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60008274Y1 - 평식기 건조기 - Google Patents

평식기 건조기

Info

Publication number
KR960008274Y1
KR960008274Y1 KR2019950002901U KR19950002901U KR960008274Y1 KR 960008274 Y1 KR960008274 Y1 KR 960008274Y1 KR 2019950002901 U KR2019950002901 U KR 2019950002901U KR 19950002901 U KR19950002901 U KR 19950002901U KR 960008274 Y1 KR960008274 Y1 KR 960008274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poon
barrel
case
support
horizont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5000290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60028314U (ko
Inventor
박종대
Original Assignee
박종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종대 filed Critical 박종대
Priority to KR2019950002901U priority Critical patent/KR960008274Y1/ko
Publication of KR960028314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028314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6000827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008274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5/00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 A47L15/42Details
    • A47L15/48Drying arrangements
    • A47L15/486Blower arrangement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5/00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 A47L15/42Details
    • A47L15/48Drying arrangements
    • A47L15/485Drying arrangements by using alternative heat sources, e.g. microwave or infrared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00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 A61L2/02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using physical phenomena
    • A61L2/08Radiation
    • A61L2/10Ultraviolet radia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9/00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 A61L9/015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using gaseous or vaporous substances, e.g. ozone
    • A61L9/02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using gaseous or vaporous substances, e.g. ozone using substances evaporated in the air by heating or combustion
    • A61L9/03Apparatus therefor
    • A61L9/032Apparatus therefor comprising a fan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2601/00Washing method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a particular treatment
    • A47L2601/10Ultraviolet radia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202/00Aspects relating to 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 A61L2202/10Apparatus features
    • A61L2202/11Apparatus for generating biocidal substances, e.g. vaporisers, UV lamp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Drying Of Solid Materials (AREA)

Abstract

요약없음

Description

평식기 건조기
제1도는 본 고안에 따른 평식기 건조기의 일실시예를 나타내는 사시도.
제2도는 제1도에 도시된 본 고안의 내부구조를 나타내는 정면도.
제3도는 본고안의 배면사시도.
제4도는 본고안의 주요구성장치부인 스픈통 요동수단의 일실시예를 나타내는 구조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케이스2 : 도어
3 : 물받이통4 : 수평지지대
5 : 수직지지대6 : 번호 및 성명표시부
7 : 스픈통7a : 가이드
7b : 스픈통지지대7c : 돌출봉
7d : 로드7e : 진동장치
8 : 물받이 경사부9 : 바퀴
10 : 후방도어11 : 자외선램프
12 : 히터13 : 콘트롤 장치부
14 : 팬
본고안은 평식기 건조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군대나 회사의 식당에서와 같이 많은 인원에게 집단급식을 하는 시설에서 적합하게 사용되는 평식기를 위생적으로 건조 보관하기 위한 평식기 건조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평식기는 대량 집단급식하는 시설에서 펀리하게 널리 사용되고 있는데, 이 평식기를 세척하고 보관할 경우에는 평식기가 여러개의 음식을 담는 홈이 형성되어 있는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동일형상으로 형성된 다수개의 평식기를 세척하여 물기가 묻어있는 상태로 적층시켜 보관한다.
상기와 같이 다수개의 평식기를 적충시켜 보관하기 때문에 많은량의 식기를 보관하는데는 편리함이 있었으나, 평식기에 묻어 있는 물기가 남아 있는 상태이고, 여러사람들이 자기고유의 식기가 아니고 공동으로 평식기를 사용하게 되므로 비위생적인 문제가 있었다.
한편, 상기와 같이 평식기에 물기가 묻어 있어 비위생적인 문제점을 간안하여 물기를 제거하기 위한 수단으로 평식기 보관대를 제작하여 사용하는 경우가 있는데, 이 경우에는 주로 군대에서 사용되는 것으로 함체형 틀체에 다수개의 수평지지대를 설치하고, 이 수평지지대 사이에는 다수개의 수직으로 다수개의 수직지지대를 설치하여 수직지지대 사이에 공간부에 평식기를 세로방향으로 슬라이드식으로 삽입시켜서 보관하였다.
이렇게 평식기를 세로 방향으로 보관하게 되므로 평식기에 묻어 있던 물기가 시간이 지남에 따라 흘러내리면서 식기를 건조시키도록 되었으며, 이 식기보관대는 전면이 개방되어 있어 자연풍과 태양광선에 의해 식기의 건조가 더욱더 용이 하도록 하면서 태양광선에 의한 살균효과를 볼수 있도록 하였다.
그러나, 이는 대부분 목재를 제작되어서 식기에 묻어 있는 물기가 자연낙하되면서 그 물기에 의해 목재로된 식기 보관대가 부패하기 되는 문제와, 건조시간이 많이 소요되는 문제, 그리고 전면이 개방되어 평식기에 먼지가 앉게 되어 비위생적인 문제를 지니고 있었다.
본고안의 상기와 같은 종래의 모든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한 것으로, 본고안의 목적으로 집단급식에 사용되는 평식기를 자외선과 열풍으로 위생적으로 건조시키면서 위생적으로 보관할 수 있는 평식기 건조기를 제공하는데 있다.
또한, 본고안의 다른 목적은, 많은 사람들이 사용하는 평식기를 개인적으로 자기 고유의 것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명판, 또는 번호표를 표시한 평식기 건조기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고안의 또다른 목적은, 스픈통을 진동시켜서 스픈통내의 스픈에 묻어 있는 물기를 단시간에 제거할 수 있는 평식기 건조기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고안에 의한 평식기 건조기는, 평식기가 수직방향으로 출입되도록 하는 것으로 함체형 케이스 내측에 이정 간격을 이격 시킨 상태로 수평설치되는 그릴형태의 다수개의 수평지지대 및, 수평지지대 사이에 일정 간격을 이격시킨 상태로 수직 설치되는 그릴형태로 형성된 다수개의 수직지지대와, 수평지지대 전면에 식기의 고유번호 및 성명을 표시하는 번호 및 성명표시부와, 수평지지대 최하단에 설치되어 스픈을 보관하는 것으로 진동수단을 구비한 적어도 1개이상의 스픈통과, 스픈통 하단에 설치되는 상광하협형태의 물받이 경사부와, 물받이 경사부 하측에 서랍식으로 설치되어 물을 받는 물받이 통과, 평식기 건조기의 이동이 가능하도록 케이스 하측 네모서리에 설치되는 스톱퍼 장치를 구비한 바퀴와, 케이스 전방에 개폐 자유롭게 설치되는 도어와, 케이스 후방으로 개폐토록 설치되어 내측에 단열재가 설치되고 자외선램프 및 히터가 설치된 후방도어와, 케이스 내부 천정에 설치되는 팬과, 상기 스픈통 진동수단 및 팬, 자외선램프, 히터를 제어하는 콘트롤 장치부로 구성되는 것에 본고안의 특징이 있다.
이하, 본고안에 따른 평식기 건조기의 일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1도 내지 제4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함체형 케이스(1)전방에는 내부가 들여다 보일수 있도록 하는 도어(2)가 개폐 자유롭게 설치되고, 도어(2)하단에는 물받이통(3)이 서랍식으로 설치된다.
도어(2)를 열고 그 내측을 보면 다수단으로 수평지지대(4)가 일정간격으로 배열설치되고, 수평지지대(4)사이에는 다수개의 수직지지대(5)가 수직 설치되어 수평지지대(4)와 수직지지대(5)사이의 공간부로 평식기를 수직 방행으로 출입시킬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상기 수평지지대(4)와 수직지지대(5)는 모두 녹이 슬지 않게 외부를 코팅한 철사나 스텐레스 스틸을 이용하여 그릴형태로 제작되어 있다.
특히, 수평지지대(4) 전면은 소정의 폭을 가지고 있으며, 이 소정폭을 가진 전면에 평식기의 고유번호 및 성명을 표시할 수 있는 번호 및 성명표시부(6)를 구비하고 있으며, 평식기에도 번호 및 성명표시부(6)와 동일한 번호나 성명을 기재하는 것도 바람직하다.
상기 다수의 수평지지대(4) 중 최하단의 수평지지대(4)하방에는 적어도 1개이상의 스픈통(7)이 진동수단에 의해 진동가능하게 설치되며, 스픈통(7)하방에는 식기에 묻어 있던 물기를 물받이통(3)으로 안내하는 물받이 경사부(8)가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케이스 하부 네모서리에는 본고안의 평식기 건조기(100)를 이동시킬 수 있는 바퀴(9)가 설치되며, 이 바퀴에는 스톱퍼장치(볼케스터)가 설치되어 있어 평식기 건조기를 필요한 장소로 위치 이동시킨 후 위치 고정시킬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제3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고안은 케이스(1) 후방에도 후방도어(10)가 개폐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는데, 이 후방도어(10)에는 평식기를 건조 살균시키기 위한 자외선 램프(11)와 히터(12)가 설치되어 있고, 이후방도어(10) 내측에는 단열재(도시생략)가 내장되어 있으며, 자외선 램프(11)와 히터(12)는 콘트롤장치부(13)의 회로에 의해 자외선 램프(11)와 히터(12)를 동시에 동작시킬 수도 있고 각기 개별적으로 동작시킬 수 있다.
또한, 본고안의 평식기 건조기(100)의 내부 천정 소정 위치에는 팬(14)이 설치되어 평식기의 건조를 가속화 시킬 수 있도록 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스픈통(7)은 제2도 및 제4도에 도시된 일실시예에서와 같이, 적어도 1개이상의 스픈통(7)이 출몰식으로 설치되는데, 이 스픈통(7)은 그릴형태로 형성되며 양측에 가이드(7a)를 구비한 스픈통지지대(7b) 또한 그릴형태로 형성되고 이 스픈통지지대에서 슬라이드식으로 출몰된다.
상기 스픈통지지대(7b)하부에는 소정길이의 돌출봉(7c)가 하향돌출되고, 이 돌출봉(7c)의 중앙부는 힌지 결합되어 있으며, 인접한 스픈통지지대(7b)의 돌출봉(7b) 하단부끼리 로드(7d)로서 연결되며, 이 로드 일측단에는 로드(7d)를 진동시켜 스픈통(7)을 진동시킬 진동장치(7e)가 설치된다.
상기 진동장치(7e)는 바이브레이터 또는 솔레노이드를 적용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같이 구성된 본고안의 작용효과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본고안의 평식기 건조기(100)를 사용할 경우에는 본고안의 도어(2)를 열은 뒤에 번호 및 성명표시부(6)에 표시된 고유번호나 성명을 보고 자기 고유의 평식기를 수평지지대(4)와 수직지지대(5)에 의해 형성되는 공간부에서 슬라이드식으로 거내어 식사를 할수 있고, 식사를 마치고 세척을 완료한 평식기는 고유번호에 맞는 위치에 평식기를 수직으로 삽입시켜 건조 보관할 수 있다. 이때 스픈은 스픈통(7)에 삽입 보관한다.
상기와 같이 평식기를 수직으로 삽입 보관시키게 되면 식기에 묻어 있던 물기가 아래로 흘러 내리게 되고 스픈통(7)에 놓여진 스픈에서도 물기가 아래로 흘러 내리게 된다.
이렇게 흘러 내리는 물기는 물받이 경사부(8)에 안내되면서 물받이 통(3)에 받혀지게 되고, 이 상태에서 콘트롤 장치부(13)를 목적하는 바대로 동작시키게 되면, 자외선 램프(11) 및 히터(12) 팬(14)이 동작되면서, 자외선 램프(11)에서 나오는 자외선과 히터(2)의 열기에 의해 평식기에 묻어 있던 물기가 건조되면서 살균된다.
이때, 팬(14)이 상측에서 하측으로 바람을 불어 주고 있어서, 평식기 사이의 공간부로 열풍을 강제 순환시켜 평식기 건조를 가속 시킨다. 상기 자외선 램프(11)와 히터(12)는 동시에 작동할 수도 있고 각기 개별적으로 동작될 수 있는데, 이는 콘트롤 장치부(13)를 셋팅시킴에 따라 목적하는 바대로 동작시킬 수 있다.
또한, 스픈통(7)은 진동수단에 의해 스픈통(7)이 흔들리게 되기 때문에 그 내측의 스픈이 함께 흔들리면서 스픈에 묻어 있는 물기를 보다 빠른 시간내 제거되게 된다.
상기 진동수단 및 자외선 램프(11), 히터(12), 팬(14)등은 콘트롤 장치부(13)에 의해 온, 오프 및 동작시간등이 정하여 지게 된다.
그리고, 장시간 사용시 히터(12)나 자외선램프(11)가 손상되어 이들을 교체시킬 경우에는, 본고안의 평식기 건조기(100)를 움직여 후방도어(10)가 열리도록 이동시킨 후에 후방도어(10)를 열고, 히터(12)나 자외선램프(11)를 용이하게 교체시킬 수 있다.
상기 본고안은 케이스(1) 하부에 스톱퍼 수단을 구비한 바퀴(9)가 설치되어 목적하는 바대로 평식기 건조기(100)를 위치 이동시킬 수 있음은 물론이고, 위치고정 또한 자유롭다.
상기 스픈통(7)의 진동은 제4도에서와 같이 솔레노이드나 바브레이터와 같은 진동장치(7e)의 이동에 의해 로드(7d)가 흔들리게 되고, 그 진동이 스픈통에 까지 전달되어 스픈통(7)내에 진동시킬 수 있어 스픈의 건조를 가속화시킬수 있다.
이상에서 살펴 본바와 같은 본고안은, 대략 집단 급식에 사용되는 평식기 및 스픈을 위생적으로 건조 보관, 살균시킬 수 있는 있으며, 고유번호 및 성명이 표시되어 있어 자기 고유의 평식기로만 식사할 수 있는 더욱더 위생적인 장점이 있다.
또한, 히터 및 자외선 램프를 교체 시킬 경우에는 많은 량의 평식기를 꺼내지 않고도 후방도어를 열어 교체시킬 수 있는 편리함과, 스톱퍼수단을 구비한 바퀴가 설치되어 평식기 건조기를 목적하는 바대로 어떤위치로 든지의 이동 및 고정이 자유로운 또다른 장점을 지닌 매우 실용적인 고안이다.

Claims (2)

  1. 집단급식에 사용되는 평식기 건조기를 구성함에 있어서, 평식기가 수직방향으로 출입되도록 하는 것으로 함체형 케이스(1) 내측에 다수단으로 수평설치 되는 그릴형태의 다수개의 수평지지대(4) 및, 수평지지대(4) 사이에 일정 간격을 이격시킨 상태로 수직 설치 그릴형태로 형성된 다수개의 수직지지대(5), 수평지지대(4) 전방에 식기의 고유번호 및 성명을 표시하는 번호 및 성명표시부(8), 수평지지대(4) 최하단에 설치되어 스픈을 보관하는 것으로 진동수단을 구비한 적어도 1개이상의 스픈통(7), 스픈통(7) 하단에 설치되는 상광하협형태의 물받이 경사부(8), 물받이 경사부(8) 하측에 서랍식으로 설치되어 물을 받는 물받이 통(3), 평식기 건조기의 이동이 가능하도록 케이스 하측 네모서리에 설치되는 스톱퍼 장치를 구비한 바퀴(9), 케이스(1) 전방에 개폐 자유롭게 설치되는 도어(2), 케이스(1) 후방으로 개폐토록 설치되며 내측에 단열재가 설치되고 자외선 램프(11) 및 히터(12)가 설치된 후방도어(10), 케이스(1) 내부천정에 설치되어 평식기 및 스픈의 건조를 가속화시키는 팬(14), 상기 스픈통진동수단 및 자외선램프(11), 히터(12), 팬(14)을 제어동작시키는 콘트롤 장치부(13)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평식기 건조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픈통(7)은 그릴 형태로 형성되어 양측에 가이드(7a)를 구비한 스픈통지지대(7b)에 슬라이드식으로 출몰되게 설치되고, 스픈통지지대 하부에 돌출봉(7c)이 햐향 돌출되며 이 돌출봉(7c)의 중앙부가 힌지 결합되어 있고 인접한 스픈통지지대(7b)의 돌출봉(7c)하단부끼리 로드(7d)로서 연결되고, 이 로드의 일측단에는 로드(7d)를 진동시켜 스픈통(7)내에 스픈에 묻은 물기를 신속히 제거할 수 있도록하는 진동장치(7e)가 설치되었으며, 상기 진동장치는 바이브레이터 또는 솔레노이드 인것을 특징으로 하는 평식기 건조기.
KR2019950002901U 1995-02-22 1995-02-22 평식기 건조기 KR960008274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50002901U KR960008274Y1 (ko) 1995-02-22 1995-02-22 평식기 건조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50002901U KR960008274Y1 (ko) 1995-02-22 1995-02-22 평식기 건조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28314U KR960028314U (ko) 1996-09-17
KR960008274Y1 true KR960008274Y1 (ko) 1996-09-25

Family

ID=1940822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50002901U KR960008274Y1 (ko) 1995-02-22 1995-02-22 평식기 건조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60008274Y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83242B1 (ko) * 2004-08-14 2006-05-25 (주)제이엠씨텍 가스절환장치를 갖는 의류건조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28314U (ko) 1996-09-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436352A (en) Kitchen furnishings
US5749317A (en) Pet litter cabinet
US3742838A (en) Vertical grill device
US3162495A (en) Table construction
US4192432A (en) Sidewall construction for silverware basket
CN106572759B (zh) 用于制冷食品台装置的覆盖装置以及具有这种覆盖装置的食品台装置
JPH05220037A (ja) 陳列ラック及びセルフサービス陳列ステーション
US3072452A (en) Dishwasher construction
US4384547A (en) Birdhouse cage
US4189631A (en) Hamburger bun storage device
US2897973A (en) Dish and utensil drier
US3855451A (en) Food heating and warming cabinet
CN110420341B (zh) 一种用于消毒柜的筷子容器及应用有该筷子容器的消毒柜
KR960008274Y1 (ko) 평식기 건조기
US1625202A (en) Toothbroush cabinet
JP5153234B2 (ja) キッチン用昇降式吊戸棚
US2827876A (en) Poultry feeder
US1595791A (en) Cabinet for beauty parlors
US5361684A (en) Apparatus for heating and/or cooking foods in water
US2284225A (en) Dispensing cabinet
KR200168752Y1 (ko) 자외선 살균장치
KR20200069456A (ko) 주방용 복합 자외선 소독기
KR200178709Y1 (ko) 주방용품 살균 건조기의 선반 어셈블리
US2232400A (en) Marshmallow toaster
KR200497472Y1 (ko) 사우나용품 공급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10312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