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60007512Y1 - 파워 엠프를 이용한 전화 인터페이스 회로 - Google Patents

파워 엠프를 이용한 전화 인터페이스 회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60007512Y1
KR960007512Y1 KR2019930026309U KR930026309U KR960007512Y1 KR 960007512 Y1 KR960007512 Y1 KR 960007512Y1 KR 2019930026309 U KR2019930026309 U KR 2019930026309U KR 930026309 U KR930026309 U KR 930026309U KR 960007512 Y1 KR960007512 Y1 KR 96000751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gnal
circuit
interface circuit
power amplifier
pulse genera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3002630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50021891U (ko
Inventor
김성호
Original Assignee
대우전자 주식회사
배순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우전자 주식회사, 배순훈 filed Critical 대우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19930026309U priority Critical patent/KR960007512Y1/ko
Publication of KR950021891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50021891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6000751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007512Y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6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including speech amplifiers
    • H04M1/6016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including speech amplifiers in the receiver circui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9/00Current supply arrangements for telephone systems
    • H04M19/02Current supply arrangements for telephone systems providing ringing current or supervisory tones, e.g. dialling tone or busy tone
    • H04M19/04Current supply arrangements for telephone systems providing ringing current or supervisory tones, e.g. dialling tone or busy tone the ringing-current being generated at the substati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Abstract

요약없음

Description

파워 엠프를 이용한 전화 인터페이스 회로
제1도는 본 고안에 따른 회로도
제2도는 본 고안에 따른 타이머 회로의 상세 회로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전화기200 : 인터페이스 회로
300 : 파워앰프400 : 프리앰프
500 : 스피커21 : 정류회로
22 : 레귤레이터23 : 톤디코더
24 : 레귤레이터25 : 제2펄스발생기
26 : 제2펄스발생기27 : 레귤레이터
28 : 타이머 회로29 : 차임발생 회로
Q1∼Q2: 트랜지스터NAND1∼NAND3: 낸드 게이트
D : 다이오드C1∼C2: 콘덴서
R1∼R2: 저항R3: 가변저항
본 고안은 전화 착신을 인식하여 안내 방송을 수행함과 아울러 전화 라인을 통하여 상대방을 직접 호출하여 전화통화를 할 수 있도록 한 파워앰프를 이용한 전화 인터페이스 회로에 관한 것이다.
우선 파워앰프에 대하여 대략적으로 설명하면, 파워앰프는 스피커와 연결되어진 메인앰프에 다수의 프리앰프가 연결되어진 구성을 일컬으며, 상기 프레엠프에는 마이크와 헤드폰 및 기타 외부로부터 신호가 입출력되어지는 단자가 각각 구성되어져 프리앰프를 통해 입력된 신호를 메인앰프에서 증폭시켜 스피커로 출력시키거나 메인앰프에서 처리한 신호를 프리앰프를 통하여 외부기기에 출력하도록 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가정이나 사무실 및 공장에서 사용하는 전화기는 발신자가 전화를 걸면 착신자가 이를 수신자와 전화통화를 하였으며 특히 사무실이나 공장같이 하나의 전화를 다수인이 사용하거나 교환대를 거쳐 전화통화를 해야 할 경우에는 전화기 인근에 있는 사람이 전화를 수신하여 발신자가 통화하고자 하는 자르르 확인한 후 전화기로부터 가까이 혹은 멀리 떨어져 있는 자를 찾아서 전화통화를 할 수 있도록 해야함으로 대단히 번거로웠다.
특히 전화기와 작업자가 모두 멀리 떨어져 있는 경우에는 전화를 받기 위하여 전화기가 설치된 곳에 와서 통화하고자 하는 사람을 확인해야 하고, 이어 확인된 사람에게 이를 통보하여 전화통화를 할 수 있도록 해야 함으로 작업에 지장을 초래함은 물론이고 전화통화가 길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고안된 것으로, 전화 착신신호를 인식하여 일정 시간동안 안내 방송을 실시하고, 안내 방송에 이어 전화 라인을 통하여 발신자가 직접 상대방을 호출하여 전화통화를 할 수 있도록 하는 파워앰프를 이용한 전화 인터페이스 회로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특히 본 고안은 안내 방송과 전화 라인을 통한 호출시간을 타이머 회로를 이용하여 임의로 조절할 수 있도록 하는 파워앰프를 이용한 전화 인터페이스 회로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하 본 고안의 구성 및 동작효과를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고안은 제1도에서와 같이 전화 라인(Tel Line)에 전화기(100)가 연결되어 구성되어진 전화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전화 라인을 통해 입력되는 전화착신음을 인식하여 챠임신호를 발생시킴과 아울러 전화 라인을 통한 음성신호를 후단에 인가시키는 인터페이스 회로(200)와, 상기 인터페이스 회로(200)의 챠임신호와 음성신호 출력을 증폭시켜 프리엠프(400)를 통해 스피커(500)로 출력시키는 파워앰프(300)로 구성된다.
여기서 인터페이스 회로(200)에는 정류회로(21)를 통한 착신신호를 인식하여 구동 펄스를 발생시키는 제2펄스발생기(25)와, 상기 제2펄스발생기(25)의 구동 펄스에 의해 구동하여 트랜지스터(Q1)의 구동을 제어하는 트랜지스터(Q2)와, 상기 트랜지스터(Q2)와, 상기 트랜지스터(Q2)의 구동에 연동하여 정류회로(21)를 통한 음성신호를 파워앰프(300)에 인가시키는 트랜지스터(Q1)가 구비되어 스피커(500)로 음성신호를 출력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또한 인터페이스 회로(200)에는 착신 신호에 의해 스위칭되는 트랜지스터(Q2)(Q1)를 통해 입력되는 착신신호를 인식하여 제1펄스발생기(26)를 구동시키는 톤디코더(23)와, 상기 톤대코더(23)에 의해 구동하여 구동 펄스를 발생시키는 제1펄스발생기(26), 상기 제1펄스발생기(26)의 구동 펄스에 위해 챠임신호를 출력시키는 챠임 발생기(29)가 구비되어 스피커(500)로 챠임신호를 출력할 수 있도록 되어있다.
그리고 상기 인터페이스 회로(200)에는 제2펄스발생기(25)의 구동시간을 제한하는 타이머 회로(28)를 구성시키되 상기 타이머 회로(28)는 제2도에서와 같이 타이머 회로(28)의 설정시간을 콘덴서(C2)와 저항(R2) 및 가변저항(R3)에 의해 설정되는 시정수에 의해 결정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은 전화 라인(Tel Line )과 연결되어진 전화기(100)와 파워앰프(300) 사이에 인터페이스 회로(200)가 구성되어져 있지 않을 경우에는 전화 라인(Tel Line )을 통하여 전화 착신이 이루어지면 전화기(100)에 구비되어 있는 송수화기를 들어 전화통화를 할 수 있다.
그리고 전화 라인(Tel Line )과 파워앰프(300) 사이의 인터페이스 회로(200)가 작동되면 전화 라인(Tel Line)을 통한 음성신호를 스피커(500)로 출력시키게 된다.
즉, 전화 라인(Tel Line )을 통하여 착신신호가 전화기(100)와 정류회로(21)에 입출력되어지면 정류회로(21)에서는 이를 정류시켜 레귤레이터(24)와 제2 펄스발생기(25)에 각각 인가시켜 레귤레이터(24)와 제2펄스발생기(25)를 구동시킨다.
구동된 제2펄스발생기(25)에서는 구동 펄스를 발생시켜 트랜지스터(Q2)의 베이스측과 타이머 회로(28)에 인가한다.
그리하여 트랜지스터(Q2)가 제2펄스발생기(25)의 구동 펄스에 의해 턴온됨에 따라 트랜지스터(Q2)의 콜렉터에 베이스측이 연결되어진 트랜지스터(Q1) 역시 턴온상태를 유지함으로 정류 회로(21)를 통한 착신신호나 음성신호가 톤디코더(23)에 인가된다.
이때 본디코더(23)에서는 트랜지스터(Q1)를 통한 착신신호를 검출하여 펄스발생기 1(26)의 구동을 제어하게 되며, 제1펄스발생기(26)에서 발생한 구동펄스는 타이머 회로(28)에 유입되어 제2펄스발생기(25)에서의 출력과 함께 타이머 회로(28)를 구동(스타트)시키는 한편 레귤레이터(27)를 통하여 출력되는 전원은 챠임발생기(29)에 인가되어 챠임발생기(29)를 고동시킨다.
이같이 제1펄스발생기(26)와 제2펄스발생기(25)의 고동 펄스에 챠임발생기(29)의 챠임신호는 파워앰프(300)를 거쳐 증폭되어진 후 다시 프리앰프(400)을 통해 증폭되어져 스피커(500)로 출력된다.
그리고 정류회로(21)를 통해 유입되어지는 음성신호는 트랜지스터(Q1)을 거쳐 파워앰프(400)로 출력되어지므로 스피커(500)에서는 파워앰프(300)와 프리앰프(400)에 의하여 증폭되어진 음성신호가 출력되어진다.
이때 파워앰프(300)와 프리앰프(400)를 통하여 증폭되어 스피커(500)로 출력되는 음성신호와 챠임신호는 타이머(28)의 설정시간에 의해 결정되는데 타이머 회로(28)에 설정되어진, 시간은 예시도면 제2도에 도시되어진 저항(R2)과 가변저항(R3) 및 콘덴서(C2)에 의해 결정되어져 제2펄스발생기(25)의 구동을 차단한다.
즉 착신음이 정류회로(21)에 인가되면 콘덴서(C1)에 충전후 낸드베이트(NAND1)에 인가되어 낸드게이드(NAND1)가 로우레벨이 되고, 이때 제1펄스발생기(26)에 연결되어 있는 낸드게이드(NAND3)의 입력단자에는 착신음 도래시 하이신호가 인가되어 있는 상태이므로 그 출력단에서는 하이신호가 출력되어 내드게이드(NAND3)에서는 하이신호가출력된다.
그리하여 전원공급 및 음성출력이 가능한 상태로 된다. 이와 동시에 콘덴서(C2)에서는 충전작용이 이루어진다.
한편 어느정도의 시간이 경과되면 콘덴서(C1)가 방전되어 낸드게이트(NAND1)의 출력이 하이레벨이 되고, 이때 충전된 콘덴서(C2)가 가변저항(R3)에 의해 방전되어 낸드게이트(NAND3)의 출력이 하이레벨이 됨으로써 낸드베이트(NAND2)의 출력이 로우레벨로 떨어진다. 이에 따라 트랜지스터(Q2)가 오프되고 결국 트랜지스터(Q1)도 오프되어 스피커(500)측으로의 출력은 차단된다.
이와 같이 즉 타이머 회로(28)에서는 저항(R2)과 가변저항(R3)과 콘덴서(C2)에 의해 설정되어진 설정 시간 동안 제2펄스발생기(25)를 구동시켜 트랜지스터(Q2)의 베이스측에 구동 펄스를 출력시킬 수 있도록 하고 설정 시간이 경과하면 제2발생기(25)의 구동을 정지시켜 제2펄스발생기(25)의 구동펄스 출력을 차단시켜 트랜지스터(Q2)를 턴오프시킴으로 음성신호 및 챠임신호출력을 차단한다.
이같은 본 고안의 인터페이스 회로(200)는 교환대를 거쳐 챠임신호 및 음성신호를 출력시키는 경우와 교환대를 거치지 않고 직접 전화기에 구성되어진 인터페이스 회로(200)를 통해 챠임신호 및 음성신호를 출력시키는 경우를 보면 먼저 교환대(대표전화)의 전화번호만을 알고 있을 때에는 교환대에 전화를 걸어 필요한 부서나 사람을 찾은 후 그 곳에 설치된 인터페이스 회로(200)를 이용하여 통화하고자 하는 사람을 챠임신호와 음성신호로 찾아 전화통화를 할 수 있으며, 이와는 달리 교환대가 있으나 찾는 사람의 전화번호를 알고 있을 때 에는 상대방에게 직접 전화를 건 후 챠임 신호와 음성 신호로 상태방을 호출하여 전화통화를 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전화기와 파워앰프사이에 인터페이스 회로를 구성시켜 전화기로 인가되는 착신 신호를 인터페이스 회로에서 인식하여 파워앰프를 통해 스피커로 챠임신호를 출력시키는 한편 전화 라인을 통한 음성신호를 파워앰프에서 증폭시켜 스피커로 출력시켜 상대방을 호출하여 전화통화를 함으로써 여러번의 교환을 거쳐 상대방과 연결되는 불편함이 줄어들고 이에 따라 통화연결에 소요되는 시간을 줄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5)

  1. (정정) 전화라인(TEL LINE)을 통해 전화 착신을 인식하여 챠임신호를 발생시킴과 아울러 전화라인을 통한 음성신호를 후단에 인가시키는 인터페이스 회로(200)와, 상기 인터페이스 회로(200)의 챠임신호와 음성 신호 출력을 증폭시켜 프리앰프(400)를 통해 스피커(500)로 출력시키는 파워앰프(300)가 구성되어 있는 파워앰프를 이용한 인터페이스 회로에 있어서,
    인페이스회로(200)는 착신신호에 의해 트랜지스터(Q2)(Q1)가 구동되어 제1 펄스발생기(26)를 구동시키는 톤디코더(23)와, 상기 톤디코더(23)에 의해 구동하여 구동 펄스를 발생시키는 제1펄스발생기(26)와, 상기 제1펄스발생기(26)의 구동 펄스에 의해 챠임신호를 출력시키는 챠임발생기(29)로 이루어진 챠임발생수단과, 정류회로(21)를 통한 착신신호를 인식하여 구동 펄스를 발생시키는 제2펄스발생기(25)와, 상기 펄스발생기(25)의 구동 펄스에 의해 구동하여 트랜지스터(Q1)의 구동을 제어하는 트랜지스터(Q2)와, 상기 트랜지스터(Q2)의 구동에 연동하여 정류회로(21)를 통한 음성신호를 파워앰프(300)에 인가시키는 트랜지스터(Q1)를 구성시켜 스피커(500)로 음성 신호를 출력할 수 있도록하는 안내방송수단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워앰프를 이용한 전화 인터페이스회로.
  2. (삭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인터페이스 회로(200)에는 제2펄스발생기(25)의 구동 시간을 제한하는 타이머 회로(28)가 구성되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파워앰프를 이용한 전화 인터페이스 회로.
  5. 제4항에 있어서, 타이머 회로(28)의 설정시간은 콘덴서(C2)와 저항(Q2) 및 가변저항(R3)의 시정수에 의해 설정되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파워앰프를 이용한 전화 인터페이스 회로.
KR2019930026309U 1993-12-03 1993-12-03 파워 엠프를 이용한 전화 인터페이스 회로 KR960007512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30026309U KR960007512Y1 (ko) 1993-12-03 1993-12-03 파워 엠프를 이용한 전화 인터페이스 회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30026309U KR960007512Y1 (ko) 1993-12-03 1993-12-03 파워 엠프를 이용한 전화 인터페이스 회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50021891U KR950021891U (ko) 1995-07-28
KR960007512Y1 true KR960007512Y1 (ko) 1996-08-29

Family

ID=1936977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30026309U KR960007512Y1 (ko) 1993-12-03 1993-12-03 파워 엠프를 이용한 전화 인터페이스 회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60007512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50021891U (ko) 1995-07-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3725585A (en) Loudspeaking telephone station circuit
US20010012285A1 (en) Internet-telephone interface system
US5172408A (en) Speakerphone state-controlled alerting arrangement
US4527014A (en) Loudspeaking telephone
EP0129208A2 (en) Handsfree circuit for telephone instrument
US20050070271A1 (en) Mobile phone companion apparatus to provide voice link with land-line house telephone
KR960007512Y1 (ko) 파워 엠프를 이용한 전화 인터페이스 회로
US5193107A (en) Speakerphone test set
JPS5824245A (ja) 無線電話用自動応対録音装置
KR200254210Y1 (ko) 응답메세지 자동 송출장치
KR950009702B1 (ko) 비디오폰
KR100207819B1 (ko) 난청자용 전화기
KR830001579B1 (ko) 확성전화기의 2선식 동시통화장치
KR970005261B1 (ko) 전화기의 자동 재다이얼방법 및 그 장치
KR890004366Y1 (ko) 온-후크 다이얼링 및 보류용 송출 전화기
KR0133420B1 (ko) 전화기의 국선 동시 통화장치 및 그 방법
KR910003946B1 (ko) 인터폰 시스템의 상호국선 전환회로
KR850003253Y1 (ko) 전화기의 대기음 발생장치
KR900002128Y1 (ko) 응답기기의 리모트 콘트롤 회로
KR830001580B1 (ko) 확성전화기의 음성용 트랜스레스 2선식 동시통화장치
KR930002581B1 (ko) 무선 전화기의 인터컴 통화회로
KR920009148B1 (ko) 핸드프리의 전 이중(Full-Duplex) 방식회로
JPH0354452Y2 (ko)
JP2530254Y2 (ja) 電話機の表示回路
KR900005155B1 (ko) 스피커폰의 자동응답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19990731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