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60008719B1 - 선미조업을 위한 안강망어선 - Google Patents

선미조업을 위한 안강망어선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60008719B1
KR960008719B1 KR1019930023211A KR930023211A KR960008719B1 KR 960008719 B1 KR960008719 B1 KR 960008719B1 KR 1019930023211 A KR1019930023211 A KR 1019930023211A KR 930023211 A KR930023211 A KR 930023211A KR 960008719 B1 KR960008719 B1 KR 96000871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rum
fishing
net
auxiliary
rop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3002321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50013906A (ko
Inventor
방정남
Original Assignee
방정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방정남 filed Critical 방정남
Priority to KR1019930023211A priority Critical patent/KR960008719B1/ko
Publication of KR95001390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5001390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6000871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008719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35/00Vessels or similar floating structure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purpos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3B35/14Fishing vessel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arine Sciences & Fisheri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Means For Catching Fish (AREA)

Abstract

내용없음.

Description

선미조업을 위한 안강망어선
제1도는 본 발명에 있어서 안강망어선의 측면도.
제2도는 본 발명에 있어서 안강망어선의 평면도.
제3도는 본 발명에 있어서 안강망어선의 구축물 부분에 대한 종단면도.
제4도는 본 발명에 있어서 안강망어선의 어망투망상태도.
제5도는 본 발명에 있어서 안강망어선의 조업상태도.
제6도는 본 발명에 있어서 안강망어선의 양망상태도.
본 발명은 선미 조업을 위한 안강망어선에 관한 것으로, 특히 안강망을 끌어당겨 안강망어선의 선미측에 설치된 어망드럼에 어망을 권취케하고, 안강망 후미의 어망을 배의 선수측으로 이동시키게끔 배의 구축물 중앙하방에 어망 이동통로를 설치하며, 어망드럼 일측 후미측에 보조드럼을 설치하여 안강망의 양망과 투망을 용이하게 하도록 하는 것이다.
본인이 선출원하여 공보받은 안강망의 전개장치(실용신안 공고번호 90-4023호)(이하 인용고안이라 약칭함)가 이미 공개된바 있으나, 이는 안강망 그 자체의 전개장치에 관한 것일 뿐 안강망어선에 적용한 사례가 없었다. 즉, 어획고를 높일 수 있는 어망의 전개장치는 개발되어 있었으나 기존의 안강망어선을 현측조업을 하도록 배가 설게되어 있기 때문에 인용고안을 사용하지 못하였다.
따라서 현측조업을 통해 이루어지는 안강망어선은 조업인원이 많이 필요할 뿐 아니라, 작업 모두가 수동으로 이루어지므로 작업이 매우 힘들고, 현측조업을 함으로 인해 위험성이 항상 내포되어 있는 실정이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제반 결함을 해소하기 위한 것으로 첫째목적은 안강망어선의 선미에서 양, 투망이 용이하도록 하는 것이고, 둘째목적은 선미조업시 배의 안정성을 도모하고, 셋째목적은 조업인원의 감소는 물론 어획고를 높일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이와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선실, 조타실, 기관실 등으로 이루어지는 안강망어선의 구축물 중앙 하방에 어망이송통로를 설치하고, 그 구축물 후방에 어망드럼을 설치하며, 어망드럼 일측 후방측에 보조드럼을 설치한 다음 상기 구축물 전방측 좌측에 자침용드럼, 넓힘줄 당김용드럼 및 보조드럼을 설치하고, 우측에 배잡이줄 드럼과 닻줄, 곱팡, 보조줄용 드럼을 설치하여 어망을 선미에서 양, 투망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이하 첨부도면에 의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안강망어선 본체(1)에 구축물(2)을 설치하는 것에 있어서, 상기 구축물(2) 중앙 하방에 어망이송통로(3)를 형성하고, 그 구축물(2) 후방에 바닥으로부터 공간을 두고 어망드럼(4)을 설치하며, 상기 어망드럼(4) 일측 후방측에 보조드럼(5)을 설치한 다음 상기 구축물(2) 전방측 좌측에 자침용드럼(6), 넓힘줄드럼(7) 및 보조드럼(8)을 설치하고, 우측에 배잡이줄드럼(9)과 닻줄(100), 곱팡(16) 및 보조줄(17)용 드럼(10)을 각각 설치하며 어망(M)을 어망드럼(4)에 감거나 풀게하여 선미조업을 행하도록 하고, 어망(M)의 후미를 안강망어선 본체(1)의 선수측에 이동시켜 어획된 고기를 풀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에 있어서 각 설치된 드럼을 유압원치식으로 각각 작동되도록 되어 있으며, 각 드럼에는 어망(M)의 각줄을 당기거나 풀 수 있도록 견인줄이 설치되어 있다.
이와같이 구성되어지는 본 발명은 제5도에서와 같이 어망(M)을 투망한 상태에서 본인이 선출원한 인용 고안과 같이 고기를 어획하게 되는데, 어망드럼(4)이 선미측에 설치되어 있어 어망(M)을 어선의 선미에서 당길 수 있게 되므로 선미조업이 가능하고, 따라서 어망드럼(4)에 의해 어망(M)을 권취케하므로 손쉽게 어망을 끌어 올릴 수 있으며, 또한 조류 방향으로 어망(M)이 설치되므로 배의 안정성 도모는 물론 고기의 어획고를 높일 수 있게 된다.
특히 본 발명에 있어서는 구축물(2) 하방에 어망이송통로(3)가 형성되어 있으므로 어망(M)을 어망드럼(4)에 권취한 후 어망(M)의 후미를 상기 어망이송통로(3)를 통해 어선 본체(1)의 선수측으로 끌어당길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어선본체(1) 선수측 하방내의 고기 수납실에 용이하게 고기를 수납할 수 있게 된다.
결국, 동지나해 등에서 안강망어선으로 고기를 어획할때 보다 많은 고기를 어획하고 배의 안전성을 도모함은 물론 조업인원이 감소를 위해서는 안강망어선 본체(1)의 선미에서 작업을 해야만 용이하게 이루어지는 것으로 본 발명은 선미작업을 위해 어망드럼(4)으로 어망(M)을 선미에서 권취하거나 풀게하도록 하는 것이어서, 그 목적을 수월히 수행할 수 있는 것이다.
이와같은 안강망어선을 이용하여 어망(M)의 양, 투망과정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우선, 투망하는 상태를 설명하면 닻(15)과 닻줄(100)을 투묘한 다음 고리(14)에 곱팡(13)을 연결하고, 배잡이줄드럼(9)과, 닻줄(100), 곱팡(16), 보조줄(17)용 드럼(10)을 풀어주다가 고리(12)가 나오면 자침줄(6A)을 연결하고, 우선 각 드럼(9)(10)의 동작을 멈춘다. 상기 드럼(10)에 있어 보조줄(17)을 풀때 고리(25)(25')가 나오면 보조드럼(10)의 보조줄(17)을 신체우현쪽으로 하여 상기 고리(25)에 연결한 다음 보조드럼(5)을 권취하여 고리(25)(25')부분이 선미에 오도록 하고, 이때 고리(25)로부터 보조줄(17)을 분리하며, 분리된 보조줄(17)의 고리(25)는 선미축고정편(18)에 걸어두며 상기, 고리(25')부분에 넓힘줄드럼(7)에 권취되어 있던 넓힘줄(7A)의 고리(23)를 연결한다. 따라서 고리(23)의 연결된 고리(25')에는 곱팡(16)과 보조 연결줄(24) 및 걸리(28)이 연결되어 있는 상태가 된다.
이와같은 상태에서 어망(M)을 어망드럼(4)에서 투망하여 어망드럼 보조걸리(4A)(4B)와 어망 양측보조(27)(29)을 분리하되, 고리(22)에 상기 보조줄(27)은 연결하고, 보조줄(29)은 고정구(30)에 고정한 다음 넓힘줄(7A)에 별도로 설치한 고리(7A')를 고정체(300)에 걸려진 견인줄(21)에 연결하고, 보조드럼(5)의 보조줄(5A)로서 견인줄(21)을 당겨 넓힘줄(7A)이 고리(7A')가 상기 고정체(300)에 걸려지도록 하고, 이때, 엔진을 가동하면서 배잡이줄(9A) 자침줄(6A) 넓힘줄(7A)를 눌러주면서 좌현타함과 동시에 고리(25')를 투하 아며, 배잡이줄(9A) 자침줄(6A) 넓힘줄(7A)를 다푼 상태에서 부구(500)의 각도가 대략 우현 30o가 되도록 엔진을 추진하여 유지하면 제5도에서와 같은 상태가 된다.
따라서, 어망(M)의 입구가 조류 방향에 따라 전개된 상태로 되어지며 이런 과정을 수동이 아닌 유압원치식으로 행해지므로 작업이 매우 수월해지게 되는 것이다. 도면중 600, 700은 배의 선회각도 유지용 보조줄, 57과 57'는 돋음줄이다.
이와같은 상태에서 양망작업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자침줄(6A)을 먼져 감으면서 타를 조금씩 돌려 정타하고, 배잡이줄(9A)과 넓힘줄(7A)를 각각의 드럼(6)(8)(9)에 각각 귄취하다가 고리(12)에서 자침줄(6A)을 분리하고 배잡이줄(9A)는 잠시 대기시킨다.
이때 넓힘줄(7A)의 고리(7A')를 고정체(300)로부터 벗겨 드럼(7)에 의해 넓힘줄(7A)을 당기며, 고리(22)가 배의 선미부분에 오게되면 어망드럼(4)의 보조걸리(4B)에 보조줄(27)을 연결하고, 보조걸리(4A)에 보조줄(29)을 연결한 다음 보조줄(17)을 고리(22)에 연결하여 드럼(10)을 권취하여 드럼(9)에 감겨지는 배잡이줄(9A) 길이와 같도록 하여 우선 멈추게 한다.
이와같은 상태에서 어망드럼(4)에 보조걸리(4A)(4B) 및 보조줄(27)(29)을 감으면서 돋음줄(57)(57')는 보조드럼(5)에 감아어망(M)이 다올라오면 드럼(9)(10)을 감는다. 이후 고리(14)에 곱팡(13) 분리한 다음 드럼(10)은 달(15)까지 감으면 양망은 끝나게 되는 것이다. 이때 어망드럼(4)에 감겨진 후미는 구축물(2)의 망이송통로(3)로 이송되어 선수측에서 어획된 고기를 풀게하는 것이다. 결국 배의 선미에서 망을 당겨 선수측에 잡은 고기를 풀게하는 것이다.
이상과 같은 양, 투망작업은 어망(M)의 각줄이 각각의 드럼에 의해 권취되고 풀어지도록 하되 선미조업이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고기의 어획량 증가는 물론 배의 안전성 특히 동지나해의 조류에 따른 위험성을 배제하고, 작업인원이 감소에도 불구하고, 원활한 조업이 가능하게 되는 것으로 특히 본 발명은 망드럼에 의해 망을 귄취하면서 망의 후미를 망이송통로측으로 이송케하여 고기를 풀게하고, 각각의 드럼에 의해 망을 이루는 줄을 권취 또는 풀게하도록 하는 안강망어선을 제공하는데 그 특징이 있다.

Claims (1)

  1. 어선본체(1)의 갑판상에 구축물(2)을 세워설치하고, 그 구축물(2)의 중앙하부에는 어망 이송통로(3)가 앞뒤로 개설된 것에 있어서, 어망이송통로(3)의 뒷쪽에는 어망드럼(4)이 가동적으로 설치하여 있고, 구축물(2)의 전방 갑판상에는 그 좌측에 자침용드럼(6)과 넓힘줄드럼(7) 및 보조드럼(8)을 설치하고, 그 우측에는 배잡이줄드럼(9)과 보조용드럼(10)을 각각 설치하여서, 망(M)이 어망드럼(4)에 감기도 풀기게 하는 한편, 망(M)의 후미를 어선본체(1)의 선수쪽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함을 특징으로 하는 선미조업을 위한 안강망어선.
KR1019930023211A 1993-11-03 1993-11-03 선미조업을 위한 안강망어선 KR96000871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30023211A KR960008719B1 (ko) 1993-11-03 1993-11-03 선미조업을 위한 안강망어선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30023211A KR960008719B1 (ko) 1993-11-03 1993-11-03 선미조업을 위한 안강망어선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50013906A KR950013906A (ko) 1995-06-15
KR960008719B1 true KR960008719B1 (ko) 1996-06-29

Family

ID=1936726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30023211A KR960008719B1 (ko) 1993-11-03 1993-11-03 선미조업을 위한 안강망어선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60008719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50013906A (ko) 1995-06-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18237B1 (ko) 수중 동물의 조업 장치 및 방법
TW201711565A (zh) 從設備中提取水生動物的方法
CN205455456U (zh) 一种双桁杆双网板磷虾捕捞船
CN111387148A (zh) 一种磷虾捕捞船
JP3861258B2 (ja) 魚網の自動揚網方法
KR960008719B1 (ko) 선미조업을 위한 안강망어선
CN209336951U (zh) 一种连续泵吸渔船用移货绞车设备
CN111169598A (zh) 一种捕捞系统及捕捞船
CN212184781U (zh) 一种磷虾捕捞船
JP5041489B2 (ja) 活魚生け簀の曳航方法
US3261122A (en) Handling devices for fishing nets
US3307284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drum trawling
US2673415A (en) Purse seine and its method of use
JP5115940B2 (ja) 旋網およびこれを用いた操業方法
US3119601A (en) Safety release for trawl wires
KR20040107380A (ko) 어로 방법
Ben-Yami Purse-seining with small boats
US3065562A (en) Trawler
US3070916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handling trawl nets
US3237337A (en) Method of hauling a trawl net
US2619754A (en) Trawling net and apparatus for use therewith
RU214684U1 (ru) Приспособление для приема трала
JP3382271B2 (ja) かけまわし漁法
JP3838433B2 (ja) リングフックおよびこれを用いた旋網の操業方法
SU379448A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 СПУСКА и ПОДЪЕМА ОРУДИЙ ЛОВ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10608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