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60008821B1 - 수지 조성물 - Google Patents

수지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60008821B1
KR960008821B1 KR1019880006694A KR880006694A KR960008821B1 KR 960008821 B1 KR960008821 B1 KR 960008821B1 KR 1019880006694 A KR1019880006694 A KR 1019880006694A KR 880006694 A KR880006694 A KR 880006694A KR 960008821 B1 KR960008821 B1 KR 96000882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rts
diene rubber
polymer
conjugated diene
compound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8000669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90003865A (ko
Inventor
미끼오 히라이
도꾸오 다쓰다
Original Assignee
스미또모다우 가부시끼가이샤
고마쓰마라 히로꼬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61285090A external-priority patent/JPS63137947A/ja
Priority claimed from JP62205400A external-priority patent/JPH0730228B2/ja
Application filed by 스미또모다우 가부시끼가이샤, 고마쓰마라 히로꼬끼 filed Critical 스미또모다우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89000386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9000386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6000882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008821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51/00Compositions of graft polymers in which the grafted component i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51/04Compositions of graft polymers in which the grafted component i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grafted on to rubb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51/00Compositions of graft polymers in which the grafted component i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51/06Compositions of graft polymers in which the grafted component i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grafted on to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aliphatic hydrocarbons contain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AREA)
  • Graft Or Block Polymers (AREA)

Abstract

내용없음.

Description

수지 조성물
본 발명은 내후성 및 내충격성 같은 개선된 특성을 갖는소광(消光 : 저광택) 성형품을 제공하는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그 전형적인 예가 ABS 수지(아크릴로니트릴-디엔고무-스티렌 공중합체)인 공액디엔고무, 방향족 비닐화합물 및 시안화비닐 화합물의 삼원공중합체 및 그 전형적인 예가 AES 수지(아크릴로니트릴-에틸렌/프로필렌고무-스티렌 공중합체)인 비공액디엔고무 강화 수지는 양호한 내후성, 성형성 및 기계적 특성을 갖는다. 그래서,이들 수지는 예를 들면 자동차 부품, 사업용 기계 부품 및 남성용 장신구의 재료로 이용된다.
안정성 및 다른 부품과의 조화 또는 매트 타입의 부드러운 질감(mat type calm hand)을 달성하고자 하는 측면에서 불때, 자동차 부품, 특히 자동차 내부 부품으로서 저광택 소광 수지제품이 요구된다. 수지 제품에 소광 표면을 부여하기 위해서 얇은 엠보싱같은 주형의 개선 또는 수지 재료의 재질이 시도되고 있다. 주형의 개선을 이용하는 경우에는, 수지 용융액이 성형중에 주형 표면에 완전히 접착되기 때문에, 주형 표면이 몹시 마멸되어 주형을 자주 엠보싱 해야 한다. 덧붙여, 소광 조건이 성형 조건에 의해 영향을 받는다. 수지 재료를 재질하기 위해, 충전제 또는 고무 중합체를 첨가하는 것이 제안되었다. 그러나, 충전체의 첨가는 성형품의 외관 및 기계적 특성의 관점에서 볼때 바람직하지 않다. 고무 중합체의 첨가는 많은 플로우 마크(flow mark) 및/또는 웰드 마크(weld mardk)의 원인이 되는 만족스런 성형품이 생산되지 않는다.
그의 고유한 우수한 특성을 저하시키지 않으면서 ABS 수지 또는 비공액디엔 고무 강화 수지의 소광을 포함하는 표면 특성을 개선하기 위해 수지내에 에폭시기-함유 올레핀 공중합체를 배합하는 것이 제안되었었다(참고, 미합중국 특허 제4,554,316호 및 대응 미국 특허 출원 제948,427호).
그러나, 개선된 충격강도를 갖는 소광 성형품을 산출하는 신규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 요구되어 왔다.
본 발명의 목적은 개선된 소광 효과를 갖는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개선된 내후성 및 내충격성을 갖는 소광 성형품을 산출하는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A) 공액 디엔 고무-강화 수지 및 비공액 디엔 고무-강화 수지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중합체 및 (B) 에틸렌-α-올레핀 기재 고무의 존재하에 (b-1) 방향족 비닐 화합물, 시안화 비닐 화합물 및 알킬 불포화 카르복실레이트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단량체와 (b-2) 적어도 하나의 불포화 에폭시 단량체를 중합시켜 얻을 수 있는 그라프트 공중합체를 함유하는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은 다음에 상세히 설명된다.
중합체(A)
공액 디엔-고무-강화 수지는 (A-1) 방향족 비닐 화합물, 시안화 비닐 화합물, 알킬 불포화 카르복실 레이트 및 말레이미드 화합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적어도 두개의 단량체를 공액디엔 고무의 존재하에 중합시켜 얻을 수 있는 그라프트 공중합체 또는 (A-2) 이러한 그라프트 중합체(A-1)과 적어도 두개의 상술한 단량체를 함유하는 공중합체의 혼합물이다.
비공액 디엔 고무-강화수지는 (A'-1) 방향족 비닐 화합물, 시안화 비닐 화합물, 알킬 불포화 카르복실레이트 및 말레이미드 화합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단량체를 비공액 디엔 고무의 존재하에 중합시켜 얻을 수 있는 그라프트 공중합체 또는 (A'-2) 이러한 그라프트 공중합체(A'-1)과 적어도 두개의 상술한 단량체를 함유하는 공중합체의 혼합물이다.
공액 디엔 고무의 예는 폴리부타디엔, 부타디엔-스티렌 공중합체, 부타디엔-아크릴로니트릴 공중합체 등이다. 이들은 개별적으로 또는 그의 혼합물로서 이용될 수 있다. 공액 디엔 고무중의 겔 함량에는 제한이 없다.
비공액 디엔 고무의 예는 (i) 에틸렌-α-올레핀 기재 고무(예, 에틸렌과 프로필렌 또는 부텐의 고무(EPR), 에틸렌, 프로필렌 또는 부텐 및 비공액 디엔의 고무 등), (ii) C1~C16-알킬 아크릴레이트(예, 메틸 아크릴레이트, 에틸 아크릴레이트, 부틸 아크릴레이트, 2-에틸헥실아크릴레이트 등)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단량체 및 임의의 적어도 하나의 다른 공중합성 단량체를 교차결합제의 존재 또는 부재하에 중합 또는 공중합시켜 얻을 수 있는 알킬 아크릴레이트 기재고무, (iii) 에틸렌-비닐 아세테이트 및 (iv) 클로로화 폴리에틸렌이다. 이들은 개별적으로 또는 혼합물로서 이용될 수 있다. 특히, 메틸렌-α-올레핀 기재 고무 (i) 및 알킬 아크릴레이트 기재고무(ii)가 바람직하다.
방향족 비닐 화합물의 특별한 예는 스티렌, α-메틸스티렌, α-클로로스티렌, p-t-부틸스티렌, ο-메틸스티렌, m-메틸스티렌, p-메틸스티렌, 디메틸스티렌, o-클로로스티렌, p-클로로스티렌, 2,5-디클로로스티렌, 3,4-디클로로스티렌, p-브로모스티렌, o-브로모스티렌, 2,5-디브로모스티렌, 3,4-디브로모스티렌, 시아노스티렌, 2-이소프로페닐나프탈렌, α-메틸비닐톨루엔, 비닐나프탈렌 및 그의 혼합물이다. 이중에서 스티렌 및 α-메틸스티렌이 바람직하다.
시안화 비닐화합물의 특별한 예는 아크릴로니트릴, 메타크릴로니트릴, 에타크릴로니트릴, 말레오니트릴, 푸마로니트릴 및 그의 혼합물이다. 이중에서 아크릴로니트릴이 바람직하다.
알킬 불포화 카르복실레이트의 특별한 예는 메틸아크릴레이트, 에탈아크릴레이트, 프로필아크릴레이트, 부틸아크릴레이트, 벤질 아크릴레이트, 헥실아크릴레이트, 히드록시에틸아크릴레이트, 히드록시프로필아크릴레이트, 메틸메타크릴레이트, 에틸메타크릴레이트, 프로필메타크릴레이트, 부틸메타크릴레이트, 벤질메타크릴레이트, 헥실메타크릴레이트, 히드록시에틸메타크릴레이트, 히드록시프로필메타크릴레이트 및 그의 혼합물이다. 이중에서 메틸메타크릴레이트가 바람직하다.
말레이미드 화합물의 특별한 예는 말레이미드, N-메틸말레이미드, N-에틸말레이미드, N-이소프로필말레이미드, N-부탈말레이미드, N-헥실말레이미드, N-옥틸말레이미드, N-라우릴말레이미드, N-시클로헥실말레이미드, N-페닐말레이미드, N-2,3 또는 4-메틸페닐말레이미드, N-2,3 또는 4-에틸페닐말레이미드, N-2,3 또는 4-부틸페닐말레이미드, N-2,6-디메틸페닐말레이미드, N-2,4,6-트리브로모페닐말레이미드, N-2,3 또는 4-클로로페닐말레이미드, N-2,3 또는 4-브로모페닐말레이미드, N-2,5-디클로로페닐말레이미드, N-3,4-디클로로페닐말레이미드, N-2,5-디브로모페닐말레이미드, N-3,4-디브로모페니말레이미드, N-2,4,6-트리클로로페닐말레이미드, N-2,3 또는 4-히드록시페닐말레이미드, N-2,3 또는 4-N-페닐말레이미드, N-2,3 또는 4-카르복실페닐말레이미드, N-4-니트로페닐말레이미드, N-4-디페닐말레이미드, N-1-나프틸페닐말레이미드, N-4-시아노 페닐말레이미드, N-4-페녹시페닐페말레이미드, N-4-벤질페닐말레이미드, N-2-메틸-5-클로로페닐말레이미드, N-2-메톡시-5-클로로페닐말레이미드 등이다. 이들은 개별적으로 또는 그의 혼합물로서 이용될 수 있다. 특히, N-페닐말레이미드가 바람직하다.
그라프트 중합체(A-1) 또는 (A'-1)중의 비공액 또는 공액디엔 고무의 함량은 결정적이지 않다. 바람직하게는, 특성 균형의 측면에서 볼때 5~70중량%, 바람직하게는 5~40중량%이다. 그라프트 중합체(A-1) 또는 (A'-1)의 입자크기도 또한 결정적이지 않다. 바람직하게는 0.05~5㎛, 특히 0.1~0.5㎛이다.
그라프트 중합체(A-1) 또는 (A'-1)의 제조에 있어서, 그라프트시키고자 하는 단량체의 조합에 특별한 제한은 없다. 두 그라프트 중합체 모두에 있어서, 방향족 비닐 단량체와, 시안화비닐 단량체, 알킬 불포화 카르복실레이트 및 말레이미드 화합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조합이 바람직하다. 이 조합에 있어서, 두 종류의 단량체의 비율은 결정적이지 않다. 바람직하게는, 50~80중량%의 방향족 비닐 단량체 및 50~20중량%의 다른 단량체가 사용된다.
공중합체(A-2) 또는 (A'-2)의 조성에 제한은 없다. 바람직하게는, 공중합체는 방향족 비닐 단량체 50~90중량% 및 시안화 비닐 단량체, 알킬 불포화 카르복실레이트 및 말레이미드 화합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단량체 50~100중량%를 함유한다.
공중합체(A-2) 또는 (A'-2)에 대한 그라프트 중합체(A-1) 또는 (A'-1)의 중량비는 바람직하게는 10 : 90~100 : 0이다. 그라프트 중합체의 함량이 10중량% 미만이면, 성형품의 충격 강도가 충분히 개선되지 않는다.
그라프트 중합체(A-1) 또는 (A'-1)은 에멀션 중합, 서스펜션 중합, 벌크 중합, 용액 중합, 에멀션-서스펜션 중합, 벌크-서스펜션 중합 등과 같은 공지 방법에 의해 제조할 수 있다.
중합체(B)
중합체(B)를 구성하는 에틸렌-α-올레핀 기재 고무에는 에틸렌과 프로필렌 또는 부텐과의 고무(EPR), 에틸렌, 프로필렌 또는 부텐 및 비공액 디엔의 고무(EPDM) 등이 포함된다. 이들은 개별적으로 또는 그의 혼합물로서 이용될 수 있다.
EPDM 고무에 함유되어 있는 비공액 디엔의 예는 디시클로펜타디엔, 에틸리덴노르보르넨, 1,4-헥사디엔, 1,4-시클로부타디엔, 1,5-시크로옥타디엔 등이다.
ERP 고무 및 EPDM 고무에 있어서, 프로필렌 또는 부텐에 대한 에틸렌의 몰비율은 바람직하게는 5 : 1~1 : 3이다.
삼원 공중합체(EPDM)에 있어서, 비공액 디엔은 2~50의 요오드값에 해당하는 양으로 포함되어 있다.
불포화 에폭시드 단량체는 한 분자내에 중합에 기여할 수 있는 적어도 하나의 결합 및 적어도 하나의 에폭시기를 갖는 단량체이다. 이러한 에폭시드 단량체의 예는 하기 일반식(Ⅰ)의 불포화 글리시딜 에스테르 :
Figure kpo00001
(상기 식중, R은 중합성 에틸렌성 불포화 결합을 갖는 탄화수소기이다.)
하기 일반식(Ⅱ)의 불포화 글리시딜 에테르 :
Figure kpo00002
(상기 식중, R은 상기 일반식(Ⅰ)에서의 정의와 동일하고, X는 일반식 -CH2-O- 또는 -O-의 이가 기이다) 및 하기 일반식(Ⅲ)의 에폭시알켄 :
Figure kpo00003
(상기 식중, R은 상기 일반식(Ⅰ)에서의 정의와 동일하고, R'는 수소 또는 메틸이다)이다. 이들 에폭시드 단량체의 특별한 예는 글리시딜 아크릴레이트, 글리시딜 메타크릴레이트, 이타콘산의 모노- 및 디-글리시딜 에스테르, 부텐트리카르복실산의 모노-, 디-및 트리-글리시딜 에스테르, 시트라콘산의 모노-및 디-글리시딜 에스테르, 엔도-시스-비시클로[2,2,1]헵트-5-엔-2,3-디카르복실산(상품명 : 나드산(Nadic acid))의 모노-및 디-글리시딜 에스테르, 엔도-시스-비시클로[2,2,1] 헵트-5-엔-2-메틸-2,3-디카르복실산(상품명 : 메틸나드산)의 모노 및 디-글리시딜 에스테르, 알리숙신산의 모노-및 디-글리시딜 에스테르, p-스티렌카르복실산의 글리시딜 에스테르, 알릴들리시딜 에스테르, 2-메틸알릴글리시딜 에테르, 스티렌 -p-글리시딜에테르 또는 p-글리시딜스티렌, 3,4-에폭시-1-부텐, 3,4-에폭시-3-메틸-1-부텐, 3,4-에폭시-1-펜텐, 3,4-에폭시-3-메틸-1-펜텐, 5,6-에폭시-1-헥센, 비닐시클로헥센 모노옥시드 등이다.
그라프트 공중합체(B)의 중합에 있어서, 단량체에 대한 에틸렌-α-올리펜 기재 고무의 비율은 결정적이지 않다. 생산되는 수지 조성물의 물성이라는 관점에서는, 바람직하게는 고무 100중량부에 대하여 방향족 비닐 단량체, 시안화 비닐 단량체 및 불포화 카르복실산의 알킬 에스테르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단량체 10~2,000중량부, 특히 20~1,000중량부 및 불포화 에폭시드 단량체 0.5~800중량부, 특히 1~400중량부가 사용된다.
방향족 단량체, 시안화 비닐 단량체 및 알킬 불포화 카르복실 레이트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단량체를 에티렌-α-올레핀 기재 고무의 존재하에 불포화 에포시드 단량체와 공중합시킴에도 불구하고, 방향족 비닐 단량체 및 시안화 비닐 단량체 및/또는 알킬 불포화 에폭시드 단량체의 조합이 바람직하다.
그라프트 공중합법으로는, 에멀션, 서스펜션, 용액, 벌크, 에멀션-서스펜션 및 벌크-서스펜션 중합같은 공지 방법을 이용할 수 있다.
고무 강화 수지(A)와 그라프트 중합체(B)의 비율은 결정적이지 않다. 특히 수지(A) 및 그라프트 중합체(B)의 총 중량을 기초로하여 0.5~90중량%의 그라프트 중합체(B)가 포함되어 있다. 그라프트 중합체(b)의 함량이 0.5중량% 미만이면, 소광 효과가 요구한대로 얻어지지 않는다. 90중량% 이상이면, 내후성 및 발색성이 저하되는 경향이 있다.
본 발명의 성형 수지 조성물은 염료, 색소, 안정제, 가소제, 하전 방지제, 자외선 흡수제, 윤활제, 충전제 등과 같은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첨가제를 함유할 수 있다.
본 발명은 하기 실시예에 의해 설명됨, 부 및 %는 다른 언급이 없는 한 중량으로 실시된다.
[실시예 1,2 및 비교예 1 내지 4]
시판되는 내열성 ABS수지(Kralastick K-2938A, Sumitomo Naugatuck Co., Ltd. 제품)에 그라프트 중합체(B)-1 또는 통상의 소광제를 가하고 밴버리 혼합기로 혼합한다. 생성된 혼합물을 펠릿화한다. 펠릿을 성형하여 시험편을 만들고 물성 및 표면 광택을 측정한다. 조성 및 결과는 표 1과 같다.
그라프트 중합체(B)-1의 제조
통상적인 용액 중합방법에 의해 스티렌(40부), 아크릴로니트릴(17부) 및 글리시딜 메타크릴레이트(7부)를 에틸렌, 프로필렌 및 디시클로펜타디엔의 EPDM 고무(요오드값 : 10, 무니점도 : 60, 프로필렌 함량 : 40%)(50부)의 존재하에서 중합시켜 중합체(B)-1을 얻는다.
Figure kpo00004
주 : *1) Micron White No. 5000, 하야시 가세이사 제품
*2) Toughprene A, 아사히케미칼사 제품
*3) 에틸렌-글리시딜 메타크릴레이트 공중합체(중량비 90 : 10)
[실시예 3 내지 5 및 비교예 5 내지 7]
ABS 수지 및 그라프트 중합체(B-2)를 하기 방법에 따라 제조한다. 다음으로 그라프트 중합체 또는 공중합체와 그라프트 중합체(B)-2를 밴버리 혼합기로 혼합한다. 계속해서, 혼합물을 가공하여 시험편을 만들고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물성을 측정한다.
ABS 수지의 제조
통상적인 에멀션 중합방법에 의해 스티렌(35부) 및 아크릴로니트릴(15부)를 중합 평균 입자 크기가 0.43㎛이고 겔 함량이 85%인 폴리부타디엔 고무 라텍스(고체함량 50%)(100부)의 존재하에서 중합시켜 고무함량이 약 50%인 그라프트 공중합체를 얻는다.
스티렌, 아크릴로니트릴 및 메틸메타크릴레이트 또는 N-페닐 말레이드를 통상의 방법에 따라 에멀션 중합시켜 공중합체를 얻는다.
그라프트 중합체(B)-2의 제조
통상의 용액 중합방법에 의해 스티렌(75부), 아크릴로니트릴(25부) 및 글리시딜 메타크릴레이트(10부)를 에틸렌프로필렌 및 에틸리덴노르보르넨의 EPDM 고무(요오드값 : 8, 무늬점도 : 61, 프로필렌함량 : 43%)(20부)의 존재하에서 중합시켜 그라프트 중합체(B)-2를 얻는다.
결과는 표 2와 같다.
Figure kpo00005
주 : *4) 아크릴로니트릴-스티렌 공중합체(중량비 29 : 71)
*5) 아크릴로니트릴-메틸메타크릴레이트-스티렌삼원공중합체(중량비 15 : 60 : 25)
*6) 아크릴로니트릴-N-페닐말레이미드-스티렌삼원공중합체(중량비 17 : 30 : 53)
[실시예 6 내지 13 및 비교예 8 내지 16]
표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하술하는 방법에 의해 제조된 비공액 디엔 고무-강화수지(A) 및 그라프트 중합체(B)(그라프트 중합체(B)-1 또는 (B)-2 또는 공지의 소광제를 사용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같은 방법으로 시험편을 제조하고, 그의 특성을 측정한다. 결과는 표 3 및 표 4에 나타낸다.
그라프트 중합체(A)-1의 제품
A-1-1
공지의 서스페션 중합방법에 의해, 스티렌(34부) 및 아크릴로니트릴(16부)을 에틸렌-프로필렌-에틸리덴노르보르넨의 EPDM 고무(프로필렌함량 : 43%, 요오드값 : 9, 무니점도 : 87)(15부)의 존재하에 중합시켜 그라프트 중합체 A-1-i를 수득한다.
A-1-ii
공지의 용액 중합 방법에 의해, 스티렌(45부) 및 메틸메타크릴레이트(40부)를 에틸렌-프로필렌-에틸리덴 노르보르넨의 EPD 고무(프로필렌 함량 : 50%, 요오드값 : 21, 무늬점도 : 75)(15부)의 존재하에 중합시켜 그라프트 중합체 A-1-ii를 수득한다.
A-1-iii
공지의 에멀션 중합 방법에 의해, 스티렌(35부) 및 아크릴로니트릴(15부)를 교차 결합된 부틸 아크릴레이트-아크릴로니트릴고무(아크릴로니트릴 함량 : 5%)(50부)의 존재하에 중합시켜 그라프트 중합체 A-1-iii(고무의 평균 입자 크기 : 0.23㎛)를 수득한다.
중합체(A)-2의 제법
A-2-i
내부를 질소로 교환한 반응기에 과황산 칼륨(0.3부) 및 정수(120부)를 채우고, 교반하면서 65℃로 가열한다. 아크릴로니트릴(30부), 스티렌(70부) 및 t-도데실 메르캅탄(0.3부)의 단량체 혼합물 및 불균등화 칼륨 수지산염을 함유한 유화제의 수용액(2부)를 4시간에 걸쳐 각각 연속적으로 가한다. 반응계를 70℃로 가열하고, 같은 온도에서 3시간 동안 유지하여 중합을 완결시킴으로써 아크릴로니트릴-스티렌 공중합체의 라텍스를 수득한다. 생성된 라텍스에 염화칼륨을 가하여 중합체를 염석시킨후, 탈수 및 건조시켜 분말상 중합체 A-2-i를 수득한다.
A-2-ii
내부를 질소로 교환한 반응기에 정수(150부), 과황산 칼륨(0.5부) 및 소듐라우릴설페이트(2부)를 채우고 교반하면서 70℃로 가열한다. 아크릴로니트릴(30부), α-메틸스티렌(70부) 및 t-도데실메르캅탄(0.2부)의 단량체혼합물을 각각 5시간에 걸쳐 연속적으로 가한다. 반응계를 75℃로 가열하고, 같은 온도에서 5시간 동안 유지하여 중합을 완결시킴으로써 아크릴로니트릴-α-메틸스티렌 공중합체 라텍스를 수득한다. 생성된 라텍스에 염화칼슘을 가하여 중합체를 염석시킨후, 탈수 및 건조시켜 분말상 중합체 A-2-ii를 수득한다.
A-2-iii
내부를 질소로 교환한 반응기에 정수(120부) 및 과황산 칼륨(0.3부)를 채우고, 교반하면서 65℃로 가열한다. 아크릴로니트릴(25부), N-페닐말레이미드(25부), 스티렌(50부) 및 t-도데실 메르캅탄(0.3부)의 단량체 혼합물 및 소듐라우릴 설페이트를 함유한 유화제의 수용액(30부)를 4시간에 걸쳐 각각 연속적으로 가한다. 반응계를 70℃로 가열하고, 같은 온도에서 3시간 동안 유지하여 중합을 완결시킴으로써 아크릴로니트릴-N-페닐말레이미드-스티렌 공중합체의 라텍스를 수득한다. 생성된 라텍스에 염화칼륨을 가하여 중합체를 염석시키고, 탈수 및 건조시켜 분말상 중합체 A-2-i를 수득한다.
중합체(B)
그라프트 중합체(B)로는 그라프트 중합체(B)-1 또는 (B)-2를 사용한다.
Figure kpo00006
Figure kpo00007

Claims (3)

  1. (A) 공액 디엔 고무-강화 수지 및 비공액 디엔 고무-강화 수지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중합체 및 (B) 에틸렌-α-올레핀 기재 고무의 존재하에 (b-1) 방향족 비닐 화합물, 시안화 비닐 화합물 및 알킬 불포화 카르복실레이트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단량체 및 (b-2) 적어도 하나의 불포화 에폭시 단량체를 중합시켜 얻을 수 있는 그라프트 공중합체를 함유하는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중합체(A)가 방향족 비닐 화합물, 시안화 비닐 화합물, 알킬 불포화 카르복실레이트 및 말레이미드 화합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적어도 두개의 단량체를 공액디엔 고무의 존재하에 중합시켜서 얻을 수 있는 그라프트 공중합체를 함유하는 공액 디엔 고무-강화 수지인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3. 제1항에 있어서, 중합체(A)가 방향족 비닐 화합물, 시안화 비닐 화합물, 알킬 불포화 카르복실레이트 및 말레이미드 화합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단량체를 비공액 디엔 고무의 존재하에 중합시켜서 얻을 수 있는 그라프트 공중합체를 함유하는 비공액 디엔 고무-강화 수지인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KR1019880006694A 1986-11-29 1988-06-03 수지 조성물 KR96000882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61285090A JPS63137947A (ja) 1986-11-29 1986-11-29 耐衝撃性に優れる艶消し樹脂組成物
JP285090/86 1986-11-29
JP62205400A JPH0730228B2 (ja) 1987-08-18 1987-08-18 艶消し熱可塑性樹脂組成物
JP62-205400 1987-08-18
JP205400/87 1987-08-18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90003865A KR890003865A (ko) 1989-04-18
KR960008821B1 true KR960008821B1 (ko) 1996-07-05

Family

ID=2651505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80006694A KR960008821B1 (ko) 1986-11-29 1988-06-03 수지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60008821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90003865A (ko) 1989-04-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608414A (en) Thermoplastic resin composition containing an imide polymer and graft copolymer
KR960002983B1 (ko) 내열성 공중합체 조성물
EP0284086B1 (en) Molding resin composition
KR0159256B1 (ko)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US5430101A (en) Delustered rubber modified styrenic blends
JPH08508783A (ja) 低光沢ポリマーブレンド組成物
US20230250270A1 (en) Resin composition and molded resin articles
EP0303782B1 (en) Resin Composition
EP0096527B1 (en) A process for producing a rubber-modified thermoplastic resin
JPS6395211A (ja) 熱可塑性樹脂組成物
KR960008821B1 (ko) 수지 조성물
CA1334116C (en) Resin composition
CA2314460C (en) Thermoplastic resin composition
US5610235A (en) High gloss graft copolymer blend containing emulsion graft copolymer and bulk graft copolymer
US6174958B1 (en) Thermoplastic moulded materials based on polycarbonates and styrene/acrylonitrile polymers which contain copolymers based on alkyl(meth)acrylate to improve their properties
JPH04220452A (ja) 熱可塑性樹脂組成物
JP2787340B2 (ja) 耐熱性熱可塑性樹脂組成物
JPH04220409A (ja) 共重合体樹脂およびそれを含む熱可塑性樹脂組成物
KR890003011B1 (ko) 내열성이 우수한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JPH0811765B2 (ja) リブ強度に優れる耐候性樹脂の製造方法
KR960011270B1 (ko) 수지 조성물
JPH0623294B2 (ja) 熱可塑性樹脂組成物
JPH03221554A (ja) 熱可塑性樹脂組成物
JPH0575017B2 (ko)
JPS6026424B2 (ja) 耐衝撃性樹脂組成物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0702

Year of fee payment: 15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