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60009973Y1 - 자동차 시이트용 에어쿠션 - Google Patents

자동차 시이트용 에어쿠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60009973Y1
KR960009973Y1 KR2019940022722U KR19940022722U KR960009973Y1 KR 960009973 Y1 KR960009973 Y1 KR 960009973Y1 KR 2019940022722 U KR2019940022722 U KR 2019940022722U KR 19940022722 U KR19940022722 U KR 19940022722U KR 960009973 Y1 KR960009973 Y1 KR 96000997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ushion
protrusions
air
acupressure
headres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4002272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60010544U (ko
Inventor
김연근
Original Assignee
김연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연근 filed Critical 김연근
Priority to KR2019940022722U priority Critical patent/KR960009973Y1/ko
Publication of KR960010544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010544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6000997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009973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90Details or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914Hydro-pneumatic adjustments of the shap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39/00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specific reflex points of the body for physical therapy, e.g. acupuncture
    • A61H39/04Devices for pressing such points, e.g. Shiatsu or Acupressur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2/00Magnetotherapy
    • A61N2/06Magnetotherapy using magnetic fields produced by permanent magne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90Details or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976Details or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massaging systems

Abstract

내용없음.

Description

자동차 시이트용 에어쿠션
제1도는 본 고안에 따른 자동차 시이트용 에어쿠션의 사시도.
제2도는 제1도에 따른 A-A선 절단부 확대 단면도.
제3도는 제2도에 따른 B부 확대도.
제4도는 (a),(b)는 본 고안에 따른 3중구조의 에어쿠션이 형성되는 과정을 도시한 단면도.
제5도는 본 고안에 따른 에어쿠션이 자동차 시이트에 적용된 상태를 도시한 사용 상태도.
제6도는 제5도에 따른 머리받침조절대의 작동상태를 도시한 C부 확대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S : 자동차 시이트 U : 상부쿠션
L : 하부쿠션 1 : 등 받침대
2 : 머리 받침대 3,4 : 안착부
5 : 반구형 돌기 6 : 연결끈
7 : 연결고리 8 : 머리받침 조절대
9 : 헤드 레스트 10 : 헤드레스트 커버
11 : 고정끈 12 : 융기부
13 : 목 보호부 14 : 중앙 요홈부
15 : 자석내장돌기 16 : 지압돌기
17 : 공기 주입구 18 : 내피
19 : 중피 20 : 외피
21 : 지압구 22 : 자석
23 : 높낮이 조절봉 24 : 공간부
25 : 돌출부 26 : 공기
27 : 용착면 28 : 프레스
29 : 하부다이 30 : 운전자
본 고안은 자동차 시이트에 설치하는 에어쿠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장거리 운행으로 인해 장시간 의자에 앉아 있을 경우에 발생되는 졸음 및 피로를 최소화하고, 급정지 또는 추돌등의 돌발사고시에 머리와 목을 보호해주는 수단을 제공해주는 자동차 시이트용 에어쿠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량쿠션은 등받침대나 허리 받침대 또는 머리 받침대등과 같이 제한적 용도의 것이 주종을 이뤄왔다. 또한, 자동차 시이트 자체에 설치된 헤드레스트는 높낮이 조절은 가능하나 전후 위치조절을 할 수 없어 차량운행시에 운전자의 머리 및 목부위와 항상 이격되어 있게되고, 따라서 급정지를 하거나 충돌사고가 발생했을 때 목부상을 입는 경우가 많았다.
더구나, 고속도로나 지방국도등을 이용하는 장거리 여행에 있어서 자동차 시이트가 운전자의 체형에 잘 맞지 않으면, 목이나 허리등의 인체 각 부위가 쉽게 피로를 느끼게 되고 결국 집중력을 저하시켜 졸음이 오게함으로써 대형 사고의 원인이 된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혈액순환촉진 및 지압효과를 갖도록 하기 위해 자석을 부착시키거나 목재구슬을 나일론사에 꿰어서 만든 등받침대가 있었으나 목재구슬 표면에 도료가 차내 온도가 상승됨에 따라 화학물질을 침출시켜 인체에 해롭고, 구슬이 옷이나 시이트 표면에 직접 접촉되어 옷감이나 시이트 커버를 상하게 하는 단점이 있었으며, 이와는 달리 지압효과를 향상시킨 전동식 지압기가 있었으나 가격이 비싸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제반사항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등받침대와 머리 받침대를 인체형상에 적합하도록 일체로 형성시키고 머리 받침대의 전후위치 조절이 용이하며 설치가 간편하고 헤드레스트의 높낮이 조절에 따른 대응 조절이 가능한 한편, 신체의 혈액순환 촉진 및 지압효과를 향상시켜 운전시의 피로도를 최소화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자세를 안정시켜주고 관성에 의한 목부상을 방지할 수 있으며 쿠션의 탄력을 임의로 조절할 수도 있는 다기능의 자동차 시이트용 에어쿠션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에 따른 자동차 시이트용 에어쿠션은, 가변조절되는 연결끈을 매개로하여 상호결합된 상.하부쿠션으로 구성되고, 상기 상부쿠션에는 연직방향으로 중앙요홈부가 형성된 등받침대와 안착부가 형성된 머리받침대가 일체로 구비되어 있고 등받침대와 머리 받침대의 외곽에 형성된 융기부가 서로 연결되어 목 보호부를 형성하며, 상기 하부쿠션에는 그 중앙과 선단에 각각 안착부와 반구형 돌기가 형성되어 있는 한편, 상.하부쿠션의 전면에 다수의 지압돌기가 형성되고 목 보호부와 등받침대에 다수의 자석내장 돌기가 구비되며, 머리받침대의 배면에 공기량을 조절할 수 있는 머리받침 조절대가 부착되고 머리받침 조절대와 등받침대에 각각 헤드레스트 커버와 고정끈이 부착되어 자동차 시이트에 결합할 수 있도록 된 것으로, 상기 쿠션은 합성고무재로 된 내피 및 중피와, 신축성이 있는 합성섬유재로 된 외피의 3중구조로 되어 있고, 상기 내피와 중피 사이의 소정위치에 지압구와 자석을 다수개 삽입하여서 지압돌기와 자석내장 돌기를 각각 형성시킨 구조로 된 것이다.
이하, 본 고안을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제1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자동차 시이트용 에어쿠션은, 등받침대(1)와 머리받침대(2)를 일체로 형성시킨 상부쿠션(U)과, 안착부(3)와 반구형 돌기(5)가 형성된 하부쿠션(L)으로 되어 있고, 하부쿠션(L)의 일측선단에 구비된 연결끈(6)을 상부쿠션(U)의 하단에 구비된 연결고리(7)에 삽입시킨 결합구조로 된 것이다.
또한, 머리 받침대(2)의 배면에는 머리부분의 안치각을 조절해 주는 머리받침 조절대(8)와 자동차 시이트(S)의 헤드레스트(9)부분에 쓰워지는 헤드레스트 커버(10)가 순차적으로 부착되고, 등받침대(1)의 배면에는 분리결합되는 고정끈(11)이 부착되어 있다.
상기 상부쿠션(U)의 외곽에는 융기부(12)가 형성되어 있고, 머리 받침대(2)의 융기부(12)사이에 머리 뒷부분이 안치될 수 있도록 안착부(4)가 구비되어 있으며, 안착부(4)밑으로 상기 융기부(12)가 이어져서 목뒷부분을 지지해주는 목보호부(13)를 형성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등받침대(1)는 그 중앙부에 수직형성된 중앙 요홈부(14)가 구비되고, 상기 목보호부(13)의 표면과 중앙 요홈부(14)의 양쪽으로 자석내장 돌기(15)가 다수 돌출되어 있으며, 상부쿠션(U)의 전면 전체에 걸쳐 지압돌기(16)가 돌출되어 있다.
한편, 상기 하부쿠션(L)은 둔부를 안치시켜 주는 안착부(3)가 형성되어 있고, 3개의 반구형 돌기(5)가 하부쿠션(L)의 선단에 분포되어 있으며, 상기 안착부(3)를 제외한 하부쿠션(L)의 전면에도 다수의 지압돌기(16)가 돌출되어 있다.
상기 상부쿠션(U)과 머리받침 조절대(8) 및 하부쿠션(L)에는 각각 공기 주입구(17)가 별도로 마련되어 있다.
본 고안에 따른 등 받침대(1)의 단면구조는 제2도 및 제3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앙 요홈부(14)에서 외곽 융기부(12)로 갈수록 공기(26)의 충진 공간이 넓어지고 운전자(30)의 등이 맞닿는 전면쪽으로 양 융기부(12)가 휘어져 있으며, 상기 쿠션은 합성고무재로 된 내피(18) 및 중피(19)와, 신축성있는 합성섬유재로 된 외피(20)를 고주파 용착시킨 것으로, 상기 내피(18)와 중피(19)사이에는 목재로된 지압구(21)와 자석(22)을 소정의 위치에 삽입하여 지압돌기(16)와 자석내장돌기(15)를 형성한다.
이때, 상기 자석(22)은 제4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내피(18)를 1차 프레싱하여 형성된 돌출부(25)위에 올려놓고 중피(19)와 외피(20)를 쓰워서 용착시킨 것이다.
제5도 및 제6도는 본 고안에 따른 에어쿠션을 자동차 시이트(S)에 설치하여 사용하는 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작용 및 효과는 다음과 같다.
등받침대(1)의 외곽에 형성된 융기부(12)는 운전자(30)의 등부분을 안정시켜 주어 곡선도로에서 운전자(30)가 좌.우로 기울어지면서 자동차 시이트(S)에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한다.
또한, 상기 등받침대(1)의 중앙 요홈부(14)는 운전자(30)의 척추가 자동차 시이트(S)에 밀착되어 외부충격에 직접적으로 노출됨으로써 척추 디스크등의 발병원인이 되었던 종래의 단점을 해소시키기 위한 것으로, 등을 밀착시켰을 때 척추를 보호할 수 있는 공간부를 형성시킨 것이다.
한편, 머리받침대(2)에 마련된 안착부(4)는 머리 뒷부분을 감싸주어 자세를 바르게 고정시켜 주고, 목보호부(13)를 돌출 형성시키므로써 일단정지후 급출발을 하거나 돌발사태에 따른 급제동시 또는, 충돌사고시에 발생되는 관성에 의한 충격으로부터 목을 보호해 준다.
상기 머리받침대(2)의 배면에 부착된 머리받침 조절대(8)는 별도의 공기 주입구(17)를 구비하고 있으며, 따라서 공기량을 임의로 조절함으로써 머리 받침대(2)를 운전자(30)에게 적합한 각도로 조절할 수 있는 것이다.
이러한 머리받침 조절대(8)의 작동상태는 제6도에 확대도시 하였다.
또한, 하부쿠션(L)을 상부쿠션(U)에 연결하기 위한 매개수단으로 연결끈(6)을 사용하였으며, 상기 하부쿠션(L)은 둔부의 미끄러짐을 방지한 안착부(3)와, 양 다리를 하부쿠션(L)에 안치시키기 위한 3개의 반구형 돌기(5)가 구비되어 있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른 에어쿠션을 자동차 시이트(S)에 설치하기 위한 수단으로 헤드레스트 커버(10)와 보조 수단인 고정끈(11)이 마련되어 있다.
헤드레스트 커버(10)는 신축성 있는 합성섬유재로 되어있어 자동차 시이트(S)에 설치된 헤드레스트(9)에 견고히 밀착되며, 상기 고정끈(11)은 하부쿠션(L)이 앞쪽으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한다. 이때, 운전자(30)의 신장차이에 따라 헤드레스트(9)의 높낮이가 조절되므로 하부쿠션(L)에 부착된 연결끈(6)은 길이조절이 가능하도록 후크 루프형 패스너 등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 이유는 높낮이 조절봉(23)이 신장되었을 때 상부쿠션(U)이 함께 상승하게 됨에 따라 하부쿠션(L)의 저면이 자동차 시이트(S)에서 떨어지게 되므로 이를 조절하기 위해서이다.
한편, 본 고안은 상.하부 쿠션(U)(L)의 전면에 다수의 돌기(15)(16)를 형성시켜 운전자(30)의 신체 각 부위를 지압할 수 있게 한 것으로, 지압 및 혈액순환을 원활히 하기 위해 3중구조의 에어쿠션에 지압구(21)와 자석(22)을 다수개 삽입하였으며, 상기 지압구(21)는 용착된 내.중피(18)(19)사이에 형성된 공간부(24)에서 미동하게 되어 지압효과를 향상시켜 주고, 목재지압구(21)가 직접 노출되어있지 않으므로 인체에 무해하고 옷감이나 시이트 커버가 상하지 않으며, 외피(20)가 합성섬유재로 되어있어 감촉 및 흡습성이 좋고 미끄러짐이 없으며, 자석(22)의 혈액순환촉진 효과를 극대화하기 위해 내피(18)자체에 돌출부(25)가 형성된 것이다.
또한, 에어쿠션이 3중구조로 되어 있어 내구성이 우수하고, 내부 공기압을 임의로 조절할 수 있어 최적의 운전환경을 제공하여 준다.
따라서, 본 고안은 장거리 여행시에 운전자(30)의 전신을 편안히 지지해주므로써 피로가 쌓이지 않고, 혈액순환을 촉진시켜 정신을 맑게함으로써 멀미 및 졸음을 방지하여 주는 등의 매우 유용한 효과가 있다.

Claims (2)

  1. 자동차 시이트(S)에 설치되는 다수의 자석(22)이 내장된 공기 충진형쿠션에 있어서,상기 쿠션은 가변조절되는 연결끈(6)을 매개로하여 상호결합된 상.하부 쿠션(U)(L)으로 구성되고, 상기의 상부쿠션(U)에는 연직방향으로 중앙 요홈부(14)가 형성된 등받침대(1)와 안착부(4)가 형성된 머리 받침대(2)가 일체로 구비되어 있고 등받침대(2)와 머리 받침대(2)의 외곽에 형성된 융기부(12)가 서로 연결되어 목 보호부(13)를 형성하며, 상기의 하부쿠션(L)에는 그 중앙과 선단에 각각 안착부(3)와 반구형돌기(5)가 형성되어 있는 한편, 상.하부쿠션(U)(L)의 전면에 걸쳐 다수의 지압돌기(16)가 형성되고 목 보호부(13)와 등받침대(1)에 다수의 자석내장돌기(15)가 구비되며, 머리 받침대(2)의 배면에 공기량을 조절할 수 있는 머리받침 조절대(8)가 부착되고 머리받침 조절대(8)와 등받침대(1)에 각각 헤드레스트 커버(10)와 고정끈(11)이 부착되어 자동차 시이트(S)에 결합할 수 있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시이트용 에어쿠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쿠션은 합성고무재로 된 내피(18) 및 중피(19)와, 신축성 있는 합성섬유재로 된 외피(20)의 3중구조로 되어 있고, 상기 내피(18)와 중피(19)사이의 소정위치에 지압구(21)와 자석(22)을 다수개 삽입하여서 지압돌기(16)와 자석내장돌기(15)를 각각 형성시킨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시이트용 에어쿠션.
KR2019940022722U 1994-09-03 1994-09-03 자동차 시이트용 에어쿠션 KR960009973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40022722U KR960009973Y1 (ko) 1994-09-03 1994-09-03 자동차 시이트용 에어쿠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40022722U KR960009973Y1 (ko) 1994-09-03 1994-09-03 자동차 시이트용 에어쿠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10544U KR960010544U (ko) 1996-04-12
KR960009973Y1 true KR960009973Y1 (ko) 1996-11-19

Family

ID=1939239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40022722U KR960009973Y1 (ko) 1994-09-03 1994-09-03 자동차 시이트용 에어쿠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60009973Y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4333673A1 (en) 2021-05-05 2024-03-13 Steelcase Inc. Body support assembly and methods for the use and assembly thereof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10544U (ko) 1996-04-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199947B1 (en) Vehicle seat provided with a headrest
US5220700A (en) Protective pillow
US5785388A (en) Seat belt pillow
US4838611A (en) Car seat pillow
US4607885A (en) Head restraint for child's seat
US3650561A (en) Headrest
US3778104A (en) Seat consisting of seat portion and backrest, especially driver seat for motor vehicles
KR960009973Y1 (ko) 자동차 시이트용 에어쿠션
US4076307A (en) Safety chair for a child for use in motor vehicles
JP3015207U (ja) 自動車の座席専用保護枕
US3454302A (en) Support device
JP3053720U (ja) 首装着用クッション
KR200214480Y1 (ko) 어린이용 안전벨트
KR100832459B1 (ko) 차량의 헤드레스트용 보조쿠션
US20020140262A1 (en) Head protector
KR20020049616A (ko) 차량용 시트백의 결합구조
CN217864031U (zh) 一种防驾驶前倾安全系带装置及车辆
KR200361166Y1 (ko) 자동차용 경추 안마기
KR200190927Y1 (ko) 자동차용 시트카바
KR200317775Y1 (ko) 차량 프런트시트용 안전베개
RU6373U1 (ru) Подушка для транспортного средства "комфорт"
KR200240719Y1 (ko) 자동차용어린이시트
KR20100051940A (ko) 차량용 시트의 보조 헤드레스트
SU1759677A1 (ru) Сиденье транспортного средства
KR200179857Y1 (ko) 쿠션을 탈부착할 수 있는 자동차용 시트카바.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ORF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