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60008097B1 - 디스플레이 유니트에 텍스트를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디스플레이 유니트에 텍스트를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60008097B1
KR960008097B1 KR1019870010533A KR870010533A KR960008097B1 KR 960008097 B1 KR960008097 B1 KR 960008097B1 KR 1019870010533 A KR1019870010533 A KR 1019870010533A KR 870010533 A KR870010533 A KR 870010533A KR 960008097 B1 KR960008097 B1 KR 96000809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xt
subfield
display unit
control
character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7001053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80003750A (ko
Inventor
권터 게르트-요아힘
Original Assignee
지멘스 악티엔게젤샤프트
휘리쉬, 네레부 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지멘스 악티엔게젤샤프트, 휘리쉬, 네레부 쉬. filed Critical 지멘스 악티엔게젤샤프트
Publication of KR88000375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8000375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6000809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00809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1/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cathode-ray tube indicators; General aspects or details, e.g. selection emphasis on particular characters, dashed line or dotted line generation; Preprocessing of data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40/00Handling natural language data
    • G06F40/10Text processing
    • G06F40/103Formatting, i.e. changing of presentation of documents
    • G06F40/106Display of layout of documents; Preview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40/00Handling natural language data
    • G06F40/10Text processing
    • G06F40/166Editing, e.g. inserting or delet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Remote Sensing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rtificial Intelligence (AREA)
  • Audiology, Speech & Language Pathology (AREA)
  • Computational Linguist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ntrols And Circuits For Display Device (AREA)
  • Control Of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 Ray Tube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디스플레이 유니트에 텍스트를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제1도는 본 발명을 실현하는 텍스트 디스플레이장치를 구비한 텍스트 스테이션의 블록 회로도.
제2-4도는 디스플레이 유니트에서 조합된 제어문자를 갖고 있는 텍스트의 여러 디스플레이를 보여주는 각각의 개략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ST : 제어유니트 DB : 데이터버스
LA : 라인 매칭유니트 FL : 트렁크라인
TA : 키이보드 NS : 메시지 기억장치
SP : 기억장치 PS : 주변 기억장치
DR : 프린터 AE : 디스플레이 유니트
BF : 스캐닝된 필드 T,TS : 키이
T1,T2,Z : 서브필드 SM1,SM2 : 커소르
본 발명은 디스플레이 유니트에 텍스트를 디스 플레이하는 방법과 장치에 관한 것이다.
디스플레이 유니트에 조합된 제어문자를 갖는 텍스트를 디스플레이하기 위해서, 정상상태 동안에는 데이터 터미널의 스크린상에 알파뉴매릭 텍스트 및/또는 그래픽패턴을 디스플레이하고 테스트상태 동안에는 심볼로 제어문자(정상적으로 디스플레이 또는 것이 불가능함)를 디스플레이하는 것이 독일 특허 명세서 OS 31 04 075에 공지되어 있다.
제어문자를 디스플레이하는 상기 공지된 방법은 디스플레이에 각 문자, 즉 알파 뉴매릭 문자, 그래픽문자 또는 제어문자를 위한 분리된 문자 위치가 갖추어져 있을 때 유리하게 된다. 그러나, 만약 이런 디스플레이가 필요치 않고 문자위치가 디스플레이될 수 있는 상기 문자와 중간 스페이스에만 제공된다면 예를들어 텔레 프린터 텍스트 스테이션에서 통상 실시되고 있는것과 같이 상기 방법으로 디스플레이 유니트에 제어문자를 디스플레이하는 것은 불가능하다. 더욱이 정상 동작상태에서 포맷화된 텍스트의 디스플레이와 제어문자를 갖고 있는 텍스트의 디스플레이는 일치하지 않을 것이다. 왜냐하면, 그래픽 이미지는 완전히 변할 수 있고 그리고 조작자는 스스로 디스플레이에 적용시키는 것이 어렵다는 것을 발견할 수 없기 때문이다.
독일 특허명세서 OS 32 44 115에는 텍스트 및 조합된 제어문자를 디스플레이하는 방법이 발표되어 있는데, 여기서 그래픽 이미지는 변하지 않는다. 이 공지된 방법에서, 디스플레이 유니트상의 각 문자위치를 확인하는 커소르는 어떤 제어문자가 커소르에 의해 확인되는 문자위치에 앞서서 배치되는지 또는 그렇지 않은지에 따라서 그 형태를 변화시킨다.
상기 공지된 방법은 여러 제어문자를 디스플레이하는 매우, 간단한 방법을 제공한다. 그러나, 만약 다수의 제어문자가 연속해서 나타난다면, 상기 방법은 조작자의 편에서는 매우 높은 주의를 요하게 된다. 이러한 주위는 제어문자의 결합이 특별하게 부가된 의미를 나타낼 경우에 특히 필요하게 된다.
본 발명의 목적은 조합된 제어문자를 갖는 텍스트를 디스플레이하는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으며, 이에의해 텍스트 및 제어문자 모두가 간단한 방식으로 인식될 수 있게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하나의 양상에 따르면 디스플레이 유니트상에 텍스트를 디스플레이하는 방법이 제공되는데, 상기 방법은 디스플레이 유니트의 스캐닝된 필드를 제1의 서브필드와 제2의 서브필드로 분할하고 적어도 일부의 실제 텍스트를 그것의 출력형태대로 제1의 서브필드에 디스플레이하고 그리고 조합된 제어문자와 함께 텍스트를 제2의 서브필드에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양상에 따르면, 디스플레이 유니트상에 텍스트를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장치가 제공되는데, 상기 장치는 스캐닝된 필드에 디스플레이를 제공하기 위한 배열된 디스플레이 유니트, 디스플레이 유니트의 스캐닝된 필드를 제1의 서브필드와 제2의 서브필드로 분할하기 위한 수단, 적어도 일부의 실제 텍스트를 그것의 출력형태대로 제1의 서브필드에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수단, 그리고 조합된 제어문자와 함께 텍스트를 제2의 서브필드에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한다.
원하는 것을 편집하기 위해서 디스플레이 유니트에 방위를 결정하는 것은 커소르에 의해 이루어지는데, 이 커소르는 각 경우에 있어서 조합된 제어문자를 갖추고 있는 텍스트의 하나의 문자위치에 디스플레이 된다. 동시에 커소르는 실제 포맷화된 텍스트의 상응하는 문자위치에 디스플레이 될 수 있다.
가능한한 처리될 텍스트의 상기 부분들을 디스플레이 유니트의 스캐닝된 필드의 그 부분에 확실히 나타내지도록 하기 위해서는 디스플레이 유니트 상에서 서로 독립적으로 텍스트를 스크롤(scroll) 시키는 것이 다소 편리하다. 제어문자를 갖추고 있는 텍스트의 편집은 한번에 단지 한 문자만이 수행된다. 텍스트에서의 각 변화는 새로운 이미지구조를 형성함으로서 포맷화된 텍스트이 있을수 있는 유실은 스캐닝된 필드의 제1의 부분에서 즉시 인식될 수 있다. 키이보드는 오입력이 방지되도록 이미지가 새로이 구성될때까지 잠겨져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제, 본 발명의 실시예가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설명될 것이다.
제1도를 참조하면, 예를들어 라틴어 대본과 아라비아어대본의 2개 언어에 대해 동작하기 위한 텔레프린터로서 설계된 텍스트 스테이션은 제어유니트(ST)를 포함하는데, 이 제어유니트에는 데이터버스(DB)를 통해 다수의 유니트가 결정된다. 상기 유니트들은 텍스트 스테이션을 원거리통신 트렁크라인(FA)에 연결시켜주는 라인매칭유니트(LA), 키이보드(TA), 메시지기억장치(NS)를 구비한 기억장치(SP), 예를들어 종이테이프 편칭장치 또는 플로피디스크 구동장치와 같은 주변기억장치(PS), 프린터(DR), 그리고 래스트-스캐닝 디스플레이유니트(AE)로 이루어져 있다. 키이보드(TA) 또는 주변기억장치에 의해 입력된 텍스트, 메시지 기억장치(NS)에 기억된 텍스트 또는 트렁크라인(FL)을 통해 수신된 텍스트는 디스플레이유니트(AE)의 래스터 스캐닝된 필드(BF)에 공지된 방법으로 디스플레이 된다.
텍스트가 편집되고 그리고 특히 제어문자가 변화되려면, 경우에 따라 적당한 메뉴의 호출에 이어서 키이(T)는 키이보드(TA)에서 작동되고 제어유니트(ST)는 스캐닝된 필드를 2개의 서브필드(T1) 및 (T2)로 분할하는데, 텍스트는 전과같은 그것의 실제 형태대로, 즉 동일한 그래픽이미지를 사용하여, 상부 서브필드(T1)에 디스플레이되고 그리고 그것의 조합된 제어문자를 갖는 텍스트가 하부 서브필드(T2)에 디스플레이된다. 제어문자는 심볼로 편리하게 표시되고 그리고 이 심볼이 문자위치를 요할 때, 텍스트의 그래픽이미지는 서브필드(T2)에서 변화된다. 텍스트가 스캐닝된 필드(BF) 상에서 2번 디스플레이될 때, 텍스트의 길이에 따라서 텍스트는 단지 서브 필드(T1) 및 (T2)에서 부분적으로만 디스플레이 될 수 있다.
편집될 텍스트의 부분은 텍스트의 서로 상응하는 부분을 표시하는 커소르(SM1) 및 (SM2)에 의해 확인된다. 커소르(SM1) 및 (SM2)는 키이보드(TA)의 키이(TS)에 의해 제어된다. 키이(T) 및 (TS)에 부가해서 키이보드(TA)는 공지된 방법으로 알타 뉴메틱 키이와, 경우에 따라서 서로다른 대본간의 프린트-출력을 전환하기 위한 키이를 포함한다.
제2도에서, 메시지 기억장치(NS) 또는 주변 기억장치(PS)는 위에서 아래로 숫자 1-7을 차례로 포함하는 텍스트를 기억하고, 그리고 라틴문자 A, 3개의 아라비아문자, 그리고 라틴문자 B로 이루어진 텍스트가 숫자 3과 4 사이에 삽입되어 있다고 가정한다. 정상동작 상태에서 상기 텍스트는 디스플레이 유니트(AE)의 스케닝된 필드(BF)상에 전부 디스플레이 된다. 하지만, 편집상태에서는 스캐닝된 필드(BF)가 2개의 서브필드(T1) 및 (T2)로 분할되기 때문에 단지 일부의 텍스트만이 디스플레이 될 수 있다. 서브필드(T2)는 동일한 텍스트를 디스플레이 하지만 제어문자를 갖추고 있으며, 이 제어문자는 다음의 표에 제시된 의미를 갖는다.
Figure kpo00001
제어문자 캐리지복귀와 줄바꾸기는 각 숫자와 문자 A앞에 삽입된다. 또한, 숫자시프트문자는 숫자 1앞에 삽입되고, 문자시프트문자는 문자 A 앞에 삽입된다. 아라비아어문자가 오른쪽에서부터 왼쪽으로 프린트될 때 3개의 스페이스문자는 문자 A 다음에 입력되었고, 아라비아어대본으로의 전환은 제어문자 문자 시프트, 숫자시프트, 결합 32 및 문자시프트 의 순서에 의해 실행되었다. 그다음, 3개의 아라비아어문자가 입력되었고, 이것은 그것의 기본형태로 서브필드(T2)에 디스플레이되는 반면 단어에서의 그것의 위치에 의존하는 그것의 정확한 형태로 서브필드(T1)에 디스플레이 된다. 아라비아어문자와 입력후, 시프트문자 문자시프트 결합 32, 숫자시프트 및 문자시프트의 조합에 의해 라틴어대본으로 전환된다. 아라이바어문자에 이어 라틴문자를 왼쪽으로부터 오른쪽으로 재프린트 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3개의 스페이스문자 삽입되었다 문자 B 다음에 시프트문자 캐리지복귀와 줄바꾸기에 이어서 숫자시프트가 다시 실행되어 숫자 4-7이 표시된다.
스캐닝된 필드(BF)의 또다른 서브필드(Z)에서 문자 LAT 또는 ARA는 텍스트 스테이션이 현재 라틴어대본의 디스플레이를 위한 상태에서 동작하고 있는지 또는 아라비아어대본의 디스플레이를 위한 상태에서 동작하고 있는지를 나타낸다.
커소르(SM1) 및 (SM2)는 각 경우에 숫자 1밑에 위치되고, 서브필드(T2)에서 제어문자의 디스플레이로 인하여 텍스트의 그래픽이미지가 상당히 변할 때 서브필드(T1) 및 (T2)의 여러위치에 위치된다.
제3도에서, 숫자 1앞에서의 제어문자 숫자시프트는 제어문자 문자시프트로 변화되어야 하는데, 이를 위해서 커소르(SM2)는 적당한 위치에 배열되더라는 것이 추정된다. 제어문자 숫자시프트를 제어문자 문자시프트로 변화한후, 서브필드(T1)과 서브필드(T2)에서 숫자 1-3은 문자 Q,W 및 E로 변화된다. 서브필드(T2)에 있는 조합된 제어문자를 갖는 텍스트의 나머지부분은 점으로 표시되어 있으며, 제2도에 디스플레이된 제어문자를 갖는 텍스트와 일치한다.
만약 커소르(SM1) 및 (SM2)가 서브필드(T1) 및 (T2)에서 각각 아래로 움직인다면 조합된 텍스트는 위로 스크롤되고 처리될 상기 부분들은 가능한한 항상 서브필드(T1) 및 (T2)의 중심에서 보이게 된다.
제4도는 커소르(SM1)가 문자 A로 움직일 때, 서브필드(T1)에서의 텍스트는 한라인 위로 스크롤되므로 문자 Q가 보이지 않게되는 대신에 숫자 5가 보이게 되는것을 설명한다. 이때 서브필드(T2)의 디스플레이에서는 어떤변화도 일어나지 않는다.
제어문자를 갖추고 있는 텍스트의 편집은 단지 한문자씩만 실행될수 있다. 어떤 변화는 새로운 이미지를 구성하므로 서브필드(T1)에 있는 실제 텍스트의 있을 수 있는 유실을 즉시 인식한다. 키이보드(TA)는 키이보드의 입력이 잘못되지 않도록 새로운 이미지가 구성될때까지 잠겨져 있게 된다.
위에서 설명된 방법 및 장치는 조작자가 텍스트의 편집을 가능하게 해주는 포맷화된 텍스트에 매우 쉽게 적응할 수 있다는 이점을 갖는다. 특히, 상기 방법은 각 제어문자의 결합이 각 제어문자의 의미의 합과 다른 새로운 의미를 나타낼 때 적당하다. 예를들면, 텔렉스 전송에서 제어문자 Bu, Zi 및 K32의 연속은 라틴어대본의 표시와 아라비아어대본의 표시 사이의 시프트를 나타내기 위해 사용된다.
디스플레이 유니트의 스캐닝된 필드의 한 부분에서 제어문자를 갖는 텍스트의 부가적인 디스플레이하는 텍스트 스테이션에 있는 키이보드의 특수키이에 의해 또는 디스플레이 유니트상에 디스플레이되는 메뉴로 부터의 선택에 의해 실행될 수 있다.
만약 텍스트가 예를들어 아라비아어대본과 같은 그래픽모드로 입력되고 문자의 형태가 단어에서 그것의 위치에 따라 변화한다면, 제어문자를 갖추고 있는 텍스트의 디스플레이에서 각 문자는 단지 그것의 기본입력 형태로만 디스플레이 된다.

Claims (15)

  1. 디스플레이 유니트에 텍스트를 디스플레이하는 방법으로서, 디스플레이 유니트의 스캐닝된 필드를 제1의 서브필드와 제2의 서브필드로 분할하고, 적어도 일부의 실제 텍스트를 그것의 출력 형태대로 제1의 서브필드에 디스플레이하고 그리고 조합된 제어문자와 함께 텍스트를 제2의 서브필드에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로 이루어진 디스플레이 유니트 텍스트를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제2의 서브필드에서 커소르가 조합된 제어문자를 갖추고 있는 텍스트의 한 문자위치에서 디스플레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커소르가 제2의 서브필드에서 디스플레이되는 것과 동시에, 제1의 서브필드에서 텍스트에서의 문자 위치와 제2의 서브필드에서의 제어문자에 상응하는 실제 텍스트의 문자 위치에서 디스플레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4. 전기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실제 텍스트 및 제어문자를 갖고 있는 텍스트는 2개의 서브필드에서 서로 독립적으로 스크롤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5. 제4항에 있어서, 실제 텍스트 및 제어문자를 갖고 있는 텍스트는 각 경우에 커소르에 의해 확인된 문자 위치가 눈에 보이게 한 방식으로 스크롤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6. 제1,2또는 제3항에 있어서, 제어문자를 갖는 텍스트에서의 각각의 변화에 따라 새로운 이미지가 스캐닝된 필드에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키이보드가 각각의 이미지의 재구성 동안 잠겨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8. 제1,2 또는 3항에 있어서, 상태 디스플레이가 스캐닝된 필드의 또다른 서브필드에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9. 제1,2 또는 3항에 있어서, 아라비아에 대본의 문자가 제1의 서브필드에 디스플레이된 텍스트에서는 그것의 필요로 되는 형태대로 디스플레이되고 조합된 제어문자를 갖는 텍스트에서는 그것의 기본 입력 형태대로 제2의 서브필드에 디스플레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0. 디스플레이 유니트에 텍스트를 디스플레이 하기 위한 장치로서, 스캐닝된 필드상에 디스플레이를 제공하기 위한 설치된 디스플레이 유니트, 디스플레이 유니트의 스케닝된 필드를 제1의 서브필드와 제2의 서브필드로 분할하기 위한 수단, 적어도 일부의 실제 텍스트를 그것의 출력 형태대로 제1의 서브필드에 디스플레이 하기 위한 수단 그리고 조합된 제어문자와 함께 텍스트르 제2의 서브필드에 디스플레이 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유니트에 텍스트를 디스플레이 하기 위한 장치.
  11. 제10항에 있어서, 디스플레이 유니트는 제어유니트를 포함하는 텍스트 스테이션의 일부분을 형성하고, 이 제어유니트는 예정된 동작상태를 세팅한 후 제1의 서브필드에 실제 요구되는 출력 텍스트를 표시하고 그리고 제2의 서브필드에 조합된 제어문자를 갖는 텍스트를 디스플레이하는 식으로 스캐닝된 필드상의 디스플레이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2. 제11항에 있어서, 키이보드 상에서 적당한 키이를 작동한 후, 제어 유니트가 제2의 서브필드에 있는 조합된 제어문자를 갖는 텍스트의 적당한 위치에 커소르를 디스플레이 하도록 배열된 키이보드가 텍스트 스테이션에 제공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3. 제12항에 있어서, 제어 유니트가 제1의 서브필드에서 실제 텍스트의 지정된 위치에 커소르를 동시에 디스플레이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4. 제12항 또는 제13항에 있어서, 조합된 제어문자를 갖는 텍스트에서의 각각의 변화후, 제어 유니트가 키이보드를 잠그고, 해제되기 전에 스캐닝된 필드에서의 텍스트를 재구성해서 디스플레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5. 제11항에 있어서, 제어유니트가 마이크로 컴퓨터를 포함하고, 프로그램으로 제어되는 방식으로 2개의 서브필드에 텍스트를 디스플레이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KR1019870010533A 1986-09-23 1987-09-23 디스플레이 유니트에 텍스트를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KR96000809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86-3632250 1986-09-23
DE3632250.4 1986-09-23
DE3632250 1986-09-23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80003750A KR880003750A (ko) 1988-05-30
KR960008097B1 true KR960008097B1 (ko) 1996-06-19

Family

ID=631012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70010533A KR960008097B1 (ko) 1986-09-23 1987-09-23 디스플레이 유니트에 텍스트를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EP (1) EP0262548B1 (ko)
KR (1) KR960008097B1 (ko)
DE (1) DE3770234D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9112779U1 (ko) * 1991-10-14 1991-12-05 Siemens Ag, 8000 Muenchen, De
DE19850578C1 (de) * 1998-11-03 2000-03-09 Honeywell Sa Temperatur-Meßumforme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0262548B1 (de) 1991-05-22
KR880003750A (ko) 1988-05-30
EP0262548A1 (de) 1988-04-06
DE3770234D1 (de) 1991-06-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124843A (en) Multi-lingual input keyboard and display
US4491933A (en) Word processor
US4173753A (en) Input system for sino-computer
EP0089468A1 (en) Abbreviated typing with special form display
GB2100095A (en) Telephone apparatus capable of inputting character data
US4507734A (en) Display system for data in different forms of writing, such as the arabic and latin alphabets
US4203102A (en) Character display system
GB1593020A (en) Information display apparatus
KR860001012B1 (ko) 표의문자 코딩장치
KR960008097B1 (ko) 디스플레이 유니트에 텍스트를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GB2057973A (en) Input system for sino-computer
US7508379B2 (en) Screen controlling apparatus
JPS62274360A (ja) ワ−ドプロセツサ
KR890007155A (ko) 문자 입력 방법 및 장치
JPH0227150B2 (ko)
JP2020047167A (ja) 印刷データ生成装置、印刷データ生成装置の印刷データ生成方法、プログラム、テープ印刷装置およびテープ印刷システム
GB1419048A (en) Data handling system having a plurality of interrelated character generators
KR890002957B1 (ko) 한글 문자 입력장치
EP0335644A2 (en) Text processing device
WO1980000105A1 (en) System for selecting graphic characters phonetically
US6133899A (en) Printing device for displaying a title of a stored text
JPS6043730A (ja) 文書レイアウト表示装置
CA1195787A (en) Process for the representation of control symbols on a screen of a display device
JPH0778049A (ja) キャラクタ入力および表示装置
JPS62105265A (ja) ワ−ドプロセツサ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ORF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