Y1 KR960010725 Y1 KR 960010725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ver
hinge
storage box
inner cover
outer co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4000059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50023894U (ko
Inventor
송인종
Original Assignee
새한정밀 주식회사
김정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새한정밀 주식회사, 김정석 filed Critical 새한정밀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19940000598U priority Critical patent/KR960010725Y1/ko
Publication of KR950023894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50023894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6001072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010725Y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33/00Constructional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not provided for in the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G11B33/02Cabinets; Cases; Stands; Disposition of apparatus therein or thereon
    • G11B33/04Cabinets; Cases; Stands; Disposition of apparatus therein or thereon modified to store record carriers
    • G11B33/0405Cabinets; Cases; Stands; Disposition of apparatus therein or thereon modified to store record carriers for storing discs
    • G11B33/0433Multiple disc containers
    • G11B33/0438Multiple disc containers for disc cartridges

Landscapes

  • Packaging For Recording Disk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플로피 디스켓 보관용 박스
제1도는 본 고안 박스의 분해 사시도.
제2도는 본 고안 박스의 열린상태 사시도.
제3도는 본 고안 박스의 닫힌 상태 단면도.
제4도는 본 고안 박스의 열린 상태 단면도.
제5도는 본 고안에 적용된 인너커버의 작동 상태도.
제6도는 종래 보관박스를 도시한것으로서
(a)는 사시도이고,
(b)는 단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 : 보디 4 : 아웃커버
6 : 인너커버 8, 10, 36, 38, 48, 50 : 측벽
12, 14, 16, 18 : 경사부 20, 22 : 턱
28, 40 : 힌지부재 30 : 원형턱
32 : 반원형돌기 34, 60, 62 : 경사면
42 : 힌지홈 44 : 요입홈
52, 54 : 힌지돌기 56, 58 : 장공
64, 66 : 스톱퍼
본 고안은 플로피 디스켓을 수납하여 외부의 먼지 및 힘으로부터 플로피 디스켓을 보호할 수 있는 보관용 박스에 관한것이다.
일반적으로 컴퓨터의 운용시 이의 자료나 정보를 저장하는 플로피 디스크는 자기기록 매체로서 얇은 필름으로 형성되는 디스크와 이 디스크의 외측을 은폐 보호하는 얇은 합성수지의 케이스로 이루이지게 된다.
이에따라 플로피 디스켓은 자기성에 의한 정전기의 생성으로 외부의 먼지가 쉽게 흡착되고, 어떠한 힘에 대하여 매우 취약하다는 특성을 보유하고 있기 때문에 적당한 온도 조건과 청결한 상태에서 보관하지 앓으면 쉽게 손상되어 디스크에 입력되어 있는 자료자 징보가 손실될 염려가 있다.
이와같이 외부의 조건에 매우 취약한 플로피 디스크을 보관하기 위하여는 소정의 보관박스를 필요로 하게 되는데, 이러한 종래 보관박스는 제6도 (a)(b)에서 보인바와 같이, 상측이 개구되는 몸체(100)와; 상기 몸체(100)에 상측으로 회동되면서 열릴 수 있도록 힌지 고정된 인너커버(102)를 포함하는 커버(104)를 주요부품으로 하여 구성된다.
상기에서 몸체(100)는 통상과 같이 상측이 개구되는 장방형으로 형성되며 상기 커버(104)는 양측면 일측으로 소정 형상의 벽(106)이 형성되어 이의 벽(106)중간부 하측이 힌지(108)고정된다.
그리고 커버(104)의 벽(106)에는 이의 벽(106)과 대응되는 방향으로 양측변으로 벽(110)이 형성되는 인너커버(102)가 배치되는데, 이들을 하측부의 힌지(112)로서 연결이 이루어진다.
이에따라 상기 커버(104)와 인너커버(102)사이에 디스켓 수납부(114)가 형성된다.
또한, 상기 인너커버(102)는 커버(104)가 상측으로 회동될 때, 자동적으로 인너커버(102)의 상측부가 확개될 수 있도록 형성되는데 이는 커버(104)의 벽(106) 하측에 호형의 장공(116)이 형성되고, 이에 인너커버(102)의 벽(110)에 돌출되는 돌기(118)가 삽입되어 커버(104)의 열림시 인너커버(102)의 상측부 자중에 의하여 장공(116)길이내에서 확개된다.
그리고 상기 커버(104)의 열림시 이의 열림각은 몸체(100)의 저면에 형성되는 스톱돌기(120)에 의하여 제한된다.
이와같은 종래 보관박스는 디스켓을 보관하거나 보관된 디스켓을 꺼내고자할 때에는 커버(104)의 일측단을 상측으로 회동시킨다.
그러면 상기 커버(104)는 고정 힌지(108)를 기준으로 하여 회동이 이루어짐과 동시에 인너커버(102)는 자중에 의하여 이동 힌지(112)를 기준으로 회동하여 그의 상측부가 확개되면서 열려지게 된다.
이의 상태에서 디스켓 수납부(114)에 디스켓을 보관하거나 또는 보관된 디스켓을 꺼내게 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보관박스에 있어서는 인너커버가 확개된 상태에서 많은 양의 디스켓을 디스켓 수납부에 꽃게 되는 바, 커버의 담음시 인너커버의 상측이 좁아지면서 디스켓에 압력을 가하게 되어 디스켓을 손상시키기 쉬우며, 몸체부 내측으로 소정의 크기의 물체가 들어가면 상기 커버가 잘 닫히지 않는다는 폐단이 있다.
그리고, 불필요한 공간부가 많이 발생되어 보관박스의 부피가 불필요하게 커지며 또한 디스켓 수납부가 하나로 형성되어 디스켓을 분리 수납할 수 없다는 문제점을 내포하고 있다.
또한, 구조적으로 강성이 취약하여 파손되기 쉬우며, 커버의 개폐동작이 원할하게 이루어지지 않는다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고안은 상기의 종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고안의 목적은 견고하고, 최소한의 부피로 다량의 디스켓을 보관할 수 있는 플로피 디스켓 보관용 박스를 제공하려는 것이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커버의 열림시에는 디스켓 수납부가 2곳으로 분리형성되어 디스켓을 구별 수납할 수 있는 플로피 디스켓 보관용 박스를 제공하려는 것이다.
이를 실현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일측면과 일측변이 개구되어 장방형으로 형성되는 보디와;
상기 보디의 일측면 일부와 일측변의 개구부를 가릴 수 있는 구조로 형성되며 그의 측벽으로부터 연장되는 힌지부재가 상기 보디의 측벽 외측에 힌지 고정되어지되, 보디의 측벽 외측면과 힌지부재의 외측면이 동일면이 되도록 결합되는 아웃커버와;
상기 아웃커버의 힌지부재 사이로 형성되는 개구부를 은폐하여 줄 수 있는 크기로 형성되는 넓은면의 양측변으로 벽이 세워지고 그의 벽이 보디의 저면을 향하도록 한 상태에서 그의 하측이 보디의 소정위치에 힌지 결합되는 인너커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플로피 디스켓 보관용 박스를 제공한다.
상기에서 보디는 양 측벽의 상측변 모서리 부분을 아웃커버의 개폐시 간섭이 발생되지 않도록 경사부로 형성하고, 그의 하측으로 소정의 높이를 두고 디스켓의 중간부 상측이 개구되도록 또 다른 경사부로 형성하며, 상기 경사부와 연결되는 수직변의 상측에는 상기 인너커버의 상측 절곡부를 수용할 수 있도록 턱을 형성하여 이루어지는 플로피 디스켓 보관용 박스를 제공한다.
상기에서 보디와 아웃커버는 개폐시 현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보디와 아웃커버의 힌지부에 원주상의 다수개소에 상호 대응되는 반원형 돌기와 요입홈을 형성하여 힌지 결합하여 이루어지는 플로피 디스크 보관용 박스를 제공한다.
상기에서 반원형 돌기와 요입홈는 각각 90도 간격으로 4개씩 형성한것에 특징이 있다.
상기에서 보디와 인너커버는 인너커버의 상측이 외측으로 기울어질 수 있도록 벽의 하측으로 형성되는 힌지돌기를 보디의 요입부 일측으로 형성되는 호형의 장공에 결합한 것에 특징이 있다.
이하, 상기의 목적을 구체적으로 실현할 수 있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1도 및 제2도는 본 고안에 의한 박스의 분해사시도 및 조립사시도로서, 본 고안은 보디(2)와 아웃커버(4), 그리고 인너커버(6)로 구성된다.
상기 보디(2)는 일측면과 일측변이 개구되는 장방형으로 형성되며 양측벽(8)(10)은 상측변 모서리 부분이 경사부(12)(14)로 형성되고, 그의 하측으로 소정의 높이를 두고 또 다른 경사부(16)(18)로 형성되며, 상기 경사부(16)(18)와 연결되는 수직변의 상측에는 턱(20)(22)이 형성된다.
상기에서 경사부(12)(14)는 후술하는 아웃커버(4)의 닫힘시 간섭이 발생되지 않도록 하기 위한 것이며, 그의 하측의 경사부(16)(18)는 수납되는 디스켓의 중간부 상측이 외부로 노출되도록 하기 위함이다.
그리고 상기 측벽(8)(10)의 외측면에는 후측부에 원형의 요입부(24)측벽(10)의 요입부는 도면에서 나타나지 않으므로 부호를 부여하지 않음가 형성되며, 이의 요입부(24)의 일측과 상측으로는 이에 연장되는 요입부(26)가 형성된다.
상기에서 요입부(24)(26)는 아웃커버(4)의 힌지부재(28)가 결합될때 이들 외측변이 상호 동일면을 가질 수 있도록 형성한 것으로서, 요입부(24)에는 중앙부에 힌지 핀 역할을 수행하는 원형턱(30)이 형성되며 이의 원형턱(30) 외측에는 원호상의 다수개소에 반원형돌기(32)가 돌설된다.
그리고 상기 요입부(24)의 상측에는 하측으로 경사지는 경사면(34)을 갖는데, 이는 아웃커버(4)의 열림시 힌지부재(28)를 받쳐줄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상기 요입부(24)의 원형부(30)에 힌지 고정되는 아웃커버(4)는 보디(2)의 일측면 일부와 개구된 일측변, 그리고 상기 요입부(24)(26)를 은폐시킬 수 있는 구조로 형성된다.
즉, 넓은면(34)은 아웃커버(4)의 열음시 간섭이 발생되지 않도록 하기 위하여 보디(2)의 측벽(8)(10)의 폭을 고려하여 보디(2)의 일측면 전측부 일부만 점유할 수 있도록 한것이며, 그의 측벽(36)(38)으로부터 연장되는 힌지부재(28)(40)는 상기 요입홈(24)(26)의 형상과 동일하고, 그의 단부에는 상기 원형턱(30)과 반원형돌기(32)에 대응하는 힌지홈(42)과 요입흠(44)가 형성되어 제2도와 같이 결합된다.
상기에서 보디(2)와 아웃커버(4)의 힌지부에 다수의 반원형 돌기(32)와 요입홈(44)을 형성하여 결합한 것은 아웃커버(4)의 개폐시 개폐상태가 임의의 힘을 가하지 않는 한 현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것으로서, 열림시 보디(2)와 아웃커버(4)가 90도의 각도를 유지할 수 있도록 반원형돌기(32)와 요입홈(44)을 각각 90도 간격으로 4개씩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아웃커버(4)의 요입부(46)에 의하여 발생되는 개구부를 은폐하여 주는 인너커버(6)는 판상의 부재 양측변으로 벽(48)(50)이 세워지고 그의 벽(48)(50)이 보디(2)의 저면을 향하도록 한 상태에서 하측의 힌지 돌기(52)(54)가 보디(2)의 요입부(24)의 일측으로 형성되는 호형의 장공(56)(58)에 결합되어 보디(2)와 조립체로 형성된다.
상기에서 인너커버(6)를 보디(2)의 장공(56)(58)에 결합한 것은 인너커버(6)의 힌지부 반대측이 외측으로 확개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한것이며, 힌지부의 반대측 측벽(48)(50)은 모서리부분이 하향경사지도록 경사면(60)(62)으로 형성하여 인너커버(6)의 확개시보디(2)의 측벽(8)(10)내면에 형성된 스톱퍼(64)(66)와 제5도와 같이 잡촉되면서 원활하게 확개되고 그의 끝단에 걸리면서 확개되는 범위가 한정될 수 있도록 하였다.
또한 상기 인너커버(6)의 힌지부 반대측 넓은면(68)은 보디(2)의 측벽(8)(10)에 형성된 턱(20)(22)에 수용될 수 있도록 절공 형성되며, 이의 절곡부(70)의 외측면에는 아웃커버(4)의 넓은면(34)의 일부가 덮혀져 아웃커버(4)의 닫힘시 밀봉상태를 높힐 수 있도록 하였다.
그리고 상기 보디(2)와 아웃커버(4)의 경계부 외측면에는 다수의 손잡이 홈(72)이 형성되어 아웃커버(4)의 개폐를 용이하게 하였다.
이와같이 형성되는 보관박스는 아웃커버(4)의 닫힘시 제3도와 같은 상태가 되며, 이의 상태에서는 그의 내부가 외부와 완전히 차단됨으로써, 외부의 번지가 침투하지 못하여 이에 보관되는 디스켓(74)을 외부의 악조건에서 보호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의 상태에서 아웃커버(4)를 열고자하는 경우에는 손잡이홈(72)을 파지하여 완전히 열으면 제4도와 같이 보디(2)와 아웃커버(4)가 90도 각도로 열리게 된다.
이의 상태에서는 반원형돌기(32)와 요입홈(44)의 작용에 의하여 임의의 힘을 가하지 않는한 보디(2)가 쓰러지면서 닫히는 일이 발생되지 않는다.
그리고 이의 상태에서는 인너커버(6)를 사이에 두고 그 양측의 보디(2)와 아웃커버(4)에 디스켓(74)을 수용할 수 있는 공간부가 형성되는 바, 필요에 따라서는 디스켓(74)을 구분하여 수용할 수가 있으므로 불필요한 공간부가 생략되어 최소한의 부피로 최대한의 디스켓(74)을 수용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의 상태에서 필요에 따라 인너커버(6)의 상측부를 확개시키고자 할 때에는 그의 상측부를 외측으로 당기면 이의 인너커버(6)는 그의 하측단이 받침점이 되면서 힌지돌기(52)(54)가 장공(56)(58)을 타고 회동하면서 그의 상측부가 제5도에서의 가상선과 같이 확개되어 부피를 증대시킨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하면 보관상태가 매우 견고하며, 최소한의 부피로 최대한의 디스켓을 보관할 수 있고, 2곳의 수용부에 디스켓을 분리 수용할 수 있는 유용한 고안인 것이다.

Claims (7)

  1. 일측면과 일측변이 개구되어 장방형으로 형성되는 보디(2)와;
    상기 보디(2)의 일측면 일부와 일측변의 개구부위를 가릴 수 있는 구조로 형성되며, 그의 측벽(36)(38)으로부터 연장되는 힌지부재(28)(40)가 상기 보디(2)의 측벽(8)(10)외측에 힌지 고정되어지되, 보디(2)의 측벽(8)(10)외측면과 힌지부재(28)(40)의 외측면이 동일면이 되도록 결합되는 아웃커버(4)와;
    상기 아웃커버(4)의 힌지부재(28)(40)사이로 형성되는 개구부를 은폐하여 줄 수 있는 넓은면(68)의 양측변으로 벽(48)(50)이 세워지고 그의 벽(48)(50)이 보디(2)의 저면을 향하도록 한 상태에서 그의 하측이 보디(2)의 소정위치에 결합되는 인너커버(6)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플로피 디스켓 보관용 박스.
  2. 제1항에 있어서, 보디(2)는 양 측벽(8)(10)의 상측변 모서리 부분을 아웃커버(4)의 개폐시 간섭이 발생되지 않도록 경사부(12)(14)로 형성하고, 그의 하측으로 소정의 높이를 두고 디스켓(74)의 중간부 상측이 개구되도록 또 다른 경사부(16)(15)로 형성하며, 상기 경사부(16)(18)와 연결되는 수직변의 상측에는 상기 인너커버(6)의 상측절곡부(70)를 수용할 수 있도록 턱(20)(22)을 형성하여 이루어지는 플로피 디스켓 보관용 박스.
  3. 제1항에 있어서 보디(2)와 아웃커버(4)는 개폐시 현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보디(2)라 아읏커버(4)의 힌지에 다수의 반원형 돌기(32)와 요입홈(44)을 형성하여 힌지 결합하여 이루어지는 플로피 디스켓 보관용 박스.
  4. 제3항에 있어서 반윈형 돌기(32)와 요입홈(44)는 각각 90도 간격으로 4개씩 형성하여 이루어지는 플로피 디스켓 보관용 박스.
  5. 제1항에 있어서, 보디(2)와 인너커버(6)는 인너커버(6)의 상측이 외측으로 기울어질 수 있도록 벽(48)(50)의 하측으로 형성되는 힌지돌기(52)(54)가 보디(2)의 요입부(24)의 일측으로 형성되는 호형의 장공(56)(58)에 결함되어 이루어지는 플로피 디스켓 보관용 박스.
  6. 제1항에 있어서, 인너커버(6)는 확개시 그 확개범위가 한정될 수 있도록 측벽(48)(50)의 자유단(힌지부 반대측)의 모서리부분을 하향 경사지도록 경사면(60)(62)으로 형성하여 보디(2)의 측벽(8)(10)내면에 형성된 스톱퍼(64)(66)와 접촉되면서 끝단에 걸릴도록 형성한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로피 디스켓 보관용 박스.
  7. 제1항에 있어서, 인너커버(6)의 힌지부 반대측 넓은면(68)은 보디(2)의 벽(8)(10)에 형성된 턱(20)(22)에 수용될 수 있도록 절곡 형성되며, 이의 절곡부(70)의 외측면에는 아웃커버(4)의 넓은면(34)의 일부가 덮혀지도록 형성되는 플로피 디스켓 보관용 박스.
KR2019940000598U 1994-01-14 1994-01-14 플로피 디스켓 보관용 박스 KR960010725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40000598U KR960010725Y1 (ko) 1994-01-14 1994-01-14 플로피 디스켓 보관용 박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40000598U KR960010725Y1 (ko) 1994-01-14 1994-01-14 플로피 디스켓 보관용 박스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50023894U KR950023894U (ko) 1995-08-23
KR960010725Y1 true KR960010725Y1 (ko) 1996-12-26

Family

ID=1937565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40000598U KR960010725Y1 (ko) 1994-01-14 1994-01-14 플로피 디스켓 보관용 박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60010725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01923B1 (ko) * 2008-05-06 2009-06-10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자동차용 러기지박스 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01923B1 (ko) * 2008-05-06 2009-06-10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자동차용 러기지박스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50023894U (ko) 1995-08-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880002174A (ko) 디스크 카세트
US6540071B2 (en) Case for holding two compact discs
KR960010725Y1 (ko) 플로피 디스켓 보관용 박스
JPH04327168A (ja) ホルダ
US5450960A (en) Cassette containing case with an index card
JPH08282771A (ja) カセット収納ケース
JP2000344287A (ja) ディスク収納ケース
JP3490405B2 (ja) ディスク収納ケース
KR930007379Y1 (ko) 콤팩트 디스크 보관용 케이스
JP3319260B2 (ja) ディスク収納ケース
KR890007645Y1 (ko) 플로피 디스크 수납상자
KR19980010338U (ko) 디스크 케이스(Disc case)
JPS6323816Y2 (ko)
JP3519593B2 (ja) カートリッジ及びカートリッジ用収納ケース
KR970008082A (ko) 디스크 카트리지
KR940001852Y1 (ko) 디스크(disc) 2장 보관용 케이스
KR200164588Y1 (ko) 컴퓨터케이스
KR200206859Y1 (ko) 디스크 케이스
KR0132165Y1 (ko) 콤팩트디스크 보관용 케이스
KR200167977Y1 (ko) 회전식컴팩트디스크수납케이스조립체
JPH0858868A (ja) 収納ケース
JPH089035Y2 (ja) ディスクカートリッジ用キャリングケース
KR200303156Y1 (ko) 카세트데크의 모터조립체
KR200304854Y1 (ko) 컴팩트디스크 수납부를 가지는 파일케이스
JP2567347B2 (ja) 情報媒体収納用収納箱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