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60009913Y1 - 1개의 철심에 권취된 병렬 코일을 갖는 교류발전기 로우터 - Google Patents

1개의 철심에 권취된 병렬 코일을 갖는 교류발전기 로우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60009913Y1
KR960009913Y1 KR2019930009412U KR930009412U KR960009913Y1 KR 960009913 Y1 KR960009913 Y1 KR 960009913Y1 KR 2019930009412 U KR2019930009412 U KR 2019930009412U KR 930009412 U KR930009412 U KR 930009412U KR 960009913 Y1 KR960009913 Y1 KR 96000991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tor
iron core
coils
coil
alterna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3000941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50002336U (ko
Inventor
안상혁
Original Assignee
만도기계 주식회사
정몽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만도기계 주식회사, 정몽원 filed Critical 만도기계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19930009412U priority Critical patent/KR960009913Y1/ko
Publication of KR950002336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50002336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6000991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009913Y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16/00Machines with more than one rotor or stator
    • H02K16/02Machines with one stator and two or more rotor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1/00Details of the magnetic circuit
    • H02K1/06Details of the magnetic circuit characterised by the shape, form or construction
    • H02K1/22Rotating parts of the magnetic circuit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17/00Asynchronous induction motors; Asynchronous induction generators
    • H02K17/42Asynchronous induction generators
    • H02K17/44Structural association with exciting machin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Synchronous Machinery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1개의 철심에 권취된 병렬 코일을 갖는 교류발전기 로우터
제1도는 종래의 교류발전기를 도시하는 회로도이다.
제2도는 종래의 교류발전기 로우터의 단면도이다.
제3도는 로우터코일이 병렬로 연결된 교류발전기를 도시하는 회로도이다.
제4도는 2개의 철심과 2개의 병렬로우터 코일을 갖는 교류발전기 로우터의 단면도이다.
제5도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를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제6도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하는 단면도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가 : 교류발전기 나, 라 : 종래의 로우터
다 : 스테이터 마, 마' : 본 고안의 로우터
1 : 로우터축 2, 20, 20' : 철심
3, 21, 21' : 보빈 4, 22, 22' : 로우터코일
5, 5' : 슬립링 6 : 전압조정기
7, 7' : 브러시 8 : 키스위치
9 : 축전지 10, 10', 23, 23' : 자극편
11, 11', 11 : 스테이터코일 28, 28' : 인출부
30,30', 31, 31' : 본 고안의 로우터코일
본 고안은 차량용 교류발전기의 로우터의 곤한 것으로 특히 1개의 철심에 2개의 로우터코일이 병렬로 연결되도록 권취하여서 로우터코일에서 발생되는 기자력을 증대시킨 교류발전기의 로우터에 관한 것이다.
교류발전기(가)의 로우터(나)는 제1도와 제2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로유터축(1)상에 축(1)과 일체로 회동되도록 1개의 철심(2)이 배설되고, 그 위에 설치된 보빈(3) 위에 로우터 코일(4)이 권취되며, 이 코일(4)의 양단(①, ②)은 각각 로우터축(1)상에 절연된 채로 나란히 설치된 2개의 슬립링(5)(5')에 연결되므로 2개의 브러시(7)(7')가 슬립링(5)(5') 위를 섭동하면서 코일(4)에 직류의 여자전류를 공급하게 되며, 전압조정기(6)는 여자전류를 조절하여 발전전압이 설정치 이상으로 상승하지 않도록 한다.
제1도에서 키스위치(8)를 '온'할 때 초기에는 축전지(9), 전압조정기(6), 브러시(7)(7')를 거쳐 로우터 코일(4)에 흐르는 직류전류와 코일(4)의 권수에 따라서 입력기자력이 발생되어 철심(2)에 플레밍의 오른손 법칙에 따라서 자속을 발생시킴과 동시에 첨심(2), 보빈(3), 코일(4)을 전후로 감싼 채로 로우터축(1)과 일체로 회전되는 2개의 자극편(10)(10')은 한쪽이 N극, 다른 폭이 S극으로 자화되며, 로우터(나)가 회전되면 로우터(b)의 외주연에 배설된 스테이터(다)의 3개의 스테이터코일(11)(11')(11)이 이 자력선을 끊기 때문에 코일(11)(11')(11)에 3상 교류전압이 유기되고, 유기된 기전력이 정류부(12)에 인가되어 3상 전파된 출력전류가 출력되므로 이 전류가 축전지(9)를 충전하고 차량의 전기부하를 구동시키는데 사용된다.
1개의 철심(2)과 1개의 로우터 코일(4)로 된 여자회로에서 동일 크기로 출력을 증가시키기 위해서는 입력 기자력을 증가시켜야 하나 자극편(10)(10')과 철심(2) 사이에 코일(4)을 감을 수 있는 공간은 제한될 수밖에 없으므로 적정한 전류로 발생 기자력을 최대로 높이는데는 한계가 있다.
2개의 철심(20)(20')과 그 위에 설치된 2개의 보빈(21)(21') 위에 별개로 권취된 2개의 로우터코일(22)(22')로 된 여자회로를 갖는 로우터(라)는 제4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로우터코일(22)에 의하여 발생된 자속은 플레밍의 오른손법칙에 의해서 철심(20)에서 자극편(23)으로 흐르는 자로(24)와 철심(20)에서 철심(20')으로 흐르는 자로(25)로 분리되고, 로우터코일(22')에 의하여 발생된 자속은 자극편(23')에서 철심(20')으로 흐르는 자로(26)와 자극편(23')에서 철심(20)으로 흐르는 자로(27)로 분리된다. 이때 자로(25)와 자로(26)를 따라 흐르는 자속의 차에 해당하는 자속만이 철심(20')으로 흐르고, 자극편(23)(23') 자속은 철심(20)으로 흘러서 철심(20)은 자기포화상태가 되므로 공극의 유효자속은 감소되어 여자회로의 성능은 개선되지 않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상기 2개의 철심(20)(20')과 2개의 로우터코일(22)(22')로 된 여자회로를 갖는 로우터(라)는 2개의 보빈(21)(21')을 갖추어야 하며 철심(20')을 자극편(23)(23')에 고정시키는 수단이 필요하고, 코일(22)을 슬립링(5)(5')에 연결시키기 위하여 인출부(28)(28')를 자극편(23') 또는 철심(20')을 관통해서 구성해야 하므로 작업공수가 증가하는 등의 단점이 발생한다.
본 고안은 상기의 단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그 목적은 1개의 철심과 1개의 로우터코일로 된 여자회로가 배설되는 구조를 그대로 채택하며, 2개 이상의 로우터코일이 병렬로 연결되도록 권취하여서 로우터 코일에서 발생되는 기자력을 증대시킨 1개의 철심에 권취된 병렬 코일을 갖는 교류발전기 로우터를 제공함에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본 고안을 상세히 설명한다.
본 고안은 제5도와 제6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로우터축(1)과 일체로 회전되도록 축(1)상에 철심(2)이 설치되고, 그 위에 보빈(3)이 배설되고, 이 보빈(3)상에 제3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정한 굵기를 갖는 2개 이상의 병렬로우터코일(30)(30')(31)(31')이 일 실시예에서는 제5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층구조를 이루며 동일방향으로 일정한 권선비로 권취되고, 다른 실시예에서는 제6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2개 이상의 코일이 동일층에 나란히 배열되어 일정한 권선비로 동일방향으로 동시에 권취되고, 로우터코일(30)(30')(31)(31')에 직류전류를 공급하기 위하여 슬립링(5)(5')에 병렬로 연결시켜서 발생되는 기자력을 증가시킴으로써 자극편(10)(10')이 강하게 N, S극으로 자화되어서 로우터(마)(마')가 회전되면서 로우터(마)(마') 외주연에 배설된 스테이터(다)의 스테이터코일(11)(11')(11)이 수가 증가된 자력선을 끊기 때문에 스테이터코일(11)(11')(11)에 유기되는 3상의 기전력은 증대되는 것이다.
이상과 같은 본 고안의 효과로는 첫째, 교류발전기(가)의 1개의 철심(2)과 1개의 로우터코일(4)로 된 여자 회로를 구비한 로우터(나)의 구조를 그대로 채택하면서도 입력기자력을 증대시켜 교류발전기(가)의 출력을 증가 시킨다. 둘째, 동일출력을 얻기 위하여 제4도에 도시된 로우터(라)의 구조를 채택할 경우보다 로우터코일의 외경이 감소되므로 부피도 줄어들고, 제작원가도 절감된다. 셋째, 로우터코일(30)(30')(31)(31')의 외경이 감소 되므로 자극편(10)(10')과 코일(30')(30')간의 간섭이 방지되는 효과가 있다.

Claims (1)

  1. (정정) 교류발전기의 출력 증대를 위해 로우터축(1)이 구비되는 철심(2)의 보빈(3)에 2개 이상의 로우터 코일이 함께 권선되는 것에 있어서, 상기 보빈에 감겨지는 로우터코일은 보빈과 동일방향으로 층을 이루도록 일정한 권선비로 동시에 권선되어지며 정류자와 병렬로 연결되는 구성으로 됨을 특징으로 하는 1개의 철심에 권취된 병렬코일을 갖는 교류발전기의 로우터.
KR2019930009412U 1993-06-01 1993-06-01 1개의 철심에 권취된 병렬 코일을 갖는 교류발전기 로우터 KR960009913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30009412U KR960009913Y1 (ko) 1993-06-01 1993-06-01 1개의 철심에 권취된 병렬 코일을 갖는 교류발전기 로우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30009412U KR960009913Y1 (ko) 1993-06-01 1993-06-01 1개의 철심에 권취된 병렬 코일을 갖는 교류발전기 로우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50002336U KR950002336U (ko) 1995-01-04
KR960009913Y1 true KR960009913Y1 (ko) 1996-11-18

Family

ID=1935626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30009412U KR960009913Y1 (ko) 1993-06-01 1993-06-01 1개의 철심에 권취된 병렬 코일을 갖는 교류발전기 로우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60009913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50002336U (ko) 1995-01-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959577A (en) Alternating current generator
US4517483A (en) Permanent magnet rotor with saturable flux bridges
KR101900099B1 (ko) 전력 공급 및 충전용 조합형 전기 장치의 교류 전기 모터
JP2768162B2 (ja) 誘導子型交流発電機
US2078805A (en) Permanent magnet dynamo-electric machine
Vido et al. Compared performances of homopolar and bipolar hybrid excitation synchronous machines
US4110642A (en) Noise reduction arrangement in a claw-type dynamo electric machine, particularly multi-phase automotive-type a-c generator
US5598091A (en) Three-phase brushless self-excited synchronous generator with no rotor exciting windings
US3366869A (en) Induction type generator control circuit
KR101817646B1 (ko) 영구자석과 전자석을 구비한 발전기
KR960009913Y1 (ko) 1개의 철심에 권취된 병렬 코일을 갖는 교류발전기 로우터
US2713128A (en) Dynamoelectric machine
JPS63310366A (ja) 同期機
US20030080643A1 (en) Brushless rotating electric machine
US3443201A (en) Self-regulating brushless permanent magnet ac generator
US2826730A (en) Storage battery charging plant, with generator powered by a component revolving at variable r. p. m. and in both directions
JPH0516867Y2 (ko)
CN110120732A (zh) 一种感应串联式无刷励磁电机
JPH10210722A (ja) 車両用交流発電機
JPH11215729A (ja) 蓄電池充電装置
JPH02159950A (ja) 発電機
JPH0613250A (ja) 電動変圧機
US1334832A (en) Dynamo-electric machine
RU2697812C2 (ru) Магнитоэлектрический генератор
JPH0528064B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41028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