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60008833Y1 - 충전제어회로 - Google Patents

충전제어회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60008833Y1
KR960008833Y1 KR2019900017079U KR900017079U KR960008833Y1 KR 960008833 Y1 KR960008833 Y1 KR 960008833Y1 KR 2019900017079 U KR2019900017079 U KR 2019900017079U KR 900017079 U KR900017079 U KR 900017079U KR 960008833 Y1 KR960008833 Y1 KR 96000883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harging
voltage
unit
relay
relay switc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0001707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20010521U (ko
Inventor
윤희용
Original Assignee
금성일렉트론 주식회사
문정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금성일렉트론 주식회사, 문정환 filed Critical 금성일렉트론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19900017079U priority Critical patent/KR960008833Y1/ko
Publication of KR920010521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20010521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6000883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008833Y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0029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with safety or protection devices or circuits
    • H02J7/0031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with safety or protection devices or circuits using battery or load disconnect circuit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0029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with safety or protection devices or circuits
    • H02J7/00302Overcharge protection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0047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with monitoring or indicating devices or circuits
    • H02J7/0048Detection of remaining charge capacity or state of charge [SOC]
    • H02J7/0049Detection of fully charged condi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Charge And Discharge Circuits For Batteries Or The Like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충전제어회로
첨부한 도면은 본 고안의 충전제어회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정전압부 2 : 충전부
ZD1 : 제너다이오드 D1 : 다이오드
Q1 : 트랜지스터 RY1 : 릴레이스위치단락용릴레이
RY2 : 릴레이스위치개방용릴레이
본 고안은 교류전압(110/220V)을 제공받아 소정의 직류 전압을 충전시키는 충전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충전이 완료될때 충전입력전압이 자동적으로 차단되게 한 충전제어회로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 있어서는 사용자가 충전기의 플러그를 전원소켓에 삽입시킨 후, 충전이 완료되었다고 판단되는 시점에서 그 충전기의 플러그를 전원소켓에서 분리시켰다.
이와같이 종래의 충전기에 있어서는 사용자가 충전시간을 임의로 판단하여 결정하게 되므로 충전이 완료되지 않은 시점에서 충전기에 공급되는 전원을 차단시킬 경우 그만큼 충전기의 충전전압을 이용할 수 있는 시간이 짧아지게 되고, 충전이 완료된 시점에서 소정시간이 경과되었을 때 충전기에 공급되는 전원을 차단하였을 경우 그만큼 전력을 낭비하게 될뿐더러 충전기의 과충전으로 인하여 충전기의 수명이 단축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이와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충전기의 정격충전전압이 충전되는 것을 검출하여 그 시점에서 자동적으로 충전기에 공급되는 전원이 차단되게 안출한 것으로 이를 첨부한 도면에 의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첨부한 도면은 본 고안의 충전제어회로도로서 이에 도시한 바와같이 교류전압(AC 110/220V)을 제공받아 이를 전파정류한 후 소정레벨의 충전용직류전압으로 출력하는 정전압부(1)와, 상기 정전압부(1)로부터 충전용직류전압을 공급받아 장전된 충전용베터리를 충전시키는 충전부(2)로 구성된 충전회로에 있어서, 상기 정전압부(1)와 충전부(2)사이에 릴레이스위치(RS)를 접속한 후, 상기 정전압부(1)의 출력측을 푸쉬버튼스위치(SW1)를 통해 상기 릴레이스위치(RS)의 단락용릴레이(RY1)를 접속하고, 상기 충전부(2)의 입력측에 제너다이오드(ZD1)를 접속하여 이의 애노드를 트랜지스터(Q1)의 베이스에 접속하며, 상기 트랜지스터(Q1)이 콜렉터를 상기 릴레이스위치(RS)의 개방용릴레이(RY2)에 접속하여 구성한 것으로 이와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작용 및 효과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사용자가 충전부(2)에 충전시키고자 하는 충전용 베터리를 삽입시킨 후 푸쉬버튼스위치(SW1)를 누르게 되면 릴레이스위치(RS)단락용릴레이(RY1)가 온됨에 따라 그 릴레이스위치(RS)가 단락된다.
이에따라 정전압부(1)에서 출력되는 충전용 직류전압이 상기 릴레이스위치(RS) 및 다이오드(D1)를 통해 충전부(2)에 제공되는 동시에 제너다이오드(ZD1)에 캐소우드에 제공된다.
이로인하여 상기 충전부(2)에 장전된 충전용 배터리가 충전되기 시작하는데, 상기 제너다이오드(ZD1)의 제너전압(VZD1)을 상기 충전부(2)의 충전완료전압으로 설정시켜 놓게 되면 이때, 그 제너다이오드(ZD1)는 오프상태를 유지하게 되므로 트랜지스터(Q1)의 베이스에 바이어스전압이 제공되지 않고, 이에따라 그 트랜지스터(Q1) 및 릴레이스위치(RS) 개방용릴레이(RY2)가 오프상태에 놓이게 되며, 이로인하여 상기 릴레이스위치(RS)도 단락된 상태를 유지하여 상기 충전부(2)에 충전용 직류전압이 계속 제공된다.
이후, 상기 충전부(2)에 충전된 충전용배터리의 충전전압이 충전완료전압에 도달하는 순간, 상기 제너다이오드(ZD1)에 제너전압(VZD1)이 인가됨으로 그가 도통되고, 이에 따라 상기 트랜지스터(Q1)의 베이스에 고전위가 인가되어 그 트랜지스터(Q1)가 온된다.
따라서 릴레이스위치(RS)개방용릴레이(RY2)가 온되고, 이에의해 상기 릴레이스위치(RS)가 개방되므로 상기 정전압부(1)에서 상기 충전부(2)에 제공되던 충전용직류전압이 차단되고, 이때 그 충전부(2)에 장전된 충전용배터리는 현재의 충전전압을 유지하게 된다.
이상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같이 본 고안은 충전배터리의 충전전압을 검출하여 충전완료전압이 검출되는 순간 충전부에 제공되는 충전용직류전압을 차단함으로써 과충전으로 인한 전력낭비 및 충전배터리의 수명단축을 미연에 방지 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Claims (1)

  1. 충전부(2)가 정전압부(1)로부터 충전용직류전압을 제공받아 장전된 충전용배터리를 충전시키는 충전회로에 있어서, 상기 정전압부(1)와 충전부(2)사이에 릴레이스위치(RS)를 접속한 후, 푸쉬버튼스위치(SW1)를 상기 릴레이스위치(RS)의 단락용릴레이(RY1)와 직렬접속하고, 상기 충전부(2)의 입력단을 제너다이오드(ZD1)를 통해 트랜지스터(Q1)에 접속하며, 상기 트랜지스터(Q1)의 콜렉터에 상기 릴레이스위치(RS)개방용릴레이(RY2)를 접속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충전제어회로.
KR2019900017079U 1990-11-08 1990-11-08 충전제어회로 KR960008833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00017079U KR960008833Y1 (ko) 1990-11-08 1990-11-08 충전제어회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00017079U KR960008833Y1 (ko) 1990-11-08 1990-11-08 충전제어회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20010521U KR920010521U (ko) 1992-06-17
KR960008833Y1 true KR960008833Y1 (ko) 1996-10-09

Family

ID=1930512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00017079U KR960008833Y1 (ko) 1990-11-08 1990-11-08 충전제어회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60008833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20010521U (ko) 1992-06-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637978A (en) Battery booster
CN100442630C (zh) 用于电动工具的可充电电池组件
EP0440756B1 (en) Battery assembly and charging system
CA2020384A1 (en) Battery charger for a portable wireless telephone set having means for tricklingly charging the battery with an increased current during a stand-by period of the telephone set
JPH10510975A (ja) 再充電可能なバッテリ・システムに開始電圧を与える装置および方法
JP2003259560A (ja) 充電回路
CA1128989A (en) Battery charging circuit for portable power tool
US5206782A (en) Surge lock power controller
GB2253312A (en) Battery powered apparatus incorporating charging controller
EP0616409A2 (en) Portable electrical power supply
KR960008833Y1 (ko) 충전제어회로
CN107895978A (zh) 一种适用性好的直流充电器结构
JPH06332030A (ja) 太陽電池を備えたカメラ
CN214069649U (zh) 一种多功能充电器
CN214479812U (zh) 一种自动切换电源装置
JPH04281334A (ja) 急速充電器
JPH07163064A (ja) 太陽電池の電源装置
CN217240400U (zh) 具有强启功能和充电功能的主备电无缝切换电路
CN210608578U (zh) 一种智能判断的自适应bms系统板电路
JPH09275639A (ja) 二次電池の充電装置およびその制御回路ならびに充電処理方法
JPH05316664A (ja) バッテリーチャージャー内蔵acアダプタ
JPS6349460B2 (ko)
JP2686659B2 (ja) バッテリ充電器
SU636740A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 питани нагрузки
JPH01268430A (ja) 充電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40920

Year of fee payment: 9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