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60010440Y1 - 화분의 물공급장치 - Google Patents
화분의 물공급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960010440Y1 KR960010440Y1 KR2019940007963U KR19940007963U KR960010440Y1 KR 960010440 Y1 KR960010440 Y1 KR 960010440Y1 KR 2019940007963 U KR2019940007963 U KR 2019940007963U KR 19940007963 U KR19940007963 U KR 19940007963U KR 960010440 Y1 KR960010440 Y1 KR 960010440Y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water
- space
- storage space
- pot
- supply
- Prior art date
Link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27/00—Self-acting watering devices, e.g. for flower-pots
- A01G27/006—Reservoirs, separate from plant-pots, dispensing directly into rooting medium
-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27/00—Self-acting watering devices, e.g. for flower-pots
- A01G27/003—Controls for self-acting watering devices
-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27/00—Self-acting watering devices, e.g. for flower-pots
- A01G27/008—Component parts, e.g. dispensing fittings, level indicators
-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04—Flower-pot saucers
- A01G9/047—Channels or gutters, e.g. for hydroponic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Cultivation Receptacles Or Flower-Pots, Or Pots For Seedling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제1도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사시도.
제2도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의한 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화분본체 2 : 저장공간
3 : 집수공간 4 : 물흡수로
5 : 베이스 6 : 토양수용공간
7 : 조절레버 8 : 볼밸브
9 : 조절나사 10 : 물공급조절파이프
11 : 통풍구 12 : 캡
13 : 물공급로 14 : 홈
본 고안은 화분의 물공급장치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일회의 물공급으로 물공급량을 적절히 조절하면서 공급하여 물의 공급에 따른 번거로움 없애주도록 한 것이다.
종래의 화분은 흙을 담고 식물을 심을 수 있는 공간이 마련된 화분본체와 이 화분본체의 바닥면에 물의 배수를 위한 배수공이 형성된다.
상기 화분구조의 경우 흙을 넣고 식수를 위한 공간이 마련되지만 물의 공급을 필요로 하변 그때마다 물을 채워주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다.
특히 물의 공급을 많이 필요로 하는 식물을 화분에 식수할 경우 물의 공급횟수도 증가하여 화분관리에 어려움이 따른다.
또한 화분에 물을 과잉공급하면 식물의 뿌리가 부패하여 바람직한 성장을 개대할 수 없다.
따라서 화분에 식물을 식수하여 관리한 경우에는 특히 물의 공급과 적절한 수분량 조절이 식물의 생유과 성장의 관건이 되는데 이를 위한 세심한 주의가 요청되어 관리의 어려움이 있는 것이다.
본 고안의 목적은 화분의 물공급에 따른 번거로움을 줄여주는 물공급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수분의 과잉공급에 따른 식물의 성장저하를 방지하는데 있다.
이러한 목적들은 물을 수용하여 적절한 상태로 공급하기 위해 화분두께를 공백부로 형성한 저장공간과,
상기 물저장공간으로 부터 공급되는 물을 일정한 수면상태를 유지하면서 집수하기 위해 마련된 집수공간과, 상기 집수공간과 화분내의 토양을 분리된 상태로 있게 하고 집수공간측 수분을 토양층으로 이동시켜 주기 위해 물흡수로를 갖는 베이스와, 저장공간에 저장된 물을 집수공간측으로 적절한 양으로 유출시켜 주기 위한 수단을 포함하는 물공급장치를 제공함으로서 달성된다.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제1도 및 제2도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주요 부분은 화분본체(1)의 두께에 공백부로 이루어진 물저장공간(2)과, 상기 물저장공간(2)으로 부터 공급되는 물을 일정한 수면상태로 유지하면서 집수하기 위해 마련된 집수공간(3)과, 상기 집수공간(3)과 화분내의 토양을 분리된 상태로 있게 하고 집수공간(3)측 수분을 토양층으로 이동시켜 주기 위한 물흡수로(4)를 갖는 베이스(5)와, 저장공간(2)에 저장된 물을 집수공간(3)측으로 적절한 양으로 유출시켜 주기 위한 수단으로 구성된다.
화분본체(1)는 전체적으로 토양수용공간(6)과 저장공간(2) 및 집수공간(3)의 공간이 마련되 있다.
상기 베이스(5)는 토양수용공간(6)과 집수공간(3)을 구분하며 수분 통로인 다공의 홈이 통공되어 있고 물흡수로(4)를 갖는다.
물흡수로(4)는 조절레버(7)와 연결되어 있고 물의 흡수가 용이한 재질로 베이스(5)의 중심부에 가깝게 부착되어 있다.
저장공간(2)측에 저장된 물을 집수공간(3) 측으로 유출시켜 주기 위한 수단은 저장공간(2)측에 연결된 볼밸브(8)와, 상기 볼밸브(8)를 조절하기 위한 조절나사(9)와, 집수공간(3)측에 집수된 물의 수면이 소정의 위치에 도달할 때 볼밸브(8)를 통한 물의 유출을 차단하기 위한 저장공간(2)상에 설치된 물공급조절파이프(10)와,
집수공간(3)에 외부공기가 유입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수개의 통풍구(11)를 구성함을 기술적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물공급장치는 화분본체(1)의 선단소정위치에 있는 캡(2)을 열고 물공급로(13)를 통해 물을 공급하면 물은 화분본체(1)의 두께상에 확보된 저장공간(2)을 서서히 채워가면서 저장된다.
이때 저장공간(2)의 수면은 물공급조절파이프(10)의 높이보다는 낮게 유지될 정도로 한다.
이렇게 물을 저장공간(2)에 채워 넣은후 조절레버(7)를 통해 볼밸브(8)를 열면 저장공간(2)내의 물은 집수공간(3)을 서서히 채워나가면서 일정수면에 이르면 볼밸브(8)를 통해 물의 유출이 자연적으로 차단된다.
물의 유출이 멈춰지는 위치는 물공급조절파이프(10)가 집수공간(3)에 집수된 물의 수면에 의해 막히는 순간부터이다.
이같이 화분본체(1)의 두께상에 확보된 물저장공간(2)내의 물이 볼밸브(8)의 적절한 열림으로 집수공간(3)에 채워져 일정수면에 도달하면 물의 유출이 차단된 상태에 있게 되는 바 이때 집수공간(3)에 물흡수로(4)의 삼투작용에 따라 화분본체(1)내의 토양으로 옮겨지면서 식물에 수분을 공급한다.
이를 위하여 베이스(5)는 바람직하게는 다수의 홈(14)을 형성한 가운데 물의 스며듬을 이상적으로 하기 위한 솜등의 재질을 깔아 줌에 의해 수분을 베이스(5)에 균일하게 공급할 수 있다.
베이스(5)측으로 물을 옳겨주는 물흡수로(4)는 외부에서 물흡수량을 조절할 수 있는 조절레버(7)에 의해 수축 또는 복원되어 물흡수량의 조절이 가능토록 한다.
또한 베이스(5)의 저부쪽과 집수공간(3)에 수용된 물의 수면 사이에는 외부공기가 유입되어 공기가 충만된 상태로 있게 되는데 외부공기는 화분본체상에 형성된 통풍구(11)를 통해 유입된다.
베이스(5)와 집수공간(3)의 수면사이에 존재하는 공기는 수면이 높아지면 통풍구(11)를 통해 빠져나가고 수면이 낮아지면 통풍구(11)를 통해 유입된다.
저장공간(2)상의 물이 집수공간(3)측으로 이동되는 것은 자연낙하에 의한 것으로 물공급조절파이프(10)의 하부가 막히면 볼밸브(8)가 개방되었다 할지라도 물의 흐름은 중단되고 반대로 물공급조절파이프(10)의 하단부가 막히지 않은 상태이면 볼밸브(8)를 통한 물의 흐름이 게속 진행되어 물공급조절파이프(10)가 막히는 지점까지 물의 흐름이 계속된다.
따라서 물흡수로(4)를 통한 물의 흡수가 진행되어 집수공간(3)내의 수면이 낮아지면 자연적으로 저장공간(2)내의 물이 집수공간(3)으로 공급되어 항상 물이 토양층으로 옮겨 갈수 있어 일회의 물공급을 통해 장기간동안 물의 재공급 없이 화분에 물을 공급하여 물공급에 따른 번거로움을 없애 준다.
그의 응용으로서 항상 수분이 충분히 공급되어야 하는 식물에 대한 수분공급관리의 불편을 줄여줌과 동시에 적당량을 공급할 수 있어 과잉공급에 따른 식물의 생육저하를 방지할 수 있다.
Claims (2)
- 물을 수용하여 적절한 상태로 공급하기 위해 화분두께를 공백부로 형성한 물저장공간과, 상기 물저장공간으로 부터 공급되는 물을 일정한 수면상태를 유지하면서 집수하기 위해 마련된 집수공간과, 상기 집수공간과 화분내의 토양을 분리된 상태로 있게 하고 집수공간측 수분을 토양측으로 이동시켜 주기 위한 물흡수로를 갖는 베이스와, 저장공간에 저장된 물을 집수공간측으로 적절한 양으로 유출시켜 주기 위한 수단을 포함하는 화분의 물공급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저장공간측물을 집수공간으로 유출시켜 주기 위한 수단은 저장공간측에 연결된 볼밸브와, 집수공간측에 집수된 물의 수면이 일정위치에 이를 때 볼밸브를 통한 물의 유출을 차단하기 위한 물공급조절파이프와, 집수공간에 외부공기가 통풍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수개의 통풍구로 구성된 화분의 물공급장치.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19940007963U KR960010440Y1 (ko) | 1994-04-15 | 1994-04-15 | 화분의 물공급장치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19940007963U KR960010440Y1 (ko) | 1994-04-15 | 1994-04-15 | 화분의 물공급장치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950029077U KR950029077U (ko) | 1995-11-17 |
KR960010440Y1 true KR960010440Y1 (ko) | 1996-12-16 |
Family
ID=1938113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2019940007963U KR960010440Y1 (ko) | 1994-04-15 | 1994-04-15 | 화분의 물공급장치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960010440Y1 (ko) |
-
1994
- 1994-04-15 KR KR2019940007963U patent/KR960010440Y1/ko active IP Right Gran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950029077U (ko) | 1995-11-17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JP3816444B2 (ja) | 植物の栽培状態を改善するための成形体 | |
US5341596A (en) | Automatic water supply device for potted plants | |
US8528252B2 (en) | Self watering plant system | |
US5852896A (en) | Container and method of growing a plant | |
KR900006270B1 (ko) | 자동급수 화분의 급수량 조절방법 | |
US4999947A (en) | Controlled wick waterer for planter pots and the like | |
US5136806A (en) | Flowerpot and water supplying member for flowerpot | |
US4420904A (en) | Device for feeding potted plants | |
KR960010440Y1 (ko) | 화분의 물공급장치 | |
KR100403830B1 (ko) | 식물 재배용 화분 | |
KR101212764B1 (ko) | 모세관을 이용해 물을 공급하는 자가수분공급 화분 | |
JPH04135426A (ja) | 栽培鉢に対するかん水を行うためのプランター | |
JP3468647B2 (ja) | 花壇の自動給水装置 | |
GB2369980A (en) | A self watering tiered plant container | |
US4581848A (en) | Hydro-tank for hydroponics | |
JP4166869B2 (ja) | 給水装置およびそれが装着された植木鉢 | |
JP2001078595A (ja) | 植木鉢の自動給水装置及びその部品 | |
KR200329599Y1 (ko) | 점적관수 화분 | |
KR20170001235U (ko) | 공기 통로가 있는 액비 공급용 화분 받침과 이중화분 | |
KR940000476B1 (ko) | 급수량 조절이 가능한 자동급수 화분 | |
WO2004052084A1 (en) | Improvements relating to devices for watering pot plants | |
KR102303717B1 (ko) | 화분용 자동 급수장치 | |
KR200363002Y1 (ko) | 급수 화분 | |
KR100518814B1 (ko) | 화분 | |
JP3118116U (ja) | 楽して節水できる植木鉢とプランター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NORF |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