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60010340B1 - 새우양식용 인공사료 및 이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새우양식용 인공사료 및 이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60010340B1
KR960010340B1 KR1019930007939A KR930007939A KR960010340B1 KR 960010340 B1 KR960010340 B1 KR 960010340B1 KR 1019930007939 A KR1019930007939 A KR 1019930007939A KR 930007939 A KR930007939 A KR 930007939A KR 960010340 B1 KR960010340 B1 KR 96001034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eed
shrimp
powder
fish
weigh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3000793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재식
Original Assignee
안기영
두산종합식품주식회사
성우경
두산기술원연구조합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안기영, 두산종합식품주식회사, 성우경, 두산기술원연구조합 filed Critical 안기영
Priority to KR1019930007939A priority Critical patent/KR96001034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6001034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010340B1/ko

Links

Landscapes

  • Fodder In General (AREA)
  • Feed For Specific Animals (AREA)

Abstract

없음

Description

새우양식용 인공사료 및 이의 제조방법
본 발명은 새우양식용 인공사료 및 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좀 더 구체적으로 습열(스팀)을 가하여 사료가 함유하고 있는 단백질 성분을 고형화시켜 보리새우 및 대하를 고밀도로 양식하는데 적합한 새우양식용 인공사료 및 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보리새우와 대하를 비롯한 새우류를 양식하는데 사용되는 사료로는 곤쟁이(작은 새우류) 또는 바지락 등의 생사료, 잡어를 냉동시킨 냉동사료, 그리고 어분을 주제로 하여 여러 가지 비타민과 미네랄을 보강한 인공사료(배합사료)로 크게 3가지로 대별된다. 생사료와 냉동사료는 천연사료라고도 하며 기호성이 좋고 화학적산소요구량(Chemical Oxygen Demand), H2S, 암모니아태 질소(Ammonia nitrogen) 등이 적어 양식장을 덜 오염시키는 반면에, 영양소의 결핍, 수송 및 저장에 문제가 많았다. 게다가 근래에는 연근해의 수산자원이 고갈되어 감에 따라 포획이 점차 힘들어지며 가격 또한 상승일로에 있다. 이런 단점을 보완하여 개발된 것이 인공사료(배합사료)인데 새우양식용 인공사료가 갖추어야할 요건을 요약하면 아래와 같다.
1) 영양이 풍부해야 하며 균형이 맞아야 한다.
2) 수중에서 수용성 영양성분이 유출되거나 사료가 붕괴되지 말아야 한다.
3) 새우가 먹기 좋도록 적당한 크기를 갖추어야 하며 새우의 주서식지인 양식장 바닥에 사료가 가라않도록 하여야 한다.
새우류의 식성은 잡식성이나 보통의 어류와는 달리 먹이를 한번에 먹지 않고 복절지(배에 난 다리)로 사료를 웅켜쥐고 입으로 뜯어먹는 습성이어서 사료가 수중에서 쉽게 붕괴되어 버리면 먹을 수가 없게 되고 양식장 바닥에 축적되고 부패되어 수질과 저질을 오염시켜 새우의 성장을 둔화시키고 질병을 유발시키게 되므로 새우사료가 가져야 할 요건중에서 가장 중요한 것은 수중에서 영양소 소실이 없으며 사료가 붕괴되지 않는 특성이라 하겠다.
이들 배합사료가 물에 풀어지는 양상도 여러 가지인데 사료가 물을 흡수하여 본래의 3∼4배 크기로 부푼 다음 건드리면 해체되는 팽윤해체, 사료 겉표면에서부터 하얀 점성물질이 분산되어 나오면서 표면부터 풀어지는 분산해체, 및 결착이 부족하여 사료내부에 균열이 생기면서 조각조각 부서지는 균열해체 등이 있으며, 이들 해체현상은 다양하고 복잡하게 나타나며 그 결과는 사료가 물에 풀어지고 새우가 먹을 수 없는 상태로 되어 버리는 것이다. 이러한 요인으로는 원료성분의 결착부족, 배합사료 성형시의 압축부족 또는 과다팽창, 원료성분중에 흡습성물질 존재, 또는 건조 불충분 등 다양하다.
이러한 현상을 방지하기 위하여 종래에는 α화전분,(α-starch), CMC(Carboxy
Methyl Cellulose), 알긴산소다(Sodium alginate), 리그닌 설폰산소다(Na-ligninsulfonate), 또는 벤토나이트(Bentonite) 등의 별도의 결착제(Binder)를 사용하기도 하고 사료 압착력증대를 위하여 압출기의 다이(Die), 스크루(Screw), 배럴(Barrel) 등을 교환하게 됨으로 사료제조 비용도 상승하게 된다. 또한 전분질원료를 다량 사용하게 됨으로써 사료의 영양적 가치가 떨어지는 경우도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습열(스팀)을 가하여 사료가 함유하고 있는 단백질 성분을 소형화시켜 새우양식용 인공사료가 물에 풀어져 영양소가 손실되는 것을 막는것과 동시에 사료를 소화되기 쉽게 변성시켜 물에 풀어지지 않는 새우양식용 인공사료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상기 방법에 의해 제조된 새우양식용 인공사료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방법은 새우양식을 인공사료를 제조하는 방법에 있어서, 사료원료로서 열변성 단백질을 필수적으로 혼합하고, 분쇄하여 압출성형한후, 고압스팀처리하여 상기 열변성 단백질을 고형화함으로서 사료입자들이 결착되는 것으로 구성된다.
이하 본 발명의 구성을 좀 더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은 종래에 사용하고 있는 보리새우, 대하등의 새우양식용 인공사료의 제조방법을 개선하여 물에 풀어지지 않는 새우사료를 만드는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이를 종래의 방법과 간략하게 비교하여 도식화하면 다음과 같다.
(가) 종래의 방법
원료→혼합→분쇄→압출성형→거조→포장
(나) 본 발명의 방법
원료→혼합→분쇄→압출성형→고압스팀처리→건조→포장
상기 (가)에서는 종래의 상업적인 인공사료의 제조공정으로서, 어분을 주체로 하여 결착제, 비타민, 미네랄 등 각종원료를 혼합하여 분쇄하고 압출기(Extruder) 또는 환형기(Pelletizer)를 이용하여 직경 3mm, 길이 10mm정도 크기로 압출성형하고 건조기에서 건조한 다음 포장하게 된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 (나)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사료의 결착력을 강화하고 영양성분의 균형을 유지하기 위하여 과량의 전분질 원료나 결착제 등을 사용하지 않고 단백질 원료 등의 일부를 밀글루텐(Wheatgluten), 전란 또는 난백분말, 또는 혈분 등의 열변성 단백질 원료로 대체하는데,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때 열변성 단백질은 새우양식용 인공사료의 영양적 균형을 유지하기 위하여 3∼12중량%의 양으로 첨가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여기에 어분, 오징어분 이외에 비타민, 미네랄 등을 혼합하고 분쇄하여 압출성형한 다음, 고압스팀처리를 하여 단백질을 고형화시켜 사료입자들을 결착시켜 물에 풀어지지 않도록 한 다음 건조하여 포장하는 것이다. 상기 고압스팀처리는 비타민 등의 영양성분 파괴를 줄이고 잔류 부패미생물을 사멸시키기 위하여 2∼11kg/㎠로 3∼30분간 실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사료에서 열변성 단백질 원료를 첨가하지 않고 압출성형한 후 고압스팀처리를 하여도 사료원료중의 단백질, 전분질 원료가 고온에 의해 고형화되어 상당기간 물에 풀어지지 않는 사료를 제조할 수 있으나 이런 효과를 더욱 강하게 하기 위해서는 미리 원료중에 열변성이 되기 쉬운 단백질 원료를 첨가하여 주면사료는 더욱 단단하게 고형화되어 약 48시간 동안 물에 풀어지지 않게 된다.
본 발명에 사용될 수 있는 새우양식용 인공사료의 성분은 하기에 기재된 바와 같다. 단위는 중량%이다.
어분40~50오징어분5~15
새우분말 2~8맥주효모3~10
탈지대두박10~20열변성단백질3~12
밀가루 2~6피쉬솔루블2~6
비타민 2~4미네랄2~4
대구간유 3~6
이하 실시예 및 비교예를 통하여 본 발명의 효과를 좀 더 구체적으로 살펴보지만, 하기 예에 본 발명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하 %는 별도의 언급이 없는 한 중량%를 의미한다.
실시예 1
1) 하기 표 2에 기재된 원료를 계량한 후 잘 혼합한다.
2) 상기 (1)의 성분 100중량부에 대하여 80중량부의 수분을 첨가하여 직경1∼3mm 및 길이 5∼10mm의 펠렛형태로 사출성형한다.
3) 상기 (2)의 반제품에 고압스팀처리(5kg/㎠에서 20분)를 행한다.
4) 수분함량 10%미만으로 건조하여 제품화한다.
실시예 2
하기 표 2에 기재된 성분과 양으로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제조하여 똑같은 내수성 시험을 실시하였고 비교예 1과 비교한 결과를 하기 표 2에 나타내었다.
비교예 1
상기 실시예 1에서 소맥글루렌을 첨가하지 않고(하기 표 2참조) 또한 제조과정중의 제(3)항 과정을 행하지 않은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수행하였다.
이렇게 제조한 사료가 물에서 붕괴되지 않고 견디는 정도를 시험하여 실시예 1과 2와 비교하였다. 그 방법에는 여러 가지가 있으나 여기서는 현장시험방법인 육안관찰법을 그대로 적용하여 물에 인공사료를 담그고 일정시간이 지난 다음, 사료의 붕괴정도를 다음과 같은 기준치로 판단하고 하기 표 1에 그 시험결과를 나타내었다.
○물에서 붕괴되지 않는 정도의 표시(기준치)
0은 전혀 안풀어짐.
1은 풀어지지는 않았으나 칼로 쉬잘라짐.
2는 얼마간 풀어진 듯하며 칼로 쉽게 잘라질 때 단면에서 고형물이 분산됨.
3은 완전히 풀어지지는 않았으나 흐물흐물하고 많이 부풀었음.
4는 완전히 풀어져 사료의 형체를 알아보기 힘듬.
[표 1] 사료가 물에서 견디는 정도 시험
상기 표 1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실시예 1은 48시간이 지나도록 전혀 풀어지지 않아 새우가 섭취하기에 지장이 없다고 판단되나 비교예 1의 경우는 2시간 정도 경과한 후부터 서서히 풀어지기 시작하여 4시간 정도 경과하면 얼마간 풀어진듯하며 칼로자를 때 단면에서 고형물이 분산되는 것으로 보아 새우가 갉아 먹을시 사료허실이 생길 것으로 생각되며 24시간이 지난 후부터는 사료가 흐물흐물해져 건드리기만 해도 붕괴되는 것으로 보아 새우가 거의 섭취하기 힘든 사료형태로 생각되어진다.
실시예 1과는 달리 비슷한 종류의 열응고성 단백질인 난백분말을 4% 사용한 실시예 2의 경우에도 실시예 1과 비슷한 결과를 나타내었으며 난백대신 혈분을 사용한 경우에도 유사한 결과를 얻을 수 있었다.
[표 2]
비교예 2
실시예 1과 비교예 2의 방법으로 제조된 새우양식용 인공사료를 대하를 대상으로 사육시험을 행하였다. 100ℓ들이 FRP수조에서 대하치어(평균1.8g) 20마리를 넣고 50일간 실시예 1과 비교예 1의 사료를 일 3회, 체중의 5%범위내에서 급이하면서 성장 및 폐사 마리수를 매 10일마다 점점하였다. 수온은 25℃로 유지하면서 급이시험은 유수식으로 하여 그 결과를 하기 표 3에 나타내었다.
[표 3] 대하급이 시험
상기 표 3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실시예 1은 비교예 1과 비교하여 체중증가율이 월등하였으며 그 요인으로서는 물에 풀리지 않게 제조한 실시예 1의 사료가 소화가 되기 쉬운 형태이며 또한 사료허실이 적기 때문으로 여겨진다. 더불어 생존을 또한 향상되었다.

Claims (1)

  1. 새우양식용 인공사료를 제조하는 방법에 있어서, 소맥글루텐, 난백분말 및 혈분으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열변성 단백질 3-12중량%와 어분 40-50중량%, 오징어분 5-15%, 새우분말2-8중량%, 맥주효모 3-10중량%, 탈지대두박 10-20중량%, 밀가루 2-6중량%, 피쉬슬루블 2-6중량%, 비타민 2-4중량%, 미네랄 2-4중량%, 및 대구간유 3-6중량%로 필수적으로 이루어진 사료원료를 분쇄한 다음, 압출성형한 성형물을 2 내지 11kg/㎠에서 3 내지 30분간 고압스팀처리하여 산기 열변성 단백질을 고형화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새우양식용 인공사료의 제조방법.
KR1019930007939A 1993-05-08 1993-05-08 새우양식용 인공사료 및 이의 제조방법 KR96001034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30007939A KR960010340B1 (ko) 1993-05-08 1993-05-08 새우양식용 인공사료 및 이의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30007939A KR960010340B1 (ko) 1993-05-08 1993-05-08 새우양식용 인공사료 및 이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10340B1 true KR960010340B1 (ko) 1996-07-30

Family

ID=1935516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30007939A KR960010340B1 (ko) 1993-05-08 1993-05-08 새우양식용 인공사료 및 이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60010340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84721B1 (ko) * 2011-01-12 2013-07-17 강원대학교산학협력단 흰다리 새우용 사료 조성물
CN107027673A (zh) * 2017-05-25 2017-08-11 湖南新丰唯生态农业科技发展有限公司 龙虾高产精养方法
CN107568439A (zh) * 2017-09-06 2018-01-12 安徽蓝田特种龟鳖有限公司 一种营养丰富抗病能力强龙虾饲料
CN107801868A (zh) * 2017-09-30 2018-03-16 无为县绿农果蔬农民专业合作社 一种富硒龙虾饲料
CN114252561A (zh) * 2021-12-29 2022-03-29 双胞胎(集团)股份有限公司 颗粒饲料的预成型检测系统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84721B1 (ko) * 2011-01-12 2013-07-17 강원대학교산학협력단 흰다리 새우용 사료 조성물
CN107027673A (zh) * 2017-05-25 2017-08-11 湖南新丰唯生态农业科技发展有限公司 龙虾高产精养方法
CN107027673B (zh) * 2017-05-25 2020-11-13 湖南新丰唯一生态农业科技发展有限公司 龙虾高产精养方法
CN107568439A (zh) * 2017-09-06 2018-01-12 安徽蓝田特种龟鳖有限公司 一种营养丰富抗病能力强龙虾饲料
CN107801868A (zh) * 2017-09-30 2018-03-16 无为县绿农果蔬农民专业合作社 一种富硒龙虾饲料
CN114252561A (zh) * 2021-12-29 2022-03-29 双胞胎(集团)股份有限公司 颗粒饲料的预成型检测系统
CN114252561B (zh) * 2021-12-29 2023-08-04 双胞胎(集团)股份有限公司 颗粒饲料的预成型检测系统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PL191262B1 (pl) Karma dla zwierząt wodnych
CA2609805A1 (en) Feed for farmed fish and for fish stored in a live condition, and a method of producing such feed
CA2749259C (en) Feed additive
KR960010340B1 (ko) 새우양식용 인공사료 및 이의 제조방법
AU2003273194B2 (en) Feed block
JP2019092525A (ja) マグロ類養殖魚及びその用途、並びにマグロ類養殖魚の作出方法
GB2395414A (en) Gel feed for fish
CN107467423A (zh) 一种专用于禾花鲤养殖的颗粒饲料
Uspenskaya et al. Aquaculture: problems and modern perspective on topical solution.
JP3080117B2 (ja) 養魚餌料用混合飼料及び養魚用餌料
WO1997000021A1 (en) A seaweed based foodstuff for marine organisms and process for preparing the same
JP2688840B2 (ja) セミドライ多孔性沈降型養魚飼料
KR0150825B1 (ko) 어류양식용 펠렛형 연질 함습 냉동사료
JP3036920B2 (ja) 養魚用固形飼料
JPH0937723A (ja) 養魚用シングルモイストペレット飼料の製造方法
JPH04200375A (ja) 新規な養魚用飼料の製造法
KR20230065418A (ko) 갈색 거저리 분말을 포함하는 관상어용 사료 조성물
JPH02257834A (ja) 多孔性養魚飼料及びその製造方法
CN107259116A (zh) 一种剃刀龟专用龟粮及其制备方法
JPH03290155A (ja) 新規な養魚用餌料
JP2005130823A (ja) 魚餌
JPS6034136A (ja) 魚餌用補助飼料
JPH02100636A (ja) 甲殻類養殖用配合飼料
JPH02109949A (ja) モイストペレット状養魚飼料
JPH0253446A (ja) 水産巻貝類、ウニ類の飼育用配合飼料およびその製造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X1 Appeal (before the patent court)

Free format text: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1996201000848;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B701 Decision to gran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