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60009908B1 - 증감키를 이용한 전화번호 자동 리다이얼 방법 - Google Patents

증감키를 이용한 전화번호 자동 리다이얼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60009908B1
KR960009908B1 KR1019910025866A KR910025866A KR960009908B1 KR 960009908 B1 KR960009908 B1 KR 960009908B1 KR 1019910025866 A KR1019910025866 A KR 1019910025866A KR 910025866 A KR910025866 A KR 910025866A KR 960009908 B1 KR960009908 B1 KR 96000990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lephone number
key
busy
telephone
addres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1002586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30015510A (ko
Inventor
김진규
Original Assignee
배순훈
대우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배순훈, 대우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배순훈
Priority to KR1019910025866A priority Critical patent/KR960009908B1/ko
Publication of KR93001551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3001551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6000990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009908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26Devices for calling a subscriber
    • H04M1/27Devices whereby a plurality of signals may be stored simultaneousl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Abstract

요약없슴

Description

증감키를 이용한 전화번호 자동 리다이얼 방법
제1도는 본 발명에 따른 증감키를 이용한 전화번호 자동 리다이얼 방법을 적용하는 데 적합한 전화기의 블럭도.
제2도는 (가),(나)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라 증감키를 이용하여 일련번호를 갖는 전화번호를 순차적(증감)으로 자동 리다이얼하는 과정을 도시한 흐름도.
제3도의 (가),(나)는 본 발명에 따른 증감키를 이용한 자동 리다이얼 방법에 사용되는 램의 맵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벨 회로부2 : 송수화부
3 : 톤 디코더4 : 마이콤
5 : 키메트릭스6 : 증가키
7 : 감소키8 : 송수화기
본 발명은 전화기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다수개의 일련 전화번호를 갖는 특정지역(예를들면, 회사 등)에 전화를 걸 때, 각 전화의 통화상태에 대응하여 연속하는 일련 전화번호를 순차적으로 자동 리다이얼하는 데 적합한 자동 리다이얼 방법에 관한 것이다.
통상적으로, 회사 등의 집단에서는 다수의 전화번호(또는 전화기)를 구비하며 여기에 구비되는 전화번호는 흔히 연속하는 일련번호(즉, 끝자리 번호만 다른 전화번호)로써 준비되는 경우가 많다. 따라서, 연속하는 전화번호(즉, 연속하는 전화번호를 갖는 다수의 전화)를 가진 전화 상대자에게 전화를 걸고자 하는 경우, 다수개의 전화번호중 어느 하나의 전화번호(통상, 번호가 낮은 전화번호가 됨)를 다이얼링하게 된다. 이때, 현재 다이얼링한 전화번호가 통화중인 경우, 사용자는 다수개의 전화번호중 현재 다이얼링한 전화번호를 제외한 다른 하나의 전화번호를 다이얼링(즉, 전화번호 버튼 재조작)하거나 현재 통화중인 해당 전화번호의 통화가 끝날대까지 기다린 후 리다이얼링(redialling)하게 될 것이다.
이 경우에 있어서, 전자는 끝에 한자리만 바꾸면 되는 전화번호를 일일이 다시 눌러야 된다는 불편한 점이 있으며, 후자는 처음 지정한 번호의 통화가 끝나야만 통화할 수 있기 때문에 대기 시간이 불확실하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이와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연속되는 전화번호를 가진 전화 상대자에게 전화를 걸 때 선택된 해당 전화번호가 통화중인 경우 키매트릭스에 있는 증감키를 이용하는 일련하는 전화번호중의 다른 전화번호를 자동으로 리다이얼링할 수 있는 증감키를 이용한 전화번호 자동 리다이얼 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입출력회로, 훅 스위치, 송수화부, 톤리코더, 마이콤 및 복수의 숫자키와 기능키를 구비한 키메트릭스를 포함하는 전화기의 자동 리다이얼 방법에 있어서, 상기 마이콤이 상기 복수의 숫자키를 통해 다이얼을 위해 눌려진 키에 따른 전화번호를 저장하는 제1과정 ; 상기 매트릭스에 구비되며, 키스캔을 통해 다른 번호로의 리다이얼을 위한 증감키가 눌려졌는지의 여부를 판단하는 제2과정 ; 상기 증감키의 눌림 상태신호에 의거하여 상기 저장된 전화번호를 1증감하는 제3과정 ; 자동 리다이얼을 위해 상기 증감된 전화번호를 송출하는 제4과정 ; 및 상기 키스캔을 통한 상기 증감키 눌림 상태신호의 입력에 상응하여 상기 제2과정 내지 제4과정을 소정횟수 만큼 순차적으로 반복수행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1과정은, 상기 훅 스위치의 온/오프 상태를 판단하는 제1단계 ; 다이얼을 위해 입력하는 전화번호에 대응하는 번호키를 순서대로 저장하는 제2단계 ; 통화를 위해 다이얼링된 상기 전화번호의 라인상태가 신호중 혹은 통화중인지의 여부를 판단하는 제3단계 ; 상기 제3단계에서의 판단결과, 상기 다이얼링된 전화번호가 신호중 혹은 통화중이면, 순서대로 상기 입력된 전화번호의 끝자리가 제1지정된 번지에 오도록 상기 입력된 전화번호 데이타를 순차 이동시키면서 상기 입력된 전화번호내의 대응 번호가 없는 번지는 번호외의 특정 기호로써 채우는 제4단계 ; 및 상기 제3단계에서의 판단결과, 상기 다이얼링된 전화번호가 신호중 혹은 통화중이 아니면, 상기 훅 스위치의 온/오프 상태를 판단하여 상기 훅 스위치가 열려 있으면 원래 상태로 데이타를 복원하고 상기 훅 스위치가 닫혀 있으면 상기 제2단계로 되돌아가는 제5단계를 포함하는 증감키를 이용한 전화번호 자동 리다이얼 방법을 제공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제1도는 본 발명에 따른 증감키를 이용한 전화번호 자동 리다이얼 방법을 적용하는 데 적합한 전화기의 블록도로서, 벨 회로부(1)를 포함하는 입출력 회로(10), 훅 스위치(SW1), 송수화부(2), 톤 리코더(3), 마이콤(4), 송수화기(8) 및 키메트릭스(5)로 구성된다. 이때, 상기 키메트릭스(5)는, 본 발명에 따른 리다이얼 구현을 위해, 종래 전화기에 사용되는 각종 기능키 외에 증가키(6)와 감소키(7)를 더 부가하여 포함한다.
제2도 (가) 및 (나)는 본 발명에 따라 증감키를 이용하여 자동리다이얼 기능을 갖는 전화기의 자동 리다이얼 방법을 실시하기 위한 흐름도로서, 동도면을 참조하면 알 수 있듯이 그 개략적인 과정은 전화를 걸고자 하는 사용자에 의해 눌려진 키에 상응하여 발생하는 전화번호를 저장하는 과정(P1)과, 사용자에 의해 키메트릭스(5)상의 증감피(6,7)가 눌려졌는지를 판단하는 과정(P2)과, 눌려진 증가키(6) 또는 감소키(7)가 조작될 때 그 조작신호에 상응하여 저장된 전화번호를 1씩 증감시키는 과정(P3)과, 전화번호의 리다이얼을 위해 상기 증감된 전화번호를 송출하는 과정(P4)으로 이루어진다.
다음에, 상술한 바와같은 기술수단을 갖는 본 발명에 따라 증감키를 이용하는 전화번호 리다이얼 방법은 사용자가 증감키를 누름에 따라 바로 이전에 이미 눌려졌던 소정의 전화번호의 끝자리가 자동으로 증감되어진다.
먼저, 제1도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라인 상태 입력에는 통화중, 신호중 또는 경고음 등이 있다.
제2도 (가) 및 (나)를 참조하면, 제2도 (가)는 증감키를 이용한 자동 리다이얼을 수행하는 과정중 전화번호를 저장하는 과정(P1)이 구체적으로 도시되어 있다.
우선 훅 스위치, 즉 스위치 1이 닫혔는가를 판단한다(S1). 사용자가 송수화기를 든 상태에서 번호키를 입력되면, 입력된 번호는 그 입력 순서대로 제3도 (가)에 도시된 바와같이 마이콤(4)내에 구성되는 램(RAM)의 19번지에서 부터 순차적으로 저장된다(S2). 예를들어, 전화번호가 02-783-3605라면 19번지에 0가 기억되고 11번지에 5가 기억된다. 이때, 전화번호가 다 눌려저야 라인 상태가 통화중 혹은 신호중임을 알 수 있다.
그런다음, 소정의 전화번호가 다 눌려지면 단계(S3)에서는 눌려진 전화번호가 신호중 혹은 통화중인지의 여부를 판단한다. 이 단계(S3)에서의 판단결과, 눌려진 전화번호가 신호중 혹은 통화중일 경우 제3도의 (나)에 도시된 바와같이 데이타를 모두 이동(시프트)시킨다. 그리고, 사용자에 의해 눌려진 전화번호가 통화중일때 상기 증감키(6,7)를 이용하여 눌려진 전화번호의 끝자리를 자동으로 증감하여 송출하는 과정이 제3(나)에 도시되어 있다.
한편, 상기 단계(S3)에서의 판단결과, 눌려진 전화번호가 신호중 혹은 통화중이 아니면 SW1의 온 또는 오프 상태를 판단한다. 여기에서의 판단결과, SW1이 열려 있으면, (예를들면, 사용자가 다이얼링 도중 송수화기를 내렸음) 원래 상태로 데이타를 복원하고, 반대로 SW1이 닫혀 있으면 처리는 번호키를 순서대로 저장하는 단계(S2)로 되돌아간다(S5).
다른한편, 마이콤(4)에서는 증감키(6,7)가 눌려졌는지를 판단하기 위해 키 스캔(key scan)을 계속하다가(S6), 증감키(6,7)가 눌려진 것으로 판단되면(S8), 즉시 0번지에 기억된 데이타를 가져와서(S10), 레지스타에 저장하고 그것을 1 증감시킨 다음(S11), 다시 상기 0번지에 기억시킨다(S12). 이와같이 기억시키는 이유는 이미 증감한 번호가 또한 통화중인 경우에 다른 전화번호의 리다이얼을 위해 다시 증감키를 사용하기 위함이다.
상기 증감된 전호번호를 송출하는 과정(P4)에서는 어드레스 입력을 기설정(예를들면 입력 19=번지)함으로써 전화번호를 저장하는 과정(P1)에서 제3도(나)와 같이 저장되어 있던 전화번호를 차례대로 옮겨와 상기 저장된 데이타가 공백 약속기호(예를들면*)인지를 비교하며(S17), 비교결과 동일한 것으로 판단되면 어드레스 포인터를 감소시키고(S19), 동일하지 않은 것으로 판단, 즉 번호이면 그 번호에 해당하는 톤을 발생시킴으로써 리다이얼을 행한다(S18). 이와같은 과정(S17-S19)은 어드레스가 0이 될 때까지 계속 반복된다.
이상 설명한 바와같이 본 발명은, 키메트릭스에 증감키를 더 구성하고, 이러한 증감키를 이용(증감키의 눌려짐)하여 자동적으로 전화번호가 증감되게 함으로써, 연속번호를 가진 대상자가 통화중이라 하더라도, 증감된 전화번호가 통화를 자동적으로 계속시도(연속하는 다른 번호로의 재다이얼)할 수 있어 전화기 사용자의 이용편리성을 증진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2)

  1. 입출력회로(10), 훅 스위치(SW1), 송수화부(2), 톤리코더(3), 마이콤(4) 및 복수의 숫자키와 기능키를 구비한 키메트릭스(5)를 포함하는 전화기의 자동리다이얼 방법에 있어서, 상기 마이콤(4)이 상기 복수의 숫자키를 통해 다이얼을 위해 눌려진 키에 따른 전화번호를 저장하는 과정(P1) ; 상기 키메트릭스(5)에 구비되며, 키스캔을 통해 다른 번호로의 리다이얼을 위한 증감키(6,7)가 눌려졌는지의 여부를 판단하는 과정(P2) ; 상기 증감키의 눌림 상태신호에 의거하여 상기 저장된 전화번호를 1 증감하는 과정(P3) ; 자동 리다이얼을 위해 상기 증감된 전화번호를 송출하는 과정(P4) ; 및 상기 키스캔을 통한 상기 증감키 눌림 상태신호의 입력에 상응하여 상기 과정(P2) 내지 과정(P4)을 소정횟수 만큼 순차적으로 반복 수행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전화번호 저장 과정(P1)은, 상기 훅 스위치(SW1)의 온/오프 상태를 판단하는 단계(S1) ; 다이얼을 위해 입력되는 전화번호에 대응하는 번호키를 순서대로 저장하는 단계(S2) ; 통화를 위해 다이얼링된 상기 전화번호의 라인상태가 신호중 혹은 통화중인지의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S3) ; 상기 단계(S3)에서의 판단결과, 상기 다이얼링된 전화번호가 신호중 혹은 통화중이면, 순서대로 상기 입력된 전화번호의 끝자리가 제1지정된 번지에 오도록 상기 입력된 전화번호 데이타를 순차 이동시키면서 상기 입력된 전화번호내의 대응 번호가 없는 번지는 번호외의 특정 기호로써 채우는 단계(S4) ; 및 상기 단계(S3)에서의 판단결과, 상기 다이얼링된 전화번호가 신호중 혹은 통화중이 아니면, 상기 훅 스위치(SW1)의 온/오프 상태를 판단하여 상기 훅 스위치(SW1)가 열려 있으면 원래 상태로 데이타를 복원하고 상기 훅 스위치(SW1)가 닫혀 있으면 번호키 저장 단계(S2)로 되돌아가는 단계(S5)를 포함하는 증감키를 이용한 전화번호 자동 리다이얼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증감된 전화 번호 송출과정(4)은, 제2지정된 번지의 데이타가 상기 특정 기호인지를 판단하는 단계(S17) ; 상기 제2지정된 번지의 데이타가 상기 특정 기호가 아니면 저장된 데이타에 해당하는 톤을 송출하는 단계(S18) ; 상기 제2지정된 번지의 데이타가 상기 특정 기호일 때 또는 상기 톤을 송출하는 단계(S18) 다음에 수행될 때 번지수를 하나 줄이는 번지 포인터 감소 단계(S19) ; 및 상기 번지 포인터 감소 단계(S19)를 통해 감소된 상기 번지가 끝인지 아닌지를 판단하는 단계(2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증감키를 이용한 전화번호 자동 리다이얼 방법.
KR1019910025866A 1991-12-31 1991-12-31 증감키를 이용한 전화번호 자동 리다이얼 방법 KR96000990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10025866A KR960009908B1 (ko) 1991-12-31 1991-12-31 증감키를 이용한 전화번호 자동 리다이얼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10025866A KR960009908B1 (ko) 1991-12-31 1991-12-31 증감키를 이용한 전화번호 자동 리다이얼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30015510A KR930015510A (ko) 1993-07-24
KR960009908B1 true KR960009908B1 (ko) 1996-07-24

Family

ID=1932734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10025866A KR960009908B1 (ko) 1991-12-31 1991-12-31 증감키를 이용한 전화번호 자동 리다이얼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60009908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30015510A (ko) 1993-07-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581593A (en) Combination telephone and alphanumeric entry device
US5491745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a dual mode keypad permitting one-touch telephone number dialing
KR970002177B1 (ko) 무선 전화 동작 방법
GB2308522A (en) Redialling method
KR960009908B1 (ko) 증감키를 이용한 전화번호 자동 리다이얼 방법
US5805694A (en) Redialing method by editing telephone number in telephone terminal equipment
JPS6339178B2 (ko)
US4996708A (en) Key telephone system adapted to respond to information stored in a portable outpulser
JPH05244243A (ja) 電話機
KR100229890B1 (ko) 전화기에서 다수의 국선 전화번호들을 가지는 단말기를 호출하는 방법
KR100269766B1 (ko) 전화기에서의 단축 다이얼 방법
KR0146910B1 (ko) 키폰 시스템의 내선 번호 범위 변경 방법
KR100255616B1 (ko) 전화기에서연속전화번를다이얼링하는방법
KR100222787B1 (ko) 전화기에서 전화번호 선택 등록방법
JP3118334B2 (ja) 電話装置
KR0183615B1 (ko) 번호 증감키를 이용한 일련의 전화번호 재다이얼 방법
JP3067335B2 (ja) 電子機器
JPS6292644A (ja) 通信装置
KR100247037B1 (ko) 전화기의 단계적 리다이얼링 장치 및 방법
KR0173561B1 (ko) 전화단말장치에서 단축 다이얼링 방법
KR20010094478A (ko) 전화기의 다이얼링 방법
KR19980078301A (ko) 통신단말장치의 단축 다이얼방법
JP2749890B2 (ja) ボタン電話装置
JPH04109741A (ja) ボタン電話装置
KR960011825B1 (ko) 키폰의 재다이얼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10629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