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60009000Y1 - 집진장치가 구비된 카 매트(Car Mat With dust filter) - Google Patents

집진장치가 구비된 카 매트(Car Mat With dust filter)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60009000Y1
KR960009000Y1 KR2019940021344U KR19940021344U KR960009000Y1 KR 960009000 Y1 KR960009000 Y1 KR 960009000Y1 KR 2019940021344 U KR2019940021344 U KR 2019940021344U KR 19940021344 U KR19940021344 U KR 19940021344U KR 960009000 Y1 KR960009000 Y1 KR 96000900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t
air
dust
dust collecting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4002134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60007584U (ko
Inventor
김정오
Original Assignee
김정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정오 filed Critical 김정오
Priority to KR2019940021344U priority Critical patent/KR960009000Y1/ko
Publication of KR960007584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007584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6000900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009000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3/00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other passenger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3/04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other passenger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of floor mats or carpe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99/00Subject matter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ir-Conditioning For Vehicle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집진장치가 구비된 카 매트(Car Mat with dust filter)
제1도는 본 고안에 따른 집진장치가 구비된 카 매트의 분해 사시도.
제2도는 본 고안에 따른 집진상태가 구비된 카 매트의 결합 단면도.
제3도는 제2도의 A-A선 단면도.
제4도는 본 고안에 따른 집진장치가 구비된 카 매트의 장착상태를 나타낸 사용상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매트부 2 : 집진장치부
3 : 공기유입구멍 4 : 오목홈
5 : 상부판 6 : 격판
7 : 공간부 8 : 공기순환통로
9 : 바닥판 10 : 결합턱
11 : 내벽 12 : 선단부
13 : 보조매트 14 : 후단부
15 : 절개부 16 : 오목홈
17 : 경사면 18 : 몸체
19 : 프레임 20 : 집진필터
21 : 팬(fan) 22 : DC모타
23 : 프레임 24 : 도아
25 : 경첩 26 : 철편
27 : 자석 28 : 손잡이
29 : 수직벽 30 : 공기유입실
31 : 공기순환통로 32 : 공기유출구멍
33 : 전면 34 : 매트결합구멍
35 : 반원돌기 36 : 경사면
37 : 지지돌기 38 : 결합부재
39 : 걸림홈 40 : 전선
41 : 자동차시이트 42 : 자동차바닥프레임
43 : 절개부
본 고안은 집진장치가 구비된 카 매트(Car Mat)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자동차 매트 바닥면이나 자동차 실내의 공기중에 포함된 각종 먼지 및 오염물질등을 효과적으로 집진시킬 수 있도록 한 집진장치가 구비된 카 매트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용 매트는 대개 고무재로 된 것과 섬유재로 된 것으로 대별되는 바, 그러나 이 자동차용 매트들은 바닥면이 더렵혀 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개념에만 국한된 것이어서 이에 따라 여러 가지 문제점이 발생되었는데 이를 좀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고무재로 된 매트에 있어서는, 그 재질적인 특성상 운전자나 탑승자의 신발에 뭍은 흙등이 매트 바닥면에 떨어지면 이 매트자체가 금방오염이 되어 수시로 상기 매트를 세척하거나 털어주는 작업을 해야하는 번거로움이 있었다.
따라서, 상기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한 것으로 섬유를 직조한 형태의 매트가 근래에 들어서 널리 사용되어지고 있는 추세이나 이 또한, 먼지나 흙등이 직조되어진 실과 실사이의 공간부내에 흡착되도록 된 것이기 때문에 각종 세균이 이 매트내에서 발생될 우려가 있었으며, 특히 장마철이나 비가올 때에는 상대적으로 매트 바닥면의 습도가 높아지므로 매트내에서 불쾌한 냄새가 발생하는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차량내의 공기정화나 냄새 제거를 위하여 각종 방향제 및 별도의 공기 정화기를 차량내에 비치하고 있는 실정이다. 그러나 이러한 방법은 각종 악취발생 및 차량내의 공기가 오염되는 근본적인 원인을 해소하기 위한 것이 아닌 나타난 결과에 대한 하나의 방편인 점에 그 문제점이 있어 보다 근본적인 해결 수단이 요구되었다.
이에 본 고안은 상기의 제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한 것으로, 운전자나 탑승자의 신발등에서 떨어진 흙이나 먼지 및 자동차 실내의 공기중에 포함된 먼지등을 집진하여, 자동차 실내가 청결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한 집진장치가 구비된 카 매트를 제공하는데 본 고안의 목적이 있는 것이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시키기 위한 본 고안에 따른 집진장치가 구비된 카매트는, 운전자들의 신발등에 뭍은 먼지, 흙등을 포집하는 한편, 자동차 실내의 공기가 흡입될 수 있도록 된 매트부와 상기 유입되어진 흙, 먼지, 오염된 공기등을 집진하도록 된 집진장치부가 서로 삽탈,자재하도록 구성시키되, 이 집진장치부에 구비된 집진필터를 통과하여 정화되어진 공기는 상기 매트부내로 다시 유입될 수 있도록 하여 집진효율을 높일수 있도록 한 것에 그 특징이 있다.
이하, 본 고안에 따른 집진장치가 카 매트의 구조를 상세히 설명한다.
제1도는 본 고안에 따른 집진장치의 전체 분해 상태를 도시한 것으로, 본 고안은 크게 매트부(1)와 집진장치부(2)로 구분되어 있다.
한편, 매트부(1)의 구성은 상면에 공기유입구멍(3)이 다수 천공되어져 있고, 일측 상단에 오목홈(4)이 형성되어진 상부판(5)과, 내부에 소정의 간격으로 형성된 격판(6)을 중심으로 그 안쪽은 공간부(7)를 이루며, 바깥쪽 양단 테두리부쪽으로는 공기순환통로(8)가 구비되어진 바닥판(9)로 구성되어 진다.
그리고 상부판(5)의 아래쪽 테두리에는 결합턱(10)이 형성되어져 있어, 이 상부판(5)의 결합턱(10)이 상기 바닥판(9)의 내벽(11)과 서로 밀착되면서 결합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한편, 바닥판(9)의 선단부(12)에는 연질로 된 보조매트(13)가 부착되어지며, 바닥판(9)의 후단부(14) 양모서리부에는 소정의 크기로 절개부(15)가 형성되어지고, 오목홈(16)이 구비되어져 있으며, 공간부(7)의 일측으로는 소정의 각도를 갖는 경사면(17)이 구비되어 있다.
한편, 집진장치부(2)의 구성은 소정의 두께를 갖는 몸체(18)내에 사각프레임(19)으로 둘러싸인 집진필터(20)가 소정위치에 설치되어 있으며, 이 집진필터(20)의 뒤쪽으로는 DC모타(22)가 격자형으로 이루어진 프레임(23)상에 결합되어져 있으며, 이 DC모타(22)는 팬(21)이 장착되어져 있다.
그리고 상기 집진필터(20)의 전방으로는 이 집진필터(20)를 교체할 수 있도록 도아(24)가 몸체(18)에 결합되어져 있으며, 이 도아(24)와 몸체(18)와의 접촉력을 증대시키기 위하여 도아(24)에는 철편(26)이 구비되고, 이와 대응하는 몸체(18)의 도아접촉부에는 자석(27)이 결합되어져 있으며 도아(24)의 상면에는 손잡이(28)가 형성되어진 구조이다.
한편, 이 집진장치부(2)는 그 내부가 수직벽(29)에 의해 상기 집진필터(20), 팬(21)등이 수용되어지는 공간은 공기유입실(30)과 공기순환통로(31)는 상기 수직벽(29)에 형성된 공기유출구멍(32)에 의해 공기가 서로 통할수 있도록 되어 있고, 상기 수직벽(29)의 선단 모서리는 바닥면쪽으로 저랙부(32)가 형성되며, 그 후단은 소정의 각도만큼 안쪽으로 꺽여진 경사면(36)이 형성되어져 있다.
또한, 몸체(8)의 전면(33)에는 상부판(5)과 바닥판(9)으로 구성된 매트부(1)가 삽입될수 있도록 된 매트결합구멍(34)이 형성되어여 있는데, 이 매트 결합구멍(34)의 입구 상.하측벽에는 상기 매트부(1) 오목홈(4)(16)에 대응하도록 된 반원돌기(35)가 구비되어져 있다.
한편, 집진장치부(2)의 몸체(8)내에 형성된 양수직벽(29)과 매트부(1)의 바닥판(9)에 구비된 양 격판(96)은 같은 폭으로 형성되어져, 상기 매트부(1)가 집진장치부(2)의 매트결합구멍(34)내에 삽입되면, 상기 매트부(1)의 바닥판(9)과 집진장치부(2)의 격판(6) 양단 모서리가 서로 밀착될수 있도록 된 구조로 되어 있다.
제2도는 본 고안에 따른 집진장치가 구비된 카 매트의 결합단면도를 나타낸 것으로 매트부(1)의 상부판(5)에 구비된 다수의 공기유입구멍(3)이 소정방향(공기가 유입되어지는 방향)으로 경사져 있으며, 그 아래쪽으로는 다수개의 지지돌기(37)가 바닥판(9)의 공간부(7) 상면에 접촉되어지는 구조로 되어 있다.
한편, 집진필터(20)를 감싸는 프레임(23)의 상,하면에는 일정한 탄성을 갖는 결합부재(38)가 구비되어져, 이와 대응하는 위치에 형성되어진 몸체(18)의 걸림홈(39)내에 탄성 결합되어져 있다.
또한, DC모타(22)의 후단에는 전선(40)이 연결되어져 자동차의 전면 계기판 부근에 구비된 시가 라이터(미도시)와 연결할수 있도록 되어 있다.
제3도는 제2도의 A-A선 단면도로써 본 고안에 유입되어진 공기의 순환상태를 도시한 것으로 DC모타(22)가 회전하여 팬(21)이 작동하면 그 회전력에 의해 외부의 공기 및 먼지등이 매트부(1)내에 유입되어지고 집진필터(20)를 통과한 정화된 공기는 집진장치부(2)의 공기순환통로(31)를 거쳐 매트부(1)에 구비된 또다른 공기순환통로(8)로 유입되면서 다시 공간부(7)내로 순환되어지도록 되어 있다.
제4도는 바람직한 사용상태의 일실시예를 나타낸 것으로, 자동차 시이트(41)의 저면에 본 고안의 집진장치부(2)가 설치될수 있도록 하고, 매트부(1)의 선단에 구비된 보조매트(13)는 연질재로 만들어져 자동차 바닥프레임(42)의 만곡면에 대응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어진 본 고안에 따른 집진장치가 구비된 카 매트의 작용 및 효과는 다음과 같다.
본 고안에 따른 집진장치가 구비된 카 매트는 우선 운전자가 자동차의 실내공기를 정화시킬 필요성이 있다고 판단하면, 집진장치부(2)에서 뻗어나온 전선(40)을 자동차의 운전석에 통상적으로 구비되어진 시가 라이터(미도시)에 접속시켜 DC전원을 인가시킨다.
이와 같이 전원이 연결되어지면 이 전선(40)과 연결되어진 DC모타(22)가 회전하게 되고, 동시에 팬(21)이 회전하여 전방에 있는 공기를 빨아들이게 된다.
이렇게 팬(21)의 작동에 의해 전방의 공기가 유입된다는 것은 팬(21)이 위치한 집진장치부(2)의 공기유입실(30)과 매트부(1)의 바닥판(9)에 구비된 공간부(7)가 서로 연결되어져 있고 이 공간부(7)의 상부는 다수개의 공기 유입구멍(3)이 뚫려있기 때문에 결국 차량내의 공기가 팬(21)이 회전하게 되면 유입되어지는 것이다.
즉, 팬(21)이 작동하면 차량내의 공기가 상부판(5)의 공기유입구멍(3)에 유입되고 이 유입된 공기는 바닥판(9)의 공간부(7)를 통하여, 집진장치부(2)의 공기유입실(30)내에 구비된 집진필터(20)를 통과하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이 공기내에 포함되어진 각종 먼지 및 오염물질이 이 집진필터(20)에서 정화되거나, 집진되어지는 것이다. 특히 상기 매트부(1)의 상부판(5)은 운전자나 탑승자의 신발부분에 접촉되어지는 부분으로 이 신발에 뭍은 흙이나 먼지등이 팬(21)의 흡입력에 의해 신속하게 상부판(5)의 공기유입구멍(3)으로 유입되어져 매트부(1)의 상부판(5)은 항상 청결한 상태를 유지할 수 있으므로 매트 위에 떨어진 먼지등에 의해 차량내의 공기가 쉽게 오염되는 등의 문제점이 해소되는 것이다.
한편, 예시도면 제1도 및 제2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집진필터(20)을 통과한 정화된 공기는 팬(21)을 신속히 통과하여, 이 통과된 공기가 양 수직벽(29)의 일측에 형성된 공기유출구멍(32)을 통과하게 된다.
이렇게 통과되어진 공기는 예시도면 제3도와 같이 공기순환통로(31)을 거쳐 매트부(1)의 바닥판(9)에 구비된 또 다른 공기순환통로(8)를 경유, 최종적으로 다시 매트부(1)의 중앙에 구비된 공간부(7)에 유입되어지는 순환작용을 반복하는 것이다.
따라서, 유입된 바깥공기의 양이 다시 그 자체내에서 순환되어져 집진효율이 한층 배가되어지며, 또한, 공간부(7)내로 풍속이 빠른 공기가 재 유입되어질 때, 상부판(5)의 상부 압력을 떨어뜨려, 자동차 실내공기가 효과적으로 상부판(5)의 공기유입구멍(3)으로 유입될 수가 있다.
그리고, 이 공기유입구멍(3)은 공기가 유입되어지는 방향으로 뚫려져 있어, 공기의 흡입효율을 더욱 배가 될수 있으며, 또한, 공간부(7)의 후단부(14)쪽으로는 소정각도만큼 경사면(17)을 갖도록 구성하여 매트부(1)내로 유입되어진 공기가 집진장치부(2)의 집진필터(20) 중심위치로 빨려들어 갈수 있게 구성되어져 있다.
한편, 일정한 기간이 경과하여 집진필터(20)를 교체할 경우에는 집진장치부(2)의 몸체(18)에 구비된 도아(24)를 열고 그 내부에 장착된 집진필터(20)를 교체하면 되는데, 본 고안은 집진필터(20)의 상,하단에 결합부재(38)가 각각 결합되어 있고, 이 결합부재(38)들은 각각 집진자이부(2)의 몸체(18) 상,하 내측벽에 형성된 걸림홈(39)내에 탄성 결합되어져 있어 상기 결합부재(38)의 선단을 누르면, 집진필터(20)가 몸체(18)의 걸림홈(39)내에서 분리되어지는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은 집진필터(20)의 교체 및 장착이 매우 용이한 장점이 있다.
이 밖에도 본 고안은 필요에 의해 매트부(1)를 청소하고져 할 경우에는 매트부(1)를 집진장치부(2)의 매트결합구멍(34)에서 간편하게 분리시킬수가 있으며, 또한, 매트부(1)의 상부판(5)과 바닥판(9)이 분리가능하므로 그 내부도 간편하게 청소할 수가 있도록 구성되어져 있다.
한편, 제4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집진장치가 구비된 카 매트는 자동차 시이트(41)의 밑바닥면에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집진장치부(2)를 작동시키기 위한 구동력은 DC 12V로 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또한, 보조매트(13)는 연질의 고무재 및 합성수지로 제작하여 자동차 바닥프레임(42)의 만곡면 형상에 대응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좋다.
상기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집진장치가 구비된 카 매트는 자동차 내의 오염된 공기 및 매트위에 떨어진 흙먼지를 신속하게 집진시켜 항상 청결한 자동차 실내를 유지시켜 줄수가 있으며, 본 고안 그 자체내에서 공기가 계속 순환되어지면서 집진작업이 이루어지므로 집진효율을 배가시킬수 있는 매우 유용한 고안인 것이다.

Claims (3)

  1. 자동차 실내내의 흙먼지 및 오염된 공기가 흡입될 수 있도록 된 매트부(1)와, 이 매트부(1)내에 흡입되어진 흙먼지 및 오염된 공기를 집진할 수 있도록 된 집진장치부(2)가 서로 착탈가능하게 결합되는 한편, 이 집진장치부(2)를 통과한 정화된 공기는 매트부(1)내로 다시 순환되어지면서 자동차 실내 공기가 정화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집진장치가 구비된 카 매트.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매트부(1)는 상부면에 다수개의 공기유입구멍(3)이 형성되고, 그 배면에는 다수의 지지돌기(37)가 돌출형성되어 지며, 그 테두리에는 결합턱(10)이 형성되어진 상부판(5)과, 선단부(12)에는 보조매트(13)가 결착되고, 내부에 형성되어진 격판(6)을 기준으로 공간부(7)와 공기순환통로(8)로 나뉘어진 바닥판(9)으로 구성되어지되, 상기 상부판(5)에 구비된 결합턱(10)이 바닥판(9)의 내벽(11)에 밀착되면서 상호 결합될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집진장치가 구비된 카 매트.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집진장치부(2)는 몸체(18)의 내부 양단에 공기유출구멍(32)이 구비된 수직벽(29)을 형성하여, 이 수직벽(29)을 기준으로 그 중앙은, 공기유입실(30), 바깥쪽으로는 공기순환통로(31)로 구분되어져, 상기 공기유입실(30)에는 집진필터(20), 팬(21)이 구비되고, 상기 집진필터(20)의 전방 몸체(18)에는 도아(24)가 설치되어지는 한편, 그 아래에는 매트 결합구멍(34)이 형성되어지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집진장치가 구비된 카 매트.
KR2019940021344U 1994-08-23 1994-08-23 집진장치가 구비된 카 매트(Car Mat With dust filter) KR96000900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40021344U KR960009000Y1 (ko) 1994-08-23 1994-08-23 집진장치가 구비된 카 매트(Car Mat With dust filte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40021344U KR960009000Y1 (ko) 1994-08-23 1994-08-23 집진장치가 구비된 카 매트(Car Mat With dust filter)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07584U KR960007584U (ko) 1996-03-13
KR960009000Y1 true KR960009000Y1 (ko) 1996-10-14

Family

ID=1939134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40021344U KR960009000Y1 (ko) 1994-08-23 1994-08-23 집진장치가 구비된 카 매트(Car Mat With dust filter)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60009000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07584U (ko) 1996-03-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951319B2 (en) Air cleaner and controlling method thereof
US7632340B2 (en) Air purifier for removing particles or contaminants from air
US20070000221A1 (en) Air purifier
KR20070002513A (ko) 공기청정기
US11965674B2 (en) Filter device and air cleaner having the same
JP5225601B2 (ja) 空気調和機
KR100902921B1 (ko) 공기 청정기 및 그 운전 제어 방법
JPH01168315A (ja) 空気清浄器
KR960009000Y1 (ko) 집진장치가 구비된 카 매트(Car Mat With dust filter)
KR100544701B1 (ko) 공기청정기
KR100492321B1 (ko) 공기청정기
JP3263295B2 (ja) 空気清浄機
KR100820587B1 (ko) 공기청정기
KR200320422Y1 (ko) 공기조화기의 실내기용 필터와 흡입그릴의 취부구조
KR101988945B1 (ko) 제습형 공기 청정기
KR102154920B1 (ko) 자동차 에어컨 필터를 사용하는 공기 청정 장치
KR100564489B1 (ko) 공기청정기의 전면판넬 구조
KR100575317B1 (ko) 공기청정기의 전면프레임 구조
KR200295754Y1 (ko) 자동차용공기청정기의필터카트리지
JP3363575B2 (ja) 空気清浄機
KR100564492B1 (ko) 공기청정기의 필터조립체 설치구조
KR200396849Y1 (ko) 천연 숯드럼 음이온 공기청정기
JP2000055470A (ja) 空気清浄機付温風暖房装置の本体構成
JP3048242U (ja) 空気洗浄装置付植木鉢
KR200298289Y1 (ko) 자동차용공기필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ORF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